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454B1 -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454B1
KR101658454B1 KR1020140144015A KR20140144015A KR101658454B1 KR 101658454 B1 KR101658454 B1 KR 101658454B1 KR 1020140144015 A KR1020140144015 A KR 1020140144015A KR 20140144015 A KR20140144015 A KR 20140144015A KR 101658454 B1 KR101658454 B1 KR 101658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r
discharge
aligning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744A (ko
Inventor
박준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준산업
Priority to KR1020140144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4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봉재(棒材)를 일정 간격으로 자동 정렬하고, 정렬된 각 봉재를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밀링이나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 등의 공작기계에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공 전의 봉재가 적치되는 공급트레이;
가공 후의 봉재가 적치되는 회수트레이;
상기 공급트레이의 전방에 설치되어, 공급트레이에 적치된 봉재를 낱개로 반송하는 공급유닛;
상기 공급유닛의 전방에 설치되어, 공급유닛에 의해 반송된 봉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하는 얼라인유닛; 및
상기 얼라인유닛의 상측에 설치되어, 얼라인유닛에 의해 정렬된 다수의 봉재를 전방에 배치된 공작기계로 투입하고, 공작기계에서 가공된 각 봉재를 다시 인출하는 로딩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봉재가 일정 간격으로 정렬된 후, 정렬된 각 봉재가 한꺼번에 공작기계로 투입될 수 있고, 아울러 이러한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Automatic alignment and supply apparatus for bar}
본 발명은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봉재(棒材)를 일정 간격으로 자동 정렬하고, 정렬된 각 봉재를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밀링이나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 등의 공작기계에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19492호(2007.05.18.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환봉소재의 자동정렬 및 공급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나사 가공을 위한 환봉소재의 가공부를 일정하게 정렬하여 피드블럭상에 순차공급하므로 가공장치로 로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환봉소재를 길이방향으로 나열하여 순차 이송공급하는 통상의 호퍼피더의 배출구에 환봉소재를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안내하는 경사가이드와 상기 경사가이드 하부에서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작동하면서 환봉소재를 공급 및 공급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개폐구로 구성되는 제1소재공급수단과,
상기 제1소재공급수단에서 낙하되는 환봉소재가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양측 격벽을 갖는 안내구와, 그 하부의 테이블을 환봉소재의 가공부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 위치로 공급됨에 따라 회전모터에 의해 180°방향 전환하여 일정하게 정렬하는 소재정렬수단과,
상기 소재정렬수단에서 정렬된 환봉소재를 일측에서 실린더에 의해 전후 이동작동하는 제1푸쉬로드와, 상기 제1푸쉬로드와 교차되는 방향에서 실린더에 의해 전후 이동작동하는 제2푸쉬로드에 의해 전후, 좌우로 이동시켜 피드블럭의 장착홈에 자동 공급하도록 하는 제2소재공급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환봉소재(이하, '봉재'라고 함)를 일정하게 정렬하는 작업과, 정렬된 봉재를 공급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봉재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한 후, 정렬된 봉재를 하나씩 공급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CNC밀링이나 머시닝센터 등과 같이 한번에 다수의 봉재를 투입하여 가공할 수 있는 공작기계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즉, 다수의 봉재를 일정 간격으로 정렬한 후, 정렬된 각 봉재를 한꺼번에 공작기계로 투입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봉재를 일정 간격으로 정렬한 후, 정렬된 각 봉재를 한꺼번에 공작기계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한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는,
가공 전의 봉재가 적치되는 공급트레이;
가공 후의 봉재가 적치되는 회수트레이;
상기 공급트레이의 전방에 설치되어, 공급트레이에 적치된 봉재를 낱개로 반송하는 공급유닛;
상기 공급유닛의 전방에 설치되어, 공급유닛에 의해 반송된 봉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하는 얼라인유닛; 및
상기 얼라인유닛의 상측에 설치되어, 얼라인유닛에 의해 정렬된 다수의 봉재를 전방에 배치된 공작기계로 투입하고, 공작기계에서 가공된 각 봉재를 다시 인출하는 로딩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봉재가 일정 간격으로 정렬된 후, 정렬된 각 봉재가 한꺼번에 공작기계로 투입될 수 있고, 아울러 이러한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도 1에서 본 발명의 주요부를 발췌한 정면 구성도.
