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678B1 - 전자제어식 셔틀 밸브 - Google Patents

전자제어식 셔틀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678B1
KR100990678B1 KR1020040103993A KR20040103993A KR100990678B1 KR 100990678 B1 KR100990678 B1 KR 100990678B1 KR 1020040103993 A KR1020040103993 A KR 1020040103993A KR 20040103993 A KR20040103993 A KR 20040103993A KR 100990678 B1 KR100990678 B1 KR 100990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eat
valve seat
movable
smal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209A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40103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678B1/ko
Publication of KR20060065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다른 밸브와의 공용화가 용이한 전자제어식 셔틀밸브를 제공한다. 그 셔틀밸브는 유입유로가 형성된 밸브블록에 삽입고정되며,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 밸브하우징의 개구부에 압입되고, 상단에 1차밸브시트부가 형성되며 유출유로와 연통하는 밸브시트; 밸브시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의 대경부와 하부의 소경부로 구획되며, 소경부의 하단에는 밸브시트의 1차밸브시트부에 접하는 구면밸브부가 형성되며, 외측에 대경부와 소경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며, 대경부에는 내부의 유로와 연통하는 2차밸브유로를 형성하는 2차밸브시트부가 구비되는 가동시트; 가동시트의 소경부에 외삽되어 가동시트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해, 가동시트의 소경부에 삽입되며 밸브시트에 지지되는 지지부재; 하단에 가동시트의 2차밸브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볼밸브를 구비하는 아마츄어; 아마츄어와의 사이에서 공극을 형성하며, 스프링에 의해 아마츄어의 상단에 탄설 지지되는 밸브코어; 및 밸브코어에 자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코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자제어식 셔틀 밸브{Electronic control shuttle valve}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제어식 셔틀 밸브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식 셔틀 밸브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셔틀 밸브의 가동시트를 상세히 보여주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셔틀 밸브의 지지부재를 상세히 보여주는 평면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밸브 하우징 30: 밸브시트
40: 가동시트 60: 지지부재
70: 아마츄어 80: 슬리브
90: 솔레노이드 코일
본 발명은 전자식 셔틀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다른 밸브와의 공용화가 용이한 전자제어식 셔틀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다양한 작동시스템 또는 제어시스템이 탑재되어 있어 차량을 효과적으로 구동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들 중 하나로서, 차량의 안정적인 주행 및 제동을 위한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BS)이 있다. 이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휠에 가해지는 제동압의 단속 및 조절이 가능하도록 브레이크 유압라인의 중도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제어신호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전자제어식 셔틀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밸브는 유입유로(1)가 형성된 밸브블록(2)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밸브하우징(3)을 구비한다. 밸브하우징(3)에는 유입유로(1)와 연통하는 오일통로(4)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개구부(5)가 구비된다. 밸브하우징(3)의 개구부(5)에는 밸브시트(6)가 압입된다. 밸브하우징(3)의 중공부에는 밸브시트(6)에 의해 지지되는 가동시트(7)가 삽입된다. 여기서, 밸브시트(6)의 상단에는 1차밸브시트부(6a)가 구비되어 있으며, 가동시트(7)에는 밸브시트(6)의 1차밸브시트부(6a)에 접하는 구면밸브부(7a)가 구비되어 있다. 가동시트(7)의 상부에는 2차밸브유로(7b)가 형성되며, 그것과 연이어서 2차 밸브시트부(7c)가 형성된다. 또한, 가동시트(7)의 외측에는 상부의 대경부와 하부의 소경부를 연겨하는 연결슬롯(7d)이 형성되어 있다. 2차 밸브유로(7b)는 볼밸브(8)에 의해 개폐된다. 한편, 밸브하우징(3)에는 수납부(3a)가 형성되며, 그 수납부에는 지지스프링(9)의 일단이 지지되어 있으며, 지지스프링(9)의 상단은 가동시트(7)의 상단을 지지한다.
한편, 밸브 하우징(3)의 상단에는 아마츄어(10)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아마츄어(10)의 상단에는 스프링(11)에 의해 탄설 지지되는 밸브코어(12)가 설치된다. 아마츄어(10)와 밸브코어(12)사이에는 공극(13)이 형성된다. 밸브하우징 (3)과 밸브코어(12)는 슬리브(14)에 의해 일체로 조립되며, 아마츄어(10)는 그 슬리브(14)내에 진퇴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이다. 또한, 슬리브(14) 및 밸브코어(12)의 일부는 솔레노이드 코일(15)에 의해 포위되며, 그 솔레노이드 코일(15)에는 전기를 선택적으로 공급받기 위한 단자(16)가 연결된다. 또한, 밸브하우징(3)의 오일통로(4) 주변에는 구면밸브(17)가 포위 방식으로 설치된다. 미설명부호(18) 오일이 배출되는 유츌유로이다.
