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848B1 - 캔의 판재화 재활용 장치 및 그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캔의 판재화 재활용 장치 및 그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848B1
KR101225848B1 KR1020100083958A KR20100083958A KR101225848B1 KR 101225848 B1 KR101225848 B1 KR 101225848B1 KR 1020100083958 A KR1020100083958 A KR 1020100083958A KR 20100083958 A KR20100083958 A KR 20100083958A KR 101225848 B1 KR101225848 B1 KR 101225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
plate
fixing means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3922A (ko
Inventor
나성민
Original Assignee
지앤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앤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앤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133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의 판재화 재활용 장치 및 그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캔을 수거한 후 양측판을 절단 분리한 후 통부를 판재화되게 가공하여서 금속캔을 용해과정을 거치지 않고 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캔의 재활용 가공방법에 있어서, 캔의 양 측판을 절단 분리하고 통부를 판재화는 캔판재화과정으로 통하여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캔의 양측판을 절단 분리하고 통부를 캔판재화 함으로써 캔을 용융가공하지 않고도 가공자재로 사용할 수 있어 그 재활용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캔의 판재화 재활용 장치 및 그 가공방법{Can recycling device and its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캔의 판재화 재활용 장치 및 그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캔을 수거한 후 양측판을 절단 분리한 후 통부를 판재화되게 가공하여서 금속캔을 용해과정을 거치지 않고 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은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용기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캔은 기밀성이 우수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사용하기에 편리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재질에 따라 알루미늄캔이나 스틸캔, 스틸+알루미늄캔으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캔은 모두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져 자원의 절약 및 환경보호 차원 등에서 적극적으로 수거하여 재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캔의 재활용은 수거된 캔을 압축하여 제철소로 이송한 후 용강로에서 용융하여서 재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재활용 방법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캔 재활용 방법은 수거된 캔을 프레스로 가압하여서 육면체의 덩어리 상태로 만든 후 이를 용광로에서 용융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스로 가압되는 캔의 내부에는 각종 불순물이 넣어져 있으나 이것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용융처리가 이루어져 용융 재처리된 금속 괘의 순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캔의 재활용이 용광로를 통한 용융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져 많은 에너지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캔의 재활용 과정에 있어 불순물이 다량 함유되어 재활용된 금속 괘의 질이 떨어지고 용융과정에 있어 많은 에너지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캔의 재활용 가공방법에 있어서, 캔의 양측판을 절단 분리하고 통부를 판재화는 캔판재화과정으로 통하여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캔의 양측판을 절단 분리하고 통부를 캔판재화 함으로써 캔을 용융가공하지 않고도 가공자재로 사용할 수 있어 그 재활용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방법을 일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있어서 캔이송구를 푸시이송구로 실시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있어서 캔이송구를 왕복이송구로 실시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있어서 캔고정수단을 집게 측판고정구로 실시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6 과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에 있어서 캔고정수단을 흡착 측판고정구로 실시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9 와 도 10 은 본 발명에 있어서 캔고정수단을 컨베이어 고정구로 실시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있어서 캔고정수단을 캔거치 고정구로 실시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있어서 통부판재화수단의 중앙확장길이절개구로 실시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2 에 따른 가공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있어서 길이절개구를 보인 예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있어서 길이절단구를 보인 예시도.
도 16 과 도 17은 본 발명에 있어서 평판화롤러부를 보인 예시도.
도 18 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캔선별기를 보인 예시도.
