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879B1 - 정보 입력 보조 시트,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인쇄 관련 출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입력 보조 시트,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인쇄 관련 출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879B1
KR101229879B1 KR1020107005261A KR20107005261A KR101229879B1 KR 101229879 B1 KR101229879 B1 KR 101229879B1 KR 1020107005261 A KR1020107005261 A KR 1020107005261A KR 20107005261 A KR20107005261 A KR 20107005261A KR 101229879 B1 KR101229879 B1 KR 101229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ot pattern
infrared
auxiliary sheet
inform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5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2526A (ko
Inventor
켄지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켄지 요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켄지 요시다 filed Critical 켄지 요시다
Publication of KR20100052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06F3/0321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by optically sensing the absolute position with respect to a regularly patterned surface forming a passive digitiser, e.g. pen optically detecting position indicative tags printed on a paper she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하고 저비용이면서 입력 정밀도 및 입력 효율이 극히 높고, 장착 대상을 선택하지 않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일면측으로부터의 적외선을 반사함과 동시에,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적외선 반사층과,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일면측에 설치되고,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 오퍼레이션 지시 중 하나 이상을 인식시키기 위해서 도트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적외선 흡수 특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트를 소정의 규칙에 준거하여 배열한 도트 패턴층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정보 입력 보조 시트,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인쇄 관련 출력 시스템 {INFORMATION INPUT HELP SHEE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THE INFORMATION INPUT HELP SHEET, AND PRINT-ASSOCIATED OUTPUT SYSTEM USING THE INFORMATION INPUT HELP SHEET}
본 발명은 도트 패턴이 인쇄된 시트와, 상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퍼스널 컴퓨터, PDA, 휴대 단말 등의 오퍼레이션에 있어서, 화면에 직접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으로 입력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예를 들면, 터치펜이 조작된 좌표를 감압식(減壓式) 또는 광학식(光學式)의 터치 패널로 인식하여, 그 제어를 제어 수단에 통지하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터치 패널 기술은, 사용하는 부품·재료가 고가(高價)였고, 그 대부분이 하드웨어와 일체적으로 제조되는 것이었으며, 그 때문에, 터치 패널을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나 ATM 등의 장치는, 매우 고가의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위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터치 패널도 일부 개발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특허문헌1>일본특허공개제1998-171600호공보 <특허문헌2>일본특허공개제2001-92595호공보
그러나, 이미 사용되고 있는 하드웨어에 터치 패널을 장착하는 경우, 고가인 동시에 기종(機種)이나 사용 조건이 한정되어 있어서 널리 간이하게 사용할 수 없었다. 게다가, 디스플레이 위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한 터치 패널에 있어서도, 감압식의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터치 패널 입력에 의한 반응이 양호하지 않고, 손가락으로 직접 터치하기 때문에 터치 패널 그 자체가 더러워지고, 디스플레이의 인식성이 나빠진다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탈착식의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상에 장착하는 것 밖에 제안되어 있지 않았고, 그 이외의 인쇄물 혹은 매체 상에서 이용하는 것은 전혀 제안되어 있지 않았다.
그래서, 간이하고 저비용이면서, 입력 정밀도 및 입력 효율이 극히 높고, 장착 대상을 선택하지 않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예를 들면 기존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배치된다. 유저가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통상적인 사이즈 등의 아이콘 등을 스캐너 펜으로 터치하면, 그 아이콘 등에 대응한 정보가 출력된다.
또한, 이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예를 들면 기존의 인쇄물 위에 덮어서 사용된다. 유저가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통하여 인쇄물 상의 문자나 도안을 스캐너 펜으로 터치하면, 그 문자나 도안에 대응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으로부터 출력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터치 패널이면, 손가락으로 아이콘을 터치하기 때문에, 아이콘도 크게 설치되어 있고, 입력 시의 오차의 허용 범위가 크며, 터치 패널의 입력 정밀도는 그다지 높게 할 필요는 없었다.
그러나, 기존의 화면 표시나 인쇄물과 동시에 이용하는 것도 상정(想定)되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에서는, 기존의 아이콘 표시나 인쇄물의 표시가 터치에 의한 지시를 고려한 것이 아니고, 표시가 작기 때문에, 표시된 화상(畵像)이나 인쇄된 도안을 터치할 때에는, 높은 입력 정밀도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이하고 저비용이면서 입력 정밀도 및 입력 효율이 극히 높고, 장착 대상을 선택하지 않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 및 간이한 방법에 의해, 정보 입력 보조 시트와 화면 또는 인쇄물과의 종횡비(縱橫比)를 정확하게 대응짓고, 높은 입력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청구항 1은, 인쇄물의 인쇄면 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물의 화상 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에 관련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서, 광학 독취(讀取) 장치로 독취되는 도트 패턴이 설치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로서, 일면측으로부터의 적외선을 반사함과 동시에, 가시광(可視光)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적외선 반사층과,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일면측에 설치되고,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 오퍼레이션 지시 중 하나 이상을 위해, 도트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적외선 흡수 특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트를 소정의 규칙에 준거하여 배열한 도트 패턴층으로 이루어지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이에 의하면,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배치한 매체면 상에서의 적외선의 흡수·투과 등의 특성이 영향을 받지 않고, 적외선 조사(照射) 수단으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을 반사시켜, 밝고 선명한 도트 패턴만을 촬영할 수 있으며, 도트 코드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간이하고 저비용의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는, 상기 적외선 반사층과 도트 패턴층과의 사이에, 가시광을 투과함과 동시에 상기 적외선을 확산시키는 적외선 확산층이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이에 의하면, 적외선 반사층에서 조사(照射)한 적외선이 경면(鏡面) 반사하여 렌즈에 입사(入射)할 수 없는 촬영 영역에 있어서도, 조사한 적외선을 확산 반사시킴으로써 적외선을 렌즈 내에 균일하게 입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은, 상기 도트 패턴층의 일면측에, 가시광을 투과함과 동시에 적외선광을 확산시키는 적외선 확산층이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이에 의하면, 적외선 반사층의 상면에 도트 패턴층을 설치한 후에, 적외선 확산층을 설치하는 것, 혹은, 적외선 확산층의 이면(裏面)에 도트 패턴층을 설치한 후에 적외선 반사층을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적외선 확산층이 도트 패턴층의 간이적인 보호층으로서의 기능도 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는, 인쇄물의 인쇄면 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물의 화상 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에 관련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서, 광학 독취 장치로 독취되는 도트 패턴이 설치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로서, 일면측으로부터의 적외선을 확산 반사함과 동시에,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적외선 확산 반사층과, 상기 적외선 확산 반사층의 일면측에 설치되고,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 오퍼레이션 지시 중 하나 이상을 인식시키기 위해서 도트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적외선 흡수 특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트를 소정의 규칙에 준거하여 배열한 도트 패턴층으로 이루어지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이에 의하면, 1 층에서 적외선이 조사된 방향으로 적외선을 반사하고 확산시킬 수 있으며,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보다 얇게 하며,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의 제조 공정을 줄여 저비용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는, 상기 도트 패턴층의 일면측에, 적외선광 및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보호층이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은, 상기 적외선 확산층의 일면측에, 적외선광 및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보호층이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이에 의하면, 도트의 마모(磨耗)나 오염을 방지하고, 시트를 장기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은, 상기 적외선 반사층은, 타면측으로부터의 적외선도 반사하는 특성을 갖고 있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은, 상기 적외선 확산 반사층은, 타면측으로부터의 적외선도 반사하는 특성을 갖고 있는 청구항 4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장착한 디스플레이 화면이나 스크린으로부터의 적외선을 차단하고, 적외선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된 적외선광만을 조사광으로 할 수 있으며, 밝고 선명한 도트 패턴만을 촬영할 수 있고, 도트 코드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9는, 인쇄물의 인쇄면 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물의 화상 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에 관련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서, 광학 독취 장치로 독취되는 도트 패턴이 설치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로서, 각각의 면으로의 적외선을 각각의 방향으로 반사함과 동시에,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적외선 반사층과,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양면에 설치되고,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 오퍼레이션 지시 중 하나 이상을 인식시키기 위해서 도트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적외선 흡수 특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트를 소정의 규칙에 준거하여 배열한 도트 패턴층으로 이루어지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이에 의하면,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양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부터, 표리(表裏)를 구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에게 있어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은, 상기 적외선 반사층과 각각의 면의 도트 패턴층과의 사이에, 가시광을 투과함과 동시에 각각의 방향으로부터의 적외선광을 확산시키는 적외선 확산층이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9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이에 의하면, 적외선 반사층에서 조사한 적외선이 경면 반사하여 렌즈에 입사할 수 없는 촬영 영역에 있어서도, 조사한 적외선을 확산 반사시킴으로써, 적외선을 렌즈 내에 균일하게 입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은, 상기 각각의 면의 도트 패턴층의 더욱 외면(外面)에, 가시광을 투과함과 동시에 각각의 방향으로부터의 적외선광을 확산시키는 적외선 확산층이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9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이에 의하면, 적외선 반사층의 상면에 도트 패턴층을 설치한 후에, 적외선 확산층을 설치하는 것, 혹은, 적외선 확산층의 이면에 도트 패턴층을 설치한 후에 적외선 반사층을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도트 패턴층의 간이적인 보호층으로서의 기능도 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는, 인쇄물의 인쇄면 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물의 화상 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에 관련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서, 광학 독취 장치로 독취되는 도트 패턴이 설치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로서, 각각의 면으로의 적외선을 확산 반사함과 동시에,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적외선 확산 반사층과, 상기 적외선 확산 반사층의 양면에 설치되고,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 오퍼레이션 지시 중 하나 이상을 인식시키기 위해서 도트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적외선 흡수 특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트를 소정의 규칙에 준거하여 배열한 도트 패턴층으로 이루어지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이에 의하면, 1 층에서 적외선이 조사된 방향으로 적외선을 반사하며 확산시킬 수 있고,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보다 얇게 하며,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의 제조 공정을 줄여 저비용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3은, 상기 각각의 면의 상기 도트 패턴층의 더욱 외면에, 각각의 방향으로부터의 적외선광 및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보호층이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9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4는, 상기 각각의 면의 상기 적외선 확산층의 더욱 외면에, 각각의 방향으로부터의 적외선광 및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보호층이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이에 의하면, 도트의 마모나 오염을 방지하고, 시트를 장기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5는, 상기 도트 패턴은, 적외선 반사층의 일면측과 타면측에서, 다른 좌표치 및 코드치 중 하나 이상이 패턴화되어 있는 형태를 구비한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2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이에 의하면, 1 매의 정보 입력 보조 시트로 2 종류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편리성, 유연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16은, 상기 도트 패턴층 또는 기타의 층에, 적외선 투과 재료 또는 적외선 반사 재료로 이루어지는 잉크로 텍스트, 일러스트,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중첩 인쇄되어 있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7은, 상기 도트 패턴층 또는 기타의 층에, 적외선 투과 재료 또는 적외선 반사 재료로 이루어지는 잉크로 텍스트, 일러스트,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중첩 인쇄되어 있는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12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이에 의하면,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의 도트 패턴에 조작 버튼 등의 아이콘이나 그림 등을 중첩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화한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또는 오퍼레이션 지시를 명시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사용 용도를 넓히고 편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8은,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반(反)도트 패턴층측에는, 점착층이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1 또는 9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9는, 상기 적외선 확산 반사층의 반(反)도트 패턴층측에는, 점착층이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4 또는 12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이에 의하면,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디스플레이 등에 용이하게 첩부(貼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0은, 상기 도트 패턴은, XY 좌표치 및 코드치 중 하나 이상을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패턴화한 도트 패턴인 청구항 1, 4, 9 및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이에 의하면, 스캐너로 터치된 위치의 좌표 정보 및/또는 코드 정보를 독취하고, 터치 위치를 인식하며, 대응한 오퍼레이션 지시를 수행함과 동시에,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간이하게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1은,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정보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 상의 도트 패턴을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읽어들임으로써,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부터 독취된 도트 패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의 보조 입력을 수행하는 청구항 1, 4, 9 및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이다.
