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302B1 - 반사형 스크린 - Google Patents

반사형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302B1
KR101226302B1 KR1020110011435A KR20110011435A KR101226302B1 KR 101226302 B1 KR101226302 B1 KR 101226302B1 KR 1020110011435 A KR1020110011435 A KR 1020110011435A KR 20110011435 A KR20110011435 A KR 20110011435A KR 101226302 B1 KR101226302 B1 KR 101226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ng
image light
unit
projection
viewing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3673A (ko
Inventor
료지 가츠마
아키라 신보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3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02Lenticular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설정된 시야 범위에서의 투영 화상의 밝음 저하를 억제하면서, 시야 범위외라도 투영 화상을 시인시킬 수 있는 반사형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반사형 스크린(1)은, 투영면(Sf)에 복수 마련되고, 오목 곡면으로 구성된 단위 구조체(2)를 구비한다. 단위 구조체(2)는, 오목 곡면의 적어도 일부에, 화상 광(R1)을 반사시키는 반사부(20)를 갖는다. 복수의 단위 구조체(2)에 있어서 각 반사부(20)는, 입사한 화상 광(R1)을 미리 설정된 시야 범위로 반사시키는 제 1 반사부(20A)와, 입사한 화상 광(R1)의 적어도 일부를 시야 범위외로 반사시키는 제 2 반사부(20B)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반사형 스크린{REFLECTIVE SCREEN}
본 발명은 반사형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투영 화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으로서, 회의실이나 학교의 교실 등의 밝은 실내 환경하에 있어서, 형광등 등으로부터의 외광의 영향에 의한 투영 화상의 콘트라스트 저하를 억제하는 각종의 스크린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의 스크린은, 투영면에 볼록 곡면 형상의 복수의 단위 형상부가 2차원적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단위 형상부에는, 화상 광의 입사 방향으로 향하는 일부의 표면 부분만에 반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스크린에 대하여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입사하는 프로젝터로부터의 화상 광은, 복수의 단위 형상부에 있어서 각 반사면에서 반사되는 것에 의해, 관찰자가 있는 시인측으로 향하고, 관찰자에서 투영 화상으로서 인식된다.
한편, 스크린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상방으로부터 입사하는 형광등 등으로부터의 외광은, 복수의 단위 형상부에 있어서 각 반사면에 입사하지 않고, 반사면을 제외한 부분에 입사해서 흡수된다. 다시 말해, 외광은, 스크린을 거쳐서 시인측으로 반사되는 것이 억제된다.
일본 공개 특허 제 2006-215162 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크린 등의 콘트라스트 저하를 억제하는 스크린에서는, 투영 화상을 시인할 수 있는 시야 범위가 미리 설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야 범위는 시인되는 투영 화상의 밝음과 트레이드-오프(trade-off)의 관계에 있다. 예를 들면, 투영 화상의 밝음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야 범위를 좁힐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투영 화상의 밝음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 시야 범위를 좁히면, 예를 들면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에 있어서, 프리젠터(presentor)가 투영면의 가까이 섰을 경우에, 프리젠터는 미리 설정된 시야 범위외로부터 스크린을 보게 되고, 투영 화상을 시인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시야 범위외의 관찰자도 투영 화상을 시인하기 어렵게 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경우이라도 투영 화상을 시인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단순에 시야 범위를 넓히는 것이 생각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투영 화상의 밝음이 저하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설정된 시야 범위에서의 투영 화상의 밝음 저하를 억제하면서, 시야 범위외라도 투영 화상을 시인시킬 수 있는 반사형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반사형 스크린은, 화상 광이 투영되는 투영면을 갖는 반사형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투영면에 복수 마련되고, 오목 곡면 또는 볼록 곡면으로 구성된 단위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단위 구조체는, 오목 곡면 또는 볼록 곡면에, 화상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단위 구조체에 있어서 각 상기 반사부는, 입사한 화상 광을 미리 설정된 시야 범위로 반사시키는 제 1 반사부와, 입사한 화상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시야 범위외로 반사시키는 제 2 반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단위 구조체에 있어서 각 반사부는 상술한 제 1 반사부 및 제 2 반사부를 구비한다. 즉, 스크린에 입사한 화상 광은 제 1 반사부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야 범위로 반사되는 동시에, 제 2 반사부에 의해 시야 범위외로 반사되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프리젠테이션에 있어서, 프리젠터가 투영면의 가까이 서는 것에 의해 시야 범위외로부터 투영면을 보게 되었을 경우이라도, 제 2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화상 광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시야 범위외에 있는 관찰자에 대해서도, 제 2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화상 광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반사부 및 제 2 반사부의 위치나 면적 비율 등을 적당히 설정하면, 제 1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는 화상 광의 휘도를 충분히 유지하고, 즉 시야 범위에서의 투영 화상 밝음 저하를 억제하면서, 제 2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는 화상 광을 투영 화상으로서 투영면 가까이에 선 프리젠터나 시야 범위외의 관찰자에게 시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사형 스크린에서는, 상기 제 2 반사부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상에 투광성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투광성 부재에서 화상 광을 굴절시키는 것에 의해 입사한 화상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시야 범위외로 반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 2 반사부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상에 마련된 투광성 부재에 의한 화상 광의 굴절을 이용하고, 입사한 화상 광의 적어도 일부를 시야 범위외로 반사시킨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스크린에 있어서 투영면에 투광성 부재를 마련하는 것 만으로 제 2 반사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스크린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투광성 부재를 마련하는 영역의 면적이나 위치 등을 적당히 설정하면, 상술한 시야 범위에서의 투영 화상의 밝음 저하를 억제하면서, 시야 범위외라도 투영 화상을 시인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바람직하게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사형 스크린에서는, 상기 복수의 단위 구조체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오목 곡면으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단위 구조체중 일부의 단위 구조체는, 다른 단위 구조체에 대해서 단면으로 보아서 오목 곡면의 호의 길이가 연장된 연장면을 갖고, 상기 제 2 반사부는 상기 연장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 2 반사부는 일부의 단위 구조체의 상술한 연장면에 마련되어 있다. 즉, 연장면(제 2 반사부)에 입사하는 화상 광은 비교적으로 큰 입사각으로 입사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제 2 반사부는 입사한 화상 광의 적어도 일부를 비교적으로 큰 반사각으로 반사시키고, 즉 시야 범위외로 반사시킨다.
