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668B1 -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668B1
KR101229668B1 KR1020100111246A KR20100111246A KR101229668B1 KR 101229668 B1 KR101229668 B1 KR 101229668B1 KR 1020100111246 A KR1020100111246 A KR 1020100111246A KR 20100111246 A KR20100111246 A KR 20100111246A KR 101229668 B1 KR101229668 B1 KR 101229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work vehicle
controller
wor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9978A (ko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111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6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49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굴삭기 등의 작업 차량(1)의 측면 또는 후면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레이저 장치(50)와, 상기 레이저 장치(5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6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장치(50)로부터 지면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상기 작업 차량(1)의 작업 반경(100)을 표시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장치(50)는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60)는 제어부(63)와, 상기 제어부(63)의 제어를 받아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부(6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3)는 작업시 상기 작업 차량의 작업 영역(100)에 상기 레이저 장치(50)가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DEVICE FOR GUIDING RISK AREA OF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굴삭기 등의 작업 차량(1)의 측면 또는 후면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레이저 장치(50)와, 상기 레이저 장치(5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6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장치(50)로부터 지면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상기 작업 차량(1)의 작업 반경(100)을 표시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장치(50)는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60)는 제어부(63)와, 상기 제어부(63)의 제어를 받아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부(6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3)는 작업시 상기 작업 차량의 작업 영역(100)에 상기 레이저 장치(50)가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선회체(2)와 주행체(3)로 이루어지고, 하부주행체(3)에 의해 이동하며, 상부선회체(2)에 의해 굴삭 작업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건설기계이다.
상기 상부선회체(2)는 운전자가 착석하여 운전 및 작업을 수행하는 운전실(4)과 기계실(5)을 구비함과 동시에 굴삭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유압실린더(10)와, 상기 유압실린더(10)에 의해 회동하는 굴삭기 암(20) 및 킷(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10), 굴삭기 암(20) 및 버킷(30)은 연결구멍(45)이 형성된 연결부재(40)가 각각 결합되어 연결핀을 매개로 상호 간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굴삭기와 같은 별도의 회전 부재를 가지는 작업 차량의 경우에는, 작업시 회전 운동으로 인해 보행자 및 인접 차량에 위험적인 요소를 다수 내재하고 있다. 보행자 및 인접 차량은 단순히 굴삭기의 현재 상태만으로 위험 영역과 안전 영역을 판단하게 되는데, 갑작스럽게 작업 차량의 작업 부재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불의의 사고를 당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작업장에서는 별도의 인원이 작업 차량의 뒤에서 수신호로 보행자 및 인접 차량의 접근을 방지하거나, 별도의 펜스를 설치하는 등의 인력과 자원의 낭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굴삭기 등의 작업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거리를 표시할 수 있도록 레이저 조사 장치를 제공하여, 지면에 안전거리를 표시하여 보행자 및 통행 차량의 접근을 차단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굴삭기 등의 작업 차량(1)의 측면 또는 후면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레이저 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장치(50)로부터 지면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상기 작업 차량(1)의 작업 반경을 표시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장치(50)는 상기 작업 차량(1)의 작업 반경(100)에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굴삭기 등의 작업 차량(1)의 측면 또는 후면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레이저 장치(50)와, 상기 레이저 장치(5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6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장치(50)로부터 지면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상기 작업 차량(1)의 작업 반경(100)을 표시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장치(50)는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60)는 제어부(63)와, 상기 제어부(63)의 제어를 받아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부(6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3)는 작업시 상기 작업 차량의 작업 영역(100)에 상기 레이저 장치(50)가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굴삭기 등의 작업 차량(1)의 측면 또는 후면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레이저 장치(50)와, 상기 레이저 장치(5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6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장치(50)로부터 지면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상기 작업 차량(1)의 작업 반경(100)을 표시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장치(50)는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지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CCD촬상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60)는 제어부(63)와, 상기 제어부(63)의 제어를 받아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부(61)와, 상기 CCD촬상소자의 신호를 미분신호로 변환하여 정형화된 펄스열을 형성하여 레이저의 수신파형을 생성하는 파형정형화부(62)와, 상기 파형정형화부(62)에서 검출된 파형에 의하여 레이저의 수신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63)로부터 레이저 조사시점을 전송받아 상기 수신시점과 조사시점의 차를 산출하여 차 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안전 영역으로 결정하는 감지부(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작업 영역은 상기 작업 차량의 반경의 5배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 구동부는 두 가지 색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와, 상기 안전 영역 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레이저 구동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굴삭기 등의 작업 차량(1)의 측면 또는 후면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레이저 장치(50)와, 상기 레이저 