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467B1 -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노말 오픈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노말 오픈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467B1
KR102553467B1 KR1020220137697A KR20220137697A KR102553467B1 KR 102553467 B1 KR102553467 B1 KR 102553467B1 KR 1020220137697 A KR1020220137697 A KR 1020220137697A KR 20220137697 A KR20220137697 A KR 20220137697A KR 102553467 B1 KR102553467 B1 KR 102553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check valve
filter
flow path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인석
박지환
Original Assignee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7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F15B21/041Removal or measurement of solid or liquid contamination, e.g.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16K15/184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4Hydraul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5Valve bodies; Mounting of hydraulic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1 인렛 유로, 제2 인렛 유로 및 아웃렛 유로를 구비하는 밸브 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인렛 유로, 상기 제2 인렛 유로 및 상기 아웃렛 유로 사이의 브레이크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고, 상기 제1 인렛 유로와 상기 아웃렛 유로를 유체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시트 부재, 전후진 이동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제1 인렛 유로와 상기 아웃렛 유로를 연결하는 메인 유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플런저, 상기 제1 인렛 유로와 상기 아웃렛 유로를 연결하는 제1 일방향 보조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체크 밸브, 그리고 상기 제2 인렛 유로와 상기 아웃렛 유로를 연결하는 제2 일방향 보조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체크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노말 오픈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Normal open type solenoid valve used in brake system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휠 브레이크로 공급되는 유압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또는 휠 브레이크로부터 배출되는 유압을 유지하거나 해제하기 위해, 온/오프 기능을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된다.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이러한 노멀 오픈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휠 브레이크로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는 통상 노멀 오픈(normal open)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된다. 노멀 오픈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하단은 휠 브레이크 및 메인 액압공급장치와 연결되고 상단은 마스터 실린더와 연결된다. 제동 시 노멀 오픈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류의 인가에 의해 클로즈되며 메인 액압공급장치를 통해 압력을 형성하여 휠 브레이크로 압력을 가하고, 이때 필요한 브레이크 오일을 보충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레저버와 연결된 체크밸브가 구비된다. 레저버와 연결된 체크 밸브는 휠 브레이크 및 메인 액압공급장치로만 흐를 수 있게 하는 단방향 체크 밸브이다. 종래에는 노멀 오픈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레저버에 연결된 체크 밸브가 별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두 개의 밸브가 별도로 구성되어야 하고 브레이크 시스템의 크기가 큰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975173호 (공고일: 2019.05.07.) 등록특허 제10-1982270호 (공고일: 2019.08.28.) 등록특허 제10-2007342호 (공고일: 2019.08.06.) 등록특허 제10-2016383호 (공고일: 2019.08.30.) 등록특허 제10-2021469호 (공고일: 2019.09.16.) 등록특허 제10-1988513호 (공고일: 2019.09.30.) 등록특허 제10-2245383호 (공고일: 2021.04.2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감수된 부품수와 크기를 갖는 노말 오픈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1 인렛 유로, 제2 인렛 유로 및 아웃렛 유로를 구비하는 밸브 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인렛 유로, 상기 제2 인렛 유로 및 상기 아웃렛 유로 사이의 브레이크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고, 상기 제1 인렛 유로와 상기 아웃렛 유로를 유체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시트 부재, 전후진 이동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제1 인렛 유로와 상기 아웃렛 유로를 연결하는 메인 유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플런저, 상기 제1 인렛 유로와 상기 아웃렛 유로를 연결하는 제1 일방향 보조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체크 밸브, 그리고 상기 제2 인렛 유로와 상기 아웃렛 유로를 연결하는 제2 일방향 보조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체크 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제1 인렛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브레이크 유체에 함유된 불순물을 거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트 부재에 체결되는 제1 필터, 상기 아웃렛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브레이크 유체에 함유된 불순물을 거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필터, 그리고 상기 제1 필터와 상기 제2 필터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크 밸브는 상기 제1 필터와 상기 중간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체크 밸브는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제2 필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필터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인렛 유로의 브레이크 유체를 상기 제1 체크 밸브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를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하부 돌출부가 압입되는 함몰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크 밸브를 통과한 브레이크 유체를 상기 아웃렛 유로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가 상기 하부 돌출부와 상기 함몰 공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크 밸브는 상기 밸브 블록에 접촉되는 제1 몸체, 그리고 상기 제1 몸체의 내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1 필터에 접촉되는 제1 스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크 밸브는 상기 밸브 블록에 접촉되는 제2 몸체, 그리고 상기 제2 몸체의 내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중간 부재에 접촉되는 제2 스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체크 밸브는 상기 제1 필터에 