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734B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734B1
KR102247734B1 KR1020200149997A KR20200149997A KR102247734B1 KR 102247734 B1 KR102247734 B1 KR 102247734B1 KR 1020200149997 A KR1020200149997 A KR 1020200149997A KR 20200149997 A KR20200149997 A KR 20200149997A KR 102247734 B1 KR102247734 B1 KR 102247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
installation
backres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퍼맥스 filed Critical (주)퍼맥스
Priority to KR1020200149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resilient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7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electrical control means, e.g.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의자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의자는, 다리부에 지지되어 사용자의 신체 하중을 맏쳐주는 좌석부와, 좌석부의 후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와, 좌석부의 양측에 구비되고, 팔걸이부를 지지하는 팔걸이설치부와, 등받이부와 팔걸이설치부에 구비되고, 팔걸이설치부에서 등받이부를 탄성적으로 설정각도 회전시키는 회전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자{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장부에 결합되는 팔걸이설치부에 구비되는 회전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등받이부를 설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등받이부의 탄성 회전구조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구성할 뿐만 아니라, 좌석프레임을 다리부에 연결 지지되는 서포트부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써, 부품수를 절감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용도 또는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등 부분이 닿는 부분을 통기공이 형성되는 천, 직물 등의 시트를 이용하여 통풍을 원활하게 하고 유연한 쿠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미감도 우수한 메쉬형 의자도 근래 그 이용 추세가 증가되고 있으며, 사용자에게 편안하고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탄성 구조가 결합된 의자도 제시되고 있다.
의자는 바닥에 놓여 하중을 지지하는 다리부와, 다리부에 지지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받쳐주는 좌석프레임과, 좌석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엉덩이에 쿠션을 제공하는 좌석시트판, 좌석프레임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와, 좌석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어 팔을 받쳐주는 팔걸이부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의자의 등받이는 좌석프레임의 후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등받이의 회동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좌석시트 역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가 어렵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42190호(2003.05.28, 발명의 명칭: 의자 등받이의 각도조절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연장부에 결합되는 팔걸이설치부에 구비되는 회전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등받이부를 설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등받이부의 탄성 회전구조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구성할 뿐만 아니라, 좌석프레임을 다리부에 연결 지지되는 서포트부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써, 부품수를 절감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다리부에 지지되어 사용자의 신체 하중을 맏쳐주는 좌석부; 상기 좌석부의 후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 상기 좌석부의 양측에 구비되고, 팔걸이부를 지지하는 팔걸이설치부; 및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팔걸이설치부에 구비되고, 상기 팔걸이설치부에서 상기 등받이부를 탄성적으로 설정각도 회전시키는 회전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팔걸이설치부는, 상기 좌석부의 중심부 양측에서 후방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팔걸이부를 지지하는 설치부재; 및 상기 연장부와 상기 설치부재를 강제 삽입하여 결속되는 삽입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구속부는, 상기 연장부에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홀부; 및 상기 삽입홀부에 삽입되어 구속되도록 상기 설치부재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홀부에서 상기 설치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각도조절부는, 상기 팔걸이설치부에 구비된 설치부재에 관통 형성되는 제1설치홀부; 상기 제1설치홀부에 대응되고, 상기 등받이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2설치홀부; 상기 제1,제2설치홀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설치부재에 대한 상기 등받이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 및 상기 설치부재와 상기 등받이부에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재에서 상기 등받이부가 설정각도 범위로 회전 및 