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404B1 -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404B1
KR101231404B1 KR1020117014526A KR20117014526A KR101231404B1 KR 101231404 B1 KR101231404 B1 KR 101231404B1 KR 1020117014526 A KR1020117014526 A KR 1020117014526A KR 20117014526 A KR20117014526 A KR 20117014526A KR 101231404 B1 KR101231404 B1 KR 101231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se member
side housing
displa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7903A (ko
Inventor
다이스케 도가시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97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수신 감도의 조정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부재(30)를 가지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와,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그라운드부(31), 급전부(32), 및 그 급전부(32)에 접속된 신호 처리부(36)를 가지는 회로부(33)와,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배치되고, 그라운드부(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도전부(34)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배치되고, 급전부(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도전부(35)를 가진다. 제1 도전부(34)는 제1 케이스 부재(30)에 형성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가지는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에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사용 형태에 따라 힌지부를 개재하여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로 이행 가능하게 구성되는 폴더형의 것이 있다. 이러한 폴더형의 휴대 단말에서는, 안테나를 통해 외부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의 안테나는, 통신을 행할 때에, 유저에 의해 사용되었을 때에, 그 사용 상태에 따라서는 인체의 영향으로 인해 이득이 떨어지거나, 높은 통신 품질을 담보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제1 하우징에 배치된 제1 도전부와 제2 하우징에 배치된 제2 도전부 중 어느 한쪽을 급전하고, 어느 다른쪽을 그라운드(접지 상태)로 함으로써, 사용 상태에 좌우되지 않고 높은 통신 품질을 담보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의하면, 제1 도전부와 제2 도전부 중 어느 한쪽을 안테나로서 이용함으로써, 로드 타입의 안테나에 비해 면적이 넓기 때문에, 유저의 손에 의해 일부가 덮였다고 해도 안테나의 이득의 저감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국 특허공개2002-335180호 공보
그런데, 특허 문헌 1에서는,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에 배치된 제1 도전부 또는 제2 도전부를 안테나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의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의 하나는, 제1 도전부 또는 제2 도전부를 안테나에 이용하면서,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의 구조의 복잡화를 저감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단말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부재를 가지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그라운드부, 급전부, 및 그 급전부에 접속된 신호 처리부를 가지는 회로부와,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그라운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도전부와, 상기 제2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도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휴대 단말에서는, 상기 제1 케이스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 단말에서는, 상기 제1 케이스 부재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 단말에서는, 상기 제1 케이스 부재는, 화장 케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단말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1 하우징과, 외관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 부재를 가지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그라운드부, 급전부, 및 그 급전부에 접속된 신호 처리부를 가지는 회로부와,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그라운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도전부와,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도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휴대 단말에서는, 상기 제2 케이스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하우징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 단말에서는, 상기 제2 케이스 부재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 단말에서는, 상기 제2 케이스 부재는, 화장 케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단말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조작부가 설치된 조작면을 가지는 제1 하우징과, 표시부가 설치된 표시면을 가지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그라운드부, 급전부, 및 그 급전부에 접속된 신호 처리부를 가지는 회로부와, 상기 제1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그라운드부와 상기 급전부 중 어느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도전부와, 상기 제2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면과 반대의 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그라운드부와 상기 급전부 중 다른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도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휴대 단말에서는,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표시면과 반대의 면측에 배치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도전부는,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의 구조의 복잡화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부측 하우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부측 하우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 장치의 제1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 장치의 제2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케이스 부재가 조작부측 하우징부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케이스 부재의 변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 장치의 제3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케이스 부재가 표시부측 하우징부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케이스 부재의 변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 장치의 제4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 장치의 제5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 장치의 제6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 장치의 제7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단말의 일례인 휴대전화 장치(1)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에서는, 휴대전화 장치(1)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휴대전화 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터블 네비게이션 장치, 노트북 등이어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 장치(1)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를 구비한다. 조작부측 하우징부(2)(제1 하우징)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제2 하우징)는, 힌지 기구를 구비하는 연결부(4)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상단부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하단부는, 연결부(4)를 개재하여 연결된다. 이로 인해, 휴대전화 장치(1)는, 힌지 기구를 개재하여 연결된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를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휴대전화 장치(1)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과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열린 상태(열림 상태)와,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접힌 상태(닫힘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닫힘 상태란, 양 하우징이 서로 포개지도록 배치된 상태이며, 열림 상태란, 양 하우징이 서로 포개지지 않도록 배치된 상태를 말한다.
