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445B1 - 접이식 의자 - Google Patents

접이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445B1
KR101057445B1 KR1020100042284A KR20100042284A KR101057445B1 KR 101057445 B1 KR101057445 B1 KR 101057445B1 KR 1020100042284 A KR1020100042284 A KR 1020100042284A KR 20100042284 A KR20100042284 A KR 20100042284A KR 101057445 B1 KR101057445 B1 KR 101057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damper
seat
protrusion
sha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배
Original Assignee
내쇼날씨엔디 주식회사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쇼날씨엔디 주식회사, 엔피씨(주) filed Critical 내쇼날씨엔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2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4Separate chairs, connectible together into a r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6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stowable in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6Chairs or seats detachably mounted on stadium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C11/005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multiple separat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16F15/0235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where a rotat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판부가 등판부측으로 접이되는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제1결합부가 형성된 좌판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축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갖는 등판부와; 상기 등판부 하부에 형성된 단턱과; 상기 좌판부를 펼쳤을때 상기 단턱에 걸려지도록 상기 좌판부에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를 관통하는 축부재와; 일단은 상기 좌판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등판부에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축부재의 단부에 결합된 댐퍼를 포함하여 좌판이 부드럽게 접이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설치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접이식 의자{folding type chair}
본 발명은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좌판부가 수직으로 접이되는 관람용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이식 의자는 사용자가 앉아 있을 경우에는 펼쳐져 있다가 사용자가 자리에서 일어서는 경우에는 접어지는 형태의 의자를 말한다.
이러한 접이식 의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9-5175, 실1999-37597, 공개특허공보10-2004-45792등에 개시된 바 있다.
한편, 다수의 관중이 수용되는 경기장, 극장, 영화관 등에 설치된 접이식 의자는 관중이 자리에서 일어나게 되면 좌판부가 자동으로 세워지면서 접이된다. 이러한 의자 중에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좌판이 폴딩되는 접이식 의자에 있어서는 좌판이 접이 될 때, 좌판과 등판이 세게 부딪히면서 충격음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의자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9-5175, 실1999-3759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10-2004-4579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좌판이 부드럽게 접이되며, 내구성이 향상되며 설치가 용이한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결합부가 형성된 좌판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축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갖는 등판부와; 상기 등판부 하부에 형성된 단턱과; 상기 좌판부를 펼쳤을때 상기 단턱에 걸려지도록 상기 좌판부에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를 관통하는 축부재와; 일단은 상기 좌판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등판부에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축부재의 단부에 결합된 댐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축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키와; 상기 키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결합부에 형성된 키홈과; 중앙에서 상기 댐퍼에 연결되고, 측면에서 상기 좌판부에 고정되는 댐퍼캡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댐퍼는, 상기 축부재에 장착되는 제1돌기와; 상기 댐퍼캡에 장착되는 제2돌기와, 상기 댐퍼 내부에 충진되는 댐핑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돌기 및 제2돌기는 별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등판부의 제2결합부 하측에 장착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양단에 장착되는 측면지지부와; 상기 측면지지부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팔걸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도출된다.
관중이 자리에서 일어나면, 자동으로 좌판부가 등판부에 폴딩된다.
또한, 좌판부가 등판부에 부드럽게 폴딩되어, 폴딩 시 충격에 따른 파손의 우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좌판부 및 팔걸이부가 모두 접이되므로, 공간활용이 극대화 된다.
또한, 고정부를 콘크리트 등의 지반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설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단면도.
도 5는 댐퍼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1의 접이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2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1의 접이 상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는 좌판부(100)와 등판부(200)를 포함한다.
좌판부(100)는 관중이 앉는 부분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등판부(200)측으로 접이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좌판부(100)는 관중의 엉덩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좌판시트(130)를 포함한다. 좌판시트(130)는 중앙부가 하측으로 완만하게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중에게 편안한 착석 느낌을 주도록 한다.
좌판시트(130)의 하측에는 좌판프레임(110)이 설치된다.
등판부(200)는 관중의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등판시트(230)를 포함한다. 등판시트(230)는 인체의 허리뼈의 형상으로 하부가 완만하게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관중에게 편안한 착석 느낌을 주도록 한다.
