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911B1 -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911B1
KR101232911B1 KR1020120091784A KR20120091784A KR101232911B1 KR 101232911 B1 KR101232911 B1 KR 101232911B1 KR 1020120091784 A KR1020120091784 A KR 1020120091784A KR 20120091784 A KR20120091784 A KR 20120091784A KR 101232911 B1 KR101232911 B1 KR 101232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reatment
self
tank
saw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신한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기술(주) filed Critical 신한기술(주)
Priority to KR1020120091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29Energy recovery, e.g. by cogeneration, H2recovery or pressure recovery turb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을 가용 가능한 부산물로 재생 처리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재생장치는, 처리 대상물인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에 톱밥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처리 대상물의 함수율을 조절하는 전처리부, 전처리부를 거치면서 함수율이 조절된 처리 대상 폐기물을 포화증기에 의해 조성되는 고온 고압의 밀폐된 환경에서 일정시간 동안 교반과 함께 자숙(煮熟, 김으로 쪄서 익힘)처리하는 자숙처리부 및 자숙처리가 완료된 처리물로부터 비가연성 협잡물을 선별하고 자연건조 한 후 후숙 및 발효 처리하여 퇴비화하는 후속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SLUDGE RECYC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을 가용 가능한 부산물로 재생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축산분뇨, 하수 오니 등의 각종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을 사료, 퇴비, 부숙토 등의 부산물로 재생시키는 폐기물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 생활폐기물에 대한 처리 문제가 매우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 축산분뇨, 하수오니 등 유/무기성 폐기물의 처리는 토양 오염, 대기 오염, 수질 오염 등 2차적인 환경 오염을 유발할 뿐 아니라, 그 처리 과정이 어려워 소각이나 땅속에 매립 및 해양에 투기에 의존하고 있으며 따라서 그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도덕적인 문제가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순환형 경제사회 구축의 시책이나 국제적인 확대생산과 책임론 확대에 따라 강력하고 폭넓게 오염원 발생을 규제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자치단체나 기업들이 폐기물의 사료화 및 퇴비로의 리사이클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그러나 축산분뇨, 유기성 비화나 토양 개량재화에 의한 제품은 이미 공급과잉 상태이어서 얼마나 양질의 사료나 퇴비 등으로 재생하느냐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재생 처리 대상물 중에서도 음식물 쓰레기, 축산분뇨, 하수오니 등은 수분(함수율 약 75% 이상, WB(Wet Base))과 염분이 많고 쉽게 부패되는 유/무기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재생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들을 재생 처리하기 위해서는 함수율을 낮추기 위한 별도의 탈수처리와 건조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재생기술이 요구되며, 탈수 및 건조과정을 거쳐 가용 가능한 부산물로 재생시키더라도 그 재생까지 긴 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지금까지 알려진 알려진 폐기물 처리장치의 경우, 소각 가능한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하수 오니 등의 오염원에 농업용 비닐, 요구르트 병과 같이 합성수지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를 별도의 인력을 통해 분류하고 처리해야만 했다. 때문에 처리 비용이 많이 들고 별도 처리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최종 부산물에는 염분성분이 전체 부피에서 약 20~30%까지 내재되어 있어 토양의 산성화가 초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각종 폐기물을 퇴비화 함에 있어 콘 포스트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콘 포스트 방식은 발효기간에만 대략 6개월에서 2년 정도의 시간이 요구됨으로써, 많은 양의 처리를 위해서는 큰 공간을 필요로 하고, 후숙 발효과정에서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며, 건조 및 발효에 필요한 온도나 습도 등을 유지시킴에 있어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는 등 유지 및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고온고압의 처리조건에서 자숙 처리함으로써, 처리 과정에서의 악취 발생이 현저히 줄고 사료, 퇴비, 부숙토 등의 양질의 부산물 획득을 도모할 수 있는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폐기물을 양질의 부산물로 재생 처리함에 있어 요구되는 