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798B1 -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798B1
KR101226798B1 KR1020120028060A KR20120028060A KR101226798B1 KR 101226798 B1 KR101226798 B1 KR 101226798B1 KR 1020120028060 A KR1020120028060 A KR 1020120028060A KR 20120028060 A KR20120028060 A KR 20120028060A KR 101226798 B1 KR101226798 B1 KR 101226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workpiece
pipe
bracket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보교
Original Assignee
한보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보교 filed Critical 한보교
Priority to KR1020120028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798B1/ko
Priority to PCT/KR2013/002223 priority patent/WO20131415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3/0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 B21H3/02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external screw-threads ; Making dies for thread rolling
    • B21H3/04Making by means of profiled-rolls or die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06Bending into helical or spiral form; Forming a succession of return bends, e.g. serpentin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9/00Feeding arrangements for rolling machines or apparatus manufacturing article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소정의 간격내에 스파이럴을 가공함에 있어 투입부와 가공부 및 배출부를 일괄적으로 자동화하여 리드 각이 일정한 나선형 홈을 갖는 스파이럴 파이프를 효율좋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전체공정인 투입부터 배출까지 자동화하여 제조공정의 효율성과 불량품의 최소화 및 작업의 신속성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상부에는 피가공물 파이프(P)를 적재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토록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출공(101)이 천공된 호퍼(100)가 구비된 공급부(10)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피가공물 파이프(P)를 이송하는 이송부(20)와 상기 이송된 피가공물 파이프(P)를 가공하기 위하여 상기 피가공물 파이프(P)가 관통 가능하도록 관통홀(401)이 구비된 척(4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401)의 둘레에 구비된 것으로 일측에 가공롤러(411)가 구비되어 있는 롤러브라켓(410)은 상기 관통홀(401)을 중심으로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총3개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공롤러(411)는 피가공물 파이프(P)의 외주부에 스파이럴을 용이하게 가공토록 경사지도록 형성된 가공부(40)와 상기 가공된 피가공물 파이프(P)를 배출하는 배출부(50)로 이루어진 통상의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100) 하측에는 원형상의 봉으로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홈(111)이 구비된 토출봉(1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봉(110)의 하측에는 제1 유공압실린더(120)에 의해 인출가능한 것으로 끝단에는 'V'자 형상의 스톱퍼(121)가 구비된 공급부(10)와,
선반(S) 일측에 제1 구동모터(20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구동모터(201)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봉(200과 상기 스크류봉(200) 양측에는 가이드봉(2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봉(200), 가이드봉(210)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되 이동범위를 제어하는 센서(240)가 상기 선반(S)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센서(240)에 의해 제어되는 이동브라켓(22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이동브라켓(220)의 상단 일측 전방에는 피가공물인 파이프(P)를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22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221)의 중앙에는 센터봉(222)이 구비되어있고 상기 센터봉(222) 중앙에는 센터홈(2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반(S) 타측인 상기 스크류봉(200)의 끝단 측부에는 제2 구동모터(23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구동모터(230)에는 구동풀리(231)가 상기 스크류봉(200)에는 종동풀리(232)가 구비되어 벨트(233)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이송부(20)와,
제3 유공압실린더(500)에 의해 인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끝단에는 가공된 스파이럴 파이프를 취합하여 수납부(510)로 이동 가능하도록 취합브라켓(501)이 구비된 배출부(50)로 이루어진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는,
피가공물 파이프의 공급에서 가공을 거쳐 배출까지 자동 일괄적으로 처리함으로서 작업공정의 간편성과 함께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예방을 물론이고 기존의 불량률 발생을 현저히 저하함에 따른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적은 인원을 가지고도 짧은 시간 내에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Manufacturing equipment of spiral pipe}
본 발명은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소정의 간격내에 스파이럴을 가공함에 있어 투입부와 가공부 및 배출부를 일괄적으로 자동화하여 리드 각이 일정한 나선형 홈을 갖는 스파이럴 파이프를 효율좋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전체공정인 투입부터 배출까지 자동화하여 제조공정의 효율성과 불량품의 최소화 및 작업의 신속성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스파이럴 파이프를 갖추고 있다. 스파이럴 파이프 즉, 일정부분 나선형 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파이프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내부통로를 갖추고 있으며, 내부통로를 통과하는 유체와 주변의 유체간에 상호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러한 스파이럴 파이프는 주변 유체와의 열교환 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표면적이 넓은 구조로 되어있다. 그 일례로서, 스파이럴 파이프의 외면에 나선형 홈을 형성하여 표면적을 증가시킨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파이럴 파이프의 나선형 홈은, 통상적으로 전조가공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전조가공방법의 일례로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785857호의 "홈형성파이프 제조방법과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기술은, 피가공물인 파이프의 양단을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제 1 및 제 2척과, 파이프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면서 나선형 홈을 가공하는 가공장치부를 포함한다.