복귀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회전탄성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탄성안내부는, 상기 제1설치홀부와 연통되어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일부를 감싸고, 상기 설치부재의 내측면에 원호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원호홈부; 상기 원호홈부에서 삽입 안내되도록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부재를 감싸면서 상기 등받이부의 설정각도 회전을 유도하는 원호돌부; 및 상기 설치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원호돌부의 일측 가장자리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등받이부가 젖혀진 후 복귀할 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복귀부는, 상기 원호홈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원호돌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상기 설치부재의 내부에 함몰 형성되는 장착홈부; 상기 장착홈부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 상기 스프링부재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스프링부재의 일부 영역에 삽입 설치되는 제1탄성지지부재; 및 상기 스프링부재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스프링부재의 다른 일부 영역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쳐대 젖힘시 상호 접촉 지지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복원시 상기 등받이부의 회동각도 만큼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의 단부와 이격되는 제2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석부는, 상기 다리부의 상측에서 상호 간에 연결 설치되는 서포트부; 상기 서포트부에 안착 설치되는 좌석프레임; 및 상기 좌석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신체를 받쳐주는 좌석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다리부의 상측부위를 상호 연결 지지하는 연결지지대; 상기 연결지지대의 후방으로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분리지지대; 상기 연결지지대에 안착되면서 상기 분리지지대의 하측으로 걸림 장착되고, 상기 좌석프레임을 지지하는 하중지지판; 및 상기 하중지지판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분리지지대의 저면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좌석프레임의 전방 회동에 대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연장부에 결합되는 팔걸이설치부에 구비되는 회전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등받이부를 설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등받이부의 탄성 회전구조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구성할 뿐만 아니라, 좌석프레임을 다리부에 연결 지지되는 서포트부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써, 부품수를 절감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좌석부에서, 서포트부의 부분 조립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좌석부에서, 좌석프레임과 시트프레임 간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팔걸이설치부와 회전각도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회전각도조절부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로서, 등받이부의 후측 회전 상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등받이부의 전측 회전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좌석부에서, 서포트부의 부분 조립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좌석부에서, 좌석프레임과 시트프레임 간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팔걸이설치부와 회전각도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회전각도조절부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로서, 등받이부의 후측 회전 상태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등받이부의 전측 회전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좌석부(100), 등받이부(150), 팔걸이설치부(200) 및 회전각도조절부(300)를 포함한다.
좌석부(100)는 다리부(10)에 지지되어 사용자의 신체 하중을 맏쳐주는 구성이다.
좌석부(100)는, 다리부(10)의 상측에서 상호 간에 연결 설치되는 서포트부(110)와, 서포트부(110)에 안착 설치되는 좌석프레임(160)과, 좌석프레임(160)의 상측에 구비되어 신체를 받쳐주는 좌석시트(170)를 포함한다.
좌석프레임(160)은 좌석시트(170)의 전체면을 지지하면서 하중을 분산 지지하면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측면에 격자 형상의 리브들이 가로,세로방향으로 다수개씩 구비되어 있다.
좌석시트시트(170)는 스폰지를 포함한 쿠션재를 구비할 수 있다.
서포트부(110)는, 다리부(10)의 상측부위를 상호 연결 지지하는 연결지지대(120)와, 연결지지대(120)의 후방으로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분리지지대(130)와, 연결지지대(120)에 안착되면서 분리지지대(130)의 하측으로 걸림 장착되고, 좌석프레임(160)을 지지하는 하중지지판(140)과, 하중지지판(140)에 삽입 설치되어 분리지지대(130)의 저면를 탄성 지지하여 좌석프레임(160)의 전방 회동에 대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브라켓(150)을 포함한다.
연결지지대(120)는 원형봉으로 형성되어 다리부(10)의 상측에서 좌석부(100)의 중심부위를 가로질러 형성된다.
분리지지대(130)는 연길지지대(120)의 후측으로 한 쌍 연장되고, 단부에서 상호 연결되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좌석프레임(160)은 좌석시트(170)를 연결하기 위해 좌석시트(170)에 결합되는 시트프레임(180)을 더 구비한다.
시트프레임(180)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석시트(170)의 저면에 결합된다.
