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752B1 -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염 멜라민 시트 - Google Patents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염 멜라민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752B1
KR101226752B1 KR1020100085997A KR20100085997A KR101226752B1 KR 101226752 B1 KR101226752 B1 KR 101226752B1 KR 1020100085997 A KR1020100085997 A KR 1020100085997A KR 20100085997 A KR20100085997 A KR 20100085997A KR 101226752 B1 KR101226752 B1 KR 101226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melamine
melamine resin
flam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416A (ko
Inventor
이시준
어수방
박윤
정병재
전병완
이원노
김미현
Original Assignee
동화홀딩스 주식회사
동화기업 주식회사
동화자연마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화홀딩스 주식회사, 동화기업 주식회사, 동화자연마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화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5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752B1/ko
Publication of KR2012002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7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2/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G12/0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 C08G12/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G12/3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substituted triazines
    • C08G12/32Mel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or mel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2/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G12/0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 C08G12/40Chemically modified polycondens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L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L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84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enolic Resins Or Amino Res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염 멜라민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포르말린과 멜라민의 축합 반응 후 난연 화합물을 첨가하여 방염 효과를 갖는 멜라민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 멜라민 수지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방염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목질 판상재 제조에 적용하기 용이하다.

Description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염 멜라민 시트{process for preparing fire retardant melamine resin and fire retardant melamine she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염 멜라민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포르말린과 멜라민의 축합 반응 후 난연 화합물을 첨가하여 방염 효과를 갖는 멜라민 수지를 제조함으로써 기존 멜라민 수지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화장판 제조에 적용하기 용이한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염 멜라민 시트에 관한 것이다.
화장시트(decorative sheet)는 통상 목재판, 섬유판, 삭편판, 합판 등의 피착재의 표면을 보호하고 장식하는 등의 목적으로 피착재의 표면에 점착되어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화장시트는 일반적으로 멜라민 수지나 요소 수지, 페놀 수지 등을 적당한 종이에 침투(함침)시켜 수지량을 조정한 후 건조기에서 반경화 상태로 될 때까지 건조시킴으로써 생산된다. 이를 일정한 길이로 재단하여 용도에 맞게 다양한 화장시트를 목질재료와 조합 적층하여 프레스에서 압력과 열을 가하여 경화시키면 화장시트와 목질재료가 일체화된 판상재가 얻어지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목질 판상재는 각종 가구나 인테리어용 등과 같은 건축 재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 중 멜라민 수지를 이용하는 LPM(low pressure melamine, 저압 멜라민) 시트는 종이에 인쇄를 하여 모양지를 만들고 이 모양지에 멜라민 수지를 함침시킨 성형용 수지시트를 말한다. LPM은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이 용이하며 다양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어 가구의 내외장재나 벽장재 등으로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표면이 매우 단단하여 외부 충격에는 매우 강하나 화재 예방에는 약한 단점이 있다. 물론 매우 단단하게 굳은 표면의 멜라민 층이 어느 정도 화재로부터 보호해주기는 하나 멜라민 층만으로는 실제 실내 건축법상 국내 소방법 기준에는 만족하지는 못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멜라민 수지에 함침된 함침지에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으로 함침된 방염층이나 방염 시트지를 추가로 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사용되어져 왔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1999-0028446호의 "난연성 기능을 갖는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에는 하부층에 크라프트지를 페놀수지에 함침하는 방법 등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방염층 처리에 다양한 무기물을 주원료로 사용한 예들이 종래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 263325호에는 무기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와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충전제를 사용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공보 제 282866호에는 페놀수지와 입자분말을 혼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2003-76482호에는 질석분을 가열처리하여 불연성 포화 세라믹접착제를 첨가한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에 언급된 방법들은 작업이 까다롭고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과 동시에 비용이 비싸며, 프레스 가공 조건을 변화시켜 다양한 불량을 야기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합성이 완료된 일반 멜라민 수지에 방염 화합물을 첨가하여 함침작업을 진행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나, 이 방법은 수지와 방염제 간의 완벽한 혼화가 안 되거나, 방염 화학물이 수지의 물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요구되는 방염성능을 위해서 다량의 방염제를 투입해야 되는데, 이렇게 되면 투명도가 떨어져 백탁이 발생되거나 심하면 침전물이 생성되게 되어 작업이 어려워지게 된다. 그리고 수지 안정성이 나빠져 함침작업 시간을 종래시간으로 유지할 수 없으며, 건조 후의 함침지도 물성저하가 올 확률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함침작업과 판상재 제조공정의 불량률이 높아지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스 가공 조건의 변화 없이 종래의 함침지 또는 화장시트를 만드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가구재나 목질 판상재에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게 설계되어 생산 및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방염효과가 우수한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염 멜라민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은 pH 7 내지 10, 40℃이하의 온도조건 하에서 포르말린과 멜라민을 투입한 다음, 반응물을 80 내지 100℃까지 승온시키는 축합 전 단계, 상기 반응물을 pH 7 내지 10, 80 내지 100℃에서 중축합하는 축합 단계 및 상기 반응물에 방염 화합물을 첨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방염 멜라민 시트는, pH 7 내지 10, 40℃이하의 온도조건 하에서 포르말린과 멜라민을 투입한 다음 반응물을 80 내지 100℃까지 승온시키는 축합 전 단계, 상기 반응물을 pH 7 내지 10, 80 내지 100℃에서 중축합하는 축합 단계 및 상기 반응물에 방염 화합물을 첨가시키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 방염 멜라민 수지를 모양지에 함침시킨 후 상기 모양지를 건조시켜 제조한다.
