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408B1 -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공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408B1
KR102137408B1 KR1020200037502A KR20200037502A KR102137408B1 KR 102137408 B1 KR102137408 B1 KR 102137408B1 KR 1020200037502 A KR1020200037502 A KR 1020200037502A KR 20200037502 A KR20200037502 A KR 20200037502A KR 102137408 B1 KR102137408 B1 KR 102137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henolic resin
eco
flame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원
Priority to KR1020200037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nother layer of paper or cardboar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6Pressing and sintering powders, granules o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3/20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29C43/206Making multilayered articles by pressing the material between two preformed layers, e.g. deformabl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0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haracterised by the laying up of the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G8/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 C08G8/0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of formaldehyde, e.g. of formaldehyde formed in situ
    • C08G8/1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of formaldehyde, e.g. of formaldehyde formed in situ with phenol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4Ignifuge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8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2Paper, e.g. cardboard
    • B32B2317/122Kraft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2Paper, e.g. cardboard
    • B32B2317/125Paper, e.g. cardboard impregnated with thermosetting resin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층을 중심으로 그 양면에, 멜라민 수지 함침 모양지층 및 UV 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 및 가열가압성형된 고밀도 압축 패널로,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층에 있어서 페놀수지는 페놀류에 대한 포름알데하이드류의 몰비가 0.9 내지 1인 소프트타입 페놀수지 65 내지 75중량%와 페놀류에 대한 포름알데하이드류의 몰비가 1.8 내지 2.0인 하드타입 페놀수지 25 내지 35중량%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고밀도 목재패널을 외장재로서 특화시킨 친환경적이면서 방염 및 내수성이 향상된 외장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공법{Eco-friendly exterior panel with excellent flame retardant}
본 발명은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밀도 목재패널을 외장재로서 특화시킨 친환경적이면서 방염 및 내수성이 향상된 외장 패널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벽을 마감하는 자재로 내구성과 온도조절 기능이 강한 일명, 고밀도 목재패널이 건축가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고밀도 목재패널은 목질섬유나 천연펄프 섬유를 적층하여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성형한 내·외장재이다.
이와 관련하여 유럽특허 제1185587호에는 목질섬유(wood-fiber) 반가공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는데, 이는 열경화형 축합 수지로 코팅된 압축 목질섬유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 목질섬유 반제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열경화성 축합수지로 둘러싸인 압축된 목질섬유를 포함하며, 목질섬유의 함침도는 건조 목질섬유에 대하여 축합 수지 혼합물 또는 혼합된 축합수지 형태의 고형분 수지 30 내지 60%이고, 축합수지로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의 고체상 수지 함량은 건조 목재 함량에 대해 최대 45%이고, 축합수지로서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의 고체상 수지 함량은 건조 목재섬유에 대해 15% 이내이며, 열경화성 멜라민-포름알데히드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는 추가적으로 왁스층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질섬유 반제품은 특수 축합 수지 혼합물 또는 혼합 축합 형태의 목질 섬유와 밀봉제 사이의 조정된 화학적 및 물리적 상호 작용에 기인하여 다양한 기후 조건 하에서 치수 안정성이 있으며, 이러한 반제품에서 생산되는 목재 섬유 파티클 보드는 내·외장재로 유용한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목질섬유 반제품을 이용하여 목질섬유 압축보드를 제조할 수 있는데, 이는 목질섬유 반제품이 적어도 일면에 모양지층을 포함하며, 이러한 압축보드는 상승된 압력과 온도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양지층과 함께 가압됨으로써 수지로 