특히, 가공장치부는,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는 다수의 볼(Ball)들을 구비하는데, 이들 볼들은 파이프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운동하면서 파이프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볼에 대응되는 홈이 파이프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각인(刻印)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파이프의 양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다수의 볼이 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면서 나선형 홈을 가공하는 구조이므로, 미리 정해진 구간에만 나선형 홈을 가공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길이가 긴 파이프에 연속적으로 나선형 홈을 가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긴 길이의 파이프에 연속적으로 나선형 홈을 가공할 수 없으므로, 긴 길이의 파이프에 나선형 홈을 연속적으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긴 길이의 파이프를 구간별로 매번 이동시켜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지적되고 있다.
이 밖에도, 종래의 기술은, 파이프의 양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양단 사이의 외주면 부분에만 나선형 홈을 가공하는 구조이므로, 파이프의 양단에는 나선형 홈을 가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나선형 홈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불필요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파이프에 나선형 홈을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고, 나선형 홈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79500호의 "유압 척을 이용한 핀튜브 전조가공장치"가 있다.
이 기술은, 피가공물, 즉, 튜브(이하, "튜브"라 통칭함)의 일단을 클램핑하는 클램프와, 클램핑된 튜브를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부와, 일측으로 이송되는 튜브의 외주면 둘레를 가압하여 나선형 홈을 가공하는 전조가공부를 포함한다.
전조가공부는, 튜브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는 다수의 롤러형(Roller Type) 전조다이들을 구비하며, 이들 전조다이들은 파이프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서 튜브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따라서, 전조다이에 대응되는 홈을 튜브의 외주면에 각인시킨다.
이송부는, 작업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이송되는 것으로, 튜브를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킨다. 특히, 전조다이에 대해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따라서, 튜브를 가압하는 전조다이가 튜브의 외주면에 대해 나선방향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전조다이에 의해 각인(刻印)된 튜브의 홈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핀튜브 전조가공장치"는, 튜브를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나선형 홈을 가공하는 구조이므로, 튜브의 외주면에 나선형 홈을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나선형 홈을 튜브의 길이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핀튜브 전조가공장치는, 튜브의 일단만 클램핑 한 다음, 튜브의 외주면에 나선형 홈을 가공하는 구조이므로, 튜브의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도 나선형 홈을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나선형 홈이 형성되지 않는 튜브의 부분을 최소화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핀튜브 전조가공장치는, 홈을 형성하기 위한 전조다이가 튜브의 원주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구조이므로, 튜브를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킬 경우에, 전조다이가 비틀리면서 나선형 홈을 가공할 밖에 없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나선형 홈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조가공장치는, 전조다이가 비틀리면서 튜브의 외면에 나선형 홈을 가공하므로, 전조다이에 비틀림하중이 가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전조다이가 조기에 손상되어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밖에도, 종래의 핀튜브 전조가공장치는, 튜브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가 수동식이므로, 튜브의 이송속도가 일정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튜브에 형성된 나선형 홈의 리드 각(Lead Angle)이 일정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나선형 홈의 리드 각이 일정하지 못하므로, 주변유체와의 열교환효율이 떨어지고, 주변유체의 흐름을 방해한다는 결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명 핀튜브인 스파이럴 파이프를 형성하는 문제점을 제기하면서 출원된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특허출원 제2008-0092187호 발명의 명칭 '핀튜브 제조장치'가 기존에 출원되어 있고 그 기술적 요지를 살펴보면,
"청구항 1
피가공물의 외주면에 홈을 각인하는 다수의 전조다이를 구비하는 척)과; 상기 전조다이들이 상기 피가공물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피가공물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척을 회전시키는 스핀들과; 상기 전조다이가 상기 피가공물의 외주면에 대해 나선방향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피가공물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및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감아 연결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이 일정한 속도로 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풀리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전조다이에 의해 형성된 상기 피가공물의 나선형 홈이 일정한 리드 각(Lead Angle)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피가공물의 이송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일정속도이송수단;을 포함하는 핀튜브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정속도이송수단은,
상기 체인의 일부분에 걸려서 구속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핀과,
상기 이송부가 상기 체인에 구속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걸림핀을 상기 체인에 걸리는 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조다이는,