조작부측 하우징부(2)는, 외면이 프런트 케이스(2a)와 리어 케이스(2b)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부측 하우징부(2)는, 프런트 케이스(2a)측의 외면인 조작면(16)에, 조작부(11)와, 휴대전화 장치(1)의 사용자가 통화시에 낸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로서의 음성 입력부(12)가 각각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조작부(11)는, 각종 설정이나 전화번호부 기능이나 메일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능 설정 조작 키(13)와, 전화번호의 숫자나 메일 등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조작 키(14)와, 각종 조작에 있어서의 결정이나 상하 좌우 방향의 스크롤 등을 행하는 조작 부재로서의 결정 조작 키(15)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부(11)를 구성하는 각 키 각각에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개폐 상태나 각종 모드, 혹은 기동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종류에 따라서 소정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키·어사인). 그리고, 사용자가 각 키를 누름으로써, 각 키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에 따른 동작이 실행된다.
음성 입력부(12)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연결부(4)측과 반대의 단부측에 배치된다. 즉, 음성 입력부(12)는, 휴대전화 장치(1)가 열림 상태에 있어서 한쪽의 단부측에 배치된다.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면에는, 외부 기기(예를 들면,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도시 생략)가 배치된다.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다른쪽의 측면에는, 소정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사이드 키와, 외부 메모리의 삽입 및 취출이 행해지는 인터페이스(도시 생략)가 배치된다. 인터페이스는, 캡에 의해 덮여 있다. 각 인터페이스는, 미사용시에는 캡에 의해 덮인다.
이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리어 케이스(2b)의 외면에는, 제1 케이스 부재(30)가 배치된다(도 2 참조).
표시부측 하우징부(3)는, 외면이 프런트 패널(3a)과, 프런트 케이스(3b)와, 리어 케이스(3c)와, 리어 패널(3d)에 의해 구성된다(도 3 참조). 표시부측 하우징부(3)는, 프런트 패널(3a)측의 외면인 표시면(17)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로서의 디스플레이(21)와, 통화의 상대측의 음성을 출력하는 리시버로서의 음성 출력부(22)와, 피사체를 촬상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 등에 의해 구성되는 촬상부(23)와, 음악 등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24)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디스플레이(21)는, 액정 패널과, 이 액정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이 액정 패널의 배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등의 광원부로 구성된다.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있어서 표시면(17)과 반대측의 외면을 구성하는 리어 패널(3d)의 외면(18)에는, 제2 케이스 부재(43)가 배치된다(도 3 참조).
도 2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측 하우징부(2)는, 프런트 케이스(2a)와, 키 구조부(40)와, 키 기판(50)과, 쉴드 케이스(60)와, 회로 기판(70)과, 배터리 리드(2c)를 구비한 리어 케이스(2b)와, 제1 케이스 부재(30)와, 배터리(81)를 구비한다.
프런트 케이스(2a)와 리어 케이스(2b)는, 서로의 오목 형상의 내측면이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서로의 외주 가장자리가 서로 포개지도록 하여 결합된다. 또, 리어 케이스(2b)의 외면에는, 제1 케이스 부재(30)가 연결되어 있다. 이 제1 케이스 부재(30)는, 리어 케이스(2b)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도 6 참조). 또, 프런트 케이스(2a)와 리어 케이스(2b)의 사이에는, 키 구조부(40)와, FPC부(90)를 가지는 키 기판(50)과, 쉴드 케이스(60)와, 회로 기판(70)이 끼워지도록 하여 내장된다.
프런트 케이스(2a)에는, 휴대전화 장치(1)를 접은 상태에서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디스플레이(21)와 대향하는 내측면에, 키 구멍(13a, 14a, 15a)이 형성된다. 키 구멍(13a, 14a, 15a) 각각으로부터는, 기능 설정 조작 키(13)를 구성하는 기능 설정 조작 키 부재(13b)의 누름면, 입력 조작 키(14)를 구성하는 입력 조작 키 부재(14b)의 누름면, 및 결정 조작 키(15)를 구성하는 결정 조작 키 부재(15b)의 누름면이 노출된다. 이 노출된 기능 설정 조작 키 부재(13b), 입력 조작 키 부재(14b) 및 결정 조작 키 부재(15b)의 누름면을 눌러 내리도록 누름으로써, 대응하는 키 스위치(51, 52, 53) 각각에 설치되는 후술의 메탈 돔(그릇 형상)의 정점이 눌리고, 스위치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키 구조부(40)는, 조작 부재(40A)와, 보강 부재로서의 키 프레임(40B)과, 시트 부재로서의 키 시트(40C)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 부재(40A)는, 복수의 키 조작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능 설정 조작 키 부재(13b)와, 입력 조작 키 부재(14b)와, 결정 조작 키 부재(15b)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 부재(40A)를 구성하는 각 조작 키 부재 각각은, 후술하는 키 프레임(40B)을 사이에 끼고 키 시트(40C)에 접착된다. 키 시트(40C)에 접착된 각 조작 키 부재 각각에 있어서의 누름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키 구멍(13a, 14a, 15a) 각각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배치된다.
