KR101232961B1 - 휴대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961B1
KR101232961B1 KR1020117006573A KR20117006573A KR101232961B1 KR 101232961 B1 KR101232961 B1 KR 101232961B1 KR 1020117006573 A KR1020117006573 A KR 1020117006573A KR 20117006573 A KR20117006573 A KR 20117006573A KR 101232961 B1 KR101232961 B1 KR 101232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unit
display
information
rotary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254A (ko
Inventor
아키라 아오시마
겐이치 마츠이
슈지 이시카와
아츠시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20572A external-priority patent/JP52264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785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10958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77800A external-priority patent/JP5244543B2/ja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51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Abstract

유저의 기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등의 조작을 간이하게 또한 직감적으로 행할 수 있는 휴대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1)와, 조작 키군(11)과 회전 다이얼부(41)를 갖는 조작부(202)와, 조작부(202)에 의한 조작에 수반한 각종 처리를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203)를 구비한다. 조작 제어부(203)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1)에 의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41)의 복수의 설정 위치에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처리 기능을 할당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1)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조작 키군(11)에 의한 입력이 검출되면, 회전 다이얼부(41)의 소정의 설정 위치에 할당되어 있는 처리 기능을 실행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 기기{MOBI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외부 조작부를 갖는 휴대 전자 기기 및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보다 직감적인 유저 인터페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여기에서, 힌지부를 갖는 폴더 타입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힌지부에 볼륨 전환 등에 이용하는 회전 다이얼을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휴대 전화기는, 통신·통화의 기능뿐만 아니라 TV나 라디오를 시청하는 기능도 탑재되어 있으며, 다기능화되어 있다. 여기에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TV 시청 기능 등의 기능이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통신·통화의 대기 화면이 톱 화면으로서 표시된다. 그리고,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당해 대기 화면으로부터 다른 기능을 선택하는 메뉴 선택 화면으로 이행함과 더불어, 당해 선택 메뉴 화면에서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원하는 기능의 선택을 행할 수 있다.
또, 휴대 전자 기기로서의 휴대 전화기 등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경우, 표시부에 표시되는 아이콘 등의 메뉴를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선택시키거나, 또는 조작부를 구성하는 키와 어플리케이션을 대응시켜, 해당하는 키를 눌렀을 때에 그 키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이 때, 먼저 기동하고 있었던 어플리케이션은 중단, 또는 종료되어 버린다.
그래서,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지 않고, 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기술로서, 과거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동 중인 화상을 저장해 두고, 저장한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평6-90200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 2005-293354호 공보
그러나, 당해 메뉴 선택 화면에는, 다수의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선택 메뉴가 표시되므로, 예를 들면, 조작에 서툰 유저에게 있어서는, 이러한 메뉴 선택 화면은 사용상의 저항을 느끼는 것이다.
또,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 기동하고 있을 때에, 각종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소프트 키(이른바 텐 키)의 조작 등에 의해 메뉴 기능을 기동시킨 후 조작할 필요가 있어, 조작성이 나빴다.
또, 이러한 회전 다이얼의 이용 형태로서는, 미리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회전 다이얼에 할당해 두고, 당해 회전 다이얼이 조작됨으로써, 당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기동하는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 전화기에서는, 회전 다이얼을 조작함으로써,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하, 어플리케이션 A라고 한다)을 기동하고, 당해 기동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회전 다이얼부에 의한 조작을 수반하지 않고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어플리케이션 B라고 한다)이 기동되는 상황이 상정된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회전 다이얼의 조작에 의해, 현재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B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B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현재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B를 종료하고 대기 상태로 되돌아온 후, 다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B가 기동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서 제안된 기술에서는, 과거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므로, 예를 들면 기동할 때마다 화면의 표시 내용이 변화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는, 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으로서 적절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연속적으로 기동시키도록 제어한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및 중단에 시간이 걸려, 휴대 전화기의 조작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와, 입력 조작부와 외부 조작부를 갖는 조작 수단과,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한 조작에 수반한 각종 처리를 제어하는 조작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 의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상기 외부 조작부의 복수의 설정 위치에 상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처리 기능을 할당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상기 입력 조작부에 의한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외부 조작부의 소정의 설정 위치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처리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휴대 전자 기기에서는, 표시부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 의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상기 외부 조작부에 할당되어 있는 처리 기능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외부 조작부는, 외면에 상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할당되어 있는 처리 기능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 전자 기기에서는,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에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에 대한 처리 기능을 상기 외부 조작부의 상기 설정 위치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 전자 기기에서는,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소정의 통신 상대에 관한 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소정의 통신 상대에 대해 상기 통신부에 의해 행해지는 통신 처리에 관한 처리 기능을 상기 외부 조작부의 상기 설정 위치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문자 입력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문자 입력에 관한 처리 기능을 상기 외부 조작부의 상기 설정 위치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 의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가 취급되고 있는 경우, 당해 데이터의 저장 처리에 관한 처리 기능을 상기 외부 조작부의 상기 설정 위치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 의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취급되고 있는 경우, 당해 데이터의 활용 처리에 관한 처리 기능을 상기 외부 조작부의 상기 설정 위치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 의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화상 데이터가 취급되고 있는 경우, 당해 화상 데이터의 화상 편집 처리에 관한 처리 기능을 상기 외부 조작부의 상기 설정 위치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회전 다이얼부와, 상기 회전 다이얼부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량 검출부와, 상기 회전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회전에 의거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여 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에서 결정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실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판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판정부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에서 결정된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실행 중이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는, 당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일 때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판정부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에서 결정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이미 실행 중이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는, 상기 하나의 당해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중지하고,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이미 실행 중인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하도록 전환하고,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도록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작부와,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마다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조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정보에 의해 상기 표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제1 조작이 검출된 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2 조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표시 화면의 정보를 제외하고 당해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될 때에 표시되는 기동 화면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표시부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다이얼부와, 상기 회전 다이얼부에 있어서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회전량 검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마다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회전량 검출부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1 회전량을 검출한 경우, 상기 기억부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표시 화면의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휴대 전자 기기에서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와, 상기 회전량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제1 회전량이 검출된 후에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3 조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표시 화면의 정보를 제외하고 당해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3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었을 때에 최초로 표시되는 기동 화면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 전자 기기에서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표시 화면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와,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처리부에 의한 상기 소정의 처리에 따라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개시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대신하여 상기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킴과 더불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상기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가, 상기 처리부에 의한 상기 소정의 처리의 종료에 따라 상기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표시 화면의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가 상기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켰을 때에, 상기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는, 상기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이 표시되기 직전에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었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의 기호에 따라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을 간이하게 또한 직감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의 경합 처리를 회피하여, 유저빌리티를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을 가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휴대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휴대 전화기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표시부측 하우징부에서 보았을 때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휴대 전화기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조작부측 하우징부에서 보았을 때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회전 다이얼부 부근을 확대하였을 때의 도면이다.
도 5는, 회전 다이얼부의 기능에 대한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휴대 전화기의 기능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회전 다이얼부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각종의 어플리케이션 및 메뉴의 선택 조작에 대한 설명에 사용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흐름도의 단계 S4의 공정에서 카메라 기능이 선택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가 회전 동작되었을 때의 처리부의 상세한 동작에 대한 설명에 사용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카메라 기능이 기동 중이며, 촬영 전의 프리뷰가 표시되어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가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 참조되는 테이블의 내용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카메라 기능이 기동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가 조작된 경우에 참조되는 테이블의 내용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나타낸 흐름도의 단계 S13의 공정에서 데이터 폴더 기능이 선택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가 회전 동작되었을 때의 처리부의 상세한 동작에 대한 설명에 사용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데이터 폴더 기능이 기동 중에, 회전 다이얼부가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 참조되는 테이블의 내용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7에 나타낸 흐름도의 단계 S5의 공정에서 메일 기능이 선택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가 조작된 경우에 참조되는 테이블의 내용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4는, 도 7에 나타낸 흐름도의 단계 S7의 공정에서 캘린더 기능이 선택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가 조작된 경우에 참조되는 테이블의 내용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7에 나타낸 흐름도의 단계 S15의 공정에서 주소록 기능이 선택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가 조작된 경우에 참조되는 테이블의 내용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6은, 회전 다이얼부를 이용하여 텍스트 에디터의 편집을 행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에 사용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텍스트 에디터가 기동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가 조작된 경우에 참조되는 테이블의 내용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8은, 제2 실시 형태의 회전 다이얼부의 기능에 대한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의 기능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의 처리부의 구체적인 동작(어플리케이션의 경합을 회피하는 동작)에 대한 설명에 사용하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의 회전 다이얼부의 기능에 대한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의 기능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 구비되어 있는 처리부의 기능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4는, 제3 실시 형태의 기억부에 기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화면의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26은,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27은,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의 일례인 휴대 전화기(1)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 도 2는, 휴대 전화기(1)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서 보았을 때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또, 도 3은, 휴대 전화기(1)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서 보았을 때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또, 도 4는, 외부 조작부로서의 회전 다이얼부 부근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또, 도 5는, 회전 다이얼부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휴대 전화기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 다이얼부 등의 외부 조작부를 갖는 것이고, 또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독립적으로 기동 가능하면 되며, 예를 들면,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터블 내비게이션 장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이어도 된다.
휴대 전화기(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조작부측 하우징부(2)는, 표면부(10)에, 조작 키군(11)과, 휴대 전화기(1)의 사용자가 통화 시에 발한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1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조작 키군(11)은, 기능 설정 조작 버튼(13)과, 입력 조작 버튼(14)과, 결정 조작 버튼(15)과, 컨트롤 버튼(16)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능 설정 조작 버튼(13)은, 각종 설정이나 전화번호부 기능이나 메일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입력 조작 버튼(14)은, 전화번호의 숫자나 메일 등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다. 결정 조작 버튼(15)은, 각종 조작에 있어서의 결정이나 스크롤 등을 행하는 버튼이다. 컨트롤 버튼(16)은, 볼륨 컨트롤 등을 행하는 버튼이다.
또, 표시부측 하우징부(3)는, 표면부(20)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1)와, 통화 상대측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상단부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하단부는, 힌지 기구(4)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 휴대 전화기(1)는, 힌지 기구(4)를 통해 연결된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서로 열려진 상태(열림 상태)로 하거나,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접혀진 상태(닫힘 상태)로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도 1은, 이른바 폴터형의 휴대 전화기(1)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기(1)의 형태로서는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를 서로 포갠 상태로부터 한쪽의 하우징을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한 슬라이드식이나,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서로 포개어진 방향을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한쪽의 하우징을 회전시키도록 한 회전식(턴 타입)이나,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하나의 하우징에 배치되어 연결부를 갖지 않는 형식(스트레이트 타입) 등이어도 된다.
