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636A - 개선된 실런트 액체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 Google Patents

개선된 실런트 액체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636A
KR20160113636A KR1020167022763A KR20167022763A KR20160113636A KR 20160113636 A KR20160113636 A KR 20160113636A KR 1020167022763 A KR1020167022763 A KR 1020167022763A KR 20167022763 A KR20167022763 A KR 20167022763A KR 20160113636 A KR20160113636 A KR 20160113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container
inlet port
inlet
intern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2486B1 (ko
Inventor
마우리치오 마리니
Original Assignee
테크글로발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글로발 에스.알.엘. filed Critical 테크글로발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60113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6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ealing compositions into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1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support or cushion
    • A47G27/0231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support or cushion for fighting fatigu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43Features of decorative rugs or carp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3Sealing compositions or agents, e.g. combined with propellant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D30/0685Incorporating 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on or into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Abstract

팽창 가능한 물품, 바람직하게는 공압식 물품을 보수하기 위한 실런트 액체용 용기는 실런트 액체를 위한 내부 공간(7)을 형성하는 쉘(3, 4, 6)과, 내부 공간(7) 내로 압축 기체를 도입하기 위한 유입 포트(2)와, 상기 유입 포트(2)에서의 가압 이후에 실런트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배출 포트(14)와, 상기 실런트 액체가 상기 내부 공간(7)에 유지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유입 포트(2) 및 배출 포트(14)가 상기 내부 공간(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유입 포트(2)에서의 가압 이후에 도달되는 개방 위치 간에 구성 가능한 폐쇄 유닛(13)을 포함한다. 특히, 유입 포트 및 배출 포트는 내부 공간(7)에 대해 서로 맞은편에 위치한다.

Description

개선된 실런트 액체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IMPROVED SEALANT LIQUID CONTAINER AND KIT COMPRISING SUCH A CONTAINER}
본 발명은 팽창 가능한 대상물을 보수하기 위한 실런트 액체용 용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러한 용기를 포함하는 공압식 보수 및 팽창 키트에 관한 것이다.
실런트 액체의 용기들은 병과, 유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병에 연결되는 유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유입구와 배출구는 용기의 동측에 배치되고 사용 위치에 용기를 유지시키는 지지체 및/또는 압축기에 의한 용기의 기계적 및/또는 유체 연결부와 인접한다.
이는 지지체 또는 압축기와 용기 사이 연결 영역의 상대적으로 심각한 복잡화를 초래하며, 압축기에 의한 연결 또는 용기를 위한 지지체 또는 압축기의 구조 상에 제한을 수반한다. 요구되는 구성요소들은 인접하게 배치되기 쉬우며 이는 복잡한 경로를 가지는 통로의 생성을 요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실런트 액체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실런트 액체용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런트 액체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에 연결 가능한 압축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용기와 도 3의 압축기 간의 기계적 연결과 유체 연결을 위한 영역의 종단면도이다.
도 1의 참조 번호 1은 전체로서 실런트 유체용 용기를 나타내며, 용기는 유입 포트(2)와, 유입 포트(2)가 형성되는 하단부(3)와, 하단부(3)로부터 연장되는 측벽(4)과, 측벽(4)에 대해 하단부(3)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머리부(5)를 구비한다.
머리부(5)는 내부 공간(7)을 형성하기 위해 측벽(4)에 고정되는 머리 벽(6)과, 팽창 가능한, 특히 공압식 물품에 직접 연결 가능한 가요성 배출 튜브(8)와, 용기(1)가 사용되지 않을 때 가요성 배출 튜브(8)를 보호하고 고정하기 위해 측벽(4) 및/또는 머리 벽(6)에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케이스(9)를 포함하다. 하단부(3)와, 측벽(4)과, 머리 벽(6)은 팽창 가능한, 예를 들면 공압식 물품을 보수하기 적합한 미리 결정된 양의 실런트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쉘(shell)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9)가 측벽(4) 및/또는 머리 벽(6)에 고정되고 용기(1)가 사용되지 않을 때 케이스(9)는 가요성 배출 튜브(8)가 감겨 있는 수용 공간 내부를 머리 벽(6)과 함께 형성하는, 오목한 쉘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케이스(9)가 측벽(4) 및/또는 머리 벽(6)에 고정될 때 케이스(9)는 가요성 배출 튜브(8)가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케이스(9)는 개구부(10)를 형성하거나,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료의 영역을 형성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9)는 뚜껑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배출 튜브(8)의 종방향으로 반대쪽의 유입 포트(2)는, 예를 들면 O-링과 같은, 단일 실링 링(11)에 의해 둘러싸이며, 예를 들면 압축기와의 연결 및/또는 운반 동안, 이를 보호하기 위해 실링 링(11)을 향하여 둘러싸는 환형 벽(12)에 의해 유체 포트(2)가 둘러 싸인다.