접촉되는 제1 몸체, 그리고 상기 제1 몸체의 외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밸브 블록에 접촉되는 제1 스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체크 밸브는 상기 중간 부재에 접촉되는 제2 몸체, 그리고 상기 제2 몸체의 외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밸브 블록에 접촉되는 제2 스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크 밸브와 상기 제2 체크 밸브는 링 형상의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스커트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커트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밸브 블록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크 밸브와 상기 제2 체크 밸브는 링 형상의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스커트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는 상기 밸브 블록에 접촉되고 상기 스커트는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두 개의 체크 밸브를 통합적으로 구비함으로써, 부품 수와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고 제동 시스템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개방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된 브레이크 시스템의 개략적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폐쇄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된 브레이크 시스템의 개략적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1)는 노멀 오픈(normal open)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휠 브레이크로 공급되는 오일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리브(sleeve)(11)는 밸브 블록(valve block)(13)에 지지될 수 있으며 상하로 연장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중공 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아마추어(armature)(17)와 마그넷 코어(magnet core)(15)가 슬리브(11) 내에 이웃하게 배치되고, 플런저(plunger)(18)가 아마추어(17)의 하단에 고정된다. 아마추어(17)와 플런저(18)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플런저(18)는 탄성 부재(19),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에 의해 마그넷 코어(15)에 대해 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마그넷 코어(15)를 활성화하기 위한 코일(도시되지 않음)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탄성 부재(1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아마추어(17)와 플런저(18)가 상방향으로 밀려 도 1에 도시된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그넷 코어(15)의 구동력에 의해 아마추어(17)와 플런저(18)가 탄성 부재(19)를 압축시키면서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4에 도시된 폐쇄 상태를 구현한다.
플런저(18)의 하단에 고정된 볼(27)이 도 1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시트 부재(23)에서 이격되면,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메인 유로(F1)가 형성된다. 반면, 마그넷 코어(15)의 구동력에 의해 플런저(18)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볼(27)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부재(23)에 밀착되면 메인 유로(F1)가 차단된다. 메인 유로(F1)의 형성을 위해 마그넷 코어(15)와 시트 부재(23) 사이에 브레이크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14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밸브 블록(13)은 마스터 실린더(101)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1 인렛 유로(131), 레저버(102)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2 인렛 유로(132), 그리고 휠 브레이크(103)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아웃렛 유로(133)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솔레노이드 밸브(1)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 마스터 실린더(101)에서 배출된 브레이크 유체가 제1 인렛 유로(131), 솔레노이드 밸브(1) 및 아웃렛 유로(133)를 통해 휠 브레이크(103)로 공급될 수 있다. 반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솔레노이드 밸브(1)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레저버(102)의 브레이크 유체가 제2 인렛(132), 솔레노이드 밸브(1) 및 아웃렛 유로(133)를 통해 휠 브레이크(103)로 공급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는 아마추어(17)와 플런저(18)의 상하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제1 인렛 유로(131)와 아웃렛 유로(133)를 서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작용한다. 제1 인렛 유로(131)와 아웃렛 유로(133)가 서로 차단되는 오프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1)가 마스터 실린더(101)의 브레이크 유체가 휠 브레이크(103)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반면, 제1 인렛 유로(131)와 아웃렛 유로(133)가 서로 연결되는 온 상태에서는, 마스터 실린더(101)에서 공급된 오일이 솔레노이드 밸브(1)틀 통해 휠 브레이크(103)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부재(23)는 브레이크 유체의 통로인 오리피스(25)를 구비하며 제1 필터, 즉 사이드 필터(31)에 고정된 상태로 관형 마그넷 코어(15) 내에 배치된다. 시트 부재(23)는 마그넷 코어(15)의 하단부에 구비된 공간에 압입되어 마그넷 코어(15)에 체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플런저(18)의 상하방향 거동에 의해 플런저(18)의 하단에 고정된 볼(27)이 시트 부재(23)의 오리피스(25)를 개폐함으로써 메인 유로(F1)가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사이드 필터(31)는 브레이크 유체에 함유된 불순물을 거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이드 필터(31)는 마그넷 코어(15)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제1 인렛 유로(131)를 통해 유입되는 브레이크 오일에 함유된 불순물을 거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이드 필터(31)는 몸체(33)와 필터 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부재(35)는 브레이크 유체를 통과시키고 불순물을 거를 수 있는 다수의 미세 통공을 갖는 메쉬 형태의 필터일 수 있으며 제1 인렛 유로(131)에 연결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인렛 유로(131)를 통해 유입된 브레이크 유체가 필터 부재(35)를 통과한 후 필터 부재(35)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어 시트 부재(23)의 오리피스(25)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필터(31)의 몸체(33)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시트 부재(23)에 압입되는 상부 돌출부(331)를 구비하며, 시트 부재(23)의 오리피스(25)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유로(332)가 몸체(33)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사이드 필터(31)의 몸체(33)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 돌출부(333)을 구비하며, 중간 부재(41)가 하부 돌출부(333)에 체결된다. 중간 부재(41)는 사이드 필터(31)의 유로(332)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유로(411)를 형성한다.