도 19 는 본 발명을 수거함체로 실시한 것을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캔을 용융가공하지 않고 캔판재화 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캔의 재활용 가공방법에 있어서, 캔의 양측판을 절단 분리하고 통부를 판재화여 캔판재를 제조하는 캔판재화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캔판재화과정은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된 캔(10)의 양측을 캔고정수단에 의하여 캔을 잡아 구속하는 캔고정과정(110)과, 캔고정과정(110)을 통하여 구속된 캔의 통부(11)를 절단하여 판재화하는 통부가공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통부가공과정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고정과정(110)을 통하여 캔고정수단에 의하여 구속된 캔의 통부(11)를 길이절개구(311)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는 통부절개과정(121)과, 통부절개과정(121)을 통하여 통부(11)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캔을 캔고정수단에 의하여 회전시키면서 통부의 양측판(12)을 둘레절단구(320)로 절단하는 둘레절단과정(130)과, 상기 둘레절단과정(130)을 통하여 측판으로부터 분리되는 통부의 절개부위를 유도하여 롤러에 의하여 평판화하는 평판화과정(14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통부가공과정의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는 캔고정수단에 의하여 구속된 캔의 통부(11) 양측단을 둘레절단구(320)로 절단하는 둘레절단과정(130)과, 상기 둘레절단과정(130)을 통하여 양측 측판(12)으로부터 절단 분리된 통부(11)의 측면에서 길이절단구(312)를 진입시킨 후 길이방향을 절개하여 길이절단과정(122)과, 상기 길이절단과정(122)을 통하여 절단된 통부(11)의 절단 단부 양단을 물어서 롤러부로 투입하여 평판화하는 평판화과정(140)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둘레절단과정(130)에 있어 측판고정구(210)가 회전되게 한 방법과 둘레절단구(320)가 통부의 둘레를 따라 회전되게 한 것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선택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캔 재활용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캔 재활용 장치에 있어서, 수거된 캔을 수납하는 캔수납부(510)와, 상기 캔수납부(510)에 수납된 캔(10)을 고정하는 캔고정수단과, 상기 캔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캔의 통부(11)를 절단하여 판재화하는 통부판재화수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상기 캔수납부(510)에서 도 3 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고정수단으로 캔(10)을 하나씩 밀어 공급할 수 있게 한 캔이송구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캔이송구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수납부에서 측판고정구(210)로 캔을 밀어 이송하는 푸시이송구(610)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고정구(210)에서 캔수납부로 왕복 동작하면서, 단부에 걸림구를 구비하고 상하 승강되면서서 캔(10)을 캔고정수단으로 이송하는 왕복이송구(6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성하며 상기 푸시이송구(610)와 왕복이송구(620)에는 이송 가압력에 의한 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완충스프링(630)을 구비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푸시이송구(610)는 솔레노이드액추에이터와 유공압액추에이터 중 어느 하나의 푸시 액추에이터(611)에 의하여 가동 동작되는 푸시구(612)로 구성하고, 상기 푸시구(612)는 전면에 캔의 통부 형상에 대응하여 호형 곡면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왕복이송구(620)는 중앙부분이 가이드핀에 구속되에 왕복 동작되는 가동대(621)와 상기 가동대(621)의 단부에 구비되어 수납부의 캔을 걸어 당길 수 있게 한 후크부(622)와, 상기 가동대(621)를 구동시키는 크랭크부(623)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후크부(622)는 복귀과정에는 캔(10)에 걸려 접어지고 이송과정에는 탄성 복귀에 되어 캔(10)을 잡아당기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캔고정수단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집게(211)에 의하여 캔(10)의 양측 측판(12)을 물어 구속하는 집게 측판고정구(210)와, 도 6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흡착에 의하여 캔(10)의 양측 측판(12)를 흡착 고정하는 흡착 측판고정구(220)와, 도 9 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구비되며 캔(10)의 통부를 잡아 고정할 수 있게 반구형의 고정캡(231)을 일정 간격으로 구비한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진 컨베이어 고정구(230) 및 도 11 내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10)의 양측 측판(12)이 외측으로 노출되게 거치할 수 있게 한 캔거치홈(251)을 형성한 캔거치 고정구(250)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집게 측판고정구(21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원판의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3 개 이상의 고정집게(211)가 구비되어 구성한 것이고;