이에 의하면, 도트 패턴을 형성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부착하여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터치하기만 하면, 터치 패널로서의 기능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간이하면서 저비용인 정보 처리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2는,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텍스트나 일러스트, 사진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 상의 도트 패턴의 XY 좌표치 및 코드치 중 하나 이상을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읽어들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의 서식 정보 상에서의 xy 좌표로 변환함으로써,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터치한 위치의 컨텐츠 특정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컨텐츠 특정 정보에 관련한 컨텐츠 관련 정보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청구항 1, 4, 9 및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컨텐츠 관련 정보 출력 시스템이다.
이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배치하고,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터치하기만 하면, 디스플레이 상의 텍스트나 일러스트, 사진 등을 특정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화면에 표시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홈 페이지 등에서 링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텍스트나 일러스트, 사진, 주소 등이라고 하더라도, 터치함으로써, 그들에 관련하는 정보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유저에게 있어서 보다 편리성이 높아진다. 한편, 컨텐츠 특정 정보는 오퍼레이션을 지시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청구항 23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PDA, 텔레비전 수신 장치, 프론트 및 리어 프로젝터(rear projector), 게임 장치, 가라오케 장치, 휴대 전화 단말 장치, POS 단말 장치, ATM, KIOSK 단말, 카 내비게이션, 슬롯 머신, 시계, 스마트 폰 중 어느 하나이며,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또는 스크린의 표시 화면 상에 부착된 청구항 21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24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PDA, 텔레비전 수신 장치, 프론트 및 리어 프로젝터(rear projector), 게임 장치, 가라오케 장치, 휴대 전화 단말 장치, POS 단말 장치, ATM, KIOSK 단말, 카 내비게이션, 슬롯 머신, 시계, 스마트 폰 중 어느 하나이며,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또는 스크린의 표시 화면 상에 부착된 청구항 22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출력 시스템이다.
이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나 스크린을 갖는 모든 장치에,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출력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5는,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인쇄물의 인쇄면 상에 덮어서 사용되고,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 상의 도트 패턴을 도트 패턴 독취 수단에 의해 독취하고, 인식한 인쇄면 상의 XY 좌표와, 상기 인쇄물을 특정하는 인쇄물 특정 정보로부터 인쇄 정보 상에서의 xy 좌표로 변환함으로써 인쇄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쇄 정보에 관련한 정보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청구항 1, 4, 9 및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인쇄 관련 정보 출력 시스템이다.
이에 의하면, 책이나 잡지, 신문 등의 인쇄물에 직접 도트 패턴을 인쇄하지 않더라도,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터치하고 독취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의 도트 패턴의 XY 좌표치를, 특정한 인쇄 정보 상(DTP 파일 등)에서의 xy 좌표치로 변환함으로써, 터치한 위치의 인쇄물에 기재된 텍스트, 일러스트, 사진 등을 인식하고, 인식한 인쇄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 화상 정보 등의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자 사전이나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미리 설정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관련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미리, 텍스트, 일러스트, 사진 등의 인쇄 정보를 XY 좌표치로 특정하는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No.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해 두면,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독취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의 도트 패턴의 XY 좌표치로 멀티미디어 정보 파일을 검색하여 관련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인식한 인쇄 정보는 오퍼레이션을 지시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청구항 26은,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인쇄물의 인쇄면 상에 덮어서 사용되고, 상기 인쇄물의 인쇄면을 특정하는 인덱스를 상기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이, 도트 패턴과 함께 중첩 인쇄된 청구항 25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인쇄 관련 정보 출력 시스템이다.
이에 의하면, 인쇄물의 페이지 No. 등의 정보를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페이지 No.를 특정하는 인덱스를 키보드 등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어지고, 보다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편리성이 높은 간이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아이콘이란, 직사각형(矩形), 원형, 기타의 도형 중에, 텍스트, 일러스트 또는 기호로 특정의 의미를 인식시키는 영역을 의미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7은,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씰(seal) 형상, 카드 형상, 서표(書標) 형상, 부전지(附箋紙)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가공된 매체이며, 상기 매체 상의 도트 패턴을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독취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 오퍼레이션 지시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청구항 1, 4, 9 및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이다.
이에 의하면,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여, 보다 편리성, 유연성이 풍부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28은, 씰 형상, 카드 형상, 서표 형상, 부전지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가공된 청구항 1, 4, 9 및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이에 의하면,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여러 가지 형태로 가공하여, 보다 편리성, 유연성이 풍부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29는,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1 개 또는 2 개 이상의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 상의 도트 패턴을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읽어들임으로써,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부터 독취된 도트 패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의 보조 입력을 수행하는 청구항 1, 4, 9 및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이다.
이에 의하면,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하여,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thin client system)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로부터 영상이나 화상이 전송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일반의 텔레비전 모니터나 스크린에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부착하여,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저렴한 입출력 단말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씬 클라이언트 형식의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0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복수의 디스플레이와의 접속이, 유선 방식 혹은 무선 방식인 청구항 29에 기재한 정보 처리 시스템이다.
이에 의하면, 설치 환경에 맞추어 저렴한 비용의 유선 방식과 편리성이 높은 무선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1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도트 패턴 독취 수단의 접속이, 유선 방식 혹은 무선 방식인 청구항 29에 기재한 정보 처리 시스템이다.
이에 의하면, 설치 환경에 맞추어 저렴한 비용의 유선 방식과 편리성이 높은 무선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2는,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XY 좌표치와 함께 각 디스플레이를 식별하는 코드치가 도트 패턴으로서 인쇄되어 있고,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독취한 상기 코드치 및 XY 좌표치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고, 어느 디스플레이인지를 인식하여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디스플레이 개개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 오퍼레이션 지시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하고, 출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청구항 29에 기재한 정보 처리 시스템이다.
이에 의하면, 도트 패턴 중에 좌표치와 코드치를 조합한 도트 패턴을 인쇄하고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를 식별하는 것과,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 처리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3은,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디스플레이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XY 좌표가 도트 패턴으로서 인쇄되어 있고,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독취한 상기 XY 좌표치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고, 디스플레이를 특정하여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디스플레이 개개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 오퍼레이션 지시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하고, 출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청구항 29에 기재한 정보 처리 시스템이다.
이에 의하면, 각 디스플레이에, XY 좌표치가 모두 다른 도트 패턴을 인쇄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가 배치되기 때문에, XY 좌표치만으로 디스플레이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4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케이스에, 각 디스플레이를 식별하는 코드치가 도트 패턴으로서 인쇄된 씰이 배치되어 있고,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독취한 상기 코드치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고, 어느 디스플레이인지를 인식하여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디스플레이 개개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 오퍼레이션 지시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하고, 출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청구항 29에 기재한 정보 처리 시스템이다.
이에 의하면, 씰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식별하기 때문에, 동일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하더라도 디스플레이의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트 패턴을 인쇄한 씰은, 정보 입력 보조 시트 상 혹은 디스플레이 케이스 등 어떠한 장소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범용의 컴퓨터, PDA, 휴대 전화 등, 모든 표시 수단을 구비한 장치를, 극히 용이하게 터치 패널식의 입력 수단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서적이나 카탈로그 등의 인쇄물 자체, 나아가서는 모든 매체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매체 자체에는 그 어떤 코드를 인쇄하는 일 없이, 극히 저비용으로, 매체의 부위에 관련한 텍스트, 일러스트, 사진, 음성,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의 출력이나, 기기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PDA, 은행 ATM 등, 모든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에 부착하여 이용함으로써, 터치 패널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인쇄물 상에 덮어서, 인쇄물에 기재된 정보에 관련하는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함으로써, 사전(辭典), 통신 판매의 카탈로그, 학습용 교재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정보 처리 장치인 범용적인 컴퓨터 시스템에,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드 시트(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도면이다.
도 2는 확산 반사에 대해 설명하는 단면도 (1)이다.
도 3은 확산 반사에 대해 설명하는 단면도 (2)이다.
도 4는 그리드 시트의 여러 가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양면에 도트 패턴층을 설치한 그리드 시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GRID 1의 도트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GRID 1에 있어서의 도트 패턴의 정보 도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GRID 1에 있어서의 도트 패턴의 포맷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GRID 1에 있어서의 정보 도트 및 그에 정의된 데이터의 비트 표시의 예이며,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0은 GRID 1에 있어서의 정보 도트 및 그에 정의된 데이터의 비트 표시의 예이며, (a)는 도트를 2 개, (b)는 도트를 4 개 및 (c)는 도트를 5 개 배치한 것이다.