키 프레임(40B)은, 구멍부(14c)가 복수 형성된 금속성의 판 형상 부재이다. 키 프레임(40B)은, 입력 조작 키 부재(14b)의 누름에 의한 회로 기판(70) 등으로의 악영향을 막기 위한 보강 부재이다. 또, 키 프레임(40B)은 도전성의 부재이며, 입력 조작 키 부재(14b)에 있어서의 정전기를 없애기 위한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키 프레임(40B)에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부(14c)에는, 후술하는 키 시트(40C)에 형성되는 볼록부(14d)가 끼워 맞춰지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이 볼록부(14d)에 입력 조작 키 부재(14b)가 접착된다.
키 시트(40C)는, 가요성을 가지는 실리콘 고무제의 시트 형상 부재이다. 키 시트(40C)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볼록부(14d)가 형성된다. 복수의 볼록부(14d)는, 키 시트(40C)에 있어서의 키 프레임(40B)이 배치되는 측의 면에 형성된다. 이 복수의 볼록부(14d) 각각은, 후술하는 키 스위치(5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키 기판(50)은, 키 시트(40C)측의 면인 제1 면(50a)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스위치(51, 52, 53)를 가진다. 복수의 키 스위치(51, 52, 53) 각각은, 각 조작 부재(4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키 기판(50)에 배치되는 키 스위치(51, 52, 53)는, 그릇 형상으로 만곡하여 입체적으로 형성된 금속판의 메탈 돔을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메탈 돔은, 그 그릇 형상의 정점이 눌리면, 키 기판(50)의 표면에 인쇄된 전기 회로(도시 생략)에 형성되는 스위치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구성된다. 또, 키 기판(50)에 있어서의 제2 면(50b)측에는, 복수의 전극 배선이 형성된다. 이 키 기판(50)은, 기판으로서의 FPC부(90)를 통해 회로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쉴드 케이스(60)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이며, 회로 기판(70)측의 면이 개방된 박형의 상자 형상이다. 이 쉴드 케이스(60)는, 평판부(61)와, 이 평판부(61)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돌출하는 리브부(62)를 구비한다. 쉴드 케이스(60)는, 리브부(62)가 회로 기판(70)에 형성된 기준 전위 패턴층(75)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쉴드 케이스(60)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도전성을 가진다.
회로 기판(70)은, 한쪽의 면(70a)에 형성된 기준 전위 패턴층(75)(제1 도전부)을 가진다. 또, 이 회로 기판(70)에는, 휴대전화 장치용의 RF 모듈 등의 각종 전자 부품(도시 생략)이나 고주파 신호의 처리를 행하는 RF 회로부(33)(회로부)가 실장되어 있다.
도 3은,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측 하우징부(3)는, 프런트 패널(3a)과, 프런트 케이스(3b)와, 디스플레이(21)와, 디스플레이(21)가 접속된 회로 기판(80)과, 리어 케이스(3c)와, 리어 패널(3d)을 구비한다. 또, 리어 패널(3d)의 외면(18)에는, 제2 케이스 부재(43)가 연결되어 있다. 이 제2 케이스 부재(43)는, 리어 패널(3d)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도 9 참조). 또,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있어서는, 프런트 패널(3a)과, 프런트 케이스(3b)와, 디스플레이(21)와, 회로 기판(80)과, 리어 케이스(3c)와, 리어 패널(3d)과, 제2 케이스 부재(43)가 적층적으로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런트 케이스(3b)와 리어 케이스(3c)는, 서로의 오목 형상의 내측면이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서로의 외주 가장자리가 서로 포개지도록 하여 결합된다. 또, 프런트 케이스(3b)와 리어 케이스(3c)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21)와, 회로 기판(80)이 끼워지도록 하여 내장된다. 또, 회로 기판(80)에는, 기준 전위 패턴층(제2 도전부)이 형성되어 있다.
