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613U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613U
KR20100012613U KR2020090007546U KR20090007546U KR20100012613U KR 20100012613 U KR20100012613 U KR 20100012613U KR 2020090007546 U KR2020090007546 U KR 2020090007546U KR 20090007546 U KR20090007546 U KR 20090007546U KR 20100012613 U KR20100012613 U KR 201000126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ortion
backrest
chair
elastic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3289Y1 (ko
Inventor
이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산업
Priority to KR2020090007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289Y1/ko
Publication of KR201000126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6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2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서 등받침에 기댈 때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받쳐주면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좌석부(10), 양측 상부에 팔걸이(21)가 설치되고, 상기 좌석부(10)를 지지하는 다리(20) 및 상기 팔걸이(21)에 양측이 결합되는 등받침(30)이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30)에는 양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돌기(32)를 갖는 회전결합부(31)가 형성되고, 상기 팔걸이(21)에는 상기 회전결합부(3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탄성결합부(22)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결합부(22)는 중앙에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공(24), 상기 관통공(24)의 일측에 상기 회전돌기(32)의 하면 일측이 걸리는 걸림면(23) 및 상기 관통공(24)의 타측에 상기 등받침(30)의 회전운동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회전돌기(32)의 하면 타측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의자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주고, 사용자의 자세가 변함에 따른 등받침의 회전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탄성결합부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보호하고,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의자, 등받침, 탄성, 완충작용

