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786B1 - 댐퍼 조립체 및 댐퍼 조립체를 구비한 접이식 의자 - Google Patents

댐퍼 조립체 및 댐퍼 조립체를 구비한 접이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786B1
KR101230786B1 KR1020100119305A KR20100119305A KR101230786B1 KR 101230786 B1 KR101230786 B1 KR 101230786B1 KR 1020100119305 A KR1020100119305 A KR 1020100119305A KR 20100119305 A KR20100119305 A KR 20100119305A KR 101230786 B1 KR101230786 B1 KR 101230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torsion spring
fixture
cov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801A (ko
Inventor
함신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to KR1020100119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78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47C7/566Resiliently mounted seat or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조립체는 소정의 내부공간인 댐퍼 설치구가 구비되며, 외측면 중 소정영역이 만곡되어 형성되는 토션 스프링 설치면을 구비하는 댐퍼 고정체; 상기 댐퍼 고정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체 커버;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에 삽입되고,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 및 상기 고정체 커버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 및 상기 댐퍼 설치구에 삽입되며, 일측 고정부가 상기 댐퍼 고정체에 고정되고 타측 회동부가 상기 고정체 커버에 고정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 및 타측은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에 삽입되는 방향과 기울어진 방향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 및 상기 고정체 커버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댐퍼 조립체 및 댐퍼 조립체를 구비한 접이식 의자{CHAIR HAVING IMPROVED DAMPER ASSEMBLY}
본 발명은 접이식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에 대한 시트의 수납 속도, 즉 수납시의 축 회전 속도를 완화시키는 동시에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접이식 의자에 대한 설치가 용이하게 된 댐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등받이와 좌석을 서로에 대해 축 회전시켜서 상호 접어서 수납하거나 또는 펼쳐서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상기 댐퍼 조립체를 채용함에 따라 축 회전 속도를 완화(댐핑:damping)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조립체를 힌지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수납 또는 설치 동작에 따른 상기 등받이 또는 좌석의 급작스런 회전에 의한 파손 또는 주변 인원과 이들 구성요소와의 충돌에 따른 부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의자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가 앉아 있게 되는 좌석(sheet)만 구비된 의자; 이 좌석과 함께 시트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 및/또는 이 등받이 상단부에 구비되는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상기 좌석, 등받이 및 헤드레스트와 함께 팔받이를 구비한 의자 또는; 상기 좌석, 등받이, 헤드레스트(머리 지지대), 팔받이와 함께 다리를 구비한 의자 등의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의자는 그 설치 장소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박물관, 경기장 또는 공연장 등의 대규모 관람시설 또는 공연시설에 있어서는, 계단식의 기단부(관람석)가 형성되고, 각 기단부의 평탄면(계단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치대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대에 대해서 좌석 및 등받이를 고정해서 설치하고, 이 설치대에 설치된 좌석 및 등받이에 대해서 등받이 또는 좌석을 축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관람용의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고 있다.
일례로서, 영화관과 같은 관람시설에 설치되는 상기 접이식 의자의 경우에는, 상기 설치대 또는 평탄면에 등받이가 설치되고, 이 등받이에 대해서, 좌석이 축 회전하여 상호 접혀서 수납하거나 또는 펼쳐서 설치할 수 있도록 되는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의 접이식 의자는, 상기 수납 상태를 유지하는 수납 방향으로 힘(복원력)을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 및 상기 수납 방향으로의 복원력에 의한 등받이 회전 속도를 완화하는 댐퍼가 등받이와 좌석 간의 축 결합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좌석을 당겨 축 회전시킴으로써 등받이에 대해서 좌석을 펼쳐서 설치한 후, 좌석에 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석으로부터 일어날 경우, 상기 좌석의 중량 구배 또는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복원력)에 의해 상기 좌석이 상기 수납 상태로 축 회전하여 상기 등받이와 겹쳐져서 접혀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접이식 의자에 있어서는, 좌석 및 등받이의 수납 및 설치를 위한 축 회전 동안, 상기 좌석 또는 등받이는 중량 구배 또는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부재 상호간 충돌 또는 축 결합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의자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 및 댐퍼를 개별적인 조립 작업을 통해 상기 축 결합부에 설치해야 함에 따라, 그 조립 과정이 