롤러형(Roller Type)으로 구성되며, 상기 롤러형 전조다이는, 상기 피가공물의 이송방향을 향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열되어 상기 피가공물에 형성될 나선형 홈의 나선방향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튜브 제조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피가공물인 파이프에 나선형 홈을 형성하기 위함에 있어 피가공물의 진입에 관련된 즉, 일정속도이송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피가공물의 공급이나 배출등이 존재치 아니한 단편적으로 피가공물의 이송에 관련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피가공물의 공급이나 배출등을 일일히 해야하는 문제점과 상기 일정속도이송수단도 체인에 걸림핀을 일정시간으로 액추레이터에 의해 승강운동을 통해 제어하는 것으로서 체인에 걸림핀을 접촉으로 인한 속도제어는 제어수단으로서 진부하며 오작동의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피가공물인 파이프의 공급에서 가공을 거쳐 배출까지 자동 일괄적으로 처리함으로서 작업공정의 간편성과 함께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예방을 물론이고 기존의 불량률 발생을 현저히 저하함에 따른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상부에는 피가공물 파이프를 적재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토록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출공이 천공된 호퍼가 구비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피가공물 파이프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된 피가공물 파이프를 가공하기 위하여 상기 피가공물 파이프가 관통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구비된 척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에 구비된 것으로 일측에 가공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롤러브라켓은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총3개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공롤러는 피가공물 파이프의 외주부에 스파이럴을 용이하게 가공토록 경사지도록 형성된 가공부와 상기 가공된 피가공물 파이프를 배출하는 배출부로 이루어진 통상의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 하측에는 원형상의 봉으로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홈이 구비된 토출봉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봉의 하측에는 제1 유공압실린더에 의해 인출가능한 것으로 끝단에는 'V'자 형상의 스톱퍼가 구비된 공급부와, 선반 일측에 제1 구동모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봉과 상기 스크류봉 양측에는 가이드봉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봉, 가이드봉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되 이동범위를 제어하는 센서가 상기 선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센서에 의해 제어되는 이동브라켓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이동브라켓의 상단 일측 전방에는 피가공물인 파이프를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의 중앙에는 센터봉이 구비되어있고 상기 센터봉 중앙에는 센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반 타측인 상기 스크류봉의 끝단 측부에는 제2 구동모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구동모터에는 구동풀리가 상기 스크류봉에는 종동풀리가 구비되어 벨트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이송부와, 제3 유공압실린더에 의해 인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끝단에는 가공된 스파이럴 파이프를 취합하여 수납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취합브라켓이 구비된 배출부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가공부의 전방에 구비된 것으로서 일측에 구비된 제2 유공압실린더에 의해 인출 가능한 끝단에 촉이 일체로 구비된 유동방지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동방지봉의 인출시 진직도를 유지하기 위한 관통공이 구비된 고정브라켓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 피가공물 고정수단부를 포함한 것과,
상기 토출봉과 제1 유공압실린더에 의해 인출가능한 것으로 끝단에는 'V'자 형상의 스톱퍼 사이에 경사판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판의 하측에는 제 4 유공압실린더에 의해 인출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끝단에는 절곡브라켓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절곡브라켓 후방에는 원형봉 형상의 롤러로서 상기 롤러 외주부 일측에 수납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전방에는 상기 유동방지봉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일측면에 가이드롤러가 상기 유동방지봉의 상하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가이드브라켓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는,
피가공물 파이프의 공급에서 가공을 거쳐 배출까지 자동 일괄적으로 처리함으로서 작업공정의 간편성과 함께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예방을 물론이고 기존의 불량률 발생을 현저히 저하함에 따른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적은 인원을 가지고도 짧은 시간 내에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가공 및 가공하기 위한 피가공물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한 피가공물 고정수단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피가공물이 호퍼에서 공급되기 직전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피가공물이 호퍼에서 공급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피가공물이 이송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피가공물이 가공부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피가공물이 가공부로 이송되어 피가공물 고정수단부의 유동방지봉과 센터봉의 센터홈이 결합되어 피가공물이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전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가공부에 의해 가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가공된 스파이럴 파이프를 수납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가공된 스파이럴 파이프를 수납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의 작동에서 스파이럴 파이프를 잡아 수납부로 이송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가공된 스파이럴 파이프를 수납부에 낙하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공급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 