유입 포트(2) 및 환형 벽(12)는 후술되는 압축된 공기 소스(source)에 연결되는 하단부(3)의 돌출부(R)를 형성한다.
용기(1)에서, 내부 공간(7)은 유입 포트(2)를 배출 포트(14)에 연결하는 폐쇄 유닛(closure unit)(13)을 수용하며, 실런트 액체가 내부 공간(7)에 유지되고 저장되며 용기(1)가 사용 대기 상태로 저장될 수도 있는 폐쇄 위치와, 유입 포트(2)와 배출 포트(14)가 내부 공간(7)에 의해 연결되는, 유입 포트(2)의 가압 후 도달되는 개방 위치로 구성 가능한 이동 부재(15)를 포함한다. 배출 포트(14)는 유입 포트(2)가 가압되고 폐쇄 유닛(13)이 개방 위치로 구성될 때 공압식 대상물 내로 실런트 액체를 주입하도록 가요성 배출 튜브(8)에 차례로 연결된다. 유입 포트(2)와 배출 포트(14)는 내부 공간(7)에 대해 맞은편 단부 측에 위치하며 실런트 액체는 주입 동안 폐쇄 유닛(13) 내부에서 하단부(3)로부터 머리 벽(6) 까지 길이 이상의 길이만큼 유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부재(15)는 유입 포트(2)와 배출 포트(14)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16)에 의해 규정되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한다. 유리하게는, 가이드(16)는 관 형상을 가지며, 가이드(16)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복수의 실링 링들을 운반하는 이동 부재(15)를 수용한다.
이동 부재(15)는 제1 통로(17), 특히 폐쇄 유닛(13)의 유입부(18)로 유도하는 도관과, 제2 통로(19), 특히 머리 벽(6)(도 2)에 의해 규정되는 폐쇄 유닛(13)의 배출부(20) 내로 유도하는 도관을 형성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개방 위치에서, 통로(17)는 가이드(16)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부(21)를 통해 내부 공간(7) 내로 유도하며, 통로(19)는 또한 가이드(16)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부(22)에 의해 내부 공간(7) 내로 유도한다. 특히, 개구부(21)는 가이드(16)를 따르는 이동 부재(15)의 이동의 종방향에서 개구부(22) 보다 배출부(20)에 더 가깝다.
이동 부재(15)의 이동과 실링 링들의 위치는 개구부들(21, 22)의 위치에 따른다. 도 2의 위치에서, 실링 링들(23, 24)은 개구부(22)에 대해 맞은편에 위치하도록 종방향으로 이격된다. 폐쇄 위치에서, 링(23)에 대해 링(24)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3 실링 링(25)은 개구부(22)에 대해 링(24)과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이동 부재(15)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이동 부재(15)는 개구부(21)의 맞은편에 오는 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개의 다른 실링 링들(26, 27)을 운반한다. 가이드(16)는 적어도 실링 링들(23-27)과의 접촉 구역에서 연속적인 벽들을 구비하여 폐쇄 유닛(13)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개구부들(21, 22)이 유입부(18)와 배출부(20)에 대해 밀봉되도록 한다. 또한, 개방 위치에서, 실링 링(24)은 유입부(18)로부터 개구부(22)를 고립시킨다.
용기(1)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된 부품들을 마찰 용접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단부(3)와, 측벽(4)과, 가이드(16)는 오목한 단일체로 제조된다. 벽(6)은 단일체로 성형되어 제조된다. 또한, 이동 부재(15)는 폐쇄 위치에서 가이드(16) 상에 장착되며 보수를 위한 미리 결정된 양의 실런트 액체는 하단부(3)와 측벽(4)에 의해 형성된 중공 몸체 내에 부어진다. 마지막으로, 머리 벽(6)은 상기 중공 몸체 상에 용접된다.
특히 조립 동안 이동 부재(15)의 폐쇄 위치를 획정하기(delimit) 위해, 바람직하게는 유입 포트(2)를 형성하는 하단부(3)의 돌출부(R) 내부에 배치되는 멈춤부(28)가 구비된다.