코팅된 목질섬유상의 축합수지들이 B-스테이지에서 C-스테이지로 전환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한편, 국내특허 등록 제10-1062896호에는 종이와 열경화성수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는데, 데크(DECK)를 비롯한, 발코니, 테라스, 사이딩, 난간, 휀스, 루버로 사용되는 건축용 내외장재가, 페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페놀수지의 몰비(포름알데히드의 몰수/페놀의 몰수)가 1.95 내지 2.05로 조성된 조성의, 순도 37%의 포르마린 100 내지 105 중량부와, 순도 90%의 파라포름알데히드 25 내지 30 중량부 및, 페놀수지의 pH 조절제인 순도 50%의 수산화나트륨 0.5 내지 5중량부로 조성된 페놀수지가, 종이시트인 다수개의 크라프트지에 함침, 압착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표면이 음각으로 스크래치(홈파기)된 구성의 음각 스크래치층이 구비된 열경화성수지 고압화장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와 열경화성수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재이다. 여기서는, 기재층을 구성하는 페놀수지로서 포름알데히드와 페놀의 몰비를 비교적 크게 조성함으로써 수지의 결합력을 극대화 하여, 데크(DECK)를 비롯한 발코니, 테라스, 사이딩, 난간, 휀스, 루버인 건축용 내외장재의 내구성과 내수성, 충격강도, 내마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밀도 목재패널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함침수지로는 내열성이 우수한 페놀수지를 이용해오고 있는데, 실질적으로 이러한 고밀도 목재패널을 건축용 외장재로 특화시키기 위해서는 가혹한 외부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내후성은 물론이고, 화재발생시에 대형화재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방염성을 만족시켜야 한다. 고밀도 목재패널의 경우 특히 다양한 칼라를 구현하고 다양한 형태로 가공이 용이함을 장점으로 가짐에 따라 관공서, 학교 및 학원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데, 화재 발생시에 잔염시간이나 잔신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화재가 확산되어 대형화재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설을 감안할 때 친환경적이어야 하는데, 페놀수지를 함침수지로 이용함에 따라서 발생될 수 있는 포름알데하이드 방출량, 톨루엔 방출량,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방출량 등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친환경성과 내후성, 특히 내수성 및 방염성은 서로 양립되는 물성으로, 이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고밀도 목재패널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층을 포함하는 고밀도 압축패널로서 방염성과 내수성을 향상시키면서, 친환경적이어서 특히 건축용 외장재로 유용한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층을 중심으로 그 양면에, 멜라민 수지 함침 모양지층 및 UV 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 및 가열압축성형된 고밀도 압축 패널이며, 상기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층에 있어서 페놀수지는 페놀류에 대한 포름알데하이드류의 몰비가 0.9 내지 0.95인 소프트타입 페놀수지 65 내지 75중량%와 페놀류에 대한 포름알데하이드류의 몰비가 1.9 내지 2.0인 하드타입 페놀수지 25 내지 35중량%의 혼합물인 것인,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에 있어서, 소프트타입 페놀수지는 암모니아의 존재 하에, 포름알데하이드류와 페놀류와의 반응몰비가 0.9 내지 1:1로 되도록 축중합 반응시켜 얻어진 수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에 있어서, 하드타입 페놀수지는 금속수산화물의 염기성 촉매의 존재 하에, 포름알데하이드류와 페놀류와의 반응몰비가 1.8 내지 2.0:1로 되도록 축중합 반응시켜 얻어지며, 150℃에서의 겔화시간이 80 내지 120sec인 수지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에 있어서, 금속수산화물의 염기성 촉매는 1가의 금속수산화물과 2가의 금속수산화물과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에 있어서, 1가의 금속수산화물은 수산화나트륨이고, 2가의 금속수산화물은 수산화칼슘 또는 수산화바륨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은, KS F 3200에 의거하여 측정한 밀도가 1.3 내지 1.5g/㎤이고, 함수율이 1.0%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은, KS F 3200에 의거하여 측정한 습윤시 휨강도가 길이 방향으로 120 내지 130MPa이고, 너비 방향으로 160 내지 170MPa이며, 함수율이 1.0% 이내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은, 소방청고시 제2019-2호에 따른 방염성능기준 시험에 있어서 잔염시간이 10 초 이내이고, 잔신시간이 30 초 이내이며, 탄화면적이 50 ㎠ 이내이고, 탄화길이가 20 cm 이내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은, KS M 1998에 의거하여 측정한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량이 0.02mg/㎡·h 이내이고, 톨루엔 방출량이 0.001mg/㎡·h 이내이며,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이 0.015mg/㎡·h 이내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은, KS M ISO 4892-2에 의거한 촉진내후성 3,000시간 실험에서 ΔE* ab값이 2.5 이하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모양지를 멜라민 수지에 함침하여 멜라민 수지 함침 모양지를 제조하는 단계; 페놀류에 대한 포름알데하이드류의 몰비가 0.9 내지 0.95인 소프트타입 페놀수지 65 내지 75중량%와 페놀류에 대한 포름알데하이드류의 몰비가 1.9 내지 2.0인 하드타입 페놀수지 25 내지 35중량%을 혼합하여 페놀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고, 여기에 난연제를 