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810B1 -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 Google Patents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810B1
KR101288810B1 KR1020110101466A KR20110101466A KR101288810B1 KR 101288810 B1 KR101288810 B1 KR 101288810B1 KR 1020110101466 A KR1020110101466 A KR 1020110101466A KR 20110101466 A KR20110101466 A KR 20110101466A KR 101288810 B1 KR101288810 B1 KR 101288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ntrol valve
pneumatic control
bobbin
larg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103A (ko
Inventor
전제헌
정순일
이효열
김재준
박현
정휴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텍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텍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텍솔루션
Priority to KR1020110101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8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24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437Smoothing ratio shift by using electrical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6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 F16H61/061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63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multiple 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속기 제어장치의 전기신호에 따라 변속기에 필요한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공압 컨트롤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정 체적을 갖는 하우징에 내접되게 설치되는 오버몰드, 상기 오버몰드에 코일을 사이에 두고 내접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내접되는 코어 및 플런저, 그리고 상기 오버몰드 내지 코어의 상단면을 덮어서 밀봉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코일의 자력이 상실됨에 따라 플런저가 코어의 유로를 개방하도록 된 공압 컨트롤 밸브로서,
상기 코어에는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센터유로와 코어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사이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오버몰드에는 사이드유로와 유체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Air Control Valve for transmission}
본 발명은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속기 제어장치의 전기신호에 따라 변속기에 필요한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공압 컨트롤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차량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동력 전달을 변속시키는 공압 작동식 변속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대형차량의 변속기 밸브바디(Valve Body)에는 변속기 제어장치의 전기신호에 따라 변속기에 필요한 압력을 제어하여 최적의 변속성능 및 연비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공압 제공 구조가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공압 작동식 변속기의 공압 제공 구조를 살펴보면, 압축된 공기가 저장되는 에어 탱크와, 상기 에어 탱크에서 가압된 공기를 공급받아 변속기에의 공압 제공을 제어하는 매뉴얼 밸브(혹은 공압 제어밸브)와, 상기 에어 탱크와 매뉴얼 밸브 사이의 에어 라인 상에 설치되어 공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에어 부스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공압 작동식 변속기의 공압 제공 구조는 에어 탱크에서 압축된 공기가 에어 라인을 통해 매뉴얼 밸브 측으로 제공될 때 상기 에어 부스터에 의해 매뉴얼 밸브에 항상 일정한 공압이 제공되며, 상기 매뉴얼 밸브의 제어에 따라 변속기에 제공되는 공기압의 경로가 변환되어 변속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에어 탱크에서 에어 라인을 경유하여 매뉴얼 밸브 측으로 보내지는 압축 공기는 변속기에서 사용되는 공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변속기의 사용압력보다 조금 높게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변속기 전단에서 감압시킨 후 사용되게 된다.
첨부한 도 9 및 도 10은 종래의 공압 작동식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압 컨트롤 밸브는 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압을 제어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전원 인가시에는 에어 탱크에서 공급되는 공기압(Ps')을 변속기 측으로 배출하고 전원 오프시에는 크랭크실에서 배출되어 유입되는 공기압(Pc')을 코어(1)의 배출구(2)를 경유하여 대기(Pex') 중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압 컨트롤 밸브는 코어(1)의 배출구(2)가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로부터의 수분유입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압 컨트롤 밸브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10과 같이 코어(5)의 배출구(6)로 유입되는 수분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독립된 커버(7)를 구성하는 공압 컨트롤 밸브가 개시된 바 있다.