13에서 호퍼에 적재된 피가공물이 낙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 14에서 호퍼에서 낙하된 피가공물이 이송부로 공급되기 직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 15에서 피가공물이 이송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가공 및 가공하기 위한 피가공물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한 피가공물 고정수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피가공물이 호퍼에서 공급되기 직전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피가공물이 호퍼에서 공급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피가공물이 이송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피가공물이 가공부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피가공물이 가공부로 이송되어 피가공물 고정수단부의 유동방지봉과 센터봉의 센터홈이 결합되어 피가공물이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가공부에 의해 가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가공된 스파이럴 파이프를 수납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가공된 스파이럴 파이프를 수납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의 작동에서 스파이럴 파이프를 잡아 수납부로 이송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가공된 스파이럴 파이프를 수납부에 낙하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공급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 14에서 호퍼에 적재된 피가공물이 낙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 15에서 호퍼에서 낙하된 피가공물이 이송부로 공급되기 직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 16에서 피가공물이 이송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개략적으로 본 발명을 나누면, 공급부(10), 이송부(20), 가공부(40), 배출부(50)으로 나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핵심은 상기 각부가 자동적 일괄적으로 유기적 결합을 통해 하나의 라인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을 공정성, 효율성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으로서 상기 각부가 자동적 유기적으로 시스템화하여 작업을 일괄적으로 처리가능하도록 함은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컨트롤러에 의해 셋팅화된 것이다.
그럼, 상기 공급부(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부에는 피가공물을 적재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토록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출공(101)이 천공된 호퍼(1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호퍼(100) 하측에는 원형상의 봉으로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홈(111)이 구비된 토출봉(1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봉(110)의 하측에는 제1 유공압실린더(120)에 의해 인출가능한 것으로 끝단에는 'V'자 형상의 스톱퍼(121)가 구비된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봉(110)과 제1 유공압실린더(120)에 의해 인출가능한 것으로 끝단에는 'V'자 형상의 스톱퍼(121) 사이에 경사판(130)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판(130)의 하측에는 제 4 유공압실린더(140)에 의해 인출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끝단에는 절곡브라켓(14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절곡브라켓(141) 후방에는 원형봉 형상의 롤러(150)로서 상기 롤러(150) 외주부 일측에 수납홈(151)이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은 도 5 내지 도 7 및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 이송부(20)은 선반(S) 일측에 제1 구동모터(20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구동모터(201)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봉(200과 상기 스크류봉(200) 양측에는 가이드봉(2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봉(200), 가이드봉(210)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브라켓(22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이동브라켓(220)의 상단 일측 전방에는 피가공물인 파이프(P)를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22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221)의 중앙에는 센터봉(222)이 구비되어있고 상기 센터봉(222) 중앙에는 센터홈(2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반(S) 타측인 상기 스크류봉(200)의 끝단 측부에는 제2 구동모터(23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구동모터(230)에는 구동풀리(231)가 상기 스크류봉(200)에는 종동풀리(232)가 구비되어 벨트(233)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브라켓(220)의 좌우 이동하는 상기 선반(S) 길이방향으로 상기 이동브라켓(220)의 이동범위 등을 제어하는 센서(240)가 복수개 이상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센서(240)는 상기 공급부(10)의 스톱퍼(121)를 이용하여 공급된 피가공물 파이프(P)가 이동브라켓(220)의 삽입홈(221)에 삽입하기 위해 정차하는 위치와 전진하여 상기 삽입홈(221)에 정확하게 삽입 가능하도록 한 위치를 이동브라켓(220)에 전달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는 결국 제1 구동모터(201)의 구동을 제어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반(S) 타측에는 삽입홈(221)에 의해 삽입된 상태에서 이송되는 피가공물이 가공부(40)의 관통홀(401)로 오차없이 이송토록 체결공(251)이 구비된 가이드구(250)가 구비된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은 도 3, 도 8,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 바람직하게는 피가공물 고정수단부(30)은 일측에 구비된 제2 유공압실린더(301)에 의해 인출 가능한 끝단에 촉(302)이 일체로 구비된 유동방지봉(3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동방지봉(300)의 인출시 진직도를 유지하기 위한 관통공(311)이 구비된 고정브라켓(310)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브라켓(310)의 전방에는 상기 유동방지봉(300)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일측면에 가이드롤러(321)가 상기 유동방지봉(300)의 상하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가이드브라켓(320)이 추가로 구비된 것이다.