상기 흡착 측판고정구(220)는 도 6 과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관으로 이루어져 캔(10)의 측판 테두리부분을 진공 흡착할 수 있게 흡착관(221)을 구비하거나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10)의 측판(12)을 흡착할 수 있게 3 개 이상의 흡착판(222)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집게 측판고정구(210)와 흡착 측판고정구(220)는 측판고정구 액추에이터(242)에 의하여 캔(10)의 측판(12) 측으로 가동 동작되는 측판회전모터(241)에 구속 회전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집게 측판고정구(210)와 흡착 측판고정구(220)는 캔(10)의 크기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장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컨베이어 고정구(230)는 도 9 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구비되어 서로 마주 접하는 컨베이어벨트로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공급된 캔(10)의 통부(11)를 잡아 고정할 수 있게 각 컨베이어벨트에 반구형으로 형성된 고정캡(231)을 구비하여 구성하며, 상기 고정캡(231)은 캔(10)의 크기에 따라 교체가능하게 구성하고, 고정캡(231)의 내면에는 잡아 구속한 캔(10)의 통부(11)가 미끄러지지 않게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마찰면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통부판재화수단은 측판고정구(210)에 의하여 구속된 캔(10)의 통부(11)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 절개하는 길이절개구(311)와, 상기 길이절개구(311)에 의하여 통부가 절개되어서 캔고정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캔(10)의 양측 측판(12)을 둘레방향으로 절단하는 둘레절단구(320)와, 상기 둘레절단구(320)에 의하여 절단되어서 양측 측판(12)으로부터 절단 분리되는 통부를 길이절개구(311)에 의하여 절개된 부위로 삽입되어 이송유도하는 평판화 유도판(420)에 의하여 유도하여서 롤러에 의하여 평판화하는 평판화롤러부(410)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통부판재화수단의 다른 실시 예로는 캔고정수단에 의하여 구속된 캔(10)의 통부 양측단을 둘레방향으로 절단하는 둘레절단구(320)와, 상기 둘레절단구(320)에서 양측 측판으로부터 절단된 통부(11)의 측면에서 진입하여서 가위질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는 길이절단구(312)와 상기 길이절단구(312)에 의하여 절단된 퉁부(11)의 절단 양측단 클램프(711)에 의하여 잡아 이송하는 클램프이송구(710)와, 상기 클램프이송구(710)에 의하여 잡아 이송된 통부(11)를 롤러에 의하여 평판화하는 평판롤러부(410)로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둘레절단구(32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고정수단이 집게 측판고정구(210)과 흡착 측판고정구(220)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캔고정수단에 구속되어서 좌우로 유동되고, 둘레절단 액추에이터(321)에 의하여 캔(10)의 통부(11)로 승강되어 접근되게 구성하여 실시하며, 캔고정수단이 컨베이어 고정구(230)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컨베이어벨트의 양측에서 상하로 고정 구비되어서 고정 이송되는 캔(10)의 측판(12)을 절단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캔고정수단이 캔거치 고정구(250)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12) 측의 통부(11)에 절단 유도공을 천공하는 천공침(331)을 전단에 형성하고 브이형으로 형성되어 천공침(331)에 의하여 천공된 구멍으로부터 점차적으로 확장하여 측판(12)을 제거하는 확장절단커터(330)와 상기 확장절단커터(330)를 승강 동작시키는 확장절단승강구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확장절단승강구는 도 11a와 도 1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복원되게 구성된 확장절단커터(330)의 상단을 가압할 수 있게 두 개 이상의 링크에 의하여 결속되어 전후 이동되면서 승강되는 링크레버(332a)로 구성한 것과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공압에 