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777B1 - 유체 정량 공급 밸브 - Google Patents

유체 정량 공급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777B1
KR101228777B1 KR1020100125172A KR20100125172A KR101228777B1 KR 101228777 B1 KR101228777 B1 KR 101228777B1 KR 1020100125172 A KR1020100125172 A KR 1020100125172A KR 20100125172 A KR20100125172 A KR 20100125172A KR 101228777 B1 KR101228777 B1 KR 101228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housing
guide
fluid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3973A (ko
Inventor
한홍주
Original Assignee
한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홍주 filed Critical 한홍주
Priority to KR1020100125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777B1/ko
Publication of KR20120063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777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정량 공급 밸브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내부체적실(12)을 가진 체적실동체(10)와, 상기 체적실동체(10) 상부에 체결고정되는 체적실캡(14)과, 상기 내부체적실(12)에 로드(22)를 일체화시킨 체적실 피스톤(24)이 내장 설치되어 유체의 공급방향에 따라 승하강하면서 내부체적실에 충진된 유체를 유출입시키는 유체실린더부(20)와, 상기 유체실린더부(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실린더부(20)의 내부체적실(12)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유체의 유출입을 유도하는 스풀(80)을 장착한 스풀하우징(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풀하우징(30)은,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스풀하우징(30)의 일단을 형성하고, 일단에 배출유로(42)가 형성되는 제 1하우징(40)과,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체적실(1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유체를 공급하는 제 1유로(52)와 제 2유로(54)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로 외부에서 유체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구(56)가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1하우징(40)과 접촉하는 제 2하우징(50)과,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2하우징(50)과 접촉하는 제 3하우징(60)과, 다각형의 기둥형으로 일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 2하우징(50)과 접촉하며, 내부의 공간이 상기 제 3하우징(60)이 형합되는 제 4하우징(70)과, 바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제 4하우징(70)의 내부공간(72)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피스톤(82)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하우징(40), 제 2하우징(50), 제 3하우징(60) 및 제 4하우징(70)을 관통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유입구(56)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제 1유로(52)와 상기 제 2유로(54)로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를 안내하는 스풀(80)과, 내부에 유로(92)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유로(42)와 연통되고, 상기 제 1하우징(40)의 유로가 형합되는 제 1가이드(90)과, 내부에 유로(102)가 형성되어 상기 제 1가이드(90)의 유로(92)와 연통되고, 일부가 상기 제 1하우징(90) 내부의 유로에 형합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 2하우징(50) 내부의 유로에 형합되며, 상기 제 1가이드(9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 2가이드(100)와, 내부에 유로(112)가 형성되어 상기 제 2가이드(100)의 유로(102)와 연통되며, 상기 제 2가이드(100)의 홈부(104)에 일부가 형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 2하우징(50)의 유로에 형합되며, 상기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112)와 상기 제 2유로(54)를 연통하는 제 2연결유로(114)가 마련되는 제 1가이드부시(110)와, 상기 제 2가이드(100)의 유로(102)와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 사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패킹부(120)와, 상기 제 1패킹부(1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1오링(122)과, 내부에 유로(132)가 형성되어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와 연통되며, 상기 제 2하우징(50)의 유로에 형합되며, 상기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112)와 상기 제 1유로(52)를 연통하는 제 1연결유로(134)가 마련되는 제 2가이드부시(130)와,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와 상기 제 2가이드부시(130)의 유로(132) 사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패킹부(140)와, 상기 제 2패킹부(14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2오링(142)과,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 2가이드부시의 유로와 연통되고, 일부가 상기 제 2하우징(50)의 유로와 형합되며,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 3하우징(60) 내부의 유로와 형합하는 제 3가이드(150)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 3가이드(150)의 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 3하우징(60)의 유로와 형합되는 제 4가이드(160)와, 상기 가이드부시의 유로와 상기 제 3가이드의 유로 사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3패킹부(170)와, 상기 제 3패킹부(17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3오링(172)과, 상기 제 4가이드(160)의 유로와 상기 제 3하우징(60)의 유로 사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4패킹부(180)와, 상기 제 4패킹부(18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4오링(18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정량 공급 밸브{A Dispensing Valve}
본 발명은 유체 정량공급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리스나 오일 등의 각종 유체를 정확하게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는 유체 정량공급밸브에 관한 것이다.