복잡해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접이식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에 대한 좌석의 수납 속도, 즉 수납시의 축 회전 속도를 완화시키는 동시에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접이식 의자에 대한 설치가 용이하도록 된 댐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댐퍼 조립체를 채용함에 따라, 등받이의 축 회전 속도를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되므로, 상기 수납 또는 설치 동작에 따른 상기 좌석의 급작스런 회전에 의한 등받이 또는 좌석의 파손 또는 주변 인원과 이들 구성요소와의 충돌에 따른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일체형의 댐퍼 조립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조립체는 소정의 내부공간인 댐퍼 설치구가 구비되며, 외측면 중 소정영역이 만곡되어 형성되는 토션 스프링 설치면을 구비하는 댐퍼 고정체; 상기 댐퍼 고정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체 커버;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에 삽입되고, 일측 돌기 및 타측 돌기가 각각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 및 상기 고정체 커버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 및 상기 댐퍼 설치구에 삽입되며, 일측 고정부가 상기 댐퍼 고정체에 고정되고 타측 회동부가 상기 고정체 커버에 고정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 돌기 및 타측 돌기는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에 삽입되는 방향인 축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 및 상기 고정체 커버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 돌기 및 타측 돌기는 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상기 댐퍼 고정체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상 부재로서, 외주면이 축을 향해 직경 방향으로 축소되어 형성되는 회동 접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 접합면은 상기 고정체 커버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체 커버에 삽입되며,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은 상기 회동 접합면의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축소되어 형성되고, 상기 댐퍼 설치구는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의 단부가 축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은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 돌기가 삽입되어 축 방향을 따라 위치 가변적이도록 축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체 커버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측 돌기가 삽입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끼움공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상기 댐퍼 고정체의 외측면 및 상기 고정체 커버의 외측면은 각각 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자는 댐퍼 조립체; 상기 댐퍼 고정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일측 결합공이 형성되는 등받이; 및 상기 고정체 커버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타측 결합공이 형성되는 좌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상기 댐퍼 고정체의 외측면 및 상기 고정체 커버의 외측면은 각각 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 결합공 및 상기 타측 결합공에 각각 삽입되고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요홈을 구비하는 일측 고정관 및 타측 고정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의식 의자의 상기 토션 스프링은 수납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휘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복원력에 대한 댐핑력을 발휘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좌석의 축 회전 속도를 완화시키는 동시에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상기 좌석과 등반이 간의 축 결합부에 대한 설치가 용이하도록 된 댐퍼 조립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석의 급작스런 회전에 의한 파손 또는 주변 인원과 이들 구성요소와의 충돌에 따른 부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일체형의 댐퍼 조립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됨에 따라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자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조립체가 접이식 의자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일반적인 댐퍼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사시도, 도 5(b)는 분해 사시도, 도 5(c)는 다른 분해 사시도, 도 5(d) 및 5(e)는 그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좌석이 고정된 등받이에 대해서 축 회전하도록 구성된 의자를 예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조립체는 등받이가 고정된 좌석에 대해서 축 회전하도록 구성된 의자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자(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자(100)가 상기 기단부의 평탄면(예를 들어,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한편, 상기 접이식 의자(100)는 상기 기단부 이외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자(100)는, 좌석(110)과, 이 좌석(110)이 축 회전하도록 상기 좌석(110)의 회전을 지지하는 등받이(120)와, 상기 등받이(120)와 좌석(110)의 