등판시트(230)의 후측에는 등판프레임(210)이 설치된다.
좌판프레임(110)의 일측과 등판프레임(210)의 일측은 커플링(300)에 의해 결합된다. 커플링(300)은 좌판프레임(110)이 등판프레임(2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부재로서, 또한 관중이 탈석하면 좌판부(100)가 부드럽게 등판부(200)측으로 접이되도록 한다.
접이식 의자의 양측에는 측면지지부(400)가 설치된다. 측면지지부(400)의 상측에는 팔걸이부(500)가 접이식으로 설치되며, 측면지지부(400)의 하측에는 튜브(60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복수개의 의자를 한꺼번에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튜브를 좌우로 길게 연장하여 하나의 튜브에 의해 복수개의 의자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팔걸이부(500)는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는 관중의 팔을 지지하며, 측면지지부(400)와의 연결축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수직상태로 놓이면, 공간활용이 극대화된다.
튜브(600)는 등판프레임(210)의 하측에 형성된 중앙삽입홈(215)에 끼워지면서 양쪽에 설치된 측면지지부(400)의 측면삽입홈(410)에 삽입된다.
등판프레임(210)의 하부에는 고정부(700)가 설치된다. 고정부(700)는 접이식 의자를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좌판프레임(110)은 중앙에 형성된 좌판시트고정부(111)를 포함한다. 좌판시트고정부(111)는 중앙부가 개구되며, 중앙부 주변으로 체결홀(112a)을 갖는 체결보스(112)가 다수개 형성된다. 체결보스(112)는 좌판시트(130)에 체결되어 좌판시트(130)가 좌판프레임(1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좌판프레임(110)의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플랜지(113)가 형성된다. 플랜지(113)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2개(좌측,우측)이 형성된다. 양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플랜지(113) 사이에는 걸림부(120)가 형성된다. 걸림부(120)는 좌판부(100)를 펼쳤을 때에 후술하는 단턱(216)에 의해 지지되어 그 이상으로 좌판부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부(120)로부터 연장되며, 양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플랜지(113)사이에 리브(115)가 형성된다. 리브(115)는 걸림부(120) 및 플랜지(113)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한다.
플랜지(113)의 단부에는 제1결합부(150)가 형성된다. 제1결합부(150)는 축부재(310)가 관통하는 관통홀(151)을 포함한다. 관통홀(151)의 하부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로 절개된 절개부(152)가 형성된다.
플랜지(113)의 외측에는 캡홈(116)이 형성되어, 후출하는 댐퍼캡(340)을 수용한다. 캡홈(116)은 댐퍼캡(34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결합부(150) 및 제2결합부(250)는 커플링(300)에 의해 결합된다. 커플링(300)은 관통홀(151)에 삽입되는 축부재(310), 축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댐퍼(330) 및 축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320)을 포함한다.
축부재(310)의 외주면에는 키(31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키(311)는 후술하는 제2결합부(250)의 키홈(251)에 걸림결합되어 축부재(310)가 원주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결합부(150)과 제2결합부(250)사이에는 부싱(350)이 축부재(310)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축부재(310)의 타단부에는 댐퍼(330)가 결합된다. 댐퍼(330)는 스프링(320)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좌판 프레임(110)의 회전 속도를 줄여준다.
댐퍼(330)의 좌측으로는 제1돌기(331)가 형성되고, 우측으로는 제2돌기(333)가 형성된다.
제1돌기(331)는 축부재(3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축부재(310)에 고정 결합되며, 제2돌기(333)는 댐퍼캡(340)에 결합된다.
제1돌기(331)와 제2돌기(333)는 축방향에 대해서 서로 비틀림 변형을 일으키며, 내부에 충진된 댐핑재에 의해 좌판프레임(110)이 서서히 회전하도록 한다.