상기 피가공물 고정수단부(30)는 상기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는 피가공물 파이프(P)의 일측인 즉, 상기 삽입홈(221)에 의해서만 고정됨에 따른 타측의 유동으로 인하여 비틀림등으로 인하여 가공부(40)의 관통홀(401)을 관통하지 못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이동브라켓(220)이 피가공물 파이프(P)를 이송함과 동시에 상기 유동방지봉(300)이 상기 피가공물 파이프(P)의 내주로 관통하면서 상기 센터홈(223)에 유동방지봉(300)의 촉(302)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동브라켓(220)의 삽입홈(221)에 피가공물 파이프(P)의 일측이 삽입되면 타측은 매우 유동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피가공물 파이프(P)의 유동성으로 인하여 피가공물 파이프(P)의 외주부에 정확한 스파이럴 형성의 미흡함을 보완하고 완벽하고 정확하게 스파이럴이 형성토록 하기 위하여 상기 유동방지봉(300)의 촉(302)이 삽입홈(221) 내측에 구비된 센터봉(222) 중앙에 형성된 센터홈(223)에 결합되며 상기 피가공물 파이프(P)는 상기 유동방지봉(300) 외주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어 가공부(40)에서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가공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대한 도면은 도 2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 가공부(40)는 상기 유동방지봉(300)와 상기 유동방지봉(300) 외주로 결합되는 피가공물인 파이프(P)가 관통 가능하도록 관통홀(401)이 구비된 척(4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401)의 둘레에는 일측에 가공롤러(411)가 구비되어 있는 롤러브라켓(4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공롤러(411)가 구비된 롤러브라켓(410)은 상기 관통홀(401)을 중심으로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총3개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공롤러(411)는 피가공물의 외주부에 스파이럴을 용이하게 가공토록 경사지도록 구비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공부(40)의 관통홀(401)로 유동방지봉(300) 외주부에 결합된 피가공물 파이프(P)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상기 가공롤러(411)을 통해 피가공물 파이프(P)의 외주부 일정부위에 스파이럴 즉, 나선형 홈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척(400)의 회전운동으로 인하여 자연스럽고 정밀하게 고정된 피가공물 파이프(P)의 외주부 일정부위에 스파이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대한 도면은 도 4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이 가공부(40)를 거친 가공된 스파이럴 파이프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구동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스크류봉(200)이 후진하며 이때 이 모든 간격 즉, 가공시간 및 정밀하게 스크류봉(200)이 가공부(40)에 정차하고 그 후 후진하는 등등은 각 센서(240)의 작동에 의하며 이와 같은 센서(240)와 제2 구동모터(230)등은 상기에서 언급한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컨트롤러에 본 발명을 구동시 전원을 공급하기 전에 셋팅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공된 스파이럴 파이프는 내주부에 관통 결합된 유동방지봉(300)이 제2 유공압실린더(301)의 작동에 의해 빠지면서 동시에 스크류봉(200)은 상기 제2 구동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사익 이동브라켓(220)을 후진토록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후진된 이동브라켓(220)의 삽입홈(221)에 결합된 가공된 스파일럴 파이프는 센서(240)가 센싱에 의해 삽입홈(221)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하기에서 설명하는 배출부(50)의 취합브라켓(501)에 의해 취합되어 수납부(510)로 배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부(50)는 제3 유공압실린더(500)에 의해 인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끝단에는 가공된 스파이럴 파이프를 취합하여 수납부(510)로 이동 가능하도록 취합브라켓(501)이 구비된 것이다.