본 발명의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생산 및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방염 효과가 우수한 방염 멜라민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멜라민 수지의 축합 단계에서 방염 화합물을 첨가하기 때문에 수지와 방염 화합물간의 화학적 결합으로 방염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비교적 적은 양의 방염 화합물을 사용해도 우수한 방염 성능을 나타내는 멜라민 시트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염 멜라민 시트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은,
1) pH 7 내지 10, 40℃이하의 온도조건 하에서 포르말린과 멜라민을 투입한 다음 반응물을 80 내지 100℃까지 승온시키는 축합 전 단계;
2) 상기 반응물을 pH 7 내지 10, 80 내지 100℃에서 중축합하는 축합 단계; 및
3) 상기 반응물에 방염 화합물을 첨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축합 전 단계는 pH 7 내지 10, 40℃이하의 온도조건 하에서 포르말린과 멜라민을 투입한 다음, 반응물을 80 내지 100℃까지 승온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는 가장 간단한 구조를 가진 알데히드로서 메틸알데히드 또는 메탄알이라고도 한다. 화학식은 HCHO 이며 상온에서는 자극적인 냄새가 강한 기체이다. 또한 포름알데히드는 물에 잘 녹아 일반적으로 40% 전후의 수용액으로 만드는데 이것을 포르말린(formalin)이라고 부른다.
멜라민(melamine)은 C3H6N6의 화학식을 가지는 화합물로 구조상으로 2,4,6-트리아미노-1,3,4-트리아딘에 해당하며 헤테로 고리모양의 아민이다.
멜라민 한 분자 내에는 세 개의 아민 그룹이 있어 포르말린이 염기 촉매 하에서 반응하여 메틸올 그룹(methylol group)을 형성하는 메틸올레이션(methylolation)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포르말린과의 반응 몰비에 따라 각각 모노메틸올멜라민(monomethylolmelamine), 디메틸올멜라민(dimethylolmelamine), 트리메틸올멜라민(trimethylolmelamine)이 형성되게 된다. 몰비 조성에 따라 다양한 물성을 갖는 수지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르말린과 멜라민의 몰비는 1.4 내지 2.1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포르말린/멜라민의 몰비가 1.4 미만이면 반응물내에 포르말린 양보다 멜라민의 양이 너무 과량으로 인해 미 반응된 멜라민들로 인한 고분자의 축합 생성이 어려우며 작업 공정이 매우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며 불필요한 멜라민의 사용으로 인한 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나타난다. 그리고, 포르말린/멜라민의 몰비가 2.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포르말린 양의 과량으로 인해 수지가 제조되었음에도 미 반응된 포르말린으로 인한 냄새, 눈매움 등의 환경 문제 발생과 축합 반응시 미세한 조건 변화에도 물성변화 폭이 커서 작업 컨트롤이 매우 어려우며 수용성인 저점도 수지를 요구하는 함침용 수지에 맞지 않는 비수용성인 고점도 수지가 생산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pH는 7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8 내지 9.5의 범위로 유지한다.
pH가 7미만일 경우 메틸올레이션 반응이 매우 느리고 아미노 그룹을 잘 형성하지 못해 다음 단계인 축합 반응을 통한 고분자가 형성이 어려울 수 있으며 축합 반응이 일어나더라도 반응시간이 매우 길어질 수 있다. pH가 10을 초과할 경우 축합 반응시간이 단축될 수는 있으나 고분자 형성 반응이 매우 빨라 높은 점도를 가진 수지가 만들어져서 함침용으로는 사용하기 어려운 수지가 형성될 수 있다.