또, 휴대전화 장치(1)에서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사이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는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s:이하 FPC라고 한다)에 의해,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80)과,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7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은, 이른바 폴더형의 휴대전화 장치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전화 장치의 형태로서는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를 포갠 상태로부터 한쪽의 하우징을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한 슬라이드식이나, 조작부측 하우징부(2)과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포갬 방향에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한쪽의 하우징을 회전시키도록 한 회전식(턴 타입)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전화 장치(1)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관련되는 구성 및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관련되는 구성 중 어느 한쪽을 안테나의 방사 소자로 하고, 다른쪽을 안테나의 그라운드부로 하여, 하우징 전체에 의해 1개의 안테나(다이폴 안테나)를 구성하고 있고, 수신 감도의 조정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해당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모식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관련되는 구성 및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관련되는 구성에 의해 구성되는 안테나는, 예를 들면,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에 이용되는 메인 안테나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제1 실시예>
휴대전화 장치(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와, 회로부(33)와, 제1 도전부(34)와, 제2 도전부(35)를 가진다. 조작부측 하우징부(2)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부재(30)를 가진다. 또한, 제2 도전부(35)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 패턴, 쉴드 케이스, 표시부측 하우징부(3)를 형성하는 도전 부재 등에 의해 구성된다.
회로부(33)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과 표시부측 하우징부(3)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그라운드부(31)와 급전부(32)와, 신호 처리부(36)를 가진다. 신호 처리부(36)는, 안테나 특성에 영향이 없도록, 그라운드부(31)와 동전위로 구성해 둔다. 제1 도전부(34)는, 제1 케이스 부재(30)에 형성되어 있고, 그라운드부(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도전부(35)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배치되고, 급전부(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급전부(32)에 공급된 신호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신호 처리부(36)에 공급되어 소정의 처리가 실행된다. 또, 제1 케이스 부재(30)는, 전체가 제1 도전부(34)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일부가 제1 도전부(34)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표시부측 하우징부(3)는 제2 도전부(35)를 통해 급전부(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안테나의 방사 소자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또, 제1 케이스 부재(30)는, 제1 도전부(34)를 통해 그라운드부(31)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안테나의 그라운드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휴대전화 장치(1)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부재(30)를 안테나의 그라운드부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 다이폴 안테나를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고, 단순화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 장치(1)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부재(30)를 안테나의 그라운드부로서 이용하므로,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내부에 안테나의 그라운드부가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안테나 특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에서는, 회로부(33)에 그라운드부(31)가 설치되고, 제1 도전부(34)는 그라운드부(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라운드부(31)와 제1 도전부(34)가 동전위이면 되고, 제1 도전부(34)는, 직접적으로 그라운드부(31)에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제1 케이스 부재(30)를 안테나의 방사 소자로 하고, 조작부측 하우징부(2) 또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를 안테나의 그라운드부로서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도전부(34)는, 제1 케이스 부재(30)에 형성되고, 또한 급전부(32)를 통해 신호 처리부(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 제2 도전부(35)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배치되고, 또한 그라운드부(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휴대전화 장치(1)에서는, 제1 케이스 부재(30)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연결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케이스 부재(3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리어 케이스(2b)(조작부(11)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면)의 충전지를 수납하는 배터리 리드(2c)의 상면이며, 한쪽 단측이 조작부측 하우징부(2)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제1 케이스 부재(3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케이스 부재(30)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전화 장치(1)는, 제1 케이스 부재(30)를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외부에 부착된 로드 안테나와 같이, 안테나 특성의 조정이 가능해지고, 제1 케이스 부재(30)의 한층 더한 유효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 장치(1)는, 제1 케이스 부재(30)가 조작부측 하우징부(2)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책상 등의 위에 안정적으로 올려 놓을 수 있다.
또, 휴대전화 장치(1)에서는, 제1 케이스 부재(30)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휴대전화 장치(1)는, 제1 케이스 부재(30)가 금속으로 형성됨으로써,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강도의 향상도 아울러 도모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 장치(1)에서는, 제1 케이스 부재(30)는, 화장 케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케이스 부재(30)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장이 다른 케이스 부재(30a)나, 케이스 부재(30b)나, 케이스 부재(30c) 등이 있다. 따라서, 유저는, 기호나 사용의 용도에 따라서 제1 케이스 부재(30)를 적절히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전화 장치(1)는, 디자인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화장 케이스가 제1 도전부(34)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제1 케이스 부재(30)의 유효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 장치(1)에서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는, 힌지 기구(4)를 개재하여 세선 동축 케이블이나 플렉서블 케이블 등에 의해 전기적인 도통이 도모되고 있다. 따라서, 회로부(33)가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세선 동축 케이블이나 플렉서블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대해서 전기적 접속이 도모된다.