첨가하여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를 제조한 다음, 크라프트지를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에 함침시켜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를 제조하는 단계;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UV 차단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 다수를 적층하고, 그 양면에 멜라민 수지 함침 모양지 및 UV 차단 필름을 대칭적으로 순차적층하는 단계; 및 가열압축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공법에 있어서, 소프트타입 페놀수지는 암모니아의 존재 하에, 포름알데하이드류와 페놀류와의 반응몰비가 0.9 내지 1:1로 되도록 축중합 반응시켜 얻어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공법에 있어서, 하드타입 페놀수지는 금속수산화물의 염기성 촉매의 존재 하에, 포름알데하이드류와 페놀류와의 반응몰비가 1.8 내지 2.0:1 되도록 축중합 반응시켜 얻어지며, 150℃에서의 겔화시간이 80 내지 120sec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공법에 있어서,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를 제조하는 단계는 수지 성분함량(Resin content)이 30 내지 40중량%이고, 수지 흐름성(resin flow percent)이 1.0 내지 5.0% 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공법에 있어서, 멜라민 수지 함침 모양지를 제조하는 단계는 수지 성분함량(Resin content)이 50 내지 60중량%이고, 휘발성분 함량(volatile content)이 4.8 내지 6.0% 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공법에 있어서, 압축성형하는 단계는 120 내지 160℃의 온도범위 내에서 50 내지 100kg/㎠의 가압하에서 0.5 내지 1시간 동안 가압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총 포름알데하이드 함량을 낮추면서 방염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건축용 외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난연제의 분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방염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키면서 친환경적인 고밀도 목재패널을 제조하는 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의 일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도 2) 및 비교 1(도 3) 내지 비교 2(도 4)에 따른 외장 패널의 방염성능시험 사진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의 일 단면도로, 이는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층(10)을 중심으로 그 양면에, 멜라민 수지 함침 모양지층(20) 및 UV 코팅층(30)이 순차적으로 적층 및 압축성형된 고밀도 압축 패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층(10)은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11)를 다수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크라프트지는 크라프트 펄프로 제조되는 종이로 이는 강인한 종이이다. 이를 멜라민수지나 페놀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에 함침시킨 후 고온, 고압으로 열경화시켜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 등으로 활용하여 왔다.
통상 이러한 열경화성수지 화장판 등은 내열성이나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내부자재로 유용하나, 이를 외장재로 적용하는 데 있어서는 내수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장재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염성이 요구된다. 그러면서도 친환경적일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물성을 모두 충족하는, 건축용 외장재로 특화된 고밀도 압축패널을 제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층(10)에 있어서 페놀수지가 페놀류에 대한 포름알데하이드류의 몰비가 0.9 내지 1인 소프트타입 페놀수지 65 내지 75중량%와 페놀류에 대한 포름알데하이드류의 몰비가 1.8 내지 2.0인 하드타입 페놀수지 25 내지 35중량%의 혼합물인 경우, 친환경적이면서도 내수성과 방염성이 우수한 건축용 외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소프트타입 페놀수지는 당업계에서 함침용 수지로 이용되어 온 페놀수지로, 이는 페놀류에 대한 포름알데하이드류의 몰비가 0.9 내지 1인 페놀수지이며, 구체적으로는 암모니아의 존재 하에, 포름알데하이드류와 페놀류와의 반응몰비가 0.9 내지 1:1이 되도록 축중합 반응시켜 얻어진 수지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소프트타입 페놀수지만을 함침수지로 하는 경우 크라프트지를 함침하는 함침수지액으로서의 농도 등 가공성의 측면에서는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함침수지액에 난연제를 분산시켜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를 제조하는 경우 방염성 시험에서 잔염시간 내지 잔신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내수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서 착안하여 이러한 소프트타입 페놀수지에, 페놀류에 대한 포름알데하이드류의 몰비가 1.8 내지 2.0인 하드타입 페놀수지를 혼용한 결과, 여기에 난연제를 분산시켜 크라프트지를 함침시키는 경우, 결과된 크라프트지가 방염시험에서 불꽃이나 불똥을 남기지 않고 바로 꺼지는 우수한 방염성을 실현할 수 있었다. 