유체공급밸브는 그리스나 오일 등의 각종 유체를 정확한 양으로 토출공급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밸브이다. 내부에 유체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이 내장설치된 체적실과 스풀을 작동시키는 피스톤이 장착된 에어실, 그리소, 상기 스풀이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유체를 체적실의 하부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유체를 체적실의 상부로 공급시키는 유체공급링과 스풀패킹 및 유체를 체적실로 공급 및 배출시키기 위한 유체공급통로 및 유체배출통로 등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밸브 내부에 여러개의 스플패킹, 스플가이드부시, 유체안내링 등이 구비되는데, 이들을 결합시킬 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순서대로 삽입해야 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수개의 스플패킹, 스플가이드부시, 유체안내링 등이 삽입되어, 삽입과 제거시 내측벽과 관계에서 손상이 발생되기도 하고, 교체시 전체를 분해해야 되어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작업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하게 여러개의 스플패킹, 스플가이드부시, 유체안내링을 결합 및 분해할 수 있는 유체 정량공급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유체 정량공급밸브의 구성은, 본 발명은 유체 정량 공급 밸브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내부체적실(12)을 가진 체적실동체(10)와, 상기 체적실동체(10) 상부에 체결고정되는 체적실캡(14)과, 상기 내부체적실(12)에 로드(22)를 일체화시킨 체적실 피스톤(24)이 내장 설치되어 유체의 공급방향에 따라 승하강하면서 내부체적실에 충진된 유체를 유출입시키는 유체실린더부(20)와, 상기 유체실린더부(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실린더부(20)의 내부체적실(12)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유체의 유출입을 유도하는 스풀(80)을 장착한 스풀하우징(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풀하우징(30)은,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스풀하우징(30)의 일단을 형성하고, 일단에 배출유로(42)가 형성되는 제 1하우징(40)과,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체적실(1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유체를 공급하는 제 1유로(52)와 제 2유로(54)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로 외부에서 유체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구(56)가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1하우징(40)과 접촉하는 제 2하우징(50)과,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2하우징(50)과 접촉하는 제 3하우징(60)과, 다각형의 기둥형으로 일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 2하우징(50)과 접촉하며, 내부의 공간이 상기 제 3하우징(60)이 형합되는 제 4하우징(70)과, 바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제 4하우징(70)의 내부공간(72)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피스톤(82)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하우징(40), 제 2하우징(50), 제 3하우징(60) 및 제 4하우징(70)을 관통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유입구(56)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제 1유로(52)와 상기 제 2유로(54)로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를 안내하는 스풀(80)과, 내부에 유로(92)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유로(42)와 연통되고, 상기 제 1하우징(40)의 유로가 형합되는 제 1가이드(90)과, 내부에 유로(102)가 형성되어 상기 제 1가이드(90)의 유로(92)와 연통되고, 일부가 상기 제 1하우징(90) 내부의 유로에 형합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 2하우징(50) 내부의 유로에 형합되며, 상기 제 1가이드(9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 2가이드(100)와, 내부에 유로(112)가 형성되어 상기 제 2가이드(100)의 유로(102)와 연통되며, 상기 제 2가이드(100)의 홈부(104)에 일부가 형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 2하우징(50)의 유로에 형합되며, 상기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112)와 상기 제 2유로(54)를 연통하는 제 2연결유로(114)가 마련되는 제 1가이드부시(110)와, 상기 제 2가이드(100)의 유로(102)와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 사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패킹부(120)와, 상기 제 1패킹부(1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1오링(122)과, 내부에 유로(132)가 형성되어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와 연통되며, 상기 제 2하우징(50)의 유로에 형합되며, 상기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112)와 상기 제 1유로(52)를 연통하는 제 1연결유로(134)가 마련되는 제 2가이드부시(130)와,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와 상기 제 2가이드부시(130)의 유로(132) 사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패킹부(140)와, 상기 제 2패킹부(14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2오링(142)과,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 2가이드부시의 유로와 연통되고, 일부가 상기 제 2하우징(50)의 유로와 형합되며,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 3하우징(60) 내부의 유로와 형합하는 제 3가이드(150)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 3가이드(150)의 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 3하우징(60)의 유로와 형합되는 제 4가이드(160)와, 상기 가이드부시의 유로와 상기 제 3가이드의 유로 사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3패킹부(170)와, 상기 제 3패킹부(17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3오링(172)과, 상기 제 4가이드(160)의 유로와 상기 제 3하우징(60)의 유로 사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4패킹부(180)와, 상기 제 4패킹부(18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4오링(18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정량공급밸브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스플하우징을 여러개의 블럭으로 분할구성하여, 스플패킹, 스플가이드부시, 유체안내링 등이 안정적으로 다른 작업도구 없이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어 조립 및 해체 공정이 단순해지고, 조립 및 해체 중에 내측면과 각 부품들 간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아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유체 정량공급밸브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정량공급밸브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정량공급밸브를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유체 정량공급밸브를 구성하는 제 1가이드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정량공급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청무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체 정량공급밸브에 관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내부체적실(12)을 가진 체적실동체(10)와, 상기 체적실동체(10) 상부에 체결고정되는 체적실캡(14)과, 상기 내부체적실(12)에 로드(22)를 일체화시킨 체적실 피스톤(24)이 내장 설치되어 유체의 공급방향에 따라 승하강하면서 내부체적실에 충진된 유체를 유출입시키는 유체실린더부(20)와, 상기 유체실린더부(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실린더부(20)의 내부체적실(12)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유체의 유출입을 유도하는 스풀(80)을 장착한 스풀하우징(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정량공급밸브에는, 체적실동체(10)가 마련된다. 상기 체적실동체(10) 내부에는 내부체적실(12)이 마련된다. 상기 내부체적실(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풀하우징(30)을 통하여 상기 내부체적실(12)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피스톤(24)이 상기 내부체적실(12)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내부체적실(12)의 일단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체적실(12)의 상단에는 제 1유로(52)와 연통되는 제 1연결유로(12a)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체적실(12)의 하단에는 제 2유로(54)와 연통되는 제 2연결유로(12b)가 형성된다.
