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063B1 -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063B1
KR101227063B1 KR1020100087432A KR20100087432A KR101227063B1 KR 101227063 B1 KR101227063 B1 KR 101227063B1 KR 1020100087432 A KR1020100087432 A KR 1020100087432A KR 20100087432 A KR20100087432 A KR 20100087432A KR 101227063 B1 KR101227063 B1 KR 101227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food composition
blood circulation
rice
lico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197A (ko
Inventor
함일한
Original Assignee
함일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일한 filed Critical 함일한
Priority to KR1020100087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063B1/ko
Publication of KR20120025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성분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마씨, 메밀, 약쑥, 은행잎, 솔잎, 결명자, 감초, 박하, 엿기름, 쌀, 율무, 동백을 각각 1 중량부씩 혼합하고 여기에 흑설탕 및 알콜 첨가하여 자연 발효시켜 제조한,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CIRCULATION OF BLO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연 성분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마씨, 메밀, 약쑥, 은행잎, 솔잎, 결명자, 감초, 박하, 엿기름, 쌀, 율무, 동백, 흑설탕 및 알콜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액순환 (the circulation of blood)이란 혈액이 심장을 중심으로 혈관을 따라 우리의 신체를 순환하는 것으로 산소를 신체 각 조직에 공급하고 탄산가스를 방출하고, 영양소를 보급하고 대사 산물을 방출하며, 여러 내분비선에서 호르몬을 운반하여 특정기관의 기능을 조절하며 그밖에 병원균 조절작용과 체온조절, 삼투압조절, 수분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이다. 혈관은 동백, 모세혈관, 정맥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맥은 외탄력선판과 결합조직으로 되어 있는 외막, 평활근이 많고 그 안에 다수의 탄력섬유를 함유하고 있는 중막, 제일 안쪽의 내피세포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결합조직과 탄력섬유가 모여서 내강성판으로 되어 있는 내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세혈관은 소동맥과 소정맥이 연결된 것으로 그물모양으로 가늘게 가지가 나 있으며 직경 0.008∼0.02mm의 가는 관으로서 적혈구가 1∼2줄로 통과될 정도이고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으며, 이 모세혈관을 통해서 혈액 중의 산소와 영양분은 조직내로 보내지고 조직에서 만들어진 CO2나 노폐물은 혈관으로 들어온다. 정맥의 외막은 비교적 두껍고 내막과 중막은 얇으며 압력이 없고 다른 혈관에 비해 혈류가 약하여 심장보다 낮은 부분의 정맥에서 역류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역류 방지용 판막(valve)이 붙어 있다.
혈액순환 장애란 우리 온몸의 구석구석에 뻗어 있는 혈관이 탄력을 잃고 내벽에 콜레스테롤 등이 침착되어 혈관 내강이 좁아져 혈액 순환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혈액순환 장애는 손발 차고 저림, 뒷목 당김, 어깨 결림, 기억력 감퇴, 무기력, 집중력 약화, 현기증 및 만성 피로 증상을 유발하여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어려움이 많게 된다.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겨 발생하는 심혈관계 질환으로 고혈압, 동맥경화증, 심장병, 뇌졸중 등은 오늘날 성인병의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사망률이 높은 질병으로 70세까지는 암에 의한 사망률이 가장 높으나 70세 이후에는 심혈관계질환이 제 1의 사망원인이다. 이러한 심혈관계 질환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급속한 경제의 발전, 식생활의 발전, 사회 환경의 변화와 서구화로 질병양상이 서구화되어 가면서 증가하고 있으며, 총 칼로리 섭취 증가와 지방섭취 증가로 콜레스테롤을 비롯하여 혈중 지질치의 현저한 상승을 초래하여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말초혈관질환과 같은 동맥경화성 심혈관 질환 발생도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심근경색증 및 뇌혈전증 등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원인은 높은 지방함량과 식이섬유 함량이 적은 가공식품의 섭취, 유전적인 요인, 흡연, 음주, 고혈압, 당뇨, 비만, 운동부족, 과도한 스트레스 등이 관여한다고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기본적인 병변은 동맥경화증으로 그 원인에 대한 역학적 및 실험적 연구로 다양한 위험인자를 밝혀내고 있다. 이러한 병변의 발생과정을 살펴보면, 물리적 또는 화학적인 상처는 혈관의 단층세포표면에 손상을 야기하고, 혈관벽에 혈전 생성을 유도할 수 있는 혈전 부착 수용체가 발현되고, 여기에 단구(monocyte), T-임파구(T-lympocyte) 및 혈소판 등이 부착하여, 혈관 내막세포 사이를 통하여 혈관벽 속으로 침윤하게 되는데, 이때, 혈액 속의 지질단백질도 함께 유입된다. 혈관벽 내부로 유입된 단구들은 지질 단백질을 탐식하여 대식세포(macrophage)로 변형되고, 대식세포들은 콜레스테롤을 축적하여 포말세포(form cells)를 형성한다. 포말세포들은 염증반응과 세포성장을 반복하면서 혈관벽을 파괴하거나 비후하여, 혈액중의 혈소판이 점착됨으로 혈전을 형성하게 한다. 이러한 진행과정은 결국, 동맥경화에 의한 혈관의 협착과 혈전에 의한 혈관의 완전 폐쇠로 심장으로의 혈액공급이 순간적으로 차단되어, 심근경색에 의한 사망을 유도한다.