축 결합부 및, 상기 등받이(120)를, 예를 들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200)인 상기 평탄면 상에 고정하기 위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치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설치대(140)의 하단부에 결합용 브래킷을 설치하고, 이 결합용 브래킷을 볼트 또는 못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접이식 의자(100)를 벽면(2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지만, 상기 의자(100)는 다양한 형태의 설치대를 이용하여 벽면 이외의 다양한 장소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석(11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120)에 대해서 시계방향(수납 방향)으로 축 회전하여 등받이(120)에 접해서 평행상태로 되며, 따라서 수납 상태로 되고; 등받이(120)로부터 이격해서 반시계방향(설치 방향)으로 축 회전하여 등받이에 대해서 대략 90° 또는 100° 회전하여 대략 직각 상태로 벌려져서 설치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좌석(110) 및 등받이(120)는, 측면에서 볼 때, 상호 축 결합되는 대향하는 일측 단부가 만곡되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의자의 외관 및 접는 기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좌석(110)의 만곡된 단부의 중량을 그 밖의 중량보다 크게 함으로써, 등받이(120)에 대한 좌석(110)의 수납 방향으로의 축 회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좌석(110)에 있어서는 상기 만곡된 일측 단부가 소정 부분 절개되어, 상기 등받이(120)의 대응하는 하부가 끼워질 수 있는 "凹" 형상의 수용 결합부(111)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 결합부(111)의 "凹" 형상은 상기 좌석(110)을 상측에서 바라볼 때의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120)는, 상기 좌석(110)의 수용 결합부(111)가 결합되는 하단부가 상기 수용 결합부(111)에 끼워질 수 있는 "凸" 형상의 돌출 결합부(121)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 결합부(121)의 "凸" 형상은 상기 등받이(12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의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 결합부(111: 구체적으로는 수용 결합부의 측면)를 돌출 결합부(121: 구체적으로는 돌출 결합부의 측면)에 끼운 상태에서 축 결합시킴으로써, 도 1에 있어서 좌우측 방향인 축 방향 X로 연장된 축 결합부(111,1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축 결합부에는 상기 수용 결합부(111) 및 돌출 결합부(121)에 걸쳐서, 상기 펼쳐진 상태의 좌석(110)에 부가되는 하중이 제거될 때(예를 들어, 좌석에 앉아 있던 사용자가 일어날 때), 상기 좌석(110)을, 일례로서 탄성 반발력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축 회전시키는 동시에, 그 축 회전 속도를 순차 완화 또는 감속시키는 댐퍼 조립체(130)가 설치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조립체(130) 및 상기 축 결합부(111,121)에 대한 댐퍼 조립체(130)의 조립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조립체(13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 설치면(131b) 및 댐퍼 설치구(131c)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등받이(120)에 결합되는 댐퍼 고정체(131)와,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131b)에 설치되어, 상기 좌석(110)으로부터 등받이(120)쪽으로, 즉 상기 수납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동하도록 하는 토션 스프링(132)과, 상기 토션 스프링(132)의 복원력을 완화시켜서 상기 좌석(110)의 상기 수납 방향으로의 축 회전 속도를 완화시키는 댐퍼(133) 및, 상기 토션 스프링(132) 및 댐퍼(133)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댐퍼 고정체(132)의 토션 스프링 설치면(131b) 및 댐퍼 설치구(131c)를 덮는 동시에 상기 좌석(110)에 결합되는 고정체 커버(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축 결합부를 구성하는 등받이(120)의 돌출 결합부(121) 측면에는 축 방향 X를 따라 개구되어 일측 결합공(121a)이 형성되고, 상기 축 결합부를 구성하는 좌석(110)의 수용 결합부(111)에는 상기 일측 결합공(121a)에 대응하는 표면에 타측 결합공(11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일측 및 타측 결합공(121a 및 111a)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댐퍼 고정체(131) 및 상기 고정체 커버(134)가 각각의 내부 중공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중공의 내표면에 축 방향을 따라 고정용의 가이드 요홈(122a, 112a)이 형성되는 일측 고정관(122) 및 타측 고정관(112)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댐퍼 고정체(131)는 상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그 일측부의 외측면이 축을 향해 직경 방향으로 축소되어 상기 고정체 커버(134)와의 결합 및 축 회전을 위한 회동 접합면(131a)이 형성되고, 이 회동 접합면(131a)이 상기 직경 방향으로 더 축소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132) 설치용의 토션 스프링 설치면(131b)이 형성되며, 그 중심부가 상기 축 방향 X 상에서 타측(도 3 및 도 4중 우측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상기 댐퍼 설치구(131c)가 형성되며; 그 타측부에는 상기 일측 고정관(122)에 형성된 가이드 요홈(122a)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131d1)가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면(131d)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요홈(122a) 및 가이드 돌기(131d1) 구성은, 가이드 및 고정 수단으로써 채용되는 구조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그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 