도 10에 도시된 종래의 공압 컨트롤 밸브는 코어(5)의 배출구(6) 상단에 공기배출은 가능하고 수분유입은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폰지 부재(8)를 내장한 커버(7)를 장착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커버(7)에는 공기압의 대기배출을 위한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압 컨트롤 밸브는 공기배출이 가능한 동시에 수분유입을 방지토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폰지 부재(8)와 플라스틱 커버(7)를 구성함으로 인해, 부품수가 증가하게 되고, 커버 성형을 위한 금형비가 상승하게 되며,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커버(7)가 밸브 바깥쪽으로 길게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레이아웃이 불리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에 구성되어 있는 오버몰드와 보빈, 코어 등의 부품 형상을 개선하여 크랭크실의 공기압이 외부로 배출 가능한 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경로를 통한 수분유입을 방지하고 레이아웃을 고려하여 플랫한 커버를 구성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크기를 축소하고 부품수를 감소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 체적을 갖는 하우징에 내접되게 설치되는 오버몰드, 상기 오버몰드에 코일을 사이에 두고 내접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내접되는 코어 및 플런저, 그리고 상기 오버몰드 내지 코어의 상단면을 덮어서 밀봉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코일의 자력이 상실됨에 따라 플런저가 코어의 유로를 개방하도록 된 공압 컨트롤 밸브로서,
상기 코어에는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센터유로와 코어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사이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오버몰드에는 사이드유로와 유체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코어와 보빈 사이에는 사이드유로에서 배출된 공기압이 오버몰드의 배출유로까지 유동 가능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오버몰드는 하우징 배출구의 맞은편에 형성된 배출유로와 상기 하우징 배출구를 유체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원주형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주형 유로는 오버몰드의 배출유로보다 더 깊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배출유로와의 사이에 턱이 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와 보빈 사이에는 코일에 전원 인가시 공기누출 및 수분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보빈은 삽입장착된 플런저를 밀착 지지하는 다수의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들 사이에는 공기압의 유동이 가능한 에어유로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보빈은 상단부에 오버몰드의 배출유로와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보빈 배출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는 플랫(flat)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의 상단부에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장착되어 유리한 레이아웃을 확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와 커버는 조립 구조상 일체형으로 성형 가능하며, 상기 플런저에 축선 방향으로 삽입장착된 플런저 로드는 불소고무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는 부품수를 늘리지 않고 단지 오버몰드와 보빈, 코어 등의 부품 형상을 개선하여 크랭크실의 공기압이 외부로 배출 가능한 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경로를 통한 수분유입을 방지하는 커버가 구성되어, 종래의 공압 컨트롤 밸브에 비해 크기를 축소하고 부품수를 감소하여 조립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 구조상 코어와 커버를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공압 컨트롤 밸브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결합 사시도에서 커버를 생략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6은 도 5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 컨트롤 밸브의 전원 인가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 컨트롤 밸브의 전원 오프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종래의 공압 작동식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압 컨트롤 밸브는 일정 체적을 갖는 원통형의 하우징(100)에 삽입장착되는 오버몰드(110)와 보빈(120), 코어(130) 및 플런저(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하 양단부를 각각 밀폐하는 커버와 하우징 바디(170)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압 컨트롤 밸브는 부품수를 늘리지 않고 단지 오버몰드(110)와 보빈(120), 코어(130) 등의 부품 형상을 개선하여 크랭크실의 공기압이 외부로 배출 가능한 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경로를 통한 수분유입을 방지하는 커버가 구성되어, 종래의 공압 컨트롤 밸브에 비해 크기를 축소하고 부품수를 감소하여 조립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오버몰드(110)는 그 상단면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배출유로(111,112)가 형성된다.
오버몰드(110)는 중공부를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품으로, 도 3과 같이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배설되고, 상단 일측에는 하우징(100)의 배출구(101)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터미널 케이스(114)가 일체로 구비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유로(111,112)는 터미널 케이스(114)에 이웃하게 위치되는 유로(111) 및, 코어(130)를 사이에 두고 터미널 케이스(114)의 맞은편(혹은 하우징 배출구의 맞은편)에 위치되는 유로(112)로 구성되며, 상기 각 유로(111,112)는 오버몰드(110)의 상단면에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케이스(114)와 일직선상에 위치된다.
도 7과 같이 상기 오버몰드(110)와 보빈(120) 내지 코어(130)는 커버(160)의 하면에 밀착되게 조립되므로, 코어(130)를 경유하여 배출되는 공기압은 결국 오버몰드(110)의 배출유로(111,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배출유로(111,112)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압은 최종적으로 하우징(100)의 배출구(10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 배출구(101)의 맞은편에 위치되는 배출유로(11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압을 상기 하우징 배출구(101)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오버몰드(110)의 상단면에는 (하우징 배출구의 맞은편에 위치되는) 상기 배출유로(112)와 하우징 배출구(101)를 유체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원주형 유로(113)가 형성된다.