<제2 실시예>
다음에,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케이스 부재(30)가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케이스 부재(30)와 그 용도, 기능 및 형태에 있어서 공통되는 제2 케이스 부재(43)가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휴대전화 장치(1)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와, 회로부(33)와, 제1 도전부(34)와, 제2 도전부(35)를 가진다. 또한, 제1 도전부(34)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 패턴, 쉴드 케이스, 조작부측 하우징부(2)를 형성하는 도전 부재 등에 의해 구성된다.
표시부측 하우징부(3)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 부재(43)를 가진다. 회로부(33)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그라운드부(31)와 급전부(32)와, 신호 처리부(36)를 가진다. 신호 처리부(36)는, 안테나 특성에 영향이 없도록, 그라운드부(31)와 동전위로 구성해 둔다. 제1 도전부(34)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배치되고, 그라운드부(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도전부(35)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배치되고, 급전부(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2 케이스 부재(43)에 형성된다. 또, 급전부(32)에 공급된 신호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신호 처리부(36)에 공급되어 소정의 처리가 실행된다. 또, 제2 케이스 부재(43)는, 전체가 제2 도전부(35)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일부가 제2 도전부(35)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 케이스 부재(43)는, 제2 도전부(35)를 통해 급전부(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안테나의 방사 소자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또, 조작부측 하우징부(2)는, 제1 도전부(34)를 통해 그라운드부(31)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안테나의 그라운드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휴대전화 장치(1)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 부재(43)를 안테나의 방사 소자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 다이폴 안테나를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고, 단순화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 장치(1)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 부재(43)를 안테나의 방사 소자로서 이용하므로,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내부에 안테나의 방사 소자가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안테나 특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에서는, 회로부(33)에 그라운드부(31)가 설치되고, 제1 도전부(34)는 그라운드부(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라운드부(31)와 제1 도전부(34)가 동전위이면 되고, 제1 도전부(34)는, 직접적으로 그라운드부(31)에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휴대전화 장치(1)에서는, 제2 케이스 부재(43)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연결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2 케이스 부재(43)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리어 패널(3d)(디스플레이(21)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면)의 상면이며, 한쪽 단측이 표시부측 하우징부(3)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표시부측 하우징부(3)와 제2 케이스 부재(43)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케이스 부재(43)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전화 장치(1)는, 제2 케이스 부재(43)를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외부에 부착된 로드 안테나와 같이, 안테나 특성의 조정이 가능해지고, 제2 케이스 부재(43)의 한층 더한 유효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 장치(1)는, 제2 케이스 부재(43)가 표시부측 하우징부(3)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책상 등의 위에 안정적으로 올려 놓을 수 있다.
또, 휴대전화 장치(1)에서는, 제2 케이스 부재(43)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휴대전화 장치(1)는, 제2 케이스 부재(43)가 금속으로 형성됨으로써,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강도의 향상도 아울러 도모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 장치(1)에서는, 제2 케이스 부재(43)는, 화장 케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케이스 부재(43)는,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장이 다른 케이스 부재(43a)나, 케이스 부재(43b)나, 케이스 부재(43c) 등이 있다. 따라서, 유저는, 기호나 사용의 용도에 따라서 제2 케이스 부재(43)를 적절히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전화 장치(1)는, 디자인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화장 케이스가 제1 도전부(34)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제2 케이스 부재(43)의 유효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본적인 구성은,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도전부(34)(회로 기판(70))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있어서의 조작면(16)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도전부(35)는, 제2 케이스 부재(43)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도전부(35)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있어서의 표시면(17)과 반대의 면측(리어 케이스(3c)의 외면(18)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휴대전화 장치(1)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이 유저에 의해 파지되지만, 이 때,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리어 케이스(2b)측은, 유저의 손에 의해 덮인다. 또, 휴대전화 장치(1)에 의해 음성 통화를 행하는 경우에는, 유저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표시면(17)측에 귀를 대므로,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표시면(17)측이 유저의 머리에 의해 덮인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도전부(34)를, 유저의 손(몸)에 덮이기 어려운 조작면(16)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제2 도전부(35)를, 유저의 머리(몸)에 덮이기 어려운 표시면(17)과 반대의 면인 리어 케이스(3c)의 외면(18)측에 배치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전화 장치(1)는, 제1 도전부(34) 및 제2 도전부(35)를, 휴대전화 장치(1)의 사용시에 유저의 몸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의 몸의 존재에 기인하는 안테나 감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제2 케이스 부재(43)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휴대전화 장치(1)의 경우에는, 제2 도전부(35)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내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80)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회로 기판(80)은,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내부에 있어서의 리어 케이스의 외면(18)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도전부(34)를 급전부(32)에 접속하고, 제2 도전부(35)를 그라운드부(31)에 접속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도전부(34)를 그라운드부(31)에 접속하고, 제2 도전부(35)를 급전부(32)에 접속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2 도전부(35)가 안테나의 방사 소자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고, 제1 도전부(34)가 안테나의 그라운드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제4 실시예>
다음에, 제4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본적인 구성은,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이다. 제2 도전부(35)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내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80)과, 제2 케이스 부재(43)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휴대전화 장치(1)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케이스 부재(43)와 급전부(32)가 접속된 접속 상태, 또는 회로 기판(80)과 급전부(32)가 접속된 접속 상태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된 선택부로서의 전환 스위치(64)와, 이 전환 스위치(64)에 의한 접속 상태의 선택을 제어하는 제어부(63)를 구비한다.