탄성브라켓(150)은 분리지지대(120)의 납작하면서 편평하게 형성된 부위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분리지지대(130)의 저면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좌석부(100)의 좌석프레임(160)을 전방으로 누르는 경우, 연결지지대(120)를 기준으로 좌석프레임(160)과 좌석프레임(160)에 결합된 하중지지판(140)이 함께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하중지지판(140)에 안착된 탄성브라켓(150)이 분리지지대(130)의 저면에 지지되면서 탄성 수축되어 좌석부(100)가 탄성적으로 전방으로 회전되게 해준다. 한편, 사용자가 자세를 바로 잡게되는 경우에는 수축된 탄성브라켓(150)이 탄성 복원되면서 상술한 반대 과정을 거치면서 좌석부(100)가 원상복귀 된다.
좌석프레임(160)과 시트프레임(180)은 착탈부(190)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착탈부(190)는, 좌석프레임(16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부(192)와, 걸림돌기부(192)를 걸어주도록 시트프레임(160)에 상하 관통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홀부(194)를 포함한다.
걸림돌기부(192)는 좌석프레임(160)의 가장자리 부위 상측면에 걸림후크 형태로 다수개 구비된다. 걸림홀부(194)는 좌석프레임(160)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된 걸림돌기부(192)에 걸려질 수 있도록 사각구멍 형태로 형성된다.
등받이부(150)는 좌석부(100)의 후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구성이다. 등받이부(15)는 사용자의 허리리인에 대응되도록 굴곡형상으로 이루어진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각틀에 그물망이 연결되어 허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팔걸이설치부(200)는 좌석부(100)의 양측에 구비되고, 팔걸이부(2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팔걸이설치부(200)는, 좌석부(100)의 중심부 양측에서 후방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10)와, 연장부(210)에 결합 설치되고, 팔걸이부(20)를 지지하는 설치부재(220)와, 연장부(210)와 설치부재(220)를 강제 삽입하여 결속되는 삽입구속부(230)를 포함한다.
연장부(210)는 한 쌍의 전측 다리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좌석부(100)의 양측으로 후방 상측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삽입구속부(230)는, 연장부(210)에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홀부(240)와, 삽입홀부(240)에 삽입되어 구속되도록 설치부재(220)의 하측에 구비되고, 삽입홀부(240)에서 설치부재(2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50)를 포함한다.
이탈방지부(250)는, 설치부재(220)에 구비되고, 삽입홀부(240)에 삽입되어 접촉되는 확장기둥부(260)와, 확장기둥부(260)의 외경에 비해 협소하도록 확장기둥부(260)에서 연장 형성되고, 삽입홀부(240)의 내경과 설정간격 이격되는 협소기둥부(270)와, 협소기둥부(270)의 둘레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협소기둥부(27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삽입홀부(240)의 내주면에 밀착 걸림 지지되는 이탈방지돌기부(280)를 포함한다.
이탈방지부(150)는 연장부(210)의 삽입홀부(240)에 압입된 후 나사부재를 연장부(2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삽입홀부(240)에서 이탈되는 것을 압입 결합력과 더불어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부(280)의 단부에는 삽입홀부(240)의 진입방향 전면에 진입을 인내하되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협소기둥부(270)의 이탈을 방지하는 진입안내면부(28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입안내면부(282)는 수평에 대해 30~60도 각도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부(280)는 협소기둥부(270)의 둘레 전체에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하 설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다.
회전각도조절부(300)는, 등받이부(150)와 팔걸이설치부(200)에 구비되고, 팔걸이설치부(200)에서 등받이부(150)를 탄성적으로 설정각도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회전각도조절부(300)는, 팔걸이설치부(200)에 구비된 설치부재(220)에 관통 형성되는 제1설치홀부(310)와, 제1설치홀부(310)에 대응되고, 등받이부(150)에 관통 형성되는 제2설치홀부(320)와, 제1,제2설치홀부(310)(310)에 연결 설치되어 설치부재(220)에 대한 등받이부(150)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330)와, 설치부재(220)와 등받이부(150)에 구비되고, 설치부재(220)에서 등받이부(150)가 설정각도 범위로 회전 및 복귀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회전탄성안내부(340)를 포함한다.