Description

의자{CHAIR}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서 등받침에 기댈 때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받쳐주면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부, 좌석부를 받치는 다리 및 좌석부의 뒤쪽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침이 한 세트로 형성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이 등받침의 상측에 위치하고, 좌석부나 다리 또는 등받침에는 팔걸이가 설치된다.
근래에는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등과 허리에 무리가 가는 일이 늘어나고 있어 등과 허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의자의 좌석부의 높이, 팔걸이의 높이, 머리받침의 높이를 체형에 따라 조절하는 의자나 요추 받침이 구비된 의자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06- 0106744호(2007년 6월 26일 등록)와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20-2005-0024917호(2005년 11월 8일 등록)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체형에 따라 조절가능한 의자는 좌석부, 팔걸이 및 머리받침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다수의 부품이 사용됨에 따라,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되며, 조립공수가 증가함에 따라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요추받침이 구비된 의자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으로 제작한 등받침 패널을 이용함에 따라 안락감이 떨어지고, 자세에 따라 조절이 불가능하여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충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체형 및 자세에 따라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좌석부(10), 양측 상부에 팔걸이(21)가 설치되고, 상기 좌석부(10)를 지지하는 다리(20) 및 상기 팔걸이(21)에 양측이 결합되는 등받침(30)이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30)에는 양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돌기(32)를 갖는 회전결합부(31)가 형성되고, 상기 팔걸이(21)에는 상기 회전결합부(3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탄성결합부(22)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결합부(22)는 중앙에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공(24), 상기 관통공(24)의 일측에 상기 회전돌기(32)의 하면 일측이 걸리는 걸림면(23) 및 상기 관통공(24)의 타측에 상기 등받침(30)의 회전운동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회전돌기(32)의 하면 타측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수단은 코일스프링(25), 상기 코일스프링(25)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핀(26) 및 하부핀(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결합부(31)에는 상기 회전돌기(32)의 중심에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결합공(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돌기(32)는 상기 결합공(35)을 중심으로 하면 일측에 탄성결합부(22)의 걸림면(23)에 걸리는 제 1걸이면(33), 탄성수단에 구비된 상부핀(26)의 상면에 걸리는 제 2걸이면(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돌기(32)는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상기 탄성결합부(22)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주고, 사용자의 자세가 변함에 따른 등받침의 회전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탄성결합부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의 등받침을 적용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작업공수를 줄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의자는 좌석부(10), 상기 좌석 부(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석부(10)를 지지하는 다리(20) 및 상기 좌석부(10)의 후측 상부에 구비되는 등받침(30)을 포함한다.
다리(20)는 상기 좌석부(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좌석부(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팔걸이(21)가 결합된다. 상기 다리(20)와 팔걸이(2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팔걸이(21)는 상기 다리(20)의 양측 상부에 대략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면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등받침(30)의 회전결합부(3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탄성결합부(22)를 마련한다.
상기 탄성결합부(22)의 상부에는 등받침(30)의 회전돌기(32)가 삽입되는 결합공간(2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22')의 전방 하면에는 회전돌기(32)의 제 1걸이면(33)이 걸리는 걸림면(23)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간(22')의 중앙 하부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공(24)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결합부(22)의 하부에는 탄성수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5')이 상기 결합공간(22')과 연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수단은 코일스프링(25), 상기 코일스프링(25)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핀(26) 및 하부핀(27)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일스프링(25)은 등받침(30)과 팔걸이(21)가 결합된 상태에서 등받침(30)이 사용자의 등과 허리의 미는 힘에 의해 뒤로 젖혀지면서 회전운동하는 경우, 회전돌기(3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핀(26) 및 하부핀(27)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코일스프링(25)이 일정 크기로 압축되면, 상기 상부핀(26) 및 하부핀(27)의 선단이 서로 맞닿아 더 이상 압축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코일스프링(25)의 최대압축량을 제한한다.
등받침(30)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서 보았을 때는 사용자의 등과 허리가 닿는 중앙부가 후방으로 오목하게 굴곡져서 형성되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는 사용자의 등과 허리가 닿는 중간부가 상기 좌석부(10) 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져서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등받침(30)은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등받침(30)의 내면에는 통풍 가능한 그물 형상의 직물 소재 시트가 부착된다.
상기 등받침(30)의 양측에는 상기 팔걸이(21)에 형성된 탄성결합부(22)와 결합되는 회전결합부(31)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결합부(31)에는 상기 탄성결합부(22)의 결합공간(2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회전돌기(3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회전돌기(32)는 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으로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 일측에는 상기 걸림면(23)에 걸리는 제 1걸이면(33)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상부핀(26)의 상면에 걸리는 제 2걸이면(34)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돌기(32)의 중심에는 상기 팔걸이(21)에 결합하기 위해 볼트가 삽입되는 결합공(35)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35)의 내부에는 상기 볼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나사산(도면 미도시)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의자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팔걸이(21)가 설치된 다리(20)와 좌석부(1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팔걸이(21)의 내면 양측에 형성된 탄성결합부(22)의 삽입공간(25')에는 상부핀(26)과 코일스프링(25) 및 하부핀(27)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삽입한다. 이때, 상부핀(26)은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공(24)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턱에 의해 가고정된다.
이와 같이, 좌석부(10)와 다리(20) 및 팔걸이(21)가 겹합된 상태에서 등받침(30)을 결합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등받침(30)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돌기(32)를 먼저 팔걸이(21)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결합부(22)의 결합공간(22')에 삽입시켜 고정한 후, 타측 회전돌기(32)를 타측 팔걸이(21)의 탄성결합부(22)에 마찬가지 방법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회전돌기(32)를 탄성결합부(22)에 삽입하여 고정하면, 회전돌기(32)의 제 1걸이면(33)은 탄성결합부(22)의 걸림면(23)에 걸어지고, 제 2걸이면(34)은 상부핀(26)의 상면에 걸어진다. 이때, 코일스프링(25)은 상부핀(26)이 제 2걸이면(34)에 의해 하방으로 눌림에 따라 약간 압축되면서 탄성 변형되고, 회전돌기(32)는 압축된 코일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공간(22') 내부에 가고정된다.
이와 같이 팔걸이(21)와 등받침(30)이 가고정된 상태에서 팔걸이(21)의 관통공(24)과 등받침(30)의 결합공(35)을 통해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팔걸이(21)의 탄성결합부(22)와 등받침(30)의 회전결합 부(31)를 간단하게 결합시켜 의자 조립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개수 및 조립공수가 감소됨에 따라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음, 도 3a 및 도 3b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의 동작을 예시하는 동작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의자가 팔걸이(21)의 탄성결합부(22)와 등받침(30)의 회전결합부(31)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석부(10)에 앉게 되면, 사용자의 등과 허리는 등받침(30)에 닿게 된다. 이때, 등받침(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주게 되어 안락함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등받침(30)은 사용자가 허리를 젖히게 되면 등과 허리에 눌리면서 회전돌기(32)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그러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돌기(32)가 회전운동하면서 회전돌기(32)의 제 2걸이면(34)이 상부핀(26)을 누름에 따라 코일스프링(25)이 하방으로 압축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코일스프링(25)은 등받침(3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완충작용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등받침(30)의 내면에는 그물 형상의 직물 소재로 제작된 시트가 부착되므로, 사용자의 등과 허리에는 자연스럽게 통풍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등받침(30)은 코일스프링(25)의 탄성력을 사용자의 등과 허리에 제공하여 완충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보호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허리를 원래 상태로 세우면, 등받침(30)은 코일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도 3a와 같이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고안은 사용자의 등과 허리의 형상이나 움직임에 따라 회전운동하는 등받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보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팔걸이(21)에 탄성결합부(22)가 구비되고, 등받침(30)에 회전결합부(31)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은 팔걸이(21)에 회전결합부(31)를 구비하고, 등받침(30)에 탄성결합부(22)를 구비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돌기(32)는 단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하방으로 볼록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회전결합부(22)의 결합공간(22')은 회전돌기(32)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코일스프링(25)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5')은 상기 결합공간(22')의 상부에 연통되어 형성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의 동작을 예시하는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좌석부 20: 다리
21: 팔걸이 22: 탄성결합부
24: 관통공 25: 탄성스프링
30: 등받침 31: 회전결합부
32: 회전돌기 35: 결합공