이것에 의해, 일부의 단위 구조체의 수나 위치, 연장면의 면적 등을 적당히 설정하면, 상술한 시야 범위에서의 투영 화상의 밝음 저하를 억제하면서, 시야 범위외라도 투영 화상을 시인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바람직하게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사형 스크린에서는, 상기 일부의 단위 구조체중 적어도 2개의 단위 구조체는 서로 인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투영면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단위 구조체의 각 상기 연장면에 의해 상기 투영면의 면외 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돌기부의 선단은 오목 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의 선단에는, 입사한 화상 광을 상기 시야 범위로 반사시키는 제 3 반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투영면에 마련된 상술한 돌기부의 선단은 오목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선단에는, 입사한 화상 광을 시야 범위로 반사시키는 제 3 반사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돌기부의 선단(제 3 반사부)에 제 1 반사부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고, 시야 범위에서의 투영 화상의 밝음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사형 스크린에서는, 상기 일부의 단위 구조체중 적어도 2개의 단위 구조체는 서로 인접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투영면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단위 구조체의 각 상기 연장면에 의해 상기 투영면의 면외 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돌기부의 선단은 평탄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의 선단에는, 입사한 화상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시야 범위외로 반사시키는 제 4 반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투영면에 마련된 상술한 돌기부의 선단은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선단에는, 입사한 화상 광의 적어도 일부를 시야 범위외로 반사시키는 제 4 반사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돌기부의 선단(제 4 반사부)에 제 2 반사부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고, 시야 범위외에서의 투영 화상의 밝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사형 스크린에서는, 상기 제 2 반사부는, 입사한 광을 확산해서 반사시키는 확산 가공이 실시되는 것에 의해, 입사한 화상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시야 범위외로 반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 2 반사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 2 반사부에 입사한 화상 광은 확산해서 반사되어, 적어도 일부가 시야 범위외로 향하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확산 가공을 시행하는 영역의 면적이나 위치 등을 적당히 설정하면, 상술한 시야 범위에서의 투영 화상의 밝음 저하를 억제하면서, 시야 범위외라도 투영 화상을 시인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바람직하게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린의 사용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영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영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린에 대하여 입사하는 광의 거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린에 대하여 입사하는 광의 거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 8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영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영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린에 대하여 입사하는 광의 거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린에 대하여 입사하는 광의 거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영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영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스크린의 구성)
도 1은 스크린(1)의 사용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투영면(Sf)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사시도이며, 도 3은 평면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투영면(Sf)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중심 위치 근방의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스크린(1)에 있어서, 프로젝터(PJ)가 설치되는 측을 "전면측", 전면측의 반대측을 "배면측", 스크린(1)의 자중이 걸리는 측을 "하", 그 반대측을 "상", 전면측에서 보아서 왼쪽을 "왼쪽", 그 반대를 "오른쪽"이라고 기재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반사막(21)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스크린(1)은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의 반사형 스크린으로 구성되고, 평탄형상으로 형성된 배면측의 단면(이하, 이면(Sb))이 연직선과 대략 평행으로 되도록 회의실이나 학교의 교실 등의 밝은 실내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 스크린(1)은, 전면측의 단면(Sf)(이하, 투영면(Sf)으로 기재)에, 프로젝터(PJ)로부터의 화상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20)(도 6 및 도 7 참조)를 갖고, 구면(이하, 제 1 구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오목 곡면 형상의 단위 구조체(2)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또한, 단위 구조체(2)에 있어서 단면으로 볼 때의 호의 길이는, 상기 제 1 구면을 그 직경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원에 있어서 원주의 ½ 미만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밝은 실내의 내부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이나 책상 등에 프로젝터(PJ)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했지만, 프로젝터(PJ)는 화상 광(R1)을 단초점에서 광각으로 투사하는 투사 광학 장치를 구비하고, 스크린(1)에 대하여 근접한 위치부터 화상 광을 투사시키는 근접 투사형의 프로젝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로젝터(PJ)는 연직축에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스크린(1)의 좌우 방향의 대략 중심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단위 구조체의 구성)
복수의 단위 구조체(2)는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했지만, 이하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단위 구조체(2)는, 투영면(Sf)의 연장면상에 있는 기준점(프로젝터(PJ)의 상기 투사 광학 장치의 광축과 상기 연장면이 교차하는 위치)을 중심으로 한 대략 동심원형상의 곡선 궤적상에 인접해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단위 구조체(2)는, 상기 기준점으로 멀어지는 것에 따라서, 단위 구조체(2)끼리의 피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단위 구조체(2)중, 투영면(Sf)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중심 위치 근방에 배설된 각 단위 구조체(2)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복수의 단위 구조체(2)는 투영면(Sf)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중심 위치부터 좌우 양측으로 향해 가면서,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부터 육각형상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복수의 단위 구조체(2)에 있어서, 오목 곡면의 상방측의 영역에는, 입사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막(21)(도 6 또는 도 7 참조)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투영면(Sf)의 일부의 영역(Ar1)(도 3의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영역)에는, 투광성 부재(22)(도 4, 도 6, 도 7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단위 구조체(2)중 일부의 제 2 단위 구조체(2B)(도 4, 도 6의 (B), 도 7의 (B) 참조)는 투광성 부재(22)가 충전되어 있다.
(스크린의 제조 방법)
다음에, 상술한 스크린(1)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스크린(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투광성 부재(22)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투광성 부재(22)의 형성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우선, 제조자는, 한쪽의 면에 상술한 투영면(Sf)(복수의 단위 구조체(2))의 요철에 대응하는 요철(엠보스 패턴)을 갖는 금형(도시 생략)을 제조한다(금형 제조 공정).
다음에, 제조자는, 흑색의 염화 비닐제의 수지 시트에 대하여, 상술한 금형을 이용해서 엠보스 가공에 의해 금형의 엠보스 패턴을 전사 인쇄시켜, 복수의 오목 곡면(단위 구조체(2))을 형성한다(가공 공정).