도 11은 GRID 1에 있어서의 도트 패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a)는 정보 도트 6 개 배치형, (b)는 정보 도트 9 개 배치형, (c)는 정보 도트 12 개 배치형, (d)는 정보 도트 36 개 배치형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디렉션 도트의 도트 패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한쪽 면에만 도트 패턴층을 가진 그리드 시트를 인쇄물에 사용한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사용하는 그리드 시트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5는 양면에 도트 패턴층을 가진 그리드 시트를 인쇄물에 사용한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사용하는 그리드 시트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7은 유저가 그리드 시트를 터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유저가 시트를 터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그리드 시트를 디스플레이에 첩부하여, 스캐너로 터치한 컨텐츠 특정 정보를 인식하고, 관련 정보를 자동적으로 검색하고 출력하는 실시예에 대해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0은 디스플레이에 첩부하여 사용하는 그리드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그리드 시트를 프로젝터 시스템에 사용했을 경우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그리드 시트를 리어 프로젝터 시스템에 사용했을 경우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의 (a)는 그리드 시트를 휴대 단말에 사용했을 경우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며, 도 23의 (b)는 그리드 시트를 카 내비게이션에 사용했을 경우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그리드 시트를 이용한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5는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및 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디스플레이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캘리브레이션에 이용하는 그리드 시트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도 27은 디스플레이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도 28은 인쇄물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캘리브레이션에 이용하는 그리드 시트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도 29는 인쇄물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인 그리드 시트를 디스플레이에 장착하여 이용하는 실시예에 대해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은 정보 처리 장치인 범용적인 컴퓨터 시스템에, 그리드 시트를 이용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PC 등의 액정 디스플레이(LCD)나 CRT(브라운관) 등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그리드 시트를 첩부(貼付)한다. 그리드 시트는, 투명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이 도트 패턴은,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데, XY 좌표치 및/또는 코드치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패턴화한 것이다. 컴퓨터 본체에는, 도트 패턴 독취 수단인 스캐너가 접속되어 있다. 유저는, 투시(透視)한 화면의 지시에 따라서, 스캐너로 그리드 시트를 터치한다. 스캐너는, 도트 패턴을 읽어들이고, USB 케이블을 개재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송신하고, 퍼스널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는, 도트 패턴을 해석하여 그리드 시트 상의 XY 좌표치를 구하고, 나아가 디스플레이 상의 xy 좌표치로 변환하여, 좌표치의 정보로부터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본 시트에 의해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이 가능하게 되고, 비용이 저렴하면서 편리성이 뛰어난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인터넷의 사이트를 열람하고 있을 때, 링크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정보라고 하더라도, 관련 정보를 검색하여 참조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정보 처리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PDA, 텔레비전 수신 장치, 프론트 및 리어 프로젝터, 게임 장치, 가라오케 장치, 휴대 전화 단말 장치, POS 단말 장치, ATM, KIOSK 단말, 카 내비게이션, 슬롯 머신, 시계, 스마트 폰 등이어도 좋다. 이들에 있어서는,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또는 스크린의 표시 화면 상에 그리드 시트가 배치된다.
도 2는, 도 1에서 설명한 그리드 시트의 내부 구조에 대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스캐너로, 그리드 시트를 터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리드 시트는, 표시 장치 측으로부터, 적외선 반사층, 도트 패턴층, 보호용 투명 시트(보호층)가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은, 비닐, 염화비닐,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프로필렌 등, 가시광선을 투과하는 재료로 생성된 증착용(蒸着用) 투명 시트에, 적외선 반사 재료가 증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은, 스캐너의 적외선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하고 보호용 투명 시트를 투과한 적외선을, 스캐너에 대해서 반사시킴과 동시에, 가시광을 투과시킨다. 그와 함께, 표시 장치로부터의 적외선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스캐너의 적외선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된 적외선광만을 조사광으로 할 수 있고, 밝고 선명한 도트 패턴만을 촬영할 수 있으며, 도트 코드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다.
도트 패턴층에는, 카본 잉크 등의 적외선 흡수 특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트를 후술하는 소정의 규칙에 준거하여 배열한 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보호용 투명 시트는, 비닐, 염화비닐, PET, 폴리프로필렌 등,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투과하는 재료로 생성되어 있다. 도트 패턴을 반복하여 스캐너로 터치하면, 도트가 마모(磨耗)하고, 정확하게 도트 패턴을 독취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보호용 투명 시트를 설치함으로써, 도트의 마모와 오염을 방지하고, 시트를 장기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스캐너에는, 적외선 조사 수단인 IR-LED와, 그 반사광의 소정 파장 성분을 커트하는 IR 필터 및 촬상소자(撮象素子)인 C-MOS 센서 및 렌즈가 내장되어 있다. 스캐너는, 그리드 시트에 조사한 조사광의 반사광을 촬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트 패턴은 적외선을 흡수하는 특성을 갖는 잉크로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C-MOS 센서에서의 촬상 화상에서는, 도트의 부분만 검게 촬영되게 된다.
이 경우, 적외선 반사층으로서 적외선을 거울면 반사시키는 반사층은,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에 반사광이 입사되지 않고,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이 매우 검은 상태로 촬영되어버린다. 그 때문에, 도트 패턴을 빠짐없이 촬영할 수 없다. 따라서, 적외선을 확산 반사시켜 렌즈에 입사시킬 필요가 있다. 즉,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트 패턴 인쇄층과 적외선 반사층과의 사이에, 적외선 확산층을 설치한다. 이 적외선 확산층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R-LED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은, 적외선 반사층에서 경면 반사하고, 적외선 확산층에서 확산하여, 모든 촬영 영역의 반사광이 렌즈에 입사한다.
한편, 도 3의 (a)에 있어서는, 그리드 시트에 적외선 확산층을 설치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캐너의 촬영구에 적외선 확산 재료에 의한 필터를 설치해도 좋다.
도 4는 그리드 시트의 여러 가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적외선을 반사함과 동시에,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적외선 반사층과, 도트 패턴층으로 이루어지는 그리드 시트이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외선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한 적외선은, 우선 도트 패턴층의 도트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하, 도트부라고 함)에서 흡수되고, 그 이외의 영역에서는 투과한다. 다음에 투과한 적외선은 적외선 반사층에서 경면 반사하고, 도트부를 제외하고 도트 패턴층을 투과한다.
도 4의 (b)는, 적외선 반사층과 도트 패턴층과의 사이에는, 가시광을 투과함과 동시에 상기 적외선을 확산시키는 적외선 확산층이 설치되어 있는 그리드 시트이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외선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한 적외선은, 우선 도트 패턴층의 도트부에서 흡수되고, 그 이외의 영역에서는 투과한다. 다음에 투과한 적외선은 적외선 확산층에서 확산한 후, 적외선 반사층에서 경면 반사하고, 다시 적외선 확산층에서 확산하여 도트부를 제외하고 도트 패턴층을 투과한다.
도 4의 (c)는, 도트 패턴층의 일면측, 즉, 적외선 반사층의 반대측에는, 가시광을 투과함과 동시에 적외선광을 확산시키는 적외선 확산층이 설치되어 있는 그리드 시트이다.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외선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한 적외선은, 우선 적외선 확산층에서 확산한 후, 도트 패턴층의 도트부에서 흡수되고, 그 이외의 영역에서는 투과한다. 다음에 투과한 적외선은 적외선 반사층에서 경면 반사하고, 다시 도트부를 제외하고 도트 패턴층을 투과하여 적외선 확산층에서 확산한다.
도 4의 (d)는, 일면측으로부터의 적외선을 확산 반사함과 동시에,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적외선 확산 반사층과, 도트 패턴층으로 이루어지는 그리드 시트이다. 도 4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외선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한 적외선은, 우선 도트 패턴층의 도트부에서 흡수되고, 그 이외의 영역에서는 투과한다. 다음에 투과한 적외선은 적외선 확산 반사층에서 확산 반사하고, 도트부를 제외하고 도트 패턴층을 투과한다.
도 4의 (e)는, 도 4의 (a)에서 나타낸 그리드 시트의 도트 패턴층측의 외면에, 적외선광 및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보호층이 설치되어 있는 그리드 시트이다. 이러한 보호층을 설치함으로써, 도트의 마모나 오염을 방지하고, 시트를 장기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보호층은, 도 4의 도(a)뿐 아니라, 도 4의 (b)~(d)에서 나타낸 그리드 시트의 도트 패턴층측 외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4의 (f)는, 도 4의 (a)에서 나타낸 그리드 시트에 있어서, 도트 패턴층과 반대측으로부터의 적외선도 반사하는 특성을 갖고 있는 그리드 시트이다. 이러한 특성을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그리드 시트를 장착한 디스플레이 화면이나 스크린으로부터의 적외선을 차단하고, 적외선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된 적외선광만을 조사광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밝고 선명한 도트 패턴만을 촬영할 수 있고, 도트 코드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a)뿐 아니라, 도 4의 (b)~(e)에서 나타낸 그리드 시트에 있어서, 도트 패턴층과 반대측(타면측)으로부터의 적외선도 반사하는 특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 4의 (g)는, 도 4의 (a)에서 나타낸 그리드 시트에 있어서, 적외선 반사층의 반(反)도트 패턴층 측에는, 점착층이 설치되어 있는 그리드 시트이다. 점착층은, 분리 가능한 재질로 생성되어 있다. 상기 점착층은, 그리드 시트를 표시 장치나 매체에 첩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만 필요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쇄물 위에 올려놓거나, 끼우거나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요가 없다. 이러한 점착층을 설치함으로써, 그리드 시트를 디스플레이 등에 용이하게 첩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점착층은, 도 4의 (a)뿐 아니라, 도 4의 (b)~(e)에서 나타낸 그리드 시트의, 적외선 반사층의 반(反)도트 패턴층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5는 그리드 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트의 양면에 도트 패턴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의 (a)는, 각각의 면으로의 적외선을 각각의 방향으로 반사함과 동시에,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적외선 반사층과, 적외선 반사층의 양면에 설치된 도트 패턴층으로 이루어지는 그리드 시트이다. 이에 의해, 시트를 양면에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향상한다.
도 5의 (b)는, 적외선 반사층과 각각의 면의 도트 패턴층과의 사이에는, 가시광을 투과함과 동시에 각각의 방향으로부터의 적외선광을 확산시키는 적외선 확산층이 설치되어 있는 그리드 시트이다.
도 5의 (c)는, 적외선 반사층과 각각의 면의 도트 패턴층의 더욱 외면에 적외선 확산층이 설치되어 있는 그리드 시트이다.
도 5의 (d)는, 적외선 확산 반사층과, 적외선 확산 반사층의 양면에 설치된 도트 패턴층으로 이루어지는 그리드 시트이다.
도 5의 (e)는, 도 5의 (a)에서 나타낸 그리드 시트의 외면 양면에, 각각의 방향으로부터의 적외선광 및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보호층이 설치되어 있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이다.
한편, 보호층은, 도 5의 (a)뿐 아니라, (b)~(d)에서 나타낸 그리드 시트의 외면 양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5의 (f)는, 도 5의 (a)에서 나타낸 그리드 시트에 있어서, 적외선 반사층의 각각의 반(反)도트 패턴층 측, 즉, 그리드 시트의 외면 양면에, 점착층이 설치되어 있는 그리드 시트이다.