상기 체적실동체(10)의 상부에는 체적실캡(14)이 마련된다. 상기 체적실캡(14)은 상기 내부체적실(12)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유체 정량공급밸브에는 유체실린더부(20)가 마련된다. 상기 유체실린더부(20)는 내부체적실(12)에 설치되는 피스톤(24)과 상기 피스톤(24)에 결합되어 상기 체적실캡(14)을 관통하여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로드(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체실린더부(20)의 일측에는 스풀하우징(30)이 마련된다. 상기 스풀하우징(30)에는 상기 유체실린더부(20)의 내부체적실(12)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유체의 유출입을 유도하는 스풀(80)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스풀하우징(30)은 상술한 기능을 위해 여러가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되고, 상기 스풀하우징(30)은,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스풀하우징(30)의 일단을 형성하고, 일단에 배출유로(42)가 형성되는 제 1하우징(40)과,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체적실(1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유체를 공급하는 제 1유로(52)와 제 2유로(54)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로 외부에서 유체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구(56)가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1하우징(40)과 접촉하는 제 2하우징(50)과,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2하우징(50)과 접촉하는 제 3하우징(60)과, 다각형의 기둥형으로 일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 2하우징(50)과 접촉하며, 내부의 공간이 상기 제 3하우징(60)이 형합되는 제 4하우징(70)과, 바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제 4하우징(70)의 내부공간(72)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피스톤(82)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하우징(40), 제 2하우징(50), 제 3하우징(60) 및 제 4하우징(70)을 관통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유입구(56)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제 1유로(52)와 상기 제 2유로(54)로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를 안내하는 스풀(80)과, 내부에 유로(92)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유로(42)와 연통되고, 상기 제 1하우징(40)의 유로가 형합되는 제 1가이드(90)와, 내부에 유로(102)가 형성되어 상기 제 1가이드(90)의 유로(92)와 연통되고, 일부가 상기 제 1하우징(90) 내부의 유로에 형합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 2하우징(50) 내부의 유로에 형합되며, 상기 제 1가이드(9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 2가이드(100)와, 내부에 유로(112)가 형성되어 상기 제 2가이드(100)의 유로(102)와 연통되며, 상기 제 2가이드(100)의 홈부(104)에 일부가 형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 2하우징(50)의 유로에 형합되며, 상기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112)와 상기 제 2유로(54)를 연통하는 제 2연결유로(114)가 마련되는 제 1가이드부시(110)와, 상기 제 2가이드(100)의 유로(102)와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 사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패킹부(120)와, 상기 제 1패킹부(1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1오링(122)과, 내부에 유로(132)가 형성되어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와 연통되며, 상기 제 2하우징(50)의 유로에 형합되며, 상기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112)와 상기 제 1유로(52)를 연통하는 제 1연결유로(134)가 마련되는 제 2가이드부시(130)와,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와 상기 제 2가이드부시(130)의 유로(132) 사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패킹부(140)와, 상기 제 2패킹부(14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2오링(142)과,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 2가이드부시의 유로와 연통되고, 일부가 상기 제 2하우징(50)의 유로와 형합되며,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 3하우징(60) 내부의 유로와 형합하는 제 3가이드(150)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 3가이드(150)의 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 3하우징(60)의 유로와 형합되는 제 4가이드(160)와, 상기 가이드부시의 유로와 상기 제 3가이드의 유로 사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3패킹부(170)와, 상기 제 3패킹부(17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3오링(172)와, 상기 제 4가이드(160)의 유로와 상기 제 3하우징(60)의 유로 사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4패킹부(180)와, 상기 제 4패킹부(18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4오링(18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스풀하우징(30)에는 제 1하우징(4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하우징(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스풀하우징(30)의 하단을 형성하며, 하방으로 배출유로(4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하우징(40)의 일측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에는 제 2하우징(50)이 마련된다. 상기 제 2하우징(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하우징(40)과 마찬가지로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하우징(50)에는 상기 내부체적실(12)의 상단과 하단에 유체를 공급하는 제 1유로(52)와 제 2유로(5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50) 내부의 유로로 외부에서 유체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구(56)가 마련된다. 즉, 상기 유입구(56)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제 1유로(52) 또는 제 2유로(54)를 통하여 상기 내부체적실(12)로 유입되어 상기 유체실린더부(20)의 피스톤(24)이 승하강하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 2하우징(50)의 일측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에는 제 3하우징(60)이 마련된다. 상기 제 3하우징(60)도 상기 제 1하우징(40)과 마찬가지로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하우징(60)의 외부에는 제 4하우징(70)이 마련된다. 상기 제 4하우징(70)도 상기 제 1하우징(40)과 마찬가지로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내부공간(72)이 형성되고, 다만 제 1, 2, 3하우징(40, 50, 60)과 달리 일단만 개방되어 있다.