도 4는 도 2에서 본 발명의 주요부를 발체한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에서 얼라인유닛의 입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에서 배출유닛 및 디버링유닛의 입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 1' 및 '도 3'에서 도면상 우측을 전방(前方), 좌측을 후방(後方)으로 방향을 특정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는 크게 공급트레이(100), 회수트레이(200), 공급유닛(300), 얼라인유닛(400), 로딩유닛(500), 배출유닛(600) 및 디버링유닛(700)으로 이루어진다.
공급트레이(100)는 공작기계(20)로 투입하기 전의 봉재(棒材, 10), 즉 가공 전의 봉재(10)가 적치되는 곳이다.
여기서 봉재(10)는 내부에 중공(中空, 11)을 갖는 파이프 형태이거나, 원형단면을 갖는 환봉(丸棒)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차량의 캠샤프트(camshaft)의 제작에 사용되는 파이프 형태의 봉재(10)가 적용된다.
공작기계(20)는 공지의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밀링,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 등 봉재(10)를 가공하기 위한 각종 기계가 해당할 수 있다.
공급트레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기계(20)와 마주하도록 설치된 베이스프레임(800)에 장착된다. 이 베이스프레임(800)은 공급트레이(100)를 비롯하여 후술될 회수트레이(200), 공급유닛(300), 얼라인유닛(400), 로딩유닛(500), 배출유닛(600) 및 디버링유닛(700)을 지지하게 된다.
공급트레이(100)의 상면에는 공작기계(20)를 향해 하방 경사진 경사면(110)이 형성되고, 이에 의하여 공급트레이(100)이 적치된 봉재(10)는 전방으로 굴러 공작기계(2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회수트레이(200)는 공급트레이(100)의 상측이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작기계(20)를 통과한 봉재(10), 즉 가공 후의 봉재(10)가 적치되는 곳이다.
회수트레이(200)는 후술될 배출유닛(600)에 의해 반송(搬送)된 봉재(10)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면이 후방을 향해 하방 경사지게 형성되며, 회수트레이(200)의 상면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이동한 봉재(10)를 지지하는 스토퍼(210)가 형성된다.
공급유닛(300)은 공급트레이(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공급트레이(100)에 척치된 봉재(10)를 낱개로 반송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트레이(100)의 전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 동작시 공급트레이(100)의 경사면(110)과 연결되어 공급트레이(100)의 최전방에 위치한 봉재(10)가 얹히게 되는 제1대응경사면(311)을 갖는 제1이송플레이트(310);
제1이송플레이트(31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승 동작한 제1이송플레이트(310)의 제1대응경사면(311)과 연결되어 제1대응경사면(311)에 위치한 봉재(10)가 얹히게 되는 제2대응경사면(321)을 갖는 제2이송플레이트(320);
제2이송플레이트(320)의 후방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 동작시 제2이송플레이트(320)의 제2대응경사면(321)과 연결되어 제2대응경사면(321)에 위치한 봉재(10)가 얹히게 되는 제3대응경사면(331)을 갖고, 상승 동작시 제3대응경사면(331)에 위치한 봉재(10)를 얼라인유닛(400)으로 반송하게 되는 제3이송플레이트(330);
제1이송플레이트(310) 및 제3이송플레이트(330)를 연결하는 중계부재(340); 및
중계부재(340)를 승강 동작시키는 플레이트구동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각각의 이송플레이트(310)(320)(330)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3이송플레이트(330)의 후방에는 제3이송플레이트(330)의 상승 동작이 완료되기 전까지 제3대응경사면에 놓인 봉재(10)를 지지하게 되는 서포트플레이트(360)가 설치된다.
중계부재(340)는 제1 및 제3 이송플레이트(310)(330)의 하단부를 받치는 형태로 결합되며, 제2이송플레이트(320)와는 제1 및 제3 이송플레이트(310)(330)가 상승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상호 이격 배치된다.
