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400B1 -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 - Google Patents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400B1
KR101232400B1 KR1020120080919A KR20120080919A KR101232400B1 KR 101232400 B1 KR101232400 B1 KR 101232400B1 KR 1020120080919 A KR1020120080919 A KR 1020120080919A KR 20120080919 A KR20120080919 A KR 20120080919A KR 101232400 B1 KR101232400 B1 KR 101232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sanding
compressed air
storage tank
sand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희
Original Assignee
김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희 filed Critical 김도희
Priority to KR1020120080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46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gaseous carrier
    • B24C7/0053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gaseous carrier with control of feed parameters, e.g. feed rate of abrasive material or carrier
    • B24C7/0061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gaseous carrier with control of feed parameters, e.g. feed rate of abrasive material or carrier of fee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가공물의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여 피가공물에 코팅되는 코팅재의 점착력이 증대되도록 하기 위한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가공물을 바스켓에 넣어 회전시키면서 피가공물의 표면에 샌딩물질을 고압으로 분사시켜 표면처리 하는 한편, 바스켓의 회전에 따라 피가공물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샌딩물질에 의해 전면적에 걸쳐 표면처리가 되도록 하기 위한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SANDIND APPARATUS USING BASKET}
본 발명은 피가공물의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여 피가공물에 코팅되는 코팅재의 점착력이 증대되도록 하기 위한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가공물을 바스켓에 넣어 회전시키면서 피가공물의 표면에 샌딩물질을 고압으로 분사시켜 표면처리 하는 한편, 바스켓의 회전에 따라 피가공물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샌딩물질에 의해 전면적에 걸쳐 표면처리가 되도록 하기 위한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샌딩장치는 피가공물의 표면처리를 위해 이용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108443호에 따르면 다이아몬드를 이용한 습식 샌딩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샌딩장치는 고정된 피가공물의 표면에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다이아몬드가루가 분사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샌딩장치는 피가공물의 유동이 없이 정지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인해 피가공물의 표면처리 상태가 전면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는 표면처리가 되지 않는 부분을 수시로 확인하여 피가공물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108443호(2005. 11. 1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가공물을 바스켓에 넣어 회전시키면서 피가공물의 표면에 샌딩물질을 고압으로 분사시켜 표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바스켓의 회전에 따라 피가공물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샌딩물질에 의해 전면적에 걸쳐 표면처리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의 다른 압축공기 공급장치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샌딩물질을 압축공기와 함께 피가공물에 분사하여 그 피가공물의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기 위한 샌딩장치로서, 샌딩물질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내측으로 피가공물이 다수 수용되는 바스켓; 내측으로 바스켓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싱부; 및 저장탱크로부터 샌딩물질을 공급받고, 압축공기 공급장치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바스켓의 내측으로 샌딩물질 및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는, 하부가 개구되는 저장통; 저장통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하부가 개구되어 저장통과 연통되는 호퍼; 및 호퍼의 하부를 밀폐하는 캡을 포함하되, 캡에는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샌딩물질이 분사부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은, 양단부가 캡의 양측을 관통하며, 일단부에는 공기조절밸브가 마련되고, 중앙부에는 샌딩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분사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로 이루어지되, 분사노즐은,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유입부와; 샌딩물질이 유입되는 샌딩물질유입부; 및 압축공기와 샌딩물질이 동시에 분사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부는, 하부가 개구되며, 일측에는 개폐도어가 구비되는 케이싱; 및 케이싱의 하부에 연결되어 케이싱과 연통되며 하부에는 순환배출구가 형성되는 호퍼를 포함하되, 바스켓은 개폐도어에 회전 및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스켓을 개폐도어에 탈착 및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되, 고정수단은, 양단부가 개구되며, 일단부는 개폐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개폐도어와의 사이로 예각을 이루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바; 회전축이 구비되며, 개폐도어의 외측에 위치되고, 지지바의 일단부로 그 회전축이 인입되며, 바스켓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일단부는 지지바의 타단부로 인입되어 회전축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지지바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봉; 및 지지봉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바스켓이 거치되는 거치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은 표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일측은 거치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피가공물이 유입되는 피가공물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프레임은, 