회전탄성안내부(340)는, 제1설치홀부(310)와 연통되어 회전지지부재(330)의 일부를 감싸고, 설치부재(220)의 내측면에 원호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원호홈부(350)와, 원호홈부(350)에서 삽입 안내되도록 등받이부(150)의 양측에 형성되고, 회전지지부재(330)를 감싸면서 등받이부(150)의 설정각도 회전을 유도하는 원호돌부(360)와, 설치부재(220)에 구비되고, 원호돌부(360)의 일측 가장자리를 탄성 지지하여 등받이부(150)가 젖혀진 후 복귀할 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복귀부(370)를 포함한다.
원호홈부(350)의 내측면에는 설정간격으로 배치되어 회전지지부재(330)의 중심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마찰방지돌부(352)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찰방지돌부(352)는 등받이부(150)의 회전에 의해 원호돌부(360)가 함께 회전할 때, 원호돌부(360)의 외주면 전체가 원호홈부(350)의 내주면 전체와 접촉되는 대신에 마찰방지돌부(352)에 접촉되므로 접촉면적을 최대한 축소시켜 회전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원호돌부(360)의 원주 길이는 원호홈부(350)의 원주 길이보다 등받이부(150)의 회전각도만큼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복귀부(370)는, 원호홈부(350)와 연통되도록 원호돌부(360)의 일측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설치부재(220)의 내부에 함몰 형성되는 장착홈부(371)와, 장착홈부(371)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372)와, 스프링부재(372)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면서 스프링부재(372)의 일부 영역에 삽입 설치되는 제1탄성지지부재(373)와, 스프링부재(372)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면서 스프링부재(372)의 다른 일부 영역에 삽입 설치되어 등받이부(150)의 최대 젖힘시 상호 접촉 지지되고, 등받이부(150)의 복원시 등받이부(150)의 회동각도 만큼 제1탄성지지부재(373)의 단부와 이격되는 제2탄성지지부재(374)를 포함한다.
제1탄성지지부재(373)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375)가 형성된다.
지지돌기(375)는 장착홈부(371)의 바닥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부(376)에 끼워져서 제1탄성지지부재(373)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탄성지지부재(373)에는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장착홈부(371)의 측면을 덮어 스프링부재(372)의 측면을 보호하는 덮개부재(377)가 구비된다.
덮개부재(377)에는 회전지지부재(330)의 일부 측면에 감싸면서 접촉되는 안내지지면부(378)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좌석부(100)의 조립 및 작용을 살펴 보면, 하중지지판(140)을 연결지지대(120)에 안착하면서 분리지지대(130)의 저면으로 배치한 후, 고정브라켓(150)을 분리지지대(130)의 상측을 커버하면서 하중지지판(140)과 결합하여 하중지지판(140)을 설치한다.
연이어, 좌석프레임(160)을 하중지지판(140) 상측에 안착하고 볼팅 결합으로 하중지지판(140)의 상측에 고정한다.
그 다음, 시트프레임(180)의 걸림홀부(194)를 좌석프레임(192) 상측에 다수개 구비된 걸림돌기부(192)에 걸어서 장착하도록 하고, 시트프레임(180)의 상측에 좌석시트시트(170)를 장착하여 좌석부(100)의 조립을 완료한다.
한편, 팔걸이설치부(200)의 조립 및 작용을 살펴 보면, 설치부재(220)의 하측에 구비된 이탈방지부(250)를 삽입홀부(240)에 삽입하면, 협소기둥부(270)의 둘레에 형성된 아탈방지돌기부(280)가 진입안내면부(282)의 안내를 받으면서 삽입홀부(240)에 쐐기 형태로L압입하여 끼워지게 된다.
이때, 조립이 완료된 후에 설치부재(220)를 강제적으로 이탈시킬려고 하더라도 이탈방지돌기부(280)가 삽입홀부(240)에 쐐기 형태로 압입되어 있으므로 후방 이동시 이탈방지돌기부(280)의 걸림작용으로 인해 설치부재(2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각도조절부(300)의 작용을 살펴 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부(100)에 착석한 사용자가 등받이부(150)를 뒤로 최대한 젖히는 경우, 제1,제2서치홀부(310)(320)에 설치된 회전지지부재(330)를 기준으로 설치부재(2200)에서 등닫이부(150)가 회전한다.
