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201B1 - 조립식 미로 - Google Patents

조립식 미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201B1
KR101229201B1 KR1020110101086A KR20110101086A KR101229201B1 KR 101229201 B1 KR101229201 B1 KR 101229201B1 KR 1020110101086 A KR1020110101086 A KR 1020110101086A KR 20110101086 A KR20110101086 A KR 20110101086A KR 101229201 B1 KR101229201 B1 KR 101229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ze
rod
rods
labyrin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아-천 첸
Original Assignee
치아-천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아-천 첸 filed Critical 치아-천 첸
Priority to KR1020110101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1/00Labyrinth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공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탈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이하게 재조립할 수 있고, 다른 통로를 구성함으로써 게임을 변화시켜, 학습 및 오락효과를 확실하게 달성하며, 사용상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미로를 제공한다. 조립식 미로는 복수의 미로유닛(1)을 결합시켜서 하나의 미로를 구성한다. 미로유닛(1)은 4개의 틀형성봉(10), 하나의 보강봉(11) 및 복수의 고정유닛(12)으로 구성된다. 4개의 틀형성봉(10)은 단부를 서로 결합시켜서 정사각형의 프레임을 구성한다. 보강봉(11)은 프레임의 대각선상에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양단이 프레임에 고정된다. 고정유닛(12)은 각 천공에 끼워 넣어져서 4개의 틀형성봉(10) 및 보강봉(11)을 고정하여 미로유닛(1)을 완성시킨다.