플레이트구동부(350)는 중계부재(340)의 하측에 결합되어 중계부재(340)를 승강 동작시킨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구동부(350)를 비롯하여 후술할 얼라인구동부(430), 그리퍼구동부(550), 배출구동부(630), 모터구동부(720) 및 가압부재구동부(750)는 공지의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공압실린더 외에 직선왕복운동을 가능케 하는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트레이(100)의 최전방에 위치한 봉재(10)는 제1이송플레이트(310)의 하강 동작에 의해 제1대응경사면(311)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대응경사면(311)에 위치한 봉재(10)는 제1이송플레이트(310)의 상승 동작에 의해 제2이송플레이트(320)의 제2대응경사면(321)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2대응경사면(321)에 위치한 봉재(10)는 제3이송플레이트(330)의 하강 동작에 의해 제3대응경사면(331)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3대응경사면(331)에 위치한 봉재(10)는 제3이송플레이트(330)의 상승 동작에 의해 후술할 얼라인유닛(400)의 얼라인래크(410)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봉재(10)의 이송을 위한 상승 동작이 두 차례로 나누어져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플레이트구동부(350)에 요구되는 스트로크(stroke)를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플레이트구동부(350)의 설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얼라인유닛(align unit, 400)은 공급유닛(300)의 상측에 설치되어 공급유닛(300)에 의해 반송된 봉재(10)를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에 하나씩의 봉재(10)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안착부(411)를 갖는 얼라인래크(align rack, 410);
상기 얼라인래크(410)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얼라인래크(410)의 각 안착부(411)와 상응한 간격을 이루며 배열된 다수의 슬로프(slope, 421)를 갖는 얼라인시프터(align shifter, 420); 및
상기 얼라인시프터(420)를 승강 동작시키는 얼라인구동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얼라인래크(4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 배치되고, 얼라인시프터(420) 또한 한 쌍으로 이루어져 두 얼라인래크(41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호 이격 배치된다.
얼라인시프터(420)의 각 슬로프(421)는 전방을 향해 하방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얼라인시프터(420)는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얼라인래크(410)는 각 안착부(411)의 바닥이 전방을 향해 하방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얼라인시프터(420)와 마찬가지로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제3이송플레이트(330)의 제3대응경사면에 놓인 봉재(10)는 제3이송플레이트(330)의 상승 동작시 얼라인래크(410)의 상면을 타고 얼라인래크(410)의 최후방에 위치한 안착부(411)로 진입하게 된다.
얼라인시프터(420)는 각 슬로프(421)의 상부 측이 얼라인래크(410)의 각 안착부(411)에 놓인 각 봉재(10)와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얼라인래크(410)의 각 안착부(411)에 놓인 각 봉재(10)는 얼라인시프터(420)의 상승 동작시 얼라인시프터(420)의 각 슬로프(421)를 타고 하부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승 동작한 얼라인시프터(420)의 각 슬로프(421) 하부에 위치한 각 봉재(10)는 얼라인시프트(420)의 하강 동작시 얼라인래크(410)의 각 안착부(411) 바닥 상부 측에 얹힌 후 하부 측으로 이동하여 정지하게 된다.
결국, 얼라인유닛(400)은 얼라인시프터(420)의 상승 동작시 얼라인시프터(420)의 각 슬로프(421)가 상기 얼라인래크(410)의 각 안착부(411)에 위치한 각 봉재(10)를 받치어 각 봉재(10)를 전방에 위치한 각 안착부(411)로 한 칸씩 이송하게 됨으로써 다수의 봉재(10)를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하게 된다.
로딩유닛(loading unit, 500)은 얼라인유닛(4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얼라인유닛(400)에 의해 정렬된 다수의 봉재(10)를 전방에 배치된 공작기계(20)로 투입하고, 공작기계(20)에서 가공된 각 봉재(10)를 다시 인출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라인유닛(400)의 상측에 설치된 고정프레임(510);
얼라인유닛(400)의 상측에 배치되되, 얼라인유닛(40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진퇴 동작 가능하도록 고정프레임(510)에 결합된 진퇴프레임(520);
진퇴프레임(520)을 진퇴 동작시키는 프레임구동모듈(530);
진퇴프레임(5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강 동작한 상태에서 얼라인래크(410)의 각 안착부(411)에 배치된 각 봉재(10)를 파지하게 되는 다수의 클램프(541)를 포함하는 그리퍼(540); 및
그리퍼(540)를 승강 동작시키는 그리퍼구동부(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프레임(510)은 상호 이격 배치된 두 판재로 이루어져 각각 베이스프레임(800)에 장착된다.
