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994B1 - 의자의 틸팅 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의 틸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994B1
KR101294994B1 KR1020130016471A KR20130016471A KR101294994B1 KR 101294994 B1 KR101294994 B1 KR 101294994B1 KR 1020130016471 A KR1020130016471 A KR 1020130016471A KR 20130016471 A KR20130016471 A KR 20130016471A KR 101294994 B1 KR101294994 B1 KR 101294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ilting
fixed
shaft fram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주) 파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파트라 filed Critical (주) 파트라
Priority to KR1020130016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bar or leaf springs
    • A47C7/445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bar or leaf springs of torsi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resilient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자의 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토션바의 축방향에서 단차를 이용한 면접촉을 통해 적은 부피로도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좌판(210) 하부에 설치되고 단부가 개방된 틸팅 축 프레임(110)과, 상기 틸팅 축 프레임에 고정되고 내부에 중공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23) 내벽면에는 일정 각도로 벌어진 제1단차면(124) 및 제2단차면(125)이 틸팅 축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커넥터 블록(120)과, 상기 커넥터 블록에 고정되고 내부에 중공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31) 내벽면에는 일정 각도로 벌어진 제1내측단차면(134) 및 제2내측단차면(135)이 틸팅 축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부시(130)와, 일측에 등판(220)의 걸이대(230)가 고정되고 타측 돌출부가 상기 부시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 상기 제1내측단차면 및 제2내측단차면과 이격된 제1단차면(141) 및 제2단차면(142)이 형성된 커넥터(140)와, 상기 틸팅 축 프레임 내에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며 비틀림에 의해 탄성력을 갖는 토션바(150)로 이루어진 의자의 틸팅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의자의 틸팅 장치{TILTING DEVICE FOR CHAIR}
본 발명은 의자의 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의자의 등판의 경사 각도를 제한하여 탄성체가 탄성 범위 내에서 작동함과 동시에 적절한 틸팅각을 제공하여 착석자의 편안한 자세를 유도할 수 있게 하는 의자의 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이동 및 적재, 보관의 용이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이른바 스태킹 체어(Stacking Chair)가 널리 사용된다. 스태킹 체어란 포개 쌓을 수 있는 의자로서, 수납이나 이동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작고 가벼운 형태가 많고 제조비용 또한 저렴하다.
한편 안락한 사용감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리클라이닝 체어(Reclining Chair)가 사용된다. 리클라이닝 체어는 좌판과 등판의 각도를 임의로 바꿀 수 있어 사용자의 체형이나 각각의 상황에 맞추어 최상의 휴식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의자로서, 복잡한 기구적 메카니즘이 적용되며 제조비용 또한 고가이다.
최근 리클라이닝 체어의 경우 등판의 기울임을 탄력 지지하기 위해 등판의 회전축에 토션바(torsion bar)를 설치하고 있다.
토션바는 탄성이 적용된 소재의 봉 또는 막대로서 비틀림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고 비틀렸을 때 원래 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을 가진다. 따라서 토션바의 한 끝을 의자의 등판 축에 고정 설치한 후, 몸을 뒤로 젖혀서 등판을 기울이면 토션바가 비틀리면서 등판을 탄력 지지하게 되고 몸을 다시 세우면 등받이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나 종래의 의자 틸팅 장치는 등판 회전 축방향의 수직인 핀을 사용하므로 선접촉을 통하여 초기 위치 및 틸팅 각도를 제한하고 있는 구조여서 큰 하중을 지지하는데 있어 미흡하여 내구성 측면에서 양호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6-0102925호 공개특허공보(공개일: 2006.9.28)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1-0114508호 공개특허공보(공개일: 2011.10.19)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선접촉의 틸팅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션바의 축방향에서 단차면을 이용한 면접촉을 통해 적은 부피로도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의자의 틸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판(210) 하부에 설치되고 단부가 개방된 틸팅 축 프레임(110)과, 상기 틸팅 축 프레임에 고정되고 내부에 중공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23) 내벽면에는 일정 각도로 벌어진 제1단차면(124) 및 제2단차면(125)이 틸팅 축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커넥터 블록(120)과, 상기 커넥터 블록에 