또, 힌지 기구(4)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는, 소정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는 외부 조작부로서의 회전 다이얼부(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전 다이얼부(41)의 조작 및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외부 조작부는, 회전 다이얼부(41) 이외의 구성이어도 되고, 입력 조작, 선택 조작이나 결정 조작을 행하기 위한 입력 조작 버튼(14)이나 결정 조작 버튼(15)은 별개로 배치되고,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휴대 전화기(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디스플레이(21)가 배치되어 있는 이면측에는, 소정의 정보가 표시되는 서브 디스플레이(23)를 구비하고 있다.
또, 휴대 전화기(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조작 키군(11)이 배치되어 있는 이면측에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 등에 의해 구성되는 촬영부(17)와, 일정한 광량을 출력하는 발광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회전 다이얼부(41)의 조작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회전 다이얼부(4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 기구(4)의 회전축 X를 따라, 유저의 손가락에 의해 소정 방향(도 2 중의 a 방향(힌지 기구(4)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1 방향) 및 b 방향(힌지 기구(4)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회전 다이얼부(4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저의 조작에 의해 회전 자유로운 구성이면 되고, 회전축(힌지축) X와 직교하는 방향의 축을 따라 소정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구성 등이어도 된다.
또, 회전 다이얼부(41)에는, 회전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마다 복수의 지표(아이콘) I가 붙여져 있다. 또한, 지표 I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때의 표적이 되는 유저에게 있어서 이해하기 쉬운 이미지에 의해 그려져 있다.
여기에서, 유저에 의한 회전 다이얼부(41)의 조작에 대해 간략적으로 설명한다. 유저는, 당해 지표 I를 실마리로 하여,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지표 I를 힌지 기구(4)의 케이스 외면에 마크 등으로 표시되어 있는 선택 위치(표적) S까지 회전시킨다. 휴대 전화기(1)는, 선택 위치 S(표적)에 정지(靜止)하고 있는 지표 I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회전 다이얼부(41)는, 물리적인 회전 다이얼의 조작에 의해, 각종의 기능을 발휘하는 메뉴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또, 회전 다이얼부(41)는, 물리적인 회전 다이얼의 조작에 따라, 각종의 기능을 발휘하는 메뉴 선택이 가능하다. 회전 다이얼부(41)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의 회전 조작에 의해, 무조작 시(뉴트럴(N))를 기준으로 하여, a 방향으로 45°(b 방향으로 315°) 회전됨으로써, 촬영부(17)의 카메라 기능이 기동하고, a 방향으로 90°(b 방향으로 270°) 회전됨으로써, 메일의 기능이 기동한다. 또, 회전 다이얼부(41)는, 무조작 시((N))를 기준으로 하여 a 방향으로 135°(b 방향으로 225°) 회전됨으로써, 캘린더 기능이 기동하고, a 방향으로 180°(b 방향으로 180°) 회전됨으로써, 툴 메뉴(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소리 출력 등에 관한 각종의 설정을 행하는 메뉴)가 기동한다. 또, 회전 다이얼부(41)는, 무조작 시((N))를 기준으로 하여, a 방향으로 225°(b 방향으로 135°) 회전됨으로써, TV 기능이 기동하고, a 방향으로 270°(b 방향으로 90°) 회전됨으로써, 데이터 폴더가 기동하며, a 방향으로 315°(b 방향으로 45°) 회전됨으로써, 주소록이 기동한다.
또한, 상술한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각도에 따라 할당되어 있는 메뉴는 일례이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유저 자신이 빈번하게 사용하는 메뉴를 등록 가능한 구성이어도 되고, 또, 원하는 Web 주소를 등록해 두고, 당해 Web 주소를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해 선택함으로써, Web 브라우저가 기동하여 당해 Web 주소의 Web 페이지를 열람할 수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메뉴의 수도 상술한 수(7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유저는, 회전 다이얼부(41)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일정 조건 하에서, 회전 다이얼부(41)에 할당되어 있는 각종 기능을 직접적으로 기동시킬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메인 메뉴를 경유할 필요가 없어, 간이하게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다.
또, 도 6은, 휴대 전화기(1)의 기능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휴대 전화기(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로서 닫힘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21)와, 닫힘 상태에서도 외부에 노출되는 서브 디스플레이(23)를 구비한다. 또한, 유저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다이얼부(41)와, 외부의 단말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60)와,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70)와, 소정 용량을 갖는 충전지(80)와, 충전지(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전압을 통신부(60)나 처리부(70) 등에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90)와, 테이블(101)을 갖는 기억부(100)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60)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에 의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메인 안테나(61)와, 변조 처리 또는 복조 처리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통신 처리부(62)를 구비한다.
메인 안테나(61)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예를 들면, 800MHz)에서 외부 장치(기지국)와 통신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로서, 800MHz로 하였지만, 이 이외의 주파수대여도 된다. 또, 메인 안테나(61)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 외에, 제2 사용 주파수대(예를 들면, 2GHz)에 대응할 수 있는, 이른바 듀얼 밴드 대응형에 의한 구성이어도 되고, 또한, 제3 사용 주파수대 이상에도 대응할 수 있는 복수 밴드 대응형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통신 처리부(62)는, 메인 안테나(61)에 의해 수신한 신호를 복조 처리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처리부(70)에 공급하며, 한편, 처리부(70)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변조 처리하여, 메인 안테나(61)를 통해 외부 장치(기지국)에 송신한다.
전원 회로부(90)는, 충전지(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소정의 전압치로 변압하고, 변압 후의 전원 전압을 통신부(60)나 처리부(70) 등에 공급한다.
기억부(100)는, 처리부(70)에서 실행되는 다수의 프로그램 및 파라미터나 각종 테이블 등이 기억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억부(100)는, 처리부(70)에서 기동, 종료, 중단 등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이들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외에, 회전 검출부(71)에서 검출되는 회전량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대응 관계(도 5를 참조), 또한 닫힘 상태에서도 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테이블(110)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는, 기준 어플리케이션, 화상 재생용 어플리케이션, 카메라, 메일 등의 휴대 전화기(1)가 갖는 어플리케이션마다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량에 따라 각종 기능에 대한 기동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 처리부(7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량에 따른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며, 당해 기동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의 각도의 변화량을 회전량으로서 검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에 따른 변화를 검출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저항률의 변화 등을 회전량으로서 검출해도 된다. 또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위치(또는 회전 각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 위치에 따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이 생길 때마다, 기억부(100)의 어플리케이션 대응 관계의 테이블(110)을 참조하여, 회전량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고 있다. 또한, 테이블(110)은, 복수의 테이블을 갖고 있으며,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처리부(70)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적절히, 참조하는 테이블을 변경한다.
처리부(70)는, 휴대 전화기(1)의 주전원이 ON 상태가 되면, 우선 OS 프로그램을 기동시키고, OS 관리 하에서 기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21)에 통신의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처리부(70)는, 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발생할 때마다, OS 관리 하에서 기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종료 혹은 중단하고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 처리부(70)는, 디스플레이(21) 상에, 대기 화면을 대신하여 새롭게 기동한 어플리케이션에 의거한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처리부(70)는, 기동하고 있었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아니라,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었던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기동하고 있었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종료 혹은 중단하고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그리고, 처리부(70)는, 이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거한 화면으로부터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거한 화면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 전화기(1)에서는, 대기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조작되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고, 기동된 후, 당해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메뉴의 선택을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조작에 의해 실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기능적으로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1)와, 조작부(202)(조작 수단)와, 조작 제어부(203)(조작 제어 수단)를 구비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1)와, 조작 제어부(203)는, 처리부(70)에 상당한다.
또, 조작부(202)는, 조작 키군(11)(입력 조작부)과 회전 다이얼부(41)(외부 조작부)를 갖는다. 조작 제어부(203)는, 조작부(202)에 의한 조작에 수반한 각종 처리를 제어한다. 조작 제어부(203)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1)에 의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41)의 복수의 설정 위치에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처리 기능을 할당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1)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조작 키군(11)에 의한 입력이 검출되면, 회전 다이얼부(41)의 소정의 설정 위치에 할당되어 있는 처리 기능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 전화기(1)는, 회전 다이얼부(41)를 구비함으로써, 유저의 기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등의 조작을 간이하게 또한 직감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기(1)는, 디스플레이(21)(표시부)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204)를 구비한다. 표시 제어부(204)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1)에 의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41)에 할당되어 있는 처리 기능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 제어부(204)는, 처리부(70)에 상당한다. 또, 회전 다이얼부(41)의 각 설정 위치에 할당되어 있는 처리 기능에 관한 정보(메뉴 항목)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할 때에는, 선택 위치 S에 맞춰져 있는 설정 위치에 따른 처리 기능을 강조 표시하는 등으로 해서, 선택되어 있고 실행 가능한 처리 기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 전화기(1)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를 어느 방향으로 조작하여, 어느 위치에서 정지시키면,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지를 유저에 대해 간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어, 유저빌리티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또, 휴대 전화기(1)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는, 외면에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할당되어 있는 처리 기능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 전화기(1)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를 어느 방향으로 조작하여, 어느 위치에서 정지시키면,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지를 유저에 대해 간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어, 유저빌리티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또, 휴대 전화기(1)에서는, 조작 제어부(203)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에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화상에 대한 처리 기능을 회전 다이얼부(41)의 각 설정 위치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 전화기(1)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를 어느 방향으로 조작하여, 어느 위치에서 정지시키면,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지를 유저에 대해 간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어, 유저빌리티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또, 휴대 전화기(1)에서는, 조작 제어부(203)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소정의 통신 상대에 관한 정보가 선택된 경우, 소정의 통신 상대에 대해 통신부(60)에 의해 행해지는 통신 처리에 관한 처리 기능을 회전 다이얼부(41)의 각 설정 위치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 전화기(1)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를 어느 방향으로 조작하여, 어느 위치에서 정지시키면,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지를 유저에 대해 간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어, 유저빌리티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또, 휴대 전화기(1)에서는, 조작 제어부(203)는, 문자 입력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에디터)이 실행되고 있을 때, 문자 입력에 관한 처리 기능을 회전 다이얼부(41)의 설정 위치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 전화기(1)에서는, 에디터에 의해 문자열을 작성 중에 있어서, 회전 다이얼부(41)를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예를 들면, 가나 문자 입력을 숫자 입력으로 변경할 수 있어, 종래 방법(조작 키군(11)에 의해 메뉴 키를 눌러, 표시되는 메뉴 중에서 숫자 입력을 선택하는 방법)에 비해, 간이하고 또한 용이하게 문자열의 작성을 행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기(1)에서는, 조작 제어부(203)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1)에 의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가 취급되고 있는 경우, 당해 데이터의 저장 처리에 관한 처리 기능을 회전 다이얼부(41)의 설정 위치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 전화기(1)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간이하고 또한 용이하게 데이터의 저장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기(1)에서는, 조작 제어부(203)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1)에 의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취급되고 있는 경우, 당해 데이터의 활용 처리에 관한 처리 기능을 회전 다이얼부(41)의 설정 위치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 전화기(1)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간이하고 또한 용이하게 데이터의 활용 처리(예를 들면, 다른 단말로 송신하는 처리 등)를 행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기(1)에서는, 조작 제어부(203)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1)에 의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화상 데이터가 취급되고 있는 경우, 당해 화상 데이터의 화상 편집 처리에 관한 처리 기능을 회전 다이얼부(41)의 설정 위치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 전화기(1)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간이하고 또한 용이하게 화상 데이터의 화상 편집 처리(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의 확대·축소 등)를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전 다이얼부(41)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각종의 어플리케이션 및 메뉴의 선택 조작에 대해, 도 7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통신의 대기 상태(초기 화면이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회전 다이얼부(4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의 회전 조작에 의해, 무조작 시(뉴트럴(N))를 기준으로 하여, a 방향으로 45°(b 방향으로 315°) 회전됨으로써, 촬영부(17)의 카메라 기능이 기동하고, a 방향으로 90°(b 방향으로 270°) 회전됨으로써, 메일의 기능이 기동한다. 또, 회전 다이얼부(41)는, 무조작 시((N))를 기준으로 하여, a 방향으로 135°(b 방향으로 225°) 회전됨으로써, 캘린더 기능이 기동하고, a 방향으로 180°(b 방향으로 180°) 회전됨으로써, 툴 메뉴(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소리 출력 등에 관한 각종의 설정을 행하는 메뉴)가 기동한다. 또, 회전 다이얼부(41)는, 무조작 시((N))를 기준으로 하여, a 방향으로 225°(b 방향으로 135°) 회전됨으로써, TV 기능이 기동하고, a 방향으로 270°(b 방향으로 90°) 회전됨으로써, 데이터 폴더가 기동하며, a 방향으로 315°(b 방향으로 45°) 회전됨으로써, 주소록이 기동한다.
