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568B1 - 유리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568B1
KR101229568B1 KR1020120054923A KR20120054923A KR101229568B1 KR 101229568 B1 KR101229568 B1 KR 101229568B1 KR 1020120054923 A KR1020120054923 A KR 1020120054923A KR 20120054923 A KR20120054923 A KR 20120054923A KR 101229568 B1 KR101229568 B1 KR 101229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holding unit
holding
holder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효석
Original Assignee
서효석
주식회사 솔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효석, 주식회사 솔버스 filed Critical 서효석
Priority to KR1020120054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2Easels, stands or shelves, e.g. castor-shelves, supporting mean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1/00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는, 복수개의 유리가 세워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리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유닛; 및 상기 유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유리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홀딩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대형 유리를 손상 없이 안전하게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며, 적재된 유리를 화학 강화용 용액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유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 고정 장치{Glass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유리가 서로 마주보면서 나란히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유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리는 부분적으로 크랙(crack)이 발생되는 경우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되며, 크랙이 발생된 영역으로부터 인접한 영역으로 크랙이 점점 커짐으로써 파손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제조 공정 중에 있거나 공정이 완료된 복수개의 유리를 세워 놓은 상태로 적재하고자 하는 경우, 유리를 잘 고정시키면서도 유리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적재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더욱이, 최근에는 LCD나 PDP, 유기 EL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유리의 크기가 점차 대형화되고 있다. 유리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다수개의 유리를 쌓아 놓거나, 벽 또는 지지 틀에 기대어 놓더라도 파손의 우려가 크지 않아 취급이 용이하지만, 대형 유리의 경우 파손의 위험이 커지므로 좀 더 섬세한 취급이 요구된다.
특히, 유리가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이용될 경우, 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제조된 유리를 강화시키는 공정, 즉 유리 강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유리 강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방식이 화학 강화 방식이다. 이러한 화학 강화 방식은 제조된 유리를 질산 칼륨과 같은 용액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수반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침지 과정에서 유리를 세운 상태로 제대로 지지 및 고정하지 못하는 경우, 유리 자체의 무게 및 화학 강화용 용액과의 접촉으로 인한 유리의 일부 변형 등으로 인해 유리에 크랙과 같은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러한 유리 강화 공정에 있어서도 유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복수개의 유리를 취급함에 있어서 유리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유리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는, 복수개의 유리가 세워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리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유닛; 및 상기 유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유리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홀딩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유리의 적재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유리의 길이 방향 일측 또는 타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유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유리의 하부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유리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축;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 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 축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바; 및 상기 연장 바의 타측 단부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서로 인접하는 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유리의 적재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축은 상기 복수개의 홀딩 유닛에 대한 공통 회전 축일 수 있다.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유리의 적재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축은 상기 복수개의 홀딩 유닛 각각이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홀딩 유닛 각각에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 바에 탈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유리 면과 마주보는 면의 모서리가 라운드 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홀더의 폭은, 상기 서로 인접하는 유리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의 상면은, 평평한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대형 유리를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유리의 화학 강화 공정에서 적재된 유리를 화학 강화용 용액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유리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함으로써, 유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복수개의 유리가 적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홀딩 유닛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은 도 2에 도시된 홀딩 유닛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하부 지지 유닛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부 