장치(50)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모터부와, 상기 레이저 장치(5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6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장치(50)로부터 지면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상기 작업 차량(1)의 작업 반경(100)을 표시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장치(50)는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60)는 제어부(63)와, 상기 제어부(63)의 제어를 받아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부(6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3)는 작업시 상기 작업 차량의 작업 영역(100)에 상기 레이저 장치(50)가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여 상기 레이저 장치(50)의 조사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굴삭기 등의 작업 차량(1)의 측면 또는 후면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레이저 장치(50)와, 상기 레이저 장치(50)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모터부와, 상기 레이저 장치(5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6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장치(50)로부터 지면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상기 작업 차량(1)의 작업 반경(100)을 표시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장치(50)는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지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CCD촬상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60)는 제어부(63)와, 상기 제어부(63)의 제어를 받아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부(61)와, 상기 CCD촬상소자의 신호를 미분신호로 변환하여 정형화된 펄스열을 형성하여 레이저의 수신파형을 생성하는 파형정형화부(62)와, 상기 파형정형화부(62)에서 검출된 파형에 의하여 레이저의 수신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63)로부터 레이저 조사시점을 전송받아 상기 수신시점과 조사시점의 차를 산출하여 차 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안전 영역으로 결정하는 감지부(6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3)는 작업시 상기 작업 차량의 작업 영역(100)에 상기 레이저 장치(50)가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여 상기 레이저 장치(50)의 조사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작업 영역은 상기 작업 차량의 반경의 5배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레이저 구동부는 두 가지 색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와, 상기 안전 영역 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레이저 구동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굴삭기 등의 작업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거리를 표시할 수 있도록 레이저 조사 장치를 제공하여, 지면에 안전거리를 표시하여 보행자 및 통행차량의 접근을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제시되는 예로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의 개념도를,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의 동작 설명도를,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의 구성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굴삭기 등의 작업 차량(1)의 측면 또는 후면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레이저 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장치(50)로부터 지면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상기 작업 차량(1)의 작업 반경을 표시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장치(50)는 상기 작업 차량(1)의 작업 반경(100)에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굴삭기 등의 작업 차량(1)의 측면 또는 후면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레이저 장치(50)와, 상기 레이저 장치(5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6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장치(50)로부터 지면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상기 작업 차량(1)의 작업 반경(100)을 표시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장치(50)는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60)는 제어부(63)와, 상기 제어부(63)의 제어를 받아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부(6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3)는 작업시 상기 작업 차량의 작업 영역(100)에 상기 레이저 장치(50)가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굴삭기 등의 작업 차량(1)의 측면 또는 후면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레이저 장치(50)와, 상기 레이저 장치(5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6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장치(50)로부터 지면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상기 작업 차량(1)의 작업 반경(100)을 표시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장치(50)는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지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CCD촬상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60)는 제어부(63)와, 상기 제어부(63)의 제어를 받아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부(61)와, 상기 CCD촬상소자의 신호를 미분신호로 변환하여 정형화된 펄스열을 형성하여 레이저의 수신파형을 생성하는 파형정형화부(62)와, 상기 파형정형화부(62)에서 검출된 파형에 의하여 레이저의 수신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63)로부터 레이저 조사시점을 전송받아 상기 수신시점과 조사시점의 차를 산출하여 차 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안전 영역으로 결정하는 감지부(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작업 영역은 상기 작업 차량의 반경의 5배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 구동부는 두 가지 색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와, 상기 안전 영역 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레이저 구동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행자 또는 일반 차량이 통과하는 지면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레이저 장치(50)는 작업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제공되는 프레임에 설치되고, 레이저 장치(50)는 프레임 하부 등에 설치된 콘트롤러(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레이저 장치(50)에는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CCD촬상소자가 설치되고, 컨트롤러(60)는 제어부(63)와 제어부(63)의 제어를 받아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부(61)와 CCD촬상소자의 신호를 미분신호로 변환하여 정형화된 펄스열을 형성하여 레이저의 수신파형을 생성하는 파형정형화부(62)와, 파형정형화부(62)에서 검출된 파형에 의하여 레이저의 수신시점을 산출하고, 제어부(63)로부터 레이저 조사시점을 전송받아 상기 수신시점과 조사시점의 차를 산출하여 차 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안전 영역으로 결정하는 감지부(64)로 이루어진다. 만일 레이저가 조사되는 지면이 작업 차량의 작업 반경 내의 위험 영역이라면 레이저 수신시점은 작업 차량의 작업 반경 외의 안전 영역의 경우에 비하여 짧아지게 된다.
