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567B1 - 유리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567B1
KR101229567B1 KR1020120045711A KR20120045711A KR101229567B1 KR 101229567 B1 KR101229567 B1 KR 101229567B1 KR 1020120045711 A KR1020120045711 A KR 1020120045711A KR 20120045711 A KR20120045711 A KR 20120045711A KR 101229567 B1 KR101229567 B1 KR 101229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topper
support
support unit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효석
Original Assignee
서효석
주식회사 솔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효석, 주식회사 솔버스 filed Critical 서효석
Priority to KR1020120045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2Easels, stands or shelves, e.g. castor-shelves, supporting mean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1/00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는, 복수개의 유리가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세워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리 고정 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리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유닛; 및 상기 유리 고정 장치의 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리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개의 측부 지지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대형 유리를 손상 없이 안전하게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며, 적재된 유리를 화학 강화용 용액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유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 고정 장치{Glass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유리가 서로 마주보면서 나란히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유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리는 부분적으로 크랙(crack)이 발생되는 경우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되며, 크랙이 발생된 영역으로부터 인접한 영역으로 크랙이 점점 커짐으로써 파손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제조 공정 중에 있거나 공정이 완료된 복수개의 유리를 세워 놓은 상태로 적재하고자 하는 경우, 유리를 잘 고정시키면서도 유리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적재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더욱이, 최근에는 LCD나 PDP, 유기 EL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유리의 크기가 점차 대형화되고 있다. 유리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다수개의 유리를 쌓아 놓거나, 벽 또는 지지 틀에 기대어 놓더라도 파손의 우려가 크지 않아 취급이 용이하지만, 대형 유리의 경우 파손의 위험이 커지므로 좀 더 섬세한 취급이 요구된다.
특히, 유리가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이용될 경우, 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제조된 유리를 강화시키는 공정, 즉 유리 강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유리 강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방식이 화학 강화 방식이다. 이러한 화학 강화 방식은 제조된 유리를 질산 칼륨과 같은 용액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수반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침지 과정에서 유리를 세운 상태로 제대로 지지 및 고정하지 못하는 경우, 유리 자체의 무게 및 화학 강화용 용액과의 접촉으로 인한 유리의 일부 변형 등으로 인해 유리에 크랙과 같은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러한 유리 강화 공정에 있어서도 유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복수개의 유리를 취급함에 있어서 유리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유리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는, 복수개의 유리가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세워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리 고정 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리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유닛; 및 상기 유리 고정 장치의 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리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개의 측부 지지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측부 지지 유닛은, 상기 유리 높이의 1/2 보다 더 높은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측부 지지 유닛은, 상기 유리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개의 유리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축; 상기 회전 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축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바; 및 상기 연장 바의 단부에 형성 또는 설치되어 상기 서로 인접하는 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삽입 형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부 지지 유닛은, 상기 유리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유리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수평 가이드; 상기 가이드 홈 내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수평 왕복 운동을 하도록 설치되는 연장 바; 및 상기 연장 바의 단부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상기 서로 인접하는 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삽입 형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측부 지지 유닛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삽입형 스토퍼는, 탈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삽입형 스토퍼는, 상기 유리 면과 마주보는 면의 모서리가 라운드 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형 스토퍼의 폭은 상기 서로 인접하는 유리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 유닛은, 상기 유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 유닛은, 상기 유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유리 하부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지지 바; 및 상기 지지 바의 하부 중심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 바가 시소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바를 지지하는 받침 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 틀은, 상기 지지 바의 하부 중심과 접촉하는 시소 축; 및 상기 지지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시소 축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지지 바의 하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지지 바의 시소 운동 각도를 제한하는 지지 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고정 장치는, 상기 유리의 하측 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리의 하부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서브 지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는, 복수개의 유리가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세워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리 고정 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리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유닛; 및 상기 유리 고정 장치의 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리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리의 양측 면 각각과 인접하는 복수개의 측부 지지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측부 지지 유닛은, 상기 유리 높이의 1/2 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측부 지지 유닛은, 상기 유리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개의 유리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축; 상기 회전 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축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바; 및 상기 유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리의 양측 면 각각과 인접하는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장 