더욱이 내수성도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하드타입 페놀수지는 금속수산화물의 염기성 촉매의 존재 하에, 포름알데하이드류와 페놀류와의 반응몰비가 1.8 내지 2.0:1로 되도록 축중합 반응시켜 얻어지며, 150℃에서의 겔화시간이 80 내지 120sec인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하드타입 페놀수지는 금속수산화물의 염기성 촉매로서 1가의 금속수산화물과 2가의 금속수산화물과의 혼합물을 혼용하는 것이 내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1가의 금속수산화물은 수산화나트륨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2가의 금속수산화물은 수산화칼슘 또는 수산화바륨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일예에서는 1가의 금속수산화물로서 수산화나트륨과 2가의 금속수산화물로서 수산화바륨을 혼용하여 촉매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층(10)에 있어서 페놀수지를 소프트타입 페놀수지와 하드타입 페놀수지로 혼용하는 경우 그 혼용비를 제어하여야 총 포름알데하이드량을 낮추면서도 최선의 방염성 및 내수성을 발현할 수 있는데, 그 혼합비는 좋기로는 전체 페놀수지 중 소프트타입 페놀수지의 함량이 65 내지 75중량%이고, 하드타입 페놀수지의 함량이 25 내지 35중량%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만일, 소프트타입 페놀수지의 함량이 전체 페놀수지 중량에 대하여 65중량% 미만이면 외장 패널의 가공성이 나빠지고 취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75중량% 초과면 방염성 및 내수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하드타입 페놀수지의 함량이 전체 페놀수지 중량에 대하여 25중량% 미만이면 방염성 및 내수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5중량% 초과면 외장 패널의 가공성이 나빠지고 취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가장 좋기로는 소프트타입 페놀수지 70중량%에 하드타입 페놀수지를 30중량% 되도록 혼용한 것이다.
상기 및 이하의 기재에서, 페놀수지를 구성하는 포름알데하이드류는 포름알데하이드 또는 파라포름알데하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반응성 측면에서 포름알데하이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및 이하의 기재에서, 페놀수지를 구성하는 페놀류는 통상적으로 페놀수지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페놀류를 들 수 있으며, 일예로 페놀, 크레졸, 크실레졸, 비스페놀류 등을 들 수 있으며, 좋기로는 페놀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및 이하의 기재에서, 페놀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촉매의 함량은 반응시간이나 페놀수지의 물성을 고려하여 페놀류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이내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및 이하의 기재에서, 난연제는 건축용 열경화형 내·외장재 분야, 특히 함침수지로서 페놀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서 잘 알려진 난연제들이면 그 제한이 없으며, 특히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측면에서 비할로겐계 난연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예로 인계난연제를 들 수 있는데, 이는 구체적으로는 인산에스테르계(포스페이트계)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함량은 페놀수지 함침액의 수지고형분 함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은 이와 같은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층(10)의 양면에, 멜라민 수지 함침 모양지층(20)과 UV 코팅층(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대칭적 적층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멜라민수지 함침 모양지층(20)은 모양지(decorative pater)를 멜라민 수지 함침액에 함침하고 건조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그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은 멜라민수지 함침 모양지층(20)을 통해 다양한 무늬나 색상의 구현이 가능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멜라민수지 함침 모양지층은 화학적 및 열적으로 내구성인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장 패널로서의 충분한 내후성을 고려하여 최표면에 포함되는 UV 코팅층(30)은 UV 차단효과를 갖는 투명한 필름층으로, 이를 통해 내오염성과 내후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UV 코팅층은 UV 차단효과를 갖는 코팅액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나, 공정의 용이성 측면에서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투명한 필름형태, 구체적으로는 가열압축성형을 고려하여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필름형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은 이러한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층(10), 멜라민수지 함침 모양지층(20) 및 UV 코팅층을 포함하며, 이러한 층들이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층(10)을 중심으로 멜라민수지 함침 모양지층(20)과 UV 코팅층(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고온고압으로 압축성형된 것으로, 이는 좋기로는 밀도가 1.3 내지 1.5g/㎤ 정도인 고밀도 압축패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은 내수성이 우수한데, 구체적으로 KS F 3200에 의거하여 측정한 습윤시 휨강도가 길이 방향으로 120 내지 130MPa이고, 너비 방향으로 160 내지 170MPa이며, 함수율이 1.0% 이내를 만족할 수 있다. 이로써 외장재로 적용시 눈비와 같은 가혹한 외부환경에서 누수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은 방염성 측면에서, 소방청고시 제2019-2호에 따른 방염성능기준 시험에 있어서 잔염시간이 10 초 이내이고, 잔신시간이 30 초 이내이며, 탄화면적이 50 ㎠ 이내이고, 탄화길이가 20 cm 이내인 특성을 만족한다. 