상기 내부공간(72)에는 상기 제 3하우징(60)이 삽입되며, 아래에서 설명될 스풀(80)의 피스톤(82)이 상기 내부공간(72)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공간(72)과 상기 제 3하우징(60)의 사이의 이동공간을 따라 피스톤(82)이 슬라이딩되며, 피스톤(82)이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상기 이동공간의 일단과 타단에는 상기 피스톤(82)이 이동하도록 하는 유체 예를 들면 에어가 유출입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4하우징(70)에서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것이 제 1에어유로(74)이고,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제 2에어유로(76)이다. 상기 제 1에어유로(74)로 에어가 공급되면 스풀(80)의 피스톤(82)이 하강하고, 상기 제 2에어유로(76)로 에어가 공급되면 스풀(80)의 피스톤(82)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하우징(40), 제 2하우징(50), 제 3하우징(60)의 유로를 관통하고 상기 제 4하우징(70)의 내부공간(72)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스풀(80)이 마련된다. 상기 스풀(80)의 일단 즉 상기 제 4하우징(70)의 내부공간(72)에는 피스톤(82)이 마련되어, 상기 내부공간(72)에 에어가 유출입되면 스풀(80)이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풀(80)은 상기 유입구(56)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제 1유로(52)와 상기 제 2유로(54)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풀(80)에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풀(80)이 외측면이 요입되는 요입홈(8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풀(80)이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요입홈(84)이 상기 유입구(56)와 제 1유로(52)를 연통시키거나, 상기 유입구(56)와 상기 제 2유로(54)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하우징(40) 내부에는 제 1가이드(9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가이드(90)에는 상기 스풀하우징(30)의 유로를 따라 안내되는 유체가 배출유로(4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로(92)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9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가이드(100)의 유로(102)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제 1가이드(90)와 상기 제 1하우징(40) 내측면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장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장홈이 상기 스풀(80)과 상기 제 1가이드(90) 사이에 형성되면, 상기 스풀(8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가이드(90) 내벽과 사이에 마모되어 상기 장홈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되는데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로(9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로(92)의 단면은 여러가지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가이드(90)의 일측 즉 상부에는 제 2가이드(10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가이드(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유로(102)가 형성되어 상기 제 1가이드(90)의 유로(92)와 연통되고, 일부가 상기 제 1하우징(40)의 내부에 형합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 2하우징(50) 내부에 형합된다.
특히, 상기 제 2가이드(100)의 직경은 상기 제 1가이드(9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 1하우징(40)과 상기 제 2하우징(50)을 분리한 후 상기 제 1가이드(90)와 상기 제 2가이드(100)를 분리할 때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가이드(100)의 유로(102)는 하방으로 갈수록 즉 상기 제 1가이드(90)의 유로(92)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 2가이드(100)의 유로(102)를 통한 유체가 상기 제 1가이드(90)의 유로(92)로 안전하게 안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 2하우징(50) 내부에는 제 1가이드부시(11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유로(112)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12)는 상기 제 2가이드(100)의 유로(102)와 연통된다.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는 몸체의 일부가 상기 제 2가이드(100)의 홈부(104)에 형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 2하우징(50)의 유로에 형합된다.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에는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112)와 상기 제 2유로(54)를 연결시키는 제 2연결유로(114)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가이드(100)의 유로(102)와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 사이에는 제 1패킹부(12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패킹부(120)는 링형상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가이드(100)의 유로(102)와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 사이를 유동하는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패킹부(120)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 2가이드(100)에는 제 1고정홈(106)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패킹부(120)의 가장자리에는 제 1오링(122)이 마련된다. 상기 제 1오링(122)은 상기 제 1패킹부(12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 1패킹부(120)가 상기 스풀(80)에 밀착되도록 상기 스풀(80)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제 1오링(122)도 상기 제 1고정홈(106)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일측 즉 상부에는 제 2가이드부시(13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가이드부시(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유로(132)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32)는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와 연통된다.