바의 단부에 형성 또는 설치되는 집게형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부 지지 유닛은, 상기 유리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유리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수평 가이드; 상기 가이드 홈 내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수평 왕복 운동을 하도록 설치되는 연장 바; 및 상기 유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리의 양측 면 각각과 인접하는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장 바의 단부에 형성 또는 결합되는 집게형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측부 지지 유닛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집게형 스토퍼는, 탈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집게형 스토퍼는, 상기 유리 면과 마주보는 면의 모서리가 라운드 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유리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대형 유리를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유리의 화학 강화 공정에서 적재된 유리를 화학 강화용 용액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유리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함으로써, 유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복수개의 유리가 적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측부 지지 유닛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측부 지지 유닛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하부 지지 유닛을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서브 지지 유닛을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측부 지지 유닛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측부 지지 유닛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복수개의 유리가 적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측부 지지 유닛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측부 지지 유닛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하부 지지 유닛을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서브 지지 유닛을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100)는 측부 지지 유닛(10), 하부 지지 유닛(20) 및 서브 지지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고정 장치(100)는 각각의 유닛(10,20,30)으로 둘러싸인 유리 적재 공간 내에 복수개의 판 형태의 유리(G)가 서로 면을 마주보며 나란히 세워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리 고정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유닛(10,20,30)들은 하나의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지면 및 구조물의 벽 등에 독립적으로 부착된 것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측부 지지 유닛(10)은, 유리 고정 장치(100)의 측면부에 위치하여, 하부 지지 유닛(20) 상에 놓여진 유리(G)가 적재 방향을 따라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적재 방향이란, 유리(G)가 순차적으로 적재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는 도면의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부 지지 유닛(10)은, 회전 축(11), 연장 바(12), 삽입형 스토퍼(13) 및 상기 회전 축(11)의 회전에 따른 연장 바(1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틀(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부 지지 유닛(10)은 적재된 유리(G)의 길이 방향 일측 및/또는 타측에 구비되며, 유리(G)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유리(G)의 길이 방향이란, 세워진 상태에 있는 유리(G)의 상부 또는 하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서,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는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측부 지지 유닛(10)은 유리(G)의 흔들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유리(G) 높이의 1/2 보다 더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축(11)은 유리(G)의 외측에 위치하며 유리(G)의 적재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축(11)은 구동 모터(미도시)와 연결됨으로써 자동 방식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회전 축을 직접 돌리는 수동 방식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축(11)은 복수개의 측부 지지 유닛(10) 각각에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측부 지지 유닛(10)이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복수개의 측부 지지 유닛(10) 중 최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지지 유닛(10)을 유리 적재 공간 내에 위치시킨 후 하나의 유리를 적재하고, 다음의 측부 지지 유닛(10)을 유리 적재 공간 내에 위치시키는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유리(G)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측부 지지 유닛(10) 사이에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연장 바(12)는 일측 단부가 회전 축(11)에 연결되어 회전 축(11)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측 단부는 삽입형 스토퍼(13)와 연결된다.
상기 삽입형 스토퍼(13)는 연장 바(12)의 단부에 형성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서, 회전 축(11)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유리(G)가 적재되는 공간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형 스토퍼(13)의 폭(W1)은 서로 인접하는 유리(G) 사이의 간격(D)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삽입형 스토퍼(13)와 인접하는 유리(G) 사이의 간격은1mm 내지 3mm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부 지지 유닛(10)이 유리(G) 사이에 개재되는 유리 고정 모드에 있을 때 삽입형 스토퍼(13)와 유리(G)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존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유리(G)가 미세하게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이러한 유동 공간은 유리 강화 작업을 위한 용액 처리 공정 등에 있어서 유리(G)의 미세한 변형에 따라 유리(G)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형 스토퍼(13)는 유리(G)와 마주보는 면의 모서리가 라운드 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유리 면과 삽입형 스토퍼(13)가 서로 접촉할 때 유리(G)에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킴으로써 유리(G)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삽입형 스토퍼(13)는 탈착식으로서 연장 바(12)에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형 스토퍼(13)는 서로 인접하는 유리(G) 사이의 간격(D)에 따라 적절한 폭을 갖는 것으로 교체됨으로써 유리(G)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삽입형 스토퍼(13)의 수평 단면이 대략 원형인 경우(도 2 참조) 및 타원형인 경우(도 3 참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삽입형 스토퍼(13)는 유리(G)와 마주보는 면의 모서리가 라운드 진 형상을 갖는 것이라면 그 전체적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지지 유닛(20)은, 유리 고정 장치의 하부에 위치하여, 세워진 상태에 있는 유리(G)의 수평 길이 방향을 따라 그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지지 바(21) 및 받침 틀(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바(21)는 유리(G)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리(G) 하부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것으로서, 유리(G)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대략 긴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 바(21)의 상면, 즉 유리(G)의 하부와 마주보는 면은 길이 방향 양측 단부의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유리 강화 작업을 위하여 질산칼륨과 같은 용액 처리 시 지지 바(21)의 모서리 부위와 접촉하는 유리(G) 부분에 용액과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유리(G)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지지 바(21) 하면의 중심부에는 받침 틀(2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 홈(2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 틀(22)은 지지 바(21)의 하부 중심에 위치하여 지지 바(21)가 시소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 바(21)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시소 축(22a) 및 지지 바 스토퍼(22b)를 포함한다.