진퇴프레임(520)은 고정프레임(5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진퇴프레임(520)과 고정프레임(510)의 사이에는 진퇴프레임(520)을 고정프레임(510)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연결하는 LM가이드(Linear Motion Guide, 560)가 개재된다.
프레임구동모듈(530)은 진퇴프레임(520)에 결합된 래크(rack, 531), 이 래크(531)와 맞물리게 설치된 피니언(pinion, 532), 그리고 고정프레임(510) 또는 베이스프레임(800)에 장착되어 피니언(532)을 회전시키게 되는 구동모터(53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진퇴프레임(520)을 진퇴 동작시키게 된다.
그리퍼(540)는 실린더나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542), 그리고 얼라인래크(410)의 각 안착부(411)와 상응한 간격을 이루며 배열되되 각각 액추에이터(542)에 의해 벌어지거나 좁혀지도록 작동되는 다수의 클램프(541)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그리퍼(540)는 하강 동작한 상태에서 각 클램프(541)가 작동함에 따라 얼라인래크(410)의 각 안착부(411)에 놓인 각 봉재(10)를 반지름 방향으로 가압하여 파지하게 된다.
그리고 각 클램프(541)가 각각 봉재(10)를 파지하고 나면 그리퍼구동부(550)에 의해 그리퍼(540)를 상승하게 되고, 이후 프레임구동모듈(530)에 의해 진퇴프레임(520)이 전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기계(2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진퇴프레임(520)이 공작기계(20)의 내부로 진입하면 그리퍼(540)가 하강한 후 각 클램프(541)가 벌어짐으로써 각 클램프(541)에 파지되어 있던 각 봉재(10)를 공작기계(20)의 내부에 마련된 지그(jig, 21)에 내려놓게 된다.
이후, 진퇴프레임(520)은 얼라인유닛(400)의 상측으로 복귀한 후 대기하게 되고, 공작기계(20)로 투입된 각 봉재(10)의 가공이 완료되면 다시 공작기계(20)의 내부로 진입하여 각 봉재(10)를 파지한 다음, 배출유닛(600)의 상측으로 후퇴 동작하여 각 봉재(10)를 배출유닛(600)에 내려놓은 후 다시 얼라인유닛(400)의 상측으로 복귀하게 된다.
배출유닛(600)은 회수트레이(200)의 전방에 설치되어 로딩유닛(500)에 의해 공작기계(20)에서 인출된 각 봉재(10)를 수령하여 회수트레이(200)로 반송하는 것으로서,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유닛(500)에 의해 공작기계(20)에서 인출된 각 봉재(10)가 하나씩 진입할 수 있도록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안착부(611)를 갖는 배출래크(610);
배출래크(610)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배출래크(610)의 각 안착부(611)와 상응한 간격을 이루며 배열된 다수의 슬로프(621)를 갖는 배출시프터(620); 및
배출시프터(620)를 승강 동작시키는 배출구동부(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배출유닛(6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얼라인유닛(400)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배출유닛(600)의 배출래크(610) 및 배출시프트(620)에는 후술할 디버링유닛(700)의 설치 및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하여 각각 얼라인래크(410) 및 얼라인시프트(420)보다 2 내지 3개 더 많은 안착부(611) 및 슬로프(621)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래크(610)의 후단부는 회수트레이(200)의 전단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배출래크(610)의 최후방에 형성된 안착부(611)에 위치한 봉재(10)는 배출시프트(620)의 승강 동작에 의해 회수트레이(20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로딩유닛(500)에 의해 공작기계(20)에서 인출된 각 봉재(10)는 배출래크(610)의 전부(前部) 측에 형성된 각 안착부(611), 즉 디버링유닛(700)이 비(非)위치하게 되는 각 안착부(611)에 놓이게 되고,
이후, 배출유닛(600)은 배출시프터(620)의 상승 동작시 배출시프터(620)의 각 슬로프(621)가 배출래크(610)의 각 안착부(611)에 위치한 각 봉재(10)를 받치어 각 봉재(10)를 후방에 위치한 각 안착부(611)로 한 칸씩 이송하게 됨으로써, 각 봉재(10)를 회수트레이(200)로 하나씩 반송하게 된다.