요홈(122a) 및 상기 가이드 돌기(131d1)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동 접합면(131a)은 표면이 댐퍼 고정체(131)의 원주방향을 따라 만곡됨에 따라, 상기 고정체 커버(134)의 대응하는 단부의 내측면이 접촉하면서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며, 더욱이 이 회동 접합면(131a)을 매개로, 상기 고정체 커버(134)가 회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131b)은 표면이 댐퍼 고정체(131)의 원주방향을 따라 만곡되고, 그 대향하는 양측 표면이 상기 축 방향 X을 따라 댐퍼 고정체(131)의 타측 단부까지 절개되어 절개부(131b1)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이 절개부(131b1)는 나선형으로 감겨진 상기 토션 스프링(132)의 일측 돌기(132a: 구체적으로는 도면 중 좌측 단부에서 상기 절개부 쪽으로 돌출한 돌기)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고정부의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돌기는 상기 일측 돌기(132a)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 커버(134)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회동 접합면(131a)에 끼워지도록 그 일측 단부(도면 중 좌측 단부)가 상기 회동 접합면의 곡률에 따라 만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131b)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체 커버(134)의 내측면 상에는 끼움공(134a)이 형성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132)의 타측 돌기(132b: 구체적으로는 도면 중 우측 단부에서 상기 끼움공 쪽으로 돌출한 돌기)가 끼워지도록 한다. 또한, 그 외측 표면에는 상기 타측 고정관(112)에 형성된 가이드 요홈(112a)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134b)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요홈(112a) 및 가이드 돌기(134b) 구성은, 가이드 및 고정 수단으로써 채용되는 구조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그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 요홈(112a) 및 상기 가이드 돌기(134b)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댐퍼(133)는, 상기 댐퍼 설치구(131c)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대략 원통형상의 케이싱으로 형성되는 고정부(133a)와;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부(133a)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그 타측 단부가 상기 고정체 커버(134) 내에 삽입되는 대략 사각기둥 형상의 로드인 회동부(13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33a)의 일측 단부에는(즉, 상기 댐퍼 설치구(131c)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댐퍼 고정체(131)의 대향하는 일측 단면에 형성되는 결합공(131d2)에 끼워지는 대략 사각형 형상의 결합용 돌기(133a1)가 축 방향을 따라 등받이(120) 쪽으로 돌출해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133b)가 삽입되는 고정체 커버(134)의 대향하는 단부에는 상기 회동부(133b)의 단부 형상에 대응해서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개구된 결합공(134c)이 형성되어, 회동부(133b)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된다.
한편, 상기 댐퍼 조립체(130)의 조립 과정을 일례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댐퍼 고정체(131)의 댐퍼 설치구(131c) 내에 상기 댐퍼(133)의 고정부(133a)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부(133a) 후방면에 위치된 결합용 돌기(133a1)가 상기 댐퍼 고정체(134)의 대면하는 결합공(131d2)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댐퍼 설치구(131c) 내에 상기 고정부(133a)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댐퍼 고정체(134)의 토션 스프링 설치면(131b)에 상기 토션 스프링(132)을 끼는 동시에 토션 스프링(132)의 상기 일측 돌기(132a)를 상기 절개부(131b1)에 끼움으로써,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131b)에 상기 토션 스프링(132)의 일측을 고정시킴에 따라, 토션 스프링(132)이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131b) 상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어서, 상기 고정체 커버(134)를 축 방향 X를 따라 상기 댐퍼 고정체(134) 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댐퍼 고정체(134)의 회동면(131d)에 끼움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조립체(130)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이동에 의한 끼움 과정 중, 상기 토션 스프링(132)의 상기 타측 돌기(132b)는 상기 고정체 커버(134)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한 후, 소정 시점에서, 상기 끼움공(134a) 내에 끼워지게 되고, 이 시점에서, 상기 댐퍼(133)의 고정부(133b) 선단은 상기 고정체 커버(134)의 대면하는 결합공(134c)에 끼워짐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조립체(130)가 완성된다.
또한, 접이식 의자(100)에 대한 상기 댐퍼 조립체(13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돌출 결합부(121)에 형성된 일측 결합공(121a)에 상기 가이드 요홈(122a)이 내표면에 형성된 일측 고정관(122)을, 예를 들어 접착제를 도포한 후 끼워 고정하고, 상기 수용 결합부(111)에 형성된 타측 결합공(111a)에 상기 가이드 요홈(112a)이 내표면에 형성된 타측 고정관(112)을, 예를 들어 접착제를 도포한 후 끼워 고정한다.
이후,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수용 결합부(111)의 결합공(111a)을 덮개로 덮음으로써, 조립 과정이 완료된다.