이에 대한 도면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컨트롤러(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함)에 셋팅처리후 전원을 공급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봉(110)의 홈(111)이 배출공(101)과 일치되는 시점에서 피가공물 파이프가 호퍼(100)의 배출공(101)에서 낙하 상기 홈(111)에 수납되면서 상기 토출봉(110)이 회전하여 스톱퍼(121)내로 낙하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유공압실린더(12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 즉, 인출되면 이동브라켓(220)이 선반(S) 최후방에 위치한 센서(240)의 감지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이동브라켓(220)의 삽입홈(221)에 상기 피가공물 파이프(P)가 삽입 고정되며 이와 같이 이동브라켓(220)의 삽입홈(221)에 피가공물 파이프(P)가 삽입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유공압실린더(120)는 후방으로 물러나면서 동시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브라켓(220)이 가공부(40) 방향으로 스크류봉(200)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피가공물 고정수단부(30)의 유동방지봉(300) 또한 상기와 같은 작동을 신호로 하여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공압실린더(301)에 의해 가공부(40)의 관통홀(401)을 지나면서 결국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방지봉(300)의 외주부로 상기 피가공물 파이프(P)가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유동방지봉(300)의 촉(302)과 삽입홈(221)에 구비된 센터봉(222)의 센터홈(223)이 결합되며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이동브라켓(220)의 이동은 정지되며 이를 체크하는 것이 가공부(40) 가까이에 있는 센서(240)에 의해 체크되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가공부(40)의 척(400)이 회전운동을 하면 동시에 롤러브라켓(410) 및 가공롤러(411)가 회전하고 이를 도시한 도면이 도 10인 것이다.
즉,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공롤러(411)가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있어 피가공물 파이프(P)의 외주부에 스파이럴 즉, 나선형 홈을 형성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이 완료되면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브라켓(220)과 유동방지봉(300)이 동시에 후진하되 상기 이동브라켓(220)의 후진은 도 4에 도시된 제2 구동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구동풀리(231) 및 종동풀리(232)에 의해 상기 스크류봉(200)의 역회전으로 인하여 이동브라켓(220)이 후진하고 동시에 제2 유공압실린더(301)의 작동에 의해 유동방지봉(300) 또한 후진하는 것이다.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브라켓(220)의 전후진 위치는 센서(240)에 의해 가능하며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브라켓(220)이 원위치에 오면 제2 유공압실린더(500)에 의해 취합브라켓(501)이 가공된 스파일러 파이프를 취합하여 수납부(510)로 이송 낙하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4 내지 도 17은 공급부(10)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서 언급한 공급부(10)에 추가적으로 경사판(130) 및 제4 유공압실린더(140) 및 절곡브라켓(141), 롤러(150)가 추가된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의 공급부(10)에 대한 작동은 상기 토출봉(110)의 홈(111)이 수납한 피가공물 파이프(P)를 경사판(130)에 낙하함과 동시에 상기 롤러(150)에 구비된 수납홈(151)에 상기 피가공물 파이프(P)가 수납되고 이와 같이 수납된 피가공물 파이프(P)는 롤러(150)의 회전에 의해 제4 유공압실린더(140)에 의해 인출된 절곡브라켓(141)에 낙하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121)로 재차 낙하하여 상기 제1 유공압실린더(120)에 의해 이동브라켓(220)으로 이송토록 하는 것이다.