고정되고 내부에 중공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31) 내벽면에는 일정 각도로 벌어진 제1내측단차면(134) 및 제2내측단차면(135)이 틸팅 축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부시(130)와, 일측에 등판(220)의 걸이대(230)가 고정되고 타측 돌출부가 상기 부시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 상기 제1내측단차면 및 제2내측단차면과 이격된 제1단차면(141) 및 제2단차면(142)이 형성된 커넥터(140)와, 상기 틸팅 축 프레임 내에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며 비틀림에 의해 탄성력을 갖는 토션바(150)로 이루어져, 상기 커넥터가 회전시 커넥터의 각 단차면과 상기 부시의 각 내측단차면이 상호 면접촉되면서 회전 각도가 제한되도록 하여 틸팅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션바가 비틀어질 때 틸팅 축 프레임의 축방향으로의 단차면을 이용하여 면접촉을 통해 커넥터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조를 통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으면서도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틸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로서 도 1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성요소 중 요부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틸팅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부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로서 도 5의 'C'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D-D'부의 절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틸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로서 도 1의 'A'부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구성요소 중 요부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의자는 크게 프레임 어셈블리(100)와 좌대 어셈블리(200)로 대별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상기 좌대 어셈블리(100)를 지지하기 위한 요소로서 틸팅 축 프레임(110)과, 상기 틸팅 축 프레임을 기준으로 양측에 전방 및 후방으로 연결된 4개의 다리(101) 및 상기 다리의 하단에 고정된 캐스터(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대 어셈블리(200)의 좌판(210)과 등판(220) 및 팔걸이용 걸이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때 상기 좌판(210)은 브라켓(240)을 통해서 상기 틸팅 축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좌판 회전축(10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좌판(210)이 좌판 회전축(103)을 축으로 회전하여 폴딩된다.
또한 상기 등판(220)의 양측에 구비된 걸이대(230)는 상기 틸팅 축 프레임(110)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어 틸팅 축 프레임(110)을 기점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틸팅 가능하다. 상기 틸팅은 상기 등판(220)에 하중이 가해질 때 이루어지며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면 원위치로 복귀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틸팅 장치는, 틸팅 축 프레임(110), 커넥터 블록(120), 부시(130), 커넥터(140), 토션바(150), 커넥터 핀(1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틸팅 축 프레임(110)은 좌판(210)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중공부(111)가 형성되고 단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블록(120)은 상기 틸팅 축 프레임(110)의 개방 단부에 고정되는 요소로서 내부에 중공부(123)가 형성되고 단부가 개방되며 상기 중공부(123) 내벽면에는 내경이 서로 다른 2개의 내면이 서로 접하도록, 즉 다른 지름의 반원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2개소에서 단차를 형성한 제1단차면(124) 및 제2단차면(125)이 각각 틸팅 축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단차면(124)과 제2단차면(125)은 서로 일정한 각도로 벌어지게 배치된다.
상기 부시(130)는 상기 커넥터 블록(120)의 중공부(123)에 내입되어 고정되는 요소로서 내부에 중공부(131)가 형성되고 단부가 개방되며 외면에는 외경이 서로 다른 2개의 외면이 서로 접하도록, 즉 다른 지름의 반원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2개소에서 단차를 형성한 제1외측단차면(132)과 제2외측단차면(133)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외측단차면(132)과 상기 제1단차면(124)은 서로 면접하고, 상기 제2외측단차면(133)과 상기 제2단차면(125)이 서로 면접함으로써 상기 부시(130)가 상기 커넥터 블록(120)의 중공부(123) 내에서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부시(130)의 중공부(131) 내벽면에는 내경이 서로 다른 2개의 내면이 서로 접하도록, 즉 다른 지름의 반원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2개소에서 단차를 형성한 제1내측단차면(134) 및 제2내측단차면(135)이 틸팅 축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내측단차면(134) 및 제2내측단차면(135)은 서로 일정한 각도로 벌어지게 배치된다.
상기 커넥터(140)는 상기 등판(220)의 걸이대(230)를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부시(130)의 중공부(131) 내에 내입되어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것이다.