다음에, 제조자는, 각 오목 곡면의 상방측의 영역에 증착이나 스퍼터링, 또는 스프레이 도장 등에 의해 반사막(21)(도 6, 도 7 참조)을 형성한다(반사막 형성 공정).
다음에, 제조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젯 기술을 이용하여, 투광성 부재(22)를 형성하게 되는 투명 잉크(In)를 투영면(Sf)의 일부의 영역(Ar1)에 도포하고, 투광성 부재(22)를 형성한다(투광성 부재 형성 공정).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영역(Ar1)은 하기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영역(Ar1)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피치(P)로 행방향(상하 방향) 및 열방향(좌우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병렬하도록 투영면(Sf) 전체에 걸쳐서 복수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영역(Ar1)은,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그 전체면적이 복수의 단위 구조체(2)의 전체 면적의 10%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공정에 의해, 스크린(1)이 제조된다.
(스크린의 반사 구조)
도 6 및 도 7은 스크린(1)에 대하여 입사하는 광의 거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스크린(1)의 일부를 연직면에서 절단하고, 수평축에 따르는 방향에서 본 종단면도이며, 도 7은 스크린(1)의 일부(반사막(21)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를 수평면에서 절단하고, 연직축에 따르는 방향에서 본 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의 (A) 및 도 7의 (A)는 투광성 부재(22)가 형성되지 않은 단위 구조체(2)(이하, 제 1 단위 구조체(2A))에 입사하는 광의 거동을 도시하고, 도 6의 (B) 및 도 7의 (B)는 투광성 부재(22)가 형성되어 있는 단위 구조체(2)(이하, 제 2 단위 구조체(2B))에 입사하는 광의 거동을 도시하고 있다. 더욱, 도 6의 (A) 및 도 6의 (B)에서는 화상 광(R1)의 입사 방향이 동일한 것으로서 도시하고 있다. 도 7도 동일하다. 또한, 도 7에서는, 화상 광(R1)이 좌측 비듬하게 전방으로부터 스크린(1)에 입사할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스크린(1)은, 수평축에 따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 프로젝터(PJ)로부터 투사되어, 상기 스크린(1)에 대하여 하방측(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입사하는 화상 광(R1)을 이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시킨다.
즉, 제 1 단위 구조체(2A)는,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막(21)에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입사하는 화상 광(R1)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수직 시야각(스크린(1)의 중심 위치를 지나 이면(Sb)에 직교하는 중심축에 대하여 상방측 또는 하방측으로 기운 각도)의 범위(이하, 수직 시야 범위)를 향해서 주로 반사시킨다. 이 때문에, 수직 시야 범위에 있는 관찰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된 화상 광(R1)을 투영 화상으로서 인식한다.
한편, 제 2 단위 구조체(2B)는,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입사하는 화상 광(R1)을 수직 시야 범위외로 향해서 주로 반사시킨다.
구체적으로, 제 2 단위 구조체(2B)에 입사한 화상 광(R1)은 공기층과 투광성 부재(22)와의 경계면에서 굴절되어서 반사막(21)에 입사하고, 반사막(21)에서 반사된 후, 다시 공기층과 투광성 부재(22)와의 경계면에서 굴절되는 것에 의해, 제 1 단위 구조체(2A)를 거쳐서 화상 광(R1)의 반사 방향에 대하여 이면(Sb)에 근접한 방향으로 각도를 변하게 해서 진행한다. 이 때문에, 제 2 단위 구조체(2B)에 입사한 화상 광(R1)은 수직 시야 범위외로 향해서 주로 반사되는 것이 된다. 다시 말해, 투영면(Sf) 가까이에 세워진 프리젠터나 수직 시야 범위외에 있는 관찰자도,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된 화상 광(R1)을 투영 화상으로서 인식하는 것이 된다.
또한, 스크린(1)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축에 따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 상기 밝은 실내의 내부의 형광등 등으로부터 조사되어, 각 단위 구조체(2A, 2B)에 대하여 상방측(비스듬하게 상방)으로부터 입사하는 외광(R2)을 흡수한다.
구체적으로, 스크린(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흑색의 염화 비닐제의 수지 시트에 의거하여 제조된 것이다. 그리고, 외광(R2)은, 비스듬하게 상방으로부터 스크린(1)에 대하여 입사하기 때문에, 각 단위 구조체(2A, 2B)에 있어서, 반사막(21)이 형성되지 않고 있는 영역(오목 곡면의 하방측의 영역)에 주로 입사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스크린(1)에 입사한 외광(R2)은 스크린(1)에서 주로 흡수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수직 시야 범위, 및 수직 시야 범위외에 있는 관찰자는 스크린(1)을 거쳐서 외광(R2)을 인식할 일이 없고, 고 콘트라스트의 투영 화상을 인식하는 것이 된다.
또한, 스크린(1)은, 연직축에 따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상기 스크린(1)에 대하여 입사하는 화상 광(R1)을 이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시킨다.
다시 말해, 제 1 단위 구조체(2A)는,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막(21)에 입사하는 화상 광(R1)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수평 시야각(스크린(1)의 중심 위치를 지나 이면(Sb)에 직교하는 중심축에 대하여 좌측 또는 오른쪽에 기운 각도)의 범위(이하, 수평 시야 범위)를 향해서 주로 반사시킨다. 이 때문에, 수평 시야 범위에 있는 관찰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된 화상 광(R1)을 투영 화상으로서 인식한다.
한편, 제 2 단위 구조체(2B)는,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광성 부재(22)에 입사하는 화상 광(R1)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공기층과 각 투광성 부재(22)와의 경계면에 의한 굴절을 이용하고, 수평 시야 범위외로 향해서 주로 반사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단위 구조체(2A)에 있어서 각 반사막(21)은, 미리 설정된 시야 범위(수직 시야 범위, 수평 시야 범위)를 향해서 주로 화상 광(R1)을 반사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제 1 반사부(20A)(도 6 및 도 7)에 상당한다.