기타 작동관계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와 같이 공급에서 가공 및 배출까지 하나의 유기적인 자동화 작동에 의해 작업의 공정성 및 편리성과 아울러 경제성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 : 공급부 20 : 이송부
30 : 피가공물 고정수단부 40 : 가공부
50 : 배출부 100 : 호퍼
101 : 배출공 110 : 토출봉
111 : 홈 120 : 제1 유공압실린더
121 : 스톱퍼 130 : 경사판
140 : 제4 유공압실린더 141 : 절곡브라켓
150 : 롤러 151 : 수납홈
200 : 스크류봉 201 : 제1 구동모터
210 : 가이드봉 220 : 이동브라켓
221 : 삽입홈 222 : 센터봉
223 : 센터홈 230 : 제2 구동모터
231 : 구동풀리 232 : 종동풀리
233 : 벨트 240 : 센서
250 : 가이드구 251 : 체결공
300 : 유동방지봉 301 : 제2 유공압실린더
302 : 촉 310 : 고정브라켓
311 : 관통공 320 : 가이드브라켓
321 : 가이드롤러 400 : 척
401 : 관통홀 410 : 롤러브라켓
411 : 가공롤러 500 : 제3 유공압실린더
501 : 취합브라켓 510 : 수납부
P : 피가공물 즉, 파이프 S : 선반

Claims (7)

  1. 상부에는 피가공물 파이프(P)를 적재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토록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출공(101)이 천공된 호퍼(100)가 구비된 공급부(10)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피가공물 파이프(P)를 이송하는 이송부(20)와 상기 이송된 피가공물 파이프(P)를 가공하기 위하여 상기 피가공물 파이프(P)가 관통 가능하도록 관통홀(401)이 구비된 척(4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401)의 둘레에 구비된 것으로 일측에 가공롤러(411)가 구비되어 있는 롤러브라켓(410)은 상기 관통홀(401)을 중심으로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총3개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공롤러(411)는 피가공물 파이프(P)의 외주부에 스파이럴을 용이하게 가공토록 경사지도록 형성된 가공부(40)와 상기 가공된 피가공물 파이프(P)를 배출하는 배출부(50)로 이루어진 통상의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100) 하측에는 원형상의 봉으로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홈(111)이 구비된 토출봉(1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봉(110)의 하측에는 제1 유공압실린더(120)에 의해 인출가능한 것으로 끝단에는 'V'자 형상의 스톱퍼(121)가 구비된 공급부(10)와,
    선반(S) 일측에 제1 구동모터(20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구동모터(201)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봉(200과 상기 스크류봉(200) 양측에는 가이드봉(2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봉(200), 가이드봉(210)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되 이동범위를 제어하는 센서(240)가 상기 선반(S)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센서(240)에 의해 제어되는 이동브라켓(22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이동브라켓(220)의 상단 일측 전방에는 피가공물인 파이프(P)를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22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221)의 중앙에는 센터봉(222)이 구비되어있고 상기 센터봉(222) 중앙에는 센터홈(2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반(S) 타측인 상기 스크류봉(200)의 끝단 측부에는 제2 구동모터(23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구동모터(230)에는 구동풀리(231)가 상기 스크류봉(200)에는 종동풀리(232)가 구비되어 벨트(233)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이송부(20)와,
    제3 유공압실린더(500)에 의해 인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끝단에는 가공된 스파이럴 파이프를 취합하여 수납부(510)로 이동 가능하도록 취합브라켓(501)이 구비된 배출부(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40)의 전방에 구비된 것으로서 일측에 구비된 제2 유공압실린더(301)에 의해 인출 가능한 끝단에 촉(302)이 일체로 구비된 유동방지봉(3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동방지봉(300)의 인출시 진직도를 유지하기 위한 관통공(311)이 구비된 고정브라켓(310)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 피가공물 고정수단부(3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봉(110)과 제1 유공압실린더(120)에 의해 인출가능한 것으로 끝단에는 'V'자 형상의 스톱퍼(121) 사이에 경사판(130)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판(130)의 하측에는 제 4 유공압실린더(140)에 의해 인출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끝단에는 절곡브라켓(14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절곡브라켓(141) 후방에는 원형봉 형상의 롤러(150)로서 상기 롤러(150) 외주부 일측에 수납홈(15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310)의 전방에는 상기 유동방지봉(300)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일측면에 가이드롤러(321)가 상기 유동방지봉(300)의 상하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가이드브라켓(320)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28060A 2012-03-20 2012-03-20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 KR101226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060A KR101226798B1 (ko) 2012-03-20 2012-03-20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
