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571B1 -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 - Google Patents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571B1
KR101228571B1 KR1020100097025A KR20100097025A KR101228571B1 KR 101228571 B1 KR101228571 B1 KR 101228571B1 KR 1020100097025 A KR1020100097025 A KR 1020100097025A KR 20100097025 A KR20100097025 A KR 20100097025A KR 101228571 B1 KR101228571 B1 KR 101228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ydrate
reactor
gas
hydrate reactor
stu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5488A (ko
Inventor
이주동
이영철
조형호
조후갑
Original Assignee
조후갑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후갑,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조후갑
Priority to KR1020100097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571B1/ko
Priority to US12/916,278 priority patent/US20120082590A1/en
Priority to PCT/KR2011/007371 priority patent/WO2012047018A2/en
Priority to NO20130605A priority patent/NO347528B1/no
Priority to JP2013532725A priority patent/JP2014504196A/ja
Publication of KR20120035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00Processes of utilising sub-atmospheric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to effect chemical or physical change of matter; Apparatus therefor
    • B01J3/006Processes utilising sub-atmospheric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3/00Gaseous fuels;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 C10L3/06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C10G, C10K3/02 or C10K3/04
    • C10L3/10Working-up natural gas or synthetic natural gas
    • C10L3/108Production of gas hydrat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051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19/00074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ing or cooling employing heat exchange fluids
    • B01J2219/00087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ing or cooling employing heat exchange fluids with heat exchange elements outside the reactor
    • B01J2219/00094J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051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19/00132Controlling the temperature using electric heating or cooling elements
    • B01J2219/00135Electric resistance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18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controlling the composition of the reactive mix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과 가스가 공급될 수 있는 공급라인; 열전소자 어셈블리; 관측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면패널: 및 상기 열전소자 어셈블리 및 상기 전면패널이 부착되며,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물과 가스가 공급되어 내부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가 형성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가스하이드레이트의 동역학(kinetics) 연구, 상평형 연구, 형태학 연구, 미시적 연구(Raman, XRD, NMR 분석 연구)등에 신속하고 정교한 온도제어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정확한 물성데이터 획득이 용이해지며, 이로 인해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성/분해 메커니즘 규명, 그리고 이를 활용한 응용공정에 핵심적인 정보를 줄 수 있다.

Description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Gas hydrate reactor comprising thermoelectric module}
본 발명은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성을 위한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물과 가스가 공급될 수 있는 공급라인; 열전소자 어셈블리; 관측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면패널: 및 상기 열전소자 어셈블리 및 상기 전면패널이 부착되며,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물과 가스가 공급되어 내부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가 형성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크러스레이트 하이드레이트(clathrate hydrate) 또는 가스하이드레이트(gas Hydrate)는 수소결합으로 고체상 격자(hydrogen-bonded solid lattice)를 이루는 주체분자(host molecule)와 이 안에 포집되어 들어가는 객체분자(guest molecule) 두 성분으로 구성되며, 물 분자들이 수소 결합을 통해 형성하는 3차원 격자 구조에 메탄, 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저분자들이 화학적인 결합을 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포획하여 형성된 결정성 화합물을 말한다.
가스하이드레이트에 포획될 수 있는 게스트 분자는 현재까지 약 130여 종이 알려지고 있으며, 그 예시로서 CH4, C2H6, C3H8, CO2, H2, SF6 등이 있다. 또한 가스하이드레이트 결정구조(crystal structure)들은 수소결합으로 이루어진 물분자에 의해 형성된 다면체의 공동(cavity)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스분자의 종류와 생성조건에 따라 체심 입방 구조 Ⅰ(body-centered cubic structureⅠ, sI), 다이아몬드형 입방 구조Ⅱ(diamond cubic structure Ⅱ, sⅡ)와 육방 구조 H(hexagonal structure H, sH) 의 결정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sI과 sII는 객체분자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며, sH에서는 객체분자의 크기와 형태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가스하이드레이트의 생성은 미시적 관점에서 최소 두 종류의 분자들이 특정한 배열로 재편성되는 과정이며 거시적으로 열 및 물질 전달이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상평형 과정이다. 이에 따라 가스하이드레이트 제조 공정이 상용화에 근접하기 위해서는, 미시적 연구로서 X선 회절 측정(이하, "XRD"), 라만 피크 측정 및 핵자기 공명(이하,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측정, 거시적 연구로서 동역학(kinetics) 연구와 상평형 연구, 그리고 미시적 연구 및 거시적 연구에 걸친 형태학(morphology) 연구가 필수적이다.