상기 제 2가이드부시(130)는 상기 제 2하우징(50)의 유로에 형합된다. 상기 제 2가이드부시(130)에는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132)와 상기 제 1유로(52)를 연결시키는 제 1연결유로(134)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와 상기 제 2가이드부시(130)의 유로(132) 사이에는 제 2패킹부(14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패킹부(140)도 상기 제 1패킹부(120)와 마찬가지로 링형상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와 상기 제 2가이드부시(130)의 유로(132) 사이를 유동하는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패킹부(140)의 가장자리에는 제 2오링(142)이 마련된다. 상기 제 2오링(142)은 상기 제 2패킹부(14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 2패킹부(140)가 상기 스풀(80)에 밀착되도록 상기 스풀(80)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가이드부시(130)의 일측 즉 상부에는 제 3가이드(150)가 마련된다. 상기 제 3가이드(15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 2가이드부시(130)의 유로(132)와 연통된다.
상기 제 3가이드(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상기 제 2하우징(50)의 유로와 형합되고, 나머지부분이 상기 제 3하우징(60) 내부의 유로와 형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가이드부시(130)의 유로와 상기 제 3가이드(150)의 유로 사이에는 제 3패킹부(170)가 마련된다. 상기 제 3패킹부(170)도 상기 제 1패킹부(120)와 마찬가지로 링형상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가이드(150)의 유로와 상기 제 2가이드부시(130)의 유로 사이를 유동하는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3패킹부(170)의 가장자리에는 제 3오링(172)이 마련된다. 상기 제 3오링(172)은 상기 제 3패킹부(17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 3패킹부(170)가 상기 스풀(80)에 밀착되도록 상기 스풀(80)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3가이드(150)가 상기 제 2가이드부시(130)와 접하는 면에는 요입홈(15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요입홈(152)에 상기 제 3패킹부(170)와 상기 제 3오링(172)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가이드(150)와 상기 제 2가이드부시(130) 사이에는 와셔(17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와셔(174)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 제 3가이드(150)의 유로와 상기 제 2가이드부시(130)의 유로 사이를 연통시킨다.
또한, 상기 와셔(174)는 상기 제 3가이드(150)의 바닥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2가이드부시(130)가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3패킹부(170)와 상기 제 3오링(172)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 3가이드(150)의 타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풀(80)이 가장자리를 따라 요입되는 부싱홈(154)이 마련된다. 상기 부싱홈(154)에는 부싱(156)이 삽입되는데, 상기 부싱(156)은 상기 스풀(80)이 손상없이 안전하게 유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3가이드(150)가 금속재질로 구성될 때, 상기 부싱(156)이 합성수지재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스풀(80) 외측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부싱(156)의 내경을 상기 스풀(80)의 외경과 동일하게 만들어 상기 스풀(80)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스풀(8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가이드(150)의 일측 즉 상부에는 제 4가이드(160)가 마련된다. 상기 제 4가이드(16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 3가이드(150)의 유로와 연통된다. 상기 제 4가이드(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하우징(60)의 유로와 형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4가이드(160)의 유로와 상기 제 3하우징(60)의 유로 사이에 제 4패킹부(180)가 마련된다. 상기 제 4패킹부(180)도 상기 제 1패킹부(120)와 마찬가지로 링형상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4가이드(160)의 유로와 상기 제 3하우징(60)의 유로 사이에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4패킹부(180)의 가장자리에는 제 4오링(182)이 마련된다. 상기 제 4오링(182)은 상기 제 4패킹부(18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 4패킹부(180)가 상기 스풀(80)에 밀착되도록 상기 스풀(80)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인 유체 정량공급밸브에는 내부체적실에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계측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계측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적실캡(14)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로드(22)가 유동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의 내측면에 나선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눈금(212)이 형성되는 연장캡(210)과, 상기 연장캡(210)의 내측에 상기 연장캡(210)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상기 로드(22)에 연장되어 외측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연장로드(220)와, 상기 연장로드(220)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연장로드(220)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볼트(230)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로드(220)를 따라 이동가능한 고정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계측부(200)에는 연장캡(210)이 마련된다. 상기 연장캡(2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적실캡(14)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로드(22)가 유동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의 내측면에는 나선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눈금(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캡(210)의 내측에 연장로드(220)가 마련된다. 상기 연장로드(220)는 상기 연장캡(210)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연장캡(210)의 외부로 노출되고 외측면에 나선이 형성된다. 즉, 상기 연장로드(220)의 나선이 상기 연장캡(210)의 나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연장로드(220)의 일단에는 조절볼트(230)가 마련된다. 상기 조절볼트(230)는 상기 연장로드(220)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조절볼트(230)를 회전하면서 상기 연장로드(220)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로드(220) 상에는 링형상의 고정부(240)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2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로드(22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240)가 상기 연장로드(220)를 따라 이동하다, 상기 연장캡(210)에 접촉되면서 상기 연장로드(22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연장로드(220)의 외측면에는 커버부(25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로드(220)의 외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250)의 내부공간(252)은 상기 연장캡(21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250)가 상기 연장캡(210)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커버부(250)가 상기 연장캡(210)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연장캡(2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눈금(212)을 가려 내부체적실(12)에 채워지는 유체의 용량을 외부에서 알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250)의 외측면에는 가이드홈(25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54)은 상기 커버부(2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240)의 일단에 돌출되는 고정돌기(242)가 상기 가이드홈(254)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250)를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240)가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돌기(242)는 상기 고정부(240)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40)에 결합홈(24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242)가 볼트형상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정부(240)와, 고정돌기(242)와 커버부(250)의 조립을 간단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250)와 상기 조절볼트(230)의 축 사이에는 베어링(256)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커버부(250)와 상기 조절볼트(230) 사이의 회전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정량공급밸브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내부체적실(12)로 유체를 주입하려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정량공급밸브의 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에어펌프(미도시)가 구동하면, 제 1에어유로(76)를 통하여 내부공간(72)으로 에어가 유입된다.