멜라민을 투입한 후 반응물의 온도가 80 내지 100℃에 도달할 때까지 승온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 내지 2℃/분의 속도로 온도를 상승시킨다.
온도가 80℃미만에서 반응시키면 메틸올레이션의 반응 기간이 매우 길어 축합물의 형성이 매우 느리고 적절한 고분자가 형성되지 않으며, 또한 반응 온도가 100℃를 초과할 경우 고분자의 형성이 매우 빨라 수지가 쉽게 굳거나 경화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다음에, 축합 단계는 상기 반응물을 pH 7 내지 10, 80 내지 100℃에서 중축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축합 단계는 포르말린-멜라민 반응물이 가교결합을 통해 고분자가 형성되는 반응이다.
축합 단계에서는 포르말린-멜라민의 반응으로 형성된 모노메틸올멜라민, 디메틸올멜라민, 트리메틸올멜라민이 상호 간의 축합반응을 통해 메틸렌기(methylene group)나 에테르기(ether group)로 가교결합 고분자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pH는 7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8 내지 9.5의 범위로 유지한다.
pH가 7미만일 경우 축합 반응을 통한 고분자가 형성이 어려울 수 있으며 축합반응이 일어나더라도 반응시간이 매우 길어질 수 있다. pH가 10을 초과할 경우 축합 반응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나 고분자 형성 반응이 매우 빨라 높은 점도를 가진 수지가 만들어져서 함침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수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합 단계에서 반응 온도를 80 내지 100℃를 유지한다.
온도가 80℃미만에서 반응시키면 반응 시간이 매우 길어 적절한 고분자가 형성되지 않으며, 또한 반응 온도가 100℃를 초과할 경우 고분자의 형성이 매우 빨라 수지가 쉽게 굳거나 경화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고분자 반응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시간동안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약 60분간 상기 반응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방염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방염 효과를 갖는 멜라민 수지를 제조한다.
방염 화합물로는 할로겐계 난연제, 무기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등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난연제 화합물 중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나, 인체에 해가 적고 친환경적인 인계 난연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계 난연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폴리인산 카보네이트(Poly Phosphate Carbonate), 인산 구아니딘(Phosphate Guanidine), 암모늄 포스페이트(Ammonium Phosphate),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Ammonium Poly Phosphate),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riphenyl phosphate), 레조시놀 비스다이페닐 포스페이트 (Resorcinol bis(diphenyl) phosphate), 트리메티놀프로판사이클릭메틸포스페이트메틸메탄포스페이트 (Trimethylol pane cyclic methyl phosphonate Methyl methane phosphonate)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계 난연제 화합물은 멜라민 수지가 가지고 있는 열경화성의 특성과 연계하여 인계 화합물의 작용 매커니즘인 차르(char)형성을 통해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적은 양으로도 효과적인 방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축합반응 후 방염 화합물을 첨하가여 최종적으로 방염 멜라민 수지를 제조함으로써 수지의 색상이나 기타 물성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방염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인쇄모양지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염 화합물은 상기 반응물에 대해 1 내지 10중량부로 첨가한다. 방염 화합물이 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방염효과가 제대로 나타내지 않을 수 있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본래의 수지 물성을 변형시켜 수지의 저장 안정성이 저하와 생산시 건조 조건의 변경과 필름 외관 표면 물성을 저해할 수 있다.
방염 화합물의 첨가반응은 pH는 7.5 내지 8.5,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진행시킨다. pH가 7.5미만일 경우 방염 첨가제와 멜라민 고분자간의 혼화성이 저하되어 저장 안정성 저하될 수 있고 pH가 8.5를 초과할 경우 경화시간이 길어져 프레스 작업시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온도가 0℃일 때 최종적으로 수지가 적절한 점도를 형성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온도가 60℃를 초과할 경우 여전히 고분자가 형성되는 축합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수지의 점도가 매우 높아져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방염 멜라민 시트는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방염 멜라민 수지를 모양지에 적당량 함침시킨 후 상기 모양지를 건조시켜 제조한다.