거시적 연구와 관련하여, 가스하이드레이트 제조 공정에 있어서 2000년대 들어 동역학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아직 기초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가스하이드레이트의 응용 기술의 핵심은 고속, 고효율 가스하이드레이트 제조 반응기 및 공정의 개발이며, 이를 위해서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제조 동역학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가스하이드레이트 제조 동역학 모델 및 열/물질 수지 분석을 통한 생성 반응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유의 가스하이드레이트 제조 반응기 및 공정 개발 시도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가스하이드레이트 응용 연구에서 가장 중요하면서도 기본이 되는 것이 가스하이드레이트의 열역학적 평형조건이다. 이러한 상평형 조건은 기체인 가스가 고체인 가스하이드레이트로 전환되기 위한 온도, 압력 조건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영역을 알려준다.
미시적 연구와 관련하여, 최근 미시적 연구는 X선 회절 측정기, 라만 피크 측정기 및 NMR 측정기와 같은 첨단 분석기기를 이용하여 가스하이드레이트의 결정 구조 규명 및 게스트 분자의 공동 점유율 분석 외에도 실시간으로 분자 수준에서의 하이드레이트 특성 분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가스하이드레이트가 형성되거나 분해될 때에는 잠열과 헌열을 동반하므로 실험에서 요구하는 온도범위를 벗어날 수 있으며 이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지연도 정밀분석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만약, 가스하이드레이트의 형성되고 해리되는 과정에서 온도제어가 신속하고 정확히 제어된다면 이러한 미시적 연구의 결과로서 알려진 분자 배열구조, 상평형 및 기본적인 물성 실험치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매우 중요한 결과를 수집할 수 있다.
형태학은 생성되거나 분해되는 가스하이드레이트와 이를 둘러싼 주변의 상 사이 경계의 모양과 크기에 관심을 두고 결정의 핵들이 어떻게 생성되고 이동하며 성장하고 서로 간섭하는지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형태학 연구에서 확인되는 자료로서, 가스하이드레이트를 기질로 하는 다공물질의 유동 투과도, 유효 열 및 물질전달계수 등은 가스하이드레이트의 전달 특성을 결정하는 물리적 모델의 근거가 된다. 이러한 특징들은 가스하이드레이트의 생산, 저장, 회수, 분리 등과 관련된 산업 공정 설계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형태학 연구는 가스하이드레이트가 생성되고 있는 국부 온도, 농도 및 이들의 구배 및 성장 속도와 같은 인자들의 거시적 특성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가스하이드레이트를 이용한 저장, 수송 등의 기술에 필수 불가결하다.
다만, 종래 사용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는 이러한 미시적 연구, 거시적 연구 및 형태학 연구 과정에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온도 제어에 아쉬운 점을 내포하여 왔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를 도시한다.
물공급부(1) 및 가스공급부(2)로부터 물과 가스가 공급되며, 혼합챔버(3)에서 공급된 물과 가스가 먼저 혼합된 후 반응기(4)에 유입된다.
반응기(4)는 가스하이드레이트 형성 조건에 따라 다소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고압 저온의 분위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반응기(4) 내부의 압력은 가스의 공급에 의해 맞추어지고, 온도는 워터배스(6)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제어된다.
특히, 저온 유지를 위해 워터배스(6)의 온도가 상당히 낮아야만 한다.
한편, 가스하이드레이트 형성을 촉진시키기 위해 교반기(5)가 사용될 수 있으며, 형성된 가스하이드레이트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저장부(7)에 저장된다.
