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982B1 -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982B1
KR101678982B1 KR1020150029541A KR20150029541A KR101678982B1 KR 101678982 B1 KR101678982 B1 KR 101678982B1 KR 1020150029541 A KR1020150029541 A KR 1020150029541A KR 20150029541 A KR20150029541 A KR 20150029541A KR 101678982 B1 KR101678982 B1 KR 101678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rod
tilting means
chemical solution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886A (ko
Inventor
황규진
Original Assignee
황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진 filed Critical 황규진
Priority to KR1020150029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98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48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는 도금물체가 담겨진 바스켓을 약액통에 담근 후 요동시킬 경우 구동부케이스를 일방향으로 기울여지도록 실린더형태의 기울임수단을 구비하여 바스켓의 내부에 담겨진 도금물체와 약액을 상하부로 회전시켜 상호 면밀히 섞어주고, 다수개의 도금물체가 담겨져 고중량의 바스켓이 원위치로 복귀될 경우 프레임의 일면에 원통형상의 쿠션탄성체를 구비하여 고중량의 바스켓이 프레임에 부딛히는 것을 완화시키며, 어느 한 약액통에 담겨진 후 또 다른 약액통으로 바스켓을 이동시킬 경우 승하강레일부의 일면에 약액받침부를 형성하여 바스켓에 묻은 이전 약액이 다음 약액이 담겨진 약액통에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 Pressure-driven after tilter device is equipped with plated bumps }
본 발명은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금 후처리용 도금물체가 담겨진 바스켓을 일방향으로 기울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케이스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실린더형태의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에 도금을 한 후에는 제품의 내식성을 강화하거나 제품을 미려하게 하고 도금시 제품의 표면에 침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 공정이 뒤따르게 된다.
이러한 후처리 공정으로는 화학약품이 첨가된 약액에 담가서 제품의 표면에 전착시켜 제품의 내식성을 강화시키고 제품에 침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으며, 또한 도금된 상태나 제품의 종류에 따라 약액에 담근후 흔들어서 제품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도금 후처리 공정을 위한 장치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630947호와 특허출원 제10-1995-0005275 등이 있으나, 이는 작은 크기의 도금물을 바스켓에 담아 단지 수직방향으로만 액저장조에 침수시키는 구조로서 도금물 전체를 고르게 효율적으로 세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0438128호 "도금설비의 바스켓 캐리어장치"는 도금물을 홀딩한 바스켓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액저장조에 담겨지므로 도금물을 효과적으로 후처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의 문제점을 일면 해소하였지만, 도금물의 종류에 따라 회전하면서 액저장조에 담겨지는 경우 도금물에 변형(휨 현상 등)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바스켓을 회전시키는 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바스켓 및 도금물의 하중을 모두 받게 됨으로써 실린더의 내구성이 약해짐은 물론 상기 실린더의 회전시 이 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안내원통의 안내공을 따라 나선으로 회전되면서 그 마찰음으로 인한 소음이 많다는 단점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64032호를 출원하여 등록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는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으로 원심력에 의하여 중심부에 수용된 도금물에는 약액이 균일하게 접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금물체가 담겨진 바스켓을 약액통에 담근 후 요동시킬 경우 구동부케이스를 일방향으로 기울여지도록 실린더형태의 기울임수단을 구비하여 바스켓의 내부에 담겨진 도금물체와 약액을 상하부로 회전시켜 상호 면밀히 섞어주고, 다수개의 도금물체가 담겨져 고중량의 바스켓이 원위치로 복귀될 경우 프레임의 일면에 원통형상의 쿠션탄성체를 구비하여 고중량의 바스켓이 프레임에 부딛히는 것을 완화시키며, 어느 한 약액통에 담겨진 후 또 다른 약액통으로 바스켓을 이동시킬 경우 승하강레일부의 일면에 약액받침부를 형성하여 바스켓에 묻은 이전 약액이 다음 약액이 담겨진 약액통에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는 가이드레일이 부착된 승하강레일부에 연결되어 도금물체가 담겨진 바스켓을 회전시키는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로서, 일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승하강하는 가이드블럭이 구비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일면에 전면과 하면이 개방된 골조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요동본체부와; 상기 요동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양측면에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회전되도록 연결된 한 쌍의 회전축이 형성된 박스형상의 구동부케이스와, 상기 