한편, 점착층은, 도 5의 (a)뿐 아니라, (b)~(e)에서 나타낸 그리드 시트의 외면 양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도 5의 (a)~(f)의 그리드 시트에 있어서의 각 층의 설명 및 반사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5의 (a)~(f)에 나타낸 그리드 시트에 있어서는, 적외선 반사층 또는 적외선 확산 반사층의 일면측과 타면측의 도트 패턴층에서는, 다른 좌표치 및/또는 코드치가 패턴화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4~5에 나타낸 그리드 시트에 있어서는, 도트 패턴층 또는 기타의 층에, 적외선 투과 재료 또는 적외선 반사 재료로 이루어지는 잉크로 텍스트, 일러스트, 사진 등이 중첩 인쇄되어 있어도 좋다.
<도트 패턴의 설명>
이러한 정보 입력 보조 시트에 인쇄된 도트 패턴에 대해, 도 6~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트 패턴의 설명 GRID 1>
도 6~도 11은 본 발명의 도트 패턴의 일례인 GRID 1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한편, 이들 도면에 있어서, 종횡 방향의 격자선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표시한 것이며, 실제의 인쇄면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도트 패턴(1)을 구성하는 키 도트(2), 정보 도트(3), 기준 격자점 도트(4) 등은 촬상 수단인 스캐너가 적외선 조사 수단을 갖고 있는 경우, 상기 적외광을 흡수하는 불가시(不可視) 잉크 또는 카본 잉크로 인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트 패턴의 정보 도트 및 그에 정의된 데이터의 비트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의 (a), 도 7의 (b)는 키 도트를 중심으로 배치한 정보 도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은, 도트 패턴(1)의 생성과, 그 도트 패턴(1)의 인식과, 이 도트 패턴(1)으로부터 정보 및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트 패턴(1)을 카메라에 의해 화상 데이터로서 집어넣고, 우선, 기준 격자점 도트(4)를 추출하고, 다음에 본래 기준 격자점 도트(4)가 있는 위치에 도트가 찍히지 않음으로써 키 도트(2)를 추출하고, 다음에 정보 도트(3)를 추출함으로써 디지털화하여 정보 영역을 추출하여 정보의 수치화를 꾀하고, 그 수치 정보로부터, 이 도트 패턴(1)에서 정보 및 프로그램을 출력시킨다. 예를 들면, 이 도트 패턴(1)으로부터 음성 등의 정보나 프로그램을, 정보 출력 장치, 퍼스널 컴퓨터, PDA 또는 휴대 전화 등으로 출력시킨다.
본 발명의 도트 패턴(1)의 생성은, 도트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수치 정보를 인식시키기 위해서 미세한 도트, 즉, 키 도트(2), 정보 도트(3), 기준 격자점 도트(4)를 소정의 규칙에 준거하여 배열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를 나타내는 도트 패턴(1)의 블록은, 키 도트(2)를 기준으로 5×5의 기준 격자점 도트(4)를 배치하고, 4 점의 기준 격자점 도트(4)에 둘러싸인 중심의 가상(假想) 격자점(5)의 주위에 정보 도트(3)를 배치한다. 이 블록에는 임의의 수치 정보가 정의된다. 한편, 도 6의 도시예에서는, 도트 패턴(1)의 블록(굵은 선 범위 내)을 4 개 병렬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도트 패턴(1)은 4 블록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기준 격자점 도트(4)는, 카메라로 이 도트 패턴(1)을 화상 데이터로서 집어넣을 때, 그 카메라의 렌즈의 일그러짐이나 기울기로부터의 촬상, 지면(紙面)의 신축, 매체 표면의 만곡(彎曲), 인쇄 시의 일그러짐을 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그러진 4 점의 기준 격자점 도트(4)를 원래의 정방형으로 변환하는 보정용의 함수(Xn, Yn)=f(Xn', Yn')를 구하고, 그 동일한 함수로 정보 도트(3)를 보정하여, 올바른 정보 도트(3)의 벡터를 구한다.
도트 패턴(1)에 기준 격자점 도트(4)를 배치하면, 이 도트 패턴(1)을 카메라로 집어넣은 화상 데이터는, 카메라가 원인이 되는 일그러짐을 보정하기 때문에, 왜율(歪率)이 높은 렌즈를 부착한 보급형의 카메라로 도트 패턴(1)의 화상 데이터를 집어 넣을 때에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트 패턴(1)의 면에 대해서 카메라를 기울여서 독취하더라도, 그 도트 패턴(1)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키 도트(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의 네 귀퉁이의 모서리부에 있는 4 개의 기준 격자점 도트(4)를 일정 방향으로 비켜 놓아 배치한 도트이다. 이 키 도트(2)는, 정보 도트(3)를 나타내는 1 블록 분의 도트 패턴(1)의 대표점이다. 예를 들면, 도트 패턴(1)의 블록의 네 귀퉁이의 모서리부에 있는 기준 격자점 도트(4)를 상방으로 0.1mm 비켜놓은 것이다. 다만, 이 수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트 패턴(1)의 블록의 대소(大小)에 따라 가변(可變)할 수 있는 것이다.
정보 도트(3)는 여러 가지의 정보를 인식시키는 도트이다. 이 정보 도트(3)는, 키 도트(2)를 대표점으로 하여, 그 주변에 배치함과 동시에, 4 점의 기준 격자점 도트(4)로 둘러싸인 중심을 가상 격자점(5)으로 하여, 이것을 시작점으로서 벡터에 의해 표현한 종점에 배치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이 정보 도트(3)는, 기준 격자점 도트(4)에 둘러싸이고,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가상 격자점(5)으로부터 0.1mm 떨어진 도트는, 벡터로 표현되는 방향과 길이를 갖기 위해서, 시계 방향으로 45도씩 회전시켜 8 방향으로 배치하고, 3 비트를 표현한다. 따라서, 1 블록의 도트 패턴(1)으로 3 비트×16 개=48 비트를 표현할 수 있다.
도 7의 (b)는, 도 6의 도트 패턴에 있어서, 1 개의 격자마다 2 비트를 갖는 정보 도트(3)의 정의의 방법이며, +방향 및 ×방향으로 도트를 비켜 놓아 각 2 비트의 정보를 정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래 48 비트의 정보를 정의할 수 있는데, 용도에 의해 분할하여 32 비트마다 데이터를 부여할 수 있다. +방향 및 ×방향의 편성에 의해 최대 216(약 65000) 가지의 도트 패턴 포맷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이에 한정되지 않고, 16 방향으로 배치하여 4 비트를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고, 여러 가지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키 도트(2), 정보 도트(3) 또는 기준 격자점 도트(4)의 도트의 직경은, 외관과, 종이 질에 대한 인쇄의 정밀도, 카메라의 해상도 및 최적의 디지털화를 고려하여, 0.05mm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촬상 면적에 대한 필요한 정보량과, 각종 도트(2, 3, 4)의 오인을 고려하여 기준 격자점 도트(4)의 간격은 세로·가로 0.5mm 전후가 바람직하다. 기준 격자점 도트(4) 및 정보 도트(3)와의 오인을 고려하여, 키 도트(2)의 편차는 격자 간격의 20% 전후가 바람직하다.
이 정보 도트(3)와, 4 점의 기준 격자점 도트(4)로 둘러싸인 가상 격자점과의 간격은, 인접하는 가상 격자점(5) 간의 거리의 15~30% 정도의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도트(3)와 가상 격자점(5) 간의 거리가 이 간격보다 가까우면, 도트끼리가 큰 덩어리로 인식되기 쉽고, 도트 패턴(1)으로서 외관이 불량해지기 때문이다. 반대로, 정보 도트(3)와 가상 격자점(5) 간의 거리가 이 간격보다 멀면, 인접하는 어떤 가상 격자점(5)을 중심으로 하여 벡터 방향성을 갖게 한 정보 도트(3)인지의 인정이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도트 패턴은, 4×4 개의 블록 영역으로 구성된 도트 패턴이며, 각 블록 내에는 2 비트의 정보 도트(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정보 도트(3)의 도트 코드 포맷을 나타낸 것이 도 8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도트 패턴 중에는, 패리티 체크, 코드치, X 좌표, Y 좌표가 기록되어 있다.
도 9는 정보 도트(3) 및 그에 정의된 데이터의 비트 표시의 예이며,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정보 도트(3)에 대해 기준 격자점 도트(4)로 둘러싸인 가상 격자점(5)로부터 장(長)·단(短)의 2 종류를 사용하고, 벡터 방향을 8 방향으로 하면, 4 비트를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긴 쪽이 인접하는 가상 격자점(5) 간의 거리의 25~30% 정도, 짧은 쪽은 15~20% 정도가 바람직하다. 다만, 장·단의 정보 도트(3)의 중심 간격은, 이들의 도트의 직경보다 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점의 기준 격자점 도트(4)로 둘러싸인 정보 도트(3)는, 외관을 고려하여 1 도트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외관을 무시하고 정보량을 많이 하고 싶은 경우는, 1 벡터마다, 1 비트를 할당하고, 정보 도트(3)를 복수의 도트로 표현함으로써, 다량의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심원 8 방향의 벡터에서는, 4 점의 격자 도트(4)에 둘러싸인 정보 도트(3)로 28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고, 1 블록의 정보 도트 16 개로 2128이 된다.
도 10은 정보 도트 및 그에 정의된 데이터의 비트 표시의 예이며, (a)는 도트를 2 개, (b)는 도트를 4 개 및 (c)는 도트를 5 개 배치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1은 도트 패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a)는 정보 도트 6 개 배치형, (b)는 정보 도트 9 개 배치형, (c)는 정보 도트 12 개 배치형, (d)는 정보 도트 36 개 배치형의 개략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도트 패턴(1)은, 1 블록에 16 개(4×4)의 정보 도트(3)를 배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 정보 도트(3)는 1 블록에 16 개 배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요로 하는 정보량의 대소 또는 카메라의 해상도에 따라, 정보 도트(3)를 1 블록에 6 개(2×3) 배치한 것(a), 정보 도트(3)를 1 블록에 9 개(3×3) 배치한 것(b), 정보 도트(3)를 1 블록에 12 개(3×4) 배치한 것(c), 또는 정보 도트(3)를 1 블록에 36 개 배치한 것(d)이 있다.
<도트 패턴의 설명 디렉션 도트>
다음에, 도트 패턴의 다른 형태인 디렉션 도트에 대해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도트 패턴은, 블록의 형상에 의해, 도트 패턴의 방향을 정의한 것이다. 도 12의 (a)에 있어서, 우선 기준점(48a~48e)이 배치되어 있다. 이 기준점(48a~48e)을 연결하는 선에 의해 블록의 방향을 나타내는 형상(여기에서는 상방을 향한 오각형)이 정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준점에 근거하여 가상 기준점(48f, 48g, 48h)이 배치되고, 이 가상 기준점을 시작점으로서 방향과 길이를 갖는 벡터 종점에 정보 도트(3)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12의 (a)에서는, 블록의 방향을 기준점의 배치의 방법에 의해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의 방향이 정의되는 디렉션 도트에 의해, 블록 전체의 크기도 정의되게 된다.