처리시간의 현저한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재생처리 과정에서 폐기물에 포함된 협잡물이 자동 선별 처리되고, 따라서 선별 처리를 위한 별도의 인력이 요구되지 않는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온고압의 처리조건에서 자숙 처리하여 폐기물을 사료, 퇴비, 부숙토 등의 활용 가능한 부산물로 재생시킴에 있어, 자숙처리를 위해 제공되는 열원의 보다 효율적인 재활용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을 가용 가능한 부산물로 재생 처리하는 장치로서, 처리 대상물인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에 톱밥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처리 대상물의 함수율을 조절하는 전처리부; 전처리부를 거치면서 함수율이 조절된 처리 대상 폐기물을 포화증기에 의해 조성되는 고온 고압의 밀폐된 환경에서 일정시간 동안 교반과 함께 자숙(煮熟, 김으로 쪄서 익힘)처리하는 자숙처리부; 및 자숙처리가 완료된 처리물로부터 비가연성 협잡물을 선별하고 자연건조 한 후 후숙 및 발효 처리하여 퇴비화하는 후속처리부;를 포함하는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처리부는, 처리 대상 폐기물이 투입되는 둘 이상의 메인호퍼와, 함수 조절을 위한 톱밥을 저장하는 톱밥저장조와, 상기 메인호퍼와 톱밥저장조 각각에 저장된 처리 대상 폐기물과 톱밥을 제공받아 압축 이송시키면서 일정 비율로 혼합처리 하는 혼합기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숙처리부는, 상기 전처리부를 거치면서 함수율이 조절된 처리 대상 폐기물이 일정량씩 분리 투입되는 복수의 자숙기호퍼와, 각각의 자숙기호퍼를 통해 제공되는 처리 대상 폐기물을 포화증기에 의해 조성되는 고온 고압의 밀폐된 환경에서 일정시간 동안 교반과 함께 자숙(煮熟, 김으로 쪄서 익힘)처리하는 복수의 자숙기와, 자숙처리를 위한 포화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수단으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자숙기는 제1 폐열 순환관을 통해 상호 연결되고, 각각의 자숙기는 운전시점이 상이하며, 제1 폐열 순환관 상에 설치되며 개폐가 자동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밸브체에 의한 유로 단속에 의해 어느 한 자숙기의 운전이 종료되면 다음으로 운전 대기 중인 자숙기 측으로 운전 종료된 자숙기 내의 일부 포화증기가 상기 제1 폐열 순환관을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자숙기는 처리 대상물이 투입되고 배출되는 위, 아래에 각각 투입구와 배출구를 갖고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의 닫힘으로 인해 밀폐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쉘 모양의 처리조를 구비하며,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처리조의 내부공간 중앙을 따라 횡행 설치되는 메인 샤프트 상에 여러 쌍의 교반날개가 장착된 구성을 이루고, 각각의 자숙기는 포화증기 공급관을 매개로 증기발생수단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증기발생수단과 운전 종료된 직전의 다른 자숙기로부터 자숙처리를 위한 포화증기를 일정량씩 제공받아 처리 대상 폐기물을 자숙 처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각각의 자숙기와 연결되는 제2 폐열 순환관을 더 포함하며, 제2 폐열 순환관 상에는 개폐가 자동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밸브체가 장치되고, 복수의 밸브체가 장치되는 상기 제2 폐열 순환관은 자숙처리가 완료된 처리 대상 폐기물을 퇴비화시키기 위한 후속의 발효처리가 행해지는 후속처리부를 경유하도록 구성되어, 운전 종료 후 다음으로 운전 대기 중인 자숙기 측으로 이동되는 일부 포화증기를 제외한 나머지 일부 포화증기는 상기 제2 페열 순환관을 통해 후속의 발효처리를 위한 열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한 자숙기의 운전이 종료된 경우, 제2 폐열 순환관 상의 해당 밸브체에 우선하여 제1 폐열 순환관 상의 해당 밸브체가 개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 종료된 자숙기 내의 포화증기 일부가 먼저 다른 자숙기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폐열 순환관을 통해 후속처리부 측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후속처리부를 경유한 상기 제2 폐열 순환관의 배출 측에 감압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감압조에는 상기 후속처리부를 경유하는 과정에서의 열교환으로 인하여 포화증기로부터 생성되며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응축수가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수 배관을 매개로 상기 감압조 배출 측이 자숙처리 대상물인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이 최초 투입되는 전처리부의 메인호퍼 측과 연결되도록 하고, 응축수 배관 상에서는 감압조 내에 저장된 응축수를 강제 송출시키는 펌프를 장치함으로써, 상기 감압기에 저장된 일정 온도의 응축수는 결빙방지 및 악취 제거를 위한 온수로서 상기 메인호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속처리부는, 자숙처리가 완료된 처리물로부터 비가연성 협잡물을 선별하는 선별저장조와, 선별저장조를 거쳐 협잡물이 선별 처리된 처리물의 함수율을 낮추기 위한 건조 처리가 행해지는 건조기와, 건조기에서 건조 처리된 처리물을 제공받아 일정 온도조건의 열풍환경을 유지하는 밀폐된 공간에서 일정 시간 동안 혼련과 함께 후숙 및 발효 처리하여 퇴비를 양산하는 후속발효조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후속처리부는, 건조기를 통한 처리물 건조 과정에서 양산된 여액(filtrate)이 임시 저장되는 여액탱크와, 여액탱크에 임시 저장된 여액의 BOD 수치를 낮추기 위해 다단에 걸쳐 여액에 대한 침전 여과 처리가 행해지는 복수의 침전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침전조는 여액이 처리되는 순서대로 1차, 2차, 3차 침전조로 구분될 수 있고, 1차 침전조를 통해 침전 처리된 침전물은 상기 건조기로 다시 보내져 다시 한번 건조 및 발효 처리될 수 있도록 장치를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을 가용 가능한 부산물로 재생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ⅰ) 처리 대상물인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에 톱밥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처리 대상물의 함수율을 조절하는 전처리단계;
