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180B1 - 폴리이미드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이미드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180B1
KR101229180B1 KR1020080014299A KR20080014299A KR101229180B1 KR 101229180 B1 KR101229180 B1 KR 101229180B1 KR 1020080014299 A KR1020080014299 A KR 1020080014299A KR 20080014299 A KR20080014299 A KR 20080014299A KR 101229180 B1 KR101229180 B1 KR 101229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dextrin
polyimide film
aromatic
monomer
dianhyd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9002A (ko
Inventor
김정한
강충석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4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180B1/ko
Publication of KR2009008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1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67Wholly aromatic polyimides, i.e. having both tetracarboxylic and diamino moieties aromatically b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3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 필름에 관한 것으로, 연성 단량체를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로 봉입하여 사용함으로써, 경성 단량체를 사용한 것에 비해 동등 이상의 강도를 발휘할 수 있으면서 동일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단량체의 선택의 폭을 넓힘에 따라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이미드(PI) 필름은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과 방향족 디아민을 중합하여 폴리이미드 전구체를 제조한 후,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지지체 상에 도포하고 건조 및 고온에서 폐환탈수시켜 이미드화하여 제조되는 고내열성 필름이다.
한편,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열적으로 열경화성과 열가소성으로 구분되는데, 열경화성 수지는 분자구조상에 연성 사슬(flexible chain)이 존재하지 않는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및 방향족 디아민(이하, 경성 단량체)의 중합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반면에 열가소성 폴리이미드계 수지의 경우는 연성 사슬을 포함하는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및 방향족 디아민(이하, 연성 단량체)의 중합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연성 사슬이라 함은 -O-, -CO-, -NHCO-, -S-, -SO 2 -, -CO-O-, -CH2-, -C(CH3)2- 사슬을 들 수 있다.
그런데 가요성 동박 적층판, TAB 테이프, COF용 등 다양한 전자재료로 이용되는 폴리이미드 필름은 경성 단량체가 주요하게 사용되는 열경화성 필름이며, 이에 경성 단량체가 다량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사용가능한 경성단량체의 종류는 한정되어 있는바, 사용할 수 있는 단량체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연성 단량체를 포함하여 얻어지되, 강도가 향상된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는 방향족 디아민과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이미드 필름에 있어서, 방향족 디아민과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에 의해 봉입된 구조를 갖는, 방향족환 사이에 -O-, -CO-, -NHCO-, -S-, -SO2-, -CO-O-, -CH2-, -C(CH3)2-의 사슬을 포함하는 연성 단량 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이미드 필름에 있어서,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 헵타키스(2,6-디-O-메틸)-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헵타키스(2,3,6-트리-O-메틸)-β-사이클로덱스트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이미드 필름에 있어서, 방향족환 사이에 -O-, -CO-, -NHCO-, -S-, -SO2-, -CO-O-, -CH2-, -C(CH3)2-의 사슬을 포함하는 연성 단량체는 4,4'-옥시디프탈산 무수물,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 비스페놀A 이무수물 및 3,3',4,4'-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이미드 필름에 있어서, 방향족환 사이에 -O-, -CO-, -NHCO-, -S-, -SO2-, -CO-O-, -CH2-, -C(CH3)2-의 사슬을 포함하는 연성 단량체는 4,4'-디아미노디에페닐에테르, 4,4'-디아미노벤즈아닐리드, 1,3-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 4,4'-(1,3-페닐렌디이소프로필리덴)디아닐린,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및 3,3-디아미노디페닐술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방향족 디아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향족 환 사이에 -O-, -CO-, -NHCO-, -S-, -SO2-, -CO- O-, -CH2-, -C(CH3)2- 등의 사슬을 포함하는 방향족 디아민 단량체 또는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을 사용하면서도 필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에 따라 경성 단량체로부터 달성되던 분야를 대체할 수 있게 되어 단량체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폴리이미드 필름 생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필름 제조에 사용되는 단량체로서 방향족환 사이에 연성 사슬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면서도 강도를 향상시킨 필름으로, 통상 연성 사슬, 일예로 -O-, -CO-, -NHCO-, -S-, -SO2-, -CO-O-, -CH2-, -C(CH3)2- 등의 사슬을 방향족 환 사이에 포함하는 단량체, 즉 연성 단량체를 사용하게 되면 강도가 떨어지고, 열팽창 계수가 증가하여 연성 사슬을 포함하지 않는 단량체인 경성 단량체를 대체하기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는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및 방향족 디아민 중 적어도 1종의 단량체를,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로 봉입된 연성 단량체로 사용한다.