Description

조립식 미로{Combination structure for a labyrinth}
본 발명은 조립식 미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외에 설치되어 오락 또는 학습에 이용되는 미로의 건물은 복수의 격리판 및 복수의 고정ㆍ연결유닛으로 구성된다. 고정ㆍ연결유닛의 대부분은 나사 또는 못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조립된 미로의 통로는 용이하게 변경할 수 없다. 통로가 변하지 않는 미로는 몇번 플레이되면 통로가 기억되어져서 게임의 즐거움 및 도전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사람들의 흥미를 불러 일으킬 수 없게 되어, 폐허와 같은 건물이 되어버린다. 따라서, 미로의 신선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통로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일본 특개평10-295951호 공보
그러나, 미로의 유닛을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롭다. 또한 미로를 분해할 때에 격리판은 손상 및 파괴되고, 재활용이 불가능하게 되어 폐기물이 되어버리는 사태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재료를 낭비하거나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또한 고정식 미로의 유닛은 체적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반송이 어렵고, 수송 시에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또한 일반적인 미로에 사용되는 격리판은 조립된 후에 공간을 차폐하기 때문에, 내부에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사람의 움직임을 외부로부터 관찰할 수 없다. 내부에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사람이 아이인 경우, 아이는 외부의 어른으로부터 자신이 있는 곳이 확인될 수 없으므로 초조해 하며 울거나 위험을 불러 일으키는 사태가 일어나기 쉽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이며, 임의의 장소에 적용하고, 공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탈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이하게 재조립할 수 있고, 다른 통로를 구성함으로써 게임을 변화시켜, 학습 및 오락효과를 확실하게 달성하며, 사용상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미로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인 미로를 조립하여 사용할 때에 발생한 상술한 결점에 대해서, 본 발명자는 연구 및 개량을 끊임없이 진행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미로는 복수의 미로유닛을 결합시켜서 하나의 미로를 구성한다. 미로유닛은 4개의 틀형성봉, 1개의 보강봉 및 복수의 고정유닛으로 구성된다. 4개의 틀형성봉은 단부를 서로 수직으로 결합시켜서 정사각형의 프레임을 구성한다. 틀형성봉은 일단에 제1 연결단을 갖고, 타단에 제2 연결단을 갖는다. 틀형성봉의 제1 연결단은 절단면 및 제1 천공을 갖는다. 틀형성봉의 제2 연결단은 절단면 및 제2 천공을 갖는다. 틀형성봉은 복수의 제3 천공을 갖는다.
보강봉은 프레임의 대각선상에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양단에 제3 연결단을 갖는다. 보강봉의 제3 연결단은 프레임의 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양측에 형성된 절단면과 제3 천공을 갖는다. 복수의 고정유닛은 프레임 상에서 겹치는 틀형성봉의 제1 연결단 각각의 제1 천공, 또는 프레임 상에서 겹치는 틀형성봉의 제2 연결단의 제2 천공과 보강봉의 제3 연결단의 제4 천공에 끼워 넣어져서, 4개의 틀형성봉 및 1개의 보강봉을 고정하여 미로유닛을 완성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틀형성봉은 제1 연결단에 형성된 2분의 1의 절단면과, 제2 연결단에 형성된 3분의 2의 절단면을 갖는데 반해, 보강봉은 제3 연결단의 양측에 형성된 3분의 1의 절단면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유닛은 끈이다. 끈은 일단에 형성된 내측 나사산과, 타단에 형성된 외측 나사산을 갖는다.
본 발명은 각 미로유닛을 서로 연결할 때에 미로유닛의 틀형성봉의 서로 대응하는 제3 천공에 고정유닛을 끼워 넣음으로써 미로유닛을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미로는, 공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탈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이하게 재조립할 수 있고, 다른 통로를 구성함으로써 게임을 변화시켜, 학습 및 오락효과를 확실하게 달성하며, 사용상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미로의 조립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미로의 조립구조에서의 틀형성봉 및 보강봉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미로의 조립구조에서의 고정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미로의 조립구조에서의 미로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미로의 조립구조에서 미로유닛을 2개씩 서로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미로의 조립구조에 기초하여 구성된 미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미로의 조립구조에 기초하여 구성된 미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미로의 조립구조에 기초하여 구성된 다른 미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미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복수의 미로유닛(1)을 결합시켜서 하나의 미로를 구성한다. 미로유닛(1)은 4개의 틀형성봉(10), 1개의 보강봉(11) 및 복수의 고정유닛(12)으로 구성된다. 4개의 틀형성봉(10)은 서로 수직으로 결합하여 정사각형의 프레임을 구성한다. 틀형성봉(10)은 양단에 "제1 연결단"으로서의 연결단(100), "제2 연결단"으로서의 연결단(101)을 갖는다. 연결단(100)은 2분의 1의 절단면(102) 및 "제1 천공"으로서의 천공(104)을 갖는다. 다른 연결단(101)은 3분의 2의 절단면(103) 및 "제2 천공"으로서의 천공(105)을 갖는다. 틀형성봉(10)은 벽면에 복수의 "제3 천공"으로서의 천공(106)을 갖는다.