Claims (5)

  1. 좌석부(10), 양측 상부에 팔걸이(21)가 설치되고, 상기 좌석부(10)를 지지하는 다리(20) 및 상기 팔걸이(21)에 양측이 결합되는 등받침(30)이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30)에는 양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돌기(32)를 갖는 회전결합부(31)가 형성되고,
    상기 팔걸이(21)에는 상기 회전결합부(3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탄성결합부(22)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결합부(22)는
    중앙에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공(24),
    상기 관통공(24)의 일측에 상기 회전돌기(32)의 하면 일측이 걸리는 걸림면(23) 및
    상기 관통공(24)의 타측에 상기 등받침(30)의 회전운동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회전돌기(32)의 하면 타측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코일스프링(25),
    상기 코일스프링(25)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핀(26) 및 하부핀(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결합부(31)에는
    상기 회전돌기(32)의 중심에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결합공(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32)는
    상기 결합공(35)을 중심으로 하면 일측에 탄성결합부(22)의 걸림면(23)에 걸리는 제 1걸이면(33)과
    상기 탄성수단에 구비된 상부핀(26)의 상면에 걸리는 제 2걸이면(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32)는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상기 탄성결합부(22)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2020090007546U 2009-06-11 2009-06-11 의자 KR200453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546U KR200453289Y1 (ko) 2009-06-11 2009-06-11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546U KR200453289Y1 (ko) 2009-06-11 2009-06-11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613U true KR20100012613U (ko) 2010-12-21
KR200453289Y1 KR200453289Y1 (ko) 2011-04-18

Family

ID=4424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546U KR200453289Y1 (ko) 2009-06-11 2009-06-11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2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340B1 (ko) * 2020-08-18 2020-12-11 (주)씨텍코리아 좌식의자
KR102247734B1 (ko) * 2020-11-11 2021-05-04 (주)퍼맥스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214B1 (ko) * 2019-05-09 2021-08-03 유대희 접이식 의자의 등받이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0817B2 (ja) * 1995-04-07 1998-03-04 コクヨ株式会社 椅 子
KR200336085Y1 (ko) 2003-09-25 2003-12-18 이규윤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340B1 (ko) * 2020-08-18 2020-12-11 (주)씨텍코리아 좌식의자
KR102247734B1 (ko) * 2020-11-11 2021-05-04 (주)퍼맥스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289Y1 (ko) 2011-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5177B2 (ja) 姿勢保持具
US6217121B1 (en) Therapeutic cushioning device
JP3215722U (ja) 椅子
JP2017140386A (ja) 椅子用の背中支持体
EP3294097A1 (en) Seating device having a tilt mechanism
US20060152061A1 (en) Structure of a seat of a chair
KR200453289Y1 (ko) 의자
KR102111209B1 (ko) 등쿠션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US20150021971A1 (en) Internal support for a backrest for a chair
CN106963164A (zh) 一种自适应调整人体工学腰靠
KR102200425B1 (ko) 자립형 등받이 쿠션
KR100722991B1 (ko)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JP7217110B2 (ja) 椅子
KR100942429B1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KR101826277B1 (ko) 탄성보강부재가 구비된 소파
CN113995264A (zh) 一种泡棉沙发
KR101670655B1 (ko) 의자용 등받이
CN207270149U (zh) 一种自适应调整人体工学腰靠
KR100526444B1 (ko) 의자 등받이 및 좌판의 탄성 결합 구조
KR102073647B1 (ko) 의자용 좌판쿠션
CN110638241A (zh) 一种舒适型座椅
KR100734166B1 (ko) 체형에 따라 조절 가능한 의자
CN216316679U (zh) 一种泡棉沙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