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563B1 - 매트 지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매트 지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563B1
KR101228563B1 KR1020100106755A KR20100106755A KR101228563B1 KR 101228563 B1 KR101228563 B1 KR 101228563B1 KR 1020100106755 A KR1020100106755 A KR 1020100106755A KR 20100106755 A KR20100106755 A KR 20100106755A KR 101228563 B1 KR101228563 B1 KR 101228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hicle
mat
side wal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301A (ko
Inventor
김동근
강성주
Original Assignee
세화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화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화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56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b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47C17/80Travelling or camp beds adapted to be used in or connected to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b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휴식이나 수면을 위한 매트가 설치될 때 이 매트를 지지하도록 차량 내부에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매트 지지용 프레임과 이 프레임을 이용한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매트 지지용 프레임은, 일단부가 차량 내부의 일측벽에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제1프레임; 양단이 개방되며, 내부 공간으로 제1프레임이 삽입되도록 제1프레임에 결합되고, 제1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제2프레임; 및 일단부가 제1프레임의 타단부와 마주하면서 제1프레임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차량 내부의 타측벽에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제2프레임의 미끄럼 이동에 따라 제2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 결합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내부의 좌, 우측에 측벽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의 구조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전후방으로 이격되면서 배치되고, 차량 내부의 좌, 우측벽에 양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2 이상의 프레임; 및 프레임의 상부에 놓이는 매트;를 포함하는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가 제시된다.

Description

매트 지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FRAME FOR SUPPORTING MAT AND VEHICLE STRUCTURE WHICH CAN BE INSTALLED MA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매트 지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부에 휴식이나 수면을 위한 매트가 설치될 때 이 매트를 지지하도록 차량 내부에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매트 지지용 프레임과 이 프레임을 이용한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5일 근무제가 보편화 됨에 따라 주말을 이용한 레저 여행을 떠나는 사람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콘도, 호텔 등의 숙박시설은 특히 휴가철에 수요에 대비한 공급이 적어 예약이 어려울 뿐 아니라 숙박비용의 부담이 크다. 그리고 한적한 곳으로의 여행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번잡한 숙박 촌을 꺼리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로 많은 사람이 흔히 텐트를 이용하기도 하나, 텐트를 설치할 장소적 제약과 텐트 생활의 불편함으로 인해 텐트보다 간편하게 휴식공간을 제공받을 수 있는 다른 수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트레일러형 캠핑카의 보급이 대중화되어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높은 인구 밀도와 공간의 한계에 의해 이러한 트레일러형 캠핑카의 이용이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캠핑카는 보통 고가이기 때문에 자신이 소유한 운행용 차량 외에 별도로 캠핑카를 더 구입하는 것이 일반인에게는 크게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반 차량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차량 내부에 수면이나 휴식 가능한 매트가 설치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매트 지지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매트 지지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에 매트가 설치되는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지지용 프레임은, 일단부가 차량 내부의 일측벽에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제1프레임; 양단이 개방되며, 내부 공간으로 제1프레임이 삽입되도록 제1프레임에 결합하고, 제1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제2프레임; 및 일단부가 제1프레임의 타단부와 마주하면서 제1프레임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차량 내부의 타측벽에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제2프레임의 미끄럼 이동에 따라 제2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 결합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내부의 좌, 우측에 측벽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의 구조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전후방으로 이격되면서 배치되고, 차량 내부의 좌, 우측벽에 양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2 이상의 프레임; 및 프레임의 상부에 놓이는 매트;를 포함하는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가 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에서 휴식이나 수면을 위한 매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캠핑용 전용차량이 아니어도 일반 차량에서 캠핑용으로의 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매트 지지용 프레임은 구조적인 특징에 기인하여 차량 내부에서 쉽고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차지하는 부피가 작기 때문에 휴대 간편성 또한 탁월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는 차량 내부에서 시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어서, 시트는 시트대로 뉘어 수면용도로 사용하고 매트에 의해서도 수면 공간이 마련되어, 차량 내부에서 복층으로 휴식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지지용 프레임 및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트 지지용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매트 지지용 프레임 및 매트가 설치된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지지용 프레임 및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지지용 프레임(1)은,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과 제3프레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프레임(10)은 일단부가 차량 내부의 좌, 우측에 형성되는 측벽, 즉 좌, 우측벽 중에서 어느 일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내부의 좌, 우측벽은 꼭 특정 부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프레임(1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부위라면 어느 부위든 관계없다.