이동 부재(15)의 개방 위치를 획정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배출부(20)를 형성하고 가이드(16)와 결합되는 머리 벽(6)의 관형 부재(30)에 의해 규정되는 멈춤부(29)가 구비된다. 관형 부재(30)는 케이스(9)를 향하는 머리 벽(6)의 캐비티(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캐비티(31) 내부의 가요성 배출 튜브(8)의 단부(32)는 머리 벽(6)에 기계적으로 견고하고 제거 불가하게 연결된다. 유리하게는, 머리 벽(6)은 캐비티(31) 내부에 커넥터(33)를 포함하며, 단부(32)는 커넥터(33)에 끼워지고 유지 링(retaining ring)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팽창 가능한, 바람직하게는 공압식 물품들을 위한 보수 및 팽창 키트를 형성하도록 용기(1)에 연결 가능한 압축기 유닛(40)을 도시한다.
압축기 유닛(40)은 전기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도식적으로만 도시된) 압축기(C)와 전기 모터(M)를 수용하는 케이싱(41)을 포함한다. 하부 영역에서, 쉘(40)은 전기 모터(M)에 공급하기 위한 전압원에 연결될 전기 케이블(43)을 수용하는 홈(42)을 형성한다.
상부 영역에서, 케이싱(41)은 유입 포트(2)를 형성하는 돌출부(R)를 수용하고 압축기(C)에 연결되는 개구부(44)를 형성하여, 압축 공기의 유동을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압축기 유닛(40)은 압력계(45)와, 전기 모터(M)를 켜기 위한 누름 버튼(46)과, 압축기 유닛(40) 상의 유체 라인에서의 초과압을 방지하고/방지하거나 압력계가 과압력의 신호를 보일 경우 공압식 대상물의 압력을 낮추도록 릴리프 밸브(relief valve)(미도시)를 활성화하기 위한 누름 버튼(47)을 포함한다. 압축기 유닛(40)의 유체 라인은 개구부(44)로 압축 공기의 유동을 전달하기 위한 통로들 및/또는 채널들 및/또는 도관들을 포함한다.
또한, 압축기 유닛(40)은 개구부(44)와 병렬로 압축기(C)와 연결되는 가요성 튜브(48)를 포함하여 용기(1)가 개구부(44)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도 압력의 조정 및/또는 팽창의 작동을 따른다. 사용 시, 가요성 튜브(48)는 압력 조정의 작동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공압식 대상물에 직접 연결된다. 유사하게는, 가요성 배출 튜브(8) 또한 사용자에 의해 공압식 대상물에 직접 연결된다.
도 4는 용기(1)와 압축기(40) 간의 기계적 연결과 유체 연결의 상세도이다. 특히, 키트는 압축기(C)에 연결 가능하거나 유체 연통되는 밸브 몸체(49)와, 사용 준비 위치에서 압축기(C)에 용기(1)가 연결되도록 유지하기 위한 유지 인터페이스(50)를 포함한다. 밸브 몸체(49)는 개구부(44)와 가요성 튜브(48)에 유체 연통되어 압축기(C)에 대해 용기(1)와 병렬을 이룬다.
밸브 몸체(49)의 셔터(shutter)(51)는 스프링(52)에 의해 위치가 유지됨으로써 개구부(44)가 유체 차단되고 압축기(C)는 가요성 튜브(48)에 연결된다. 이로써, 전기 모터(M)가 켜지면, 압축 공기는 가요성 튜브(48)에 의해 공압식 대상물을 팽창시킬 수 있다.
도 4는 압축기(C)가 용기(1)를 가압하도록 개구부(44)와 유체 연통되고 가요성 튜브(48)가 압축기(C)로부터 고립되는 셔터(51)의 또 다른 위치를 도시한다. 개구부(44)와 가요성 튜브(48)는 선택적으로 각각의 통로들(54 및 55)을 폐쇄하는 각각의 실들(seals)(52, 53)에 의해 유체 차단된다: 통로(54)는 개구부(44)와 유체 연통되고 통로(55)는 가요성 튜브(48)와 유체 연통된다. 따라서, 밸브 몸체(49)는 세가지 방식으로 작동하며, 통로들(54, 55)을 통해 압축기 유닛(40)의 유체 라인의 부분을 이룬다.