구동부케이스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로터형태의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승하강되는 실린더형태의 승하강부와, 상기 승하강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바스켓을 탈착가능하게 삽지하는 핑거파지부로 이루어진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케이스와 연결판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케이스를 일방향으로 기울여지도록 가압하는 실린더형태의 기울임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케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기울임수단과 연결되는 한 쌍의 케이스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의 일면에는 상기 기울임수단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구동부케이스의 상부에 안착된 로터형태의 요동로터와, 상기 요동로터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회전로드와, 상기 회전로드를 고정하되 회전시키는 베어링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내측 일면에는 상기 기울임수단에 구비된 로드의 복귀시 접촉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원통형상의 쿠션탄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레일부의 일면에는 상기 바스켓이 약액통에서 상승하여 이동될 경우 또 다른 약액과 혼합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상기 핑거파지부의 하부로 이동하는 약액받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액받침부는 상기 핑거파지부의 하부로 이동되어 떨어지는 약액이 받쳐지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양측면에 연결되며 그 타단부가 상기 승하강레일부의 양측면과 후면에 각각 연결된 회전로드와, 상기 일측 회전로드에 연결되어 직진력을 가압하는 실린더형태의 받침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핑거파지부는 상기 바스켓의 내부면을 파지하는 다수개의 핑거로드와, 상기 핑거로드의 상단부가 연결된 핑거판과, 상기 핑거로드의 중심부에 회전되도록 연결된 작동로드와, 상기 핑거판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승하강되고 상기 작동로드와 연결된 승하강로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금물체가 담겨진 바스켓을 약액통에 담근 후 요동시킬 경우 구동부케이스를 일방향으로 기울여지도록 실린더형태의 기울임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바스켓의 내부에 담겨진 도금물체와 약액을 상하부로 회전시켜 상호 섞어주는 것으로 바스켓에 담겨진 도금물체에 약액을 균일하고 면밀히 접촉시킬 수 있어 후처리 공정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둘째, 다수개의 도금물체가 담겨져 고중량의 바스켓이 원위치로 복귀될 경우 프레임의 일면에 원통형상의 쿠션탄성체를 구비시킴으로써, 고중량의 바스켓이 프레임에 부딛혀 발생되는 파괴충격을 최소화시켜 장치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셋째, 어느 한 약액통에 담겨진 후 또 다른 약액통으로 바스켓을 이동시킬 경우 승하강레일부의 일면에 실린더작용으로 바스켓 하부로 이동하는 약액받침부가 형성됨으로써, 바스켓에 묻은 이전 약액이 다음 약액이 담겨진 약액통에 떨어져 상호 혼합되는 것을 차단하여 약액의 약성이 변질되어 후처리공정률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를 나타내 보인 정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를 나타내 보인 일측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를 나타내 보인 일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를 나타내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임수단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사용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받침부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R)이 부착된 승하강레일부(2)에 연결되어 도금물체(D)가 담겨진 바스켓(B)을 회전시키는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1)로서 일면에 상기 가이드레일(R)에 안착되어 승하강하는 가이드블럭(11a)이 구비된 연결판(11)과, 상기 연결판(11)의 일면에 전면과 하면이 개방된 골조형상의 프레임(12)으로 이루어진 요동본체부(10)와; 상기 요동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양측면에 상기 프레임(12)의 내측에 회전되도록 연결된 한 쌍의 회전축(21a)이 형성된 박스형상의 구동부케이스(21)와, 상기 구동부케이스(21)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로터형태의 회전부(22)와, 상기 회전부(22)의 하부에 승하강되는 실린더형태의 승하강부(23)와, 상기 승하강부(23)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바스켓(B)을 탈착가능하게 삽지하는 핑거파지부(24)로 이루어진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케이스(21)와 연결판(11)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케이스(21)를 일방향으로 기울여지도록 가압하는 실린더형태의 기울임수단(3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R) 및 가이드블럭(11a)은 일반적인 리니어가이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2)의 상부에는 상기 요동본체부(10)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체인 또는 로프가 연결되는 링크부(L)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23)는 상기 회전부(22)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승하강케이스(231)와, 