아마씨에는 단백질과 오메가-3 및 오메가-6와 같은 필수지방산과 리그난(lignan, 항암물질)과 같이 다른 씨앗에서 발견할 수 없는 항암물질 및 관상동맥, 심장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의 발병을 감소시켜주는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그 효능으로는 각종 혈관 및 심장질환예방, 뇌졸증의 예방 및 치료, 항암효과,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피부질환 및 두뇌의 성장 발육촉진 등이 있다.
메밀은 단백질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필수 아미노산인 라이신(lysine)의 함량이 다른 곡류에 비하여 월등히 높고 아연(Zn), 마그네슘(Mg), 망간(Mn) 및 구리(Cu)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특히 메밀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 물질인 루틴(rutin)은 당뇨병, 비만, 각종 혈관계의 질환 및 치근막염의 예방과 치료에 효능이 있으며, 쿼세틴(quercetin)을 비롯한 각종 페놀성 물질은 천연의 항산화제는 물론 각종 의약품의 원료로서 유용하다.
약쑥은 동의보감, 본초강목 및 최근의 문헌에서 보면 항균, 소염 살균, 지혈조경, 보혈기능 등의 작용으로부터 나오는 독특한 약효가 있어 피부의 보습효과와 모세혈관을 튼튼히 하는 유효성분으로 피부의 염증을 진정시키며, 재생을 촉진하는 역할과 피부의 미백효과 피부병- 습진, 여드름, 기미, 민감성피부-치료, 지혈제로써 코피 날 때나 칼에 베었을 때 지혈, 여성의 냉증, 부인의 하혈, 이뇨, 해열 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한방에서 뜸이나 찜질, 쑥차, 쑥즙, 쑥주 등 음료화와 쑥탕, 쑥 사우나 등 건강 측면에서 우리 민족의 오랜 사랑을 받아 온 내복 뿐 만 아니라 외용치료로 사용되고 있는 인체에 매우 유용한 식물이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많은 특허 기술들이 보고되고 있다.
은행잎추출물은 기능물질인 후라보노이드로서 은행잎추출중의 후라보노이드는 대부분이 배당체로 존재하고 있다. 이것들의 주요한 물질은 캠페놀과 케세르세틴 등으로 되어 있는 배당체이다.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은행잎 후라보노이드의 기능은 말초혈관의 확장작용, 관혈관확장작용, 진경작용, SOD 작용등이 있고 또하나의 기능성분으로서 후라보노이드이상으로 중요한 것으로는 테르펜락톤이 있는데 이것의 주요한 기능은 혈소판응집의 저해, 혈전형성의 저해, 혈소판활성인자 (PAF)에 의한 기관지수축작용의 저해 (천식관련)와 염증성질환 및 알레르기성피부염질환에 대한 길항작용, 면역성각막염에 대한 길항작용 PAF에 의한 대뇌혈류량 장해의 저해, 대뇌허혈의 저해등이다.