이하, 상기 댐퍼 조립체(130)가 설치된 접이식 의자(100)의 동작 및 이에 따른 상기 댐퍼 조립체(130)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등받이(120)에 대해서 상기 좌석(110)을 상기 축 방향 X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즉 상기 좌석의 설치 방향으로 축 회전할 경우, 상기 고정체 커버(134)는 상기 회동면(131a)을 매개로 상기 댐퍼 고정체(131)에 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축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션 스프링(132)은, 그 양측 단부의 돌기(132a,132b)가 각각 상기 댐퍼 고정체(131)와 고정체 커버(134)에 고정됨에 따라, 뒤틀리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납 방향으로의 복원력이 발생한다. 즉, 토션 스프링(132)의 내부 포텐셜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댐퍼(133)는, 고정부(133a)가 상기 댐퍼 고정체(131)의 댐퍼 설치구(131c) 내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부(133b)가 상기 고정체 커버(134) 내부 중공부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회동부(133b)는 상기 고정체 커버(134)와 함께 설치 방향으로 축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좌석(110)을 상기 축 방향 X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즉 상기 수납 방향으로 축 회전할 경우, 상기 고정체 커버(134)는 상기 회동면(131a)을 매개로 상기 댐퍼 고정체(131)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축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션 스프링(132)은, 상기 뒤틀림을 해소하려는 복원력을 발휘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고정체 커버(134) 및 좌석(110)은 상기 복원력에 의해 수납 방향으로 고속으로 축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댐퍼(133)의 회동부(133b)도 고정체 커버(134)의 축 회전에 따라 축 회전하게 되지만, 내부 작동유체의 작용에 의해, 고정체 커버(134) 및 좌석(110)의 축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면서 회전하게 된다(즉, 댐핑력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댐퍼(133)의 구성 및 동작을, 일반적인 로터리 오일댐퍼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 도 5를 참조로 먼저 설명한다.
상기 로터리 오일댐퍼(133)는, 일정 구간을 회전 개폐하는 회동부재(예를 들어, 좌석(110))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하면서 개폐시점에 따라 각기 다른 저항을 갖는 댐핑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크게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점성이 높은 작동유체가 충진되는 케이싱(10)과, 이 케이싱(10: 상기 고정부(133a)의 케이싱에 해당)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은 회동부재에 연결되는 회동체(20: 상기 회동부(133b)에 해당) 및, 상기 회동체(20)의 회전방향에 따라 고저항과 저저항을 선택적으로 생성시키기 위한 제어밸브(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0)은 일측면은 막혀있고 타측면은 개방된 형태를 갖는 중공의 관형상을 갖는 사출물로 성형되는 부재로서, 개방된 일측면은 실링구조를 갖는 캡(15)이 조립되는 것에 의해 덮여져서 밀봉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케이싱(10)은 그 내부에 점성이 높은 작동유체가 채워지며, 내주면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한쌍의 회전제한리브(11)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회전제한리브(11)는 180도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제공되며, 그 단면은 사다리꼴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회전제한리브(11)는 후술할 돌출리브(22) 및 이에 조립되는 제어밸브(30)의 회전 가능한 구간을 한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케이싱(10) 내부의 공간을 2개의 챔버(10a,10b)로 분할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챔버(10a,10b)에는 점도가 높은 작동유체가 70~90% 충진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케이싱(10)은 로터리 댐퍼(133)의 전체적인 외체를 형성하면서 그 내부에 회동체(20)의 회전축부(21) 및 제어밸브(30)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회동체(20)는 상술한 케이싱(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부재로서 사출성형에 의해 구비된다. 이러한 회동체(20)는 원판형태의 플레이트(23)를 구비하며, 이 플레이트(23)를 기준으로 일측으로는 케이싱(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축부(21)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회동부재에 연결되어 외력을 받는 힌지축부(24)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회동체(20)의 회전축부(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180도 간격을 두고 돌출리브(2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며, 이때의 상기 돌출리브(22)는 가운데 부분에 장공 형태의 메인 유체통로(22a)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돌출리브(22)는 제어밸브(30)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회전시 그에 따른 상대 작용을 통해 고저항과 저저항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상술한 회전제한리브(11)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를 취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부(24)는 상술한 회전축부(21)와 플레이트(23)를 사이에 두고 동축상에 배치되는 구조이며, 상기 케이싱(10)의 개방된 타측면을 차폐시키는 캡(15)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좌석에 축 결합된다. 한편, 상기 회동체(20)에서 회전축부(21)는 돌출리브(22)를 기준으로 어느 한쪽 측면에는 후술할 제어밸브(30)에서 고저항 유체통로(31a)가 형성되는 좌우차단벽(31,32)중 어느 하나의 차단벽의 일부가 삽입되어 구속되게 하는 조립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리브(22)의 다른 쪽 측면에는 돌출리브(22)에 인접되는 위치에 작동유체의 초기 유입량을 크게 하기 위한 체류 경사홈(21b)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류 경사홈(21b)의 전체적인 폭은 돌출리브(22)에 형성된 메인 유체통로(22a)를 기준으로 대략 50% 내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동체(20)는 힌지축부(24)에 가해지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외력에 연동하여 회전축부(21)가 케이싱(10)내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실시하게 된다.