상기 시소 축(22a)은 지면으로부터 지지 바(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 단부가 지지 바(21)의 삽입 홈(21a)에 삽입됨으로써 지지 바(21)의 시소 운동을 위한 중심 축의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 바(21)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시소 운동을 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지지 바(21) 상에 세워진 유리(G)가 미세하게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유리(G)의 하부는 지지 바(21)의 상면과 전체적으로 고르게 맞닿을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유리(G)의 파손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지지 바 스토퍼(22b)는 지지 바(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시소 축(22a)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하며, 지지 바(21)의 하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지지 바(21)의 시소 운동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유리(G)가 지지 바(21) 상에 안정적으로 적재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 바 스토퍼(22b)와 지지 바(21) 하면 사이의 거리는 대략 0.5 내지 1.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 지지 유닛(20)은 유리 고정 장치(100)의 적재 용량에 따라 유리(G)가 적재되는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유리(G)에 대해서도 유리(G)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 그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서브 지지 유닛(30)은 유리(G)의 하부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는 유리(G)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공통 회전 축(31), 연결 바(32) 및 지지대(33)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지지 유닛(30)은 지지 바(21) 상에 세워진 유리(G)가 지지 바(21)의 폭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지지 바(21)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통 회전 축(31)은 상기 유리(G)의 하부 외측에 위치하며 유리(G)의 적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서 구동 모터(미도시)와 연결됨으로써 자동 방식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회전 축을 직접 돌리는 수동 방식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 바(32)는 일측 단부가 공통 회전 축(31)에 연결되어 공통 회전 축(31)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측 단부는 지지대(33)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 바(32)는 유리 고정 장치(100)의 적재 용량에 따라 공통 회전 축(3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33)는 연결 바(32)의 단부에 형성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서, 공통 회전 축(31)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유리(G)가 적재되는 공간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33)의 폭(W2)은 서로 인접하는 유리(G) 사이의 간격(D)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차이는 1mm 내지 3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리(G)가 미세하게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함으로써 유리 강화 작업을 위한 용액 처리 시 발생될 수 있는 유리(G)의 미세한 변형이나 움직임에 따라 유리(G)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33)는 유리(G)와 마주보는 면의 모서리가 라운드 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유리 면과 지지대(33)가 서로 접촉할 때 유리(G)에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킴으로써 유리(G)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33)는 탈착식으로서 연결 바(32)에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대(33)는 서로 인접하는 유리(G) 사이의 간격(D)에 따라 적절한 폭을 갖는 것으로 교체됨으로써 유리(G)가 지지 바(21) 상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측부 지지 유닛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100)와 비교하여 측부 지지 유닛(40)에 적용되는 스토퍼가 삽입형 스토퍼(13) 대신 집게형 스토퍼(43)로 바뀌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집게형 스토퍼(43)의 구조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측부 지지 유닛(40)은 회전 축(41), 연장 바(42), 집게형 스토퍼(43) 및 회전 제한 틀(44)을 포함하며, 상기 집게형 스토퍼(43)는 유리(G)를 사이에 두고 유리(G)의 양측 면 각각과 인접하는 제1 스토퍼(43a) 및 제2 스토퍼(43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토퍼(43a) 및 제2 스토퍼(43b)의 내측 면 사이의 간격(d)은 유리(G)의 두께(t)보다 대략 1mm 내지 3mm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측부 지지 유닛(40)이 유리 고정 모드에 있을 때 집게형 스토퍼(43)와 유리(G)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존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유리(G)가 미세하게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이러한 유동 공간은 유리 강화 작업을 위한 용액 처리 시 발생될 수 있는 유리(G)의 미세한 변형이나 움직임에 따라 유리(G)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집게형 