이 같은 전자제어식 셔틀밸브의 작동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아마츄어(10)가 코어(12)와 아마츄어(10)가 설치된 지지스프링(11)의 반력에 의해 힘을 받으며, 이때 아마츄어(10)의 끝단에 설치된 볼밸브(8)는 가동시트(7)에 접촉하여 그 가동시트(7)의 대경부에 설치된 2차밸브시트(7c)에 의해 지지되면서 가동시트 지지스프링(9)의 반력을 극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가동시트(7)는 밸브하우징(3)의 개구부에 압입된 밸브시트(6)의 1차밸브시트부(6a)에 대해 밀려진다. 이때, 가동시트(7)의 소경부의 끝단에 설치된 구면밸브부(7a)는 1차밸브시트부(6a)와 접촉하여 흡입유로(1)와 유출유로(18)의 연통이 차단되는 것이다.
한편, 솔레노이드 코일(15)에 설치된 단자(16)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솔레노이드 코일(15)은 자기장을 형성하여 아마츄어(10)를 밀고 있는 힘보다 강하여 아마츄어(10)와 밸브코어(12)사이에 서로 잡아당기는 자력이 발생하고 이 자력은 아마츄어 지지스프링(11)이 아마츄어(10)를 밀고 있는 힘보다 강하여 아마츄어(10)를 밸브코어(12)쪽으로 끌어당겨 아마츄어(10)와 밸브코어(12) 사이의 공극(13)이 없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가동시트(7)를 밀고 있던 아마츄어 지지스프 링(11)의 반력이 사라져 가동시트 지지스프링(9)의 반력은 밸브 하우징(3)에 설치된 가동 시트 지지스프링(9) 수납부(3a)에 작용하는 동시에, 가동시트(7)에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유입유로(1)에 위치한 유체는 가동시트(7)의 작은 경계부와 대경부를 연결하는 연결슬롯(7d)을 통하여 이동하고, 가동시트(7)의 중심에 설치된 2차 밸브유로(7b)를 통하여 가동시트 중심유로를 거쳐 유출유로(18)로 유동이 일어난다. 또한, 가동시트(7)의 소경부와 대경부 양쪽의 압력차이가 일정 수준 이하에 도달하면, 가동시트(7)의 양단의 면적차에 의한 힘의 차이로 인해 가동 시트 지지스프링(9)의 반력이 유효하게 작용하여 가동시트(7)를 아마츄어(10)를 향해 밀게되고 다시 가동시트(7)의 대경부에 설치된 2차 밸브시트부(7c)와 볼밸브(8)가 접촉하여 아마추어(10)와 가동시트(7)를 통한 유로는 차단되고, 이를 대신하여 가동시트(7)의 소경부에 설치된 구면밸브부(7a)가 1차밸브시트부(6a)와 분리되어 유입유로(1)와 유출유로(18)의 소통이 가능하여 유체가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공급된 전원이 차단되면 아마츄어 지지스프링(11)의 반력으로 아마츄어(10)와 가동시트(7)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다시 유입유로(1)와 유출유로(18)의 소통이 차단되는 것이다. 또한, 밸브 시트(6)는 밸브 하우징(3)의 개구부(5)에 압입되어 누설을 차단하는 동시에 가동시트(7)와 아마츄어(10)에 작용하는 압력을 지지하며, 동시에 밸브하우징(3)은 밸브 블록(2)에 설치된 조립홀에 압입되어 누설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전자제어식 셔틀밸브는 가동 밸브와 밸브시트에서 가동시트의 소경부에 설치되는 구면밸브부는 그것에 구면부를 가공해야 하는 곤 란한 공정이 요구되며, 그 가공에 시간이 많이 소모되어 생산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면밸브부와 접촉하는 밸브시트의 1차밸브시트부도 구면밸브부와 동일하게 가공해야 하므로 시간 및 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시트의 소경부에 설치되는 구면밸브를 간단하고 저렴하게 가공할 수 있는 전자제어식 셔틀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2차밸브를 다른 밸브들에 사용되는 밸브와 간단하고 용이하게 공용화할 수 전자제어식 셔틀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입유로가 형성된 밸브블록에 삽입고정되며,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하우징의 개구부에 압입되고, 상단에 1차밸브시트부가 형성되며 유출유로와 연통하는 밸브시트; 상기 밸브시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의 대경부와 하부의 소경부로 구획되며, 상기 소경부의 하단에는 상기 밸브시트의 1차밸브시트부에 접하는 구면밸브부가 형성되며, 외측에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대경부에는 내부의 유로와 연통하는 2차밸브유로를 형성하는 2차밸브시트부가 구비되는 가동시트; 상기 가동시트의 소경부에 외삽되어 상기 가동시트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시트의 소경부에 삽 입되며 상기 밸브시트에 지지되는 지지부재; 하단에 상기 가동시트의 2차밸브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볼밸브를 구비하는 아마츄어; 상기 아마츄어와의 사이에서 공극을 형성하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아마츄어의 상단에 탄설 지지되는 밸브코어; 및 상기 밸브코어에 자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식 셔틀밸브는 기본적으로 중공형 밸브하우징(20)을 구비한다. 밸브하우징(20)은 유입유로(22)가 형성된 밸브블록(24)에 삽입고정된다. 밸브하우징(20)에는 유입유로(22)와 연통하는 오일통로(26)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개구부(28)가 구비된다.