단계 S1에 있어서, 처리부(70)는, 대기 상태에서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동작을 검출한다.
단계 S2에 있어서, 처리부(70)는, 단계 S1의 공정에 의한 검출 결과로부터, 각종의 어플리케이션이 할당되어 있는 각종 설정 위치(뉴트럴(N)을 제외한다)의 어느 설정 위치 S에 맞춰지도록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되어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No)에는, 단계 S1로 되돌아오고,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Yes)에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단계 S3 내지 9로 진행한다.
단계 S2에 있어서,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각도가 45°이며 카메라 기능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면, 단계 S3으로 진행하고, 카메라 기능을 기동하여, 단계 S4로 진행한다.
단계 S4에 있어서, 처리부(70)는, 단계 S3의 공정에 의해 카메라 기능이 기동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는, 카메라 기능에 있어서의 각종 메뉴의 선택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처리부(70)는, 대기 화면으로부터 카메라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조작에 따라, 카메라 기능에 대응한 메뉴가 선택 가능하도록,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발휘되는 기능이나 처리가 나타나 있는 테이블을 적절히 변경한다.
또, 단계 S2에 있어서,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각도가 90°이며 메일 기능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면, 단계 S5로 진행하고, 메일 기능을 기동하여,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에 있어서, 처리부(70)는, 단계 S5의 공정에 의해 메일 기능이 기동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는, 메일 기능에 있어서의 각종 메뉴의 선택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처리부(70)는, 대기 화면으로부터 메일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조작에 따라, 메일 기능에 대응한 메뉴가 선택 가능하도록,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발휘되는 기능이나 처리가 나타나 있는 테이블을 적절히 변경한다.
또, 단계 S2에 있어서,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각도가 135°이며 캘린더 기능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면, 단계 S7로 진행하고, 캘린더 기능을 기동하여, 단계 S8로 진행한다.
단계 S8에 있어서, 처리부(70)는, 단계 S5의 공정에 의해 캘린더 기능이 기동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는, 캘린더 기능에 있어서의 각종 메뉴의 선택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처리부(70)는, 대기 화면으로부터 캘린더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조작에 따라, 캘린더 기능에 대응한 메뉴가 선택 가능하도록,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발휘되는 기능이나 처리가 나타나 있는 테이블을 적절히 변경한다.
또, 단계 S2에 있어서,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각도가 180°이며 툴 기능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면, 단계 S9로 진행하고, 툴 기능을 기동하여,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에 있어서, 처리부(70)는, 단계 S5의 공정에 의해 툴 기능이 기동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는, 툴 기능에 있어서의 각종 메뉴의 선택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처리부(70)는, 대기 화면으로부터 툴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조작에 따라, 툴 기능에 대응한 메뉴가 선택 가능하도록,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발휘되는 기능이나 처리가 나타나 있는 테이블을 적절히 변경한다.
또, 단계 S2에 있어서,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각도가 225°이며 TV 기능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면, 단계 S11로 진행하고, TV 기능을 기동하여, 단계 S12로 진행한다.
단계 S12에 있어서, 처리부(70)는, 단계 S5의 공정에 의해 TV 기능이 기동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는, TV 기능에 있어서의 각종 메뉴의 선택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처리부(70)는, 대기 화면으로부터 TV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조작에 따라, TV 기능에 대응한 메뉴가 선택 가능하도록,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발휘되는 기능이나 처리가 나타나 있는 테이블을 적절히 변경한다.
또, 단계 S2에 있어서,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각도가 270°이며 데이터 폴더 기능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면, 단계 S13으로 진행하고, 데이터 폴더 기능을 기동하여,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14에 있어서, 처리부(70)는, 단계 S5의 공정에 의해 데이터 폴더 기능이 기동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는, 데이터 폴더 기능에 있어서의 각종 메뉴의 선택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처리부(70)는, 대기 화면으로부터 데이터 폴더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조작에 따라, 데이터 폴더 기능에 대응한 메뉴가 선택 가능하도록,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발휘되는 기능이나 처리가 나타나 있는 테이블을 적절히 변경한다.
또, 단계 S2에 있어서,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각도가 315°이며 주소록 기능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면, 단계 S15로 진행하고, 주소록 기능을 기동하여,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에 있어서, 처리부(70)는, 단계 S5의 공정에 의해 주소록 기능이 기동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는, 주소록 기능에 있어서의 각종 메뉴의 선택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처리부(70)는, 대기 화면으로부터 주소록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조작에 따라, 주소록 기능에 대응한 메뉴가 선택 가능하도록,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발휘되는 기능이나 처리가 나타나 있는 테이블을 적절히 변경한다.
<단계 S4의 공정의 상세 동작>
여기에서, 상술한 단계 S3 및 S4의 공정에 따라, 카메라가 기동되어, 카메라 기능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기동)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동작되었을 때의 처리부(70)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 도 8(단계 S101 내지 단계 112)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101에 있어서, 처리부(70)는 프리뷰를 개시한다.
단계 S102에 있어서,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동작을 검출한다.
단계 S103에 있어서, 처리부(70)는, 단계 S102의 공정에 의한 검출 결과로부터, 회전 다이얼부(41)의 각 설정 위치 중 어느 것이 선택 위치 S에 맞춰져, 메뉴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메뉴가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No)에는, 단계 S102로 되돌아오고, 메뉴가 선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Yes)에는, 선택된 메뉴에 따라 단계 S104 내지 110으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처리부(70)는, 카메라 기능이 기동 중이며, 촬영 전의 프리뷰가 표시되어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는, 도 9에 나타낸 테이블을 참조하여, 회전 각도에 따른 동작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처리부(70)는, 단계 S102 및 103에 있어서, 무조작 시(0° 또는 360°)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45° 회전된 것이 검출되면, 단계 S104로 진행하고, 「본체 메모리 저장」의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하여, 후술하는 단계 S112의 촬영 후 처리의 처리 내용으로서 촬영 화상(촬영 데이터)을 휴대 전화기(1)의 본체 메모리에 저장하는 처리 내용으로 설정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90° 회전된 것이 검출되면, 단계 S105로 진행하고, 「메모리 카드 저장」의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하여, 후술하는 단계 S112의 촬영 후 처리의 처리 내용으로서 촬영 화상(촬영 데이터)을 착탈 가능한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처리 내용으로 설정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135° 회전된 것이 검출되면, 단계 S106으로 진행하고, 「미설정」의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하여, 후술하는 단계 S112의 촬영 후 처리의 동작을 행하지 않는 처리 내용으로 설정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180° 회전된 것이 검출되면, 단계 S107로 진행하고, 「무비」의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하여, 후술하는 단계 S112의 촬영 후 처리의 처리 내용으로서 무비 촬영을 개시하는 처리 내용으로 설정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225° 회전된 것이 검출되면, 단계 S108로 진행하고, 「연사」의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하여, 후술하는 단계 S112의 촬영 후 처리의 처리 내용으로서 연사 촬영을 개시하는 처리 내용으로 설정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270° 회전된 것이 검출되면, 단계 S109로 진행하고, 「타이머 촬영」의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하여, 후술하는 단계 S112의 촬영 후 처리의 처리 내용으로서 타이머 촬영을 개시하는 처리 내용으로 설정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315° 회전된 것이 검출되면, 단계 S110으로 진행하고, 「바코드 리더 촬영」의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하여, 후술하는 단계 S112의 촬영 후 처리의 처리 내용으로서 바코드 인식을 개시하는 처리 내용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단계 S104~단계 S110에서, 촬영 후 처리(단계 S112에서의 처리)의 내용이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조작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따라 설정된 후에, 단계 S111에서 촬영 키(결정 키)의 누름이 검출되면, 단계 S112로 진행하고, 선택된 메뉴에 따라 단계 S104~단계 S110에서 설정된 촬영 후 처리가 실행된다.