상기 걸이대(23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140)의 일측에는 틸팅 축 프레임(110)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돌출된 지지대(143)가 연장 설치되고, 상기 걸이대(230)에는 상기 지지대(143)의 측면과 접하도록 하기 위해 고정대(231)가 연장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143)와 상기 고정대(231)가 서로 접한 상태에서 볼트(145)로 상호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143)와 고정대(231)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대(143)에는 홈을 가진 보스(144) 한 쌍이 서로 돌출되면서 이격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231)에는 상기 보스(144)가 삽입되는 홀(232)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145)가 상기 홀(232)을 관통하여 보스(144)의 홈에 체결되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1과 같이 상기 볼트(145)로 고정된 지지대(143) 및 고정대(231)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대(143) 및 고정대(231)를 커버하는 캡(17)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40)가 부시(130)의 중공부(131)에 내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140)는 상기 중공부(131)에 내입되는 돌출부(부호 미표시)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 외경이 서로 다른 2개의 외면이 서로 접하도록, 즉 다른 지름의 반원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2개소에서 단차를 형성한 제1단차면(141) 및 제2단차면(142)이 각각 틸팅 축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단차면(141)과 제2단차면(142)은 서로 일정한 각도로 벌어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140)의 돌출부가 상기 부시(130)의 중공부(131)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단차면(141)은 상기 제1내측단차면(134)과 서로 이격되게 하고, 또한 상기 제2단차면(142)은 상기 제2내측단차면(135)와 서로 이격되게 하며, 이 경우 부시(130)의 각 내측단차면(134)(135)과 커넥터(140)의 각 단차면 사이의 이격 거리 범위 내에서 커넥터(140)가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토션바(150)는 비틀림에 의해 탄성력이 발생하는 금속 소재로서 상기 틸팅 축 프레임(110) 내의 중공부(111) 중심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틸팅 축 프레임(110)의 중앙에 구비된 4개의 판재(도 5 참조, 부호 미표시)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며 그 단부는 상기 커넥터(140)의 돌출부에 고정된다.
상기 커넥터 핀(160)은 상기 부시(130)의 제2내측단차면(135)과 상기 커넥터의 제2단차(142)면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커넥터(140)를 관통하여 토션바의 길이방향, 즉 틸팅 축 프레임(110)의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커넥터 핀(160)의 일측 면이 커넥터(140)의 제2단차면(142)에 접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커넥터 핀(160)은 상기 커넥터(140)가 최초 조립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제한하고, 커넥터(140)에 고정된 등판(220)이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도록 한 것으로, 그 기능은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의자를 조립할 때 상기 틸팅 축 프레임(110)의 양측 내부로 커넥터 블록(120)과 부시(130)를 차례로 삽입한 뒤, 상기 부시(130) 내에 커넥터(14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140)에는 토션바(15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토션바(150)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서 최초 삽입된 커넥터(140)는 제2단차면(142)과 부시(130)의 제2내측단차면(135)이 상호 접하는 위치에 삽입되며, 이 경우 토션바(150)는 비틀림이 해제된 상태이다.
이후, 커넥터(140)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 회전시켜서 제2단차면(142)과 제2내측단차면(135)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 후 그 공간에 상기 커넥터 핀(160)을 끼워 넣으면 도 7의 (a) 상태가 되며, 이때 토션바(150)가 커넥터 핀(160)의 두께만큼 비틀어져서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결국 커넥터(140)에 고정된 등판(220)의 초기 위치는 커넥터 핀(160)에 의해서 결정되며, 또한 등판(220)은 초기 위치에서 토션바(150)의 비틀림 부하에 의해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한편,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 블록(120)이 상기 틸팅 축 프레임(110) 개방 단부에 내입되어 고정될 때 상기 커넥터 블록(120)이 틸팅 축 프레임(1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틸팅 축 프레임(110)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블록(120)의 외면에 상기 홈(112)에 삽입되는 돌기(121)를 형성하여 상기 돌기(121)가 상기 홈(112)에 내입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부시(130)가 커넥터 블록(120)의 중공부(123)에 내입되어 고정될 때 상기 부시(130)가 커넥터 블록(12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 블록(120)의 중공부(123) 벽면에 개방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슬릿(122)이 형성되고, 상기 부시(130)의 외면에 상기 슬릿(122)에 삽입되는 리브(136)를 형성하여 상기 리브(136)가 상기 슬릿(122)으로 결속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틸팅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부의 절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로서 도 5의 'C'부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의 'D-D'부의 절개 단면도로서, 여기서 도 7의 (a)는 도 4에서 등판(220)의 자중을 받는 상태(착석자 무)를 보인 것이고, 도 7의 (b)는 도 4에서 등판(220)이 기울어진 상태(착석자 유)를 보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걸이대(230)와 고정된 커넥터(140) 회전에 의해 틸팅 각도가 제한되는 작용을 설명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도 4 내지 도 7 (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착석자가 없는 경우에 토션바(1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커넥터 핀(160)의 일측 단부가 부시(130)의 제2내측단차면(135)과 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커넥터(140)와 연결된 등판(220)의 초기 위치가 결정되는 동시에 등판(220)의 회전 움직임이 제한된다.