밸브하우징(20)의 개구부(28)에는 밸브시트(30)가 압입된다. 밸브시트(30)의 상부에는 1차밸브시트부(32)가 형성된다. 물론, 밸브시트(30)는 유출유로(34)와 연통한다.
밸브하우징(20)의 중공부의 하부에 삽입된 밸브시트(30)의 상부에는 가동시트(40)가 삽설된다. 가동시트(4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동시트(40)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대경부(40a)와 소경부(40b)로 구획된다. 소경부(40b)의 하단 둘레에는 전술된 밸브시트(30)의 1차밸브시트부(32)에 접하도록 구면밸브부(42)가 형성된다. 또한, 대경부(40a)와 소경부(40b)의 경계부에는 후술되는 지지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턱(44)이 형성된다. 물론, 가동시트(40)의 외측에는 대경부(40a)와 소경부(40b)를 연통시키기 위한 슬롯(46)이 형성된다. 그 슬롯(46)은 단면이 장방형, 반원형 또는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경부(40a)의 내측에는 2차밸브시트부(48)가 형성된다. 특히, 2차밸브시트부(48)는 대경부(40a)의 중앙에 삽입되어 사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2차밸브시트부(48)는 가동시트(40)를 사출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사전에 삽입되어 가동시트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동시트와 2차밸브시트부는 각각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견고한 사출성형을 위해 2차밸브시트부(48)의 외표면을 요철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가동시트(40)와 2차밸브시트부(48)간의 누설이 차단되며, 또한 가동시트(40)와 후술되는 볼밸브간에 작용하는 압력을 겸딤과 동시에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2차밸브시트부(48)의 중앙에는 가동시트(40)의 중앙에 형성된 중심유로(50)를 통해 공급되는 압유 또는 오일이 출입하는 2차밸브유로(52)가 형성된다. 가동시트(40)의 소경부(40b)에는 그 가동시트(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54)이 외삽된다. 스프링(54)의 상단은 가동시트(40)의 지지턱(44)에 접촉되어 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특히,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가동시트(40)의 소경부(40b)에는 그 하부로부터 외삽되어 스프링(54)을 지지하는 지지부재(60)가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60)는 복수의 기둥부(62)와, 그 기둥부(6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밸브시트(30)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64)와, 기둥부(6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스프링(54)의 하단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66)로 구성된다. 기둥부(62)는 유체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고 그 유동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60)의 내경(60a)은 가동시트(40)가 진퇴할 수 있도록 설정되며, 외경(60b)은 밸브하우징(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재(60)의 하부 지지부(64) 및 상부 지지부(66)는 고리형상을 이루도록 고리부(64a)(66a)가 형성되며,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밸브하우징(20)의 상부 및 가동시트(40)의 상부에는 아마츄어(70)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마츄어(70)의 하단에는 가동시트(40)의 2차밸브유로(52)를 개폐하기 위한 볼밸브(72)가 구비된다. 아마츄어(70)의 상단에는 스프링(74)에 의해 탄설 지지되는 밸브코어(76)가 설치된다. 이 같은 상호간의 구성에 의해 아마츄어(70)와 밸브코어(76)사이에는 공극(78)이 형성된다.