다음에, 카메라 기능이 기동 중이며, 촬영 후의 화상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41)가 조작된 경우에, 참조되는 테이블의 내용에 대해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처리부(70)는, 카메라 기능이 기동 중이며, 피사체가 촬영된 후,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조작되어 회전 각도에 따른 각 설정에 할당되어 있는 메뉴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도 10에 나타낸 테이블을 참조하여, 회전 각도에 따른 동작(메뉴 기능)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처리부(70)는, 무조작 시(0° 또는 360°)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45° 회전되어, 결정 조작이 되었을 때에는, 표시되어 있는 촬영 화상의 촬영 데이터를 본체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90° 회전되어, 결정 조작이 되었을 때에는, 동일 촬영 데이터를 휴대 전화기(1)의 본체에 착탈 가능한 메모리 카드에 저장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135° 회전되어, 결정 조작이 되었을 때에는, 메일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표시되어 있는 촬영 데이터를 첨부한 메일 작성 화면을 표시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180° 회전되어, 결정 조작이 되었을 때에는, 적외선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표시되어 있는 촬영 데이터를 적외선 통신에 의해 외부 통신 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225° 회전되어, 결정 조작이 되었을 때에는, 표시되어 있는 촬영 데이터를 편집(예를 들면, 촬영 데이터의 확대·축소 등)하는 편집 화면을 표시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270° 회전되어, 결정 조작이 되었을 때에는, 주소록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표시되어 있는 촬영 데이터(예를 들면, 얼굴 화상)를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는 유저 데이터 중 선택된 유저 데이터에 추가 등록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315° 회전되어, 결정 조작이 되었을 때에는,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표시되어 있는 촬영 데이터(예를 들면, 얼굴 화상)를 캘린더 데이터 중 선택된 캘린더 데이터에 추가 등록한다.
또한,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360° 회전되어, 결정 조작이 되었을 때에는,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단계 S13의 공정의 상세 동작>
여기에서, 상술한 단계 S13의 공정에서 데이터 폴더 기능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된 후에,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동작되었을 때의 처리부(70)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 도 11(단계 S121 내지 단계 S132)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121에 있어서, 처리부(70)는, 포토 재생 기능을 발휘하며, 데이터 폴더 내의 데이터를 섬네일 표시한다.
단계 S122에 있어서,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동작을 검출한다.
단계 S123에 있어서, 처리부(70)는, 단계 S122의 공정에 의한 검출 결과로부터, 회전 다이얼부(41)의 각 설정 위치 중 어느 것이 선택 위치 S에 맞춰져, 각 설정 위치에 할당되어 있는 어느 메뉴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메뉴가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No)에는, 단계 S122로 되돌아오고, 메뉴가 선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Yes)에는, 선택된 메뉴에 따라 단계 S124 내지 130으로 진행한다. 그 후, 결정 키가 눌러져(단계 S131), 결정 후 처리가 행해진다(단계 S132).
여기에서, 처리부(70)는, 데이터 폴더 기능이 기동 중에,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는, 도 12에 나타낸 테이블을 참조하여, 회전 각도에 따른 동작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처리부(70)는 단계 S122 및 단계 S123에 있어서, 무조작 시(0° 또는 360°)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45° 회전된 것이 검출되면, 단계 S124로 진행하고, 「벽지 등록」의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하여, 후술하는 단계 S132의 표시되어 있는 결정 후 처리의 처리 내용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벽지(대기 화면의 배경)로서 등록하는 처리 내용으로 설정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90° 회전된 것이 검출되면, 단계 S125로 진행하고,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의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하여, 후술하는 단계 S132의 결정 후 처리의 처리 내용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첨부한 메일 작성 화면에 붙이는 처리 내용으로 설정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135° 회전된 것이 검출되면, 단계 S126으로 진행하고, 「적외선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의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하여, 후술하는 단계 S132의 결정 후 처리의 처리 내용으로서, 적외선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적외선 통신에 의해 외부에 송신하는 처리 내용으로 설정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180° 회전된 것이 검출되면, 단계 S127로 진행하고, 「편집」의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하여, 후술하는 단계 S132의 결정 후 처리의 처리 내용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편집(예를 들면, 촬영 데이터의 확대·축소 등)하는 편집 화면으로 천이시키는 처리 내용으로 설정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225° 회전된 것이 검출되면, 단계 S128로 진행하고, 「주소록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의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하여, 후술하는 단계 S132의 결정 후 처리의 처리 내용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주소록에 추가하는 설정 화면으로 천이시키는 처리 내용으로 설정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270° 회전된 것이 검출되면, 단계 S129로 진행하고,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의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하여, 후술하는 단계 S132의 결정 후 처리의 처리 내용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캘린더 데이터에 저장하는 설정 화면으로 천이하는 처리 내용으로 설정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315° 회전된 것이 검출되면, 단계 S130으로 진행하고, 「데이터 이동」의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하여, 후술하는 단계 S132의 결정 후 처리가 이루어졌을 때에는,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별도의 장소, 예를 들면, 데이터 폴더로부터 착탈 가능한 메모리로 이동하는 처리 내용으로 설정한다.
<메일 기능>
다음에, 상술한 단계 S5의 공정에서 메일 기능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된 후에, 회전 다이얼부(41)가 조작된 경우에 참조되는 테이블의 내용에 대해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처리부(70)는, 메일 기능이 기동 중에 있어서,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는, 도 13에 나타낸 테이블을 참조하여, 회전 각도에 따라, 결정 키 누름 후의 처리 내용을 설정한다. 처리부(70)는, 무조작 시(0° 또는 360°)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45° 회전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메일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메일에 대한 회신 메일을 작성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90° 회전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메일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메일의 전송 메일을 작성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135° 회전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메일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메일 상대를 주소록에 등록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180° 회전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메일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메일의 주소를 표시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225° 회전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메일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메일의 보호 처리(삭제할 수 없도록 보호하는 처리)를 행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270° 회전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메일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메일의 주소를 스팸 메일 주소로서 등록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315° 회전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메일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메일을 삭제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캘린더 기능>
다음에, 상술한 단계 S7의 공정에서 캘린더 기능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된 후에, 회전 다이얼부(41)가 조작된 경우에 참조되는 테이블의 내용에 대해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처리부(70)는, 캘린더 기능이 기동 중에 있어서,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는, 도 14에 나타낸 테이블을 참조하여, 회전 각도에 따라, 결정 키 누름 후의 처리 내용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처리부(70)는, 무조작 시(0° 또는 360°)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45° 회전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고 있을 때에는,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스케줄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스케줄 데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상대의 제1 전화번호로 발호(發呼)를 행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90° 회전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고 있을 때에는,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스케줄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스케줄 데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상대의 제1 전화번호로 TV 전화 접속(발호)을 행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135° 회전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고 있을 때에는,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스케줄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스케줄 데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상대의 제1 메일 주소에 대한 메일 작성 화면을 표시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180° 회전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고 있을 때에는,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스케줄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스케줄 데이터에 촬영 화상을 등록하기 위해 카메라 기능을 기동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225° 회전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고 있을 때에는,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스케줄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스케줄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처리 내용이 설정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에 의해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270° 회전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고 있을 때에는,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스케줄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스케줄 데이터가 편집(예를 들면, 스케줄의 추가, 변경 등)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315° 회전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고 있을 때에는,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스케줄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스케줄 데이터의 삭제를 행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주소록 기능>
다음에, 상술한 단계 S15의 공정에서 주소록 기능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된 후에, 회전 다이얼부(41)가 조작된 경우에 선택되는 테이블 내용에 대해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처리부(70)는, 주소록 기능이 기동 중에 있어서,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는, 도 15에 나타낸 테이블을 참조하여, 회전 각도에 따라, 결정 키 누름 후의 처리 내용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처리부(70)는, 무조작 시(0° 또는 360°)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45° 회전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고 있을 때에는,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주소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주소 데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제1 전화번호로 발호를 행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90° 회전되어,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주소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주소 데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제1 전화번호로 TV 전화 접속(발호)을 행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135° 회전되어,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주소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주소 데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제1 메일 주소에 대한 메일 작성 화면을 표시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180° 회전되어,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주소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주소 데이터에 촬영 데이터를 등록하기 위해 카메라 기능을 기동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225° 회전되어,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주소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주소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에 의해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270° 회전되어,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주소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주소 데이터가 편집(예를 들면, 주소에 등록되어 있는 이름의 수정 등)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315° 회전되어, 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주소 리스트 중에서 커서 선택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주소 데이터의 삭제를 행하는 처리 내용이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1. 본 발명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의 입력 상태를 판정함으로써, 다음의 천이처(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트리 구조에 관계없이, 천이하고 싶은 상태로 결정 키의 조작에 의해 다이렉트로 천이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의 상태(결정 조작 후의 처리 내용)를 표시하는 것이, 화면뿐만이 아니라 화면과 키로 표시하므로, 눈으로 보기에 알기 쉽고, 유저에게 용이하게 이해시킬 수 있다.
3. 본 발명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에서 기동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사용하고 싶은 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다기능화한 휴대 전화기(1)를 심플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서는, 사진 촬영(카메라 기동) 시에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해 「데이터 폴더」를 선택함으로써, 결정 키 등의 누름에 의해, 촬영 후의 화상을 데이터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5. 본 발명에서는, 화상을 보고 있을(표시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해 「메일」을 선택하면, 결정 키 등의 누름에 의해,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첨부한 메일의 작성 화면으로 천이할 수 있다.
6. 본 발명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해 「카메라(또는 적외선)」를 선택하고, 결정 키 등을 누름으로써, 현재의 상태에 관계없이 카메라(또는 적외선) 기능을 기동시킬 수 있다.
7. 본 발명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한 입력 상태를 고려하므로, 정해진 조작 방법에 의해 최적인 상태로 천이할 수 있어, 조작이 용이하다. 요컨대, 결정 키의 누름과 같은 동일한 조작에 의해, 회전 다이얼부(41)의 상태에 따라 기동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임의의 처리를 신속하고 또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8. 본 발명에서는, 목적의 상태로 다이렉트로 천이하므로, 조작 속도가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량에 의거하여, 기동해야 할 어플리케이션이나 기동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한 처리(메뉴)를 특정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어떠한 회전 상태인지만 판정할 수 있으면 되고, 변동량을 검출하는 것 외에, 예를 들면, 최종적인 회전 위치만을 검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리고, 테이블(110)에서 최종적인 회전 위치에 각각 어플리케이션이나 기동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한 처리(메뉴)를 대응시켜 기억해 두면, 이것을 참조함으로써, 특정된 위치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거나, 기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처리를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이 발생한 후 최종적인 회전 위치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의 계측을 행함으로써, 빠른 회전인지, 느린 회전인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에 따라 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변화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테이블(110)에 회전 시간마다 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대응시켜 기억해 두고, 회전이 발생한 후 회전이 정지될 때까지의 시간을 테이블 참조함으로써, 예를 들면, 동일한 위치까지의 회전이어도 회전 속도의 상이에 따라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의 실시예>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를 이용한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1)는, 텍스트 에디터(텍스트 파일을 작성, 편집, 저장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 편집 보조 기능을 회전 다이얼부(41)에 할당해도 된다.