특히 잔염시간이나 잔신시간이 0초에 가까운 정도로, 이로써 화재발생시에 바로 꺼지면서 불꽃이나 불똥을 남기지 않아 대형화재로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은 친환경적인데, KS M 1998에 의거하여 측정한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량이 0.02mg/㎡·h 이내이고, 톨루엔 방출량이 0.001mg/㎡·h 이내이며,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이 0.015mg/㎡·h 이내를 만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와 같이 내수성과 방염성을 충족하면서도 이와 같이 친환경적인 외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은 내후성의 측면에서, KS M ISO 4892-2에 의거한 촉진내후성 3,000시간 실험에서 ΔE* ab값이 2.5 이하를 만족하여, 실질적으로 건축 외장재는 물론이고 자동차용 외장재로도 적용할 정도의 내후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친환경적이면서 방염성과 내수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외장 패널은,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양지를 멜라민 수지에 함침하여 멜라민 수지 함침 모양지를 제조하는 단계;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를 제조하는 단계; 자외선 차단용 코팅층을 포함하는 UV 차단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 다수를 적층하고, 그 양면에 멜라민 수지 함침 모양지 및 UV 차단 필름을 대칭적으로 순차적층하는 단계; 및 가열압축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를 제조하는 단계는 페놀류에 대한 포름알데하이드류의 몰비가 0.9 내지 1인 소프트타입 페놀수지 65 내지 75중량%와 페놀류에 대한 포름알데하이드류의 몰비가 1.8 내지 2.0인 하드타입 페놀수지 25 내지 35중량%을 혼합하여 페놀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고, 여기에 난연제를 첨가하여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를 제조한 다음, 크라프트지를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에 함침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소프트타입 페놀수지와 하드타입 페놀수지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상술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소프트타입 페놀수지와 하드타입 페놀수지를 선 배합하고, 여기에 난연제를 첨가하여 함침 수지액을 제조하는 경우 난연제의 분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특히 하드타입 페놀수지와 난연제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방염성 및 내수성이 보다 향상된 패널을 얻을 수 있다.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를 제조하는 단계는 수지 성분함량이 (Resin content)이 30 내지 40중량% 되도록 수행되는 것이 층간접착력, 밀도, 휨강도 성능 등 제반물성 및 외관 등의 측면에서 있어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수지 흐름성(resin flow percent)이 1.0 내지 5.0% 되도록 수행되는 것이 가열가압 성형에 적합한 함침경화성을 갖는 측면 및 생산성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멜라민수지 함침 모양지를 제조하는 단계는 우선적으로 멜라민수지를 합성하게 되는데, 멜라민수지는 가요성 멜라민수지 바니시로, 이는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반응시켜 얻어진 것일 수 있으며, 고형분 함량이 50 내지 60중량%이고, 150℃에서의 겔화시간이 100 내지 130sec가 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와 같이 얻어진 멜라민수지 함침액에 모양지를 함침시키고 건조하여, 바람직하게는 수지 성분함량(Resin content)이 50 내지 60중량%이고, 휘발성분 함량(volatile content)이 4.8 내지 6.0중량% 되도록 멜라민수지 함침 모양지를 제조할 수 있다. 멜라민수지 함침 모양지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수지성분 함량이 50 내지 60중량% 되도록 하는 것이 층간접착력 및 내화학성,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내오염성, 내충격성 등 제반물성 및 외관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고, 휘발성분 함량이 4.8 내지 6.0중량% 되도록 하는 것이 미반응 잔류물을 줄일 수 있는 측면 및 층간접착력 및 생산성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UV 차단 필름을 준비하는데, 이는 당업계에 알려진 상품화된 UV 차단필름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기재에 UV 안정제가 포함되어 있는 UV 차단 아크릴계 필름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 멜라민수지 함침 모양지 및 UV 차단 필름이 준비되면,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를 다수로 적층하고, 이를 중심으로 양면에 멜라민수지 함침 모양지 및 UV 차단 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킨다. 이때 적층구조적으로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를 중심으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대칭적인 구조라 함은 층의 적층 순서에 있어서 대칭적인 것일 수 있으며, 각 층의 두께가 완전 동일하게 적층되어야 하는 것으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적층구조를 가열압축성형하는 단계는 120 내지 160℃의 온도범위 내에서, 50 내지 100kg/㎠의 압력으로, 0.5 내지 1시간 동안 가열가압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가열압축성형을 통해 각 층에 포함된 함침수지액의 완전한 경화가 이루어져 층간 완전한 결합이 완료되고 열경화성 수지로서의 요구 물성을 발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구체적인 성능평가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패널을 제작하였다.