이에 코어(130)를 경유하여 하우징 배출구(101)의 맞은편에 위치한 배출유로(112)로 빠져나오는 공기압은 상기 원주형 유로(113)를 지나서 하우징 배출구(101)로 배출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주형 유로(113)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오버몰드(1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원주형 유로(113)는 오버몰드(110)의 배출유로(111,112)보다 더 깊게 함몰 형성되어 배출유로(111,112)와의 사이에 턱(단차)이 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유로(111,112)의 끝단부에 일정 높이의 턱이 지게 됨에 따라 하우징 배출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수분이 이 배출유로(111,112)를 통해 오버몰드(1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6 참조).
한편, 상기 오버몰드(110)의 내측에는 대략 원통 형상의 보빈(120)이 압입되어 있는바, 상기 보빈(120)은 코일(150)을 사이에 두고 오버몰드(110)에 내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보빈(120)은 하단부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부(12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부(121)는 보빈(120)의 내측에 플런저(140)가 배설됨에 따라 플런저(14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플런저(140)를 지지하게 된다.
이에, 도 4와 같이 상기 돌기부(121)들 사이에 공기압이 유동가능한 에어유로(123)가 확보되고, 코일(150)에 전원 인가시 상기 에어유로(123)를 통해 보빈(120) 내부로 크랭크실의 공기압이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120)은 상단부의 내주면 부근이 오버몰드(110)의 테이퍼진 상단부에 내접하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된 부위에는 오버몰드(110)의 배출유로(111,112)와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보빈 배출유로(122)가 함몰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빈(120)과 오버몰드(110) 사이에는 전원 인가시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코일(150)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빈(120)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는 각기 코어(130)와 플런저(140)가 내접되어 있다.
상기 코어(130)는 크랭크실 공기압의 유동을 위하여,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센터유로(131) 및 코어(13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사이드유로(1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유로(132)는 코어(130)의 상단부에서 그 외주면을 관통하여 센터유로(131)까지 연장되며, 이에 센터유로(131)와 유체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사이드유로(132)는 오버몰드(110)의 배출유로(111,112)와 유체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입된 공기압이 상기 배출유로(111,112)까지 유동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코어(130)와 보빈(120) 사이에는 사이드유로(132)에서 배출되어 유입되는 공기압을 오버몰드(110)의 배출유로(111,112)까지 유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공간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134)는 코어(130)의 상단부가 보빈(12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보빈(120)과 코어(130) 사이에 마련되며, 커버(160)의 하면까지 연장된다.
또한, 상기 코어(130)와 보빈(120) 사이에는 코일(150)에 전원 인가시 공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부재(133)가 배설된다.
상기 오링부재(133)는 코일(150)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코어(130)의 센터유로(131)가 닫힐 시, 도 7의 B 방향으로 코어(130)와 보빈(120) 사이로 누출되는 공기 및 도 7의 B의 역방향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런저(140)는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하단부가 보빈(120)의 돌기부(121)에 내접하고 상단부가 보빈(120)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140)는 코일(150)에 전원 인가시 코어(150)의 센터유로(131)를 닫아서 밀봉하는 플런저 로드(141)가 축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 로드(141)는 불소고무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형의 막대 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종래에는 두 개의 고무블럭을 스프링부재로 연결한 형태의 플런저 로드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부품수가 증가되고 조립성이 저감되었던 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일체형의 플런저 로드(141)를 사용함으로 부품수가 절감되고 구조가 단순화되면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플런저(140)는 그 하단부가 하우징(100)에 내접된 요크(190)를 관통하게 되며, 코일(150) 전원 오프시 하우징 바디(170)의 제1유입구(171)를 닫게 된다.