이때 피스톤(82)이 상승하면서 스풀(80)도 상승하게 된다. 상기 스풀(80)의 요입홈(84)의 위치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되면, 상기 유입구(56)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가 제 2가이드부시(130)의 유로(132)와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를 통과한 후 제 2가이드유로(114)를 통하여 제 2유로(54)로 유입된다.
상기 제 2유로(54)로 유입된 유체는 제 2연결유로(12b)를 통하여 내부체적실(12)의 하방으로 유입되면서, 유체실린더부(20)의 피스톤(24)을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내부체적실(12)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조절볼트(230)를 조작하여 상기 유체실린더부(20)의 피스톤(24)을 승하강시키면서 내부체적실(12)의 공간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내부체적실(12)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정확하게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조절볼트(230)를 조작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50)의 일단과 눈금(212)이 마주치는 부분이 원하는 값에 위치되면, 커버부(25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커버부(250)가 회전하면서, 상기 커버부(250)의 가이드홈(254)에 맞물리는 고정부(240)의 고정돌기(242)에 의해 상기 고정부(24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240)가 회전하면서, 상기 연장캡(210)에 밀착되면 상기 고정부(240)가 고정되고, 상기 커버부(250)도 유동되지 않게 되어,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눈금을 읽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체적실(12)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려는 경우, 제어부를 조작하여 에어펌프가 구동하여, 상기 제 1에어유로(74)로 에어를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스풀(80)의 피스톤(82)이 하강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면에서, 점선의 위치에 스풀(80)이 위치된다. 즉, 상기 스풀(80)의 요입홈(84)이 제 1패킹부(120)에 위치된다.
이때, 조절볼트(230)를 조작하여, 유체실린더부(20)의 피스톤(24)을 하강시키면, 내부체적실(12)의 유체가 제 2연결유로(12b)를 통하여 제 2유로(54)로 안내된다.
상기 제 2유로(54)로 안내된 상기 유체는 제 2가이드유로(114) 및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로 안내된 유체는 제 2가이드(100)의 유로(102)를 통과한 후 제 1가이드(90)의 유로(92) 및 배출유로(4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정량공급밸브의 조립 및 분해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풀하우징(30)을 조립할 때, 제 1하우징(40)에 제 1가이드(90)를 삽입한다. 그리고, 제 2가이드(100)를 삽입한다. 상기 제 2가이드(100) 삽입 후 제 1패킹부(120)와 제 1오링(122)을 고정홈(104)에 삽입한다.
그리고, 제 2하우징(50)의 유로에 제 1가이드부시(110)를 삽입하여 제 2가이드유로(114)와 연통되도록 한 후, 제 2패킹부(140)와 제 2오링(142)을 삽입하고, 제 2가이드부시(130)를 상기 제 2하우징(50)에 삽입한다.
제 3하우징(60)의 유로에 제 4패킹부(180)와 제 4오링(182)을 삽입한다. 그리고, 제 4가이드(160)를 삽입하고, 제 3가이드(15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 3가이드(150)의 부싱홈(154)에 부싱(156)을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3가이드(150)의 요입홈(154)에 제 3패킹부(170)와 제 3오링(172)을 삽입하고, 와셔(174)를 삽입한다.
상술한 과정이 끝난 후, 조립된 제 1하우징(40), 조립된 제 2하우징(50), 조립된 제 3하우징(60)을 조립한 후, 스풀(80)을 각 유로에 삽입한 후 제 4하우징(70)을 조립한다.