유지 인터페이스(50)는 적어도 통로(54)의 길이를 규정하도록 밸브 몸체(49)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기(1)의 유입 포트(2)를 형성하는 돌출부(R)의 오목부(57)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이동 삽입부재(56)를 포함한다. 따라서, 오목부(57)는 지지체, 특히 케이싱(41)에 용기(1)를 연결시키기 위한 기계적 연결 수단이며, 이로써 용기는 실런트 액체의 주입을 위한 사용 위치에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인터페이스(50)와 오목부(57)는 용기(1)의 하단부(3)의 지지체(58)가 케이싱(41)의 머리 벽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지지체(58)는 유입 포트(2)와 개구부(44) 모두를 둘러싸며, 연속적이거나 환형일 수도 있으며, 또는 불연속적이고 둘레의 부분을 따를 수도 있다. 지지체(58)는 오목부(57)로부터 종방향으로 이격되며 수직하지 않은, 바람직하게는 수평의 표면을 가짐으로써, 용기(1)가 압축기 유닛(40)에 연결되고 사용 준비 시 머리 벽(59) 상 용기(1)의 하중의, 예를 들면 50% 초과의 하중을 실질적으로 받는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싱(41)은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상부 쉘(60)을 포함하며, 머리 벽(59)은 상기 쉘의 부분을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인터페이스(50)는 분리 가능하고 분리 불가능한 나사 연결 또는 스냅(snap) 연결 모두에 의해, 실(5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밸브 몸체(59)에 연결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인터페이스(50)는 유입 포트(2)와 유체 연통 가능한 통로(54)의 부분을 둘러싸는 환형 시트(seat)(61)를 형성한다. 환형 시트(61)는 용기(1)가 압축기(40)에 연결될 때 환형 벽(12)을 수용한다.
사용 시, 용기(1)는 실런트 액체를 주입하기 위해 압축기(40)에 조립된다. 이동 부재(15)가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실런트 액체의 수준은 개구부(21) 상측과 하측 모두일 수 있다. 용기(1) 내부 압력은 하단부(3)에 인접한, 개구부(22)를 통해 배출 포트(14)를 향해 실런트 액체를 밀어 낸다. 개구부(22)를 향하는 실런트 액체의 더욱 효과적인 유동을 가능케 하기 위해, 하단부(3)는 개구부(22)를 향해 덮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렴하는 벽에 의해 둘러싸인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1) 및 키트(1, 40)는 이하의 이점들이 달성되도록 한다.
압축기(40)와의 연결 인터페이스는 단순화된다. 또한, 가요성 배출 튜브(8)를 위한 시트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필요 없이 압축기(40)의 중간 영역에 용기(1)를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체(58)와 오목부(57)는 축방향으로의 용기의 특히 컴팩트한 기계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용기(1)는 압력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고 실런트 액체의 원치 않은 손실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마찰 용접에 의해 제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9)는 용기 사용 전에 가요성 배출 튜브(8)를 보호하고, 가요성 배출 튜브(8)는 개구부(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되는 보호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도시된 용기(1)와 키트(1, 40)에 수정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점은 명백하다.
특히, 밸브 몸체(49)와 유지 인터페이스(50)는 또한 압축기를 포함하는 키트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대형 차량의 공압식 브레이크 시스템과 같은, 가압 공기 소스에 연결되기에 적절한 임의의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개구부(44)는 유체 라인에 영구적으로 연결되고,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압력 소스에 연결 가능하다. 유체 라인은, 예를 들면 실런트 액체를 주입하기 적절한 위치에 용기(1)를 유지하거나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케이싱(41)과 유사한 쉘에 수용된다.