또,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내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70)은, 그라운드부(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안테나의 그라운드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또, 제2 케이스 부재(43)와 회로 기판(80)은, 모두 전환 스위치(64)를 통해 급전부(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안테나의 방사 소자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여기서, 제어부(63)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부(63)는, 제2 케이스 부재(43)를 안테나의 방사 소자로 하기 위해서 전환 스위치(64)를 제어하여, 제2 케이스 부재(43)에 관련되는 제2 도전부(35)를 신호 처리부(36)에 접속하고, 공진 감도 A를 검출한다. 또, 제어부(63)는, 회로 기판(80)을 안테나의 방사 소자로 하기 위해서 전환 스위치(64)를 제어하여, 회로 기판(80)에 관련되는 제2 도전부(35)를 신호 처리부(36)에 접속하고, 공진 감도 B를 검출한다. 제어부(63)는, 공진 감도 A와 공진 감도 B를 대비하여, 공진 감도 A가 공진 감도 B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제2 케이스 부재(43)가 안테나의 방사 소자가 되도록 전환 스위치(64)를 제어하고, 공진 감도 A가 공진 감도 B보다 낮은 경우에는, 회로 기판(80)이 안테나의 방사 소자가 되도록 전환 스위치(64)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3)는, 공진 감도 A와 공진 감도 B의 대비를 소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로 행해지는 간헐 수신을 행하는 간격)으로 실행한다.
따라서, 휴대전화 장치(1)는, 소정의 주기로 행해지는 간헐 수신시에 제어부(63)의 제어가 행해지므로,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제어부(63)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서만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없고,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 장치(1)는, 소정의 주기로 제어가 행해지기 때문에, 안테나 특성의 저하를 계속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제어부(63)는, 공진 감도가 아닌, 접촉 상태, 온도 변화 혹은 광도 변화에 기초하여 전환 스위치(64)를 전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전화 장치(1)는, 접촉 상태, 온도 변화 혹은 광도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 상태를 검출>
검출부는, 유저에 의한 접촉을 검출하기 위해서, 표시부측 하우징부(3) 및 제2 케이스 부재(43)의 전체에 터치 센서의 검출 소자를 배치하고, 해당 검출 소자에 의해 유저의 접촉을 검출한다. 제어부(63)는, 검출부에 의해 제2 케이스 부재(43)가 접촉되어 있다고 검출된 경우에는, 회로 기판(80)이 안테나의 방사 소자가 되도록 전환 스위치(64)를 제어한다. 또, 제어부(63)는, 검출부에 의해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접촉되어 있다고 검출된 경우에는, 제2 케이스 부재(43)가 안테나의 방사 소자가 되도록 전환 스위치(64)를 제어한다.
<온도 변화를 검출>
또, 검출부는, 유저에 의한 접촉을 검출하기 위해서, 표시부측 하우징부(3) 및 제2 케이스 부재(43)의 소정의 부분(유저가 접촉할 것 같은 부분)에 온도 센서의 검출 소자를 배치하고, 해당 검출 소자에 의해 온도 변화를 검출한다. 제어부(63)는, 검출부에 의해 제2 케이스 부재(43)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의 온도(예를 들면, 30℃~40℃)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회로 기판(80)이 안테나의 방사 소자가 되도록 전환 스위치(64)를 제어한다. 또, 제어부(63)는, 검출부에 의해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의 온도(예를 들면, 30℃~40℃)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제2 케이스 부재(43)가 안테나의 방사 소자가 되도록 전환 스위치(64)를 제어한다.