디버링유닛(deburring unit, 700)은 배출유닛(600)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봉재(10)의 가공시 발생한 버(burr)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래크(610)의 후단부 일측에 좌우 방향으로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디버링모터(710);
디버링모터(710)를 진퇴 동작시키는 모터구동부(720);
디버링모터(710)의 회전축에 장착되고, 디버링모터(710)의 전진 동작에 의해 배출래크(610)의 안착부(611)에 배치된 봉재(10)의 중공(11)으로 진입하게 되는 스크레이퍼(scraper, 730);
배출래크(610)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 동작시 스크레이퍼(730)가 진입하게 될 봉재(10)를 가압 고정하게 되는 가압부재(740);
가압부재(740)를 승강 동작시키는 가압부재구동부(750); 그리고
배출래크(610)의 후단부 타측에 설치되어, 배출래크(610)의 안착부(611)에 배치된 봉재(10)의 중공(11)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게 되는 노즐(7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디버링모터(710)는 배출래크(610)의 각 안착부(611) 중, 최후방에서 한두 칸 전방에 위치한 안착부(611)를 향하여 진퇴 동작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스크레이퍼(730)는 원형 단면을 갖는 와이어브러시(wire brush)나 연삭숫돌 등으로 이루어지며, 봉재(10)의 중공(11)에 진입한 상태에서 디버링모터(710)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봉재(10)의 내벽에 형성된 버 및 이물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기계(20)를 거친 봉재(10)에서 봉재(10)를 관통하는 구멍(12)이나 홈 등이 가공된 경우, 스크레이퍼(730)는 이 관통공(12)이 형성된 위치까지 봉재(10) 내부로 진입하여 관통공(12)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버 및 이물질을 긁어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노즐(760)은 디버링모터(710)의 후방에 위치한 안착부(611)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스크레이퍼(730)에 의해 봉재(10)의 내벽에서 탈리된 버 및 이물질을 봉재(10)의 중공(11)에서 외부로 배출시킨다.
결국,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봉재가 일정 간격으로 정렬된 후, 정렬된 각 봉재가 한꺼번에 공작기계로 투입될 수 있고, 아울러 이러한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봉제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공급트레이
110 ; 경사면
200 ; 회수트레이
210 ; 스토퍼
300 ; 공급유닛
310 ; 제1이송플레이트 320 ; 제2이송플레이트
330 ; 제3이송플레이트 340 ; 중계부재
350 ; 플레이트구동부 360 ; 서포트플레이트
400 ; 얼라인유닛
410 ; 얼라인래크 420 ; 얼라인시프터
430 ; 얼라인구동부
500 ; 로딩유닛
510 ; 고정프레임 520 ; 진퇴프레임
530 ; 프레임구동모듈 540 ; 그리퍼
550 ; 그리퍼구동부 560 ; LM가이드
600 ; 배출유닛
610 ; 배출래크 620 ; 배출시프터
630 ; 배출구동부
700 ; 디버링유닛
710 ; 디버링모터 720 ; 모터구동부
730 ; 스크레이퍼 740 ; 가압부재
750 ; 가압부재구동부 760 ; 노즐
800 ; 베이스프레임

Claims (5)

  1. 내부에 중공(11)을 갖는 가공 전의 봉재(10)가 적치되고, 적치된 봉재(10)가 전방으로 굴러 이동할 수 있는 경사면(110)이 형성된 공급트레이(100);
    가공 후의 봉재(10)가 적치되는 회수트레이(200);
    상기 공급트레이(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공급트레이(100)에 적치된 봉재(10)를 낱개로 반송하는 공급유닛(300);
    상기 공급유닛(300)의 전방에 설치되어, 공급유닛(300)에 의해 반송된 봉재(10)를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하는 얼라인유닛(400);
    상기 얼라인유닛(4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얼라인유닛(400)에 의해 정렬된 다수의 봉재(10)를 전방에 배치된 공작기계(20)로 투입하고, 공작기계(20)에서 가공된 각 봉재(10)를 다시 인출하는 로딩유닛(500);
    상기 회수트레이(2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로딩유닛(500)에 의해 상기 공작기계(20)에서 인출된 각 봉재(10)를 수령하여 상기 회수트레이(200)로 반송하는 배출유닛(600); 및
    상기 배출유닛(600)의 후단부에 설치된 디버링유닛(700);을 포함하되,

    상기 공급유닛(300)은