스토퍼(43)는 제1 스토퍼(43a) 및 제2 스토퍼(43b) 내측 면의 모서리가 라운드 진 형상을 가져 유리(G)에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킴으로써 유리(G)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집게형 스토퍼(43)는 탈착식으로서 연장 바(42)에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집게형 스토퍼(43)는 제1 스토퍼(43a) 및 제2 스토퍼(43b) 사이에 위치하는 유리(G)의 두께(t)에 따라 적절한 폭(d)을 갖는 것으로 교체됨으로써 유리(G)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측부 지지 유닛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와 비교하여 측부 지지 유닛(50)의 구조가 일부 다르고 그에 따라 측부 지지 유닛(50)의 구동 방식이 다를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차이점이 있는 측부 지지 유닛(50)의 구조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측부 지지 유닛(50)은 수평 가이드(51), 연장 바(52) 및 스토퍼(53)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가이드(51)는 유리(G)의 외측에 위치하며, 유리(G)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51a)을 구비한다. 상기 연장 바(52)는 가이드 홈(51a)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51a)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수평 왕복 운동을 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측부 지지 유닛(50)은 가이드(51)에 의해 화살표 방향을 따라 수평 왕복 운동을 한다는 점에서 회전 운동을 하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측부 지지 유닛(10,40)과 차이가 있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53)는 연장 바(52)의 단부에 형성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서,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삽입형 스토퍼(13) 및 집게형 스토퍼(43)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53)는 탈착식으로서 인접하는 유리(G) 사이의 간격(D) 또는 유리(G)의 두께(t)에 따라 다른 사이즈를 갖는 스토퍼(53)가 적용될 수 있음은 앞선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 측부 지지 유닛(50)은 연장 바(52)가 서보모터 또는 실린더 장치 등의 액추에이터와 연결됨으로써 자동 방식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연장 바(52)를 직접 밀고 당기는 수동 방식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 고정 장치는, 적재된 유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잘 고정시키되 유리의 미세한 기울어짐이나 변형이 있는 경우에도 유리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유리를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유리 고정 장치 10: 측부 지지 유닛
11: 회전 축 12: 연장 바
13: 삽입형 스토퍼 14: 회전 제한 틀
20: 하부 지지 유닛 21: 지지 바
21a: 삽입 홈 22: 받침 틀
22a: 시소 축 22b: 지지 바 스토퍼
30: 서브 지지 유닛 31: 공통 회전 축
32: 연결 바 33: 지지대

Claims (20)

  1. 복수개의 유리가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세워지도록 하는 유리 고정 장치로서,
    상기 유리 고정 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리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유닛; 및
    상기 유리 고정 장치의 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리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개의 측부 지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측부 지지 유닛은,
    상기 유리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개의 유리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축;
    상기 회전 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축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바; 및
    상기 연장 바의 단부에 형성 또는 설치되어 상기 서로 인접하는 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삽입형 스토퍼를 포함하는 유리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지지 유닛은,
    상기 유리 높이의 1/2 보다 더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측부 지지 유닛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형 스토퍼는,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형 스토퍼는,
    상기 유리 면과 마주보는 면의 모서리가 라운드 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형 스토퍼의 폭은 상기 서로 인접하는 유리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 유닛은,
    상기 유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 유닛은,
    상기 유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유리 하부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지지 바; 및
    상기 지지 바의 하부 중심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 바가 시소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바를 지지하는 받침 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틀은,
    상기 지지 바의 하부 중심과 접촉하는 시소 축; 및