종래의 반응기의 일 실시예에서, 반응기 내에 별도의 CCD(charge coupled device)를 포함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현미경의 렌즈(미도시)가 위치하고 이와 연동되는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써 영상을 획득하고 기록할 수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하이드레이트의 핵심 메카니즘 및 특성연구에 필수적인 거시적이며 미시적 연구본 발명에 의해 가스하이드레이트의 동역학 연구, 상평형 연구, 형태학 연구, 미시적 연구(Raman, XRD, NMR 분석 연구)등에 신속하고 정교한 온도제어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정확한 물성데이터 획득이 용이해지며, 이로 인해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성/분해 메커니즘 규명, 그리고 이를 활용한 응용공정에 핵심적인 정보를 줄 수 있다.(동역학, 상평형, 형태학, Raman, XRD, NMR 분석연구 등)에 필요한 반응기는, 대량의 연속적인 생산이 중요한 상용화 시설과 달리 소량이지만 신속하고 정교하게 온도 및 압력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하며, 관측 및 측정이 용이하여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하이드레이트의 동역학, 형태학 및 상평형 연구 등을 위한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는, 대량의 연속적인 생산이 중요한 상용화 시설과 달리 소량이지만 정교하게 온도 및 압력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하며, 관측 및 측정이 용이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는 워터배스(6) 내에 반응기(4)가 위치하기에, 가스하이드레이트가 생성되는 반응기(4) 내측 공간의 정확하고 신속한 온도 제어가 매우 어렵다. 워터배스(6) 내에 물이 채워지는데, 물의 열역학적 관성에 의해 정교한 온도 제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가사 워터배스(6)의 물의 정교한 온도 제어가 이루어질지라도 반응기(4) 내측의 온도가 워터배스(6) 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기에 반응기(4) 내측의 신속하고도 정확한 온도 제어로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을 위하여 고압 저온의 환경이 필요하기에 반응기(4)는 고압 저온의 환경으로 설정되는데, 가스하이드레이트의 형성 여부 및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한 X선 회절 측정, 라만 피크 측정 및 NMR 측정을 위해서는 고압 저온의 반응기(4) 내에서 형성된 가스하이드레이트를 반응기(4)의 외부로 샘플링하여 분석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가스하이드레이트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유지하는 과정을 거치기에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 내에서 정교하고 신속한 온도 제어를 이룰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다시 말해,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 내에서 신속하고 정교하게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동역학 연구와 상평형 연구에 필요한 정확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대량 생산이 아닌 연구를 위한 것으로서, 특성 분석을 위한 랩 스케일의 소규모 반응기에 적합한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가스하이드레이트를 반응기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반응기 내에서 각종 측정 기기를 통하여 가스하이드레이트의 물성 등의 측정이 가능한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동시에, 형태학 연구에도 바람직한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과 가스가 공급될 수 있는 공급라인; 열전소자 어셈블리; 관측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면패널: 및 상기 열전소자 어셈블리 및 상기 전면패널이 부착되며,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물과 가스가 공급되어 내부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가 형성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이 버퍼챔버 내에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 어셈블리의 일면은 상기 반응기와 열교환이 가능하고 타면은 상기 버퍼챔버와 연교환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퍼챔버에 인접하여 상기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 내의 측정을 위한 측정기기가 위치하고, 상기 측정기기의 프로브는 상기 반응기 내측으로 이어지며, 그리고 상기 측정기기는, CCD를 포함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현미경, X선 회절 측정기, 라만 피크 측정기, 및 NMR 측정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브는 상기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에 컴프레스 피팅되어 압력 실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에 압력계 및 온도계가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물과 가스의 양, 상기 압력계에서 측정된 상기 반응기의 압력 및 상기 온도계에서 측정된 상기 반응기의 온도가 제어부에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정기기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에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전소자 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반응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상기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가 가스하이드레이트의 동역학, 형태학 및 상평형 연구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발명에 의해, 신속하고 정교한 온도 제어가 가능한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를 제공할 수 있다.