또한, 밸브하우징(20)과 밸브코어(76)는 슬리브(80)에 의해 일체로 조립되어 결국, 아마츄어(70)는 슬리브(80)내에 진퇴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이다.
슬리브(80) 및 밸브코어(76)의 일부는 솔레노이드 코일(90)에 의해 포위되며, 그 솔레노이드 코일(90)에는 전기를 선택적으로 공급받기 위한 단자(92)가 연결된다. 밸브하우징(20)의 오일통로(26) 주변에는 구면밸브(94)가 포위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자제어식 셔틀밸브의 작동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평상시에는 아마츄어(70)가 밸브코어(76)와 아마츄어(70)가 설치된 스프링(74)의 반력에 의해 힘을 받으며, 이때 아마츄어(70)의 끝단에 설치된 볼밸브(72)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가동시트(40)에 접촉하여 그 가동시트(40)의 대경부에 삽입 사출성형되어 고정된 2차밸브시트(48)에 의해 지지되면서 가동시트 지지스프링(54)의 반력을 이겨 가동시트(40)를 밸브하우징(20)의 개구부(28)에 압입된 밸브시트(30)에 설치된 구면밸브부(42)에 대해 밀려진다.
이때, 가동시트(40)의 소경부(40a)의 하단에 위치하는 구면밸브부(42)는 밸브시트(30)의 1차밸브시트부(32)와 접촉하게 되므로 유입유로(22) 및 오일통로(26)와 유출유로(34)의 연통이 차단되는 것이다.
한편, 솔레노이드 코일(90)에 설치된 단자(92)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솔레노이드 코일(90)은 자기장을 형성하여 아마츄어(70)를 밀고 있는 힘보다 강하게되어 아마츄어(70)와 밸브코어(76)사이에 서로 잡아당기는 자력이 발생하고, 이 자력은 아마츄어 지지스프링(74)이 아마츄어(70)를 밀고 있는 힘보다 강하여 아마츄어(70)를 밸브코어(76)쪽으로 끌어당겨 아마츄어(70)와 밸브코어(76) 사이의 공극(78)이 없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가동시트(40)를 밀고 있던 지지스프링(74)의 반력이 사라져 가동시트를 지지하는 스프링(54)의 반력이 작용한다. 이와 동시에 오일통로(26)에 위치한 유체는 가동시트(40)의 소경부(40b)와 대경부(40a)를 연결하는 슬롯(46)을 통하여 이동하고, 가동시트(40)의 중심에 설치된 2차 밸브유로(52)를 통하여 가동시트 중심유로를 거쳐 유출유로(34)로 유동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가동시트(40)를 지지하는 스프링(54)은 밸브 하우징(20)의 개구부(28) 에 압입된 밸브시트(30)와 접촉하는 지지부재(60)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가동시트(40)에 대한 반발력이 작용한다. 가동시트(40)의 대경부(40a)와 소경부(40b)의 압력차가 일정 수준 이하로 되면, 가동시트(40)의 양단의 면적차에 의한 힘의 차이로 인해 스프링(54)의 반력이 유효하게 작용하여 가동시트(40)를 결국 아마츄어(70)를 향해 밀어냄으로써, 다시 가동시트(40)의 대경부(40a)에 구비된 2차 밸브시트부(48)와 볼밸브(72)가 접촉되며, 이에 따라 아마츄어(70)와 가동시트(40)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는 차단되는 것이다. 또한, 가동시트(40)의 소경부(40b)의 하단에 구비된 구면밸브부(42)는 밸브시트(30)의 1차밸브시트부(32)와 분리되어 유입유로(22)와 유출유로(34)간의 소통이 가능하여 결국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솔레노이드 코일(9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스프링(54)의 반력에 의해 아마츄어(70)와 가동시트(40)는 원위치로 복귀되므로, 유입유로(22)와 유출유로(34)간의 연통은 다시 차단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유입유로와 유출유로를 통하는 유압 또는 오일을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단속 및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식 셔틀밸브에 의하면, 가동시트의 소경부에 구비되는 구면밸브부와 대경부에 구비되는 제2밸브시트부를 사출성형에 의해 간단하고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제조 시간 및 비용이 절약됨은 물론, 2차밸브시트부를 다른 밸브와 공용화하는 경우에도 그 공용화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간의 안정적인 구동 및 볼밸브와 제2밸브시트간의 안정적인 찰탁에 의해 유입유로와 유출유로를 통하는 유압 또는 오일을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단속 및 제어할 수 있어 차량에 채택되는 경우 그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9)

  1. 유입유로가 형성된 밸브블록에 삽입고정되며,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하우징의 개구부에 압입되고, 상단에 1차밸브시트부가 형성되며 유출유로와 연통하는 밸브시트;
    상기 밸브시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의 대경부와 하부의 소경부로 구획되며, 상기 소경부의 하단에는 상기 밸브시트의 1차밸브시트부에 접하는 구면밸브부가 형성되며, 외측에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대경부에는 내부의 유로와 연통하는 2차밸브유로를 형성하는 2차밸브시트부가 구비되는 가동시트;
    상기 가동시트의 소경부에 외삽되어 상기 가동시트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시트의 소경부에 삽입되며 상기 밸브시트에 지지되는 지지부재;
    하단에 상기 가동시트의 2차밸브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볼밸브를 구비하는 아마츄어;
    상기 아마츄어와의 사이에서 공극을 형성하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아마츄어의 상단에 탄설 지지되는 밸브코어; 및