ⅱ) 전처리부를 거치면서 함수율이 조절된 처리 대상 폐기물을 포화증기에 의해 조성되는 고온 고압의 밀폐된 환경에서 일정시간 동안 교반과 함께 자숙(煮熟, 김으로 쪄서 익힘)처리하는 자숙처리단계; 및
ⅲ) 자숙처리가 완료된 처리물로부터 비가연성 협잡물을 선별하고 자연건조 한 후 후숙 및 발효 처리하여 퇴비화하는 후속처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처리단계에서는 처리 대상 폐기물과 톱밥이 7:3 비율로 혼합되도록 하고, 자숙처리단계에서는 톱밥에 함수율이 조절된 처리 대상물을 포화증기에 의해 조성되는 150℃~250℃ 사이의 고온 및 15~25kgf/㎠ 사이의 고압 환경에서 1~2시간 동안 교반과 함께 자숙처리가 행해지도록 하며, 후속처리단계에서 자숙처리가 완료된 처리물에 대한 후숙 및 발효 처리는 후속발효조 내에 투입된 처리물을 공기와 혼련스크류를 이용해 3~7일 간 혼련하면서 발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온 고압의 조건을 유지하는 밀폐된 환경에서 톱밥과 함께 폐기물을 자숙(煮熟, 김으로 쪄서 익힘 처리)처리함으로써, 처리과정에서 톱밥으로부터 생산되는 목초액에 의해 처리 중 악취 발생이 차단되는 동시에 주위환경의 청결을 도모할 수 있고, 사료, 퇴비, 부숙토 등의 양질의 부산물 획득이 가능하며, 재생 처리함에 있어 요구되는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처리효율의 현저한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재생처리 과정에서 선별 저장조를 통해 폐기물에 포함된 비가연성 협잡물 예컨대, 캔, 플라스틱, 병 등에 대한 자동 선별 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선별 처리를 위한 별도의 인력 요구되지 않으며, 자숙처리를 위한 복수의 자숙기가 제1 폐열 순환관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포화증기가 순환 가능한 구조를 이룸으로써, 자숙처리 완료 후 배출되는 일부 포화증기를 또 다른 자숙처리를 위한 열원으로 계속해서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자숙처리 완료 후 자숙기 밖으로 배출되는 포화증기 중 다른 일부 포화증기는 건조처리를 위한 열원으로 재사용 가능하도록 시스템이 구축됨으로써, 열원의 보다 효율적인 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에너지 재활용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결론적으로는, 폐기물 재생 시스템을 유지 및 관리함에 있어 소요되는 제반 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등 경제적으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개요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폐기물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장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폐기물 재생장치에 적용되는 자숙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폐기물 재생장치에 적용되는 선별저장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폐기물 재생장치에 적용되는 후속발효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폐기물 재생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폐기물 재생과정을 도식화한 흐름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축산분뇨, 하수 오니 등의 각종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을 사료, 퇴비, 부숙토 등의 가용 가능한 부산물로 재생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고온 고압의 조건을 유지하는 밀폐된 환경에서 폐기물을 자숙(煮熟, 김으로 쪄서 익힘 처리)처리하여 사료, 퇴비, 부숙토 등 활용 가능한 부산물로의 재생을 도모하고자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개요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장치 회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는 크게, 처리 대상인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처리 대상물'이라 한다)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부(1), 분쇄, 교반, 균 사멸처리 등 전처리된 처리 대상물에 대한 실질적인 여러 처리가 동시에 행해지는 자숙처리부(2), 그리고 자숙처리가 완료된 처리 대상물을 다시 한번 후속처리하는 후속처리부(3)로 구분될 수 있다.
전처리부(1)에서는 처리 대상물에 톱밥을 일정비율로 혼합함으로써 함수율을 조절하는 처리가 행해지고, 자숙처리부(2)에서는 전처리된 처리 대상물을 포화증기에 의해 조성되는 고온 고압의 밀폐환경에서 일정시간 동안 교반과 함께 자숙(煮熟, 김으로 쪄서 익힘)시키는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후속처리부(3)에서는 자숙 처리된 처리물로부터 비가연성 협잡물을 선별하고 자연건조 후 후숙 및 발효 처리하여 최종 부산물 예컨대, 퇴비를 양산한다.