여기에서, 회전 다이얼부(41)를 이용하여 텍스트 에디터의 편집을 행하는 방법에 대해 도 16에 나타낸 흐름도와, 도 17에 나타낸 참조 테이블의 내용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소정의 조작에 의해 텍스트 데이터가 기동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단계 S201에 있어서,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동작을 검출한다.
단계 S202에 있어서, 처리부(70)는, 텐 키(입력 조작 버튼(14))에 의한 입력의 유무를 검출한다. 입력되는 문자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키로서의 텐 키에 의한 입력이 있었던 경우(Yes)에는, 단계 S201의 공정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단계 S203 내지 단계 S210으로 진행하고, 텐 키에 의한 입력이 없었던 경우(No)에는, 단계 S201로 되돌아온다.
여기에서, 처리부(70)는, 텍스트 에디터가 기동 중이며, 텐 키의 입력이 있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41)의 각 설정 위치 중 선택 위치 S에 맞춰져 있는 설정 위치를 검출하고,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상태(선택되어 있는 설정 위치)에 의거하여, 도 17에 나타낸 테이블을 참조하여, 회전 각도에 따른 동작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처리부(70)는, 텐 키의 입력이 있었을 때에, 도 17에 나타낸 테이블을 참조하여, 회전 다이얼부(41)가 무조작 또는 1회전 조작(0° 또는 360°)인 경우에는, 별도로 설정되어 있는 문자종 설정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문자종의 입력을 행한다(단계 S203). 또, 처리부(70)는, 결정 조작 버튼(15)의 상하 키가 눌러짐으로써, 가입력되어 있는 문자의 변환 처리를 실행하고, 결정 조작 버튼(15)의 센터 키가 눌러짐으로써(단계 S211), 가입력되어 있는 문자가 확정된다(단계 S212).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45° 회전되어 있는 상태로 텐 키의 입력이 있었을 때에는, 텐 키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를 히라가나로 입력을 행한다(단계 S204). 또, 처리부(70)는, 결정 조작 버튼(15)의 상하 키가 눌러짐으로써, 가입력되어 있는 문자의 변환 처리를 실행하고, 결정 조작 버튼(15)의 센터 키가 눌러짐으로써(단계 S211), 가입력되어 있는 문자가 확정된다(단계 S212).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90° 회전되어 있는 상태로 텐 키의 입력이 있었을 때에는, 텐 키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를 가타카나로 입력을 행한다(단계 S205). 또, 처리부(70)는, 결정 조작 버튼(15)의 상하 키가 눌러짐으로써, 가입력되어 있는 문자의 변환 처리를 실행하고, 결정 조작 버튼(15)의 센터 키가 눌러짐으로써(단계 S211), 가입력되어 있는 문자가 확정된다(단계 S212).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135° 회전되어 있는 상태로 텐 키의 입력이 있었을 때에는, 텐 키에 할당되어 있는 영문자로 입력을 행한다(단계 S206). 또, 처리부(70)는, 결정 조작 버튼(15)의 상하 키가 눌러짐으로써, 가입력되어 있는 문자의 변환 처리를 실행하고, 결정 조작 버튼(15)의 센터 키가 눌러짐으로써(단계 S211), 가입력되어 있는 문자가 확정된다(단계 S212).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180° 회전되어 있는 상태로 텐 키의 입력이 있었을 때에는, 텐 키에 할당되어 있는 숫자로 입력을 행한다(단계 S207). 또, 처리부(70)는, 결정 조작 버튼(15)의 상하 키가 눌러짐으로써, 가입력되어 있는 문자의 변환 처리를 실행하고, 결정 조작 버튼(15)의 센터 키가 눌러짐으로써(단계 S211), 가입력되어 있는 문자가 확정된다(S212).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225° 회전되어 있는 상태로 텐 키의 입력이 있었을 때에는, 텐 키의 누름에 의해 입력되는 코드 번호에 대응한 그림 문자의 입력을 행한다(단계 S208). 또, 처리부(70)는, 결정 조작 버튼(15)의 상하 키가 눌러짐으로써, 가입력되어 있는 문자의 변환 처리를 실행하고, 결정 조작 버튼(15)의 센터 키가 눌러짐으로써(단계 S211), 가입력되어 있는 문자가 확정된다(단계 S212).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270° 회전되어 있는 상태로 텐 키의 입력이 있었을 때에는, 텐 키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로 입력을 행한다(단계 S209). 또, 처리부(70)는, 결정 조작 버튼(15)의 상하 키가 눌러짐으로써, 가입력되어 있는 문자의 변환 처리를 실행하고, 결정 조작 버튼(15)의 센터 키가 눌러짐으로써(단계 S211), 가입력되어 있는 문자가 확정된다(단계 S212).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일정 방향으로 315° 회전되어 있는 상태로 텐 키의 입력이 있었을 때에는, 입력된 텐 키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 사이즈에 따라 문자 사이즈의 가설정을 행하고, 지금까지 입력되어 디스플레이(21)의 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를, 가설정된 문자 사이즈의 크기로 변경하여 표시한다(단계 S210). 또, 처리부(70)는, 결정 조작 버튼(15)의 센터 키가 눌러짐으로써(단계 S211), 가설정되어 있는 문자 사이즈를 확정한다(단계 S212). 예를 들면, 처리부(70)는, 텐 키의 「1」이 인쇄되어 있는 키가 눌러진 경우에는, 문자 사이즈를 극소 사이즈로 변경하고, 텐 키의 「2」가 인쇄되어 있는 키가 눌러진 경우에는, 문자 사이즈를 소 사이즈로 변경하고, 텐 키의 「3」이 인쇄되어 있는 키가 눌러진 경우에는, 문자 사이즈를 중간 사이즈로 하고, 텐 키의 「4」가 인쇄되어 있는 키가 눌러진 경우에는, 문자 사이즈를 대 사이즈로 변경하며, 텐 키의 「5」가 인쇄되어 있는 키가 눌러진 경우에는, 문자 사이즈를 극대 사이즈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상태에 따라 입력 문자종 등의 선택이 행해지고, 텐 키(결정 키)의 입력에 의해 임의의 문자 입력이 행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문자 입력 시의 문자종이나 문자 사이즈 등의 각종 변경을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원하는 문자를 용이하고 또한 매끄럽게 입력할 수 있어, 문자 입력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점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도 18은, 제2 실시 형태의 회전 다이얼부(41)의 기능에 대한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의 기능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의 처리부(70)의 구체적인 동작(어플리케이션의 경합을 회피하는 동작)에 대한 설명에 사용하는 흐름도이다.
또, 회전 다이얼부(41)는, 물리적인 회전 다이얼의 조작에 따라, 각종의 기능을 발휘하는 메뉴 선택이 가능하다. 회전 다이얼부(41)는,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의 회전 조작에 의해, 무조작 시(뉴트럴(N))를 기준으로 하여, a 방향으로 45°(b 방향으로 315°) 회전됨으로써, 촬영부(17)의 카메라 기능이 기동하고, a 방향으로 90°(b 방향으로 270°) 회전됨으로써, Web 브라우저가 기동한다. 또, 회전 다이얼부(41)는, 무조작 시((N))를 기준으로 하여, a 방향으로 135°(b 방향으로 225°) 회전됨으로써, 메일 어플리케이션이 기동하고, a 방향으로 180°(b 방향으로 180°) 회전됨으로써, 툴 메뉴(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소리 출력 등에 관한 각종의 설정을 행하는 메뉴)가 기동한다. 또, 회전 다이얼부(41)는, 무조작 시((N))를 기준으로 하여, a 방향으로 225°(b 방향으로 135°) 회전됨으로써, TV 기능이 기동하고, a 방향으로 270°(b 방향으로 90°) 회전됨으로써, 데이터 폴더가 기동하며, a 방향으로 315°(b 방향으로 45°) 회전됨으로써, 주소록이 기동한다.
또한, 상술한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각도에 따라 할당되어 있는 메뉴는 일례이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유저 자신이 빈번하게 사용하는 메뉴를 등록 가능한 구성이어도 되고, 또, 원하는 Web 주소를 등록해 두고, 당해 Web 주소를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해 선택함으로써, Web 브라우저가 기동하여 당해 Web 주소의 Web 페이지를 열람할 수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메뉴의 수도 상술한 수(7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유저는, 회전 다이얼부(41)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일정 조건 하에서, 회전 다이얼부(41)에 할당되어 있는 각종 기능을 직접적으로 기동시킬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메인 메뉴를 경유할 필요가 없어, 간이하게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다.
또, 도 19는, 휴대 전화기(1)의 기능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휴대 전화기(1)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로서 닫힘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21)와, 닫힘 상태에서도 외부에 노출되는 서브 디스플레이(23)를 구비한다. 또한, 유저의 조작용으로 사용하는 조작 키군(11)과, 유저의 조작용으로 사용하는 회전 다이얼부(41)와, 외부의 단말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60)와,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70)와, 소정 용량을 갖는 충전지(80)와, 충전지(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전압을 통신부(60)나 처리부(70) 등에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90)와, 테이블(101)을 갖는 기억부(100)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60)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에 의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메인 안테나(61)와, 변조 처리 또는 복조 처리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통신 처리부(62)를 구비한다.
메인 안테나(61)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예를 들면, 800MHz)에서 외부 장치(기지국)와 통신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로서, 800MHz로 하였지만, 이 이외의 주파수대여도 된다. 또, 메인 안테나(61)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 외에, 제2 사용 주파수대(예를 들면, 2GHz)에 대응할 수 있는, 이른바 듀얼 밴드 대응형에 의한 구성이어도 되고, 또한, 제3 사용 주파수대 이상에도 대응할 수 있는 복수 밴드 대응형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통신 처리부(62)는, 메인 안테나(61)에 의해 수신한 신호를 복조 처리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처리부(70)에 공급하며, 한편, 처리부(70)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변조 처리하여, 메인 안테나(61)를 통해 외부 장치(기지국)에 송신한다.
전원 회로부(90)는, 충전지(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소정의 전압치로 변압하고, 변압 후의 전원 전압을 통신부(60)나 처리부(70) 등에 공급한다.