<광도 변화를 검출>
또, 검출부는, 유저에 의한 접촉을 검출하기 위해서, 표시부측 하우징부(3) 및 제2 케이스 부재(43)의 소정의 부분(유저가 접촉할 것 같은 부분)에 밝기를 검출하는 센서(포토 센서)의 검출 소자를 배치하고, 해당 검출 소자에 의해 광도 변화를 검출한다. 제어부(63)는, 검출부에 의해 제2 케이스 부재(43)의 주위가 소정의 광도 이하의 광도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회로 기판(80)이 안테나의 방사 소자가 되도록 전환 스위치(64)를 제어한다. 또, 제어부(63)는, 검출부에 의해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주위가 소정의 광도 이하의 광도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제2 케이스 부재(43)가 안테나의 방사 소자가 되도록 전환 스위치(64)를 제어한다.
또, 제어부(63)는, 휴대전화 장치(1)의 통화 상태에 기초하여 전환 스위치(64)를 전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63)는, 통상 통화(사용자의 귀를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음성 출력부(22)에 밀착한 상태에서의 통화)일 때에는, 제2 케이스 부재(43)가 안테나의 방사 소자가 되도록 전환 스위치(64)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전화 장치(1)에서는, 접촉 상태, 온도, 광도 또는 통화 상태에 기초하여 안테나의 방사 소자를 선택하기 위해, 유저의 사용 상태에 따른 안테나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제어부(63)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의 유저(인체)에 의한 접촉 상태에 따라서,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있어서의 유저에 의해 접촉된 위치로부터 멀어진 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안테나 소자로서 기능 하도록 전환 스위치(64)를 제어한다. 따라서, 인체의 접촉에 의해 안테나가 받는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 장치(1)는, 터치 센서와, 온도 센서와, 포토 센서를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제어부(63)는, 휴대전화 장치(1)의 기능에 기초하여 전환 스위치(64)를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63)는, 예를 들면, 원세그 기능이 기동되고 있을 때는, 제2 케이스 부재(43)가 유저에 의한 접촉을 받고 있다는 추정에 기초하여, 회로 기판(80)이 안테나의 방사 소자가 되도록 전환 스위치(64)를 제어한다.
또, 제어부(63)는, 이어폰 커넥터에 케이블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기능이 기동되고 있을 때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이 유저에 의한 접촉을 받고 있다(사용자의 귀가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음성 출력부(22)에 밀착되어 있다)는 추정에 기초하여, 제2 케이스 부재(43)가 안테나의 방사 소자가 되도록 전환 스위치(64)를 제어한다. 이로 인해, 유저에 의해 접촉을 받는 영역과, 안테나 소자로서 기능하는 제2 도전부(35)를 가능한 한 이간시킬 수 있고, 안테나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어부(63)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장치(1)가 충전용의 받침대에 장착되어 있을 때는, 제2 케이스 부재(43)가 안테나의 방사 소자가 되도록 전환 스위치(64)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다른 실시예>
또, 휴대전화 장치(1)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로부(33)를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배치하고, 표시부측 하우징부(3)만으로 안테나의 방사 소자와 그라운드부를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당해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63)는, 적절히 필요에 따라서, 회로 기판(80)을 안테나의 방사 소자가 되도록 전환하고, 제2 케이스 부재(43)를 안테나의 그라운드부가 되도록 전환하거나, 또, 제2 케이스 부재(43)를 안테나의 방사 소자가 되도록 전환하고, 회로 기판(80)을 안테나의 그라운드부로 전환하거나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고주파 전류가 흐르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조작부측 하우징부(2)를 유저의 손 등에 의해 덮어도 안테나 특성의 열화를 회피할 수 있다.
1:휴대전화 장치 2:조작부측 하우징부(제1 하우징)
3:표시부측 하우징부(제2 하우징) 11:조작부
16:조작면 17:표시면
21:디스플레이(표시부) 30:제1 케이스 부재
31:그라운드부 32:급전부
33:회로부 34:제1 도전부
35:제2 도전부 36:신호 처리부
43:제2 케이스 부재

Claims (10)

  1.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부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부재와,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그라운드부, 급전부, 및 그 급전부에 접속된 신호 처리부를 가지는 회로부와,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그라운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도전부와,
    상기 제2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도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부재는, 화장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부착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그라운드부, 급전부, 및 그 급전부에 접속된 신호 처리부를 가지는 회로부와,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그라운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도전부와,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도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하우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7. 삭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부재는, 화장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9. 조작부가 설치된 조작면을 가지는 제1 하우징과,
    표시부가 설치된 표시면을 가지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그라운드부, 급전부, 및 그 급전부에 접속된 신호 처리부를 가지는 회로부와,
    상기 제1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그라운드부와 상기 급전부 중 어느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도전부와,
    상기 제2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면과 반대의 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그라운드부와 상기 급전부 중 어느 다른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도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표시면과 반대의 면측에 배치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도전부는,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휴대 단말.