건조된 상기 방염 멜라민 시트를 목재판, 섬유판, 삭편판, 합판 등의 기재(base material)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한 후 프레스에서 압력과 열을 가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일체화된 목질 판상재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
<실시예 1>
(1) 축합 전 단계
40℃이하의 반응기내에 38.5% 포름알데히드 713.5g , 증류수 248.8g을 투입한 다음 33% NaOH를 투입하여 pH를 9로 조절하였다. 그런 다음 멜라민 700.6g을 투입한 후 1.5℃씩 45분간 온도를 올려 온도가 99℃에 도달할 때까지 승온시켰다. pH를 8.0으로 조절한 후 멜라민이 녹아 투명해지는 시점을 확인하였다.
(2) 축합 단계
99℃에서 멜라민이 녹아 투명해진 것을 확인하고 온도를 85℃로 낮춘 후 60분간 유지시켰다.
(3) 방염 화합물 첨가단계
10분 단위로 점도(cPs)를 확인하면서 점도를 40cPs 맞춘 후 온도를 40℃로 5분 안에 급냉시킨 후 pH를 7.5로 조절하였다. 방염 화함물로써 암모늄 포스페이트 (Ammonium Phosphate), 폴리 포스페이트 카보네이트(Poly Phosphate carbonate)의 혼합물을 총 중량 대비 3% 비율로 첨가한 후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하였다.
<실시예 2>
축합 전 단계에서 온도가 99℃에 도달하였을 경우 pH를 9.5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한 다음 반응을 종료하였다.
<실시예 3>
축합 단계에서 온도를 95℃ 유지시킨 후 60분간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한 다음 반응을 종료하였다.
<실시예 4>
방염 화합물 첨가 단계에서 방염 화합물을 총 중량 대비 10% 비율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한 다음 반응을 종료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방염 화합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멜라민 수지를 제조하였다.
방염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멜라민 시트의 제조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멜라민 수지 함침액에 모양지를 수지의 함침량이 150%가 되도록 함침시킨 후 모양지를 건조기에 125℃로 건조시킴으로써 방염 멜라민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염 멜라민 시트를 기재에 해당되는 HDF(High Density Fiberboard) 일면에 적층하여 압력 15~25kgf, 온도 프레스 상부 180℃, 하부 180℃에 준하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목질 판상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목질 판상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목질 판상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목질 판상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목질 판상재를 제조하였다.
방염 멜라민 수지의 물성 평가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수득한 방염 멜라민 수지 및 비교예 1에서 수득한 멜라민 수지의 방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예 5 내지 8 및 비교예 2의 판상재에 대하여 국내 소방법 11조에서 명시된 방법으로 방염성도를 측정하였다.
구 분 비교예 2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시편갯수 24 24 24 24 24
착염시편 10 0 0 0 0
잔염시편 6 0 0 0 0
합격율 33% 100% 100% 100% 100%
상기 표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염 멜라민 수지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멜라민 수지를 적용한 멜라민 시트는 국내 소방법 기준에 100% 적합하도록 방염 효과가 뛰어나며 프레스 공정의 변화가 전혀 없이 동일한 방법으로 판상재 제조가 가능하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멜라민 수지 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 점도, pH, 고형분, 저장안정성에 대해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점도 (cPs) 49.4 44.6 51.6 47.6 50.2
pH 7.60 7.65 7.62 7.62 7.60
고형분(%) 55.84 55.89 54.96 55.43 55.24
저장안정성 Clear Clear Clear Clear Clear
* 점도(cPs) : brookfield 점도계를 사용하여 25±1℃에서 측정함.
* 고형분 : 건조기에서 105±3℃에서 3시간 건조.
* 저장 안정성 : 25℃ 48시간 저장하여 백탁해지는 시점을 확인.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염 멜라민 수지의 경우 비교예 1의 경우인 멜라민 수지와 물성이 거의 차이가 없어 인쇄모양지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염 멜라민 수지는 제조방법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높으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염 멜라민 시트는 시트 자체의 방염 효과가 충분하여 판상재 제작시 별도의 방염층이 필요 없어 쉽게 적용이 가능하고 프레스 작업을 기존과 동일하게 할 수 있어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Claims (6)

1) pH 7 내지 10, 40℃ 이하의 온도조건 하에서 포르말린과 멜라민을 투입한 다음, 반응물을 80 내지 100℃ 까지 승온시키는 축합 전 단계;
2) 상기 반응물을 pH 7 내지 10, 80 내지 100℃ 에서 중축합하는 축합 단계; 및
3) 상기 반응물에 방염 화합물을 첨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방염 화합물을 첨가시키는 단계는 pH 7.5 내지 8.5, 40 내지 60℃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방염 화합물은 할로겐계 난연제; 무기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인계 난연제는 폴리인산 카보네이트, 인산 구아니딘,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레조시놀 비스다이페닐 포스페이트, 트리메티놀프로판사이클릭메틸포스페이트메틸메탄포스페이트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
삭제
제1항에 있어서, 포르말린과 멜라민의 몰비가 1.4 내지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합 단계는 pH 8 내지 9.5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염 화합물은 상기 반응물에 대해 1 내지 10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염 멜라민 수지를 모양지에 함침시킨 후 상기 모양지를 건조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멜라민 시트.