    상기 밸브코어에 자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제어식 셔틀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시트의 대경부와 소경부의 경계부에는 스프링의 상단이 지지되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셔틀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시트의 슬롯의 단면은 장방형, 반원형 및 호형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셔틀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시트의 2차밸브시트부는 대경부의 중앙에 삽입되어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셔틀밸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차밸브시트부의 외표면은 요철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셔틀밸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복수의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밸브시트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셔틀밸브.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지지부 및 상부 지지부에는 고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셔틀밸브.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시트와 2차밸브시트부는 상호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셔틀밸브.
KR1020040103993A 2004-12-10 2004-12-10 전자제어식 셔틀 밸브 KR100990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993A KR100990678B1 (ko) 2004-12-10 2004-12-10 전자제어식 셔틀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993A KR100990678B1 (ko) 2004-12-10 2004-12-10 전자제어식 셔틀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209A KR20060065209A (ko) 2006-06-14
KR100990678B1 true KR100990678B1 (ko) 2010-10-29

Family

ID=3716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993A KR100990678B1 (ko) 2004-12-10 2004-12-10 전자제어식 셔틀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6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046B1 (ko) 2011-12-30 2012-08-24 오종찬 제철연주설비 세그먼트 자동 테이퍼 제어 블럭의 분리형 셔틀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744B1 (ko) * 2007-10-11 2008-07-22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3980A (en) 1995-02-08 1997-10-07 Robert Bosch Gmbh Solenoid valve with pressure limitation for controlled-slip motor vehicle brake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3980A (en) 1995-02-08 1997-10-07 Robert Bosch Gmbh Solenoid valve with pressure limitation for controlled-slip motor vehicle brake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046B1 (ko) 2011-12-30 2012-08-24 오종찬 제철연주설비 세그먼트 자동 테이퍼 제어 블럭의 분리형 셔틀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209A (ko)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970B2 (en) Solenoid valve
JP5079966B2 (ja) 特に自動車の液圧式ブレーキ装置のための電磁作動弁
KR101958792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US8833728B2 (en) Solenoid valve for brake system
CN111503314B (zh) 电磁式阀门装置和其应用以及阀门系统
KR100990678B1 (ko) 전자제어식 셔틀 밸브
KR20120109122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1021496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JPH08184382A (ja) ポペット形方向切換弁
KR101608771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090037006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0978086B1 (ko) 전자제어식 셔틀 밸브
US5655746A (en) Two-port fluid solenoid valve
US10480673B2 (en) Solenoid valve for brake system
US20190077388A1 (en) Solenoid valve for brake system
KR101937471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000035376A (ko)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CN109073105B (zh) 气动的多阀门装置及其制造方法
KR100189033B1 (ko) 복좌식의 전자밸브
KR102553467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노말 오픈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
JP3981848B2 (ja) 電磁弁
JP2004505227A (ja) 特に自動車の液圧式ブレーキ装置用の電磁作動弁
KR20090078864A (ko)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150104728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150095238A (ko)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