처리 대상물에 톱밥을 일정비율로 혼합시키는 처리가 행해지는 상기 전처리부(1)는, 처리 대상물이 투입되는 둘 이상의 메인호퍼(10)와, 처리 대상물의 함수율 조절을 위한 톱밥을 저장하고 있는 톱밥저장조(12)와, 메인호퍼(10)와 톱밥저장조(12) 각각에 저장된 처리 대상물과 톱밥을 일정 비율로 혼합시키기 위한 혼합기(14)로 구성된다. 이때 처리 대상물과 톱밥은 7:3 비율로 혼합됨이 바람직하며, 혼합방식은 특정 방식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 가능하다.
자숙처리부(2)는 상기 전처리부(1)를 거치면서 함수율이 조절된 처리 대상물이 일정량씩 분리 투입되는 복수의 자숙기호퍼(20)와, 각각의 자숙기호퍼(20)를 통해 제공되는 처리 대상 폐기물을 포화증기에 의해 조성되는 고온 고압의 밀폐된 환경에서 일정시간(대략 1~2시간) 동안 교반과 함께 자숙 처리하는 복수의 자숙기(22)와, 자숙처리를 위한 포화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수단(24) 예컨대, 스팀보일러를 포함한다.
자숙처리부(2)를 통해 처리 대상물을 포화증기에 의해 조성되는 고온 고압의 밀폐환경에서 일정시간 동안 교반과 함께 자숙(煮熟, 김으로 쪄서 익힘)처리함에 있어 전처리부(1)를 통해 톱밥이 일정 비율로 혼합되면, 고온 고압의 자숙처리 환경에서 톱밥으로부터 목초액이 발생하고, 목초액은 자숙처리과정에서 처리 대상물과 고르게 교반처리되어 처리과정 중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함과 동시에 주위환경 청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자숙기(22)는 제1 폐열 순환관(25)을 통해 포화증기가 순환 가능하게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자숙기(22)는 포화증기 공급관(28)을 매개로 상기 증기발생수단(24) 예컨대, 스팀보일러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자숙기(22)를 통해 자숙처리가 행해짐에 있어 요구되는 포화증기 일부는 다른 자숙기(22)로부터 제공받아 채워지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증기발생수단(24)으로부터 제공받아 채워지게 된다.
포화증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순환 시스템 구축을 위해, 각각의 자숙기(22)의 운전시점을 다르게 하고 상기 제1 폐열 순환관(25) 상에는 제어부에 의해 개폐가 자동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밸브체(V1)를 설치하면, 어느 한 자숙기(22)의 운전이 종료된 경우 상기 밸브체(V1)의 유로 단속에 의해서 다음으로 운전 대기 중인 자숙기(22) 측으로 운전 종료된 자숙기(22) 내의 포화증기 일부가 계속해서 순환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운전이 종료된 자숙기(22)로부터 다음으로 운전 대기 중인 자숙기(22) 측으로의 포화증기 이동은 열평형에 기반하여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밸브체(V1) 개방으로 포화증기가 다른 자숙기(22) 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포화증기 유출 측 자숙기(22)의 교반날개(228)를 회전시키면, 교반날개(228) 회전에 따른 유동관성과 포화증기 이동에 따른 배압의 영향으로 보다 많은 양의 포화증기가 운전대기 중인 자숙기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숙기(22)는 도 3과 같이, 처리 대상물이 투입되고 배출되는 위, 아래에 각각 투입구(220)와 배출구(222)를 갖고 상기 투입구(220)와 배출구(222)의 닫힘으로 인해 밀폐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쉘(shell) 모양의 처리조(224)를 구비하며,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처리조의 내부공간 중앙을 따라 횡행 설치되는 메인 샤프트(226) 상에 여러 쌍의 교반날개(228)가 장착됨으로써, 고온 고압의 자숙환경에서 처리조(224) 내 메인 샤프트(226)에 연결된 교반날개(228)가 회전하면서 처리 대상물을 잘게 분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숙기(22)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2301호를 통해 개시된 자숙기(22)와 동일하며, 따라서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도 3과 같은 자숙기(22)는 고온 고압 환경에서 처리 대상물을 자숙 처리함에 있어 이용되는 자숙기(2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일 측면에 따른 재생장치를 구현함에 있어 반드시 그러한 자숙기(22) 형태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상기 복수의 자숙기(22)는 또한 제2 폐열 순환관(26)을 통해 연결되며, 제2 폐열 순환관(26)은 운전이 종료된 자숙기(22)에서 다른 자숙기(22) 측으로 이동되고 남은 나머지 