신속하고 정교한 온도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동역학 및 상평형 연구 및 형태학 및 미시적 연구에 있어서 온도 불확실성을 배제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가스하이드레이트를 반응기에서 배출하여 외부에서 측정을 하지 않고, 반응기 내에서 직접 측정이 가능하기에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2b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어셈블리의 전개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이하에서 '가스'는 가스하이드레이트의 게스트 분자를 의미하며, '물'은 호스트 분자를 의미한다.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성에 있어서 게스트 분자가 될 수 있는 분자는 CH4, C2H6, C3H8, CO2, H2, SF6 등 다수 존재하는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게스트 분자를 가스로 지칭한다. 또한, 호스트 분자로서 물(H2O)을 지칭한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는 도면의 간소화를 위해 밸브를 도시하거나 설명하지 않았으나, 각 배관 및 투입구에는 밸브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역류 방지를 위해 체크 밸브 및 정교한 제어를 위한 니들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를 설명한다.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물공급부(1) 및 가스공급부(2)로부터 물과 가스가 공급되며, 혼합챔버(3)에서 먼저 혼합된 후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는 워터배스가 아닌 버퍼챔버(200) 내에 위치한다. 워터배스는 반응기와 직접적인 흡열 또는 발열 반응을 함으로써 반응기의 온도를 제어하는데 반하여, 버퍼챔버(200)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의 일면에 부착된 열전소자 어셈블리(130)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열전소자 어셈블리(13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가 위치하는 버퍼챔버(200) 주변에 측정기기(300)가 위치한다. 측정기기(300)는, CCD를 포함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현미경, X선 회절 측정기, 라만 피크 측정기, 및 NMR 측정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측정기기(300)의 측정을 위한 프로브(310)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 내측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의 내부는 고압 저온의 분위기이므로, 프로브(310) 외부에는 컴프레스 피팅을 주어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에 대해 압력 실링이 되며, 프로브(310) 내측에는 얇은 O-링이 부착되어 내부 실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프로브(310)는 측정기기(30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측정기기(300)가 현미경은 경우 프로브(310)는 렌즈부가 될 것이며, 측정기기(300)가 라만 피크 측정기인 경우 프로브(310)는 라만 프로브가 될 수 있다.
상세히 후술할 바와 같이,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의 일면에 열전소자 어셈블리(130)가 부착되는데, 상기 열전소자 어셈블리(130)는 전원공급부(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에는 압력계 및 온도계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에 공급되는 물과 가스, 열전소자 어셈블리(130)에 공급되는 전력은 별도의 제어부(500)를 통해 기록될 수 있으며 액튜에이터(미도시)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에 공급되는 물과 가스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 바로 외측의 공급라인(120)에서 측정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물 공급부(1)나 가스 공급부(2)에서 사용되는 양을 계측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측정기기(300)에서 측정된 각종 데이터 역시 제어부(500)를 통해 기록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4에서 열전소자 어셈블리(130)는 개략적으로만 도시된다.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는, 몸체를 이루며 그 내부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가 생성되는 하우징(110), 하우징(100)에 물과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라인(120),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열전소자 어셈블리(130), 및 관측이 용이하도록 위치하는 윈도우(143)를 포함하는 전면패널(140)을 포함한다.
특히, 전면패널(140)의 경우 전면덮개(141)와, 테프론(142)과,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윈도우(143)와 O-링과 같은 밀봉 부재(142, 144)가 체결부재(145)에 의해 하우징(110)에 단단히 체결되는 구조이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열전소자 어셈블리(13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열전소자 어셈블리(130)는 브라킷(131), 상기 브라킷(131) 상에 위치하는 열전소자(132), 바디(133), 다수의 밀봉부재(134),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윈도우(135), 캡(136)이 체결부재(137)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이다.
열전소자(132)는 열과 전기의 교환 시스템으로서 전기를 제어함으로써 신속하고 정교한 냉각 및 발열이 가능하다. 대량 생산용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은 소규모의 특성분석 연구용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에 적합하며 특히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 내부의 온도를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언급하면 열전소자를 반응기 내부에 부착시킴으로 광범위한 가스하이드레이트 특성분석에 있어서 1)순간 및 정밀 온도제어, 2)소형화, 3)장착용이성 4)동시발열 및 냉각 기능 등을 부여하여 보다 정확하고 명확한 하이드레이트 생성/분해 메커니즘 규명 및 이를 활용한 응용공정에 핵심적인 정보를 줄 수 있다.