(1) 멜라민수지 함침 모양지층의 제조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 트리에탄올아민, 메탄올,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90℃에서 3 내지 4시간 동안 반응시켜 고형분 함량이 58중량%이고, 150℃에서의 겔화시간이 120sec인 멜라민 수지를 합성하였다. 이때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 트리에탄올아민의 반응몰비는 1:1.8:0.07 이었다.
이와 같이 얻어진 멜라민 수지에 모양지를 함침시켜 건조하여, 수지성분 함량(R/C)이 58중량%이고, 휘발성분 함량(V/C)이 4.8 내지 6.0중량%인 멜라민수지 함침 모양지를 제조하였다(두께 0.10 ~ 0.15㎜ ).
(2)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층의 제조
페놀, 포름알데하이드 및 암모니아수를 이용하여 소프트타입 페놀수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페놀에 대한 포름알데하이드의 몰비는 0.96이었다.
한편, 페놀, 포름알데하이드, 가성소다, 수산화바륨을 이용하여 반응시키고 겔화시간 100sec에서 진공탈수하여 물을 제거하고, 여기에 메탄올 136부를 투입하여 희석하여 하드타입 페놀수지를 제조하였다. 하드타입 페놀수지의 제조에 있어서 페놀에 대한 포름알데하이드의 몰비는 2가 되도록 하였으며, 가성소다와 수산화바륨의 혼용비는 1.997 : 1 중량비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소프트타입 페놀수지와 하드타입 페놀수지를 70:30중량비로 혼용하고 여기에 포스페이트계 난연제(상품명 Reofosㄾ 65, LANXESS Solutions Korea Inc. 제품)를 8중량부(수지 고형분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여,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크라프트지를 함침시켜 건조하여, 수지성분 함량(R/C)이 35중량%이고, 수지흐름성(resin flow)이 3%인,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를 제조하였다(두께 0.3mm).
(3) UV 차단 필름
RㅦHM GmbH사로부터 구입한 UV 안정제가 포함된 아크릴계 필름을 준비하였다.
(4) 적층 및 가열가압 성형
상기 (2)로부터 얻어진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를 34 ~ 36 장 적층하고, 그 양면에 각각 (1)로부터 얻어진 멜라민수지 함침 모양지 및 (3)의 UV 코팅필름을 순차적층되도록 적층하였다.
다음 130℃에서 40분 동안, 70kg/㎠의 조건으로 가열가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장 패널을 제작하였다(전체 두께 8.0mm).
이와 같이 얻어진 외장 패널에 대하여 제반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본 발명 비교 1' 비교 2'' 시험방법
밀도(g/㎠) 1.40 1.39 1.39 KS F 3200: 2016
함수율(%) 0.5 15.0 14.7 KS F 3200: 2016
습윤시 휨강도
(가로)(MPa)
169.9 52.1 56.9 KS F 3200: 2016
습윤시 휨강도
(세로)(MPa)
127.3 37.2 40.5 KS F 3200: 2016
평면인장강도(MPa) 1.0 0.9 1.0 KS F 3200: 2016
방염성능 이상없음 표 2 기재 참조 표 2 기재 참조 소방청고시 제2019-2호 2019.1.10
내충격성/내오염성 이상없음 - - KS F 3200: 2016
내산성/내알칼리성 이상없음 - - KS F 3200: 2016
TVOC(mg/㎡·h) 0.019 - - KS M 1998: 2017
톨루엔방출량
(mg/㎡·h)
0.001 미만 - - KS M 1998: 2017
포름알데하이드방출량
(mg/㎡·h)
0.014 - - KS M 1998: 2017
염수분무 1,000시간 이상없음 - - KS D 9502: 2009
촉진내후성 3,000시간
(ΔE* ab)
2.1 이하 - - KS M ISO 4892-2: 2017
㈜ 비교 1': 난연제(페놀수지 고형분 함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8중량부)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층에 있어서, 페놀수지가 소프트타입 페놀수지 단독으로 제조된 경우의 일예
비교 2'': 난연제(페놀수지 고형분 함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6중량부)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층에 있어서, 페놀수지가 소프트타입 페놀수지 단독으로 제조된 경우의 일예
상기 표 1의 기재에 있어서, 비교 1과 2의 실험 결과치에 있어서 내충격성 이하의 평가는 수행하지 않았는바, 하기 표 2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염성능 시험 결과에 있어서 열등한 결과를 확인하여, 목적하는 외장 패널로 부적합하였기 때문에 부가적인 실험들은 수행하지 않았다.