한편, 도 12의 (a)에 있어서는, 기준점(48a~48e)과 정보 도트(3)는 모두 동일 형상의 것으로 설명했는데, 기준점(48a~48e)을 정보 도트(3)보다 큰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이 기준점(48a~48e)과 정보 도트(3)는 식별 가능하면 어떠한 형상으로 해도 좋고, 삼각형, 사각형 그 이상의 다각형이어도 무방하다.
도 12의 (b)는, 블록의 가상 격자점 상에 정보 도트가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정보를 정의한 것이다.
한편, 도 12의 (c)는, 도 12의 (a)에 나타낸 블록을 종횡 방향으로 2 개씩 연결한 것이다.
도 13~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리드 시트를 인쇄물 상에 덮어서 사용한다.
도 13은, 도트 패턴이 한쪽 면에만 인쇄된 그리드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유저는, 책이나 잡지, 신문 등의 인쇄물 상에, 그리드 시트를 덮어서 사용한다.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에서 보아서 우측의 페이지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에서 보아서 좌측의 페이지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유저는, 시트의 위(表)측을 위를 향하여 사용한다.
도 14의 (a)는, 그리드 시트의 겉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드 시트는, 거의 전역(全域)에 XY 좌표를 의미하는 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고, 하부에는, 0에서 9까지의 숫자 및 「페이지 입력」 「결정」 「중지」의 문자가 기재된 아이콘과, 코드치를 의미하는 도트 패턴이 중첩 인쇄되어 있다. 이 아이콘은, 인쇄물을 특정하는 인덱스를 스캐너로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도 14의 (b)는, 그리드 시트의 종단면도이다. 본 그리드 시트는, 이면측으로부터, 보호용 투명 시트, 투명 적외선 확산 반사층, 도트 패턴+그래픽 인쇄층, 보호용 투명 시트가 층이 되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그래픽 인쇄층이란, 가시적인 인쇄층을 말한다.
도 15는, 도트 패턴이 양면(兩面)에 인쇄된 그리드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는, 그리드 시트를 끼워 넣은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우선 오른쪽 페이지에 그리드 시트를 사용할 때에는,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리드 시트를 오른쪽 페이지에 덮는다. 그러면, 우측에 아이콘이 인쇄되어 있는 면이 위가 된다. 다음에, 왼쪽 페이지에 그리드 시트를 사용할 때에는,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리드 시트를 끼워 넣은 상태로, 그리드 시트를 좌측으로 넘긴다. 그러면, 좌측에 아이콘이 인쇄된 면이 위가 된다. 한편, 아이콘은 양면에 잉크로 인쇄되어 있다.
도 16의 (a)은, 그리드 시트의 겉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16의 (b)는 이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드 시트의 겉면은, 거의 전역에 XY 좌표를 의미하는 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고, 우측부에는, 0에서 9까지의 숫자 및 「페이지 입력」 「결정」 「중지」의 문자가 기재된 아이콘과, 코드치를 의미하는 도트 패턴이 중첩 인쇄되어 있다. 이 아이콘은, 인쇄물을 특정하는 인덱스를 스캐너로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그리드 시트의 이면은, 거의 전역에 XY 좌표를 의미하는 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고, 좌측부에, 표면과 동일한 아이콘과 도트 패턴이 중첩 인쇄되어 있다.
도 16의 (c)는, 그리드 시트의 단면도이다. 본 그리드 시트는, 이면측으로부터, 보호용 투명 시트, 도트 패턴+그래픽 인쇄층, 적외선 확산 반사층, 도트 패턴+그래픽 인쇄층, 보호용 투명 시트가 층이 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17은, 유저가 그리드 시트를 터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는, 인쇄물 상에 그리드 시트를 덮고, 그리드 시트를 스캐너로 터치한다. 스캐너 내의 중앙 처리 장치(CPU)는, 도트 패턴을 해석하여, 좌표치 및/또는 코드치로 변환하고, USB 케이블을 개재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송신한다. 한편, 퍼스널 컴퓨터 내의 중앙 처리 장치로 좌표치 및/또는 코드치로 해석·변환해도 무방하다.
좌표치는, 도트 좌표계에 있어서의 XY 좌표의 값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그리드 시트에 인쇄된 아이콘에 터치하여 인쇄물 지면을 특정하는 인덱스(페이지, 타이틀 등)를 입력하거나, 혹은, 키보드로 입력하는 인덱스의 코드치는, 예를 들면, 인쇄물 지면의 페이지수를 의미하고 있다. 그래서, n페이지가 지정되었다고 하자. 미리, 텍스트, 일러스트, 사진 등의 인쇄 정보를 XY 좌표치로 특정하는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No.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해 두면, 스캐너로 독취한 그리드 시트의 도트 패턴의 XY 좌표치를 토대로, 퍼스널 컴퓨터 내의 중앙 처리 장치는, 하드 디스크 내에 격납되어 있는 도트 좌표-마스크 No. 대응 테이블[도 17의 (b)]을 참조한다. 상기 테이블은, 페이지마다 설치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n페이지의 도트 좌표-마스크 No. 대응 테이블을 참조한다. 그리고, 터치 위치의 마스크 No.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도 17의 (b)에 나타낸 십자 부분이 터치 위치인 경우, 마스크 No.는 1이다. 다음에, 도 17의 (c)에 나타내는 페이지 No. -마스크 No-멀티미디어 정보 파일 대응 테이블을 참조한다. 상기 테이블에서는, 페이지 No. 와 마스크 No. 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정보 파일이 등록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n페이지의 마스크 1에는 Web 주소가 등록되어 있고, n페이지의 마스크 2에는 로컬의 드라이브와 실행 파일이 등록되어 있다. 상기 테이블로부터, 페이지 No.와 마스크 No.에 대응한 멀티미디어 정보 파일을 검색하고 출력한다. 즉, 페이지 No.가 n에서 마스크 No.가 1이므로, 등록된 Web 주소에 있어서의 Web 페이지가 표시된다.
도 18은, 유저가 시트를 터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서는, 일례로서, 문장 중에 「도쿄」라고 기재되어 있는 인쇄물에 있어서, 「도쿄」의 문자를 터치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리드 시트에 인쇄된 아이콘에 터치하여 인쇄물 지면을 특정하는 인덱스를 입력하거나, 혹은, 키보드로 인덱스를 입력하여 인쇄물 지면을 특정하고, 유저는 인쇄물 상에 그리드 시트를 덮고, 「도쿄」라고 기재되어 있는 부분의 도트 패턴을 스캐너로 터치한다. 그러면 스캐너 내의 중앙 처리 장치(CPU)는, 도트 패턴을 해석하여, 좌표치 및/또는 코드치, 도트 XY 좌표로 변환하고, USB 케이블을 개재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송신한다. 한편, 퍼스널 컴퓨터 내의 중앙 처리 장치로 좌표치 및/또는 코드치로 해석·변환해도 좋다.
퍼스널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는, 상기에 의해 얻어진 인쇄물 지면 ID와 도트 XY 좌표를, 인쇄 정보 상의 DTPxy 좌표(인쇄물의 원래 데이터인 DTP면 상에서의 xy 좌표)로 변환한다.
다음에 퍼스널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는, 네트워크(NW)를 개재하여 도큐먼트 관리 서버에 액세스한다. 도큐먼트 관리 서버에는, 각 인쇄물 지면에 대응한 DTP 파일이 격납되어 있다. 중앙 처리 장치(CPU)는, 도큐먼트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하는 인쇄물 지면(예를 들면, ID=n)의 DTP 파일을 꺼낸다. 그리고, ID=n의 DTP 파일에 있어서, 터치 위치(x, y)에 가장 가까운 DTP 좌표(xt, yt)를 선택하고 「도쿄」를 특정한다. DTP 좌표(xt, yt)는 텍스트 영역의 중심 위치의 좌표이다. DTP 좌표를 검색하면, 사전 서버에 액세스하고, 특정된 텍스트나 일러스트, 사진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 파일을 검색한다. 사전 서버에는, 텍스트나 일러스트, 사진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설명이나 URL, 멀티미디어 정보 등의 관련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도큐먼트 관리 서버의 중앙 처리 장치(CPU)는,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사전(辭典) 서버로부터 「도쿄」를 검색하고, 네트워크(NW)를 개재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자동적으로 관련 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상에, 「도쿄」에 관한 설명이 출력·표시된다.
이에 의하면, 인쇄물 상에 그리드 시트를 덮어서 그 위에 스캐너로 터치하기만 하면, 인쇄물 상의 텍스트나 일러스트, 사진 등의 상세한 설명을 화면에 표시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인쇄물에, 텍스트나 일러스트, 사진 등과 도트 패턴을 중첩 인쇄하여, 유저가 인쇄물을 스캐너로 터치함으로써, 터치한 문자 등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이미 인쇄된 매체를 취급할 수 없고, 새롭게 인쇄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인쇄물에 시트를 덮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인쇄물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인쇄물을 대상으로 1 매의 시트로 공통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높아진다.
도 19는, 그리드 시트를 디스플레이에 첩부하여, 스캐너로 터치한 컨텐츠 특정 정보를 인식하고, 관련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검색하여 출력하는 실시예에 대해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9에서는, 일례로서, 표시 화면 상에 표시된 「도쿄」의 문자를 터치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 화면 상에는, 그리드 시트가 첩부되어 있다. 유저는, 「도쿄」라고 표시되어 있는 부분의 도트 패턴을 스캐너로 터치한다. 그러면 스캐너 내의 중앙 처리 장치(CPU)는, 도트 패턴을 해석하여 XY 좌표로 변환하고, USB 케이블을 개재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송신한다. 이 XY 좌표는, 도트 좌표계에 있어서의 터치 위치의 XY 좌표치이다. 한편, 퍼스널 컴퓨터 내의 중앙 처리 장치에서 좌표치로 해석·변환해도 무방하다.
다음에 퍼스널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는, 네트워크(NW)를 개재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각 컨텐츠의 Web 서버에 액세스한다. Web 서버에는, 각 컨텐츠 파일이 격납되어 있다. 중앙 처리 장치는,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HTML, XML, 플래시 등)을 꺼낸다. 그리고, 꺼낸 컨텐츠 파일에 있어서, 도트 좌표계에 있어서의 터치 위치의 XY 좌표치를, HTML, XML, 플래시 등의 컨텐츠의 서식 정보에 있어서의 xy 좌표치로 변환한다.