다만, 통상 차량은 시트 구조에 있어서 운전석이 있는 첫째 열(列)과 그 후방에 배치되는 둘째 열 또는 그 이상의 시트 열로 이루어지는데, 첫째 시트 열과 둘째 시트 열 사이가 되는 차량의 좌, 우측에는 필러(측면기둥)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3열 이상으로 시트 구조를 갖는 차량의 경우에 둘째 시트 열과 이 후방 시트 열 사이의 좌, 우측에도 필러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프레임(10) 그리고 후술할 제3프레임(30)이 고정될 수 있는 좌, 우측벽은 이 필러 부위가 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의 일단부는 차량 내부의 일측벽에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착탈 가능한 고정 구조의 일 예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의 일측벽에서 끼움홈(101)이 형성되어 여기에 제1프레임(10)의 일단부가 끼움 고정되는 구조의 예를 들 수 있다. 이때, 이 끼움홈(101)에 끼워지는 제1프레임(10)의 일단부 부위에는 차량 일측벽에 대한 제1프레임(10)의 사방(四方) 유동이 어느 정도 제한될 수 있게 단턱(12)이 형성되는 끼움부(1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차량 내부의 일측벽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여기에 제1프레임(10)의 일단부 하면이 걸려져 지지되게 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고정된 제1프레임(10)은 그 길이가 대체로 차량 내부 좌우 폭의 절반에 이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후술할 제2프레임(20)에 의해 제1프레임(10)과 제3프레임(30)이 서로 일체가 된 상태에서 하방으로의 중량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프레임(20)은 후술할 제3프레임(30)이 제1프레임(10)과 서로 연결되게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2프레임(20)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이고, 개방된 단부를 통해 제1프레임(10)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제1프레임(10)과 결합된다. 그리고 제1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다.
제2프레임(20)은 제1프레임(10)에 대해 미끄럼 이동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가급적이면 그 내측면이 제1프레임(10)의 외측면과 유격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술할 제3프레임(30)과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제1프레임(10)과 제3프레임(30)이 제2프레임(20)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가해지는 중량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굽힘되지 않고 안정적인 지지체가 되게 하기 위함이다.
제3프레임(30)은 타단부가 상술한 제1프레임(10)이 고정되는 차량 내부 일측벽 부위와 대향 하는 차량 내부의 타측벽 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제3프레임(30)은 차량 내부의 타측벽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고정 구조의 예는 상술한 제1프레임(10)의 고정 구조의 예와 마찬가지의 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프레임(30)에도 단턱(32)가 형성되는 끼움부(31)이 마련될 수 있고, 이 끼움부(31)가 도 3에 도시된 바처럼 차량에 형성된 끼움홈(101)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제3프레임(30)은 그 일단부가 제1프레임(10)의 타단부와 마주하면서, 제1프레임(10)과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프레임(20)이 제1프레임(10)에서 제3프레임(30)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함에 따라 제2프레임(20)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제3프레임(30)의 일측이 제2프레임(20)의 내부로 삽입 결합된다.
제2프레임(20)은 미끄럼 이동에 따라 그 내부 공간을 반분하는 좌측과 우측에 제1프레임(10)의 타측과 제3프레임(30)의 일측이 삽입된 상태가 되고, 이로써 제1프레임(10)과 제3프레임(30)은 제2프레임(20)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에서 가해지는 중량에 대해 견고한 지지용 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제2프레임(20)이 제1프레임(10)과 제3프레임(30)을 연결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의 미끄럼 이동이 제한되도록 제1프레임(10)과 제3프레임(30)에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의 일 예로는, 제2프레임(20)의 양단부에 근접하는 제1프레임(10) 및 제3프레임(30)의 노출된 외측면 부위에 각각 홈(13, 33)이 형성되고, 이 홈에 나사결합되는 나사 부재(40)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1프레임(10), 제2프레임(20) 및 제3프레임(30)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통 형이거나 그외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매트 지지용 프레임(1)은 제1프레임(10), 제2프레임(20) 및 제3프레임(3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되는 구조이기도 하지만, 다음과 같은 구조로도 이해될 수 있다.
매트 지지용 프레임(1)은 제1프레임(10)과 제3프레임(30)이 제2프레임(20)의 개방된 양단으로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제2프레임(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미끄럼 이동하면서 인출될 수 있는 연결 구조로도 볼 수 있다.