기억부(100)는, 처리부(70)에서 실행되는 다수의 프로그램 및 파라미터나 각종 테이블 등이 기억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억부(100)는, 처리부(70)에서 기동, 종료, 중단 등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이들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외에,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회전량 검출부(205)에서 검출되는 회전량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대응 관계(도 18을 참조), 또한 닫힘 상태에서도 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테이블(110)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는, 기준 어플리케이션, 화상 재생용 어플리케이션, 카메라, 메일 등의 휴대 전화기(1)가 갖는 어플리케이션마다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량에 따라 각종 기능에 대한 기동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 처리부(7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량에 따른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며, 당해 기동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의 각도의 변화량을 회전량으로서 검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에 따른 변화를 검출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저항률의 변화 등을 회전량으로서 검출해도 된다. 또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위치(또는 회전 각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 위치에 따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이 발생할 때마다, 기억부(100)의 어플리케이션 대응 관계의 테이블(110)을 참조하여, 회전량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고 있다. 또한, 테이블(110)은, 복수의 테이블을 가지고 있으며,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처리부(70)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적절히, 참조하는 테이블을 변경한다.
처리부(70)는, 휴대 전화기(1)의 주전원이 ON 상태가 되면, 우선 OS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OS 관리 하에서 기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21)에 통신의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처리부(70)는, 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발생할 때마다, OS 관리 하에서 기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종료 혹은 중단하고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 처리부(70)는, 디스플레이(21) 상에, 대기 화면을 대신하여 새롭게 기동한 어플리케이션에 의거한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처리부(70)는, 기동하고 있었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아니라,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었던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기동하고 있었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종료 혹은 중단하고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그리고, 처리부(70)는, 이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거한 화면으로부터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거한 화면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 전화기(1)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를 조작하여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경우, 회전 다이얼부(41)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에서, 당해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처리부(70)의 구체적인 구성과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처리부(70)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량 검출부(205)와,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판정부(207)를 구비한다.
회전량 검출부(205)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을 검출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량 검출부(205)는, 회전 다이얼부(41)의 각도의 변화량을 회전량으로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특별히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에 따른 변화를 검출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회전량 검출부(205)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을 저항률의 변화로서 검출하고, 당해 검출된 값으로부터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는, 회전량 검출부(205)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위치(또는 회전 각도)를 검출하고, 당해 검출된 회전 위치로부터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는, 회전량 검출부(205)에 의해 검출된 회전에 의거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여 기동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판정부(207)는,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에서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판정부(207)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에서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라고 판정된 경우, 당해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중지한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조작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할 때에,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경우에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조작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중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전화기(1)는, 어플리케이션의 경합 처리를 회피하여, 유저빌리티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일 때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판정부(207)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에서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는 이하와 같이 처리를 실행한다.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는, 당해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중지하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하도록 전환하며,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도록 전환하도록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 전화기(1)는, 백그라운드에서 기동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것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해 선택된 경우, 백그라운드에서 기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지 않고, 또한, 당해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에서 기동하도록, 기동 중인 어플리케이션간의 액티브/인액티브를 전환하므로, 어플리케이션의 경합 처리를 회피하여, 유저빌리티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처리부(7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도 20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휴대 전화기(1)는, 대기 어플리케이션만이 기동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회전 다이얼부(41)의 조작에 따라 Web 브라우저를 기동하고, 그 후, Web 브라우저에 표시되어 있는 E메일 주소(메일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이 관련지어져 있다)를 조작 키군(11)에 의해 선택하며, 그 후, 메일 어플리케이션이 기동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해 메일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단계 S301에 있어서, 회전량 검출부(205)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을 검출한다. 또한, 단계 S301의 공정에서는, 디스플레이(21)에는 대기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단계 S30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는, 단계 S301의 공정에서 검출된 회전에 의거하여 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는, Web 브라우저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단계 S302의 공정에서는, 디스플레이(21)에는 대기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단계 S303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판정부(207)에 의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는, 대기 어플리케이션만이 기동 중인 것을 확인한다.
단계 S304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판정부(207)는, 단계 S302의 공정에서 판단된 어플리케이션과, 단계 S303의 공정에서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Yes)에는, 단계 S311로 진행하고,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No)에는, 단계 S305로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판정부(207)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대기 어플리케이션이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Web 브라우저이므로,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단계 S305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는, Web 브라우저를 포어그라운드에서 기동한다. 또한, 단계 S305의 공정에서는, 디스플레이(21)에는 Web 브라우저가 표시되어 있다.
단계 S306에 있어서, 처리부(70)는, 조작 키군(11),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한 조작을 대기한다. 엄밀하게 말하면,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한 조작을 대기하는 것은, 회전량 검출부(205)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Web 브라우저에 표시되어 있는 E메일 주소(메일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이 관련지어져 있다)가 조작 키군(11)에 의해 선택된다. 처리부(70)는, 메일 어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에서 기동한다. 또한, 처리부(70)는, Web 브라우저를 종료하는 처리를 행해도 되고, 또는 Web 브라우저를 백그라운드에서 기동해 두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일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된 상태에서, 회전 다이얼부(41)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현재의 위치(Web 브라우저를 기동하는 위치)로부터 메일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위치로 회전 조작이 행해진다.
단계 S307에 있어서, 회전량 검출부(205)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을 검출한다.
단계 S308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는, 단계 S307의 공정에서 검출된 회전에 의거하여 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는, 메일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 S309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판정부(207)에 의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는, 메일 어플리케이션이 기동 중인 것을 확인한다.
단계 S310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판정부(207)는, 단계 S308의 공정에서 판단된 어플리케이션과, 단계 S309의 공정에서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Yes)에는, 단계 S311로 진행하고,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No)에는, 단계 S305로 되돌아온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판정부(207)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은 모두 메일 어플리케이션이며, 동일하다고 판단한다.
단계 S311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206)는, 경합 처리를 회피하기 위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중지한다. 따라서, 현재 기동 중인 메일 어플리케이션이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전화기(1)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조작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할 때에,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경우에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조작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중지하므로, 어플리케이션의 경합 처리를 회피하여, 유저빌리티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기(1)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한 것인 경우에 있어서,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상태가 특정한 상태(예를 들면,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통신 중이나 메일 작성 중 등의 특정한 상태)일 때만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중지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제3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점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의 회전 다이얼부의 기능에 대한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의 기능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에 구비되어 있는 처리부(70)의 기능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4는, 제3 실시 형태의 기억부(113)에 기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화면의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26은,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27은,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또, 회전 다이얼부(41)는, 물리적인 회전 다이얼의 조작에 따라, 각종의 기능을 발휘하는 메뉴 선택이 가능하다. 회전 다이얼부(41)는,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의 회전 조작에 의해, 무조작 시(뉴트럴(N))를 기준으로 하여, a 방향으로 45°(b 방향으로 315°) 회전됨으로써, 촬상부(17)의 카메라 기능이 기동하고, a 방향으로 90°(b 방향으로 270°) 회전됨으로써, 메일의 기능이 기동한다. 또, 회전 다이얼부(41)는, 무조작 시((N))를 기준으로 하여, a 방향으로 135°(b 방향으로 225°) 회전됨으로써, 캘린더 기능이 기동하고, a 방향으로 180°(b 방향으로 180°) 회전됨으로써, 툴 메뉴(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소리 출력 등에 관한 각종의 설정을 행하는 메뉴)가 기동한다. 또, 회전 다이얼부(41)는, 무조작 시((N))를 기준으로 하여, a 방향으로 225°(b 방향으로 135°) 회전됨으로써, TV 기능이 기동하고, a 방향으로 270°(b 방향으로 90°) 회전됨으로써, 뮤직·플레이어 기능이 기동하며, a 방향으로 315°(b 방향으로 45°) 회전됨으로써, 주소록이 기동한다.
또한, 상술한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각도에 따라 할당되어 있는 메뉴는 일례이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유저 자신이 빈번하게 사용하는 메뉴를 등록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 메뉴는 원하는 Web 주소를 등록해 두고, 당해 Web 주소를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해 선택함으로써, Web 브라우저가 기동하여 당해 Web 주소의 Web 페이지를 열람할 수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메뉴의 수도 상술한 수(7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유저는, 회전 다이얼부(41)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일정 조건 하에서, 회전 다이얼부(41)에 할당되어 있는 각종 기능을 직접적으로 기동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와 같이 메인 메뉴를 경유할 필요가 없으며, 간이하게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다.
또, 도 22는, 휴대 전화기(1)의 기능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휴대 전화기(1)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키군(11)과, 표시부로서 닫힘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21)와, 닫힘 상태에서도 외부에 노출되는 서브 디스플레이(23)를 구비한다. 또한, 유저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다이얼부(41)와, 외부의 단말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60)와,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70)와, 소정 용량을 갖는 충전지(80)와, 충전지(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전압을 통신부(60)나 처리부(70) 등에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90)와, 메모리(112)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60)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에 의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메인 안테나(61)와, 변조 처리 또는 복조 처리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통신 처리부(62)를 구비한다.
메인 안테나(61)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예를 들면, 800MHz)에서 외부 장치(기지국)와 통신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로서, 800MHz로 하였지만, 이 이외의 주파수대여도 된다. 또, 메인 안테나(61)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 외에, 제2 사용 주파수대(예를 들면, 2GHz)에 대응할 수 있는, 이른바 듀얼 밴드 대응형에 의한 구성이어도 되고, 또한, 제3 사용 주파수대 이상에도 대응할 수 있는 복수 밴드 대응형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통신 처리부(62)는, 메인 안테나(61)에 의해 수신한 신호를 복조 처리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처리부(70)에 공급하며, 한편, 처리부(70)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변조 처리하여, 메인 안테나(61)를 통해 외부 장치(기지국)에 송신한다.
전원 회로부(90)는, 충전지(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소정의 전압치로 변압하고, 변압 후의 전원 전압을 통신부(60)나 처리부(70) 등에 공급한다.
메모리(112)는, VRAM(Video RAM) 등의 워킹 메모리를 포함하며, 처리부(70)에서 실행되는 다수의 프로그램 및 파라미터나 각종 테이블 등이 기억된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112)는, 처리부(70)에서 기동, 종료, 중단 등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이들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외에, 조작 제어부(71)에서 검출되는 회전량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대응 관계(도 21을 참조)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는, 기준 어플리케이션, 뮤직·플레이어, 카메라, 메일 등의 휴대 전화기(1)가 갖는 어플리케이션마다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량에 따라 각종 기능에 대한 기동 처리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조작 제어부(71)는, 회전 다이얼부(41)의 각도의 변화량을 회전량으로서 검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에 따른 변화를 검출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처리부(70)는, 저항률의 변화 등을 회전량으로서 검출해도 된다.
도 23은, 조작 키군(11), 회전 다이얼부(41), 처리부(70), 및 메모리(112)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부(70)는, 조작 제어부(조작 검출부, 회전량 검출부)(71)와, 제어부(72)와,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와, 표시 제어부(74)를 구비한다.
메모리(112)는,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키는 정보를 기억한다. 또, 메모리(112)는, 기억부(113)와,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114)를 구비한다.