열전소자(132)의 일면이 흡열 반응을 하면 다른 면은 발열 반응을 한다.
즉,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에 부착되는 쪽인 열전소자 후면(132b)이 흡열 반응을 하면,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 내측이 빠르게 냉각된다. 이 과정에서 열전소자 전면(132a)은 발열 반응을 하는데, 발산되는 열은 버퍼챔버(200) 내의 물에 흡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부(500)를 통해 전원공급부(400)를 제어함으로써 열전소자(132)의 온도가 제어하면, 열전소자 어셈블리(130)가 부착된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100)의 온도가 신속하고 정교하게 제어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은 버퍼챔버(200)를 통해 확산되고, 사용자는 버퍼챔버(200)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냉각시켜 열 흡수가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충분하다.
이상의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1: 물공급부
2: 가스공급부
3: 혼합챔버
4: 반응기
5: 교반기
6: 워터배스
7: 가스하이드레이트 저장부
100: 반응기
110: 하우징
120: 공급라인
130: 열전소자 어셈블리
131: 브라킷
132: 열전소자
132a: 열전소자 전면
132b: 열전소자 후면
133: 어셈블리 바디
134: 밀봉부재
135: 윈도우
136: 캡
137: 체결부재
140: 전면패널
141: 전면덮개
142, 144: 밀봉부재
143: 윈도우
145: 체결부재
200: 버퍼챔버
300: 측정기기
310: 프로브
400: 전원공급부
500: 제어부

Claims (8)

  1. 물과 가스가 공급될 수 있는 공급라인;
    열전소자 어셈블리;
    관측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면패널: 및
    상기 열전소자 어셈블리 및 상기 전면패널이 부착되며,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물과 가스가 공급되어 내부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가 형성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버퍼챔버 내에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 어셈블리의 일면은 상기 반응기와 열교환이 가능하고 타면은 상기 버퍼챔버와 열교환이 가능하며,
    상기 버퍼챔버에 인접하여 상기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 내의 측정을 위한 측정기기가 위치하고,
    상기 측정기기의 프로브는 상기 반응기 내측으로 이어지며, 그리고
    상기 측정기기는, CCD(charge coupled device)를 포함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현미경, X선 회절 측정기, 라만 피크 측정기, 및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 핵자기 공명) 측정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상기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에 컴프레스 피팅되어 압력 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에 압력계 및 온도계가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물과 가스의 양, 상기 압력계에서 측정된 상기 반응기의 압력 및 상기 온도계에서 측정된 상기 반응기의 온도가 제어부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기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전소자 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반응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
  8.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는 가스하이드레이트의 동역학(kinetics), 형태학(morphology) 및 상평형 연구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
KR1020100097025A 2010-10-05 2010-10-05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 KR101228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025A KR101228571B1 (ko) 2010-10-05 2010-10-05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
US12/916,278 US20120082590A1 (en) 2010-10-05 2010-10-29 Gas hydrate reactor comprising thermoelectric module
PCT/KR2011/007371 WO2012047018A2 (en) 2010-10-05 2011-10-05 Gas hydrate reactor comprising thermoelectric module
NO20130605A NO347528B1 (no) 2010-10-05 2011-10-05 Gasshydratreaktor omfattende termoelektrisk modul
JP2013532725A JP2014504196A (ja) 2010-10-05 2011-10-05 熱電素子を含むガスハイドレート反応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025A KR101228571B1 (ko) 2010-10-05 2010-10-05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488A KR20120035488A (ko) 2012-04-16
KR101228571B1 true KR101228571B1 (ko) 2013-02-01

Family

ID=4588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025A KR101228571B1 (ko) 2010-10-05 2010-10-05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082590A1 (ko)
JP (1) JP2014504196A (ko)
KR (1) KR101228571B1 (ko)
NO (1) NO347528B1 (ko)
WO (1) WO201204701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28865B (zh) * 2013-10-17 2016-03-30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一种沉积物中均匀高饱和度天然气水合物制备方法和装置