즉, 매트 지지용 프레임(1)은 제1프레임(10) 및 제3프레임(30)이 제2프레임(20)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인입되거나 인출됨으로써, 신축 가능한 구조로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해되는 매트 지지용 프레임(1)은 차량 내부에 설치될 때 제1프레임(10)과 제3프레임(30)을 제2프레임(20)으로부터 인출하여 차량 내부의 양 측벽에 고정하기 때문에 제1프레임(10)의 타단부와 제3프레임(30)의 일단부가 이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신축 가능한 구조의 매트 지지용 프레임(1)은 제1프레임(10), 제2프레임(20) 및 제3프레임(30)의 세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두 개의 프레임 또는 네 개, 혹은 그 이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에 대하여 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가 적용되는 차량(100)은, 후술할 매트(110)가 차지하는 공간 및 매트(110) 위에서 사람이 누워 쉴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이 차량 시트의 상부에서 마련되어 있는 차량이라면 어떤 차량이든 관계없다.
그리고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량(100)의 구조는 내부의 좌, 우측에 측벽, 즉 좌, 우측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필러 부위가 이 좌, 우측벽이 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차량(100) 내부의 이 필러 부위에는 후술할 프레임이 결합되기 위한 끼움 홈(1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좌, 우측 필러 부위에 형성되는 끼움 홈(101)은 여기에 결합된 프레임이 수평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대체로 같은 높이에서 대향 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할 매트(110)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은 양단부가 차량(100) 내부 좌, 우측의 필러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이 차량(100)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는 적어도 2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예에서는 세 개의 프레임이 설치된 예가 제시되고 있다.
매트(110)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구체적인 일 예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지지용 프레임(1)이 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매트(110)는 쿠션을 갖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 매트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휴대 간편성을 고려한 에어 충전식 에어 매트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매트(110)는 상술한 프레임(1)이 차량(100)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이 프레임(1)의 상부에 놓이게 된다.
본 실시예의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에 따라 프레임(1)과 매트(110)를 차량 내부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프레임(10)의 끼움부(11)를 차량(100) 내부의 좌, 우측벽 중 일측벽에 형성된 끼움 홈(101)에 끼워 고정한다.
이때 제2프레임(20)은 제1프레임(10)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즉 제1프레임(10)의 길이범위 내에 있도록 제1프레임(10)에서 미끄럼 이동하여 결합되어 있다.
다음, 제3프레임(30)의 끼움부(31)를 제1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차량(100) 내부 타측벽의 끼움홈(101)에 끼워 고정한다.
이렇게 되면, 제1프레임(10)의 타단부와 제3프레임(30)의 일단부가 서로 마주보게 되면서 제1프레임(10)과 제3프레임(30)이 대체로 동일선상에서 수평하게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프레임(10)에 결합된 제2프레임(20)을 제3프레임(30)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킨다. 제2프레임(20)의 미끄럼 이동에 따라 제3프레임(30)은 그 일측이 제2프레임(20)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면서 제2프레임(20)에 의해 제1프레임(10)과 일체가 된다.
그 다음, 나사부재(40)를 홈(13, 33)에 끼워 제2프레임(20)의 미끄럼 이동을 제한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세 개의 프레임(1)을 차량 내부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한 다음, 매트(110)를 프레임(1)의 상부에 놓이게 배치하면 차량 내부에서 매트(110)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매트(110)가 에어메트라면 에어 충전 이전에 매트(110)를 먼저 프레임(1) 상부에 깔아 놓이게 하고 그 후 에어를 충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프레임(1)을 상술한 신축 가능한 구조로 이해하는 경우에도 매트(110) 설치 과정이 상술한 과정과 동일하다. 다만, 프레임(1)의 설치에 있어서 제2프레임(20)으로부터 제1프레임(10)과 제3프레임(30)을 인출하여 차량(100)의 양 측벽에 고정하는 과정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매트 지지용 프레임 10; 제1프레임
11; 끼움부 12; 단턱
13; 홈 20; 제2프레임
30; 제3프레임 31; 끼움부
32; 단턱 33; 홈
40; 나사부재 100; 차량
101; 끼움홈 110; 매트

Claims (8)

  1. 일단부가 차량 내부의 일측벽에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제1프레임;
    양단이 개방되며, 내부 공간으로 상기 제1프레임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제2프레임; 및