KR1020117014526A 2008-11-26 2009-02-25 휴대 단말 KR101231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01749 2008-11-26
JPJP-P-2008-301749 2008-11-26
PCT/JP2009/053462 WO2010061642A1 (ja) 2008-11-26 2009-02-25 携帯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903A KR20110097903A (ko) 2011-08-31
KR101231404B1 true KR101231404B1 (ko) 2013-02-07

Family

ID=4222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526A KR101231404B1 (ko) 2008-11-26 2009-02-25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34200B2 (ko)
JP (1) JP5227423B2 (ko)
KR (1) KR101231404B1 (ko)
WO (1) WO20100616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6133B2 (ja) * 2013-08-30 2017-07-1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CN108417967B (zh) * 2018-01-31 2020-03-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天线组件和电子设备
US10468803B1 (en) 2018-09-21 2019-11-05 Littelfuse, Inc. Offset tuning fork contact terminals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US10446944B1 (en) * 2018-09-21 2019-10-15 Littelfuse,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terminal electrical contac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4468A (ja) 2005-10-06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機
JP4053418B2 (ja) * 2002-12-26 2008-02-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電話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02935D0 (en) 1991-02-12 1991-03-27 Shaye Communication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ntennae
CA2152860A1 (en) 1994-07-15 1996-01-16 Argyrios A. Chatzipetros Antenna for communication device
JP2002027066A (ja) * 2000-07-06 2002-01-25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形携帯無線機
JP3711008B2 (ja) * 2000-09-27 2005-10-26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
JP3830773B2 (ja) 2001-05-08 2006-10-11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3188620A (ja) * 2001-12-19 2003-07-04 Murata Mfg Co Ltd モジュール一体型アンテナ
US8060167B2 (en) * 2002-07-19 2011-11-15 Panasonic Corporation Portable wireless machine
JP3906465B2 (ja) 2003-01-21 2007-04-18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機
JP4019189B2 (ja) * 2003-02-04 2007-12-12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無線機
JP4372158B2 (ja) * 2004-10-28 2009-1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放送用受信機付き携帯電話
EP1739785A4 (en) * 2004-10-28 2007-10-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OLDABLE PORTABLE RADIO
WO2006057350A1 (ja) * 2004-11-26 2006-06-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折畳式携帯無線装置
JP2006166370A (ja) 2004-12-10 2006-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式携帯無線機
JP2009171163A (ja) * 2008-01-15 2009-07-30 Panasonic Corp 携帯無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3418B2 (ja) * 2002-12-26 2008-02-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電話
JP2007104468A (ja) 2005-10-06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27423B2 (ja) 2013-07-03
US8634200B2 (en) 2014-01-21
JPWO2010061642A1 (ja) 2012-04-26
US20120019996A1 (en) 2012-01-26
WO2010061642A1 (ja) 2010-06-03
KR20110097903A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670B1 (ko) 이동 단말기
US20090137293A1 (en) Portable slid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1510700B1 (ko) 이동 단말기
US20110128192A1 (en) Antenn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10080022A (ko) 이동 단말기
KR101409871B1 (ko) 휴대 단말기
US8854276B2 (en) Portable terminal
KR101231404B1 (ko) 휴대 단말
JP5416760B2 (ja) 携帯端末
JP4637925B2 (ja) 電子機器
JP4771966B2 (ja) 携帯端末装置
JP5318885B2 (ja) 携帯端末
KR101659024B1 (ko) 이동 단말기
JP4642588B2 (ja) 携帯無線装置
JP2008182601A (ja) 携帯端末装置
US869869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819773B2 (ja) 携帯機器
US20200091586A1 (en) Mobile terminal
JP6166133B2 (ja) 携帯端末
KR20110018208A (ko) 이동 단말기
KR101502000B1 (ko) 휴대 단말기
JP2009267744A (ja) 通信機器
JP2009290600A (ja) アンテナ素子及び無線通信装置
KR20140120520A (ko) 이동 단말기
JP2012205171A (ja) 携帯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