    상기 공급트레이(100)의 전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 동작시 공급트레이(100)의 경사면(110)과 연결되어 상기 공급트레이(100)의 최전방에 위치한 봉재(10)가 얹히게 되는 제1대응경사면(311)을 갖는 제1이송플레이트(310);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31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승 동작한 제1이송플레이트(310)의 제1대응경사면(311)과 연결되어 상기 제1대응경사면(311)에 위치한 봉재(10)가 얹히게 되는 제2대응경사면(321)을 갖는 제2이송플레이트(320);
    상기 제2이송플레이트(320)의 후방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 동작시 제2이송플레이트(320)의 제2대응경사면(321)과 연결되어 상기 제2대응경사면(321)에 위치한 봉재(10)가 얹히게 되는 제3대응경사면(331)을 갖고, 상승 동작시 상기 제3대응경사면(331)에 위치한 봉재(10)를 상기 얼라인유닛(400)으로 반송하게 되는 제3이송플레이트(330);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310) 및 제3이송플레이트(330)를 연결하는 중계부재(340); 및
    상기 중계부재(340)를 승강 동작시키는 플레이트구동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얼라인유닛(400)은
    각각에 하나씩의 봉재(10)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안착부(411)를 갖는 얼라인래크(410);
    상기 얼라인래크(410)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얼라인래크(410)의 각 안착부(411)와 상응한 간격을 이루며 배열된 다수의 슬로프(421)를 갖는 얼라인시프터(420); 및
    상기 얼라인시프터(420)를 승강 동작시키는 얼라인구동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얼라인시프터(420)는 상승 동작시 얼라인시프터(420)의 각 슬로프(421)가 상기 얼라인래크(410)의 각 안착부(411)에 위치한 각 봉재(10)를 받치어 각 봉재(10)를 전방에 위치한 각 안착부(411)로 한 칸씩 이송하게 되며,

    상기 로딩유닛(500)은
    상기 얼라인유닛(400)의 상측에 설치된 고정프레임(510);
    상기 얼라인유닛(400)의 상측에 배치되되, 얼라인유닛(40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진퇴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510)에 결합된 진퇴프레임(520);
    상기 진퇴프레임(520)을 진퇴 동작시키는 프레임구동모듈(530);
    상기 진퇴프레임(5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강 동작한 상태에서 상기 얼라인래크(410)의 각 안착부(411)에 배치된 각 봉재(10)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안착부(411)와 상응하는 간격을 이루며 배열된 다수의 클램프(541)를 포함하는 그리퍼(540); 및
    상기 그리퍼(540)를 승강 동작시키는 그리퍼구동부(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유닛(600)은
    상기 로딩유닛(500)에 의해 상기 공작기계(20)에서 인출된 각 봉재(10)가 하나씩 진입할 수 있도록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안착부(611)를 갖는 배출래크(610);
    상기 배출래크(610)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배출래크(610)의 각 안착부(611)와 상응한 간격을 이루며 배열된 다수의 슬로프(621)를 갖는 배출시프터(620); 및
    상기 배출시프터(620)를 승강 동작시키는 배출구동부(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배출시프터(620)는 상승 동작시 배출시프터(620)의 각 슬로프(621)가 상기 배출래크(610)의 각 안착부(611)에 위치한 각 봉재(10)를 받치어 각 봉재(10)를 후방에 위치한 각 안착부(611)로 한 칸씩 이송하게 되며,

    상기 디버링유닛(700)은
    상기 배출래크(610)의 후단부 일측에 좌우 방향으로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디버링모터(710);
    상기 디버링모터(710)를 진퇴 동작시키는 모터구동부(720);
    상기 디버링모터(710)의 회전축에 장착되고, 디버링모터(710)의 전진 동작에 의해 상기 배출래크(610)의 안착부(611)에 배치된 봉재(10)의 중공(11)으로 진입하게 되는 스크레이퍼(730);
    상기 배출래크(610)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 동작시 상기 스크레이퍼(730)가 진입하게 될 봉재(10)를 가압 고정하게 되는 가압부재(740);
    상기 가압부재(740)를 승강 동작시키는 가압부재구동부(750); 그리고
    상기 배출래크(610)의 후단부 타측에 설치되어, 배출래크(610)의 안착부(611)에 배치된 봉재(10)의 중공(11)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게 되는 노즐(7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44015A 2014-10-23 2014-10-23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 KR101658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015A KR101658454B1 (ko) 2014-10-23 2014-10-23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015A KR101658454B1 (ko) 2014-10-23 2014-10-23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744A KR20160047744A (ko) 2016-05-03