감지부(64)는 위험 영역과 안전 영역의 경계에 대하여 레이저 장치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조사시점과 조사된 레이저가 지면(70)에 의하여 반사된 레이저가 레이저 장치에 수광되는 수광시점의 차를 기설정값으로 하고, 수광시점과 조사시점의 차가 기설정값 보다 작아지면 위험 영역 내에 레이저가 조사되는 것으로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 레이저 장치(50)는 그 조사 방향이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굴삭기 등의 작업 차량(1)의 측면 또는 후면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레이저 장치(50)와, 상기 레이저 장치(50)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모터부와, 상기 레이저 장치(5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6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장치(50)로부터 지면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상기 작업 차량(1)의 작업 반경(100)을 표시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장치(50)는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60)는 제어부(63)와, 상기 제어부(63)의 제어를 받아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부(6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3)는 작업시 상기 작업 차량의 작업 영역(100)에 상기 레이저 장치(50)가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여 상기 레이저 장치(50)의 조사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굴삭기 등의 작업 차량(1)의 측면 또는 후면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레이저 장치(50)와, 상기 레이저 장치(50)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모터부와, 상기 레이저 장치(5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6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장치(50)로부터 지면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상기 작업 차량(1)의 작업 반경(100)을 표시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장치(50)는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지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CCD촬상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60)는 제어부(63)와, 상기 제어부(63)의 제어를 받아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부(61)와, 상기 CCD촬상소자의 신호를 미분신호로 변환하여 정형화된 펄스열을 형성하여 레이저의 수신파형을 생성하는 파형정형화부(62)와, 상기 파형정형화부(62)에서 검출된 파형에 의하여 레이저의 수신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63)로부터 레이저 조사시점을 전송받아 상기 수신시점과 조사시점의 차를 산출하여 차 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안전 영역으로 결정하는 감지부(6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3)는 작업시 상기 작업 차량의 작업 영역(100)에 상기 레이저 장치(50)가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여 상기 레이저 장치(50)의 조사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터부는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자동으로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과 같이 레이저 장치가 향하는 방향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구조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작업 영역은 상기 작업 차량의 반경의 5배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이저 구동부는 두 가지 색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와, 상기 안전 영역 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레이저 구동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이저 장치(50)로부터 레이저가 조사되고, 이러한 지면에 조사된 레이저 표지는 특정 영역을 형성한다. 이러한 특정 영역은 작업 차량의 작업 반경 보다 외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작업 영역 또는 안전 영역(100)이라 호칭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레이저 장치를 다수 개 사용하여 안전영역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행장 등에게 경고의 의미를 두는 것으로 붉은 색 계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굴삭기 등의 작업 차량(1)의 측면 또는 후면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레이저 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장치(50)로부터 지면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상기 작업 차량(1)의 작업 반경을 표시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레이저 장치(50)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 차량(1)의 작업 반경(100)에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가 정해짐을 밝혀둔다.