스프링(320)은 제1결합부(150)에서 축부재(310)의 외측에 설치되며, 스프링(320)의 일단부는 상부바디(213)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좌판프레임(110)의 플랜지(113)에 결합된다. 이로써, 좌판부(100)가 반시계반향으로 회동하면, 스프링(320)은 탄성변형하게 되며, 관중이 일어서면 스프링(320)의 복원력에 의해 좌판부(100)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스프링(320)은 좌판부의 복원력의 정도에 따라 다수개 설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플랜지(113)에 각각 1개씩 설치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댐퍼캡(340)은 중앙에 제2돌기(333)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장착홀(341)이 형성되며, 외측에 일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42)가 형성된다. 돌출부(342)는 댐퍼캡(340)이 캡홈(116)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등판프레임(210)은 바디부(212)와 등판시트고정부(211)로 구성된다.
바디부(212)는 상부바디(213)와 하부바디(214)로 구성되며, 상부바디(213)의 일측 모서리에는 제2결합부(250)가 형성된다.
제2결합부(250)는 축부재(310)가 관통하는 관통구(251)가 형성되며, 관통구(251)에는 키홈(252)가 형성된다.
상부바디(213)의 하측으로는 하부바디(214)가 상부바디(213)와 일체로 형성된다. 하부바디(214)에는 상부바디(213) 앞쪽으로 더욱 돌출되어 단차진 단턱(216)이 형성된다. 소정 길이만큼의 모멘트 팔을 갖으면서 단턱(216)이 좌판부(100)를 지지하게 되므로, 관중의 몸무게에 따른 휨모멘트를 저항하게 된다.
하부바디(214)의 하부에는 중앙삽입홈(215)가 형성된다. 중앙삽입홈(215)에는 튜브(600)가 끼워져 장착된다. 튜브(600)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며, 중앙삽입홈(215)에는 이에 대응되도록 사각 단면으로 형성된다.
바디부(212)의 상측으로는 등판시트고정부(211)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등판시트고정부(211)에는 체결홀(222)이 다수개 형성되어 등판시트(230)와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댐퍼(330)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댐퍼(330)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1개에 대해서 다른 1개가 축을 기준으로 비틀리는 제1돌기(331) 및 제2돌기(333)을 포함한다. 댐퍼(330)의 내부에는 댐핑재가 채워지며, 댐핑재는 오일이나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돌기(331)는 축부재(310)에 삽입되는 머리부(331a)와,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돌출된 원주판(332a)과, 원주판(332a)으로부터 연장된 보스(332)를 포함한다.
원주판(332a)과 머리부(331a) 사이에는 링요부(332b)가 형성되며, 머리부(331a) 및 링요부(332b) 또는 원주판(332a) 및 링요부(332b) 사이에는 2개의 링(336)이 삽입된다.
보스(332)의 외주면에는 돌기(335)가 보스(332)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며, 돌기(335)는 2개가 서로 'V'자 형상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돌출된다. 또한, 보스(332)와 돌기(335)에 의해 제1공간부 및 제2공간부를 형성한다.
돌기(335)의 'V'자 홈에는 끼움돌기(339a)가 형성된 끼움판(339)이 삽입 장착된다. 돌기(335)의 중앙부에는 파인홈(335a)이 형성된다.
제1돌기(331)및 제2돌기(333)가 서로 비틀리게 되면, 댐퍼(331) 내부의 제1공간부에 충진된 댐핑재가 파인홈(335a)으로 유인됨과 동시에 파인홈(335a)의 단턱을 올라타면서 끼움판(339)의 상부로 이동한후 제2공간부로 유입되면서 제1돌기(331)및 제2돌기(333)가 서서히 비틀리게 된다.
제2돌기(333)는 하우징(334)가 일체로 형성되며, 하우징(334)의 내측에는 걸림턱(338)이 형성된다. 걸림턱(338)은 하우징(334)이 제1돌기(331)를 수용하여 장착하는 경우에, 돌기(335)의 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제1돌기(331)에는 돌기커버(337)가 끼워진다.
하우징(334)의 단부 내주면이 돌기커버(337)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끼워지도록 하여 댐퍼(330) 내부에 충진된 댐핑재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제1돌기(331)와 제2돌기(333)는 축방향에 대해서 서로 비틀림 변형을 일으키며, 내부에 충진된 댐핑재에 의해 좌판프레임(110)이 서서히 회전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좌판부(100) 및 팔걸이부(500)가 접이된 상태를 보여준다.