포화증기의 다른 형태 재사용을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자숙기(22)를 통해 자숙처리가 완료된 처리 대상물을 후속처리(발효처리)함에 있어 나머지 포화증기가 발효를 위한 열원으로서 제공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제2 폐열 순환관(26) 상에는 제1 폐열 순환관(25)과 마찬가지로, 제어부에 의해 개폐가 자동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밸브체(V2)가 장치될 수 있으며, 자숙처리가 완료된 처리 대상물을 후속 처리하는 수단은 이후 설명되는 후속발효조(34)일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포화증기가 위와 같이 발효처리를 위한 열원으로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제2 폐열 순환관(26)이 도면과 같이 후속발효조(34) 내부를 경유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어느 한 자숙기(22)의 운전이 종료된 시점에서, 제2 폐열 순환관(26) 상의 해당 밸브체(V2)에 우선하여 제1 폐열 순환관(25) 상의 해당 밸브체(V1)가 선 개방되도록 장치를 설정하면, 운전 종료된 자숙기(22) 내의 포화증기 중 보다 많은 양을 다른 자숙기(22) 측에 보낼 수 있어 외부 유입 포화증기(증기발생수단에서 제공받는 포화증기)의 양이 그만큼 줄어 들게 되므로, 전체적인 장치의 에너지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발효처리를 위한 열원으로서 제공되고 남은 잉여 에너지의 재사용을 위해, 후속처리부(3)를 경유한 상기 제2 폐열 순환관(26)의 배출 측에는 감압조(16)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감압조(16)의 배출 축은 응축수 배관(18)을 매개로 자숙처리 대상물인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이 최초 투입되는 전술한 메인호퍼(1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감압조(16)와 메인호퍼(10)를 연결하는 상기 응축수 배관(18) 상에서는 펌프(P)가 장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압조(16)에는 상기 후속처리부(3)(후속발효조(34))를 경유하는 과정에서의 열교환으로 인하여 포화증기로부터 생성되고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응축수가 임시 저장되며, 감압조(16)에 임시 저장된 일정 온도의 상기 응축수는 응축수 배관(18) 상의 상기 펌프(P)의 강제 송출에 의해 메인호퍼(10) 측으로 공급됨으로써, 겨울철 메인호퍼(10)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 또는 악취 제거를 위한 용도로서 활용될 수 있다.
물론 감압조(16)를 거치면서 액상으로 상 변환된 열원이 위와 같이 메인호퍼(10) 측에 결빙방지 및 악취 제거를 위한 온수로서 활용되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으나, 도 2와 같이 제2 폐열 순환관(26)을 메인호퍼(10)에 다이렉트로 연결시킴으로써, 후속처리부(후속발효조(34))를 경유하고 빠져 나온 포화증기가 상기 메인호퍼(10) 측으로 반송되어 겨울철 장치의 결빙방지를 위한 열원으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후속처리부(3)는 자숙처리가 완료된 처리물로부터 비가연성 협잡물을 선별하는 선별저장조(30)와, 선별저장조(30)를 거쳐 협잡물이 선별 처리된 처리물의 함수율을 낮추기 위한 건조 처리가 행해지는 건조기(32)와, 건조기(32)에서 건조 처리된 처리물을 제공받아 일정 온도조건의 열풍환경을 유지하는 밀폐된 공간에서 일정 시간 동안 혼련과 함께 후숙 및 발효 처리하여 퇴비를 양산하는 앞서 언급한 후속발효조(34)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후속처리부(3)는 건조기(32)를 통한 처리물 건조 과정에서 양산된 여액(filtrate)이 임시 저장되는 여액탱크(36)와, 여액탱크(36)에 임시 저장된 여액의 BOD 수치를 낮추기 위해 다단에 걸쳐 여액에 대한 침전 여과처리가 행해지는 복수의 침전조(38)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침전조(38)는 여액이 처리되는 순서대로 1차, 2차, 3차 침전조(38-1, 38-2, 38-3)로 구분될 수 있으며, 1차 침전조(38)에서의 침전물은 건조기(32)로 다시 보내져 재처리 될 수 있다.
선별저장조(30)는 처리 대상물로부터 비가연성 협잡물 예컨대, 캔, 플라스틱, 병 등을 선별해낼 수 있는 구성이면 특정한 형태나 구조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도 4의 예시와 같이, 타공판(300)과 교반기(302)로 이루어져, 타공판 위로 처리 대상물을 투하한 후 교반기(302)를 회전시켜 일정 입경으로 분쇄 처리된 처리 대상물은 타공판(300)을 투과하여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고 협잡물은 걸러져 따로 분리 선별되는 구성일 수 있다.