한편,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이 퍼스널 컴퓨터 상에 있는 경우는, Web 서버에 액세스하여 컨텐츠 파일을 꺼낼 필요는 없다.
다음에, 터치 위치 좌표치(x, y)에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텍스트, 일러스트, 사진 등의 컨텐츠 특정 정보의 좌표치(xt, yt)를 검색한다. 컨텐츠 특정 정보의 좌표치(xt, yt)는, 컨텐츠 특정 정보의 중심 위치의 좌표이다. 컨텐츠 특정 정보를 인식하면, 인식된 텍스트나 일러스트, 사진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 파일 등의 컨텐츠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 화상 정보 등의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자 사전이나 미리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 사전 서버에는, 텍스트나 일러스트, 사진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설명이나 URL, 멀티미디어 정보 등의 컨텐츠 관련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중앙 처리 장치(CPU)는, 사전 서버로부터 「도쿄」를 검색하고, 네트워크(NW)를 개재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자동적으로 컨텐츠 관련 정보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상에, 「도쿄」에 관한 설명이 표시된다.
이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상에 그리드 시트를 배치하기만 하면, 디스플레이 상의 텍스트나 일러스트, 사진 등의 상세한 설명을 화면에 표시시킬 수 있다.
도 20은 이러한 실시예에 이용하는 그리드 시트의 종단면도이다. 그리드 시트는, 이면측으로부터, 점착층, 적외선 확산 반사층, 도트 패턴+그래픽 인쇄층, 보호용 투명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도 21은 그리드 시트를 프론트 프로젝터 시스템에 이용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린 상에, 그리드 시트를 첩부하여 이용한다. 스크린에는, 프로젝터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 표시된다. 프로젝터는 도시하지 않은 퍼스널 컴퓨터 혹은 영상 전송 시스템에 접속되어 있고, 이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된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크린의 임의의 위치를 터치하면, 그 위치의 도트 패턴이 스캐너에 읽혀 퍼스널 컴퓨터에서 좌표치로 변환된다. 퍼스널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장치 혹은 영상 전송 서버에서는, 좌표치와 명령 또는 주소 등이 대응지어진 인덱스 테이블을 참조하고, 그에 대응하는 주소에 규정된 멀티미디어 정보의 출력이나 오퍼레이션 지시가 수행된다.
도 22는, 리어 프로젝터용 패널을 이용한 예이며, 배후로부터 리어 프로젝터에 의해 영상을 투영하는 시스템이 되어 있다.
이 리어 프로젝터용 패널의 표면에는, 그리드 시트가 첩부되어 있다. 그리드 시트의 구조는, 도 20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리어 프로젝터용 패널에는, 리어 프로젝터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 표시된다. 리어 프로젝터는 도시하지 않은 퍼스널 컴퓨터 혹은 영상 전송 시스템에 접속되어 있고, 이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된 스캐너를 이용하여 리어 프로젝터용 패널의 임의의 위치를 터치하면, 그 위치의 도트 패턴이 스캐너에 읽혀 퍼스널 컴퓨터에서 좌표치로 변환된다. 퍼스널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장치 혹은 영상 전송 서버에서는, 좌표치와 명령 또는 주소 등이 대응지어진 인덱스 테이블을 참조하고, 그에 대응하는 주소에 규정된 멀티미디어 정보의 출력이나 오퍼레이션 지시가 수행된다.
도 23의 (a)는, 휴대 단말에 그리드 시트를 이용한 예이다.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그리드 시트를 첩부한다. 그리고, 무선 혹은, 케이블로 접속된 스캐너로, 그리드 시트를 터치한다. 그러면, 그 위치의 도트 패턴이 스캐너에 읽혀 스캐너 내 혹은, 휴대 단말 내에서 좌표치로 변환된다. 휴대 단말의 메모리 내 혹은, 휴대용 도트 코드 관리 서버에는, 좌표치와 명령 또는 주소 등이 대응지어진 인덱스 테이블이 격납되어 있다. 휴대 단말 내의 중앙 처리 장치는, 이 인덱스 테이블을 참조하고, 그에 대응하는 주소에 규정된 멀티미디어 정보의 출력이나 오퍼레이션 지시를 수행한다.
도 23의 (b)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에 그리드 시트를 이용한 예이다.
이와 같이 카 내비게이션 장치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캐너와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등에 의한 무선 통신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캐너는, 휴대 단말에 접속하여, 독취한 도트 패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휴대 단말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서버에 송신해도 좋다.
또한, 도 23의 (b)에 나타낸 카 내비게이션과, 인쇄물로서의 도트 패턴이 인쇄된 관광 가이드 등의 지도를 병용해도 무방하다.
도 24~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드 시트를 씬 클라이언트 방식에 이용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이다.
씬 클라이언트란, 유저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최소한의 기능만을 갖게 하고, 서버측에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나 파일 등의 자원(資源)을 관리하는 시스템의 총칭이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서버(정보 처리 장치)에,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접속하고 있다. 이 디스플레이에는, CPU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텔레비전 모니터나 퍼스널 컴퓨터용 디스플레이의 외에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가 첩부되어 있다. 서버와 각 디스플레이는, RDP, USB, BNC(Bayonet Neil Concelman) 등의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서버와 스캐너는,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접속되어 있다.
유저가, 스캐너로 그리드 시트의 도트 패턴을 터치하면, 그 위치의 도트 패턴이 스캐너에 읽혀져 스캐너 내에서 XY 좌표치로 변환된다. 서버의 하드 디스크 장치 내에는, XY 좌표치와 명령 또는 주소 등이 대응지어진 인덱스 테이블이 격납되어 있다. 서버의 중앙 처리 장치는, 이 인덱스 테이블을 참조하고, 그에 대응하는 주소에 규정된 멀티미디어 정보의 출력이나 오퍼레이션 지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표시 화면 상에 그리드 시트를 첩부함으로써, 디스플레이만의 간이한 단말 시스템으로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이 가능하다.
한편, 도트 패턴에는, XY 좌표치와 함께 코드치가 등록되어 있어도 좋다. 코드치는, 각 디스플레이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스캐너는, 도트 패턴을 독취하면, 코드치 및 XY 좌표치를 서버(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한다. 서버는, 코드치로부터 어느 디스플레이인지를 인식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개개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션 지시를 인식하고, 출력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도트 패턴에는, 디스플레이를 한결같이 식별하는 XY 좌표치가 도트 패턴으로서 인쇄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시트에는 큰 영역을 분할한 XY 좌표가 미리 인쇄되어 있고, 이 시트를 디스플레이 개개로 구별하여 사용한다. 즉, 디스플레이마다 XY 좌표치가 다르다. 스캐너로 독취한 XY 좌표치를 서버(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면, 서버는, XY 좌표치로부터 어느 디스플레이가 조작되었는지를 특정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개개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또는 오퍼레이션 지시를 인식하고, 출력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 각 디스플레이를 식별하는 코드치를 도트 패턴으로서 인쇄한 씰을 첩부해도 무방하다. 유저는, 씰을 터치한 후에, 그리드 시트를 터치한다. 씰의 도트 패턴에 등록된 코드치에 의해, 서버는, 어느 디스플레이가 조작되었는지를 특정한다. 다음에, 그리드 시트의 도트 패턴으로부터 송신된 XY 좌표치로부터, 유저의 터치 위치를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개개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션 지시를 인식하고, 출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씰은, 통상적인 도트 패턴이 인쇄된 종이의 점착 씰 또는 본 발명의 그리드 시트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재질의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씬 클라이언트 방식으로 함으로써, CPU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텔레비전 모니터나 퍼스널 컴퓨터용 디스플레이의 외에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캘리브레이션>
도 26~도 29는, 그리드 시트를 이용할 때 수행하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유저가 디스플레이 또는 인쇄물을 터치했을 때, 터치 위치에 표시되어 있던 지시를 정확하게 반영한 정보 출력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또는 인쇄물과, 그리드 시트와의 위치 관계를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디스플레이 또는 인쇄물의 좌표계와 그리드 시트의 좌표계를 적정하게 관련짓기 위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
도 26~도 27은,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도 26은, 그리드 시트에 캘리브레이션 마크를 설치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리드 시트의 일면측의 네 모서리 근방에는, 캘리브레이션용 마크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캘리브레이션용 마크는, 반드시 네 모서리 근방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2 이상의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고, 혹은, 중앙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2 이상의 모서리부와 중앙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2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는, 캘리브레이션용 마크에 커서를 이동하고, 마우스를 왼쪽 클릭한다. 퍼스널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는, 클릭된 위치를 인식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의 좌표계와 그리드 시트의 좌표계를 적정하게 관련짓는다. 이에 의해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된다.
도 26의 (b)에 있어서는, 캘리브레이션용 마크는, 탈착 가능한 투명 씰에 형성되어 있다. 유저는, 캘리브레이션 종료 후에, 도 2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씰을 그리드 시트로부터 박리(剝離)한다.
한편, 캘리브레이션용 마크는, 투명 씰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외에, 그리드 시트에 직접 인쇄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그리드 시트 상에 제거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캘리브레이션 종료 후에 그리드 시트 상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해도 좋다.
도 27은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에 캘리브레이션용 마크가 표시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도 2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네 모서리 근방에는, 캘리브레이션용 마크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캘리브레이션 마크는, 반드시 네 모서리 근방에 표시시킬 필요는 없고, 2 이상의 모서리부에 표시시키면 좋고, 혹은, 중앙에 표시시켜도 좋다. 또한, 2 이상의 모서리부와 중앙의 양쪽에 표시시켜도 좋다.
유저는, 도 2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캘리브레이션용 마크가 표시되어 있는 위치의 그리드 시트를 터치한다. 스캐너는, 그리드 시트 상의 도트 패턴을 읽어들여, 퍼스널 컴퓨터에 송신한다. 퍼스널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는, 송신된 도트 패턴으로부터 터치 위치의 도트 XY 좌표(X1, Y1)를 인식하고, 디스플레이의 좌표계와 그리드 시트의 좌표계를 적정하게 관련짓기 위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
한편, 캘리브레이션 종료 후에는, 캘리브레이션용 마크가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
도 28~도 29는, 인쇄물에 대해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도 28은, 인쇄물과, 인쇄물용의 그리드 시트의 양쪽에 캘리브레이션용 마크를 설치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도 2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리드 시트 및 인쇄물의 네 모서리 근방에는, 각각 캘리브레이션용 마크가 인쇄되어 있다. 한편, 캘리브레이션용 마크는, 반드시 네 모서리 근방에 인쇄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2 이상의 모서리부에 인쇄되어 있으면 좋다.
유저는, 도 2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쌍방의 캘리브레이션용 마크를 합치시켜, 그리드 시트를 인쇄물 상에 덮는다. 이에 의해, 인쇄물의 좌표계와 그리드 시트의 좌표계를 적정하게 관련짓기 위한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된다.