기억부(113)는,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마다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기억한다. 또, 기억부(113)에 기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될 때에 표시되는 기동 화면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114)는, VRAM 등에 의해 구성되고,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된 표시 화면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또,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114)에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될 때에 표시되는 기동 화면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 제어부(71)는, 유저에 의한 조작 키군(11)의 조작, 및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회전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조작 제어부(71)는, 검출한 조작 키군(11)의 조작, 또는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회전량을 제어부(72)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에 통지한다.
제어부(72)는, 조작 제어부(71)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회전량(제1 회전량)을 검출한 경우, 기억부(113)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부(72)는, 취득한 표시 화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72)는, 취득한 표시 화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키기 위해 표시 화면의 정보를 표시 제어부(74)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에 의하면, 조작 제어부(71)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이 검출된 경우, 기억부(113)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표시 화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유저가 회전 다이얼부(41)를 회전시키기만 할 뿐, 어플리케이션을 동작 또는 기동시키기 위한 조작을 행하지 않는 경우, 실제로 어플리케이션을 동작 또는 기동하는 대신에, 가상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 이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또는 동작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이미 기동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중단하고,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량에 따른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기동 또는 동작시키기 위한 처리가 필요해진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에 의하면, 가상적으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표시하기만 할 뿐,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또는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미 기동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중단이나 재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기동 또는 동작시키기 위한 처리부(70)에 의한 처리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도 24는, 기억부(113)에 기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화면의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동 화면(120)은, 음악 재생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며, 기동 화면(121)은, 촬상부(17)를 동작시키는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다.
그리고, 유저는,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이들 기동 화면에 있어서, 조작 키군(11)의 조작에 의해 기동 화면으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동 화면(120)에 있어서, 「[1] 라이브러리」를 선택하고, 동작시키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가상적으로 표시되는 기동 화면의 정보로부터 실제로 음악 재생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이 기동하였을 때에 표시되는 화면은, 기동 화면(120)이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에 「[1] 라이브러리」를 동작시켰을 때의 화면이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된다.
동일하게, 기동 화면(120)에 있어서, 기동 화면(121)에 있어서, 「[1] 포토(벽지 모드)」를 선택하고, 동작시키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가상적으로 표시되는 기동 화면의 정보로부터 실제로 촬상부(17)를 동작시키는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이 기동하였을 때에 표시되는 화면은, 기동 화면(121)이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에 「[1] 포토(벽지 모드)」를 동작시켰을 때의 화면이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된다.
또, 제어부(72)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개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대신하여,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킴과 더불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114)에 기억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에 의하면,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개시에 따라 가상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대신하여,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킴과 더불어, 가상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114)에 기억시킨다.
이에 의해, 착신 등에 의해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을 개시한 경우에는, 이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가상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표시 화면의 정보를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114)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킴으로써, 기억된 표시 화면의 정보를 재차 표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메모리(112)에 기억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이나 중단, 재개 등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조작 제어부(71)에 의해 검출된 회전량에 따른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조작 제어부(71)에 의해 회전량이 검출된 후에, 조작 제어부(71)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제1 조작, 제3 조작)이 검출된 경우, 어플리케이션 중 표시 화면의 정보를 제외하고, 이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에 의하면, 가상적으로 표시 화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고 있을 때에, 이 표시 화면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이 검출된 경우, 가상적으로 표시되어 있었던 표시 화면의 정보를 제외하고, 이 표시 화면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이 때,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화면은, 가상적으로 표시되어 있었던 표시 화면의 정보가 아니라,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상적으로 표시되어 있었던 표시 화면에 있어서, 조작 키군(11)의 조작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켰을 때의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
이에 의해, 가상적으로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로부터, 실제로 기동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으로 매끄럽게 표시 화면의 정보를 전환할 수 있어, 유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기동 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조작 제어부(71)에 의해 제1 회전량이 검출된 후에, 조작 제어부(71)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에 기억부(113)에 기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는, 이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었을 때에 최초로 표시되는 기동 화면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이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될 때에 표시되었을 때에 최초로 표시되는 기동 화면의 정보로 함으로써, 어느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가 가상적으로 표시되어 있는지를 유저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가, 처리부(70)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종료에 따라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면, 제어부(72)는,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114)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 이 때, 처리부(70)에 의한 소정의 처리는, 착신 처리나 전자 메일의 수신 처리 등이며,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으로서는, 전화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전자 메일에 관한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가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켰을 때에,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114)에 기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이 표시되기 직전에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어 있었던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에 의하면, 처리부(70)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종료에 따라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면,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114)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21)에 재차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착신의 종료 등에 의해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 종료한 경우에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개시 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표시 화면의 정보를 재차 표시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에 의하면,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켰을 때에,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114)에 기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이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이 표시되기 직전에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어 있었던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로 한다. 이에 의해, 재차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가, 어느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인지를 유저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74)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에 의해 기동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킨다. 또, 표시 제어부(74)는, 제어부(72)로부터 송신된 표시 화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킨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5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또, 도 25에 나타낸 시퀀스도에서는, 미리 어플리케이션 A가 기동 중인 것을 전제로 한다.
단계 S401에 있어서, 조작 제어부(71)는,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회전량을 검출한다.
단계 S402에 있어서, 제어부(72)는, 조작 제어부(71)에 의해 검출된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회전량을 접수한다.
단계 S403에 있어서, 제어부(72)는, 단계 S403에서 접수한 회전량이, 어플리케이션 B를 선택하는 회전량인 경우, 메모리(112)에 대해 어플리케이션 B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요구한다.
단계 S404에 있어서, 제어부(72)는, 메모리(112)로부터 어플리케이션 B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405에 있어서, 제어부(72)는, 단계 S404에서 취득한 어플리케이션 B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송신함과 더불어, 미리 기동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A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대신하여, 어플리케이션 B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표시 제어부(74)에 표시하도록 요구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74)에 의해 디스플레이(21)에 어플리케이션 B의 기동 화면의 정보가 표시된다.
단계 S406에 있어서, 조작 제어부(71)는, 단계 S401에서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해 검출한 회전량과는 상이한 회전량을 검출한다.
단계 S407에 있어서, 제어부(72)는, 조작 제어부(71)에 의해 검출된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회전량을 접수한다.
단계 S408에 있어서, 제어부(72)는, 단계 S407에서 접수한 회전량이, 어플리케이션 C를 선택하는 회전량인 경우, 메모리(112)에 대해 어플리케이션 C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요구한다.
단계 S409에 있어서, 제어부(72)는, 메모리(112)로부터 어플리케이션 C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410에 있어서, 제어부(72)는, 단계 S409에서 취득한 어플리케이션 C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표시 제어부(74)에 송신함과 더불어, 단계 S405에서 송신된 어플리케이션 B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대신하여, 어플리케이션 C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요구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74)에 의해 디스플레이(21)에 어플리케이션 C의 기동 화면의 정보가 표시된다.
단계 S411에 있어서, 조작 제어부(71)는, 어플리케이션 C의 기동 화면의 정보가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어 있을 때에, 조작 키군(11)의 어플리케이션 C를 기동시키는 조작을 검출한다.
단계 S4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조작 제어부(71)에 의해 검출된 어플리케이션 C를 기동시키는 조작을 접수한다.
단계 S413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기동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A를 중단시킨다.
단계 S414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어플리케이션 A로부터 중단이 완료된 통지를 접수한다.
단계 S415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단계 S411에서 검출된 어플리케이션 C를 기동시키는 조작에 따라, 메모리(112)에 기억되는 어플리케이션 C에 대해 기동을 요구한다.
단계 S416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어플리케이션 C로부터 기동이 완료된 통지를 접수한다.
단계 S417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표시 제어부(74)에 대해 이미 표시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C의 기동 화면의 정보가 아니라, 단계 S411에서 검출된 조작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C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송신하고, 이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기동 화면을 표시하도록 요구한다.
이와 같이, 가상적으로 표시 화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고 있을 때에, 이 표시 화면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이 검출된 경우, 가상적으로 표시되어 있었던 표시 화면의 정보가 아니라, 이 표시 화면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켜, 가상적으로 표시되어 있었던 표시 화면에 있어서, 조작 키군(11)의 조작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켰을 때의 표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6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26에 나타낸 시퀀스도에서는, 도 25에 나타낸 조작 키군(11)을 대신하여 통신 처리부(62)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421~단계 S425까지의 처리는, 도 25에서 설명한 단계 S401~단계 S405까지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426에 있어서, 통신 처리부(62)는, 착신을 검출하고,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로 착신을 검출한 것을 통지한다.
단계 S427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통신 처리부(62)에 의한 착신의 검출 통지에 따라, 제어부(72)에 대한 인터럽트 처리를 개시한다.
단계 S428에 있어서, 제어부(72)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에 의한 인터럽트 처리에 따라, 단계 S425에서 표시 제어부(74)에 송신한 어플리케이션 B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114)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단계 S429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기동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A를 중단시킨다.
단계 S430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어플리케이션 A로부터 중단이 완료된 통지를 접수한다.
단계 S431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전화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 C에 대해 기동을 요구한다.
단계 S43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어플리케이션 C로부터 기동이 완료된 통지를 접수한다.
단계 S433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어플리케이션 C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 제어부(74)에 송신하고, 이 정보에 의거하여, 기동 화면을 표시하도록 요구한다. 그리고, 전화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 C가 기동하며, 표시 제어부(74)는, 어플리케이션 C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한다.
단계 S434에 있어서, 통신 처리부(62)는, 착신이 종료한 것을 검출하고,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에 착신이 종료한 것을 통지한다.
단계 S435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착신이 종료한 것의 통지에 따라, 인터럽트 처리의 종료를 제어부(72)에 통지한다.
단계 S436에 있어서, 제어부(72)는, 메모리(112)에 대해 단계 S428에서 일시적으로 기억시킨 어플리케이션 B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요구한다.
단계 S437에 있어서, 제어부(72)는, 메모리(112)로부터 어플리케이션 B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438에 있어서, 제어부(72)는, 단계 S437에서 취득한 어플리케이션 B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표시 제어부(74)에 송신함과 더불어, 단계 S433에서 송신된 어플리케이션 C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대신하여, 어플리케이션 B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키기 위한 정보를 표시 제어부(74)에 송신하여, 어플리케이션 B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요구한다.
단계 S439에 있어서, 제어부(72)는, 단계 S434에 있어서의 착신의 종료 통지에 따라 전화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 C의 종료를 요구한다.
단계 S440에 있어서, 제어부(72)는, 어플리케이션 C로부터의 종료가 완료된 통지를 접수한다.
단계 S441에 있어서, 제어부(72)는, 단계 S429 및 단계 S430에서 중단한 어플리케이션 A의 재개를 어플리케이션 A에 요구한다.