제어밸브(30)는 상술한 회동체(20)의 회전축부(21)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리브(22)에 간극을 두고 슬라이드 끼움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시 고저항과 저저항을 선택적으로 생성시키는 부재로서 통상 사출성형에 의해 구비된다. 이러한 제어밸브(30)는 돌출리브(22)의 양측면에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밀접하게 접하는 좌차단벽(31)과 우차단벽(32)을 형성하고, 이들 좌차단벽(31)과 우차단벽(32)은 외측벽(3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술한 돌출리브(22)에 대응되는 형상인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되며, 도 5(d) 및 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동체(20)의 돌출리브(22)에 끼워졌을 때 회전방향에 따라 어느 일측으로 간극(g)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좌차단벽(31)과 우차단벽(32)은 회전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저항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저항 유체통로(31a)와 저저항 유체통로(32a) 및 코너 유체통로(31b)가 각각 형성되는 구조이며, 상기 외측벽(33)은 케이싱(10)의 내주면에 접동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제어밸브(30)에서 상기 좌차단벽(31)과 우차단벽(32)은 서로 다른 저항을 생성하기 위한 고저항 유체통로(31a)와 코너 유체통로(31b) 및 저저항 유체통로(32a)가 각각 형성되며, 이때 상기 고저항 유체통로(31a)는 회전축부(21)에 접하는 테두리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원형의 홈을 다수 형성하는 형태로 마련되며, 코너 유체통로(31b)는 상기 고저항유체통로가 형성되는 차단벽의 양측 코너부를 절취한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저저항 유체통로(32a)는 상술한 돌출리브(22)에 형성된 장공의 홈, 즉 메인 유체통로(22a)에 비례하는 크기를 갖도록 가운데 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어밸브(30)는 회동체(2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동체(20)의 돌출리브(22)와의 상대작용을 통해 고저항 또는 저저항의 댐핑력을 선택적으로 생성하게 되며, 이러한 고저항 및 저저항의 댐핑력은 결과적으로 회동체(20)의 힌지축부(24)에 연결된 회동부재의 회동 동작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110 - 좌석, 120 - 등받이,
111 - 수용 결합부 , 121 - 돌출 결합부,
130 - 댐퍼 조립체, 131 - 댐퍼 고정체,
132 - 토션 스프링, 133 - 댐퍼,
134 - 고정체 커버.