또한, 복수의 제 2 단위 구조체(2B)에 있어서 각 투광성 부재(22) 및 각 반사막(21)은, 시야 범위외(수직 시야 범위외, 수평 시야 범위외)를 향해서 주로 화상 광(R1)을 반사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2 반사부(20B)(도 6 및 도 7)에 상당한다.
그리고, 제 1 반사부(20A) 및 제 2 반사부(20B)는 화상 광(R1)을 반사시키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반사부(20)(도 6 및 도 7)에 상당한다.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단위 구조체(2)에 있어서 각 반사부(20)는 제 1 반사부(20A) 및 제 2 반사부(20B)를 구비한다. 다시 말해, 스크린(1)에 입사한 화상 광(R1)은 제 1 반사부(20A)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야 범위로 반사되는 동시에, 제 2 반사부(20B)에 의해 시야 범위외로 반사되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프리젠테이션에 있어서, 프리젠터가 투영면(Sf)의 가까이 서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시야 범위외로부터 투영면(Sf)을 보게 되었을 경우이라도, 제 2 반사부(20B)에 의해 반사된 화상 광(R1)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시야 범위외에 있는 관찰자에 대해서도, 제 2 반사부(20B)에 의해 반사된 화상 광(R1)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반사부(20B)가 마련되는 복수의 영역(Ar1)은,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그 전체 면적이 복수의 단위 구조체(2)의 전체 면적의 10% 이하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소정의 피치(P)로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병렬하도록 투영면(Sf) 전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반사부(20A)에 의해 반사되는 화상 광(R1)의 휘도를 충분히 유지하고, 즉 시야 범위에서의 투영 화상의 밝음 저하를 억제하면서, 제 2 반사부(20B)에 의해 반사되는 화상 광(R1)을 투영 화상으로서 프리젠터나 관찰자에게 시인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반사부(20B)는 투광성 부재(22)에 의한 화상 광(R1)의 굴절을 이용하고, 입사한 화상 광(R1)을 시야 범위외로 향해서 주로 반사시킨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스크린에 있어서 투영면에 투광성 부재(22)를 마련하는 것 만으로 제 2 반사부(20B)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스크린(1)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의 구조 및 동일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첨부해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단위 구조체(2)중의 일부의 제 2 단위 구조체(2B)에 투광성 부재(2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 2 반사부(20B)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투광성 부재(22)를 마련하지 않고, 제 2 반사부(20B)를 형성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영면(Sf)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사시도이며, 도 9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는, 도 2 및 도 3과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상, 투영면(Sf)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중심 위치 근방의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린(1)의 투영면(Sf)에는, 도 8 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의 영역(Ar2)(도 9중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영역)에 단위 구조체(2)가 형성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영역(Ar2)은 단위 구조체(2)의 1개분에 상당하는 것이다.
복수의 단위 구조체(2)중 일부의 영역(Ar2)에 대하여 행방향 및 열방향에 인접한 4개의 단위 구조체(2)는, 도 8 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영역(Ar2)을 향해서, 단면으로 보아서 호의 길이가 연장된 연장면(2C1)(도 8, 도 9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영역)을 갖는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연장면(2C1)을 갖는 단위 구조체(2)를 제 3 단위 구조체(2C)(도 8 및 도 9)로 기재한다. 또한, 복수의 단위 구조체(2)중 제 3 단위 구조체(2C)를 제외한 다른 단위 구조체(2)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 1 단위 구조체(2A)와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 1 단위 구조체(2A)(도 8 및 도 9)로서 기재한다.
그리고, 영역(Ar2)에는, 상술한 4개의 제 3 단위 구조체(2C)의 각 연장면(2C1)에 의해, 도 8 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측으로 돌출한 돌기부(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는, 투영면(Sf)의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돌기부(3)는 투영면(Sf) 전체에 걸쳐서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돌기부(3)의 선단은, 단위 구조체(2)와 마찬가지로, 구면(이하, 제 2 구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오목 곡면 형상을 갖는 동시에,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돌기부(3)의 선단(오목 곡면)에 있어서 단면으로 볼 때의 호의 길이는, 상기 제 2 구면을 그 직경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원에 있어서 원주의 ½ 미만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상기 제 1 구면과, 상기 제 2 구면은 동일한 반경을 갖는 것으로서도 좋고, 또는 다른 반경을 갖는 것으로서도 좋다.
여기에서, 반사막(21)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각 단위 구조체(2)에 있어서 오목 곡면의 상방측의 영역(각 제 3 단위 구조체(2C)에서는, 연장면(2C1)을 포함시킨 오목 곡면의 상방측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도 10, 도 11 참조).
또한, 돌기부(3)에 있어서 선단에 있어서, 오목 곡면의 상방측의 영역에도 반사막(21)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스크린(1)에 대하여 입사하는 광의 거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스크린(1)의 일부를 연직면에서 절단하고, 수평축에 따르는 방향에서 본 종단면도이며, 도 11은 스크린(1)의 일부(반사막(21)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를 수평면에서 절단하고, 연직축에 따르는 방향에서 본 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의 (A) 및 도 11의 (A)는 제 1 단위 구조체(2A)에 입사하는 광의 거동을 도시하고, 도 10의 (B) 및 도 11의 (B)는 제 3 단위 구조체(2C)에 입사하는 광의 거동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서는 화상 광(R1)의 입사 방향이 동일한 것으로서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서도 동일하다. 또한, 도 11에서는, 화상 광(R1)이 좌로 비듬하게 전방으로부터 스크린(1)에 입사할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제 1 단위 구조체(2A)에 입사하는 화상 광(R1) 및 외광(R2)의 거동은, 도 10의 (A) 및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형태(도 6의 (A) 및 도 7의 (A))와 동일하다.
또한, 제 3 단위 구조체(2C)에 입사하는 외광(R2)의 거동은,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단위 구조체(2A)에 입사하는 외광(R2)의 거동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 3 단위 구조체(2C)에 입사하는 화상 광(R1)의 거동, 및 돌기부(3)의 선단에 입사하는 화상 광(R1)의 거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3 단위 구조체(2C)는, 도 10의 (B) 또는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장면(2C1)을 제외한 다른 면(2C2)(반사막(21))에 입사하는 화상 광(R1)을, 제 1 단위 구조체(2A)와 마찬가지로, 미리 설정된 시야 범위(수직 시야 범위, 수평 시야 범위)를 향해서 주로 반사시킨다.