도 4 내지 도 7 (b)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착석자가 있는 경우 착석자의 힘에 의해 틸팅되면 등판(220)이 기울어지면서 커넥터(140)가 도 7의 (b)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커넥터(140)의 제1단차면(141)이 부시(130)의 제1내측단차면(134)과 접하면서 회전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차면 사이의 이격 거리 범위 내에서 면접촉을 통해 등판의 틸팅 각도가 제한되는 구조이므로 안정적이면서도 부품의 크기에 비해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프레임 어셈블리 101... 다리
102... 캐스터 103... 좌판 회전축
110... 틸팅축 프레임 111... 중공부 112... 홈
120... 커넥터 블록 121... 돌기 122... 슬릿
123... 중공부 124... 제1단차면 125... 제2단차면
130... 부시 131... 중공부
132... 제1외측단차면 133... 제2외측단차면
134... 제1내측단차면 135... 제2내측단차면 136... 리브
140... 커넥터 141... 제1단차면 142... 제2단차면
143... 지지대 144... 보스 145... 볼트
150... 토션바 160... 커넥터 핀 170... 캡
200... 좌대 어셈블리 210... 좌판 220... 등판
230... 걸이대 231... 고정대 232... 홀
240... 브라켓

Claims (5)

  1. 좌판(210) 하부에 설치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중공부(111)가 형성되도록 단부가 개방된 틸팅 축 프레임(110); 상기 틸팅 축 프레임의 개방 단부에 고정되고 내부에 중공부(123)가 형성되도록 단부가 개방되며 상기 중공부(123) 내벽면에는 일정 각도로 벌어진 제1단차면(124) 및 제2단차면(125)이 틸팅 축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커넥터 블록(120); 상기 커넥터 블록의 중공부에 고정되고 내부에 중공부(131)가 형성되도록 단부가 개방되며 상기 중공부(131) 내벽면에는 일정 각도로 벌어진 제1내측단차면(134) 및 제2내측단차면(135)이 틸팅 축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부시(130); 일측에 등판(220)의 걸이대(230)가 고정되고 타측 돌출부가 상기 부시의 중공부에 내입되어 회전 가능하며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 상기 제1내측단차면 및 제2내측단차면과 이격된 제1단차면(141) 및 제2단차면(142)이 형성된 커넥터(140); 상기 틸팅 축 프레임의 중심에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며 비틀림에 의해 탄성력을 갖는 토션바(150); 및 상기 부시의 제2내측단차면(135)과 상기 커넥터의 제2단차(142)면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틸팅 축 프레임(110)의 축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를 관통하여 커넥터 내측에서 일측 면이 커넥터(140)의 제2단차면(142)에 접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토션바가 비틀림 부하를 갖게 하는 커넥터 핀(1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블록이 상기 틸팅 축 프레임의 개방 단부에 내입되어 고정되되, 상기 틸팅 축 프레임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블록의 외면에 상기 홈(112)에 삽입되는 돌기(121)가 형성되어 상호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블록의 중공부 벽면에 개방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슬릿(122)이 형성되고, 상기 부시의 외면에 상기 슬릿(122)에 삽입되는 리브(136)가 형성되어 상호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 상기 틸팅 축 프레임의 축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지지대(143)가 연장되고, 상기 걸이대(230)에는 상기 지지대의 측면과 접하는 고정대(231)가 연장되며, 상기 지지대 및 고정대가 상호 볼트(145)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볼트로 고정된 지지대 및 고정대를 커버하는 캡(1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 장치.