바스켓의 일측이 안치되는 플레이트; 및 일단부는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바스켓의 일측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그 표면을 따라 벤딩 또는 절곡되고,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거치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사부에서 분사되어 낙하되는 샌딩물질을 저장탱크로 재유입하여 반복 순환되도록 하기 위한 순환수단을 더 포함하되, 순환수단은, 일단부가 순환배출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순환관; 일단부는 저장탱크의 내측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저장탱크를 관통하여 그 저장탱크의 외측에 위치되는 연결관; 모터가 구비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흡입팬; 및 일단부는 연결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흡입구에 연결되는 흡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고,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샌딩물질의 공급량 및 압축공기의 공기압을 조절며,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샌딩물질과 압축공기의 분사 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되는 바스켓에 의해 피가공물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고압으로 분사되는 샌딩물질에 의해 표면처리가 전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샌딩물질은 분사부에서 분사된 후, 흡입팬의 구동에 따라 순환관을 통해 저장탱크로 재유입되어 반복 순환되므로 인해 샌딩물질의 소비를 최소로 줄일 수 것은 물론, 흡입팬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필터부에 의해 정화되어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바스켓의 회전속도 등이 조절되므로 인해 피가공물의 특성에 따라 표면처리 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발명에 따른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에서 공급관과 분사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발명에 따른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에서 분사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발명에 따른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에서 바스켓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는 발명에 따른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에서 바스켓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다.
도 9는 발명에 따른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에서 바스켓이 거치프레임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발명에 따른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에서 제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발명에 따른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에서 피가공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공급관과 분사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분사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스켓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스켓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 바스켓이 거치프레임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서 피가공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1)는 외부의 다른 별개의 압축공기 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샌딩물질(110)을 압축공기와 함께 피가공물(100)에 분사하여 그 피가공물(100)의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기 위한 샌딩장치로서, 상기 샌딩물질(110)이 저장되는 저장탱크(10), 내측으로 상기 피가공물(100)이 다수 수용되는 바스켓(30), 내측으로 상기 바스켓(30)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싱부(20), 상기 저장탱크(10)로부터 상기 샌딩물질(110)을 공급받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장치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바스켓(30)의 내측으로 상기 샌딩물질(110) 및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1)는 피가공물(100)의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여 피가공물에 코팅되는 코팅재의 점착력이 증대되도록 하며, 상기 피가공물(1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 스프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샌딩물질(110)은 다수의 작은 알갱이로 이루어지되, 일반적인 형태의 모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탱크(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내부가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저장탱크(10)는 하부가 개구되는 저장통(11), 상기 저장통(11)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저장통(11)과 연통되는 호퍼(12) 및 상기 호퍼(12)의 하부를 밀폐하는 캡(13)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통(11)은 내부가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호퍼(12)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캡(13)은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저장통(11) 및 상기 호퍼(12)와 연통된다.
상기 저장통(11)과, 상기 호퍼(12)는 별도 제작된 후,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캡(13)은 상기 호퍼(12)와 볼트결합 등에 의해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13)에는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되는 상기 샌딩물질(110)이 상기 분사부(40)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관(14)이 설치된다.
상기 공급관(14)은 양단부가 상기 캡(13)의 양측을 관통하며, 일단부에는 공기조절밸브(15)가 마련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샌딩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구(16)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상기 분사부(40)와 연결되어 상기 샌딩물질(110)을 상기 분사부(40)로 공급한다.
상기 공기조절밸브(15)에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장치와 연결되어 그 압축공기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절밸브(15)는 상기 공급관(14)의 일단부로 유입되는 공기압을 조절하여 상기 공급관(14)의 타단부로 배출되는 상기 샌딩물질(110)의 양이나, 속도 등을 조절한다.