제2 필터, 즉 프론트 필터(51)가 중간 부재(41)에 체결된다. 프론트 필터(51)는 중간 부재(41)에 체결되는 몸체(52), 그리고 몸체(52)에 고정되는 필터 부재(53)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52)는 중간 부재(41)의 유로(411)에 연통되는 관통홀(521)을 형성하며, 필터 부재(53)는 관통홀(521)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유체에 함유된 불순물을 거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필터 부재(53)의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메쉬 형태의 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10)는 두 개의 체크 밸브, 즉 제1 체크 밸브(60)와 제2 체크 밸브(70)를 포함한다. 제1 체크 밸브(60)는 제1 인렛 유로(131)와 아웃렛 유로(133)를 연결하는 일방향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제2 체크 밸브(70)는 제2 인렛 유로(132)와 아웃렛 유로(133)를 연결하는 일방향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101)에서 휠 브레이크(103)로 연결되는 일방향 유로가 제1 체크 밸브(60)를 통해서 형성되고, 레저버(102)에서 휠 브레이크(103)로 연결되는 일방향 유로가 제2 체크 밸브(70)를 통해서 형성된다. 제1 및 제2 체크 밸브(60, 70)는 한 방향으로의 유로는 허용하고 반대 방향의 유로는 차단하는 립 씰(lip seal)의 형태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체크 밸브(60)는 관통홀(63)을 형성하는 링 형상을 가지며 사이드 필터(31)와 중간 부재(41)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체크 밸브(60)는 링 형상의 몸체(61), 그리고 몸체(61)의 내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스커트(62)를 구비할 수 있다. 사이드 필터(31)의 하부 돌출부(333)가 제1 체크 밸브(60)의 관통홀(63)에 삽입되고, 스커트(62)가 하부 돌출부(333)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제1 체크 밸브(60)는 탄성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커트(62)는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일방향 유로를 허용한다. 스커트(62)에 의해 도 1에서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브레이크 유체의 흐름이 허용되고 그 반대방향의 흐름은 차단되어 브레이크 유체의 일방향 흐름이 구현된다.
제1 인렛 유로(131)를 통해 유입된 브레이크 유체를 제1 체크 밸브(60)가 배치된 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335)가 사이드 필터(31)의 몸체(33)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체크 밸브(60)를 통과한 브레이크 유체를 중간 부재(41)의 유로(411)로 공급하기 위해, 사이드 필터(31)의 하부 돌출부(33)와 중간 부재(41)에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416) 및 사이드 필터(31)의 하부 돌출부(33)의 저면에 형성되는 통로(4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인렛 유로(131)를 통해 유입된 브레이크 유체가 아웃렛 유로(133)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중간 부재(41)는 상측 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 공간(417_을 구비하고, 사이드 필터(31)의 하부 돌출부(33)가 이 함몰 공간(417)에 압입될 수 있다. 이때, 중간 부재(41)의 함몰 공간을 형성하는 면에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며, 이 홈이 상기한 통로(416)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체크 밸브(70)는 관통홀(73)을 형성하는 링 형상을 가지며 중간 부재(41)와 프론트 필터(51)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체크 밸브(70)는 링 형상의 몸체(71), 그리고 몸체(71)의 내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스커트(72)를 구비할 수 있다. 중간 부재(41)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 돌출부(412)를 구비하고, 제2 체크 밸브(70)가 중간 부재(41)와 중간 부재(41)의 하부 돌출부(412)에 체결되는 프론트 필터(51) 사이에 배치된다. 스커트(72)는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일방향 유로를 허용한다. 제2 체크 밸브(70)는 탄성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커트(72)에 의해 도 4에서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브레이크 유체의 흐름이 허용되고 그 반대방향의 흐름은 차단되어 브레이크 유체의 일방향 흐름이 구현된다.