상기 표 1에 기재된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의 패널은 내수성과 방염성이 우수하면서도 친환경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방염성능 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 표 2로 나타내었다.
방염성능 시험은 한국방염시험연구원(KFPI)에 의뢰하여 소방청고시에 따라 수행한 결과이다.
시험항목 본 발명 비교 1* 비교 2**
잔염시간(초) 0.0 49.9 7.6
잔신시간(초) 0.0 58.1 0.0
탄화면적(㎠) 17.4 21.4 27.2
탄화면적(cm) 6.7 6.2 7.6
실험 결과 사진을 도 2 내지 도 4로 첨부하였는바, 도 2는 본 발명 패널의 실험결과이고, 도 3은 비교 1, 그리고 도 4는 비교 2의 결과이다.
상기 표 2 및 도 2 내지 4의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의 패널은 방염성능에 있어서 특히 잔염시간이나 잔신시간이 현저히 단축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비교 2의 경우 난연제를 본 발명과 대비하여 200% 더 첨가한 경우인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난연제를 다량 첨가하는 경우와 대비하여서도 오히려 방염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6)

  1.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층을 중심으로 그 양면에, 멜라민 수지 함침 모양지층 및 UV 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 및 가열가압성형된 고밀도 압축 패널이며,
    상기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층에 있어서 페놀수지는 페놀류에 대한 포름알데하이드류의 몰비가 0.9 내지 1인 소프트타입 페놀수지 65 내지 75중량%와 페놀류에 대한 포름알데하이드류의 몰비가 1.8 내지 2.0인 하드타입 페놀수지 25 내지 35중량%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소프트타입 페놀수지는 암모니아의 존재 하에, 포름알데하이드류와 페놀류와의 반응몰비가 0.9 내지 1:1로 되도록 축중합 반응시켜 얻어진 수지이고, 하드타입 페놀수지는 금속수산화물의 염기성 촉매의 존재 하에, 포름알데하이드류와 페놀류와의 반응몰비가 1.8 내지 2.0:1로 되도록 축중합 반응시켜 얻어지며, 150℃에서의 겔화시간이 80 내지 120sec인 수지인 것인,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수산화물의 염기성 촉매는 1가의 금속수산화물과 2가의 금속수산화물과의 혼합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1가의 금속수산화물은 수산화나트륨이고, 2가의 금속수산화물은 수산화칼슘 또는 수산화바륨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KS F 3200에 의거하여 측정한 밀도가 1.3 내지 1.5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KS F 3200에 의거하여 측정한 습윤시 휨강도가 길이 방향으로 120 내지 130MPa이고, 너비 방향으로 160 내지 170MPa이며, 함수율이 1.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소방청고시 제2019-2호에 따른 방염성능기준 시험에 있어서 잔염시간이 10 초 이내이고, 잔신시간이 30 초 이내이며, 탄화면적이 50 ㎠ 이내이고, 탄화길이가 20 c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KS M 1998에 의거하여 측정한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량이 0.02mg/㎡·h 이내이고, 톨루엔 방출량이 0.001mg/㎡·h 이내이며,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이 0.015mg/㎡·h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10. 제 1 항에 있어서, KS M ISO 4892-2에 의거한 촉진내후성 3,000시간 실험에서 ΔE* ab값이 2.5 이하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11. 모양지를 멜라민 수지에 함침하여 멜라민 수지 함침 모양지를 제조하는 단계;
    암모니아의 존재 하에, 포름알데하이드와 페놀과의 반응몰비가 0.9 내지 1:1로 되도록 축중합 반응시켜 얻어지고, 페놀류에 대한 포름알데하이드류의 몰비가 0.9 내지 1인 소프트타입 페놀수지 65 내지 75중량%와 금속수산화물의 염기성 촉매의 존재 하에, 포름알데하이드와 페놀과의 반응몰비가 1.8 내지 2.0:1 되도록 축중합 반응시켜 얻어지며, 150℃에서의 겔화시간이 80 내지 120sec이고, 페놀류에 대한 포름알데하이드류의 몰비가 1.8 내지 2.0인 하드타입 페놀수지 25 내지 35중량%을 혼합하여 페놀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고, 여기에 난연제를 첨가하여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를 제조한 다음, 크라프트지를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에 함침시켜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를 제조하는 단계;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UV 차단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 다수를 적층하고, 그 양면에 멜라민 수지 함침 모양지 및 UV 차단 필름을 대칭적으로 순차적층하는 단계;
    및 가열압축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공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를 제조하는 단계는 수지 성분함량(Resin content)이 30 내지 40중량%이고, 수지 흐름성(resin flow percent)이 1.0 내지 5.0% 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공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멜라민 수지 함침 모양지를 제조하는 단계는 수지 성분함량(Resin content)이 50 내지 60중량%이고, 휘발성분 함량(volatile content)이 4.8 내지 6.0% 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공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가열압축성형하는 단계는 120 내지 160℃의 온도범위 내에서, 50 내지 100kg/㎠의 압력으로, 0.5 내지 1시간 동안 가열가압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공법.