한편, 제 3 단위 구조체(2C)는, 도 10의 (B) 또는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장면(2C1)(반사막(21))에 입사하는 화상 광(R1)을, 시야 범위외(수직 시야 범위외, 수평 시야 범위외)를 향해서 주로 반사시킨다.
구체적으로, 연장면(2C1)과 다른 면(2C2)에 입사하는 화상 광(R1)의 입사각을 비교한 경우, 연장면(2C1)으로의 화상 광(R1)의 입사각의 쪽이 커지는 것이다. 이 때문에, 연장면(2C1)(반사막(21))에 입사한 화상 광(R1)은, 다른 면(2C2)(반사막(21))을 거쳐서 화상 광(R1)의 반사 방향에 대하여 이면(Sb)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각도를 변하게 해서 반사된다. 따라서, 연장면(2C1)(반사막(21))에 입사한 화상 광(R1)은, 시야 범위외(수직 시야 범위외, 수평 시야 범위외)를 향해서 주로 반사되는 것이 된다.
또한, 돌기부(3)의 선단은, 도 10의 (B) 또는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 곡면의 상방측의 영역에 형성된 반사막(21)에 의해, 제 1 단위 구조체(2A)와 마찬가지로, 입사하는 화상 광(R1)을 시야 범위(수직 시야 범위, 수평 시야 범위)를 향해서 주로 반사시킨다.
한편, 돌기부(3)의 선단은,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막(21)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의해, 단위 구조체(2)와 마찬가지로, 비스듬하게 상방으로부터 입사하는 외광(R2)을 흡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단위 구조체(2A)에 있어서 각 반사막(21), 및 복수의 제 3 단위 구조체(2C)의 각 다른 면(2C2)에 있어서 각 반사막(21)은, 미리 설정된 시야 범위(수직 시야 범위, 수평 시야 범위)를 향해서 주로 화상 광(R1)을 반사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1 반사부(20A)(도 10 및 도 11)에 상당한다.
또한, 복수의 제 3 단위 구조체(2C)의 각 연장면(2C1)에 있어서 각 반사막(21)은, 시야 범위외(수직 시야 범위외, 수평 시야 범위외)를 향해서 주로 화상 광(R1)을 반사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제 2 반사부(20B)(도 10 및 도 11)에 상당한다.
또한, 복수의 돌기부(3)의 선단에 있어서 각 반사막(21)은, 미리 설정된 시야 범위(수직 시야 범위, 수평 시야 범위)를 향해서 주로 화상 광(R1)을 반사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제 3 반사부(20C)(도 10 및 도 11)에 상당한다.
다음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린(1)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스크린(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한쪽의 면에 상술한 투영면(Sf)(복수의 단위 구조체(2) 및 돌기부(3))의 요철에 대응하는 요철(엠보스 패턴)을 갖는 금형(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3은 영역(Ar2)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2 및 도 3과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상 투영면(Sf)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중심 위치 근방의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스크린(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도 12에 의거하고, 금형(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제조자는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크린(1)과 대략 동일의 평면형상의 원판(110)의 한쪽의 면상에,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에 의해, 크롬막 등의 마스크막(120)을 형성한다(마스크막 형성 공정).
다음에, 제조자는,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스크막(120)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 구조체(2A, 2C)(오목 곡면)의 각 정점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레이저광의 조사 등에 의해 제 1 원 구멍(121)을 순차, 형성한다(제 1 구멍 형성 공정).
다시 말해, 제 1 구멍 형성 공정에서는, 제 1 원 구멍(121)을 순차, 형성할 때, 투영면(Sf)에 있어서 영역(Ar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 1 원 구멍(121)(도 12의 (B)중 일점쇄선으로 도시한다)은 형성되지 않는다.
다음에, 제조자는, 도 1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110)에 있어서 각 제 1 원 구멍(121)에 대응한 위치에, 에칭 처리에 의해 제 1 오목부(111)를 형성한다(제 1 에칭 공정).
여기에서, 에칭 처리에 의해 형성된 각 제 1 오목부(111)는 각 제 1 원 구멍(121)이 모두 대략 동일 형상을 갖는 원 구멍이기 때문에, 구면의 일부를 갖는 오목 곡면을 갖는 동시에, 모두 대략 동일 형상을 갖는 것이 된다.
다음에, 제조자는, 도 12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영면(Sf)의 영역(Ar2)에 대응하는 위치에, 레이저광의 조사 등에 의해 제 1 원 구멍(121)과 동일 형상을 갖는 제 2 원 구멍(122)을 순차, 형성한다(제 2 구멍 형성 공정).
다음에, 제조자는, 도 12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회째의 에칭 처리를 행하고, 원판(110)에 있어서 각 제 2 원 구멍(122)에 대응한 위치에 제 2 오목부(112)를 형성한다(제 2 에칭 공정).
여기에서, 에칭 처리에 의해 형성된 각 제 2 오목부(112)는, 상술한 제 1 오목부(111)와 마찬가지로, 구면의 일부를 갖는 오목 곡면을 갖는 것이 된다.
또한, 제 1 오목부(111)는, 2회째의 에칭 처리에 의해, 도 12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회째의 에칭 처리시(도 12의 (C))보다도 더욱 깊게 에칭되는 것이 된다. 다시 말해, 제 1 오목부(111)는, 1회째의 에칭 처리의 분만 제 2 오목부(112)보다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되고, 제 2 오목부(112)의 오목 곡면의 곡률과는 상이한 곡률(제 2 오목부(112)의 곡률보다도 작은 곡률)을 갖는 것이 된다.