단계 S442에 있어서, 제어부(72)는, 어플리케이션 A로부터 재개가 완료된 통지를 접수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에 의하면, 착신의 종료 등에 의해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 종료한 경우에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개시 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표시 화면의 정보를 재차 표시시킬 수 있다.
도 27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도 27의 흐름도에서는, 미리 어플리케이션이 기동한 상태이며, 기동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과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화면의 정보가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어 있다.
단계 S451에 있어서, 조작 제어부(71)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회전량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회전량인 경우(Yes)에는, 단계 S452로 이동한다. 한편,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회전량이 아닌 경우(No)에는, 단계 S454로 이동한다.
단계 S452에 있어서, 제어부(72)는,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해 검출된 회전량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453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74)는, 단계 S452에서 취득된 기동 화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
단계 S454에 있어서, 조작 제어부(71)는, 조작 키군(11)에 의해 기동 화면의 정보가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된 후 일정 시간 내에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Yes)에는, 단계 S455로 이동한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No)에는, 단계 S458로 이동한다.
단계 S455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기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중단시키도록 제어한다.
단계 S456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기동 화면의 정보가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어 있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단계 S457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74)는, 단계 S456에서 기동시킨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킨다. 이 때,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정보는, 기동 화면으로부터 조작 키군(11)에 의한 조작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켰을 때에 표시되는 정보이다.
단계 S458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통신 처리부(62)에 의한 착신이나 전자 메일의 수신 등에서의 인터럽트 처리가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인터럽트 처리가 실행된 경우(Yes)에는, 단계 S459로 이동한다. 한편, 인터럽트 처리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No)에는, 단계 S459로 이동한다.
단계 S459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기동 화면의 정보가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어 있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114)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단계 S460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기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중단시킨다.
단계 S461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인터럽트 처리에 대응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면 인터럽트 처리가 착신 처리인 경우에는, 전화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단계 S462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74)는, 단계 S461에서 기동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463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단계 S458에서 실행된 인터럽트 처리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인터럽트 처리가 종료한 경우(Yes)에는, 단계 S464로 이동한다. 한편, 인터럽트 처리가 종료하지 않은 경우(No)에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464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단계 S459에서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114)를 참조하여, 일시적으로 기억시킨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화면의 정보를 읽어 들여, 표시 제어부(74)에 송신한다.
단계 S465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74)는, 단계 S464에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로부터 송신된 기동 화면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
단계 S466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인터럽트 처리를 실행하고 있었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킨다.
단계 S467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단계 S460에서 중단한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전화기(1)는, 조작 제어부(71)에 의해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회전량을 검출한 경우, 제어부(72)는, 기억부(113)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작 제어부(71)에 의해 조작 키군(11)에 있어서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제1 조작)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72)는, 기억부(113)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에 의해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해도 된다.
이에 의해, 회전 다이얼부(41)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작 키군(11)에 있어서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에 의거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3)는, 조작 제어부(71)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이 검출된 후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제2 조작)이 검출된 경우, 어플리케이션 중 표시 화면의 정보를 제외하고, 이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도록 제어해도 된다.
이에 의해, 회전 다이얼부(41)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작 키군(11)에 있어서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에 의거하여, 가상적으로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로부터 실제로 기동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으로 매끄럽게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정보를 전환할 수 있어, 유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기동 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72)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표시 화면의 정보를 표시시키도록 제어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동에 시간이 걸리는 어플리케이션과, 기동에 시간이 걸리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분류하여 메모리(112)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제어부(72)는, 메모리(112)를 참조하여, 기동에 시간이 걸리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만 기동 화면의 정보를 표시시키고, 기동에 시간이 걸리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실제로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도록 제어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기동 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면서, 처리부(70)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기동 시의 처리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전화기(1)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PHS(등록 상표 : Personal Handy 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터블 내비게이션 장치, 예를 들면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 등이어도 된다.
1 : 휴대 전화기
2 : 조작부측 하우징부
3 : 표시부측 하우징부
4 : 힌지 기구
11 : 조작 키군(입력 조작부)
21 : 디스플레이
41 : 회전 다이얼부(외부 조작부)
70 : 처리부
71 : 조작 제어부
72 : 제어부
73 :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113 : 기억부
114 :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
201 :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202 : 조작부(조작 수단)
203 : 조작 제어부(조작 제어 수단)
204 : 표시 제어부
205 : 회전량 검출부
206 : 어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부
207 : 어플리케이션 실행 판정부

Claims (20)

  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와,
    입력 조작부와 외부 조작부를 갖는 조작 수단과,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한 조작에 수반한 각종 처리를 제어하는 조작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 의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상기 외부 조작부의 복수의 설정 위치에 상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처리 기능을 할당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상기 외부 조작부에 의한 입력이 검출되면, 검출된 위치에 할당되어 있는 처리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표시부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 의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상기 외부 조작부에 할당되어 있는 처리 기능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조작부는, 외면에 상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할당되어 있는 처리 기능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에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에 대한 처리 기능을 상기 외부 조작부의 상기 설정 위치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소정의 통신 상대에 관한 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소정의 통신 상대에 대해 상기 통신부에 의해 행해지는 통신 처리에 관한 처리 기능을 상기 외부 조작부의 상기 설정 위치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문자 입력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문자 입력에 관한 처리 기능을 상기 외부 조작부의 상기 설정 위치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 의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가 취급되고 있는 경우, 당해 데이터의 저장 처리에 관한 처리 기능을 상기 외부 조작부의 상기 설정 위치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 의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취급되고 있는 경우, 당해 데이터의 활용 처리에 관한 처리 기능을 상기 외부 조작부의 상기 설정 위치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 의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화상 데이터가 취급되고 있는 경우, 당해 화상 데이터의 화상 편집 처리에 관한 처리 기능을 상기 외부 조작부의 상기 설정 위치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0. 조작부와,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마다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조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정보에 의해 상기 표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제1 조작이 검출된 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2 조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표시 화면의 정보를 제외하고 당해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될 때에 표시되는 기동 화면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3.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표시부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다이얼부와,
    상기 회전 다이얼부에 있어서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회전량 검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마다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회전량 검출부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1 회전량을 검출한 경우, 상기 기억부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표시 화면의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 기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와,
    상기 회전량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제1 회전량이 검출된 후에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3 조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표시 화면의 정보를 제외하고 당해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3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었을 때에 최초로 표시되는 기동 화면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표시 화면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와,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처리부에 의한 상기 소정의 처리에 따라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개시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대신하여 상기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킴과 더불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를 상기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가, 상기 처리부에 의한 상기 소정의 처리의 종료에 따라 상기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표시 화면의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가 상기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켰을 때에, 상기 표시 화면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는, 상기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이 표시되기 직전에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었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9. 삭제
  20. 삭제
KR1020117006573A 2008-08-28 2009-08-27 휴대 전자 기기 KR101232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20572A JP5226434B2 (ja) 2008-08-28 2008-08-28 携帯電子機器
JPJP-P-2008-220572 2008-08-28
JP2008278590A JP2010109587A (ja) 2008-10-29 2008-10-29 携帯電子機器
JP2008277800A JP5244543B2 (ja) 2008-10-29 2008-10-29 携帯電子機器
JPJP-P-2008-278590 2008-10-29
JPJP-P-2008-277800 2008-10-29
PCT/JP2009/064991 WO2010024348A1 (ja) 2008-08-28 2009-08-27 携帯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254A KR20110051254A (ko) 2011-05-17
KR101232961B1 true KR101232961B1 (ko) 2013-02-13

Family

ID=4172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573A KR101232961B1 (ko) 2008-08-28 2009-08-27 휴대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195754A1 (ko)
KR (1) KR101232961B1 (ko)
WO (1) WO20100243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26458U (zh) * 2010-06-11 2011-01-26 湖南创合制造有限公司 扫描仪
US20150022635A1 (en) * 2013-07-19 2015-01-22 Blackberry Limited Using multiple flashes when obtaining a biometric image
JP6608831B2 (ja) 2013-09-27 2019-11-20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カンパニー 高水分含有配合物を包装するための水分散性膜
EP3033385B1 (en) 2013-09-27 2017-05-31 Rohm and Haas Company Ionic strength triggered disintegration of films and particulates
CN105487598B (zh) * 2014-09-16 2020-03-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和信息处理方法
KR102355935B1 (ko) * 2015-02-27 2022-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입력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1280512B2 (en) 2019-12-04 2022-03-22 Ademco Inc. Digital HVAC controller with carousel screens
US11686493B2 (en) * 2019-12-04 2023-06-27 Ademco Inc. Digital HVAC controller for navigating information based on two or more inpu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548A (ko) * 2005-10-01 2007-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입력방법, 입력상태 전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8467B2 (ja) * 1992-09-08 2002-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機
JP2003122490A (ja) * 2001-10-11 2003-04-2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5249824A (ja) * 2004-03-01 2005-09-15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
JP4654591B2 (ja) * 2004-04-01 2011-03-23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画面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343956A (ja) * 2005-06-08 2006-12-21 Canon Inc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7487467B1 (en) * 2005-06-23 2009-02-03 Sun Microsystems, Inc. Visual representation and other effects for application management on a device with a small screen
JPWO2007055367A1 (ja) * 2005-11-14 2009-04-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548A (ko) * 2005-10-01 2007-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입력방법, 입력상태 전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95754A1 (en) 2011-08-11
KR20110051254A (ko) 2011-05-17
WO2010024348A1 (ja)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961B1 (ko) 휴대 전자 기기
EP3301538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313962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プログラム
US8552996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starting application
US20120174009A1 (en) Method for inputting memo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device thereof
JP2009246553A (ja) 携帯電話機
JP5280747B2 (ja) 携帯端末および端末操作方法
JP5057115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226434B2 (ja) 携帯電子機器
JP5244543B2 (ja) 携帯電子機器
US20110310067A1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rtup of application thereof
WO2010098108A1 (ja) 携帯電子機器
JP2001045117A (ja) 携帯端末のメニュー表示方法及び携帯端末
JP2010109587A (ja) 携帯電子機器
JP6361764B2 (ja) 端末装置、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11266A (ja) 携帯電話機
JP2010232905A (ja) 携帯電子機器
JP5140550B2 (ja) 携帯電子機器
JP4724198B2 (ja) 携帯電子機器
JP5184178B2 (ja) 携帯電子機器
JP4719238B2 (ja) 携帯電子機器
JP4709250B2 (ja) 携帯電子機器
JP2015100122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988395B2 (ja) 携帯端末および端末操作方法
JP2010231451A (ja) 携帯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