여기서 사이클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는 구체적으로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 헵타키스(2,6-디-O-메틸)-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헵타키스(2,3,6-트리-O-메틸)-β-사이클로덱스트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것일 수 있다.
이들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의 구조를 공통적으로 나타내면, 다음 화학식 1로 대별될 수 있다.
Figure 112008011740386-pat00001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를 이용하여 방향족 환 사이에 연성 사슬을 갖는 단량체를 물리적으로 봉입하면, 사이클로덱스트린 내부에 존재하는 고분자 주사슬의 이동성을 제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강도를 향상시켜 경성 단량체를 대체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족 디아민류와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을,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를 이용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봉입하는 방법에는 그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일예로 열수 중의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에 연성 단량체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반응혼합물을 물리적으로 교반하면서 환류시킨 후 결정화하면 가용성 착물을 얻을 수 있는데, 이것이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물리적으로 봉입된 연성 단량체이다.
이때, 연성 단량체, 즉 방향족환 사이에 -O-, -CO-, -NHCO-, -S-, -SO2-, -CO-O-, -CH2-, -C(CH3)2-의 사슬을 포함하는 단량체는 4,4'-옥시디프탈산 무수물,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 비스페놀A 이무수물 및 3,3',4,4'-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일 수 있다.
또한 연성 단량체는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4,4'-디아미노벤즈아닐리드, 1,3-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 4,4'-(1,3-페닐렌디이소프로필리덴)디아닐린,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및 3,3-디아미노디페닐술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방향족 디아민일 수 있다.
일예로, 다음 반응식 1은 연성 방향족 디아민 단량체인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이하, DDE라 함)를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봉입하는 반응메카니즘을 표현한 것이다.
Figure 112008011740386-pat00002
이와 같이 봉입된 연성 단량체들 중에서 적어도 1종을 선택하여 중합하거나, 이들을 다른 경성 단량체들과 혼합하여 중합함으로써 폴리이미드 전구체를 얻을 수 있다.
일예로, 다음 반응식 2는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봉입된 DDE와,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무수물(6FDA라 함)을 반응시켜 폴리이미드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Figure 112008011740386-pat00003
이와 같은 중합 반응시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반응 온도는 -20~80℃가 바람직하고, 반응시간은 2~48시간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시 아르곤이나 질소 등의 불활성 분위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단량체들의 용액 중합반응을 위한 유기용매는 폴리이미드 전구체를 용해하는 용매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공지된 반응용매로서 m-크레졸, N-메틸-2-피롤리돈(NMP),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아세톤, 디에틸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극성용매를 사용한다. 이외에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클로로포름과 같은 저비점 용액 또 는 γ-부티로락톤과 같은 저흡수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의 함량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적절한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의 분자량과 점도를 얻기 위하여 유기용매의 함량은 전체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 중 50~95중량% 일 수 있고, 더욱 좋게는 70~90중량% 일 수 있다.
아울러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이용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제조시, 폴리이미드 필름의 접동성, 열전도성, 도전성, 내코로나성과 같은 여러 가지 특성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에 충전제를 첨가할 수 있다. 충전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실리카, 산화티탄, 층상실리카, 카본나노튜브, 알루미나, 질화규소, 질화붕소, 인산수소칼슘, 인산칼슘, 운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충전제의 입경은 개질하여야 할 필름의 특성과 첨가하는 충전제의 종류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는 평균 입경이 0.0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10㎛인 것이 좋다. 이 경우 폴리이미드 필름의 개질효과가 나타나기 쉽고, 폴리이미드 필름에 있어서 양호한 표면성, 도전성 및 기계적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제의 첨가량에 대해서도 개질해야 할 필름 특성이나 충전제 입경 등에 따라 변동할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충전제의 첨가량은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2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부인 것이 좋다.