건조기(32)는 열풍에 의해 인위적인 건조가 행해지는 공지된 구성의 건조기(32)의 적용이 가능하지만, 자연광(光)을 이용하는 자연 건조방식이라면 전반적인 장치의 유지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이때 자숙처리가 완료된 처리 대상물의 함수율이 대략 70%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자연건조 과정에서 탈수처리가 동시에 행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조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수처리는 예컨대, 무수히 많은 구멍을 형성한 타공판 상에 자숙처리 후 선별처리가 완료된 처리 대상물이 놓이도록 하고, 유압장치 등을 이용해 타공판 일측에서 타측으로 처리 대상물을 강제 이송시킴으로써, 이 과정에서 처리 대상물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강제 탈수되고 여액은 타공판을 투과하여 한데 모이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탈수처리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후속발효조의 측면 개략도인 도 5와 같이, 후속발효조(34)는입구와 출구를 갖고 건조처리가 완료된 일정양의 처리 대상물을 밀폐된 환경에서 수용할 수 있는 발효조 내부를 전술한 제2 폐열 순환관(26)이 경유하도록 된 구성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2 폐열 순환관의 배치 및 형상, 그리고 발효조 형상 및 구조는 도면을 통해 예시된 형태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후속발효조를 통한 발효처리에 있어, 후속발효조(34)에 수용된 처리 대상물을 혼련장치를 통해 지속적으로 혼련하는 동시에 블로워로서 외부공기를 강제로 주입시켜 주면 목적하는 발효까지의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으며, 발효 촉진을 위한 첨가제로서 셀룰로오스계 섬유소를 포함하는 첨가물 예컨대, 톱밥이 정량 혼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전처리부(1)의 톱밥저장조(12)에 수용된 톱밥이 첨가제로서 제공될 수 있도록 관로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V3는 증기발생수단(24)에서 발생된 포화증기를 각각의 자숙기(22)로 도입시키기 위한 관로 상에 설치되는 밸브체이며, AP은 협잡물이나 첨가제가 밀폐된 관로를 따라 공압에 의해 강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공압펌프를 가리킨다.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방법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를 통해 행해지는 폐기물 재생과정을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재생방법과 연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앞서 첨부된 도 2 및 처리과정을 도식화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처리 대상물인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예컨대, 축산분뇨, 하수 오니, 음식물 쓰레기는 적절한 이송수단을 통해 메인호퍼(10)로 투입되고 임시 저장되며, 함수율 조절을 위한 톱밥 역시 적절한 반송수단을 통해 톱밥저장조(12)로 투입되고 임시 저장된다. 각각의 호퍼에 임시 저장된 처리 대상물과 톱밥은 컨베이어 등의 반송수단에 의해 정량씩(7:3 비율) 혼합기(14)로 반송되고 이를 통해 혼합 처리됨으로써 처리 대상물의 함수율이 조절된다(전처리단계 S100).
전처리단계(S100)를 거치면서 함수율이 조절된 처리 대상물은 계속해서, 각각의 자숙기호퍼(20)로 고르게 분배되고 자숙기(22)로 투입되어 포화증기에 의해 조성되는 고온 고압의 밀폐된 환경에서 일정시간 동안 교반과 함께 자숙(煮熟, 김으로 쪄서 익힘)처리된다(자숙처리단계 S200). 이때 포화증기에 의해 조성되는 온도와 압력은 각각 150℃~250℃, 15~25kgf/㎠ 일 수 있으며, 처리시간은 약 1~2시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숙처리단계를 통해 처리 대상물이 포화증기에 의해 조성되는 고온 고압의 밀폐환경에서 일정시간 동안 교반과 함께 자숙(煮熟, 김으로 쪄서 익힘)처리됨에 있어, 전처리과정을 통해 일정 비율로 혼합된 톱밥으로 인하여 탈취 기능을 갖는 목초액이 생산됨으로써, 처리 대상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주위환경의 청결을 도모할 수 있다.
자숙처리가 완료된 처리 대상물은 후속처리를 위한 선별저장조(30)로 반송되며, 선별저장조(30)를 통과하면서 캔, 플라스틱, 유리 등의 비가연성 협잡물이 걸러진다. 협잡물이 걸러진 처리 대상물은 계속해서, 상기 자숙과정에서 다시 증가된 함수율을 낮추기 위한 자연건조 처리 후 후속발효조(34)로 반송되어 일정시간 동안 후숙 및 발효 처리됨으로써 최종적으로 퇴비와 같은 부산물로 재생된다(후속처리단계 S300).