상기 분사부(40)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41)로 이루어지며,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유입부(42)와, 샌딩물질이 유입되는 샌딩물질유입부(43) 및 압축공기와 샌딩물질이 동시에 분사되는 노즐(44)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41)이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분사노즐(41)에 각각 구비되는 압축공기유입부(42)는 압축공기 공급장치에 연결되고, 샌딩물질유입부(43)는 단수의 상기 공급관(14)의 타단부에 동시에 연결되거나, 복수의 상기 공급관(14)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유입부(42)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부의 다른 별개의 압축공기 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상기 샌딩물질유입부(43)는 상기 공급관(14)의 타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샌딩물질유입부(43)는 상기 압축공기유입부(42)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압축공기 공급장치는 일반적인 형태의 컴프레서(Compressor)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41)은 상기 압축공기유입부(42)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노즐(41)을 통해 분사되는 동시에 상기 샌딩물질유입부(43)를 통해 상기 공급관(14)으로부터 상기 샌딩물질(110)이 유입되어 분사된다.
상기 케이싱부(20)는 횡단면이 사각 형태를 이루며 하부가 개구되고 일측면에는 개폐도어(22)가 구비되는 케이싱(21) 및 상기 케이싱(21)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21)과 연통되며 하부에는 순환배출구(24)가 형성되는 호퍼(23)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21)에는 일측면을 제외한 다른 면에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26)이 형성되는 보조개폐도어(2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도어(22) 및 보조개폐도어(25)에는 각각 상기 개폐도어(22) 및 상기 보조개폐도어(25)를 잠금하는 잠금수단(27)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부(20)는 상기 케이싱(21)에 설치되되, 상기 개폐도어(22) 및 상기 보조개폐도어(25)의 하부에 각각 위치되는 포집함(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집함(28)은 샌딩작업시 닫힌 상태의 상기 개폐도어(22) 및 상기 보조개폐도어(25)를 통해 유출될 수 있는 상기 샌딩물질(110)을 포집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바스켓(30)은 상기 개폐도어(22)에 탈착 및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보조개폐도어(25)는 상기 개폐도어(22)를 열지 않고 상기 바스켓(30)의 내측에 수용되는 다수의 상기 피가공물(100) 등을 점검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30)을 상기 개폐도어(22)에 탈착 및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50)은 양단부가 개구되며, 일단부는 상기 개폐도어(22)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개폐도어(22)와의 사이로 예각을 이루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바(51), 회전축(53)이 구비되며 상기 개폐도어(22)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바(51)의 일단부로 그 회전축(53)이 인입되는 구동모터(52), 일단부는 상기 지지바(51)의 타단부로 인입되어 상기 회전축(53)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바(51)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봉(54), 상기 지지봉(54)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스켓(30)이 거치되는 거치프레임(55)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54)과 상기 지지바(51) 사이에는 베어링(5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도어(22)에는 상기 지지바(51)가 고정되는 고정프레임(5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57)은 상기 개폐도어(22)를 천공하여 구멍(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한 후, 일측을 그 구멍을 이루는 내측 둘레에 볼트결합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며, 타측은 '<'와 같은 형태로 돌출된다.
상기 지지바(51)는 경사를 이루는 상기 고정프레임(57)의 타측 상부에 고정되므로 인해 상기 개폐도어(22)가 위치되는 반대편으로 경사를 이룬다.
상기 지지바(51)는 상기 개폐도어(22)와의 사이로 예각을 이루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그 각은 30도 내지 60도를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바스켓(3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다수의 구멍(31)이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거치프레임(5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피가공물(100)이 유입되는 피가공물유입구(32)가 형성된다.