또한, 제 2 오목부(112)는 돌기부(3)의 선단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또한, 제 2 오목부(112)에 인접하는 제 1 오목부(111)는 제 3 단위 구조체(2C)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다음에, 제조자는 원판(110)으로부터 마스크막(120)을 제거하고, 원판(110)에 있어서 각 오목부(111, 112)가 형성된 측의 가공면(110A)(투영면(Sf)의 요철에 따른 형상의 면)을 이용하고, 금형(100)을 형성한다(금형 형성 공정).
구체적으로, 제조자는, 도 12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공면(110A)을 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전해 용액에 담궈서 전해에 의해 금속염을 가공면(110A) 표면에 석출시키고, 그 석출한 금속층을 가공면(110A)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에 의해, 가공면(110A)의 요철이 복사된 엠보스 패턴을 갖는 금형(100)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금형(100)을 제조한 후, 제조자는, 흑색의 염화 비닐제의 수지 시트에 대하여, 엠보스 가공에 의해, 금형(100)의 엠보스 패턴을 전사시켜, 복수의 오목 곡면(단위 구조체(2A, 2C)) 및 돌기부(3)를 형성한다(가공 공정). 그리고, 제조자는, 단위 구조체(2A, 2C)에 있어서 각 오목 곡면상의 소정의 영역, 및 돌기부(3)의 선단에 있어서 오목 곡면상의 소정의 영역에, 증착이나 스퍼터링, 또는 스프레이 도장 등에 의해 반사막(21)을 형성한다(반사막 형성 공정).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영역(Ar2)은 이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다시 말해, 영역(Ar2)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랜덤으로 배열하도록 투영면(Sf) 전체에 걸쳐서 복수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영역(Ar2)은,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그 전체 면적이 복수의 단위 구조체(2A, 2C) 및 복수의 돌기부(3)가 형성되는 전체 영역(면적)의 10%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공정에 의해, 스크린(1)이 제조된다.
상술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반사부(20B)는 제 3 단위 구조체(2C)의 연장면(2C1)에 마련되어 있다. 다시 말해, 연장면(2C1)(제 2 반사부(20B))에 입사하는 화상 광(R1)은 비교적으로 큰 입사각으로 입사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제 2 반사부(20B)는, 입사한 화상 광(R1)을 비교적으로 큰 반사각으로 반사시켜, 다시 말해 시야 범위외로 향해서 주로 반사시킨다.
또한, 제 2 반사부(20B)가 마련되는 복수의 영역(Ar2)은,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그 전체 면적이 복수의 단위 구조체(2A, 2C) 및 복수의 돌기부(3)가 형성되는 전체 영역(면적)의 10%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랜덤으로 배열하도록 투영면(Sf) 전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야 범위에서의 투영 화상의 밝음 저하를 억제하면서, 시야 범위외라도 투영 화상을 시인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바람직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투영면(Sf)에 마련된 돌기부(3)의 선단은 오목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목 곡면의 상방측의 영역에는, 입사한 화상 광(R1)을 시야 범위로 반사시키는 제 3 반사부(20C)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돌기부(3)의 선단(제 3 반사부(20C))에 제 1 반사부(20A)와 동일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고, 시야 범위에서의 투영 화상의 밝음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조 및 동일 부재에는 동일 도면부호를 첨부해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도 14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영면(Sf)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4의 (A)는 평면도이며, 도 14의 (B)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4에서는, 도 9와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상, 투영면(Sf)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중심 위치 근방의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스크린(1)의 제조 방법(금형(100)의 제조 방법)이 상이할 뿐이다.
구체적으로, 제 3 실시형태에서의 금형(100)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제 1 에칭 공정에서의 에칭 처리 시간을 길게 하고, 제 2 구멍 형성 공정 및 제 2 에칭 공정을 생략하고 있다.
다시 말해, 제 3 실시형태에서의 금형(100)에서는, 원판(110)에 제 2 오목부(112)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된다.
따라서, 엠보스 가공에 의해, 금형(100)의 엠보스 패턴이 전사되는 것에 의해, 돌기부(3)의 선단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된다.
또한, 돌기부(3)의 선단에는 반사막(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부(3)의 선단에 입사한 화상 광(R1)은, 해당 선단의 평탄 형상에 의해, 시야 범위외(수직 시야 범위외, 수평 시야 범위외)를 향해서 주로 반사시킨다.
따라서, 돌기부(3)의 선단(반사막)은 본 발명에 관한 제 4 반사부(20D)(도 14)에 상당한다.
상술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 외에, 이하의 효과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영면(Sf)에 마련된 돌기부(3)의 선단은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평탄면에는, 입사한 화상 광(R1)을 시야 범위외로 향해서 주로 반사시키는 제 4 반사부(20D)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돌기부(3)의 선단(제 4 반사부(20D))을 이용하고, 시야 범위외에서의 투영 화상의 밝음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의 구조 및 동일 부재에는 동일 도면부호를 첨부해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단위 구조체(2)중 일부의 제 2 단위 구조체(2B)에 투광성 부재(2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 2 반사부(20B)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제 4 실시형태에서는, 투광성 부재(22)를 마련하지 않고, 상기 제 1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방법에 의해 제 2 반사부(20B)를 형성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것이다.
도 15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린(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투영면(Sf)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6의 (A)는 평면도이며, 도 16의 (B)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6에서는, 도 2 및 도 3과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상, 투영면(Sf)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중심 위치 근방의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금형 제조 공정 및 가공 공정에 의해, 흑색의 염화 비닐제의 수지 시트(1A)(도 15, 도 16)에 대하여, 엠보스 가공에 의해 금형의 엠보스 패턴을 전사시켜, 복수의 오목 곡면(단위 구조체(2))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조자는, 도 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오목 곡면(단위 구조체(2))이 형성된 투영면(Sf)에 마스크 부재(200)를 탑재한다.
여기에서, 마스크 부재(200)는 수지 시트(1A)(스크린(1))와 대략 동일한 평면형상을 갖는다. 또한, 마스크 부재(200)에는, 도 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원형 개구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조자는 마스크 부재(200)위로부터 블라스트 처리를 실시한다(블라스트 공정).