상기 승하강케이스(23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핑거파지부(24)의 상면에 연결된 실린더형태의 승하강실린더(23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2)의 하부 양측면에는 상기 회전축(21a)이 관통연결되되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하우징(14)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하우징(14)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베어링(BE)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레일부(2)의 상부에는 상기 요동본체부(10)를 로프에 의하여 승하강시키는 구동모터(M)가 구비되고, 상기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1)를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미도시)는 레일 및 레일롤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케이스(21)의 일면에는 상기 기울임수단(30)과 연결되는 한 쌍의 케이스연결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11)의 일면에는 상기 기울임수단(30)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구(11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연결구(211)와 연결구(111)의 배치는 상기 연결구(111)가 높고 상기 케이스연결구(211)가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상호 경사선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22)는 상기 구동부케이스(21)의 상부에 안착된 로터형태의 요동로터(221)와, 상기 요동로터(221)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회전로드(222)와, 상기 회전로드(222)를 고정하되 회전시키는 베어링하우징(223)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회전로드(222)의 일단부에는 상기 승하강부(23)의 상면에 연결되는 연결플렌지(P)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로드(222)의 상부 외주면에는 내부에 구비된 베어링(BE)을 단속하는 로크너트(N)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어링(BE)은 상기 회전로드(222)의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시키며 회전될 수 있도록 테이퍼 로울러 베어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2)의 내측 일면에는 상기 기울임수단(30)에 구비된 로드의 복귀시 접촉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원통형상의 쿠션탄성체(1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레일부(2)의 일면에는 상기 바스켓(B)이 약액통(WB)에서 상승하여 이동될 경우 또 다른 약액(W)과 혼합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상기 핑거파지부(24)의 하부로 이동하는 약액받침부(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약액받침부(40)는 상기 핑거파지부(24)의 하부로 이동되어 떨어지는 약액(W)이 받쳐지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받침판(41)과, 상기 받침판(41)의 양측면에 연결되며 그 타단부가 상기 승하강레일부(2)의 양측면과 후면에 각각 연결된 회전로드(42)와, 상기 일측 회전로드(42)에 연결되어 직진력을 가압하는 실린더형태의 받침실린더(4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로드(42)의 양단부에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힌지 또는 베어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받침판(41)의 일면에는 떨어지는 약액(W)을 모아 외부로 배출하는 배관형태의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핑거파지부(24)는 상기 바스켓(B)의 내부면을 파지하는 다수개의 핑거로드(241)와, 상기 핑거로드(241)의 상단부가 연결된 핑거판(242)과, 상기 핑거로드(241)의 중심부에 회전되도록 연결된 작동로드(243)와, 상기 핑거판(242)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승하강되고 상기 작동로드(243)와 연결된 승하강로드(244)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승하강로드(244)는 상기 승하강실린더(232)에 구비된 로드와 동일한 구성요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는 도금물체(D)가 담겨진 바스켓(B)을 삽지한 후 약액(W)이 담겨진 약액통(WB)에 상기 바스켓(B)을 담궈 회전시키는 것으로 담겨진 도금물체(D)의 표면에 대한 코팅 및 세척을 수행하는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1)이다.
즉,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B)의 천공부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핑거파지부(24)가 외측으로 벌어지며 상기 바스켓(B)을 삽지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핑거파지부(24)에 형성된 다수개의 핑거로드(241)와 그 내측에 연결되며 상부에서 승하강되는 승하강로드(244)에 연결된 작동로드(243)에 의하여 상기 핑거로드(241)를 외측 또는 내측으로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승하강로드(244)는 상기 핑거파지부(24)의 상부에 구비된 승하강부(23)에 의하여 승하강작용이 수행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핑거파지부(24)는 상기 바스켓(B)의 천공부 내측면을 외측으로 밀어주며 용이하게 삽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바스켓(B)은 상기 가이드레일(R)에 연결된 요동본체부(10)의 승하강으로 인하여 사용하려는 약액(W)이 담겨진 약액통(WB)에 