Claims (15)

  1. 팽창 가능한 물품, 바람직하게는 공압식 물품을 보수하기 위한 실런트 액체용 용기로서,
    실런트 액체를 위한 내부 공간(7)을 형성하는 쉘(3, 4, 6);
    상기 내부 공간(7) 내로 압축 기체를 도입하기 위한 유입 포트(2);
    상기 유입 포트(2)에서의 가압 이후에 상기 실런트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배출 포트(14); 및
    상기 실런트 액체가 상기 내부 공간(7)에 유지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유입 포트(2) 및 배출 포트(14)가 상기 내부 공간(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유입 포트(2)에서의 가압 이후에 도달되는 개방 위치 간에 구성 가능한 폐쇄 유닛(13)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 포트(2)와 상기 배출 포트(14)는 상기 내부 공간(7)에 대해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유닛(13)은 상기 유입 포트(2)와 유체 연통되는 유입부(18),
    상기 배출 포트(14)와 유체 연통되는 배출부(20), 및
    상기 유입 포트(2)에서의 압력이 상기 배출 포트(14)에 전달되도록 상기 유입부(18) 및 상기 배출부(20) 서로를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로(17; 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유닛(13)은 가이드(16)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이동 부재(15)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17; 19)는 상기 이동 부재(15)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포트(2)가 형성되는 하단부(3)와, 상기 하단부(3)로부터 이어지는 측벽(4)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부(3), 상기 측벽(4) 및 상기 가이드(16)는 단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15)는 또 다른 통로(19; 17)를 규정하며,
    상기 통로(17)는 상기 내부 공간(7)과 상기 유입부(18)를 유체 연통시키고,
    상기 또 다른 통로(19)는 상기 배출부(20)와 상기 내부 공간(7)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와 상기 또 다른 통로(17, 19)는 각각 제1 포트(21) 및 제2 포트(22)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7)과 유체 연결되고,
    상기 제1 포트(21)와 상기 배출 포트(14) 간의 거리는 상기 제2 포트(22)와 상기 배출 포트(14) 간의 거리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3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3, 4, 6)은 상기 이동 부재(15)의 개방 위치를 획정하는 멈춤부(29)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16)와 결합되는 관형 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포트(2)는 실링 링(11)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실링 링(11)을 향하고 둘러싸는 환형 벽(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사용 위치를 규정하도록 지지체(41)에 연결되는 연결부(57)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57)는 상기 내부 공간(7)에 대해 상기 유입 포트(2) 및 상기 배출 포트(14) 중 어느 하나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3, 4, 6)은 캐비티(31)를 형성하는 머리 벽(6)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튜브(8)는 단부(32)를 포함하며,
    상기 단부(32)는 상기 캐비티(31)의 상기 머리 벽(6)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팽창 가능한 물품, 바람직하게는 타이어의 팽창 및 보수를 위한 키트(1, 40)로서,
    케이싱(41);
    상기 케이싱(41)에 수용되고 압축기 유닛(M, C)에 연결되는 유체 라인(49, 54, 55);
    상기 유체 라인(49, 54, 55)에 유체 연통되는 개구부(44);
    리테이너(50); 및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기(1)를 포함하며,
    압축 공기의 유동을 상기 유체 라인(49, 54, 55)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7)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유입 포트(2)가 상기 개구부(44)에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41)에 상기 용기(1)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상기 리테이너(50)에 연결 가능한 돌출부(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는, 상기 리테이너(50)가 상기 돌출부(R)에 연결될 때, 상기 케이싱(41)과 접촉하는 지지체(58)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58)는 상기 유입 포트(2)와 상기 개구부(44)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50) 및 상기 돌출부(R)는 스냅-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4. 제1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41)은 폴리머 재료의 주입을 통해 형성되는 쉘(6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58)는 상기 쉘(60)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5. 제1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8 항을 따를 때, 상기 리테이너(50)는 상기 유입 포트(2)에 연결 가능한 상기 유체 라인(49, 54, 55)의 길이(54)를 둘러싸는 환형 시트(61)를 형성하며,
    상기 환형 시트(61)는 상기 환형 벽(12)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KR1020167022763A 2014-01-29 2015-01-29 개선된 실런트 액체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2262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TO20140064 2014-01-29
ITTO2014A000064 2014-01-29
PCT/IB2015/050689 WO2015114567A2 (en) 2014-01-29 2015-01-29 Improved sealant liquid container and kit comprising such a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636A true KR20160113636A (ko) 2016-09-30
KR102262486B1 KR102262486B1 (ko) 2021-06-09

Family