은행잎추출물은 기능물질인 후라보노이드로서 은행잎추출중의 후라보노이드는 대부분이 배당체로 존재하고 있다. 이것들의 주요한 물질은 캠페놀과 케세르세틴 등으로 되어 있는 배당체이다.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은행잎 후라보노이드의 기능은 말초혈관의 확장작용, 관혈관확장작용, 진경작용, SOD 작용등이 있고 또하나의 기능성분으로서 후라보노이드이상으로 중요한 것으로는 테르펜락톤이 있는데 이것의 주요한 기능은 혈소판응집의 저해, 혈전형성의 저해, 혈소판활성인자 (PAF)에 의한 기관지수축작용의 저해 (천식관련)와 염증성질환 및 알레르기성피부염질환에 대한 길항작용, 면역성각막염에 대한 길항작용 PAF에 의한 대뇌혈류량 장해의 저해, 대뇌허혈의 저해등이다.
소나무의 잎, 열매, 송진 등은 옛부터 성인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솔잎은 위장병, 고혈압, 중풍, 신경통, 천식 등에 효과가 있다고 되어 있으며 민속요법에서도 솔잎을 달인 물이나 솔잎즙, 또는 솔잎을 벌꿀에 담근것이 감기, 고혈압, 동맥경화, 중풍등의 약으로 사용된다. 또한 스트로브 소나무(Pinus strobus)의 솔잎 추출물은 진해시럽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솔잎에는 여러가지 정유성분, 비타민류, 탄닌, 고미성 물질, 플라보노이드, 항균성 물질 등이 있어 이것들이 약리작용을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근래에 와서 이들의 연구에 다르면(한국생물 공학회지 제6권 제1호 55-61쪽,1991년) 솔잎의 메탄올 추출물이 인체내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의 과정에 관계되는 중요한 효소인 3-히드록시-3-메틸 글루타릴 코엔지임 에이 환원요소(3-hydoxy-3-methyl glutaryl coenzyme A raduct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나 솔잎을 복용할 경우, 체내의 콜레스테롤 양을 줄일 수 있어 고지혈증, 동맥경화증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결명자(학명:Cassia tora L.)는 콩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인 초결명의성숙한 종자로서 눈을 밝게한다는 의미에서 결명자라 알려져 있다. 종래에 알려진 결명자중의 약리성분으로는 비타민 A의 전구체인 카로텐(Carotene), 알로애향과 쓴 맛을 내는 알로인(Alloin), 레인(Rhein), 에모딘(Emodin), 크리소판올(Chrysophanol), 알로에-에모딘(Aloe-emodin), 피션(Physcion), 오브튜신(Obtusin), 아우란티오-오브튜신(Aurantio-obtusin), 루브로퓨사린(Rubrofusrin), 토라크리손(Torachryson),토라락톤(Toralactone) 등이 있다. 이들 성분들중 카로텐 등은 시신경자극과 전달에 필수성분으로 시력 유지에 유효할 뿐 아니라, 적안(충혈), 청맹(시신경위축), 작목(야맹증) 등에도 유효하고, 알로인은 혈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어줌은 물론 혈압강하에도 유효하다. 이외에도, 결명자는 간과 콩팥의 이뇨작용을 도와주며 장의 열을 내려 변비를 예방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감초(甘草, Glycyrrhiza uralensis FISCH.)는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감초는 한방에서 모든 약재와 조화를 이루면서 효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완화, 진통약으로 각종 동통 및 급박증상을 완화하는데 내복용 또는 외용으로 사용되고, 그 자체가 독의 중화작용과 같은 약성이 있다. 예를 들면, 감초는 간장을 보호하고 간기능을 원활하게 하여 피로를 조절하는 약효가 있어서, 감초를 복용하면 그 해독작용에 의해 간의 부담이 경감된다. 식물의 뿌리 및 근경에 트리터펜(triterpene)계 사포닌(saponin),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이 함유되어 있어 약물 중독, 음식물 중독, 체내대사물의 중독뿐 만 아니라 세균독소에 대한 모든 해독작용을 가지며, 항이뇨작용 및 갑상선피지호르몬양의 조절 작용이 있다. 감초는 항염증과 항알레르기반응작용을 보이며, 아세틸콜린에 대해 길항하는 작용을 나타내며, 아드레날린의 강심작용을 증강시키는 효과가 있다.