담겨지거나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바스켓(B)은 상기 약액통(WB)에 담겨진 이후 약액(W)과의 접촉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요동 즉, 양측 방향으로 번갈아 가며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는 상기 승하강부(23)의 상부에 연결된 로터형상의 회전부(22)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바스켓(B)에 담겨진 다수개의 도금물체(D)에 상기 약액(W)을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케이스(21)와 연결판(11)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케이스(21)를 일방향으로 기울여지도록 가압하는 실린더형태의 기울임수단(3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바스켓(B)의 회전시 상기 기울임수단(30)을 정해진 각도로 직진시켜 상기 바스켓(B)을 기울이는 것으로 그 내부에 담겨진 도금물체(D)와 약액(W)을 상하부로 회전시켜 상호 섞어주어 상기 도금물체(D)와 약액(W)의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케이스(21)의 양측부에 양측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21a)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2)의 양측 내면에 관통됨으로써 상기 기울임수단(30)에서 발생된 직진력을 회전력으로 가변시켜 상기 바스켓(B)을 정해진 각도로 기울일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바스켓(B)에 담겨진 도금물체(D)에 상기 약액(W)을 균일하고 면밀히 접촉시킬 수 있어 후처리 공정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2)의 내측 일면에는 상기 기울임수단(30)에 구비된 로드의 복귀시 접촉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원통형상의 쿠션탄성체(13)가 구비됨으로써, 다수개의 도금물체(D)가 담겨져 고중량의 바스켓(B)을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 상기 프레임(12)에 부딛혀 발생되는 파괴충격을 최소화시켜 장치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하강레일부(2)의 일면에는 상기 바스켓(B)의 하부로 이동하는 약액받침부(40)가 형성됨으로써, 어느 한 약액통(WB)에 담겨진 후 또 다른 약액통(WB)으로 상기 바스켓(B)을 이동시킬 경우 이전 약액(W)이 다음 약액(W)이 담겨진 약액통(WB)에 떨어지는 것을 상기 약액받침부(40)에 형성된 받침판(41)으로 차단하여 이전 약액(W)이 다음 약액(W)과 혼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받침판(41)의 양측면에 다수개의 링크로 연결된 회전로드(42)와 상기 일측 회전로드(42)에 연결되어 직진력을 가압하는 실린더형태의 받침실린더(43)로 인하여 상기 받침실린더(43)의 수직 이동작용을 상기 받침판(41)의 수평 이동작용으로 변경시켜 상기 약약(W)의 낙하를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 : 가이드레일 D : 도금물체
B : 바스켓 L : 링크부
BE : 베어링 P : 연결플렌지
N : 로크너트 WB : 약액통
W : 약액 1 :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2: 승하강레일부 2a : 가이드레일
10 : 요동본체부 11 : 연결판
11a : 가이드블럭 111 : 연결구
12 : 프레임 13 : 쿠션탄성체
14 : 회전축하우징 20 : 구동부
21 : 구동부케이스 21a : 회전축
211 : 케이스연결구 22 : 회전부
221 : 요동로터 222 : 회전로드
223 : 베어링하우징 23 : 승하강부
231 : 승하강케이스 232 : 승하강실린더
24 : 핑거파지부 241 : 핑거로드
242 : 핑거판 243 : 작동로드
244 : 승하강로드 30 : 기울임수단
40 : 약액받침부 41 : 받침판
42 : 회전로드 43 : 받침실린더

Claims (7)

  1. 가이드레일(R)이 부착된 승하강레일부(2)에 연결되어 도금물체(D)가 담겨진 바스켓(B)을 회전시키는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1)에 있어서,
    일면에 상기 가이드레일(R)에 안착되어 승하강하는 가이드블럭(11a)이 구비된 연결판(11)과, 상기 연결판(11)의 일면에 전면과 하면이 개방된 골조형상의 프레임(12)으로 이루어진 요동본체부(10)와;
    상기 요동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양측면에 상기 프레임(12)의 내측에 회전되도록 연결된 한 쌍의 회전축(21a)이 형성된 박스형상의 구동부케이스(21)와, 상기 구동부케이스(21)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로터형태의 회전부(22)와, 상기 회전부(22)의 하부에 승하강되는 실린더형태의 승하강부(23)와, 상기 승하강부(23)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바스켓(B)을 탈착가능하게 삽지하는 핑거파지부(24)로 이루어진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케이스(21)와 연결판(11)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케이스(21)를 일방향으로 기울여지도록 가압하는 실린더형태의 기울임수단(30)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케이스(21)의 일면에는 상기 기울임수단(30)과 연결되는 한 쌍의 케이스연결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11)의 일면에는 상기 기울임수단(30)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구(1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22)는 상기 구동부케이스(21)의 상부에 안착된 로터형태의 요동로터(221)와, 상기 요동로터(221)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회전로드(222)와, 상기 회전로드(222)를 고정하되 회전시키는 베어링하우징(22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의 내측 일면에는 상기 기울임수단(30)에 구비된 로드의 복귀시 접촉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원통형상의 