CN103571557B (zh) * 2013-11-12 2014-12-24 北京化工大学 一种制造天然气水合物的方法
KR101652013B1 (ko) * 2014-10-24 2016-08-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하이드레이트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CN104407649B (zh) * 2014-10-31 2016-07-27 大连理工大学 一种用于天然气水合物晶体生长光学观测的控温加压装置
CN105136771A (zh) * 2015-08-21 2015-12-09 山东大学 一种多功能气体高压原位拉曼测试池及其应用
US9897529B2 (en) * 2015-09-23 2018-02-20 China University Of Petroleum (East China) Test system and test method for a simulation experiment of gas hydrate in a porous medium
CN105548137A (zh) * 2015-12-25 2016-05-04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一种原位观测水合物微观反应动力学过程的高压冷热台装置及使用方法
CN107024428B (zh) * 2017-04-24 2019-07-05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可视化水合物壁面粘附力学特性的实验装置及其工作方法
CN108195858A (zh) * 2017-12-04 2018-06-22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一种适用于低温高压材料x射线衍射测量的高压冷台装置及使用方法
CN108130146B (zh) * 2017-12-07 2020-07-21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一种气体水合物晶体培养装置
CN109668891B (zh) * 2018-12-25 2021-05-28 中海石油(中国)有限公司深圳分公司 水合物的样品观测装置和显微观测模块以及显微观测系统
CN110346285B (zh) * 2019-07-22 2021-09-14 中国石油大学(华东) 力学特性检测装置以及力检测系统
CN112619558A (zh) * 2020-12-10 2021-04-09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一种多视角观测水合物晶体原位生长形态的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562A (ko) * 2002-06-12 2003-12-24 한국과학기술원 전열히터와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소형 온도조절 챔버
JP3517832B2 (ja) * 1999-07-29 2004-04-12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水噴霧式ハイドレート製造方法
KR20090108395A (ko) * 2008-04-11 2009-10-15 (주)티에스이 반도체 소자 온도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5527B1 (fr) * 1987-12-30 1995-12-01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transport d'un fluide formant des hydrates
US6133567A (en) * 1994-09-23 2000-10-17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obe for the measurement of gas tensions
US6180843B1 (en) * 1997-10-14 2001-01-30 Mobil Oil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gas hydrates utilizing a fluidized bed
NO312921B1 (no) * 1999-07-05 2002-07-15 Sinvent As Multitest-sammenstilling for evaluering, detektering og overvåkning av prosesser ved forhöyet trykk
FR2820823B1 (fr) * 2001-02-09 2004-04-23 Inst Francais Du Petrole Methode et dispositif pour evaluer en cours de forage la capacite de fluides de puits a former des hydrates
JP2003064385A (ja) * 2001-08-24 2003-03-05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ハイドレートの生成システムおよび生成方法
JP2003082372A (ja) * 2001-09-10 2003-03-19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ハイドレートの生成方法、ガスハイドレート生成の模擬実験装置および模擬実験システム
JP4106440B2 (ja) * 2003-09-16 2008-06-25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不凍タンパク質を用いた包接化合物の生成制御法
JP2005249640A (ja) * 2004-03-05 2005-09-15 Jfe Steel Kk 温度計交換補助装置
JP2005333912A (ja) * 2004-05-28 2005-12-08 Yamaha Corp 小型培養観察装置
US8039149B2 (en) * 2004-10-01 2011-10-18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Bismuth oxyfluoride based nanocomposites as electrode materials
DE202005011177U1 (de) * 2005-07-15 2006-11-23 J & M Analytische Mess- Und Regeltechnik Gmbh Vorrichtung zur Analyse, insbesondere fotometrischen oder spektralfotometrischen Analyse
US7781627B2 (en) * 2006-02-27 2010-08-24 Sungil Co., Ltd. (SIM)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gas hydrates
JP2010513669A (ja) * 2006-12-19 2010-04-30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均一組成コポリマー用のセミバッチ共重合方法
US8254657B2 (en) * 2007-01-08 2012-08-28 Pollack Laboratories, Inc. Image recognition and analysis system and software
EP2053371B1 (de) * 2007-10-25 2017-11-29 Mettler-Toledo GmbH Thermostat