    상기 지지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시소 축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지지 바의 하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지지 바의 시소 운동 각도를 제한하는 지지 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의 하측 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리의 하부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서브 지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11. 복수개의 유리가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세워지도록 하는 유리 고정 장치로서,
    상기 유리 고정 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유리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유닛; 및
    상기 유리 고정 장치의 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리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리의 양측 면 각각과 인접하는 복수개의 측부 지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측부 지지 유닛은,
    상기 유리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개의 유리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축;
    상기 회전 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축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바; 및
    상기 유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리의 양측 면 각각과 인접하는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장 바의 단부에 형성 또는 설치되는 집게형 스토퍼를 포함하는 유리 고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지지 유닛은,
    상기 유리 높이의 1/2 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측부 지지 유닛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형 스토퍼는,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형 스토퍼는,
    상기 유리 면과 마주보는 면의 모서리가 라운드 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유리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고정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20045711A 2012-04-30 2012-04-30 유리 고정 장치 KR101229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711A KR101229567B1 (ko) 2012-04-30 2012-04-30 유리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711A KR101229567B1 (ko) 2012-04-30 2012-04-30 유리 고정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503A Division KR101386596B1 (ko) 2012-10-29 2012-10-29 유리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567B1 true KR101229567B1 (ko) 2013-02-04

Family

ID=4789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711A KR101229567B1 (ko) 2012-04-30 2012-04-30 유리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5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508Y1 (ko) 2006-09-04 2006-12-05 (주)한국나노글라스 표시창용 강화유리의 제조장치
KR20110119927A (ko) * 2010-04-28 2011-11-03 김한곤 유리 강화열처리장치에 사용되는 대형유리 적재장치
KR20110135573A (ko) * 2010-06-11 2011-12-19 (주)피앤테크 강화유리 제조장치의 원판 유리 적재용 지그
KR20110135572A (ko) * 2010-06-11 2011-12-19 (주)피앤테크 강화유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508Y1 (ko) 2006-09-04 2006-12-05 (주)한국나노글라스 표시창용 강화유리의 제조장치
KR20110119927A (ko) * 2010-04-28 2011-11-03 김한곤 유리 강화열처리장치에 사용되는 대형유리 적재장치
KR20110135573A (ko) * 2010-06-11 2011-12-19 (주)피앤테크 강화유리 제조장치의 원판 유리 적재용 지그
KR20110135572A (ko) * 2010-06-11 2011-12-19 (주)피앤테크 강화유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901B1 (ko) 금속제품 운반 그리퍼 및 이를 이용한 금속제품 적재 설비
JP4818730B2 (ja) 基板の化学処理装置および化学処理方法
KR101229567B1 (ko) 유리 고정 장치
CN106458694B (zh) 玻璃板收容夹具以及化学强化玻璃板的制造方法
KR101386596B1 (ko) 유리 고정 장치
KR101197226B1 (ko) 유리 고정 장치
KR101229568B1 (ko) 유리 고정 장치
RU26118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ладывания в стопу и извлечения из стопы пластинообразных объектов
JP2009293983A (ja) スライド標本用染色装置
KR100934809B1 (ko) 워크 수납 장치 및 워크 수납 방법
KR101571010B1 (ko) 글라스패널 전면 클램프 및 그것을 구비한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KR101534647B1 (ko) 기판 이송 장치
CN207463731U (zh) 晶体板条元件超声清洗的装夹装置
KR101605472B1 (ko)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20130130157A (ko) 유리 적재용 카세트
CN100343971C (zh) 基板保持工具、电子仪器制造方法、光掩膜的制造方法
CN112563188A (zh) 一种晶圆用石英夹具及其使用方法
JP5583516B2 (ja) ワーク積載装置
TWI478880B (zh) 化學鋼化爐玻璃支撐架
CN219949002U (zh) 一种搬运用承受台
JP5171147B2 (ja) 仕切り板移送装置
CN213613021U (zh) Ito平面靶材清洗固定装置
KR101000598B1 (ko) 박판유리 강화열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유리 적재 카세트용 랙장치
TWI744988B (zh) 清洗及蝕刻裝置
KR20150072540A (ko) 유리 카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