충전제의 첨가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중합 전 또는 중합 후에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에 첨가하는 방법, 폴리이미드 전구체 중합 완료 후 3본롤 등을 사용하여 충전제를 혼련하는 방법, 충전제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준비하여 이것을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에 혼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득된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으로부터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종래부터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의 이미드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열 이미드화법과 화학 이미드화법을 들 수 있는데, 화학 이미드화법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학 이미드화법은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에 아세트산무수물 등의 산무수물로 대표되는 탈수제와 이소퀴놀린, β-피콜린, 피리딘 등의 3급 아민류 등으로 대표되는 이미드화 촉매를 적용시키는 방법이다. 화학 이미드화법에 열 이미드화법을 병용할 수 있으며, 가열 조건은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의 종류, 필름의 두께 등에 의하여 변동될 수 있다.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지지체상에서 80~200℃, 바람직하게는 100~180℃에서 가열하여 탈수제 및 이미드화 촉매를 활성화함으로써 부분적으로 경화 및 건조한 후 겔 상태의 폴리이미드 전구체 필름을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여 얻고, 상기 겔 상태의 필름을 200~400℃에서 5~400초간 가열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을 얻는다.
얻어지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25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150㎛인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물리적으로 봉입된 연성 방향족 디아민의 제조
열수 중의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연성 디아민류 중 하나인 DDE(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또는 DDS(3,3'-디아미노디페닐술폰) 각각을 1.2 : 1.0 몰비가 되도록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시간 동안 환류하고 기계적 교반장치로 격렬하게 혼합하였다. 용액 중에 불용성 디아민류는 남고, 착물은 4℃에서 냉각하여 결정화하였다. 결정을 여과, 냉수로 세척 및 진공 건조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봉입된 디아민류를 제조하였다.
이를 각각 DDE-inc-CD, DDS-inc-CD라 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다음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단량체 조성으로 폴리이미드 전구체를 제조하고, 이로부터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 방법은 통상의 방법에 따랐다.
조성(당량비)
방향족 디아민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
실시예 1 PPDA(35), DDE-inc-CD(15) BPDA(50)
실시예 2 PPDA(40), DDE-inc-CD(10) BPDA(50)
실시예 3 PPDA(20), DDS-inc-CD(30) PMDA(50)
실시예 4 PPDA(10), DDE-inc-CD(40) BTDA(50)
PPDA: p-페닐렌디아민,
DDE-inc-CD: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봉입된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BPDA: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
BTDA :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
DDS-inc-CD: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봉입된 3,3'-디아미노디페닐술폰
PMDA: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비교예 1 내지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당량비로 폴리이미드 전구체를 제조하고, 이로부터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되, 다만 연성 단량체를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봉입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다. 구체 조성은 다음 표 2와 같다.
조성(당량비)
방향족 디아민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
비교예 1 PPDA(35), DDE(15) BPDA(50)
비교예 2 PPDA(40), DDE(10) BPDA(50)
비교예 3 PPDA(20), DDS(30) BTDA(30),
PMDA(20)
비교예 4 PPDA(10), DDE(40) BTDA(50)
PPDA: p-페닐렌디아민, DDE: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BPDA: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
BTDA: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
DDS: 3,3'-디아미노디페닐술폰
PMDA: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로부터 얻어진 각각의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하여 흡습율, 열팽창계수 및 기계적강도(모듈러스) 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1)흡습율: 10× 10㎠의 폴리이미드 필름의 무게를 측정하고,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을 순수에 완전히 침지한 후 24시간 방치한 후 물기를 닦아낸 다음 무게를 측정하여 증가된 무게의 비율을 계산하여 흡습율을 구하였다.
(2) 열팽창계수: 열기계분석장치(TA사 Q400 MA), 승온속도 10℃/분, 100 내지 200℃ 구간의 평균 열팽창계수
(3) 모듈러스: 인스트론 장비(Standard Instron Testing Apparatus)를 사용하여 ASTM D 882규정에 맞추어 3번 측정후 평균값을 취하였다.