한편, 상기 스풀하우징(30)의 분해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제 4하우징(70)을 분리하면서, 스풀(80)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제 3하우징(60)을 분리한다. 상기 제 3하우징(60)에서 제 3가이드(150)를 분리하고, 제 3패킹부(170), 제 3오링(172)을 분리하고, 제 4가이드(160)와 제 4패킹부(180) 및 제 4오링(182)을 순서대로 분리한다.
그리고, 제 2하우징(50)을 분리하면, 상기 스풀(80)을 가지고, 상기 제 2하우징(50)의 유로의 제 1가이드부시(110) 또는 제 2가이드부시(130)를 밀면 상기 제 2하우징(50) 내부의 제 1가이드부시(110), 제 2가이드부시(130), 제 2패킹부(140), 제 2오링(142)이 모두 분리된다.
제 1하우징(40)은 제 2가이드(100)를 분리하고, 상기 제 2가이드(100)의 고정홈(104)의 제 1패킹부(120)와 제 1오링(122)을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스풀(80)을 배출유로(42)로 삽입하여 제 1가이드(90)를 분리시킨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체적실동체 12: 내부체적실
14: 체적실캡 20: 유체실린더부
22: 로드 24: 피스톤
30: 스풀하우징 40: 제 1하우징
42: 배출유로 50: 제 2하우징
52: 제 1유로 54: 제 2유로
56: 유입구 60: 제 3하우징
70: 제 4하우징 72: 내부공간
80: 스풀 82: 피스톤
90: 제 1가이드 92: 유로
100: 제 2가이드 102: 유로
104: 홈부 110: 제 1가이드부시
112: 유로 120: 제 1패킹부
122: 제 1오링 130: 제 2가이드 부시
132: 유로 134: 제 1연결유로
140: 제 2패킹부 142: 제 2오링
150: 제 3가이드 152: 요입홈
160: 제 4가이드 170: 제 3패킹부
172: 제 3오링 180: 제 4패킹부
182: 제 4오링 200: 계측부
210: 연장캡 220: 연장로드
230: 조절볼트 240: 고정부
250: 커버부

Claims (6)

  1. 내부에 내부체적실(12)을 가진 체적실동체(10);
    상기 체적실동체(10) 상부에 체결고정되는 체적실캡(14);
    상기 내부체적실(12)에 로드(22)를 일체화시킨 체적실 피스톤(24)이 내장 설치되어 유체의 공급방향에 따라 승하강하면서 내부체적실에 충진된 유체를 유출입시키는 유체실린더부(20); 그리고,
    상기 유체실린더부(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실린더부(20)의 내부체적실(12)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유체의 유출입을 유도하는 스풀(80)을 장착한 스풀하우징(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풀하우징(30)은,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스풀하우징(30)의 일단을 형성하고, 일단에 배출유로(42)가 형성되는 제 1하우징(40);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체적실(1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유체를 공급하는 제 1유로(52)와 제 2유로(54)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로 외부에서 유체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구(56)가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1하우징(40)과 접촉하는 제 2하우징(50);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2하우징(50)과 접촉하는 제 3하우징(60);
    다각형의 기둥형으로 일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 2하우징(50)과 접촉하며, 내부의 공간이 상기 제 3하우징(60)이 형합되는 제 4하우징(70);
    바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제 4하우징(70)의 내부공간(72)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피스톤(82)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하우징(40), 제 2하우징(50), 제 3하우징(60) 및 제 4하우징(70)을 관통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유입구(56)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제 1유로(52)와 상기 제 2유로(54)로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를 안내하는 스풀(80);
    내부에 유로(92)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유로(42)와 연통되고, 상기 제 1하우징(40)의 유로가 형합되는 제 1가이드(90);
    내부에 유로(102)가 형성되어 상기 제 1가이드(90)의 유로(92)와 연통되고, 일부가 상기 제 1하우징(90) 내부의 유로에 형합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 2하우징(50) 내부의 유로에 형합되며, 상기 제 1가이드(9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 2가이드(100);
    내부에 유로(112)가 형성되어 상기 제 2가이드(100)의 유로(102)와 연통되며, 상기 제 2가이드(100)의 홈부(104)에 일부가 형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 2하우징(50)의 유로에 형합되며, 상기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112)와 상기 제 2유로(54)를 연통하는 제 2연결유로(114)가 마련되는 제 1가이드부시(110);
    상기 제 2가이드(100)의 유로(102)와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 사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패킹부(120);
    상기 제 1패킹부(1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1오링(122);
    내부에 유로(132)가 형성되어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와 연통되며, 상기 제 2하우징(50)의 유로에 형합되며, 상기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112)와 상기 제 1유로(52)를 연통하는 제 1연결유로(134)가 마련되는 제 2가이드부시(130);
    상기 제 1가이드부시(110)의 유로(112)와 상기 제 2가이드부시(130)의 유로(132) 사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패킹부(140);