바람직하게는, 자숙처리가 완료된 처리물에 대한 후숙 및 발효 처리는 후속발효조(34) 내에 투입된 처리물을 외부공기와 혼련스크류를 이용해 3~7일 간 혼련(混鍊)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고르게 발효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며, 부산물의 용도에 따라서는 인(P)이나 칼륨(K)과 같은 미네랄 보충용 첨가제나 토양과의 친화성 및 점착성 부여를 위한 결착제 예컨대, 점토 등이 일정 비율로 혼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 고압의 조건을 유지하는 밀폐된 환경에서 톱밥과 함께 폐기물을 자숙(煮熟, 김으로 쪄서 익힘 처리)처리함으로써, 처리과정에서 톱밥으로부터 생산되는 목초액에 의해 처리 중 악취 발생이 차단되는 동시에 주위환경의 청결을 도모할 수 있고, 사료, 퇴비, 부숙토 등의 양질의 부산물 획득이 가능하며, 재생 처리함에 있어 요구되는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처리효율의 현저한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재생처리 과정에서 선별 저장조를 통해 폐기물에 포함된 비가연성 협잡물 예컨대, 캔, 플라스틱, 병 등에 대한 자동 선별 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선별 처리를 위한 별도의 인력 요구되지 않으며, 자숙처리를 위한 복수의 자숙기가 제1 폐열 순환관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포화증기가 순환 가능한 구조를 이룸으로써, 자숙처리 완료 후 배출되는 일부 포화증기를 또 다른 자숙처리를 위한 열원으로 계속해서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자숙처리 완료 후 자숙기 밖으로 배출되는 포화증기 중 다른 일부 포화증기는 건조처리를 위한 열원으로 재사용 가능하도록 시스템이 구축됨으로써, 열원의 보다 효율적인 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에너지 재활용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결론적으로는, 폐기물 재생 시스템을 유지 및 관리함에 있어 소요되는 제반 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등 경제적으로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전처리부 2 : 자숙처리부
3 : 후속처리부
10 : 메인호퍼 12 : 톱밥저장조
14 : 혼합기 16 : 감압조
18 : 응축수 배관 20 : 자숙기호퍼
22 : 자숙기 24 : 증기발생수단(스팀보일러)
25 : 제1 폐열 순환관 26 : 제2 폐열 순환관
28 : 포화증기 공급관 30 : 선별저장조
32 : 건조기 34 : 후속발효조
36 : 여액탱크 38 : 침전조

Claims (14)

  1.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을 가용 가능한 부산물로 재생 처리하는 장치로서,
    메인호퍼, 톱밥저장조, 상기 메인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처리 대상 폐기물과 톱밥저장조에서 제공되는 톱밥을 일정비율로 혼합처리 하는 혼합기로 구성된 전처리부;
    톱밥 혼합으로 함수율이 조절된 처리 대상 폐기물이 일정량씩 분리 투입되는 복수의 자숙기호퍼, 각각의 자숙기호퍼를 통해 제공되는 처리 대상 폐기물을 자숙(煮熟, 김으로 쪄서 익힘)처리하는 복수의 자숙기, 자숙처리를 위한 포화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수단으로 구성된 자숙처리부; 및
    자숙처리가 완료된 처리물로부터 비가연성 협잡물을 선별하고 자연건조 한 후 후숙 및 발효 처리하여 퇴비화하는 후속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자숙기는 운전시점이 다르면서 제1 폐열 순환관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제1 폐열 순환관에 설치되는 복수의 밸브체에 의한 유로 단속에 의해 어느 한 자숙기의 운전이 종료되면 다음으로 운전 대기 중인 자숙기 측으로 운전 종료된 자숙기 내의 일부 포화증기가 상기 제1 폐열 순환관을 통해 이동되고,
    상기 후속처리부를 경유하며 개폐가 자동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밸브체를 구비하는 제2 폐열 순환관이 각각의 자숙기와 연결되며,
    어느 한 자숙기의 운전이 종료된 때 제2 폐열 순환관 상의 해당 밸브체에 우선하여 제1 폐열 순환관 상의 해당 밸브체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자숙기는 처리 대상물이 투입되고 배출되는 위, 아래에 각각 투입구와 배출구를 갖고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의 닫힘으로 인해 밀폐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쉘 모양의 처리조를 구비하며,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처리조의 내부공간 중앙을 따라 횡행 설치되는 메인 샤프트 상에 여러 쌍의 교반날개가 장착된 구성을 이루고,
    각각의 자숙기는 포화증기 공급관을 매개로 증기발생수단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증기발생수단과 운전 종료된 직전의 다른 자숙기로부터 자숙처리를 위한 포화증기를 일정량씩 제공받아 처리 대상 폐기물을 자숙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후속처리부를 경유한 상기 제2 폐열 순환관의 배출 측에 감압조가 연결되며,
    감압조에는 상기 후속처리부를 경유하는 과정에서의 열교환으로 인하여 포화증기로부터 생성되며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응축수 배관을 매개로 상기 감압조 배출 측이 자숙처리 대상물인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이 최초 투입되는 전처리부의 메인호퍼 측과 연결되고,
    응축수 배관 상에서는 감압조 내에 저장된 응축수를 강제 송출시키는 펌프가 장치되어,