    일단부가 상기 제1프레임의 타단부와 마주하면서 상기 제1프레임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차량 내부의 타측벽에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프레임의 미끄럼 이동에 따라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 결합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 및 제3프레임은, 차량 내부의 일측벽과 타측벽에서 각각 형성되는 끼움홈으로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각 단부에 단턱이 형성되는 끼움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프레임 및 제3프레임에 상기 제2프레임의 미끄럼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지지용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내부의 좌, 우측에 측벽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의 전후방으로 이격되면서 배치되고, 상기 차량 내부의 좌, 우측벽에 양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2 이상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놓이는 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일단부가 상기 차량 내부의 좌, 우측벽 중 어느 일측벽에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프레임;
    양단이 개방되며, 내부 공간으로 상기 제1프레임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제2프레임; 및
    일단부가 상기 제1프레임의 타단부와 마주하도록 타단부가 상기 차량 내부의 좌, 우측벽 중 다른 일측벽에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1프레임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미끄럼 이동에 따라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 및 제3프레임에 상기 제2프레임의 미끄럼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의 좌, 우측벽 각각에 전후방으로 이격되는 끼움홈이 적어도 2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 및 제3프레임은 상기 끼움홈으로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도록 각 단부에 단턱이 형성되는 끼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
  7. 삭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
KR1020100106755A 2010-10-29 2010-10-29 매트 지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 KR101228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755A KR101228563B1 (ko) 2010-10-29 2010-10-29 매트 지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755A KR101228563B1 (ko) 2010-10-29 2010-10-29 매트 지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301A KR20120045301A (ko) 2012-05-09
KR101228563B1 true KR101228563B1 (ko) 2013-02-01

Family

ID=4626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755A KR101228563B1 (ko) 2010-10-29 2010-10-29 매트 지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5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47U (ja) * 1993-10-18 1995-05-09 トヨタ車体株式会社 組立式車両用ベッド
JPH10236220A (ja) 1997-02-28 1998-09-08 Toyota Auto Body Co Ltd 組立式車両用ベッド
JPH10278664A (ja) 1997-04-03 1998-10-20 Kimimori Saitou スライド式のニューフロアを一体に付設した多目的自動 車
KR200423881Y1 (ko) 2006-05-19 2006-08-11 양우연 지시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47U (ja) * 1993-10-18 1995-05-09 トヨタ車体株式会社 組立式車両用ベッド
JPH10236220A (ja) 1997-02-28 1998-09-08 Toyota Auto Body Co Ltd 組立式車両用ベッド
JPH10278664A (ja) 1997-04-03 1998-10-20 Kimimori Saitou スライド式のニューフロアを一体に付設した多目的自動 車
KR200423881Y1 (ko) 2006-05-19 2006-08-11 양우연 지시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301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07935B (zh) 座椅装置
US9254766B2 (en) Sidewall integrated armrest for aircraft interiors
KR20200029333A (ko) 캠핑 트레일러 침대 확장 장치
JP4235934B2 (ja) 輸送用車両のための構造支柱上の側面固定懸架座席
KR101228563B1 (ko) 매트 지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
ES2615817T3 (es) Dispositivo de retención para vehículo de transporte de pasajeros y vehículo de transporte de pasajeros que comprende dicho dispositivo
US20150360704A1 (en) Rail vehicle for transporting passengers
CN104960534A (zh) 轨道客车车厢及轨道客车
ES2524166T3 (es) Asiento para vehículo de transporte de pasajeros y vehículo de transporte de pasajeros que comprende tal asiento
JP4589377B2 (ja) 航空機の客室の内部レイアウト
KR102193967B1 (ko) 의자 겸용 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캠핑카용 탑차
KR20190127341A (ko) 다용도 침대 및 그 프레임
JPH10147240A (ja) 車両用座席兼寝台装置
JP2012171498A (ja) 乗物の室内構造及び乗物用シート
RU2498916C2 (ru) Комплект кресел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CN212737868U (zh) 一种微型客车上的车载床
CN211107093U (zh) 一种微型客车便捷车载床及茶几
CN204956496U (zh) 轨道客车车厢及轨道客车
KR101830495B1 (ko) 자전거 거치대
KR20130081385A (ko)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
KR102436793B1 (ko)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
CN210912432U (zh) 一种可拆卸横向双人座椅
JP6681629B2 (ja) トレーラーハウス
JP2010149756A (ja) シート取付構造
CN105291922A (zh) 可隐藏的座椅靠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