스프링(320)의 복원력에 의해 좌판부(100)가 등판부(200)측으로 접이되며, 팔걸이부(500)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수직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이로써, 좁은 공간에 설치될 경우에도 관중들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통로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좌판부 110 : 좌판프레임
130 : 좌판시트 150 : 제1결합부
200 : 등판부 210 : 등판프레임
230 : 등판시트 300 : 커플링
400 : 측면지지부 500 : 팔걸이부
600 : 튜브 700 : 고정부

Claims (4)

  1. 삭제
  2. 제1결합부가 형성된 좌판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축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갖는 등판부와;
    상기 등판부 하부에 형성된 단턱과;
    상기 좌판부를 펼쳤을때 상기 단턱에 걸려지도록 상기 좌판부에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를 관통하는 축부재와;
    일단은 상기 좌판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등판부에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축부재의 단부에 결합된 댐퍼와;
    상기 축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키와;
    상기 키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결합부에 형성된 키홈과;
    중앙에서 상기 댐퍼에 연결되고, 측면에서 상기 좌판부에 고정되는 댐퍼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축부재에 장착되는 제1돌기와;
    상기 댐퍼캡에 장착되는 제2돌기와,
    상기 댐퍼 내부에 충진되는 댐핑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돌기 및 제2돌기는 별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의 제2결합부 하측에 장착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양단에 장착되는 측면지지부와;
    상기 측면지지부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팔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KR1020100042284A 2010-05-06 2010-05-06 접이식 의자 KR101057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284A KR101057445B1 (ko) 2010-05-06 2010-05-06 접이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284A KR101057445B1 (ko) 2010-05-06 2010-05-06 접이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445B1 true KR101057445B1 (ko) 2011-08-17

Family

ID=4493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284A KR101057445B1 (ko) 2010-05-06 2010-05-06 접이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4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841A (ja) * 1996-09-06 1998-03-24 Takashimaya Kosakusho:Kk 座板跳ね上げ式椅子
KR200355110Y1 (ko) * 2004-03-18 2004-07-03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좌판팁업형 관람석의 소음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841A (ja) * 1996-09-06 1998-03-24 Takashimaya Kosakusho:Kk 座板跳ね上げ式椅子
KR200355110Y1 (ko) * 2004-03-18 2004-07-03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좌판팁업형 관람석의 소음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1054B2 (ja) 携帯用椅子
CN106551538B (zh) 具有摩擦阻尼部件的折叠椅
KR101561557B1 (ko) 회전의자용 댐퍼
KR101490668B1 (ko) 회전댐퍼가 구비된 관람석 의자
KR101279725B1 (ko) 개선된 축 결합 구조를 갖는 접이식 의자
KR101054636B1 (ko) 관람의자용 시트 완충장치
EP2223632B1 (en) Folding armchair for conference halls
KR102069536B1 (ko) 접이식 관람의자
KR101057445B1 (ko) 접이식 의자
KR101007201B1 (ko) 회전 제어기능을 갖는 절첩식 의자
KR101678446B1 (ko) 휴대용 의자
KR101080706B1 (ko) 자동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916906B1 (ko) 연결식 의자용 완충장치
KR101265739B1 (ko) 연결식 의자의 좌판 구조
KR20120057801A (ko) 댐퍼 조립체 및 댐퍼 조립체를 구비한 접이식 의자
US7520569B2 (en) Chair with a combination back support and cover plate
EP1654960A1 (en) Seat with a fold-up seat portion, in particular for sports facilities, and relative assembly method
KR101138349B1 (ko) 예배용 접이식 장의자
KR102301915B1 (ko) 관람석 의자용 삼각화 시트
KR200340257Y1 (ko) 연결식 의자의 받침프레임 회전 지지구조
KR200360239Y1 (ko) 지하철 승강대용 접철의자
KR101398978B1 (ko) 편의성 향상 연결식 관람용 의자
KR20200076849A (ko) 회전 소파
JPH10155587A (ja) 背座連動折り畳み椅子
KR102247734B1 (ko)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