지지 유닛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유리 고정 장치에 서브 홀딩 유닛이 추가적으로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서브 홀딩 유닛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서브 홀딩 유닛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복수개의 유리가 적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100)는 하부 지지 유닛(10) 및 홀딩 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고정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유닛(10,20)들은 하나의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지면 및 구조물의 벽 등에 독립적으로 부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 유닛(10)은, 유리 고정 장치(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세워진 상태에 있는 유리(G)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하부를 지지하는 것인데, 이러한 하부 지지 유닛(10)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시에 대해서는 먼저 홀딩 유닛(20)을 설명한 후에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홀딩 유닛(2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홀딩 유닛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홀딩 유닛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홀딩 유닛(20)은 유리(G)의 하부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는 유리(G)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회전 축(21), 연결 바(22) 및 홀더(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딩 유닛(20)은 유리 고정 장치(100)의 적재 용량에 따라 유리(G)의 적재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딩 유닛(20)은 하부 지지 유닛(10) 상에 세워진 유리(G)가 하부 지지 유닛(10)의 폭 방향(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하부 지지 유닛(10)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 축(21)은 상기 유리(G)의 하부 외측에 위치하며 유리(G)의 적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서 구동 모터(미도시)와 연결됨으로써 자동 방식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회전 축을 직접 돌리는 수동 방식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축(21)은 복수개의 홀딩 유닛(20)에 대한 공통 회전 축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공통의 회전 축(21)이 회전함으로써, 복수 개의 홀딩 유닛(20)은 모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좌우 방향을 향하는 상태(유리 고정 해제 모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상부를 향하는 상태(유리 고정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회전 축(21)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복수 개의 홀딩 유닛(20)은 모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좌우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사용자는 공통의 회전축에 연결된 손잡이나 구동 모터 등을 이용하여 공통의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홀딩 유닛(20)에 의한 유리 고정 모드 및 유리 고정 해제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 축(21)은 복수개의 홀딩 유닛(20) 각각에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홀딩 유닛(20)이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구성에서, 복수의 홀딩 유닛(20) 각각은 별개의 회전 축을 구비하고, 이러한 각각의 회전 축은 공통의 회전 축(21)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개의 상기 홀딩 유닛(20)이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경우, 복수개의 홀딩 유닛(20) 중 최 외측에 위치하는 홀딩 유닛(20)을 유리 적재 공간 내에 위치시킨 후(유리 고정 모드) 하나의 유리를 적재하고, 다음의 홀딩 유닛(20)을 유리 적재 공간 내에 위치시키는(유리 고정 모드)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유리(G)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홀딩 유닛(20) 사이에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바(22)는 그 일측 단부가 회전 축(21)에 연결되어 회전 축(21)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측 단부는 홀더(23)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 바(22)는 유리 고정 장치(100)의 적재 용량에 따라 회전 축(2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23)는 연결 바(22)의 타측 단부에 형성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서, 회전 축(21)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유리(G)가 적재되는 공간의 내측(유리 고정 모드인 경우) 또는 외측(유리 고정 해제 모드인 경우)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홀더(23)는 유리 고정 장치(100)가 유리 고정 모드에 있는 경우 그 상면, 즉 도 2를 기준으로 볼 때 상부를 향하는 면이 평평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23)의 폭(W1)은 서로 인접하는 유리(G) 사이의 간격(D)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차이는 1mm 내지 3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리(G)가 미세하게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유리 강화 작업을 위한 용액 처리 시 발생될 수 있는 유리(G)의 미세한 변형이나 움직임에 따라 유리(G)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홀더(23)는 유리(G)와 마주보는 면의 모서리가 라운드 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유리 면과 홀더(23)가 서로 접촉할 때 유리(G)에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켜 유리(G)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홀더(23)는 탈착식으로서 연결 바(22)에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더(23)는 서로 인접하는 유리(G) 사이의 간격(D)에 따라 적절한 폭을 갖는 것으로 교체됨으로써 유리(G)가 하부 지지 유닛(10) 상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도 1 참조)에서는 상기 홀딩 유닛(20)이 유리(G)의 길이 방향 양 측 단부에 구비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홀딩 유닛(20)은 유리(G)의 길이 방향 일측 또는 타측 단부 중 어느 한 곳에만 구비되거나, 유리(G)의 길이 방향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G)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홀딩 유닛(20)은 유리 고정 장치(100)가 유리 고정 모드에 있는 경우를 기준으로 볼 때, 홀더(23)의 상면이 대략 'V'자 또는 'U'자 