이때, 설치부재(200)의 원호홈부(350)에 끼워진 원호돌부(360)가 원호홈부(350)의 여유공간만큼 회전하면서 원호돌부(360)의 일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2탄성지지부재(374)를 누르면서 스프링부재(372)를 탄성 압축시키고, 제2탄성지지부재(374)가 제2탄성지지부재(373)에 닿음과 동시에 원호홈부(350)의 일측면에 닿으면서 원호돌부(260)의 회전이 멈춰진다.
연이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시트부(100)ㅇ[ 착석한 사용자가 허리를 앞으로 당겨 등받이부(150)를 원상 복귀시키는 경우, 등받이부(150)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서, 수축되었던 스프링부재(372)가 확장(팽창)되면서 제1탄성지지부재(373)에 접촉되어 있던 제2탄성지지부재(374)가 상승되면서 원호돌부(360)의 일측 가장자리를 밀어주면서 원호홈부(350)의 타측면으로 회동시켜 등받이부(150)를 탄성력으로 원상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연장부에 결합되는 팔걸이설치부에 구비되는 회전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등받이부를 설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등받이부의 탄성 회전구조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구성할 뿐만 아니라, 좌석프레임을 다리부에 연결 지지되는 서포트부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써, 부품수를 절감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좌석부 110: 서포트부
120: 연결지지대 130: 분리지지대
140: 하중지지판 150: 탄성브라켓
160: 좌석프레임 170: 좌석시트
180: 시트프레임 190: 착탈부
192: 걸림돌기부 194: 걸림홈부
200: 팔걸이설치부 210: 연장부
220: 설치부재 230: 삽입구속부
240: 삽입홀부 250: 이탈방지부
260: 확장기둥부 270: 협소기둥부
280: 이탈방지돌기부 282: 진입안내면부
300: 회전각도조절부 310: 제1설치홀부
320: 제2설치홀부 330: 회전지지부재
340: 회전탄성안내부 350: 원호홈부
360: 원호돌부 370: 탄성복귀부
371: 장착홈부 372: 스프링부재
373: 제1탄성지지부재 374: 제2탄성지지부재
375: 지지돌기 376: 고정홈부
377: 덮개부재 378: 안내지지면부

Claims (8)

  1. 다리부에 지지되어 사용자의 신체 하중을 맏쳐주는 좌석부;
    상기 좌석부의 후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
    상기 좌석부의 양측에 구비되고, 팔걸이부를 지지하는 팔걸이설치부; 및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팔걸이설치부에 구비되고, 상기 팔걸이설치부에서 상기 등받이부를 탄성적으로 설정각도 회전시키는 회전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부는,
    상기 다리부의 상측에서 상호 간에 연결 설치되는 서포트부;
    상기 서포트부에 안착 설치되는 좌석프레임; 및
    상기 좌석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신체를 받쳐주는 좌석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다리부의 상측부위를 상호 연결 지지하는 연결지지대;
    상기 연결지지대의 후방으로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분리지지대;
    상기 연결지지대에 안착되면서 상기 분리지지대의 하측으로 걸림 장착되고, 상기 좌석프레임을 지지하는 하중지지판; 및
    상기 하중지지판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분리지지대의 저면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좌석프레임의 전방 회동에 대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좌석프레임은 상기 좌석시트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좌석시트에 결합되는 시트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좌석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은 착탈부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착탈부는,
    상기 좌석프레임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부; 및
    상기 걸림돌기부를 걸어주도록 상기 시트프레임에 상하 관통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설치부는,
    상기 좌석부의 중심부 양측에서 후방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팔걸이부를 지지하는 설치부재; 및
    상기 연장부와 상기 설치부재를 강제 삽입하여 결속되는 삽입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속부는,
    상기 연장부에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홀부; 및
    상기 삽입홀부에 삽입되어 구속되도록 상기 설치부재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홀부에서 상기 설치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도조절부는,
    상기 팔걸이설치부에 구비된 설치부재에 관통 형성되는 제1설치홀부;
    상기 제1설치홀부에 대응되고, 상기 등받이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2설치홀부;
    상기 제1,제2설치홀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설치부재에 대한 상기 등받이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 및
    상기 설치부재와 상기 등받이부에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재에서 상기 등받이부가 설정각도 범위로 회전 및 복귀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회전탄성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탄성안내부는,