박하(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는 꿀풀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식물자체에 방향성을 가지고 있고 직립하여 상부에서 분지되어있다. 이 박하추출물에는 멘톨, 이소멘톤, 피넨, 캄펜, 리모넨, 진게론, 쇼가올 등의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청량하면서도 산뜻한 향을 발산하고, 피부나 두피에 존재하는 습진, 옴 등을 일으키는 병원성 진균, 대장균 포도상구균 등의 미생물에 대해서 살균 및 항균작용을 갖는다. 특히 비듬과 가려움증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ale)라는 미생물의 증식 및 활성 중대를 억제할 수 있고, 자극, 홍반 및 지루성 염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48,434호).
엿기름(맥아)는 식혜,맥주,고추장,위스키등을 만들 때 사용하는 것으로 보리를 발아시킨다음 일정시간이 지나서 발아의 진행을 중단시킨것으로 현재 시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가정에서도 일반 사람들이 쉽게 식혜.고추장 등의 음식을 만들 때 상용하고 있다. 엿기름은 몸속에서 나쁜 것을 제거하고 소화를 촉진하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하고 천연소염제와 방부제 역할을 한다.
쌀은 필수아미노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또한 쌀눈에는 쌀의 영양소가 66%가 함유되어 있으며, 쌀눈 속에는 중금속을 해독시키는 피틴산(phytic acid)이 백미에 비해 6배나 들어있고,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이 풍부하고, 섬유질과 비타민 A, 비타민 B1, B2, B6, 비타민 E, 판토테인산(panthothenic acid), 리놀레산 (linoleic acid) 등의 비타민과 미네랄이 균형을 유지하며, 항암인자를 억제하는 킬레이트 물질도 포함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쌀눈에는 토코페롤보다 항산화작용이 강한 토코트리에놀(tocotrienol), 뇌세포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여 뇌졸중과 치매를 예방하는 오리자놀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섬유질이 풍부하여 수분의 함량을 높여 변비를 예방하고, 인슐린 분비를 늦춰 당뇨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쌀의 철분,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비타민E 등의 성분이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시켜주고 토크페롤 등의 노화방지 주름살 및 기미, 주근깨, 여드름, 아토피진정 효과에 탁월한 효과가 있었음이 밝혀졌다.
율무는 자양강장, 이뇨, 배농, 혈압강화, 배란촉진, 면역기능강화, 항종양 및 진통 등에 생리활성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율무는 로이신, 글루타민산, 발린티로산, 프로린 등의 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율무쌀은 자양강장의 효과가 있으며 이뇨와 미용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초강목에는 율무가 위에 좋으며, 비장을 튼튼히 하고, 폐를 보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 밖에 열과 풍을 없애주며, 습(濕)을 이기게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는 상록활엽수 교목으로, 휜 줄기에서 잔가지가 많이 나와 장 타원형 또는 반 구형의 수형을 이루며, 수피는 회백색으로 평활하고,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잔 톱니가 길이 5~12cm, 넓이 3~7cm로 표면은 짙은 녹색이다.
동백속의 성분 분석 및 활용화에 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동백유와 유박의 급성 테스트를 통해 안전성을 확인하였으며, 유박에 함유된 성분이 알코올 흡수 저해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종실에서 분리한 하이퍼로사이드(hyperoside)는 AIDS 유발과 관련된 HIV-1 프로테아제(HIV-1 protease)에 대하여 억제효과를 보였고, 씨와 과피의 추출물도 항염 및 소염활성, 줄기의 메탄올 추출물은 지질과 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백꽃에는 프로라인과 글루타민 산을 주된 아미노산으로 존재하고 있고 기타 미량의 유리 아미노산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예의 연구를 진행한 결과 안출한 것으로, 특히 모세혈관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 여러 천연물질을 자연발효시켜 제조한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천연물질인 아마씨, 메밀, 약쑥, 은행잎, 솔잎, 결명자, 감초, 박하, 엿기름, 쌀, 율무, 동백, 흑설탕 및 알콜을 자연발효시키고 여과시켜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 및 잡티 개선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천연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 조성물은 모세혈관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고혈압, 당뇨병, 비만 등의 혈액순환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아마씨, 메밀, 약쑥, 은행잎, 솔잎, 결명자, 감초, 박하, 엿기름, 쌀, 율무, 동백잎과 줄기, 흑설탕 및 알콜을 자연발효시켜 제조한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흑설탕은 상기 천연물질들을 자연발효시키는 미생물의 영양원으로 공급된 것이며, 흑설탕 이외에 백설탕, 황설탕, 포도당 등 본 분야에서 발효 미생물 영양원으로 사용되는 모든 영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알콜은 자연발효시 유해미생물 또는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고 방부작용을 위해 첨가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세혈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므로, 혈액순환에 문제가 있어 발생하는 여러 증상의 개선에 효과적이다.