상기 하우징 바디(170)는 상단부 외주면이 하우징(100)에 내접하도록 설치되며, 코일(150) 전원 오프시 상기 플런저 로드(141)의 일끝단이 제1유입구(171)에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빈(120)과 요크(190) 사이, 그리고 상기 요크(190)와 하우징 바디(170) 사이에는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오링부재(191,192)가 배설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보빈(120) 내측에 삽입장착되어 있는 리턴스프링(180)은 코어(130)의 하단부와 플런저(140)의 상단부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리턴스프링(180)은 전원 인가시 플런저(140)가 코어(130) 측으로 이동되어 밀착됨에 따라 압축되어 탄성복원력을 형성하게 되고 코일(150) 전원 오프시 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플런저(140)를 하우징 바디(170) 측으로 밀어서 제1유입구(171)가 닫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코어(130)는 커버(160)와 더불어 스틸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130)는 그 상단부가 커버(160)의 하단 돌출부에 압입된 형태로 조립되나, 상기 코어(130)와 커버(160)는 도 3 및 도 7과 같은 조립 구조상 일체형으로 성형됨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160)는 수분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버몰드(110)와 보빈(120), 코어(130)의 상단면은 물론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조립되며, 플랫(flat)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상단부에 돌출되지 않도록 내장됨으로써 유리한 레이아웃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공압 컨트롤 밸브와 달리, 본 발명의 공압 컨트롤 밸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버몰드(110)와 보빈(120), 코어(130)의 개선된 구조를 통해 공기압이 대기 중으로 배출되어지므로 상기 커버(160)에 공기압의 대기배출을 위한 별도의 홀이 필요치 않으며, 또한 상기 커버(160)의 조립 구조상 수분침투방지를 위한 별도의 부재가 필요치 않은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는 코일(150)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플런저(140)가 코어(130)와 하우징 바디(170) 사이를 이동하게 되어 하우징(100)의 유입구(171,172)를 통해 들어오는 공기압의 유동경로를 변경하게 된다.
코일(15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도 7과 같이 코일(150)에 자기력이 형성되면서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플런저(140)가 코어(130) 측으로 밀착 이동되어 코어(130)의 센터유로(131)가 닫히고 하우징 바디(170)의 제1유입구(171)가 열리게 된다. 이에 제1유입구(171)로 공급되는 압축공기(Ps)가 제2유입구(172)를 통해 변속기 측으로 배출되어진다.
코일(150)로 공급되는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도 8과 같이 코일(150)의 자기력이 소멸되어 전자기적 작용을 위한 자력이 상실됨에 따라, 코일(150)에 전원 인가시 압축된 리턴스프링(18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플런저(140)가 하우징 바디(170) 측으로 밀착 이동되어 제1유입구(171)가 닫히고 코어(130)의 센터유로(131)가 열리게 된다. 이에 제2유입구(172)로 공급되는 크랭크실의 공기압(Pc)이 요크(190)를 지나서 보빈(120)의 에어유로(123)-> 코어(130)의 센터유로(131) 및 사이드유로(132)-> 공간부(134)-> 보빈(120)의 배출유로(122)-> 오버몰드(110)의 배출유로(111,112) 및 원주형 유로(113) 등을 경유한 다음, 최종적으로 하우징 배출구(101)롤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100 : 하우징
101 : 하우징 배출구
110 : 오버몰드
111,112 : 배출유로
113 : 원주형 유로
114 : 터미널 케이스
120 : 보빈
121 : 돌기부
122 : 보빈 배출유로
123 : 에어유로
130 : 코어
131 : 센터유로
132 : 사이드유로
133 : 오링부재
134 : 공간부
140 : 플런저
141 : 플런저 로드
150 : 코일
160 : 커버
170 : 하우징 바디
171 : 제1유입구
172 : 제2유입구
180 : 리턴스프링
190 : 요크
191,192 : 오링부재

Claims (10)

  1. 일정 체적을 갖는 하우징(100)에 내접되게 설치되는 오버몰드(110), 상기 오버몰드(110)에 코일(150)을 사이에 두고 내접되는 보빈(120), 상기 보빈(120)에 내접되는 코어(130) 및 플런저(140), 그리고 상기 오버몰드(110) 내지 코어(150)의 상단면을 덮어서 밀봉하는 커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코일(150)의 자력이 상실됨에 따라 플런저(140)가 코어(130)의 유로를 개방하도록 된 공압 컨트롤 밸브로서,