블라스트 공정에 의해, 투영면(Sf)에 있어서, 복수의 원형 개구부(210)에 대응하는 각 영역(Ar3)(도 15의 (B), 도 16의 (A)중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영역, 도 16의 (B)중 진한선으로 도시하는 영역)에는, 복수의 원형 개구부(210)를 거쳐서 블라스트 재료가 충돌하고, 각 영역(Ar3)이 조면화된다.
다음에, 제조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반사막 형성 공정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스크린(1)이 제조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원형 개구부(210)(각 영역(Ar3))는 하기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원형 개구부(210)(각 영역(Ar3))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피치로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병렬하도록 마스크 부재(200) 전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원형 개구부(210)(각 영역(Ar3))는,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그 전체 면적이 복수의 단위 구조체(2)의 전체 면적의 10%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공정에 의해 스크린(1)이 제조된다.
그리고, 스크린(1)에 있어서, 각 영역(Ar3)(반사막)은,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조면화되어 있기 때문에, 입사한 화상 광(R1)을 확산해서 반사시키는 것이 되고, 미리 설정된 시야 범위외(수직 시야 범위외, 수평 시야 범위외)를 향해서 주로 화상 광(R1)을 반사시킨다.
다시 말해, 각 영역(Ar3)(반사막)은 본 발명에 관한 제 4 반사부(20D)(도 15의 (B), 도 16)에 상당한다.
또한, 각 영역(Ar3) 이외의 영역(각 반사막(도시 생략))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 제 1 단위 구조체(2A)의 각 반사막(21)과 마찬가지로, 입사하는 화상 광(R1)을 반사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반사부(20B)는 블라스트 처리가 실시되는 것에 의해, 입사한 화상 광(R1)을 확산해서 시야 범위외로 향해서 주로 반사시킨다.
또한, 제 2 반사부(20B)가 마련되는 복수의 영역(Ar3)은,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그 전체 면적이 복수의 단위 구조체(2)의 전체 면적의 10% 이하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소정의 피치로 행방향 및 열방향에 규칙적으로 병렬하도록 투영면(Sf) 전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야 범위에서의 투영 화상의 밝음 저하를 억제하면서, 시야 범위외라도 투영 화상을 시인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바람직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7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7은 도 5에 대응하고, 투광성 부재(22)의 형성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반사부(20B)가 마련되는 복수의 영역(Ar1)은 소정의 피치(P)로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병렬하도록 투영면(Sf) 전체에 걸쳐서 복수 마련되어 있지만, 그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영역(Ar1)을 불규칙으로 배치시켜도 상관없다.
구체적으로, 도 1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복수의 영역(Ar1)의 각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어긋남 량이 피치(P)의 ½ 이하가 되도록, 각 영역(Ar1)을 불규칙으로 어긋나게 놓고 있다.
또한, 상기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각 영역(Ar3)을 어긋나게 배치해도 상관없다.
도 18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8은 스크린(1)의 일부(반사막(21)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를 수평면에서 절단하고, 연직축에 따르는 방향에서 본 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18의 (A)는 투광성 부재(22)가 형성되지 않고 있는 영역에 입사하는 광의 거동을 도시하고, 도 18의 (B)는 투광성 부재(22)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 입사하는 광의 거동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8의 (A) 및 도 18의 (B)에서는 화상 광(R1)의 입사 방향이 동일한 것으로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단위 구조체(2)는 구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오목 곡면 형상을 갖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볼록 곡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해도 상관없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영면(Sf)을 구성한 경우이라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투광성 부재 형성 공정에 의해, 투광성 부재(22)를 형성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투광성 부재(22)가 형성된 영역(Ar1)이 제 2 반사부(20B)로서 기능하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제 4 실시형태에서도 마찬가지다. 다시 말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영면(Sf)을 구성했을 경우이라도, 상기 제 4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블라스트 공정에 의해, 블라스트 처리를 실시하면, 상기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블라스트 처리가 시행된 영역(Ar3)이 제 2 반사부(20B)로서 기능하는 것이 된다.
상기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블라스트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제 2 반사부(20B)를 마련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마찬가지로, 투광성 부재 형성 공정에 있어서, 잉크젯 기술 등에 의해,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부재(잉크 등)를 투영면(Sf)의 일부의 영역(Ar3)에 도포하는 것으로, 제 2 반사부(20B)를 마련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은 화상 광이 투영되는 투영면을 갖는 반사형 스크린에 이용할 수 있다.
1 : 스크린 2 : 단위 구조체
2C1 : 연장면 3 : 돌기부
20 : 반사부 20A : 제 1 반사부
20B : 제 2 반사부 20C : 제 3 반사부
20D : 제 4 반사부 21 : 반사막
Sf : 투영면

Claims (6)

  1. 화상 광이 투영되는 투영면을 갖는 반사형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투영면에 복수 마련되고, 오목 곡면 또는 볼록 곡면으로 구성된 단위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단위 구조체는, 오목 곡면 또는 볼록 곡면에, 화상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단위 구조체에 있어서 각 상기 반사부는,
    입사한 화상 광을 미리 설정된 시야 범위로 반사시키는 제 1 반사부와,
    입사한 화상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시야 범위외로 반사시키는 제 2 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구조체는 제 1 및 제 2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위 구조체는 상기 제 1 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단위 구조체는 상기 제 2 반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스크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부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상에 투광성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투광성 부재에서 화상 광을 굴절시키는 것에 의해 입사한 화상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시야 범위외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스크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구조체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오목 곡면으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단위 구조체중 일부의 단위 구조체는, 다른 단위 구조체에 대해서 단면으로 보아서 오목 곡면의 호의 길이가 연장된 연장면을 갖고,
    상기 제 2 반사부는 상기 연장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스크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단위 구조체중 적어도 2개의 단위 구조체는 서로 인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투영면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단위 구조체의 각 상기 연장면에 의해 상기 투영면의 면외 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돌기부의 선단은 오목 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의 선단에는, 입사한 화상 광을 상기 시야 범위로 반사시키는 제 3 반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스크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단위 구조체중 적어도 2개의 단위 구조체는 서로 인접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투영면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단위 구조체의 각 상기 연장면에 의해 상기 투영면의 면외 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돌기부의 선단은 평탄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의 선단에는, 입사한 화상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시야 범위외로 반사시키는 제 4 반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스크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부는, 입사한 광을 확산해서 반사시키는 확산 가공이 실시되는 것에 의해, 입사한 화상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시야 범위외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스크린.