상기 바스켓(30)의 일측과 타측 사이는 대략 'ㄷ' 자 형태를 이루는 3개의 면이 상기 바스켓(3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바스켓(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바라볼 때 8각 형태의 다면체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30)은 외측에 손잡이(33)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샌딩작업자는 상기 손잡이(33)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거치프레임(55)으로부터 상기 바스켓(30)을 분리하거나, 상기 거치프레임(55)에 상기 바스켓(30)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1)는 상기 바스켓(30)이 30도 내지 60도로 경사를 이루며 회전되므로 인해 상기 분사부(40)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샌딩물질(110)이 상기 바스켓(30)의 내측으로 자연스럽게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1)는 상기 바스켓(30)이 수직으로 회전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바스켓(30)의 내측에 상기 피가공물(100)이 더 많이 수용되고, 상기 피가공물유입구(32)를 통해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다수의 구멍(31)은 상기 바스켓(30)의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피가공물(100)로 분사되는 상기 샌딩물질(110)이 상기 바스켓(3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치프레임(5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30)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바스켓(30)과의 접촉이 최소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프레임(55)은 상기 바스켓(30)의 일측면이 안치되는 플레이트(55a) 및 일단부는 상기 플레이트(55a)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스켓(3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그 표면을 따라 벤딩 또는 절곡되어 상기 바스켓(30)을 감싸는 복수의 거치살(55b)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40)에서 분사되어 낙하되는 상기 샌딩물질(110)을 상기 저장탱크(10)로 재유입하여 반복 순환되도록 하기 위한 순환수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수단(60)은 일단부가 상기 순환배출구(24)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저장탱크(10)에 연결되는 순환관(61), 일단부는 상기 저장탱크(10)의 내측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저장탱크(10)의 상면을 관통하는 연결관(62), 모터(64)가 구비되고 흡입구(65)와 토출구(66)가 형성되는 흡입팬(63) 및 일단부는 상기 연결관(62)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흡입구(65)에 연결되는 흡입관(67)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순환수단(60)은 상기 흡입관(67)의 타단부와 상기 흡입구(65) 사이에 구비되는 필터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70)는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공기배출구(72) 및 공기유입구(73)가 형성되는 커버(71), 상기 커버(71)의 내측에 위치되는 필터(74) 및 상기 커버(71)의 하부에 위치되는 포집탱크(75)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배출구(72)는 상기 흡입구(65)와 별도의 연결관 등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공기유입구(73)는 상기 흡입관(67)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포집탱크(75)로는 상기 필터(74)로부터 낙하되는 샌딩물질이나, 이물질 등이 포집된다.
상기 흡입팬(63)은 상기 모터(64)의 구동에 따라 상기 흡입구(65)로 상기 필터부(70)를 통과하며 정화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66)로 배출한다.
상기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1)는 상기 구동모터(52) 및 상기 모터(64)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나 상기 저장탱크(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8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구동모터(52) 및 상기 모터(6)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8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52) 및 모터(64)로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전원스위치(81), 상기 구동모터(52) 및 모터(64)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구동스위치(82,83), 상기 구동모터(5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스위치(8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공기조절밸브(15) 및 압축공기 공급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분사부(40)에서 분사되는 샌딩물질의 공급량 및 압축공기의 공기압을 조절할 있으며, 상기 분사부(40)에서 분사되는 샌딩물질과 압축공기의 분사시간을 제어하는 압축공기타이머(85) 및 샌딩물질타이머(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압축공기타이머(85)의 적정시간 조절에 따라 압축공기 공급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분사부(40)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적정 배출 시간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샌딩물질타이머(86)의 적정시간 조절에 따라 상기 공기조절밸브(15)를 제어하여 상기 분사부(40)에서 배출되는 샌딩물의 적정 배출 시간을 조절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피가공물(100)을 이루는 자동차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 스프링은 차종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상기 피가공물(100)의 샌딩 작업시 상기 분사부(40)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압과 샌딩물질의 공급량, 상기 바스켓(30)의 회전속도, 작업시간 등을 가변적으로 조절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1)는 샌딩작업시 상기 개폐도어(22)를 열어 상기 바스켓(30)에 다수의 상기 피가공물(100)을 넣은 후, 상기 개폐도어(22)을 잠금한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분사부(40)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압과 샌딩물질의 공급량 및 배출시간을 조절하며, 상기 구동모터(52)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분사부(40)에서 압축공기와 샌딩물질이 상기 바스켓(30) 내에 수용된 상기 다수의 피가공물(100)에 분사된다.
상기 바스켓(30)은 상기 구동모터(52)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다수의 피가공물(100)은 상기 바스켓(30)의 회전에 따라 유동되면서 상기 분사부(40)에서 분사되는 샌딩물질이 전면적에 걸쳐 접촉되도록 하는 한편, 표면이 거칠게 처리되도록 한다.