KR1020100085997A 2010-09-02 2010-09-02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염 멜라민 시트 KR101226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997A KR101226752B1 (ko) 2010-09-02 2010-09-02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염 멜라민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997A KR101226752B1 (ko) 2010-09-02 2010-09-02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염 멜라민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416A KR20120022416A (ko) 2012-03-12
KR101226752B1 true KR101226752B1 (ko) 2013-01-25

Family

ID=4613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997A KR101226752B1 (ko) 2010-09-02 2010-09-02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염 멜라민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7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235B1 (ko) 2014-07-01 2014-10-13 지에스산건 주식회사 방염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290293B1 (ko) 2020-12-10 2021-08-19 주식회사 프린테크엘피엠 항균 및 항곰팡이 기능을 갖는 멜라민 시트,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612A (ko) * 2000-04-15 2001-11-08 스타르크, 카르크 멜라민 수지 발포체
JP2008189748A (ja) * 2007-02-02 2008-08-21 Eidai Co Ltd メラミン樹脂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612A (ko) * 2000-04-15 2001-11-08 스타르크, 카르크 멜라민 수지 발포체
JP2008189748A (ja) * 2007-02-02 2008-08-21 Eidai Co Ltd メラミン樹脂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235B1 (ko) 2014-07-01 2014-10-13 지에스산건 주식회사 방염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290293B1 (ko) 2020-12-10 2021-08-19 주식회사 프린테크엘피엠 항균 및 항곰팡이 기능을 갖는 멜라민 시트,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416A (ko) 201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6885C (en) Polymer-aldehyde binding system for manufacture of wood products
EP1042382B1 (en) Cyclic urea-formaldehyde prepolymer for use in phenol-formaldehyde and melamine-formaldehyde resin-based binders
US20020054994A1 (en) Cyclic urea-formaldehyde prepolymer for use in phenol-formaldehyde and melamine-formaldehyde resin-based binders
KR101911225B1 (ko) 친환경 합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판
US20030099850A1 (en) Low formaldehyde emission coatings and binders from formaldehyde-based resins
KR101226752B1 (ko)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염 멜라민 시트
CN105131223A (zh) 一种用于亚麻屑刨花板的三聚氰胺改性树脂胶及制备方法
KR101805463B1 (ko) 목재용 방염액, 이의 제조방법 및 목재보드
KR101017870B1 (ko) 중밀도섬유판 제조용 멜라민-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 접착제의 제조방법
DE10313200A1 (de) Prepregs für Faserverbunde hoher Festigkeit und Elastizität
JPH0559146B2 (ko)
US6818729B2 (en) Thermosetting resi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137408B1 (ko)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공법
KR100679330B1 (ko) 난연성을 갖는 함침무늬목의 제조방법 및 이용하여 제조된난연성 합판
KR100933974B1 (ko) 칸막이와 문짝용 불연성 열경화성 수지 강판 마감재의 제조방법
KR20190009815A (ko) 난연성 폴리에테르 폴리올 믹스쳐의 제조방법
EP3962990B1 (en) Melamine formaldehyde foam with reduced formaldehyde emission
JPS63284215A (ja) 水溶性含浸用樹脂の製造方法
KR20240029317A (ko) 친환경 파티클 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친환경 파티클 보드
JP3851508B2 (ja) メラミン樹脂系成形物及び積層板並びにメラミン樹脂系成形物の成形方法
CN117360013A (zh) 胶纸、lpm浸渍纸、含其的无机材料环保加工板及制造方法
CN106398611B (zh) 地板基材用环保胶粘接剂配方和制备方法
CN117385671A (zh) 一种低甲醛释放的三聚氰胺浸渍纸制备方法及其应用
EP3843994A1 (en) Novel coated articles and their method of manufacturing and use
KR20210056175A (ko) 수성 바인더용 페놀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