형태로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딩 유닛(20) 양 측에 위치한 유리(G) 가 파손되더라도 홀더(23)를 향해 낙하한 유리(G)의 잔해물이 홀더(23)를 사이에 두고 양 측에 위치하는 유리(G)를 타격함으로써 적재된 유리(G)들이 연쇄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홀더(23)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일 뿐 이로써 본 발명의 홀더(23)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홀더(23)는 그 상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홀더(23) 방향으로 낙하한 파손된 유리(G)의 잔해물이 적재된 유리(G)를 타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구체적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하부 지지 유닛(1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하부 지지 유닛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부 지지 유닛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지지 유닛(10)은, 유리 고정 장치(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세워진 상태에 있는 유리(G)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지지 바(11) 및 시소 축(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리(G)의 길이 방향이란, 세워진 상태에 있는 유리(G) 하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 5를 기준으로 할 때 좌/우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 지지 유닛(10)은 유리(G)의 길이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도 1 참조). 그러나, 이로써 상기 하부 지지 유닛(10)의 형성 위치 및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리(G)의 길이 방향 중심부에 위치하거나 유리(G)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 지지 유닛(10)은 유리 고정 장치(100)의 적재 용량에 따라 유리(G)가 적재되는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바(11)는 유리(G)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리(G) 하부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것으로서, 유리(G)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고 유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 바(11)의 상면, 즉 유리(G)의 하부와 마주보는 면은 길이 방향 양측 단부의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유리 강화 작업을 위하여 질산칼륨과 같은 용액 처리 시 지지 바(11)의 모서리 부위와 접촉하는 유리(G) 부분에 용액과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유리(G)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지지 바(11) 하면의 중심부에는 시소 축(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 홈(GR)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소 축(12)은 지지 바(11)의 하부 중심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지면으로부터 지지 바(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 단부가 지지 바(11)의 삽입 홈(GR)에 삽입됨으로써 지지 바(11)의 시소 운동을 위한 중심 축이 된다.
이처럼, 상기 지지 바(11)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시소 운동을 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지지 바(11) 상에 세워진 유리(G)가 미세하게 기울어진 경우에도 유리(G)의 하부는 지지 바(11)의 상면과 전체적으로 고르게 맞닿을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유리(G)의 파손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를테면, 화학 강화 공정을 위해 유리가 질산 칼륨 등의 용액에 침지되는 경우, 고온의 질산 칼륨 용액으로 인해 유리가 뒤틀리거나 변형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지지 유닛의 시소 운동을 통해 이러한 유리의 뒤틀림이나 변형 현상에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실시예에서, 하부 지지 유닛(10)을 기준으로 유리(G)의 좌측 부분이 상부로 올라가고 유리(G)의 우측 부분이 하부로 내려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한 경우, 이러한 유리(G)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유닛(10)은 좌측 부분이 상부로 올라가고 우측 부분이 하부로 내려가는 시소 운동을 함으로써, 유리의 변형에도 유리를 파손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바(11)는 유리(G)의 적재 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됨으로써 각각의 유리(G)를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시소 축(12)은 지지 바(11)의 하부에 하나만 구비되어 복수의 지지 바(11)를 모두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소 축(12)은 다양한 개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소 축(12)은, 지지 바(11)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각각의 지지 바(11)를 개별적으로 지지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지지 유닛(10)은 지지 바(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시소 축(12)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하는 지지 바 스토퍼(1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바 스토퍼(12a)는 지지 바(11)의 하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지지 바(11)의 시소 운동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유리(G)가 지지 바(11) 상에 안정적으로 적재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 바 스토퍼(12a)와 지지 바(11)의 하면 사이의 거리(h)는 대략 0.5mm 내지 1.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하부 지지 유닛(10) 및 홀딩 유닛(20) 이외에 서브 홀딩 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서브 홀딩 유닛(3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유리 고정 장치에 서브 홀딩 유닛이 추가적으로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서브 홀딩 유닛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서브 홀딩 유닛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먼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서브 홀딩 유닛(30)은 유리(G)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인접한 유리(G)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하부 지지 유닛(10) 상에 놓여진 유리(G)가 적재 방향을 따라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적재 방향이란, 유리(G)가 순차적으로 적재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 8을 기준으로 할 때는 도면의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됨).