KR1020110011435A 2010-02-10 2011-02-09 반사형 스크린 KR101226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27634A JP2011164391A (ja) 2010-02-10 2010-02-10 反射型スクリーン
JPJP-P-2010-027634 2010-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673A KR20110093673A (ko) 2011-08-18
KR101226302B1 true KR101226302B1 (ko) 2013-01-24

Family

ID=44353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435A KR101226302B1 (ko) 2010-02-10 2011-02-09 반사형 스크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69700B2 (ko)
JP (1) JP2011164391A (ko)
KR (1) KR101226302B1 (ko)
CN (1) CN1021475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9256A1 (en) * 2008-01-07 2009-07-16 The 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 Projection screens for three dimensional images
JP2012128137A (ja) * 2010-12-15 2012-07-05 Seiko Epson Corp 反射型スクリーンおよび反射型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2012194382A (ja) * 2011-03-16 2012-10-11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および成形型の製造方法。
JP2012198396A (ja) * 2011-03-22 2012-10-18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及び部分スクリーン
JP2013011666A (ja) * 2011-06-28 2013-01-17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
US20150177608A1 (en) * 2013-02-01 2015-06-25 Jeremy Richard Nelson Auto stereoscopic projector screen
TWI506353B (zh) * 2014-06-20 2015-11-01 Delta Electronics Inc 投影螢幕與應用其之投影系統
CN106537249A (zh) * 2014-07-15 2017-03-22 Cj Cgv 株式会社 弯曲屏幕框架以及包括该弯曲屏幕框架的剧院
CN112711139B (zh) * 2021-01-04 2023-04-11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近眼显示装置及其光学系统
JP2023157419A (ja) * 2022-04-15 2023-10-2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金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2975A (ja) 1997-11-13 1999-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反射型スクリ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038002A (ja) 2002-07-05 2004-02-05 Sony Corp 投影用スクリ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523472A (ja) 2002-04-17 2005-08-04 シンコフ、ハワード 反射タイプの投影スクリーンの改良品
US20090021828A1 (en) * 2007-07-20 2009-01-22 Seiko Epson Corporation Scre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4822A (en) * 1973-10-12 1976-06-22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Projection screen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S6488438A (en) * 1987-09-29 1989-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creen
JPH09114002A (ja) * 1995-10-19 1997-05-02 Toppan Printing Co Ltd 反射型映写スクリーン
JP2002333514A (ja) * 2001-03-06 2002-11-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広観測角反射体
CN1479164A (zh) * 2002-08-30 2004-03-03 长春市求实光学设备有限责任公司 广角投影显示屏
JP2006215162A (ja) * 2005-02-02 2006-08-17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スクリーン及び反射投影システム
US7092166B1 (en) * 2005-04-25 2006-08-15 Bright View Technologies, Inc. Microlens sheets having multiple interspersed anamorphic microlens arrays
CN101401013B (zh) * 2006-03-13 2012-03-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扩散元件、投影屏幕、外观设计性构件以及安全介质
JP2008298929A (ja) * 2007-05-30 2008-12-11 Seiko Epson Corp 反射スクリーン及び反射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4479832B2 (ja) * 2007-07-20 2010-06-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クリーン
JP5040709B2 (ja) * 2008-02-15 2012-10-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反射スクリーンとその製造方法
JP2010066750A (ja) * 2008-08-12 2010-03-25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及びスクリーン
JP2010097190A (ja) * 2008-09-16 2010-04-30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及び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5239832B2 (ja) * 2008-12-24 2013-07-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クリーン
JP5482049B2 (ja) * 2009-09-24 2014-04-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クリー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2975A (ja) 1997-11-13 1999-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反射型スクリ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523472A (ja) 2002-04-17 2005-08-04 シンコフ、ハワード 反射タイプの投影スクリーンの改良品
JP2004038002A (ja) 2002-07-05 2004-02-05 Sony Corp 投影用スクリ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90021828A1 (en) * 2007-07-20 2009-01-22 Seiko Epson Corporation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94178A1 (en) 2011-08-11
CN102147565A (zh) 2011-08-10
KR20110093673A (ko) 2011-08-18
US8169700B2 (en) 2012-05-01
JP2011164391A (ja) 2011-08-25
CN102147565B (zh)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302B1 (ko) 반사형 스크린
US10247872B2 (en) Dual-sided film with split light spreading structures
JP4922935B2 (ja) 光学フィルム、構成要素または導波管の製作に使用するために基板にキャビティを切削または形成する方法
JP4479832B2 (ja) スクリーン
KR100618601B1 (ko) 프레넬렌즈 시트 및 이를 구비한 투과형 스크린
US8023186B2 (en) Screen
CN107209449B (zh) 透射型屏幕和使用该透射型屏幕的平视显示器装置
CN101506715A (zh) 用来在微透镜阵列薄膜中雕刻孔的方法和装置
JPWO2016092724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移動体
JP2008515026A (ja) 光方向変換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システム
JP2006526811A (ja)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ベースの高解像度かつ低映像アーチファクトの透過型スクリーン
JP2004537061A (ja) ランダム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をもつ高コントラストスクリーン
US7864420B2 (en) Screen
TW201331646A (zh) 照明裝置及具有照明裝置的顯示裝置
KR20040079423A (ko) 투과형 스크린 및 투사형 표시 장치
US11499683B2 (en) Micro-structured optical sheet and panel light assembly using same
CN106154704A (zh) 光学元件及投影装置
JP2007526492A (ja)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ベースの透過型スクリーン
JP7016456B1 (ja) 面状照明装置
EP2820467A1 (en) Using micro optical elements for depth perception in luminescent figurative structures illuminated by point sources
JP5792031B2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透過型画像表示装置
JP2010044137A (ja) スクリーン
JP2009145447A (ja) スクリーン及び投射システム
JP2011145382A (ja) 反射型スクリーン
US20230176349A1 (en) Convex infinity mirror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