보강봉(11)은 4개의 틀형성봉(10) 내에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양단에 "제3 연결단"으로서의 연결단(110)을 갖는다. 2개의 연결단(110)은 양측에 형성된 3분의 1의 절단면(111)과 "제4 천공"으로서의 천공(112)을 갖는다. 복수의 고정유닛(12)은 서로 수직으로 결합하는 4개의 틀형성봉(10) 상의 연결단(100)의 천공(104), 연결단(101)의 천공(105) 및 보강봉(11) 상의 연결단(110)의 천공(112)에 끼워 넣어진다. 고정유닛(12)은 끈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고정유닛(12)은 4개의 틀형성봉(10) 및 1개의 보강봉(11)을 고정한다. 고정유닛(12)은 일단에 형성된 내측 나사산(120)과 타단에 형성된 외측 나사산(121)을 갖는다. 이상은 미로의 조립구조에 대한 설명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립 시에 2개의 틀형성봉(10)의 연결단(100)을 서로 수직으로 연결하여 90도의 각도를 이루게 한다. 이때 2개의 틀형성봉(10)의 연결단(100)은 서로 대응하는 2분의 1의 절단면(102)에 설치되고, 2개의 틀형성봉(10)의 연결단(100) 상의 천공(104)은 서로 대응한다. 이어서, 2개의 서로 대응하는 연결단(100)의 천공(104) 내에 고정유닛(12)을 끼워 넣고, 고정유닛(12)의 일단의 외측 나사산(121)과 타단의 내측 나사산(120)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2개의 틀형성봉(10) 상의 서로 연결된 단부를 고정한다.
이어서, 보강봉(11)의 2개의 연결단(110)을 각각 2개의 수직으로 연결된 틀형성봉(10)의 다른 연결단(101) 상의 3분의 2의 절단면(103) 내에 위치시키고, 보강봉(11)의 연결단(110) 상의 천공(112)과 틀형성봉(10)의 다른 연결단(101) 상의 천공(105)을 서로 대응시킨다. 이어서, 상술한 방법에 의해 다른 2개의 틀형성봉(10)을 서로 수직으로 연결하여 90도의 각도를 이루게 한다.
이어서, 다른 2개의 틀형성봉(10)의 다른 연결단(101)을 보강봉(11)의 연결단(110)에 위치시키고, 2개의 틀형성봉(10)의 연결단(101) 상의 천공(105)과 보강봉(11)의 연결단(110) 상의 천공(112)을 서로 대응시킨다. 이어서, 서로 대응하는 천공(105, 112) 내에 고정유닛(12)을 끼워 넣고, 고정유닛(12)의 일단의 외측 나사산(121)과 타단의 내측 나사산(120)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틀형성봉(10)과 보강봉(11)을 고정하여 하나의 미로유닛(1)을 구성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미로유닛(1)을 서로 밀착시키고, 서로 밀착된 틀형성봉(10)의 벽면 상의 천공(106)을 서로 대응시킨 후에, 서로 대응하는 천공(106) 내에 고정유닛(12)을 끼워 넣어서 체결하여 2개의 미로유닛(1)을 연결ㆍ고정하면, 미로유닛(1)의 결합이 완료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게임을 플레이할 때, 설계한 미로의 통로에 기초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결합한 복수의 그룹의 미로유닛(1)을 조합시켜서 미로(2)를 구성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미로유닛(1)의 각도를 임의로 조정함으로써 형태가 다른 미로(2)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미로유닛(1)은 공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탈착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탈착이 상당히 용이하고 신속하다. 또한 임의의 지형 및 장소에 대응하여 조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조립을 임의로 변경하여 통로가 다른 미로(2)를 구성함으로써 게임을 변화시켜, 미로 게임의 신선함을 유지하고, 학습 및 오락효과를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미로유닛(1)은 분해된 후 체적이 작고, 그다지 공간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반송에 편리할 뿐 아니라, 운송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미로유닛(1)을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손상 및 파괴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미로유닛(1)이 조립된 후에 중공형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미로(2)의 외부로부터 내부의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 내부의 플레이어가 아이인 경우, 외부로부터 아이가 있는 장소를 명확하게 확인하여 아이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상의 안전성이 상당히 높다.
상술한 바에 의해, 본 발명은 소기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의 것보다 바람직하게 실용성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1 : 미로유닛 10 : 틀형성봉
100 : 연결단(제1 연결단) 101 : 연결단(제2 연결단)
102 : 2분의 1의 절단면 103 : 3분의 2의 절단면
104 : 천공(제1 천공) 105 : 천공(제2 천공)
106 : 천공(제3 천공) 11 : 보강봉
110 : 연결단(제3 연결단) 111 : 3분의 1의 절단면
112 : 천공(제4 천공) 12 : 고정유닛
120 : 내측 나사산 121 : 외측 나사산
2 : 미로