    상기 제 2패킹부(14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2오링(142);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 2가이드부시의 유로와 연통되고, 일부가 상기 제 2하우징(50)의 유로와 형합되며,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 3하우징(60) 내부의 유로와 형합하는 제 3가이드(150);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 3가이드(150)의 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 3하우징(60)의 유로와 형합되는 제 4가이드(160);
    상기 가이드부시의 유로와 상기 제 3가이드의 유로 사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3패킹부(170);
    상기 제 3패킹부(17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3오링(172);
    상기 제 4가이드(160)의 유로와 상기 제 3하우징(60)의 유로 사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4패킹부(180); 그리고,
    상기 제 4패킹부(18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4오링(18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4가이드와 접촉하는 상기 제 3가이드에는 상기 스풀의 가장자리에 부싱홈이 형성되고, 상기 부싱홈에 지지부싱이 삽입되며,
    상기 제 1가이드이 외주면과 상기 제 1하우징의 유로 사이에 상기 제 1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가이드의 외주면에 장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가이드와 배출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장홈이 상기 제 1가이드의 외주면에 여러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 공급 밸브.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이드부시와 상기 제 3가이드 사이에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상기 제 2가이드부시의 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 3가이드의 유로와 연통하는 와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 공급 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이드의 유로는 상기 제 1가이드의 유로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 공급 밸브.


  5. 삭제
  6. 삭제
KR1020100125172A 2010-12-08 2010-12-08 유체 정량 공급 밸브 KR101228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172A KR101228777B1 (ko) 2010-12-08 2010-12-08 유체 정량 공급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172A KR101228777B1 (ko) 2010-12-08 2010-12-08 유체 정량 공급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973A KR20120063973A (ko) 2012-06-18
KR101228777B1 true KR101228777B1 (ko) 2013-01-31

Family

ID=4668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172A KR101228777B1 (ko) 2010-12-08 2010-12-08 유체 정량 공급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7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100B1 (ko) * 2014-01-09 2014-11-04 이정원 브러시 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0392A (ja) * 1991-06-10 1993-07-20 Safematic Oy 潤滑剤分配装置
KR20040012621A (ko) * 2003-11-17 2004-02-11 주마로 고압형 유체 정량공급밸브
KR20040014379A (ko) * 2003-11-17 2004-02-14 주마로 정량 공급밸브
JP2007146962A (ja) * 2005-11-28 2007-06-14 Fanuc Ltd 給脂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0392A (ja) * 1991-06-10 1993-07-20 Safematic Oy 潤滑剤分配装置
KR20040012621A (ko) * 2003-11-17 2004-02-11 주마로 고압형 유체 정량공급밸브
KR20040014379A (ko) * 2003-11-17 2004-02-14 주마로 정량 공급밸브
JP2007146962A (ja) * 2005-11-28 2007-06-14 Fanuc Ltd 給脂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100B1 (ko) * 2014-01-09 2014-11-04 이정원 브러시 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973A (ko) 201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6267B2 (en) Valve unit for filling machines
RU2007120608A (ru) Уплот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устройства, регулирующего давление текучей среды
ES342777A1 (es) Valvula de flotador para el mantenimiento del nivel de un liquido del nivel de un liquido dentro de deposito.
KR101171636B1 (ko) 유체 정량 공급 밸브
KR101228777B1 (ko) 유체 정량 공급 밸브
JP5643231B2 (ja) フィルタ装置
KR20090119973A (ko) 압력 제어 밸브 조립체
KR20160113635A (ko) 개선된 실런트 액체 용기
KR20170078739A (ko) 가변 용량형 펌프
CN102395415A (zh) 过滤装置
KR101228719B1 (ko) 유체 정량 공급 밸브
JP2019527825A (ja) 比例計量ポンプのための計量機構、及び関連するポンプと使用方法
CN105650329A (zh) 超高压大口径电磁阀
CN107771241A (zh) 用于凸轮轴调节器的控制阀
ITMO20120313A1 (it) Pompa a pistoni.
KR20160113636A (ko) 개선된 실런트 액체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CN209196183U (zh) 一种石油设备用单向阀
CN106999880B (zh) 用于容积分配器机器的分配器装置的阀组件
CN109311246B (zh) 用于可充气的物品修理套件的多用途密封剂液体容器
KR20130106003A (ko) 가스 실린더
KR101822615B1 (ko) 펌프 케이싱 조립체
AU2013252228A1 (en) Water tank water inlet valve and water deflector plate
KR100755809B1 (ko) 수동식 정량 분사 펌프
JP5374646B2 (ja) 噴霧装置
KR101288810B1 (ko)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