KR101658454B1 true KR101658454B1 (ko) 2016-09-22

Family

ID=56022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015A KR101658454B1 (ko) 2014-10-23 2014-10-23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785B1 (ko) * 2023-03-23 2023-12-07 박수원 길이가 긴 자재의 이송 및 적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342B1 (ko) * 2016-07-28 2017-02-22 조호근 봉재 포장장치
KR101972417B1 (ko) * 2017-08-02 2019-04-25 정채교 내접다각형 면취장치
KR102004712B1 (ko) * 2018-06-12 2019-10-01 송재소 면취장치용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라인 절단 면취기
KR101939952B1 (ko) * 2018-07-16 2019-01-17 이유권 절삭품 연마방법
KR101939951B1 (ko) * 2018-07-16 2019-04-11 이유권 절삭품 연마장치
CN109773276A (zh) * 2019-01-29 2019-05-21 浙江长兴和良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直柱状物料的双头端部处理方法及双头端部处理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0201A (ja) * 2004-06-10 2005-12-22 Nsk Ltd 対象物搬送装置
KR100909013B1 (ko) * 2008-10-23 2009-07-22 신우씨앤엠솔루션(주) 주철관 내주면 가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559A (ja) * 1993-12-22 1995-07-11 Kawatetsu Techno Res Corp 直棒材の整列・仕分け装置
JPH08244147A (ja) * 1995-03-13 1996-09-24 Raiton Kk パイプの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0201A (ja) * 2004-06-10 2005-12-22 Nsk Ltd 対象物搬送装置
KR100909013B1 (ko) * 2008-10-23 2009-07-22 신우씨앤엠솔루션(주) 주철관 내주면 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785B1 (ko) * 2023-03-23 2023-12-07 박수원 길이가 긴 자재의 이송 및 적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744A (ko)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454B1 (ko)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
EP2050523B1 (de) Maschinelle Anordnung für die Blechbearbeitung mit einer Blechbearbeitungseinrichtung sowie mit einer Transportvorrichtung
CN109562431B (zh) 用于机器的装载和卸载装置、用于加工板状工件的机器、用于这种机器的工件支撑件及装载和卸载这种机器的方法
EP3106275B1 (en) Machine and method for processing plates
KR101573313B1 (ko) 브레이크 패드 마찰재 연속 가공장치
CN109732389A (zh) 棒料深孔钻自动上下料机
CN102699774A (zh) 一种双工位自动加工机床及其使用方法
KR20060071591A (ko) 알루미늄 튜브 자동 다발 인발장치
KR101929576B1 (ko) 멀티 홈 가공 장치
CN106087279B (zh) 缝纫设备
DE202017106030U1 (de) Honmaschine und Verwendung einer Honmaschine
CN108620930A (zh) 一种全自动化棒材加工机床
CN212761132U (zh) 车床送料装置
CN203875352U (zh) 棒料自动送料机
KR101587396B1 (ko) 봉재 자동공급장치
CN202592128U (zh) 一种双工位自动加工机床
KR101603973B1 (ko) 가공소재 자동공급장치
KR101533616B1 (ko) Cnc용 소재 자동 공급 배출 장치
KR20150136361A (ko)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
DE102004054247B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chickung einer Werkzeugmaschine
KR100647106B1 (ko) 알루미늄 튜브 다발 자동 인발용 배출트레이장치
KR20130101181A (ko) 프레스가공 소재공급 방법 및 그 장치
KR100623048B1 (ko) 알루미늄 튜브 자동 인발의 이송트레이장치
CN108436001A (zh) 一种滚丝机及其使用方法
CN110052822B (zh) 无刷转子自动组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