Claims (4)

  1. 복수의 미로유닛을 결합시켜서 하나의 미로를 구성하고,
    상기 미로유닛은 4개의 틀형성봉, 1개의 보강봉 및 복수의 고정유닛으로 구성되고,
    4개의 상기 틀형성봉은 단부를 서로 수직으로 결합시켜서 정사각형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틀형성봉은 일단에 제1 연결단을 갖음과 동시에 타단에 제2 연결단을 갖고, 상기 틀형성봉의 상기 제1 연결단은 상기 프레임의 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한쪽에 형성되는 절단면, 및 상기 프레임의 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천공을 갖고, 상기 틀형성봉의 상기 제2 연결단은 상기 프레임의 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한쪽에 형성되는 절단면, 및 상기 프레임의 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천공을 갖고,
    상기 틀형성봉은 상기 프레임의 면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제3 천공을 갖고,
    상기 보강봉은 상기 프레임의 대각선상에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양단에 제3 연결단을 갖고, 상기 보강봉의 상기 제3 연결단은 상기 프레임의 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는 2개의 절단면과, 상기 프레임의 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4 천공을 갖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프레임 상에서 겹치는 상기 틀형성봉의 상기 제1 연결단 각각의 상기 제1 천공에 끼워 넣어지거나, 혹은 상기 프레임 상에서 겹치는 상기 틀형성봉의 상기 제2 연결단의 상기 제2 천공과 상기 보강봉의 상기 제3 연결단의 상기 제4 천공에 끼워 넣어져서 4개의 상기 틀형성봉과 상기 보강봉을 고정하여 상기 미로유닛을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미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형성봉의 상기 제1 연결단에 형성된 상기 절단면은 상기 제1 연결단 중 상기 프레임의 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2분의 1이 절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틀형성봉의 상기 제2 연결단에 형성된 상기 절단면은 상기 제2 연결단 중 상기 프레임의 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3분의 2가 절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봉의 상기 제3 연결단에 형성된 상기 절단면은 상기 제3 연결단 중 상기 프레임의 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3분의 1이 절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미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끈이며, 일단에 형성된 내측 나사산과,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 나사산이 나사 맞춤 가능한 외측 나사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미로.
  4.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미로유닛 각각을 서로 연결할 때, 한쪽의 미로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틀형성봉의 상기 제3 천공과, 다른 쪽의 미로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틀형성봉의 상기 제3 천공에 상기 고정유닛을 끼워 넣음으로써 2개의 상기 미로유닛 각각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미로.
KR1020110101086A 2011-10-05 2011-10-05 조립식 미로 KR101229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086A KR101229201B1 (ko) 2011-10-05 2011-10-05 조립식 미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086A KR101229201B1 (ko) 2011-10-05 2011-10-05 조립식 미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201B1 true KR101229201B1 (ko) 2013-02-01

Family

ID=47898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086A KR101229201B1 (ko) 2011-10-05 2011-10-05 조립식 미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2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700U (ja) * 1993-06-29 1995-01-27 勝仁 大塚 ミニ迷路
KR100846924B1 (ko) 2006-12-29 2008-07-17 이봉재 조립식 미로겸용 칸막이
JP2011120799A (ja) 2009-12-12 2011-06-23 Isao Arai 体験型の組立式迷路遊戯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700U (ja) * 1993-06-29 1995-01-27 勝仁 大塚 ミニ迷路
KR100846924B1 (ko) 2006-12-29 2008-07-17 이봉재 조립식 미로겸용 칸막이
JP2011120799A (ja) 2009-12-12 2011-06-23 Isao Arai 体験型の組立式迷路遊戯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0977B2 (en) Magnetic module and construction kit
JP5346361B2 (ja) 組立式迷路
TWI599516B (zh) Adjustable size of the modular pallet
WO2007021090A1 (en) Wooden block set
KR101229201B1 (ko) 조립식 미로
RU2670152C2 (ru)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й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игрушечный конструктор
KR101180298B1 (ko) 조립식 토이 하우스
KR10132438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JP6232506B2 (ja) 鎖および空間構造を作成するための接続可能部品
JP3129158U (ja) 多目的組み合わせ構造
KR101740504B1 (ko) 조립식 블록완구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CN206240078U (zh) 一种互锁互扣的多面井字构件智力玩具
JP2015148054A (ja) 段ボール製仕切り板キット
JP2014226103A (ja) 愛玩動物用遊戯具
JP2011120799A (ja) 体験型の組立式迷路遊戯具
TWI400116B (zh) Maze combination structure
KR101626253B1 (ko) 조립식 led 블록 완구
KR101140130B1 (ko) 놀이용 건축물
JP2019088193A (ja) 構造体
JP6731711B2 (ja) 組立玩具
JP3181668U (ja) 骨組み組立て部材
KR200398260Y1 (ko) 조립식 완구
JP3215432U (ja) 大型積み木基板構造
RU22057U1 (ru) Деталь конструкт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