흡습율(%) 열팽창계수
(ppm/℃)
(100~200℃)
모듈러스
(GPa)
실시예 1 1.65 13.3 8.3
실시예 2 1.57 11.2 8.8
실시예 3 3.50 17.6 5.0
실시예 4 3.10 27.0 5.7
비교예 1 1.43 15.5 7.8
비교예 2 1.44 12.0 8.4
비교예 3 3.00 20.0 4.2
비교예 4 2.80 35.0 4.7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봉입된 연성 단량체를 포함하여 제조된 폴리이미드 필름은 100~200℃사이에서 열팽창 계수가 증가하고, 모듈러스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

  1. 방향족 디아민과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이미드 필름에 있어서,
    방향족 디아민과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에 의해 봉입된 구조를 갖는, 방향족환 사이에 -O-, -CO-, -NHCO-, -S-, -SO2-, -CO-O-, -CH2-, -C(CH3)2-의 사슬을 포함하는 연성 단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족환 사이에 -O-, -CO-, -NHCO-, -S-, -SO2-, -CO-O-, -CH2-, -C(CH3)2-의 사슬을 포함하는 연성 단량체는 4,4'-옥시디프탈산 무수물,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 비스페놀A 이무수물 및 3,3',4,4'-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이거나; 4,4'-디아미노벤즈아닐리드, 1,3-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 4,4'-(1,3-페닐렌디이소프로필리덴)디아닐린,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및 3,3-디아미노디페닐술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방향족 디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 헵타키스(2,6-디-O-메틸)-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헵타키스(2,3,6-트리-O-메틸)-β-사이클로덱스트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3. 삭제
  4. 삭제
KR1020080014299A 2008-02-18 2008-02-18 폴리이미드 필름 KR101229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299A KR101229180B1 (ko) 2008-02-18 2008-02-18 폴리이미드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299A KR101229180B1 (ko) 2008-02-18 2008-02-18 폴리이미드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002A KR20090089002A (ko) 2009-08-21
KR101229180B1 true KR101229180B1 (ko) 2013-02-01

Family

ID=4120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299A KR101229180B1 (ko) 2008-02-18 2008-02-18 폴리이미드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5383A (ja) * 2011-03-15 2012-10-11 Ulvac Japan Ltd バリヤー膜の形成方法及びicチップパッケージ
KR101478301B1 (ko) * 2011-08-30 2014-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수지 조성물,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금속 적층체 및 회로 기판
CN111621055B (zh) * 2020-06-05 2021-08-13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环糊精-聚酰亚胺分子识别作用的超分子气凝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2402A (ja) 2006-03-03 2007-10-11 Univ Of Tokyo 液晶性ポリロタキサン
KR20090065750A (ko) * 2007-12-18 2009-06-23 주식회사 코오롱 투명 필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2402A (ja) 2006-03-03 2007-10-11 Univ Of Tokyo 液晶性ポリロタキサン
KR20090065750A (ko) * 2007-12-18 2009-06-23 주식회사 코오롱 투명 필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POLYMER *
논문2: JOURNAL OF INCLUSION PHENOMENA AND MACROCYCLIC CHEMISTR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002A (ko) 200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113B1 (ko)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 조성물
TWI792303B (zh) 一種聚醯亞胺薄膜及其製備方法與應用
JP2574162B2 (ja) 低融点ポリイミド共重合体
EP3106487B1 (en) Polyamide acid composition and polyimide composition
KR102246218B1 (ko) 폴리아믹산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JP2008239820A (ja) ポリアミック酸のイミド化重合体絶縁膜および膜形成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TWI418577B (zh)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imide film, and a polyamic acid solution composition
CN113439101A (zh) 包含新型二羰基化合物的聚酰胺酸组合物的制备方法、聚酰胺酸组合物、利用该聚酰胺酸组合物的聚酰胺酰亚胺膜的制备方法及通过该制备方法制备的聚酰胺酰亚胺膜
KR101229180B1 (ko) 폴리이미드 필름
KR20170092925A (ko) 열적, 기계적 특성이 개선된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H04296327A (ja) 高モジュラスポリイミド
KR20150001953A (ko) 고기능성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6789186B2 (ja) ポリアミド酸、ポリイミド、電子基板、高周波基板およびカバーレイフィルム
JPH0315931B2 (ko)
JP6789185B2 (ja) ポリアミド酸、ポリイミド、高周波基板およびカバーレイフィルム
KR20170100794A (ko) 폴리아믹산,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 소자
KR102472537B1 (ko)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KR102439488B1 (ko) 투명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방법
KR20100109204A (ko) 폴리아미드이미드-이미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246227B1 (ko) 폴리아믹산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JP6858693B2 (ja) 高周波基板材料用ポリアミド酸、高周波基板材料用ポリイミド、高周波基板材料用ポリイミドフィルム、高周波基板材料用ポリイミド成形体および高周波基板
KR101258432B1 (ko) 고온에서의 열적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용 기판
JPH0470332B2 (ko)
JPS63199239A (ja) 新規な溶剤可溶性ポリイミ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72528B1 (ko)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