아토피 증상으로 인한 가려움증 또는 피부 트러블과 같은 식생활로 인한 피부 질환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과식으로 인한 소화불량, 위산과다로 인한 속쓰림 발생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하면 속쓰림 및 소화불량 증상이 개선된다.
전립선비대증 또는 전립선 염증으로 인한 배뇨곤란, 빈뇨 등의 증상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다.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다리, 손, 발, 얼굴, 눈 등의 부종에도 효과적이다.
고혈압, 당뇨병, 동맥경화증, 심장병, 뇌졸중과 같은 혈액순환 장애의 예방 또는 완화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서 음료, 엑기스, 겔, 캡슐, 정제, 환약, 분말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맛을 개선하거나 필요한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서 담체 또는 첨가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또는 첨가제는 희석제, 감미제, 안정제, 향료, 비타민류, 항산화제 등이 있다.
상기 담체 또는 첨가제는 약학적으로 용인 가능한 것은 모두 가능하며, 예를 들어 희석제는 유당, 곡물 전분 등이 있으며, 감미제로는 설탕, 액상과당, 결정과당, 슈크랄로스, 솔비톨 또는 아스파탐이 있고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잔탄검 등이 있다. 또한 조성물의 미각을 개선시키기 위해 과일향, 허브향 등의 천연향료, 천연과즙, 플라보노이드 등의 천연색소, 과당, 벌꿀, 설탕과 같은 감미성분 또는 구연산, 구연산나트륨과 같은 산미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보조성분으로서 비타민 B, C, E 또는 베타카로틴, Ca, Mg, Zn 등의 무기질 성분 또는 레시틴 등의 인지질 성분, 또는 올리고당, 아미노산, 타우린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제조
각각 1중량부의 아마씨, 메밀, 약쑥, 은행잎, 솔잎, 결명자, 감초, 박하, 엿기름, 쌀, 율무, 동백잎과 줄기를 물에 첨가 혼합한 후, 여기에 총 중량의 5 중량%의 흑설탕 및 10 중량%의 알콜을 첨가하여 밀봉하고 암실에서 15℃ 내지 20℃에서 15일간 자연발효시켰다. 15일 후에 개봉하여 발효액을 광목, 거즈 등의 여과천으로 여과하여 노란색의 발효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 동맥경화 억제효과 측정
실험동물로는 체중 20∼25g 내외의 스프라그-돌리(Sprague-Dawley) 랫을 10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어 정상군에는 올리브유만을, 대조군 및 실험군에는 콜레스테롤 40m/㎏과 콜레칼시페롤 3200 IU/㎏을 올리브유에 용해시켜 28일 동안 1일 1회 경구투여하여 동맥경화증을 유발시켰다. 실험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각각 0.250 g/㎏의 농도로 7일 동안 1일 1회 경구투여하고, 정상군과 대조군에는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동일한 방법으로 경구투여하였다. 실험 최종일에 정상군, 대조군 및 실험군을 12시간동안 절식시킨 후 우레탄마취시켜서 복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얻은 혈액을 3000rpm 하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용혈되지 않은 혈청을 채취한 다음, 효소법에 의하여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 총 콜레스테롤 중에 함유된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혈청 중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과 칼슘함량은 각각 측정용 키트(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칼슘
정상군 71.6 ±5.3 0.64 46.2 ±8.0 15.7 ±0.4
대조군 73.5 ±3.9 0.46 53.3 ±4.1 20.5 ±0.7
실험군 72.6 ±8.9. 0.70 44.5 ±3.4 18.4 ±1.3
실험예 2.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관능평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관능평가를 15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10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매우 좋지 않음(1점), 보통(5점), 매우 좋음(10점)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표 1과 같다.