    상기 감압기에 저장된 일정 온도의 응축수는 결빙방지 및 악취 제거를 위한 온수로서 상기 메인호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처리부는,
    자숙처리가 완료된 처리물로부터 비가연성 협잡물을 선별하는 선별저장조와,
    선별저장조를 거쳐 협잡물이 선별 처리된 처리물의 함수율을 낮추기 위한 건조 처리가 행해지는 건조기와,
    건조기에서 건조 처리된 처리물을 제공받아 일정 온도조건의 열풍환경을 유지하는 밀폐된 공간에서 일정 시간 동안 혼련과 함께 후숙 및 발효 처리하여 퇴비를 양산하는 후속발효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처리부는,
    건조기를 통한 처리물 건조 과정에서 양산된 여액(filtrate)이 임시 저장되는 여액탱크와,
    여액탱크에 임시 저장된 여액의 BOD 수치를 낮추기 위해 다단에 걸쳐 여액에 대한 침전 여과 처리가 행해지는 복수의 침전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침전조는 여액이 처리되는 순서대로 1차, 2차, 3차 침전조로 구분되며,
    1차 침전조를 통해 침전 처리된 침전물은 상기 건조기로 다시 보내져 다시 한번 건조 및 발효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120091784A 2012-08-22 2012-08-22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 KR101232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784A KR101232911B1 (ko) 2012-08-22 2012-08-22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784A KR101232911B1 (ko) 2012-08-22 2012-08-22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911B1 true KR101232911B1 (ko) 2013-02-13

Family

ID=4789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784A KR101232911B1 (ko) 2012-08-22 2012-08-22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9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475B1 (ko) * 2020-06-23 2020-12-08 황제연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078A (ja) * 2001-08-16 2003-02-26 Kosaku Mabuchi 有機性廃棄物を用いた完熟肥料の製造方法
KR20050093920A (ko) * 2004-03-19 2005-09-23 신한기술(주) 유/무기성 및 가연성 폐기물의 재활용 장치에서의 자숙기구조 및 그를 이용한 자숙 방법
KR100772008B1 (ko) * 2006-01-04 2007-10-31 김현수 증기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078A (ja) * 2001-08-16 2003-02-26 Kosaku Mabuchi 有機性廃棄物を用いた完熟肥料の製造方法
KR20050093920A (ko) * 2004-03-19 2005-09-23 신한기술(주) 유/무기성 및 가연성 폐기물의 재활용 장치에서의 자숙기구조 및 그를 이용한 자숙 방법
KR100772008B1 (ko) * 2006-01-04 2007-10-31 김현수 증기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475B1 (ko) * 2020-06-23 2020-12-08 황제연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569B1 (ko) 슬러지 고화처리장치
KR101112429B1 (ko) 슬러지 처리 시설 및 방법
KR100852873B1 (ko) 유기물을 함유한 폐기물 및 배설물을 자원화 하는 방법과장치
KR102614257B1 (ko) 폐기물을 활용한 환경에너지 선순환 시스템
KR102063120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속성 건조 발효한 퇴비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2235558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연료화와 부숙화 하이브리드 자원화시스템
KR101272187B1 (ko) 음식물쓰레기 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퇴비의 생산방법
KR102375043B1 (ko) 음식물류 폐기물을 이용한 퇴비 및 사료 생산 시스템
KR200463146Y1 (ko)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처리장치
KR100572301B1 (ko) 유/무기성 및 가연성 폐기물의 재활용 장치에서의 자숙기구조 및 그를 이용한 자숙 방법
KR101229735B1 (ko) 축산분뇨의 비료화 처리장치
CN110723993A (zh) 一种湿垃圾制取有机肥系统
KR101232911B1 (ko) 유/무기성 가연 폐기물 재생장치
CN207862211U (zh) 全自动垃圾发酵仓
JP2011083654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並びにその装置を使った有機廃棄物を成分とする肥料及び固形燃料の製造方法
KR100845131B1 (ko) 회분식 건조와 입형 탄화방식에 의한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장치
KR101634977B1 (ko) 축분 연료화 시스템
KR100676867B1 (ko) 탈수 케익 처리 장치
KR100758173B1 (ko)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공정
CN211255757U (zh) 移动式发酵设备
CN212334987U (zh) 制造防板结生态营养土的生物处理系统
KR10072278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50065B1 (ko) 하수 슬러지의 하이브리드형 퇴비화방법
JP3660191B2 (ja) 発酵乾燥方法
KR101067450B1 (ko) 음식물 처리기의 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