    상기 코어(130)에는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센터유로(131)와 코어(13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사이드유로(132)가 형성되고, 상기 오버몰드(110)에는 사이드유로(132)와 유체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출유로(111,1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130)와 보빈(120) 사이에는 사이드유로(132)에서 배출된 공기압이 오버몰드(110)의 배출유로(111,112)까지 유동 가능하도록 공간부(13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버몰드(110)는 하우징 배출구(101)의 맞은편에 형성된 배출유로(112)와 상기 하우징 배출구(101)를 유체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원주형 유로(1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 유로(113)는 오버몰드(110)의 배출유로(111,112)보다 더 깊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배출유로(111,112)와의 사이에 턱이 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130)와 보빈(120) 사이에는 코일(150)에 전원 인가시 공기누출 및 수분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부재(13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120)은 삽입장착된 플런저(140)를 밀착 지지하는 다수의 돌기부(1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121)들 사이에는 공기압의 유동이 가능한 에어유로(123)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120)은 상단부에 오버몰드(110)의 배출유로(111,112)와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보빈 배출유로(1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160)는 플랫(flat)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상단부에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장착되어 유리한 레이아웃을 확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130)와 커버(160)는 조립 구조상 일체형으로 성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140)에 축선 방향으로 삽입장착된 플런저 로드(141)는 불소고무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KR1020110101466A 2011-10-05 2011-10-05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KR101288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466A KR101288810B1 (ko) 2011-10-05 2011-10-05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466A KR101288810B1 (ko) 2011-10-05 2011-10-05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103A KR20130037103A (ko) 2013-04-15
KR101288810B1 true KR101288810B1 (ko) 2013-07-23

Family

ID=48438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466A KR101288810B1 (ko) 2011-10-05 2011-10-05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8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0834A (ko) * 2000-01-17 2001-08-25 최대식 폐쇄형 3 방향 밸브
KR20020022835A (ko) * 2000-09-21 2002-03-28 황한규 솔레노이드 밸브
KR20020042550A (ko) * 2002-04-03 2002-06-05 한국씨엘티 주식회사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0834A (ko) * 2000-01-17 2001-08-25 최대식 폐쇄형 3 방향 밸브
KR20020022835A (ko) * 2000-09-21 2002-03-28 황한규 솔레노이드 밸브
KR20020042550A (ko) * 2002-04-03 2002-06-05 한국씨엘티 주식회사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103A (ko) 201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970B2 (en) Solenoid valve
JP4696188B2 (ja) 閉鎖力増強機構付きダイヤフラム型電磁弁
US8220776B2 (en) Normally opened solenoid valve
US8186978B2 (en) Pump with linear actuator
EP2309163B1 (en) Bidirectional solenoid valve
KR20170065830A (ko) 체크밸브
US10221957B2 (en) Solenoid valve
CA2693851A1 (en) Clog resistant pilot valve
KR101011641B1 (ko) 온오프용 솔레노이드 밸브
CN105090562A (zh) 液压控制装置
KR102359975B1 (ko) 파일럿형 전자밸브
EP0719950B1 (en) Poppet type directional control valve
CN103807464A (zh)
KR101288810B1 (ko) 대형차량 변속기의 공압 컨트롤 밸브
US8342479B2 (en) Solenoid controlled valve for fluid media
KR20110027040A (ko) 솔레노이드 밸브
CN110617346A (zh) 电磁阀
JP4704388B2 (ja) 電磁弁
WO2008051164A1 (en) A valve body and massag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498365B1 (ko) 솔레노이드밸브
KR101486141B1 (ko) 솔레노이드밸브
KR100990678B1 (ko) 전자제어식 셔틀 밸브
CN109073105B (zh) 气动的多阀门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10027043A (ko) 솔레노이드 밸브
CN219366939U (zh) 防泄漏的电磁开关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