    상기 제1설치홀부와 연통되어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일부를 감싸고, 상기 설치부재의 내측면에 원호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원호홈부;
    상기 원호홈부에서 삽입 안내되도록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부재를 감싸면서 상기 등받이부의 설정각도 회전을 유도하는 원호돌부; 및
    상기 설치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원호돌부의 일측 가장자리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등받이부가 젖혀진 후 복귀할 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귀부는,
    상기 원호홈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원호돌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상기 설치부재의 내부에 함몰 형성되는 장착홈부;
    상기 장착홈부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
    상기 스프링부재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스프링부재의 일부 영역에 삽입 설치되는 제1탄성지지부재; 및
    상기 스프링부재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스프링부재의 다른 일부 영역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쳐대 젖힘시 상호 접촉 지지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복원시 상기 등받이부의 회동각도 만큼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의 단부와 이격되는 제2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7. 삭제
  8. 삭제
KR1020200149997A 2020-11-11 2020-11-11 의자 KR102247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997A KR102247734B1 (ko) 2020-11-11 2020-11-11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997A KR102247734B1 (ko) 2020-11-11 2020-11-11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734B1 true KR102247734B1 (ko) 2021-05-04

Family

ID=7591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997A KR102247734B1 (ko) 2020-11-11 2020-11-11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7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613U (ko) * 2009-06-11 2010-12-21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
KR20190069796A (ko) * 2017-12-12 2019-06-20 장근대 의자
KR102129610B1 (ko) * 2020-05-14 2020-07-02 (주)한솔스틸 의자용 틸팅 등받이와 팔걸이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613U (ko) * 2009-06-11 2010-12-21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
KR20190069796A (ko) * 2017-12-12 2019-06-20 장근대 의자
KR102129610B1 (ko) * 2020-05-14 2020-07-02 (주)한솔스틸 의자용 틸팅 등받이와 팔걸이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1525B2 (en) Seat, in particular an office chair
JP3278170B2 (ja) 椅子用フレーム構造、調節機構およびパッド付きカバー
US6729691B2 (en) Chair back construction
KR102206733B1 (ko) 입체적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CA2837141A1 (en) Lumbar support for a chair
JP2007117537A (ja) 椅子とその背もたれ製造方法
US6942295B1 (en) Reclining chair system
KR102247734B1 (ko) 의자
US20150021971A1 (en) Internal support for a backrest for a chair
KR101174458B1 (ko) 의자용 등받이
KR100722991B1 (ko)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KR101077053B1 (ko) 의자용 가슴받이의 탄성 변위구조
KR200453289Y1 (ko) 의자
KR101591947B1 (ko)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KR101670655B1 (ko) 의자용 등받이
KR101071058B1 (ko) 의자의 접철식 서포터 장치
KR101069192B1 (ko) 가슴받이와 팔받이 및 발받침으로 사용가능한 상하 회동형 신체지지부를 구비한 의자
KR100981057B1 (ko) 의자용 신체받이류의 결합연결구조
KR101588709B1 (ko)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JP7169166B2 (ja) 椅子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KR100734166B1 (ko) 체형에 따라 조절 가능한 의자
KR200159346Y1 (ko) 커버 착탈식 의자
KR100809265B1 (ko)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KR101043519B1 (ko) 등받이가 탄력을 가지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