의하여 동작되는 확장절단액추에이터(332b)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확장절단커터(330)는 절단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하로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캔고정수단이 캔거치 고정구(250)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통부판재화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측의 통부(11)에 절단 유도공을 천공하는 중앙천공침(341)을 전단에 형성하고 브이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천공침(341)에 의하여 천공된 구멍으로부터 점차적으로 확장하여 통부(11)를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며 측판(12)을 통부(11)로부터 밀어 제거하는 중앙확장길이절단커터(340)와 상기 중앙확장길이절단커터(340)를 승강 동작시키는 유공압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승강동작되는 중앙확장길이절단승강구(342)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길이절개구(311)와 길이절단구(312) 및 둘레절단구(320)의 절단수단은 통상의 원형 커터와, 레이저절단기, 그라인더 중 어느 절단수단을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된 캔(10)을 크기에 따라 분류할 수 있게 한 캔선별기(80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캔선별기(800)는 다중 원통으로 이루어져 회전되며 각기 캔(10)의 크기에 따라 외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선별구멍을 갖게 구성한 것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에 수용된 상태로 구성하여서 사용된 캔수거기에 적용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상측에 투입구(101)를 형성한 수거함체(100)의 내부에 캔수납부(510)와 캔이송구, 캔고정수단, 통부판재화수단을 구비하고, 판재화된 캔(10)의 통부(11)를 적층 저장하는 통부저장통(102)과, 절단된 캔(10)의 측판(12)를 분리저장하는 측판저장통(103)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캔의 양측판을 절단 분리하고 통부를 판재화 함으로써 캔을 용융가공하지 않고도 가공자재로 사용할 수 있어 그 재활용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10 : 캔 11 : 통부 12 : 측판
100 : 수거함체 101: 투입부 102 : 통부수납함 103 : 측판수납함
110 : 캔고정과정
121 : 통부절개과정 122 : 길이절단과정
130 : 둘레절단과정 140 : 평판화과정
210 : 집게 측판고정구 211: 고정집게
220 : 흡착 측판고정구 221: 흡착관 222 : 흡착판
230 : 컨베이어 고정구 231: 고정캡
241 : 측판회전모터 242 : 측판고정구 액추에이터
250 : 캔거치 고정구 251 : 캔거치홈
311 : 길이절개구 312 : 길이절단구
320 : 둘레절단구 321 : 둘레절단 액추에이터
330 : 확장절단커터 331 : 천공침
332a: 링크레버 332b: 확장절단액추에이터
340 : 중앙확장길이절단커터 341 : 중앙천공침
342 : 중앙확장길이절단승강구
410 : 평판화롤러부 420 : 평판화 유도판
510 : 캔수납부
610 : 푸시이송구 611 : 푸시 액추에이터 612 : 푸시구
620 : 왕복이송구
621 : 가동대 622 : 후크부 623 : 크랭크부
630 : 완충스프링
710 : 클램프이송구 711 : 클램프
800 : 캔선별기

Claims (9)

  1. 캔의 재활용 가공방법에 있어서;
    캔의 양측판을 절단 분리하고 통부를 판재화여 캔판재를 제조하는 캔판재화과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캔판재화과정은 공급된 캔(10)을 캔고정수단에 의하여 잡아 고정하는 캔고정과정(110)과, 캔고정과정(110)을 통하여 구속된 캔(10)의 통부(11)를 절단하여 판재화하는 통부가공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부가공과정은 캔고정과정(110)을 통하여 캔고정수단에 구속된 캔(10)의 통부를 길이절개구(311)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는 통부절개과정(121)과, 통부절개과정(121)을 통하여 통부(11)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캔을 캔고정수단에 의하여 회전시키면서 통부의 양측단을 둘레절단구(320)로 절단하는 둘레절단과정(130)과, 상기 둘레절단과정(130)을 통하여 측판으로부터 분리되는 통부의 절개부위를 유도하여 롤러에 의하여 평판화하는 평판화과정(140)으로 이루어진 것과,
    캔고정수단에 의하여 구속된 캔(10)의 측판(12)을 둘레절단구(320)로 절단하는 둘레절단과정(130)과, 상기 둘레절단과정(130)을 통하여 양측 측판(12)으로부터 절단 분리된 통부(11)의 측면에서 길이절단구(312)를 진입시킨 후 길이방향을 절개하여 길이절단과정(122)과, 상기 길이절단과정(122)을 통하여 절단된 통부의 절단 단부 양단을 물어서 롤러부로 투입하여 평판화하는 평판화과정(140)으로 이루어진 것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진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판재화 재활용 가공방법.