한편, 본 발명의 도 7 및 도 8에서는 상기 서브 홀딩 유닛(30)이 적재된 유리(G)의 측부에 위치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재된 유리(G)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서브 홀딩 유닛(30)은 적재된 유리(G)의 길이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 및/또는 타측에 구비되며, 유리(G)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유리(G)의 길이 방향이란, 세워진 상태에 있는 유리(G)의 상부 또는 하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서, 도 8을 기준으로 할 때는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됨). 상기 서브 홀딩 유닛(30)은 유리(G)의 흔들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유리(G) 높이의 1/2 보다 더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 홀딩 유닛(30)은, 구체적으로, 회전 축(31), 연장 바(32), 삽입형 스토퍼(33) 및 상기 회전 축(31)의 회전에 따른 연장 바(3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틀(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축(31)은 유리(G)의 외측에 위치하며 유리(G)의 적재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축(31)은 구동 모터(미도시)와 연결됨으로써 자동 방식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회전 축을 직접 돌리는 수동 방식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축(31)은 복수개의 서브 홀딩 유닛(30) 각각에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서브 홀딩 유닛(30)이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상기 서브 홀딩 유닛(30)이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경우, 복수개의 서브 홀딩 유닛(30) 중 최 외측에 위치하는 서브 홀딩 유닛(30)을 유리 적재 공간 내에 위치시킨 후 하나의 유리를 적재하고, 다음의 서브 홀딩 유닛(30)을 유리 적재 공간 내에 위치시키는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유리(G)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서브 홀딩 유닛(30) 사이에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다.
상기 연장 바(32)는 일측 단부가 회전 축(31)에 연결되어 회전 축(31)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측 단부는 삽입형 스토퍼(33)와 연결된다.
상기 삽입형 스토퍼(33)는 연장 바(32)의 타측 단부에 형성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서, 회전 축(31)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유리(G)가 적재되는 공간의 내측(유리 고정 모드인 경우) 또는 외측(유리 고정 해제 모드인 경우)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삽입형 스토퍼(33)의 폭(W2)은 서로 인접하는 유리(G) 사이의 간격(D)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 삽입형 스토퍼(33)와 인접하는 유리(G) 사이의 간격은 1mm 내지 3m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서브 홀딩 유닛(30)이 유리(G) 사이에 개재되는 유리 고정 모드에서 삽입형 스토퍼(33)와 유리(G)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존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유리(G)가 미세하게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이러한 유동 공간은 유리 강화 작업을 위한 용액 처리 공정 등에 있어서 유리(G)의 미세한 변형에 따라 유리(G)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형 스토퍼(33)는 유리(G)와 마주보는 면의 모서리가 라운드 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면, 유리 면과 삽입형 스토퍼(33)가 서로 접촉할 때 유리(G)에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킴으로써 유리(G)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삽입형 스토퍼(33)는 탈착식으로서 연장 바(32)에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형 스토퍼(33)는 서로 인접하는 유리(G) 사이의 간격(D)에 따라 적절한 폭을 갖는 것으로 교체됨으로써 유리(G)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 7 및 도 8에서는 상기 삽입형 스토퍼(33)의 수평 단면이 대략 원형인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삽입형 스토퍼(33)는 유리(G)와 마주보는 면의 모서리가 라운드 진 형상을 갖는 것이라면 그 전체적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서브 홀딩 유닛(30)은 회전 축(31), 연장 바(32), 집게형 스토퍼(33) 및 회전 제한 틀(3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집게형 스토퍼(33)는 유리(G)를 사이에 두고 유리(G)의 양측 면 각각과 인접하는 제1 스토퍼(33a) 및 제2 스토퍼(3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33a) 및 제2 스토퍼(33b)의 내측 면 사이의 간격(d)은 유리(G)의 두께(t) 대략 1mm 내지 3mm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서브 홀딩 유닛(30)이 유리 고정 모드에 있을 때 집게형 스토퍼(33)와 유리(G)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존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유리(G)가 미세하게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이러한 유동 공간은 유리 강화 작업을 위한 용액 처리 시 발생될 수 있는 유리(G)의 미세한 변형이나 움직임에 따라 유리(G)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집게형 스토퍼(33)는 제1 스토퍼(33a) 및 제2 스토퍼(33b) 내측 면의 모서리가 라운드 진 형상을 가져 유리(G)에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킴으로써 유리(G)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집게형 스토퍼(33)는 탈착식으로서 연장 바(32)에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집게형 스토퍼(32)는 제1 스토퍼(33a) 및 제2 스토퍼(33b) 사이에 위치하는 유리(G)의 두께(t)에 따라 적절한 폭(d)을 갖는 것으로 교체됨으로써 유리(G)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서는 상기 서브 홀딩 유닛(30)이 회전 운동을 통해서 유리(G)를 홀딩 또는 홀딩 해제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서브 홀딩 유닛(30)이 회전 축(31) 대신 수평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수평 왕복 운동 하는 경우 등과 같이 유리(G)에 대한 홀딩 동작 및 홀딩 해제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경우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함은 자명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는, 적재된 유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잘 고정시키되 유리의 미세한 기울어짐이나 변형이 있는 경우에도 유리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유리를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유리 고정 장치 G: 유리