도 29는, 인쇄물에만 캘리브레이션용 마크가 인쇄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도 2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물의 네 모서리 근방에는, 각각 캘리브레이션용 마크가 인쇄되어 있다. 한편, 캘리브레이션용 마크는, 반드시 네 모서리 근방에 인쇄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2 이상의 모서리부에 인쇄되어 있으면 좋다.
유저는, 도 2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리드 시트를 인쇄물 상에 덮는다. 그리고, 스캐너를 상기 마크에 합치시킨다. 스캐너는, 그리드 시트 상의 도트 패턴을 읽어들여, 퍼스널 컴퓨터에 송신한다. 퍼스널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는, 송신된 도트 패턴으로부터 터치 위치의 XY 좌표(X1, Y1)를 인식하고, 인쇄물의 좌표계와 그리드 시트의 좌표계를 적정하게 관련짓기 위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
이러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그리드 시트의 좌표 위치와, 디스플레이 또는 인쇄물의 화상과의 위치 관계가 일치하고, 유저가 터치한 화상이나 문자에 대응한 정보의 출력이 정확하게 수행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 화면 등에 그리드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 점착제에 의해 첩부하여 이용하는 것 외에, 표시 화면 상부로부터 그리드 시트를 덮어 이용하는 등, 다른 방법에 의해 이용해도 좋다.
1 : 도트 패턴 2 : 키 도트
3 : 정보 도트 4 : 기준 격자점 도트
5 : 가상 격자점
48a, 48b, 48c, 48d, 48e : 기준 도트
48f, 48g, 48h : 가상 기준점

Claims (36)

  1. 인쇄물의 인쇄면 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물의 화상 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에 관련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서, 광학 독취 장치로 독취되는 도트 패턴이 설치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로서,
    일면측으로부터의 적외선을 반사함과 동시에,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적외선 반사층과,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일면측에 설치되고,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 오퍼레이션 지시 중 하나 이상을 위해, 도트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적외선 흡수 특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트를 소정의 규칙에 준거하여 배열한 도트 패턴층으로 이루어지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반사층과 도트 패턴층과의 사이에는, 가시광을 투과함과 동시에 상기 적외선을 확산시키는 적외선 확산층이 설치되어 있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패턴층의 일면측에는, 가시광을 투과함과 동시에 적외선광을 확산시키는 적외선 확산층이 설치되어 있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4. 인쇄물의 인쇄면 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물의 화상 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에 관련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서, 광학 독취 장치로 독취되는 도트 패턴이 설치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로서,
    일면측으로부터의 적외선을 확산 반사함과 동시에,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적외선 확산 반사층과,
    상기 적외선 확산 반사층의 일면측에 설치되고,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 오퍼레이션 지시 중 하나 이상을 인식시키기 위해서 도트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적외선 흡수 특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트를 소정의 규칙에 준거하여 배열한 도트 패턴층으로 이루어지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패턴층의 일면측에는, 적외선광 및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보호층이 설치되어 있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확산층의 일면측에는, 적외선광 및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보호층이 설치되어 있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반사층은, 타면측으로부터의 적외선도 반사하는 특성을 갖고 있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확산 반사층은, 타면측으로부터의 적외선도 반사하는 특성을 갖고 있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9. 인쇄물의 인쇄면 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물의 화상 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에 관련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서, 광학 독취 장치로 독취되는 도트 패턴이 설치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로서,
    각각의 면으로의 적외선을 각각의 방향으로 반사함과 동시에,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적외선 반사층과,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양면에 설치되고,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 오퍼레이션 지시 중 하나 이상을 인식시키기 위해서 도트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적외선 흡수 특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트를 소정의 규칙에 준거하여 배열한 도트 패턴층으로 이루어지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반사층과 각각의 면의 도트 패턴층과의 사이에는, 가시광을 투과함과 동시에 각각의 방향으로부터의 적외선광을 확산시키는 적외선 확산층이 설치되어 있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면의 도트 패턴층의 외면에는, 가시광을 투과함과 동시에 각각의 방향으로부터의 적외선광을 확산시키는 적외선 확산층이 더 설치되어 있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12. 인쇄물의 인쇄면 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물의 화상 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에 관련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서, 광학 독취 장치로 독취되는 도트 패턴이 설치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로서,
    각각의 면으로의 적외선을 확산 반사함과 동시에,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적외선 확산 반사층과,
    상기 적외선 확산 반사층의 양면에 설치되고,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 오퍼레이션 지시 중 하나 이상을 인식시키기 위해서 도트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적외선 흡수 특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트를 소정의 규칙에 준거하여 배열한 도트 패턴층으로 이루어지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면의 상기 도트 패턴층의 외면에는, 각각의 방향으로부터의 적외선광 및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보호층이 더 설치되어 있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면의 상기 적외선 확산층의 외면에는, 각각의 방향으로부터의 적외선광 및 가시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보호층이 더 설치되어 있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15. 제9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패턴은, 적외선 반사층의 일면측과 타면측에서는, 다른 좌표치 및 코드치 중 하나 이상이 패턴화되어 있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16.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패턴층 또는 상기 적외선 반사층에는, 적외선 투과 재료 또는 적외선 반사 재료로 이루어지는 잉크로 텍스트, 일러스트,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중첩 인쇄되어 있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17. 제4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패턴층 또는 상기 적외선 확산 반사층에는, 적외선 투과 재료 또는 적외선 반사 재료로 이루어지는 잉크로 텍스트, 일러스트,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중첩 인쇄되어 있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18.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반(反)도트 패턴층측에는, 점착층이 설치되어 있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19. 제4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확산 반사층의 반(反)도트 패턴층측에는, 점착층이 설치되어 있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20. 제1항, 제4항, 제9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패턴은, XY 좌표치 및 코드치 중 하나 이상을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패턴화한 도트 패턴인 정보 입력 보조 시트.
  21. 제1항, 제4항, 제9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정보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 상의 도트 패턴을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읽어들임으로써,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부터 독취된 도트 패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의 보조 입력을 수행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2. 제1항, 제4항, 제9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하여 컨텐츠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텍스트나 일러스트, 사진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 상의 도트 패턴의 XY 좌표치 및 코드치 중 하나 이상을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읽어들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의 서식 정보 상에서의 xy 좌표로 변환함으로써,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터치한 위치의 컨텐츠 특정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컨텐츠 특정 정보에 관련한 컨텐츠 관련 정보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출력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PDA, 텔레비전 수신 장치, 프론트 및 리어 프로젝터, 게임 장치, 가라오케 장치, 휴대 전화 단말 장치, POS 단말 장치, ATM, KIOSK 단말, 카 내비게이션, 슬롯 머신, 시계, 스마트 폰 중 어느 하나이고,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또는 스크린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PDA, 텔레비전 수신 장치, 프론트 및 리어 프로젝터, 게임 장치, 가라오케 장치, 휴대 전화 단말 장치, POS 단말 장치, ATM, KIOSK 단말, 카 내비게이션, 슬롯 머신, 시계, 스마트 폰 중 어느 하나이고,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또는 스크린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출력 시스템.
  25. 제1항, 제4항, 제9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인쇄 관련 출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인쇄물의 인쇄면 상에 덮어서 사용되고,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 상의 도트 패턴을 도트 패턴 독취 수단에 의해 독취하고, 인식한 인쇄면 상의 XY 좌표와, 상기 인쇄물을 특정하는 인쇄물 특정 정보로부터 인쇄 정보 상에서의 xy 좌표로 변환함으로써 인쇄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쇄 정보에 관련한 정보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인쇄 관련 출력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인쇄물의 인쇄면 상에 덮어서 사용되고,
    상기 인쇄물의 인쇄면을 특정하는 인덱스를 상기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이, 도트 패턴과 함께 중첩 인쇄되는 인쇄 관련 출력 시스템.