상기 바스켓(30)의 내부로 분사되는 샌딩물질은 상기 바스켓(30)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낙하되면서 상기 순환배출구(24)로 배출된다.
상기 순환배출구(42)로 배출되는 샌딩물질은 상기 흡입팬(63)의 흡입에 따라 상기 순환관(61)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0)로 재유입되어 반복 순환되는 한편, 가벼운 샌딩물질이나 미세먼지 등은 상기 흡입관(67)을 통해 상기 필터부(70)로 유입된다.
상기 필터부(70)로 유입된 샌딩물질이나, 미세먼지 등은 상기 필터(74)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공기는 상기 토출구(6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필터(74)에서 낙하되는 샌딩물질이나, 미세먼지 등은 상기 포집탱크(75)에 포집된다.
그리고, 샌딩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개폐도어(22)를 열어 상기 거치프레임(55)으로부터 상기 바스켓(30)을 분리한 후, 그 바스켓(30)의 내측에 수용된 샌딩작업이 완료된 상기 다수의 피가공물(100)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샌딩작업이 완료된 피가공물(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이 거칠게 처리된 상태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1)는 회전되는 상기 바스켓(30)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100)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상기 분사부(40)를 통해 고압으로 분사되는 샌딩물질에 의해 표면처리가 전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되는 샌딩물질은 상기 분사부(40)를 통해 분사된 후, 상기 흡입팬(63)의 구동에 따라 상기 순환관(61)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0)로 재유입되어 반복 순환되므로 인해 샌딩물질의 소비를 최소로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흡입팬(63)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부(70)에 의해 정화되어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바스켓(30)의 회전속도 등이 조절되므로 인해 상기 피가공물(100)의 특성 등에 따라 표면처리 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샌딩장치 10 : 저장탱크
11 : 저장통 12 : 호퍼
13 : 캡 14 : 공급관
15 : 공기조절밸브 16 : 유입구
20 : 케이싱부 21 : 케이싱
22 : 개폐도어 23 : 호퍼
24 : 순환배출구 25 : 보조개폐도어
28 : 포집함 30 : 바스켓
31 : 구멍 32 : 피가공물유입구
33 : 손잡이 40 : 분사부
41 : 분사노즐 42 : 압축공기유입부
43 : 샌딩물질유입부 44 : 노즐
50 : 고정수단 51 : 지지바
52 : 구동모터 53 : 회전축
54 : 지지봉 55 : 거치프레임
60 : 순환수단 61 : 순환관
62 : 연결관 63 : 흡입팬
64 : 모터 67 : 흡입관
70 : 필터부 71 : 커버
74 : 필터 75 : 포집탱크
80 : 제어부

Claims (10)

  1. 외부의 다른 별개의 압축공기 공급장치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샌딩물질을 압축공기와 함께 피가공물에 분사하여 그 피가공물의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기 위한 샌딩장치로서,
    상기 샌딩물질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내측으로 상기 피가공물이 다수 수용되는 바스켓;
    내측으로 상기 바스켓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싱부; 및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샌딩물질을 공급받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장치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바스켓의 내측으로 상기 샌딩물질 및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탱크는,
    하부가 개구되는 저장통;
    상기 저장통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저장통과 연통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하부를 밀폐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캡에는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상기 샌딩물질이 상기 분사부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관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관은,
    양단부가 상기 캡의 양측을 관통하며, 일단부에는 공기조절밸브가 마련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샌딩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공기조절밸브는,
    상기 공급관의 일단부로 유입되는 공기압을 조절하여 상기 공급관의 타단부로 배출되는 상기 샌딩물질의 양을 조절하며,
    상기 케이싱부는,
    하부가 개구되며, 일측에는 개폐도어가 구비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과 연통되며 하부에는 순환배출구가 형성되는 호퍼를 포함하되,
    상기 바스켓은 상기 개폐도어에 회전 및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유입부와;
    상기 샌딩물질이 유입되는 샌딩물질유입부; 및
    상기 압축공기와 상기 샌딩물질이 동시에 분사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을 상기 개폐도어에 탈착 및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양단부가 개구되며, 일단부는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개폐도어와의 사이로 예각을 이루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바;