KR1020130016471A 2013-02-15 2013-02-15 의자의 틸팅 장치 KR101294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471A KR101294994B1 (ko) 2013-02-15 2013-02-15 의자의 틸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471A KR101294994B1 (ko) 2013-02-15 2013-02-15 의자의 틸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4994B1 true KR101294994B1 (ko) 2013-08-09

Family

ID=4922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471A KR101294994B1 (ko) 2013-02-15 2013-02-15 의자의 틸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99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546B1 (ko) 2014-06-11 2014-08-14 (주) 아모스아인스가구 틸팅 의자
KR101967182B1 (ko) 2018-06-01 2019-08-13 김태욱 접이식 의자
KR102072327B1 (ko) 2019-04-16 2020-01-31 정윤산 이중 틸팅수단을 갖는 의자
KR102122800B1 (ko) * 2020-03-12 2020-06-15 주식회사 퍼맥스 다기능 의자
KR20200123568A (ko) 2019-04-22 2020-10-30 정윤산 다이캐스팅 성형된 틸팅의자 프레임
KR102424118B1 (ko) 2022-03-18 2022-07-21 연봉흠 틸팅 텐션 제어유닛을 구비한 등받이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9714A (ja) * 2002-07-23 2004-02-19 Okamura Corp 椅子における背凭れ等の傾動装置
KR20060102925A (ko) * 2005-03-25 2006-09-28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KR101043519B1 (ko) * 2010-11-05 2011-06-23 (주)대우가구 등받이가 탄력을 가지는 의자
KR101052218B1 (ko) * 2009-12-08 2011-07-27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9714A (ja) * 2002-07-23 2004-02-19 Okamura Corp 椅子における背凭れ等の傾動装置
KR20060102925A (ko) * 2005-03-25 2006-09-28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KR101052218B1 (ko) * 2009-12-08 2011-07-27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KR101043519B1 (ko) * 2010-11-05 2011-06-23 (주)대우가구 등받이가 탄력을 가지는 의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546B1 (ko) 2014-06-11 2014-08-14 (주) 아모스아인스가구 틸팅 의자
KR101967182B1 (ko) 2018-06-01 2019-08-13 김태욱 접이식 의자
KR102072327B1 (ko) 2019-04-16 2020-01-31 정윤산 이중 틸팅수단을 갖는 의자
KR20200123568A (ko) 2019-04-22 2020-10-30 정윤산 다이캐스팅 성형된 틸팅의자 프레임
KR102122800B1 (ko) * 2020-03-12 2020-06-15 주식회사 퍼맥스 다기능 의자
KR102424118B1 (ko) 2022-03-18 2022-07-21 연봉흠 틸팅 텐션 제어유닛을 구비한 등받이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994B1 (ko) 의자의 틸팅 장치
KR101355473B1 (ko) 회동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102141589B1 (ko)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20150046490A (ko) 의자
JP5567402B2 (ja) 椅子
US20100308632A1 (en) Rocking Chair Mechanism
KR200421931Y1 (ko) 등판이 탄력지지되는 의자
KR200472419Y1 (ko) 의자
KR200477254Y1 (ko) 가변 벤치
JP2021500119A (ja) シートモジュール
KR102072327B1 (ko) 이중 틸팅수단을 갖는 의자
JP2011092475A (ja) ロッキング椅子
KR20170000448U (ko) 등받이 받침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JP7382187B2 (ja) 椅子
JP5616134B2 (ja) 椅子
JP5576187B2 (ja) 椅子
CN210870585U (zh) 一种椅座机构和椅子
JP6448126B2 (ja) 椅子
JPH0450839Y2 (ko)
CN214179866U (zh) 餐椅的铰链结构
JP5475327B2 (ja) 椅子
JP5576186B2 (ja) 椅子
JP2023096655A (ja) 折り畳み式椅子
JP4778215B2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
KR200275537Y1 (ko)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