  2. 캔 재활용 장치에 있어서;
    수거된 캔을 수납하는 캔수납부(510)와, 상기 캔수납부(510)에 수납된 캔(10)을 잡아 고정하는 캔고정수단과, 상기 캔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캔(10)의 통부(11)를 절단하여 판재화하는 통부판재화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캔수납부(510)에서 캔고정수단으로 캔(10)을 하나씩 밀어 공급할 수 있게 한 캔이송구를 구비하되, 상기 캔이송구는 캔수납부에서 캔고정수단으로 캔(10)을 밀어 이송하는 푸시이송구(610)와, 측판고정구(210)에서 캔수납부로 왕복동작하면서, 단부에 걸림구를 구비하고 상하 승강되면서서 캔(10)을 캔고정수단으로 이송하는 왕복이송구(6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성하며 상기 푸시이송구(610)와 왕복이송구(620)에는 이송 가압력에 의한 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완충스프링(63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판재화 재활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캔수거기를 이용되게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상측에 투입구(101)를 형성한 수거함체(100)의 내부에 캔수납부(510)와 캔이송구, 캔고정수단, 통부판재화수단을 구비하고, 판재화된 캔(10)의 통부(11)를 적층 저장하는 통부저장통(102)과, 절단된 캔(10)의 측판(12)를 분리저장하는 측판저장통(10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판재화 재활용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이송구(610)는 솔레노이드액추에이터와 유공압액추에이터 중 어느 하나의 푸시 액추에이터(611)에 의하여 가동 동작되는 푸시구(612)로 구성하고, 상기 푸시구(612)는 전면에 캔의 통부 형상에 대응하여 호형 곡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판재화 재활용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송구(620)는 중앙부분이 가이드핀에 구속되에 왕복 동작되는 가동대(621)와 상기 가동대(621)의 단부에 구비되어 수납부의 캔을 걸어 당길 수 있게 한 후크부(622)와, 상기 가동대(621)를 구동시키는 크랭크부(623)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후크부(622)는 복귀과정에는 캔에 걸려 접어지고 이송과정에는 탄성복귀에 되어 캔을 잡아당기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판재화 재활용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캔고정수단은 고정집게(211)에 의하여 캔(10)의 양측 측판(12)를 물어 구속하는 집게 측판고정구(210)과, 진공 흡착에 의하여 캔(10)의 양측 측판(12)를 흡착 고정하는 흡착 측판고정구(220)와, 상하로 구비되며 캔(10)의 통부를 잡아 고정할 수 있게 반구형의 고정캡(231)을 일정 간격으로 구비한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진 컨베이어 고정구(230) 및 캔(10)의 양측 측판(12)이 외측으로 노출되게 거치할 수 있게 한 캔거치홈(251)을 형성한 캔거치 고정구(250)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판재화 재활용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판재화수단은
    캔고정수단에 의하여 구속된 캔의 통부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 절개하는 길이절개구(311)와, 상기 길이절개구(311)에 의하여 통부가 절개되어서 캔고정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통부의 양측 단부를 둘레방향으로 절단하는 둘레절단구(320)와, 상기 둘레절단구(320)에 의하여 절단되어서 양측 측판으로부터 절단 분리되는 통부를 길이절개구(311)에 의하여 절개된 부위로 삽입되어 이송유도하여 롤러에 의하여 평판화하는 평판화롤러부(410)로 구성한 것과;
    캔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구속된 캔(10)의 측판(12)를 둘레방향으로 절단하는 둘레절단구(320)와, 상기 둘레절단구(320)에서 양측 측판(12)으로부터 절단된 통부(11)의 측면에서 진입하여서 가위질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는 길이절단구(312)와 상기 길이절단구(312)에 의하여 절단된 퉁부의 절단 양측단을 잡아 이송하는 클램프이송구(710)와, 상기 클램프이송구(710)에 의하여 잡아 이송된 통부를 롤러에 의하여 평판화 하는 평판롤러부(420)로 구성한 것과;
    캔고정수단에 의하여 거치 구속된 캔(10)의 측판(12) 측 통부(11)에 절단 유도공을 천공하는 천공침(331)을 전단에 형성하고 브이형으로 형성되며 확장절단승강구에 의하여 승강되어서 천공침(331)에 의하여 천공된 구멍으로부터 점차적으로 확장하여 측판(12)을 제거하는 확장절단커터(330)와, 양측 측판(12)으로부터 절단된 통부(11)의 측면에서 진입하여서 가위질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는 길이절단구(312)와, 상기 길이절단구(312)에 의하여 절단된 퉁부의 절단 양측단을 잡아 이송하는 클램프이송구(710)와, 상기 클램프이송구(710)에 의하여 잡아 이송된 통부를 롤러에 의하여 평판화 하는 평판롤러부(420)로 구성한 것과,