10: 하부 지지 유닛 11: 지지 바
GR: 삽입 홈 12: 시소 축
12a: 지지 바 스토퍼 20: 홀딩 유닛
21: 회전 축 22: 연결 바
23: 홀더 30: 서브 홀딩 유닛
31: 회전 축 32: 연장 바
33: 삽입형(집게형) 스토퍼 33a: 제1 스토퍼
33b: 제2 스토퍼 34: 회전 제한 틀

Claims (11)

  1. 복수개의 유리가 세워지도록 하는 유리 고정 장치로서,
    상기 유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리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유닛; 및
    상기 유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유리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홀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유리의 하부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유리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축;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 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 축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바; 및
    상기 연장 바의 타측 단부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서로 인접하는 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유리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유리의 적재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유리의 길이 방향 일측 또는 타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유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유리의 적재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축은 상기 복수개의 홀딩 유닛에 대한 공통 회전 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유리의 적재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축은 상기 복수개의 홀딩 유닛 각각이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홀딩 유닛 각각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 바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유리 면과 마주보는 면의 모서리가 라운드 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폭은,
    상기 서로 인접하는 유리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면은,
    평평한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11. 삭제
KR1020120054923A 2012-05-23 2012-05-23 유리 고정 장치 KR101229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923A KR101229568B1 (ko) 2012-05-23 2012-05-23 유리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923A KR101229568B1 (ko) 2012-05-23 2012-05-23 유리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568B1 true KR101229568B1 (ko) 2013-02-04

Family

ID=4789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923A KR101229568B1 (ko) 2012-05-23 2012-05-23 유리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5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146A1 (ko) * 2021-01-18 2022-07-21 김성환 화학강화유리 고정용 지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927A (ko) * 2010-04-28 2011-11-03 김한곤 유리 강화열처리장치에 사용되는 대형유리 적재장치
KR20110135573A (ko) * 2010-06-11 2011-12-19 (주)피앤테크 강화유리 제조장치의 원판 유리 적재용 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927A (ko) * 2010-04-28 2011-11-03 김한곤 유리 강화열처리장치에 사용되는 대형유리 적재장치
KR20110135573A (ko) * 2010-06-11 2011-12-19 (주)피앤테크 강화유리 제조장치의 원판 유리 적재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146A1 (ko) * 2021-01-18 2022-07-21 김성환 화학강화유리 고정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889B1 (ko)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102517955B1 (ko) 유리 물품을 이온 교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6053188B (zh) 一种圆片倾斜旋转的承载装置及圆片清洗干燥方法
CN106852133B (zh) 用于在处理期间保持玻璃器具的储盒设备
JP4818730B2 (ja) 基板の化学処理装置および化学処理方法
JP5696491B2 (ja) ウェーハ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101229568B1 (ko) 유리 고정 장치
KR101197226B1 (ko) 유리 고정 장치
JP2009293983A (ja) スライド標本用染色装置
KR101678982B1 (ko)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KR101229567B1 (ko) 유리 고정 장치
KR101386596B1 (ko) 유리 고정 장치
KR101571009B1 (ko) 글라스패널 거치대 및 그것을 구비한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CN215973927U (zh) Lcd烘箱玻璃顶升装置
KR101534647B1 (ko) 기판 이송 장치
CN210214085U (zh) Pcb批量承装设备
KR20130130157A (ko) 유리 적재용 카세트
TWI478880B (zh) 化學鋼化爐玻璃支撐架
KR20130087417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20150072540A (ko) 유리 카세트
CN112563188A (zh) 一种晶圆用石英夹具及其使用方法
CN209889756U (zh) 一种整料装置
KR101254276B1 (ko) 글래스 반송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000598B1 (ko) 박판유리 강화열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유리 적재 카세트용 랙장치
JP2013222911A (ja)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並びに太陽電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