  27. 제1항, 제4항, 제9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씰 형상, 카드 형상, 서표(書標) 형상, 부전지(附箋紙)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가공된 매체이고,
    상기 매체 상의 도트 패턴을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독취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 오퍼레이션 지시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8. 제1항, 제4항, 제9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씰 형상, 카드 형상, 서표 형상, 부전지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가공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
  29. 제1항, 제4항, 제9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된 정보 입력 보조 시트 상의 도트 패턴을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읽어들임으로써,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부터 독취된 도트 패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의 보조 입력을 수행하는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복수의 디스플레이와의 접속은, 유선 방식 혹은 무선 방식인 정보 처리 시스템.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도트 패턴 독취 수단의 접속은, 유선 방식 혹은 무선 방식인 정보 처리 시스템.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XY 좌표치와 함께 각 디스플레이를 식별하는 코드치가 도트 패턴으로서 인쇄되어 있고,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독취한 상기 코드치 및 XY 좌표치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고, 어느 디스플레이인지를 인식하여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디스플레이 개개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 오퍼레이션 지시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하고, 출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보조 시트는, 디스플레이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XY 좌표가 도트 패턴으로서 인쇄되어 있고,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독취한 상기 XY 좌표치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고, 디스플레이를 특정하여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디스플레이 개개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 오퍼레이션 지시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하고, 출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케이스에는, 각 디스플레이를 식별하는 코드치가 도트 패턴으로서 인쇄된 씰이 첩부되어 있고,
    도트 패턴 독취 수단으로 독취한 상기 코드치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고, 어느 디스플레이인지를 인식하여 터치 패널 형식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디스플레이 개개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 및 오퍼레이션 지시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하고, 출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35. 삭제
  36. 삭제
KR1020107005261A 2007-08-09 2008-08-08 정보 입력 보조 시트,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인쇄 관련 출력 시스템 KR101229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30776 2007-08-09
JP2007230776A JP4129841B1 (ja) 2007-08-09 2007-08-09 情報入力補助シート、情報入力補助シート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入力補助シートを用いた印刷関連情報出力システム
PCT/JP2008/002188 WO2009019894A1 (ja) 2007-08-09 2008-08-08 情報入力補助シート、情報入力補助シート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入力補助シートを用いた印刷関連出力システムおよ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491A Division KR20110099068A (ko) 2007-08-09 2008-08-08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526A KR20100052526A (ko) 2010-05-19
KR101229879B1 true KR101229879B1 (ko) 2013-02-05

Family

ID=397305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491A KR20110099068A (ko) 2007-08-09 2008-08-08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KR1020107005261A KR101229879B1 (ko) 2007-08-09 2008-08-08 정보 입력 보조 시트,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인쇄 관련 출력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491A KR20110099068A (ko) 2007-08-09 2008-08-08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정보 입력 보조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523081B2 (ko)
EP (1) EP2189882A4 (ko)
JP (1) JP4129841B1 (ko)
KR (2) KR20110099068A (ko)
CN (2) CN103440062B (ko)
WO (1) WO20090198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9114B1 (ja) 2006-09-04 2007-12-12 株式会社I・Pソリューションズ 情報出力装置
JP3998701B1 (ja) * 2006-12-28 2007-10-31 健治 吉田 ドットパターンが設けられたカード
JP4385169B1 (ja) * 2008-11-25 2009-12-16 健治 吉田 手書き入出力システム、手書き入力シート、情報入力システム、情報入力補助シート
JP5353219B2 (ja) * 2008-12-12 2013-11-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ボード書き込み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630055B2 (ja) * 2009-04-20 2014-11-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パターン印刷シート
JP2011073353A (ja) * 2009-09-30 2011-04-14 Dainippon Printing Co Ltd 赤外線吸収パターン付透明シート
JP6189812B2 (ja) * 2010-04-13 2017-08-30 グリッドマーク株式会社 手書き入力ボードおよび手書き入力ボード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
JP5888838B2 (ja) * 2010-04-13 2016-03-22 グリッドマーク株式会社 手書き入力ボードを用いた手書き入力システム、手書き入力ボード、スキャナーペンおよび手書き入力ボード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
EP2601565A4 (en) * 2010-08-04 2016-10-26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AN INPUT THROUGH SEVERAL DISPLAYS
KR101812099B1 (ko) * 2010-08-25 2017-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5652208B2 (ja) * 2011-01-06 2015-01-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シートセット、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2479650B1 (en) * 2011-01-21 2015-09-16 Anoto AB Product with coding pattern
KR101263387B1 (ko) * 2011-09-05 2013-05-21 (주)펜제너레이션스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
KR101252243B1 (ko) * 2011-10-18 2013-04-08 (주)펜제너레이션스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
CN104024998B (zh) 2012-02-17 2016-11-1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显示装置及显示控制系统
WO2013161245A1 (ja) * 2012-04-26 2013-10-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表示パネル
KR101453467B1 (ko) * 2012-06-05 2014-10-22 (주)펜제너레이션스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전자펜 시스템
CN104285196A (zh) 2012-07-27 2015-01-1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显示装置、以及显示控制系统
KR101431686B1 (ko) * 2012-07-30 2014-08-20 (주)펜제너레이션스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펜 시스템
JP5544609B2 (ja) * 2012-10-29 2014-07-09 健治 吉田 手書き入出力システム
JP5848230B2 (ja) * 2012-11-12 2016-01-27 グリッドマーク株式会社 手書き入出力システム、手書き入力シート、情報入力システム、情報入力補助シート
US10753746B2 (en) 2012-11-29 2020-08-25 3M Innovative Properties, Inc. Multi-mode stylus and digitizer system
CN104137041A (zh) * 2012-12-28 2014-11-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显示控制系统及读取装置
KR101538490B1 (ko) * 2012-12-28 2015-07-23 (주)펜제너레이션스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펜 시스템
WO2014115913A1 (ko) * 2013-01-25 2014-07-31 (주)펜제너레이션스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
CN103268148A (zh) * 2013-04-11 2013-08-28 蒋月琴 利用点编码的纸质菜单控制系统
CN103309445A (zh) * 2013-05-22 2013-09-18 蒋月琴 利用点编码的信息控制薄板
EP3089003A4 (en) * 2013-12-27 2017-09-27 YOSHIDA, Kenji Information input assistance sheet
CN106062589A (zh) * 2014-01-06 2016-10-26 笔时代公司 光学薄膜及利用该光学薄膜的数码笔系统
JP5948366B2 (ja) * 2014-05-29 2016-07-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60000754A (ko) 2014-06-25 2016-01-05 이승희 좌표 패턴 시트를 구비한 케이스 및 전자펜을 이용한 입력 시스템
JP2014220006A (ja) * 2014-07-22 2014-11-20 グリッドマーク株式会社 手書き入出力システムおよび光学読取装置
TWI521476B (zh) * 2015-04-17 2016-02-11 銘傳大學 週期性圖案之自動光學檢測方法
JP6857867B2 (ja) * 2016-07-22 2021-04-14 グリッドマーク株式会社 手書き入力シート
KR101949046B1 (ko) 2016-12-28 2019-05-20 이승희 필기 입력 장치
US10838551B2 (en) * 2017-02-08 2020-11-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libration of displays
KR101881536B1 (ko) * 2017-02-24 2018-07-24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출력전류 제어가 가능한 전력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공급방법
WO2018235674A1 (ja) * 2017-06-22 2018-12-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装置および積層フィルム
CN115635774A (zh) * 2020-05-29 2023-01-24 深圳市汉森软件有限公司 分区打印生成可识别点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122A (ja) 2002-02-28 2003-09-10 Kokuyo Co Ltd 書込対象物、手書き入力設備、用紙、ホワイトボード、ディスプレイ、透明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7581A (ja) * 1985-12-20 1987-07-01 Sanyo Electric Co Ltd イメ−ジ入力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イメ−ジ記入用紙
JPH082690B2 (ja) * 1986-05-28 1996-01-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記録媒体
JPH01292420A (ja) * 1988-05-19 1989-11-24 Toshiba Corp 光電型タッチスクリーン式入力装置
JPH0313298A (ja) 1989-06-09 1991-01-22 Tohoku Rubber Kk 粉体成形用ゴム型
JPH03249870A (ja) * 1989-10-31 1991-11-07 Kuraray Co Ltd 光学読取り装置用のパッド
US5522623A (en) * 1990-03-29 1996-06-04 Technical Systems Corp. Coded identification card and other standardized documents
JPH0681029U (ja) * 1993-04-02 1994-11-15 グラフテック株式会社 デジタイザ
JPH086723A (ja) * 1994-06-15 1996-01-12 Casio Comput Co Ltd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H0876907A (ja) * 1994-09-02 1996-03-22 Wacom Co Ltd デジタイザのメニューシート及びその識別方法
JP3013298U (ja) * 1994-12-29 1995-07-11 東京アルテック有限会社 プリペイドカード
JPH09327988A (ja) * 1996-06-10 1997-12-22 Kyodo Printing Co Ltd 情報記録媒体
JPH10171600A (ja) 1996-12-06 1998-06-26 Brother Ind Ltd 入力装置
JP2001092595A (ja) 1999-09-20 2001-04-06 Fujitsu General Ltd 光走査型タッチパネル
US20060082557A1 (en) * 2000-04-05 2006-04-20 Anoto Ip Lic Hb Combined detection of position-coding pattern and bar codes
CN1127276C (zh) * 2000-09-26 2003-11-05 深圳市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手迹信息输入及收发的方法和系统
US6808773B2 (en) * 2001-05-24 2004-10-26 Kyodo Printing Co., Ltd. Shielding base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R2833624B1 (fr) * 2002-02-01 2004-07-02 Arjo Wiggins Fine Papers Ltd Feuille apte a recevoir des inscriptions effacables
JP2003256137A (ja) 2002-02-28 2003-09-10 Kokuyo Co Ltd ディスプレイ、透明シート
JP3647834B2 (ja) * 2002-09-25 2005-05-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露光装置用のミラー、露光装置用の反射型マスク、露光装置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3930891B2 (ja) 2002-09-26 2007-06-13 健治 吉田 ドットパターンを用いた情報再生装置
JP2006190270A (ja) * 2002-09-26 2006-07-20 Kenji Yoshida 媒体上に形成されたアイコン
JP2004139534A (ja) 2002-10-21 2004-05-13 Kokuyo Co Ltd 文書作成システム、文書作成用冊子、文書作成方法
JP2005011045A (ja) * 2003-06-18 2005-01-13 Fuji Xerox Co Ltd インターネット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インターネット情報入出力装置
GB0416862D0 (en) * 2004-07-29 2004-09-01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Products with data-encoding pattern
KR100908898B1 (ko) * 2004-10-15 2009-07-23 켄지 요시다 도트패턴의 리드 방법
TWI276986B (en) * 2004-11-19 2007-03-21 Au Optronics Corp Handwriting input apparatus
US20060139338A1 (en) * 2004-12-16 2006-06-29 Robrecht Michael J Transparent optical digitizer
US7622182B2 (en) * 2005-08-17 2009-11-24 Microsoft Corporation Embedded interaction code enabled display
JP2008021168A (ja) * 2006-07-13 2008-01-31 Fuji Xerox Co Ltd 筆跡検出シートおよび手書きシステム
WO2008112886A1 (en) * 2007-03-13 2008-09-18 Evident Technologies, Inc. Infrared display with luminescent quantum dots
US20090015548A1 (en) * 2007-06-28 2009-01-15 Keiko Tazaki Image projection system
WO2009075061A1 (ja) * 2007-12-12 2009-06-18 Kenji Yoshida 情報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入力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2次元書式情報サーバ、情報入力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183972B1 (ko) * 2008-12-16 2012-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완 흡수층을 갖는 볼로미터 구조체, 이를 이용한 적외선 감지용 픽셀 및 이의 제조 방법
JP5604761B2 (ja) * 2009-11-11 2014-10-15 健治 吉田 印刷媒体、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122A (ja) 2002-02-28 2003-09-10 Kokuyo Co Ltd 書込対象物、手書き入力設備、用紙、ホワイトボード、ディスプレイ、透明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89882A1 (en) 2010-05-26
EP2189882A4 (en) 2012-12-05
US9098125B2 (en) 2015-08-04
CN103440062B (zh) 2017-04-26
US20140036169A1 (en) 2014-02-06
CN101779185A (zh) 2010-07-14
CN101779185B (zh) 2013-07-24
US20110109641A1 (en) 2011-05-12
JP4129841B1 (ja) 2008-08-06
CN103440062A (zh) 2013-12-11
KR20110099068A (ko) 2011-09-05
US8523081B2 (en) 2013-09-03
JP2009043218A (ja) 2009-02-26
WO2009019894A1 (ja) 2009-02-12
KR20100052526A (ko)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879B1 (ko) 정보 입력 보조 시트,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인쇄 관련 출력 시스템
JP4243642B2 (ja) 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情報入力補助シート
RU2669717C2 (ru) Система рукописного ввода/вывода, лист рукописного ввода, система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и лист,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ввод информации
KR101304290B1 (ko) 오더 시스템
KR101101283B1 (ko) 정보 출력 장치
JP4135116B2 (ja) リモコン
US20090091530A1 (en) System for input to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1267880B1 (ko) 카드면의 독취·명령 실행 방법
WO2012008469A1 (ja) ストリームドットを用いた情報入力補助シート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4042066B1 (ja) 情報処理装置への入力処理システム
JP2012022400A (ja) ストリームドットを用いた情報入力補助シート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