    회전축이 구비되며, 상기 개폐도어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바의 일단부로 그 회전축이 인입되며, 상기 바스켓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일단부는 상기 지지바의 타단부로 인입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바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스켓이 거치되는 거치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표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거치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피가공물이 유입되는 피가공물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바스켓의 일측이 안치되는 플레이트; 및
    일단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스켓의 일측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그 표면을 따라 벤딩 또는 절곡되며, 상기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거치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에서 분사되어 낙하되는 상기 샌딩물질을 상기 저장탱크로 재유입하여 반복 순환되도록 하기 위한 순환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순환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순환배출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순환관;
    일단부는 상기 저장탱크의 내측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저장탱크를 관통하여 그 저장탱크의 외측에 위치되는 연결관;
    모터가 구비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흡입팬; 및
    일단부는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흡입구에 연결되는 흡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고,
    상기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샌딩물질의 공급량 및 압축공기의 공기압을 조절며,
    상기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샌딩물질과 압축공기의 분사 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
KR1020120080919A 2012-07-25 2012-07-25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 KR101232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919A KR101232400B1 (ko) 2012-07-25 2012-07-25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919A KR101232400B1 (ko) 2012-07-25 2012-07-25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400B1 true KR101232400B1 (ko) 2013-02-12

Family

ID=4789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919A KR101232400B1 (ko) 2012-07-25 2012-07-25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4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145B1 (ko) * 2014-01-14 2015-06-19 신종훈 작업성이 개선된 샌딩머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6564A (ja) * 1990-11-08 1992-06-24 Nippon Sangyo Kikai Hanbai Kk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JPH05277946A (ja) * 1992-04-01 1993-10-26 Showa Tansan Kk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JP2008189841A (ja) 2007-02-06 2008-08-21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スポンジブラスト媒体の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6564A (ja) * 1990-11-08 1992-06-24 Nippon Sangyo Kikai Hanbai Kk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JPH05277946A (ja) * 1992-04-01 1993-10-26 Showa Tansan Kk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JP2008189841A (ja) 2007-02-06 2008-08-21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スポンジブラスト媒体の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145B1 (ko) * 2014-01-14 2015-06-19 신종훈 작업성이 개선된 샌딩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39855B (zh) 涂漆机组和用于运行涂漆机组的方法
CN106835545B (zh) 用于汽车内饰面料的加工设备
CN204668283U (zh) 晶片处理装置
CA2548298A1 (en) Coating apparatus
KR101232400B1 (ko) 바스켓을 이용한 샌딩장치
KR102018782B1 (ko) 비산 방지가 가능한 도장장치
CN106061580A (zh) 空气净化器
CN105772255A (zh) 旋转式自动喷漆机
CN210356514U (zh) 一种室内装饰施工灰尘隔离装置
CN105686948A (zh) 一种旋转式喷涂糖体装置
CN100357511C (zh) 织物喷湿装置
CN207357437U (zh) 一种喷涂机器人
CN113174897B (zh) 一种吹吸清扫机及其清理机构
KR20230132952A (ko) 차량 내부 살균 및 청소 장치
KR101997357B1 (ko) 산업시설내 이산화탄소 처리 시스템
CN207907635U (zh) 工件吹扫装置
CN207167541U (zh) 一种用于果树种植的气力喷雾机
KR200473298Y1 (ko) 소재 세척장치
CN218590880U (zh) 一种汽车前后保险杠喷涂支架加工平台
KR101786000B1 (ko) 나노입자 코팅장치
CN215313352U (zh) 一种金属表面均匀喷塑设备
JP7173838B2 (ja) 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CN114034178B (zh) 一种熔喷布生产用烘干装置
CN211989283U (zh) 一种计算机外壳生产用喷漆装置
KR100400819B1 (ko)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