PCT/KR2013/002223 WO2013141557A1 (ko) 2012-03-20 2013-03-19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060A KR101226798B1 (ko) 2012-03-20 2012-03-20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798B1 true KR101226798B1 (ko) 2013-02-07

Family

ID=4789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060A KR101226798B1 (ko) 2012-03-20 2012-03-20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6798B1 (ko)
WO (1) WO201314155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007B1 (ko) * 2018-06-15 2018-12-28 전용대 전산볼트 성형장치
KR102010725B1 (ko) * 2019-04-05 2019-08-13 문현식 금속 파이프 자동 천공장치
CN110723506A (zh) * 2019-09-11 2020-01-24 南京捷思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生产制造用零配件折弯机及使用方法
CN111496042A (zh) * 2020-05-05 2020-08-07 徐敏旺 一种方便上下料的电路板排线折弯装置
CN112222337A (zh) * 2020-10-22 2021-01-15 林国锐 一种金属瓶盖内外滚丝加工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6274B (zh) * 2014-06-05 2018-09-11 石家庄格力电器小家电有限公司 压管装置及压管装置的控制电路
CN106391889B (zh) * 2016-10-27 2018-09-25 广州市力琪金属制品有限公司 自动双头管端成型机
CN109175126A (zh) * 2018-09-05 2019-01-11 宁波嘉鹏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全自动端管成型机
CN110586818A (zh) * 2019-09-25 2019-12-20 浙江君悦标准件有限公司 螺杆滚丝机
CN110695113B (zh) * 2019-11-05 2020-10-30 含山县荣源金属制品有限公司 自动压三通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5835A (ko) * 2003-01-16 2004-07-23 장인숙 테이퍼 롤러 성형 방법 및 장치
KR20070096916A (ko) * 2006-03-24 2007-10-02 권영우 열교환용 나선 파이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선파이프 제조 방법
KR100931432B1 (ko) * 2007-09-05 2009-12-11 전한병 세레이션 및 나사산 가공장치
KR101032970B1 (ko) * 2008-09-19 2011-05-09 (주)핀튜브코리아 핀튜브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5835A (ko) * 2003-01-16 2004-07-23 장인숙 테이퍼 롤러 성형 방법 및 장치
KR20070096916A (ko) * 2006-03-24 2007-10-02 권영우 열교환용 나선 파이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선파이프 제조 방법
KR100931432B1 (ko) * 2007-09-05 2009-12-11 전한병 세레이션 및 나사산 가공장치
KR101032970B1 (ko) * 2008-09-19 2011-05-09 (주)핀튜브코리아 핀튜브 제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007B1 (ko) * 2018-06-15 2018-12-28 전용대 전산볼트 성형장치
KR102010725B1 (ko) * 2019-04-05 2019-08-13 문현식 금속 파이프 자동 천공장치
CN110723506A (zh) * 2019-09-11 2020-01-24 南京捷思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生产制造用零配件折弯机及使用方法
CN111496042A (zh) * 2020-05-05 2020-08-07 徐敏旺 一种方便上下料的电路板排线折弯装置
CN112222337A (zh) * 2020-10-22 2021-01-15 林国锐 一种金属瓶盖内外滚丝加工设备
CN112222337B (zh) * 2020-10-22 2022-04-26 安徽霍山金亿丰印铁制罐有限公司 一种金属瓶盖内外滚丝加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1557A1 (ko)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798B1 (ko) 스파이럴 파이프 가공장치
DE102006019325C5 (de) Werkzeugmaschine zur Verzahnungsbearbeitung von Werkstücken
CN107756039B (zh) 一种制造四通换向阀d接管的生产线及方法
KR101586338B1 (ko) 알루미늄 튜브 자동 인발장치
KR101658454B1 (ko)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
CN102350445B (zh) 无缝钢管冷拔机
CN110479948B (zh) 锻造自动化生产线
CN106112130B (zh) 一种全自动电磁阀阀体内孔去毛刺机
KR101291070B1 (ko) 전조기의 피가공물 자동 로딩언로딩 장치
JP6267139B2 (ja) 転造タッピング装置
KR101032970B1 (ko) 핀튜브 제조장치
CN116393606A (zh) 一种卡压弯头加工设备及其加工方法
KR101516334B1 (ko) 복수대의 cnc선반에 자동으로 소재를 로딩 및 언로딩 시키는 장치
CN210231384U (zh) 一种三轴滚丝机的上下料装置
CN107138797B (zh) 一种数控锯
CN114952316A (zh) 双线型单向器输出轴加工线
KR100555333B1 (ko) 차량용 브레이크의 캘리퍼 피스톤 전자동 전용 가공기
EP0348719B1 (de) Schälmaschine
DE3149779C2 (de) Zu- und Abführeinrichtung einer Frontdrehmaschine
CN208409147U (zh) 全自动铜管扩缩倒角生产线
CN112756409A (zh) 一种高效的冷拔机
CN217254831U (zh) 一种扳手加工用自动上料装置
CZ2017733A3 (cs) Způsob a zařízení pro výrobu tyčovitého tělesa
CN217070591U (zh) 一种发电机转子轴直纹自动加工装置
CN113084056B (zh) 双头螺杆的滚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