JP2011178901A (ja) * 2010-03-01 2011-09-15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ハイドレート結晶のファセット面観察によるガスハイドレートの平衡条件決定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ガスハイドレートの保存方法・輸送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7832B2 (ja) * 1999-07-29 2004-04-12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水噴霧式ハイドレート製造方法
KR20030095562A (ko) * 2002-06-12 2003-12-24 한국과학기술원 전열히터와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소형 온도조절 챔버
KR20090108395A (ko) * 2008-04-11 2009-10-15 (주)티에스이 반도체 소자 온도 조절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eInternationalSocietyofOffshoreandPolarEnginee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347528B1 (no) 2023-12-11
JP2014504196A (ja) 2014-02-20
NO20130605A1 (no) 2013-05-02
WO2012047018A2 (en) 2012-04-12
KR20120035488A (ko) 2012-04-16
US20120082590A1 (en) 2012-04-05
WO2012047018A3 (en)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571B1 (ko)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반응기
Tang et al. Evaluation of kinetic effects on clumped isotope fractionation (Δ47) during inorganic calcite precipitation
Uchida Physical property measurements on CO2 clathrate hydrates. Review of crystallography, hydration number, and mechanical properties
Ashida et al. MgSiO 3 ilmenite: heat capacity, thermal expansivity, and enthalpy of transformation
CN110361420B (zh) 水合物岩心样品的测试方法
Lee et al. Structure of organic solids at low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Bénézeth et al. Mineral solubility and aqueous speciation under hydrothermal conditions to 300 C–the carbonate system as an example
Krivchikov et al. Thermal conductivity of tetrahydrofuran hydrate
Dippel et al. Synchrotron powder diffraction at P02. 1 at PETRA III: from electron density distributions to in situ total scattering
Muromachi et al. Bulk phase behavior of tetra-n-butylammonium bromide hydrates formed with carbon dioxide or methane gas
Filinchuk et al. Cation size and anion anisotropy in structural chemistry of metal borohydrides. The peculiar pressure evolution of RbBH4
Oswald et al. In Situ Characterization of Elusive Salt Hydrates The Crystal Structures of the Heptahydrate and Octahydrate of Sodium Sulfate
Richet et al. Thermodynamic properties of minerals: macroscopic and microscopic approaches
Hemley et al. High Pressure Phenomena
Fernandez-Alonso et al. Hydrogen Bonding in the Organic Ferroelectric Croconic Acid: Insights from Experiment and First-Principles Modelling
Shin et al. Supercooling of hydrogen on template materials to deterministically seed ignition-quality solid fuel layers
Siman et al. Heats of mixing of amine‐alcohol systems. An analytical group solution model approach
Weidenthaler 1 In situ tools for the exploration of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Uchida et al. IR and R aman Spectroscopy of Clathrate Hydrates
Hughes Plug formation and dissociation of mixed gas hydrates and methane semi-clathrate hydrate stability
Lotsch From molecular building blocks to condensed carbon nitride networks: structure and reactivity
Gatta et al. High temperature structural and thermoelastic behaviour of mantle orthopyroxene: an in situ neutron powder diffraction study
Fortes et al. Crystal structures of NiSO 4· 9H 2 O and NiSO 4· 8H 2 O: magnetic properties, stability with respect to morenosite (NiSO 4· 7H 2 O), the solid-solution series (Mg x Ni 1− x) SO 4· 9H 2 O
Fortes et al. Equation of state and phase transition of deuterated ammonia monohydrate (ND3⋅ D2O) measured by high-resolution neutron powder diffraction up to 500 MPa
Wang et al. In situ and Operando X-ray Techniques: Introduction, Typical Sample Environments and Research Examp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