평가항목 점수
색깔 9.1
9.3
8.5
식감 9.0
기호도 9.3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맛, 식감, 기호도 부분에서 평균 9.0 이상의 응답 결과를 보여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음용성이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아마씨, 메밀, 약쑥, 은행잎, 솔잎, 결명자, 감초, 박하, 엿기름, 쌀, 율무, 동백잎과 줄기 각 1 중량부를 물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총 중량의 5 중량%의 흑설탕 및 10 중량%의 알콜을 첨가하여 밀봉하는 단계;
    상기 밀봉물을 암실에서 15℃ 내지 20℃에서 15일간 자연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효물을 개봉한 다음 여과하여 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 특징인 황색의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3. 삭제
KR1020100087432A 2010-09-07 2010-09-07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27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432A KR101227063B1 (ko) 2010-09-07 2010-09-07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432A KR101227063B1 (ko) 2010-09-07 2010-09-07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197A KR20120025197A (ko) 2012-03-15
KR101227063B1 true KR101227063B1 (ko) 2013-01-29

Family

ID=46131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432A KR101227063B1 (ko) 2010-09-07 2010-09-07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0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005B1 (ko) 2013-07-18 2013-10-04 이정숙 은행잎을 이용한 조청제조방법
KR20220037671A (ko) 2020-09-18 2022-03-25 천지인초 주식회사 뇌신경 보호 효과 및 혈류개선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431B1 (ko) * 2015-01-06 2016-11-0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동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343A (ko) * 1991-04-10 1992-11-19 이순목 α-리놀렌산을 이용한 혈관질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KR20020003165A (ko) * 2001-11-23 2002-01-10 송윤강 건강보조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20030004993A (ko) * 2002-03-29 2003-01-15 김용문 천연식물을 재료로 한 복합발효건강식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343A (ko) * 1991-04-10 1992-11-19 이순목 α-리놀렌산을 이용한 혈관질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KR20020003165A (ko) * 2001-11-23 2002-01-10 송윤강 건강보조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20030004993A (ko) * 2002-03-29 2003-01-15 김용문 천연식물을 재료로 한 복합발효건강식품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JOURNAL OF LIFE SCIENCE (2010.1)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005B1 (ko) 2013-07-18 2013-10-04 이정숙 은행잎을 이용한 조청제조방법
KR20220037671A (ko) 2020-09-18 2022-03-25 천지인초 주식회사 뇌신경 보호 효과 및 혈류개선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US11576943B2 (en) 2020-09-18 2023-02-14 Chzin Co., Ltd. Functional food composition having cranial nerve protection effect and blood flow improvement eff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197A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81058B (zh) 增强人体五脏机能的五行果蔬营养制剂及其制备方法
CN101120787B (zh) 一种石榴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60087114A (ko) 꽃을 이용한 식품첨가제
KR20160087113A (ko) 꽃을 함유하는 화장품
KR20160087112A (ko)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719724A (zh) 胶原蛋白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855421B1 (ko) 약리작용을 가진 농산물과 곡물균사체가 혼합되어 발효된 발효 선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32794B1 (ko)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CN106070626A (zh) 酸马奶水果饮料及其制备方法
CN102823654A (zh) 系列中药保健奶片及其制备方法
KR101227063B1 (ko)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3657A (ko) 헛개나무 추출물 및 백년초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CN104255883A (zh) 可调血糖和血脂的保健蛋糕及其制作方法
KR101163069B1 (ko) 주름 및 잡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9675B1 (ko) 관상동맥성 심장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생약조성물
CN105981853A (zh) 一种营养功能丰富的温和的暖茶饮料配方
KR102702964B1 (ko) 복합효소를 사용한 발효 저분자 콜라겐 및 그 제조방법
KR101053064B1 (ko) 식용 달팽이와 장어뼈와 한약재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조식품
Shah et al. Fruit and fruit products as functional foods
KR101723962B1 (ko) 친환경 천연성분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CN110679935A (zh) 一种牛蒡人参精华膏及其制备方法
CN105349395A (zh) 一种山楂果醋的制备方法
KR20060061784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함 콜라겐 비타 사과 녹차(과일 침출차)
KR20210041387A (ko) 갈화 추출물 및 차전자피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RU2792449C2 (ru) Состав фиточая, содержащего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е добав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