ID=5051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763A KR102262486B1 (ko) 2014-01-29 2015-01-29 개선된 실런트 액체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44027B2 (ko)
EP (1) EP3099473B1 (ko)
JP (1) JP6594324B2 (ko)
KR (1) KR102262486B1 (ko)
CN (1) CN105960323B (ko)
BR (1) BR112016017725A2 (ko)
WO (1) WO201511456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D180369S (zh) * 2015-09-11 2016-12-21 聯合利華公司 無儲水桶式逆滲透淨水器
ITUA20164201A1 (it) * 2016-06-08 2017-12-08 Tek Global Srl Contenitore sensorizzato di liquido sigillante e kit di riparazione per articoli gonfiabili con tale contenitore
ITUA20164200A1 (it) * 2016-06-08 2017-12-08 Tek Global Srl Contenitore multiuso di liquido sigillante per un kit di riparazione di articoli gonfiabili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8145A (en) * 1997-11-17 1999-06-01 Jaksa; Martin E. Pneumatic tire sealant dispenser
DE102004042911A1 (de) * 2004-09-02 2006-03-09 Michael Stehle Vorrichtung zum Ausbringen von Luft- und/oder Reifendichtmittel
WO2009052576A1 (en) * 2007-10-26 2009-04-30 Trydel Research Pty Ltd Apparatus for sealing inflatable 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13129U1 (de) 2001-08-14 2002-12-19 Thurner Helmut Behälter für eine Reifenflickflüssigkeit in einem Reifenflicksatz
DE20115003U1 (de) * 2001-09-11 2003-02-06 Dunlop Gmbh Abdichtsystem
ITTO20040121A1 (it) * 2004-02-27 2004-05-27 Tek Srl Contenitore per un liquido sigillante per la riparazione di oggetti gonfiabili, in particolare pnematici, e kit di riparazione provvisto di tale contenitore
US7891385B2 (en) 2004-05-27 2011-02-22 Bridgestone Corporation Sealing pump-up device
WO2011003425A1 (en) * 2009-07-10 2011-01-13 Active Tools International (Hk) Ltd Valve for tyre repair kit
IT1399274B1 (it) * 2010-04-07 2013-04-11 Tek Global Srl Kit per la riparazione e il gonfiaggio di articoli gonfiabili
JP5395865B2 (ja) 2011-09-20 2014-01-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キット
JP5568100B2 (ja) 2012-01-06 2014-08-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一体型のパンク修理キット
TWM462676U (zh) 2013-05-03 2013-10-01 Active Tools Int Hk Ltd 輪胎修補機的快速連接分離裝置
US9492976B2 (en) * 2012-10-17 2016-11-15 Active Tools International (Hk) Ltd. Sealant bottle for tire repair of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8145A (en) * 1997-11-17 1999-06-01 Jaksa; Martin E. Pneumatic tire sealant dispenser
DE102004042911A1 (de) * 2004-09-02 2006-03-09 Michael Stehle Vorrichtung zum Ausbringen von Luft- und/oder Reifendichtmittel
US20080060734A1 (en) * 2004-09-02 2008-03-13 Michael Stehle Device for Discharging Air and/or Tire Sealant
WO2009052576A1 (en) * 2007-10-26 2009-04-30 Trydel Research Pty Ltd Apparatus for sealing inflatable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25511A1 (en) 2016-11-10
CN105960323B (zh) 2019-04-23
WO2015114567A2 (en) 2015-08-06
EP3099473A2 (en) 2016-12-07
US9944027B2 (en) 2018-04-17
KR102262486B1 (ko) 2021-06-09
JP6594324B2 (ja) 2019-10-23
JP2017510480A (ja) 2017-04-13
WO2015114567A3 (en) 2015-12-10
EP3099473B1 (en) 2021-08-18
CN105960323A (zh) 2016-09-21
BR112016017725A2 (pt)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3635A (ko) 개선된 실런트 액체 용기
CN101992748B (zh) 密封流体筒和包括这种筒的修理工具箱
EP2064051B1 (en) Kit for repairing and inflating inflatable articles
BR112014005613B1 (pt) dispositivo pneumático controlado para inflação-desinflação automática de um pneumático em particular
JP2017501940A5 (ko)
KR20160113636A (ko) 개선된 실런트 액체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CA2682475A1 (en) Pneumatic pressure relief test plug
JP4934744B2 (ja) 通気装置
US9278486B2 (en) Inflatable article repair and inflation kit with a pressure reducing device
JP2012232487A (ja) タイヤ修理用空気圧縮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修理液ボトル用アダプター
EP3468782B1 (en) Multi-use sealant liquid container for an inflatable article repair kit
JP3172248U (ja) タイヤ修理用空気圧縮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修理液ボトル用アダプター
JP2019518632A (ja) 検出可能なシーラント液体の容器、および、膨張可能な物品を修理するための、当該容器を備えたキット
CN102673531A (zh) 使用改进的分流阀的对可充气物品进行修理和充气的设备
GB2244791A (en) Valve
ITTO20130900A1 (it) Contenitore di liquido sigillante usa e getta per un kit di riparazione e gonfiaggio di articoli gonfiabili e relativo metodo di realizzaz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