Claims (8)

  1. 소정의 내부공간인 댐퍼 설치구가 구비되며, 외측면 중 소정영역이 만곡되어 형성되는 토션 스프링 설치면을 구비하는 댐퍼 고정체;
    상기 댐퍼 고정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체 커버;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에 삽입되고, 일측 돌기 및 타측 돌기가 각각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 및 상기 고정체 커버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 및
    상기 댐퍼 설치구에 삽입되며, 일측 고정부가 상기 댐퍼 고정체에 고정되고 타측 회동부가 상기 고정체 커버에 고정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 돌기 및 타측 돌기는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에 삽입되는 방향인 축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 및 상기 고정체 커버에 각각 고정되는 댐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 돌기 및 타측 돌기는 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댐퍼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고정체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상 부재로서, 외주면이 축을 향해 직경 방향으로 축소되어 형성되는 회동 접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 접합면은 상기 고정체 커버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체 커버에 삽입되며,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은 상기 회동 접합면의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축소되어 형성되고, 상기 댐퍼 설치구는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의 단부가 축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댐퍼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 설치면은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 돌기가 삽입되어 축 방향을 따라 위치 가변적이도록 축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체 커버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측 돌기가 삽입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끼움공을 구비하는 댐퍼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고정체의 외측면 및 상기 고정체 커버의 외측면은 각각 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댐퍼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댐퍼 조립체;
    상기 댐퍼 고정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일측 결합공이 형성되는 등받이; 및
    상기 고정체 커버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타측 결합공이 형성되는 좌석;을 포함하는 접이식 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고정체의 외측면 및 상기 고정체 커버의 외측면은 각각 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 결합공 및 상기 타측 결합공에 각각 삽입되고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요홈을 구비하는 일측 고정관 및 타측 고정관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의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수납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휘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복원력에 대한 댐핑력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KR1020100119305A 2010-11-29 2010-11-29 댐퍼 조립체 및 댐퍼 조립체를 구비한 접이식 의자 KR101230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305A KR101230786B1 (ko) 2010-11-29 2010-11-29 댐퍼 조립체 및 댐퍼 조립체를 구비한 접이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305A KR101230786B1 (ko) 2010-11-29 2010-11-29 댐퍼 조립체 및 댐퍼 조립체를 구비한 접이식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801A KR20120057801A (ko) 2012-06-07
KR101230786B1 true KR101230786B1 (ko) 2013-02-06

Family

ID=4660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305A KR101230786B1 (ko) 2010-11-29 2010-11-29 댐퍼 조립체 및 댐퍼 조립체를 구비한 접이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7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557B1 (ko) * 2013-12-20 2015-10-19 주식회사 신양씨앤에스 회전의자용 댐퍼
KR101916906B1 (ko) * 2017-11-25 2019-01-30 주식회사 명신인퍼스 연결식 의자용 완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5440A (en) * 2020-04-17 2021-12-01 Blue Cube Gb Ltd Stadium sea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567Y1 (ko) 2001-04-18 2001-10-11 일진씨앤에이(주) 댐퍼를 구비한 연결식 의자
KR20100049689A (ko) * 2007-10-05 2010-05-12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힌지 장치
KR20100105062A (ko) * 2009-03-20 2010-09-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좌변기용 비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567Y1 (ko) 2001-04-18 2001-10-11 일진씨앤에이(주) 댐퍼를 구비한 연결식 의자
KR20100049689A (ko) * 2007-10-05 2010-05-12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힌지 장치
KR20100105062A (ko) * 2009-03-20 2010-09-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좌변기용 비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557B1 (ko) * 2013-12-20 2015-10-19 주식회사 신양씨앤에스 회전의자용 댐퍼
KR101916906B1 (ko) * 2017-11-25 2019-01-30 주식회사 명신인퍼스 연결식 의자용 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801A (ko)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0507B2 (en) Damping mechanism for folding seats in chairs
KR101230786B1 (ko) 댐퍼 조립체 및 댐퍼 조립체를 구비한 접이식 의자
KR101561557B1 (ko) 회전의자용 댐퍼
CN106551538B (zh) 具有摩擦阻尼部件的折叠椅
KR20120031853A (ko) 개선된 축 결합 구조를 갖는 접이식 의자
KR101490668B1 (ko) 회전댐퍼가 구비된 관람석 의자
KR101294994B1 (ko) 의자의 틸팅 장치
KR102069536B1 (ko) 접이식 관람의자
KR101916906B1 (ko) 연결식 의자용 완충장치
EP2850972B1 (en) Foldable chair
KR101073198B1 (ko) 장애인용 관람 의자
KR101280909B1 (ko) 회전각도 제어장치를 구비한 자동 접철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101241027B1 (ko)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 회전각 조절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로터리 댐퍼
JP7126692B2 (ja) ダンパーヒンジ
EP3670345B1 (en) Self-stowage assembly for a seat
KR101057445B1 (ko) 접이식 의자
KR101944046B1 (ko) 절첩식 의자
US20070079555A1 (en) Safety gate including a pair of restoring mechanisms that act in opposite directions
JP7115750B2 (ja) 椅子
JP2011033058A (ja) 車両シート用のロータリダンパ
JP3888992B2 (ja) 椅子
KR200243567Y1 (ko) 댐퍼를 구비한 연결식 의자
JP2009222096A (ja) 自立保持装置
JP6470609B2 (ja) 複合装置
JP7008954B2 (ja) 双方向無限角回転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