    캔고정수단이 캔거치 고정구(250)로 이루어진 경우에 중앙측의 통부(11)에 절단 유도공을 천공하는 중앙천공침(341)을 전단에 형성하고 브이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천공침(341)에 의하여 천공된 구멍으로부터 점차적으로 확장하여 통부(11)를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며 측판(12)을 통부(11)로부터 밀어 제거하는 중앙확장길이절단커터(340)와 상기 중앙확장길이절단커터(340)를 승강 동작시키는 유공압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승강동작되는 중앙확장길이절단승강구(342)로 구성한 것
    ;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선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판재화 재활용 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00083958A 2009-10-28 2010-08-30 캔의 판재화 재활용 장치 및 그 가공방법 KR101225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549 2009-10-28
KR20090102549 2009-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922A KR20100133922A (ko) 2010-12-22
KR101225848B1 true KR101225848B1 (ko) 2013-02-07

Family

ID=4350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958A KR101225848B1 (ko) 2009-10-28 2010-08-30 캔의 판재화 재활용 장치 및 그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695B1 (ko) * 2021-11-09 2022-03-21 (주)엘케이피 페트병 자동 분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563B1 (ko) * 2011-08-30 2013-12-03 나성민 캔의 판재화 가공장치
AP2015008245A0 (en) * 2012-06-13 2015-02-28 Harry Dean Kassel A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pipes
CN109384034A (zh) * 2017-08-03 2019-02-26 山东园元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双胶塞递送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7703A (ja) * 1994-03-22 1995-10-09 Sunami Seisakusho:Kk 空缶資源再利用のための処理方法とその装置
KR200202836Y1 (ko) * 2000-02-16 2000-11-15 전운택 캔 재활용 장치
KR200254467Y1 (ko) * 2001-08-02 2001-12-01 배용생 재활용 캔 분쇄장치
JP2006068579A (ja) * 2004-08-31 2006-03-16 Jfe Steel Kk アルミニウム回収設備およびアルミニウム回収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7703A (ja) * 1994-03-22 1995-10-09 Sunami Seisakusho:Kk 空缶資源再利用のための処理方法とその装置
KR200202836Y1 (ko) * 2000-02-16 2000-11-15 전운택 캔 재활용 장치
KR200254467Y1 (ko) * 2001-08-02 2001-12-01 배용생 재활용 캔 분쇄장치
JP2006068579A (ja) * 2004-08-31 2006-03-16 Jfe Steel Kk アルミニウム回収設備およびアルミニウム回収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695B1 (ko) * 2021-11-09 2022-03-21 (주)엘케이피 페트병 자동 분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922A (ko)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848B1 (ko) 캔의 판재화 재활용 장치 및 그 가공방법
CN108723473B (zh) 自动切管机
CN113305133A (zh) 一种用于废弃易拉罐瓶身分离的回收设备
WO2008016313A9 (en) A multi layer bag separator
JP5437893B2 (ja) 魚体の眼球部打ち抜き回収装置
CN210083749U (zh) 一种拆包装置
CN111453114A (zh) 一种片状材料自动拆散设备及拆散方法
CN113602617A (zh) 一种全自动条烟拆包机
CN212665021U (zh) 一种铝板用高效裁剪结构
CN210523515U (zh) 一种集成电路切筋成型设备
CN105252649B (zh) 新型高效自动卸板铣平机及其加工工艺
CN212384438U (zh) 一种水平尺尺体自动上料和卸料装置
CN211221582U (zh) 脱标装置及塑料瓶处理设备
CN106738048B (zh) 一种自动冲切叠片摆片设备中的橡胶冲裁工站
CN213504786U (zh) 一种纸盒出料机构
CN217370710U (zh) 一种上料机构及剪板机
CN106270148B (zh) 铜条自动安装机构
CN215280181U (zh) 一种自动撇料设备
CN217018825U (zh) 一种金属板材宽度自由裁切的自动输送装置
CN212822122U (zh) 一种全自动万能圆钢平头打孔机
CN219205758U (zh) 一种用于水产加工的切片装置
CN114011938A (zh) 一种飞轮冲压设备
CN209957070U (zh) 一种用于切标机上的收料装置
CN219634176U (zh) 一种半导体环切截断机
CN215315291U (zh) 一种自动制罐生产线的压合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