중간 부재(41)는 제2 인렛 유로(132)를 통해 유입되는 브레이크 유체를 제2 체크 밸브(70)가 배치된 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4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부재(41)의 하방 돌출부(412)의 바닥에는 제2 체크 밸브(70)를 통과한 브레이크 유체를 아웃렛 유로(133)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41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413, 415)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함몰 홈일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의 아마추어(17)를 구동하기 위한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밸브(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상태가 된다. 개방 상태에서 제1 인렛 유로(131)를 통해 유입된 브레이크 유체가 메인 유로(F1)를 통해 아웃렛 유로(13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3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101)에서 생성된 브레이크 유체의 유압이 제1 인렛 유로(131), 솔레노이드 밸브(1) 및 아웃렛 유로(133)를 통해 휠 브레이크(103)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실린더(101)에 의해 야기된 브레이크 유체의 흐름의 일부는 제1 체크 밸브(60)를 통하는 일방향 보조 유로(F2)를 통해 휠 브레이크(103)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1)의 개방에 따라 메인 액압공급장치(104)에서 생성된 브레이크 유체의 흐름이 솔레노이드 밸브(1)를 통해 마스터 실린더(101)로 이동할 수도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에 전류가 인가되는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밸브(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상태가 되고, 폐쇄 상태에서 메인 유로(F1)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솔레노이드 밸브(70)를 통하는 일방향 보조 유로(F3)를 통해 휠 브레이크(103)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는 메인 액압공급장치(104)를 통해 브레이크 유체의 압력을 형성하며, 도 5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압력 상승 시 레저버(102)의 브레이크 유체가 제2 인렛 유로(132)와 제2 체크 밸브(70)를 통해 휠 브레이크(103)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1)의 폐쇄에 따라 메인 액압공급장치(104)에서 생성된 브레이크 유체의 흐름은 마스터 실린더(101)로 이동할 수 없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체크 밸브(80)가 몸체(81), 그리고 몸체(81)의 외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스커트(82)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체크 밸브(90)가 몸체(91), 그리고 몸체(91)의 외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스커트(9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서는 형상 변경을 통해 브레이크 유체의 일방향 흐름을 허용하는 스커트(82, 92)가 몸체(81, 91)의 외측 면에 구비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인렛 유로(131)의 브레이크 유체를 제1 체크 밸브(80)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801)가 밸브 블록(13)과 사이드 필터(31) 사이에 형성된다. 제1 체크 밸브(80)의 몸체(81)가 사이드 필터(31)의 하부 돌출부(333)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스커트(82)가 몸체(81)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기 때문에, 제1 체크 밸브(80)로 브레이크 유체를 안내하는 통로(801)가 사이드 필터(31)의 외측에 형성된다. 제1 체크 밸브(80)를 통과한 브레이크 유체가 사이드 필터(31)와 중간 부재(41)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416)와 사이드 필터(31)의 하부 돌출부(333)의 저면에 형성되는 통로(415)를 통해서 아웃렛 유로(133)로 흐를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체크 밸브(80)를 통한 통하는 제1 보조 유로(F2)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제2 인렛 유로(132)의 브레이크 유체를 제2 체크 밸브(90)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901)가 밸브 블록(13)과 중간 부재(41) 사이에 형성된다. 제2 체크 밸브(90)의 몸체(91)가 중간 부재(41)의 하부 돌출부(412)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스커트(92)가 몸체(91)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기 때문에, 제2 체크 밸브(90)로 브레이크 유체를 안내하는 통로(901)가 중간 부재(41)의 외측에 형성된다. 또한 제2 체크 밸브(90)를 통과한 브레이크 유체를 아웃렛 유로(133)로 안내하기 위한 통로(902)가 프론트 필터(51)와 밸브 블록(1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체크 밸브(90)를 통하는 제2 보조 유로(F3)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 솔레노이드 밸브
11: 슬리브
13: 밸브 블록
15: 마그넷 코어
17: 아마추어
18: 플런저
19: 탄성 부재
23: 시트 부재
27: 볼
F1: 메인 유로
F2: 제1 일방향 보조 유로
F3: 제2 일방향 보조 유로
131: 제1 인렛 유로
132: 제2 인렛 유로
133: 아웃렛 유로
101: 마스터 실린더
102: 레저버
103: 휠 브레이크
104: 메인 액압공급장치
31: 사이드 필터
41: 중간 부재
51: 프론트 필터
60, 80: 제1 체크 밸브
70, 90: 제2 체크 밸브

Claims (8)

  1. 제1 인렛 유로, 제2 인렛 유로 및 아웃렛 유로를 구비하는 밸브 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인렛 유로, 상기 제2 인렛 유로 및 상기 아웃렛 유로 사이의 브레이크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렛 유로와 상기 아웃렛 유로를 유체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시트 부재,
    전후진 이동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제1 인렛 유로와 상기 아웃렛 유로를 연결하는 메인 유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플런저,
    상기 제1 인렛 유로와 상기 아웃렛 유로를 연결하는 제1 일방향 보조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체크 밸브, 그리고
    상기 제2 인렛 유로와 상기 아웃렛 유로를 연결하는 제2 일방향 보조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렛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브레이크 유체에 함유된 불순물을 거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트 부재에 체결되는 제1 필터,
    상기 아웃렛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브레이크 유체에 함유된 불순물을 거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필터, 그리고