쿠션탄성체(1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레일부(2)의 일면에는 상기 바스켓(B)이 약액통(WB)에서 상승하여 이동될 경우 또 다른 약액(W)과 혼합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상기 핑거파지부(24)의 하부로 이동하는 약액받침부(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받침부(40)는 상기 핑거파지부(24)의 하부로 이동되어 떨어지는 약액(W)이 받쳐지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받침판(41)과, 상기 받침판(41)의 양측면에 연결되며 그 타단부가 상기 승하강레일부(2)의 양측면과 후면에 각각 연결된 회전로드(42)와, 상기 일측 회전로드(42)에 연결되어 직진력을 가압하는 실린더형태의 받침실린더(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파지부(24)는 상기 바스켓(B)의 내부면을 파지하는 다수개의 핑거로드(241)와, 상기 핑거로드(241)의 상단부가 연결된 핑거판(242)과, 상기 핑거로드(241)의 중심부에 회전되도록 연결된 작동로드(243)와, 상기 핑거판(242)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승하강되고 상기 작동로드(243)와 연결된 승하강로드(2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KR1020150029541A 2015-03-03 2015-03-03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KR101678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541A KR101678982B1 (ko) 2015-03-03 2015-03-03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541A KR101678982B1 (ko) 2015-03-03 2015-03-03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886A KR20160106886A (ko) 2016-09-13
KR101678982B1 true KR101678982B1 (ko) 2016-11-23

Family

ID=5694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541A KR101678982B1 (ko) 2015-03-03 2015-03-03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9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699A (ko) 2019-12-19 2021-06-2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틸팅형 도금 후처리 장치를 이용한 후처리 방법
KR20210078697A (ko) 2019-12-19 2021-06-2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틸팅형 도금 후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5686A (zh) * 2020-08-21 2022-02-22 江苏澳光电子有限公司 一种便捷灵活型电镀稳定支撑装置
KR102493757B1 (ko) * 2021-06-11 2023-02-06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도금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4193A (ja) * 2009-10-30 2011-05-12 Chuo Seisakusho Ltd キャリア式めっ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598A (ja) * 1995-07-12 1997-01-28 Chuo Seisakusho Ltd めっき装置における液切り装置
JPH1053897A (ja) * 1996-08-07 1998-02-24 Tsujimoto Tank Seisakusho:Kk メッキ部材の後処理方法とその装置
KR101064032B1 (ko) * 2009-02-25 2011-09-08 황규진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4193A (ja) * 2009-10-30 2011-05-12 Chuo Seisakusho Ltd キャリア式めっき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699A (ko) 2019-12-19 2021-06-2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틸팅형 도금 후처리 장치를 이용한 후처리 방법
KR20210078697A (ko) 2019-12-19 2021-06-2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틸팅형 도금 후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886A (ko)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982B1 (ko) 압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KR101727723B1 (ko) 고무장갑 제조용 침지장치
CN209612862U (zh) 一种能提高造粒圆整度的混合造粒机
KR200438128Y1 (ko) 도금설비의 바스켓 캐리어장치
CN1778478A (zh) 基板处理装置
JP2007138285A (ja) 連続式部品処理装置
KR100660172B1 (ko) 버섯재배용 탈병장치
KR101064032B1 (ko)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KR101651426B1 (ko) 전력 구동형 기울임수단이 구비된 도금 후처리 요동장치
CN203359383U (zh) 一种碗式提升机
CN108262304B (zh) 一种投料容器超声波清洗篮
CN215923778U (zh) 一种化工原料处理用辅助倾倒装置
JP2011094193A (ja) キャリア式めっき装置
CN205366840U (zh) 一种斗式提升机
CN208843706U (zh) 一种矿泉水灌水结构
US68488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goods
CN202009676U (zh) 一种大葱清洗装置
JP4671733B2 (ja) ボトル洗浄装置
KR101968571B1 (ko) 바스켓 요동장치
CN212424363U (zh) 一种输液溶媒升降回转装置
CN216612730U (zh) 一种适用性高的可调节瓶子输送装置
JP3461873B2 (ja) ドラム缶洗浄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5650986B2 (ja) 無排水による表面処理装置
CN214828497U (zh) 一种涂装线可摆动的吊装机构
JPH07108237A (ja) 超音波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