KR1020200037502A 2020-03-27 2020-03-27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공법 KR102137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502A KR102137408B1 (ko) 2020-03-27 2020-03-27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502A KR102137408B1 (ko) 2020-03-27 2020-03-27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408B1 true KR102137408B1 (ko) 2020-07-27

Family

ID=7189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502A KR102137408B1 (ko) 2020-03-27 2020-03-27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4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243B1 (ko) * 2021-03-23 2021-10-18 이자영 고밀도 압축목재패널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2695A (ja) * 2003-10-31 2005-05-26 Dainippon Ink & Chem Inc 耐火物用組成物
KR101062896B1 (ko) * 2011-03-24 2011-09-08 김철환 종이와 열경화성수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33743B1 (ko) * 2013-05-14 2013-11-27 (주)이삭테크 친환경 합성 목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합성 목재
KR20160049599A (ko) * 2014-10-27 2016-05-10 주식회사 섬들채 천일염을 포함하는 건축 내장용 마감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66422B1 (ko) * 2016-12-12 2018-07-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에 안전한 발열패널
KR20190111251A (ko) *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멜텍 건축 자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2695A (ja) * 2003-10-31 2005-05-26 Dainippon Ink & Chem Inc 耐火物用組成物
KR101062896B1 (ko) * 2011-03-24 2011-09-08 김철환 종이와 열경화성수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33743B1 (ko) * 2013-05-14 2013-11-27 (주)이삭테크 친환경 합성 목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합성 목재
KR20160049599A (ko) * 2014-10-27 2016-05-10 주식회사 섬들채 천일염을 포함하는 건축 내장용 마감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66422B1 (ko) * 2016-12-12 2018-07-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에 안전한 발열패널
KR20190111251A (ko) *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멜텍 건축 자재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243B1 (ko) * 2021-03-23 2021-10-18 이자영 고밀도 압축목재패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3535B1 (ko) 난연또는불연장식용적층시트
US6926954B2 (en) Decorative sheet or molding comprising fibers and fillers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KR101293764B1 (ko) 불연성 외장 마감재
KR102137408B1 (ko)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공법
KR100443057B1 (ko) 난연성 크라프트지를 이용한 난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4602698B2 (ja) 建材用シート状不燃成形体
JP2007008002A (ja) 難燃性軽量板材
KR100679330B1 (ko) 난연성을 갖는 함침무늬목의 제조방법 및 이용하여 제조된난연성 합판
KR100452486B1 (ko)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난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H08198980A (ja) 不燃性シ−トまたは不燃性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40244B1 (ko) 방염패널 제조방법
KR101885889B1 (ko) 우드타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우드타일
KR200241744Y1 (ko) 황토를 포함하는 불연 화장판넬
KR101226752B1 (ko) 방염 멜라민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염 멜라민 시트
KR102659001B1 (ko) 폐섬유를 이용한 건축 내장재용 난연성 가구패널
JP3081985B2 (ja) 不燃性化粧板
KR20060017252A (ko) 방염처리된 멜라민 함침 보드
KR102119860B1 (ko) 난연성 펄프보드
JP4354003B2 (ja) 不燃化粧板
KR20030052476A (ko) 골판지를 이용한 불연성 내외장재의 제조 방법
KR102563027B1 (ko) 표면강화된 hpm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1116B1 (ko) 글루 페이퍼, lpm 함침 페이퍼, 이들을 포함하는 무기질 친환경 가공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929426B (zh) 一种不燃高压积层板
KR100443060B1 (ko) 불연판넬 및 그 제조방법
JP2004268489A (ja) 不燃化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