1 : 작업차량, 50 : 레이저 장치, 60 : 콘트롤러, 61 : 레이저 구동부, 62 : 파형 정형화부, 63 : 제어부, 64 감지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굴삭기 등의 작업 차량(1)의 측면 또는 후면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레이저 장치(50)와, 상기 레이저 장치(5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6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장치(50)로부터 지면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상기 작업 차량(1)의 작업 반경(100)을 표시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장치(50)는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지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CCD촬상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60)는 제어부(63)와, 상기 제어부(63)의 제어를 받아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부(61)와, 상기 CCD촬상소자의 신호를 미분신호로 변환하여 정형화된 펄스열을 형성하여 레이저의 수신파형을 생성하는 파형정형화부(62)와, 상기 파형정형화부(62)에서 검출된 파형에 의하여 레이저의 수신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63)로부터 레이저 조사시점을 전송받아 상기 수신시점과 조사시점의 차를 산출하여 차 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안전 영역으로 결정하는 감지부(64)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구동부는 두 가지 색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와, 상기 안전 영역 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레이저 구동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이 서로 상이한,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
  6. 삭제
  7. 굴삭기 등의 작업 차량(1)의 측면 또는 후면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레이저 장치(50)와, 상기 레이저 장치(50)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모터부와, 상기 레이저 장치(5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6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장치(50)로부터 지면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상기 작업 차량(1)의 작업 반경(100)을 표시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장치(50)는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지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CCD촬상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60)는 제어부(63)와, 상기 제어부(63)의 제어를 받아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부(61)와, 상기 CCD촬상소자의 신호를 미분신호로 변환하여 정형화된 펄스열을 형성하여 레이저의 수신파형을 생성하는 파형정형화부(62)와, 상기 파형정형화부(62)에서 검출된 파형에 의하여 레이저의 수신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63)로부터 레이저 조사시점을 전송받아 상기 수신시점과 조사시점의 차를 산출하여 차 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안전 영역으로 결정하는 감지부(6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3)는 작업시 상기 작업 차량의 작업 영역(100)에 상기 레이저 장치(50)가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여 상기 레이저 장치(50)의 조사 방향을 제어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영역은 상기 작업 차량의 반경의 5배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구동부는 두 가지 색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와, 상기 안전 영역 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레이저 구동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이 서로 상이한,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111246A 2010-11-10 2010-11-10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 KR101229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246A KR101229668B1 (ko) 2010-11-10 2010-11-10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246A KR101229668B1 (ko) 2010-11-10 2010-11-10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978A KR20120049978A (ko) 2012-05-18
KR101229668B1 true KR101229668B1 (ko) 2013-02-04

Family

ID=4626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246A KR101229668B1 (ko) 2010-11-10 2010-11-10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6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263B1 (ko) * 2001-10-09 2004-12-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골길이 성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가시오가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KR101937583B1 (ko) * 2017-08-31 2019-01-10 홍정표 레이저를 이용한 중장비 차량의 작업 반경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651B1 (ko) * 2015-04-10 2016-12-22 민관식 긴급차량용 레스큐 라인 표시장치
KR101970188B1 (ko) * 2017-06-12 2019-08-28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9784A (ja) * 1992-02-21 1993-09-07 Shimizu Corp クレーン下方の安全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9784A (ja) * 1992-02-21 1993-09-07 Shimizu Corp クレーン下方の安全監視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263B1 (ko) * 2001-10-09 2004-12-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골길이 성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가시오가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KR101937583B1 (ko) * 2017-08-31 2019-01-10 홍정표 레이저를 이용한 중장비 차량의 작업 반경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978A (ko)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830B1 (ko) 작업 기계의 주변 감시 장치
JP6200121B2 (ja) 作業機械の周辺監視装置
US10195980B2 (en) System for imaging
CN109922991B (zh) 用于工程机械的警告系统
WO2016174754A1 (ja) 作業機械の周辺監視装置及び作業機械の周辺監視方法
KR101229668B1 (ko) 작업 차량의 위험 영역 표시 장치
JP7258613B2 (ja) 作業機械
JP2016180624A (ja) レーザレーダ装置及び走行体
KR101970188B1 (ko)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
KR20190101244A (ko) 중장비 공사 현장의 안전감시시스템
JP2008303574A (ja) 作業機械
US11772941B2 (en) Crane vehicle
KR102031400B1 (ko) 지면 조사 기능을 가지는 차량
KR101986624B1 (ko) 지능형 휴대용 도로 비상 상황 표시장치
KR101491177B1 (ko) 나이트 뷰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5451325B2 (ja) バッテリーロコの前方監視方法
KR10193758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중장비 차량의 작업 반경 표시 장치
JP2019169058A (ja) 作業車両の走行制御システム
KR100713587B1 (ko) 교통안내용 자율이동 로봇 시스템
JP3215430U (ja) 軌陸車
JP2002327468A (ja) 作業機械の保安装置
EP4372155A1 (en) Work machine
KR20160003024U (ko) 건설중장비용 과속 및 위험 경보장치
JP5445960B2 (ja) 検知装置
CN112601980A (zh) 障碍物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