    상기 제1 필터와 상기 제2 필터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크 밸브는 상기 제1 필터와 상기 중간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체크 밸브는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제2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필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인렛 유로의 브레이크 유체를 상기 제1 체크 밸브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를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하부 돌출부가 압입되는 함몰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체크 밸브를 통과한 브레이크 유체를 상기 아웃렛 유로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가 상기 하부 돌출부와 상기 함몰 공간 사이에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크 밸브는 상기 밸브 블록에 접촉되는 제1 몸체, 그리고 상기 제1 몸체의 내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1 필터에 접촉되는 제1 스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크 밸브는 상기 밸브 블록에 접촉되는 제2 몸체, 그리고 상기 제2 몸체의 내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중간 부재에 접촉되는 제2 스커트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크 밸브는 상기 제1 필터에 접촉되는 제1 몸체, 그리고 상기 제1 몸체의 외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밸브 블록에 접촉되는 제1 스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크 밸브는 상기 중간 부재에 접촉되는 제2 몸체, 그리고 상기 제2 몸체의 외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밸브 블록에 접촉되는 제2 스커트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크 밸브와 상기 제2 체크 밸브는 링 형상의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스커트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스커트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밸브 블록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크 밸브와 상기 제2 체크 밸브는 링 형상의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스커트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밸브 블록에 접촉되고 상기 스커트는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KR1020220137697A 2022-10-24 2022-10-24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노말 오픈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 KR102553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697A KR102553467B1 (ko) 2022-10-24 2022-10-24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노말 오픈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697A KR102553467B1 (ko) 2022-10-24 2022-10-24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노말 오픈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467B1 true KR102553467B1 (ko) 2023-07-10

Family

ID=87155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697A KR102553467B1 (ko) 2022-10-24 2022-10-24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노말 오픈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46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296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1975173B1 (ko) 2012-10-16 2019-05-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트랙션 컨트롤 밸브
KR20190051201A (ko) *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만도 일체형 솔레노이드밸브 및 그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07342B1 (ko) 2017-12-01 2019-08-06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2016383B1 (ko) 2018-01-15 2019-08-30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2021469B1 (ko) 2018-01-11 2019-09-16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1988513B1 (ko) 2017-09-11 2019-09-30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2245383B1 (ko) 2019-08-23 2021-04-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173B1 (ko) 2012-10-16 2019-05-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트랙션 컨트롤 밸브
KR20180136296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1982270B1 (ko) 2017-06-14 2019-08-28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1988513B1 (ko) 2017-09-11 2019-09-30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190051201A (ko) *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만도 일체형 솔레노이드밸브 및 그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07342B1 (ko) 2017-12-01 2019-08-06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2021469B1 (ko) 2018-01-11 2019-09-16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2016383B1 (ko) 2018-01-15 2019-08-30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2245383B1 (ko) 2019-08-23 2021-04-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476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JP3598409B2 (ja) 液圧ブレーキ装置における液圧制御弁装置
US11313488B2 (en) Solenoid valve for brake system
JPH0893955A (ja) 開閉電磁弁
KR101958792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JPH0620966U (ja) 圧力制御弁
US9884613B2 (en) Brake system
KR20190028923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2560387B1 (ko) 체크 밸브 일체형 노말 클로즈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
KR102553467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노말 오픈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
JPH1163288A (ja) 液圧制御弁装置
US7131634B2 (en) Solenoid valve
KR20240028617A (ko) 자동차의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노말 오픈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
US10737676B2 (en) Solenoid valve
JP4603789B2 (ja) 電磁式の弁
KR100344472B1 (ko)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0402278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솔레노이드밸브
KR101922473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190108749A (ko) 체크밸브
KR100860482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JP2004505227A (ja) 特に自動車の液圧式ブレーキ装置用の電磁作動弁
JPH035742Y2 (ko)
KR100850539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
KR101979415B1 (ko) 체크밸브
KR20150104728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