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813B1 - 연소기구 - Google Patents

연소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813B1
KR101225813B1 KR1020110092714A KR20110092714A KR101225813B1 KR 101225813 B1 KR101225813 B1 KR 101225813B1 KR 1020110092714 A KR1020110092714 A KR 1020110092714A KR 20110092714 A KR20110092714 A KR 20110092714A KR 101225813 B1 KR101225813 B1 KR 101225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ck
inner tube
combustion
cylinder
fue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금숙
Original Assignee
안금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금숙 filed Critical 안금숙
Priority to KR1020110092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23D3/18Details of wick burners
    • F23D3/28Wick-adjus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31005Wick burners using oil as a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31013Wick adjusting devices engaging the tube carrying the wick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가 촉진되어 인화성이 낮은 식물유를 사용하면서도 고열을 얻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료의 소모와 매연의 발생 등을 최소화하는 연소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연소기구는, 중앙에 형성된 공기통로(11)와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며 중앙에 출몰구(15)가 형성된 덮개판(14)을 구비하는 연료통(10)과, 상기 연료통의 내부에 승강하게 설치되며 내관체(21)와 외관체(22)의 하단을 일정간격으로 연결하는 수개의 연결편(23)과 양단이 상기 내관체의 양측 상단에 연결되며 하부는 내관벽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노출되는 승강대(24)를 구비하는 심지통(20)과, 하면이 상기 연결편에 받쳐지게 내관체와 외관체의 사이에 장착하는 심지(30)와, 상기 심지통을 승강시켜 주는 승강기(40)와, 상기 내관벽의 상단에 부설된 복수의 받침편(12a)에 하주연을 고정하며 상단에 부설된 복수의 고정편(52)에 하면을 고정하는 접시형태의 분산판(51)의 구비하는 내부연소통(50) 및 다수의 통공(62)이 형성된 하주면부(61)와 상기 하주면부의 상단으로부터 항아리형태를 이루게 외측으로 만곡되게 상향연장된 상주면부(63)로 되는 외부연소통(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소기구{A burner}
본 발명은 연소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가 촉진되어 인화성이 낮은 식물유를 사용하면서도 고열을 얻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료의 소모와 매연의 발생 등을 최소화하는 연소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난방이나 취사용으로 석유나 식물유 등을 연료로 사용하는 여러 종류의 연소기구들이 있었는데, 이러한 연소기구들의 대부분은 심지가 장착되는 심지통을 연료통의 내부에 회전식으로 승강하도록 설치하였기 때문에 심지를 점화 또는 소화위치로 승강시켜 주는 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심지통을 회전 승강시켜 주기 위해서 심지통의 외면에는 상단부가 랙기어로 되는 경사장공이 형성된 고정판을 부착하고, 외단에는 조정핸들를 내단에는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을 각각 축 고정한 조정축을 연료통의 외관벽을 관통하게 결합하여 설치하였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면 조정축이 외관벽을 관통하는 부분을 통해 연료가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종래의 연소기구들은 점화를 위해 심지를 상승시키면 그 상단부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내·외 연소통의 하부 내측 사이에 위치토록 하여 점화를 하면 내·외 연소통의 통공들을 통해 외부공기가 심지의 상단부 내·외측으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내·외 연소통은 주면이 수직인 원통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므로 이들 사이에 화염의 통로가 직선으로 형성됨에 따라 연소가 충분하게 이루어지기도 전에 화염이 빠르게 상승하여 배출되었기 때문에 불완전연소가 발생하여 매연이 많이 배출되는 문제점은 물론 연료의 낭비와 열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연소기구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심지를 신속하게 승강시켜 줄 수 있게 함은 물론 장기간 사용하여도 연료통의 외벽을 통한 연료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연소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연의 발생과 연료의 낭비가 초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고열과 양질의 화염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연소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심지통은 연료통의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공기통로를 통해 수직으로 승강시켜 주게 설치하고, 상기 외부연소통은 수직으로 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하주면부와 상기 하주면부의 상단으로부터 항아리형태를 이루게 외측으로 만곡 연장되는 상주면부로 형성하여 내부연소통의 외면과 외부연소통의 상주면부의 내면 사이에 화염이 통과하는 통로가 곡선을 이루게 형성함으로써 화염이 상기 통로를 통과할 때 퍼졌다가 모이게 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연소가 충분히 이루어져 상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연소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연소기는, 상기 심지통은 연료통의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공기통로를 통해 수직으로 승강시켜 주도록 설치되는 것이므로 심지통을 보다 신속하게 승강시켜 줄 수 있게 되는 특징은 물론 승강기가 연료통을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승강기에 의해 연료통에서 연료나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장점도 있다.
특히, 내부연소통과 외부연소통의 사이에 화염이 통과하게 되는 통로가 곡선을 이루게 형성됨으로써 화염이 상기 통로를 통과할 때 퍼졌다가 다시 모이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먼저 화염이 퍼지는 과정에서는 미쳐 연소되지 않은 입자들이 있으면 미세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연소가 이루어지면서 다시 모이게 되므로 연소가 충분하게 이루어져 불완전연소가 해소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열효율이 크게 향상되어 고열을 얻을 수 있게 됨은 물론 매연이 발생하거나 연료의 낭비가 초래되지 않는 효과도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연소기구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연소기구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심지를 상승시킨 상태의 측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연소기구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연소기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연소기구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연소기구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심지를 상승시킨 상태의 측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연소기구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연소기는, 연료통(10)과, 상기 연료통의 내부에 승강하게 설치하는 심지통(20)과, 상기 심지통의 내부에 장착하는 심지(30) 및 상기 심지통을 승강시켜 주는 승강기(40)와, 상기 연료통의 상면에 설치하는 내부연소통(50) 및 외부연소통(60)을 구비하여 된다.
연료통(10)은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공기통로(11)를 형성하는 내관벽(12)과 상기 내관벽에 대응하는 외관벽(12') 및 상기 내·외관벽이 내·외단에 직립연장하는 하면(13)을 구비하여 된다.
그리고, 개방된 상부는 외단을 외관벽(12')의 상단에 결속하는 덮개판(14)으로 덮어주며, 상기 덮개판의 중앙에는 심지(30)의 상단부가 출몰하는 출몰구(15)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마개(16)로 개폐하는 연료의 주입구(17)를 부설한다.
또한, 하면(13)의 내관벽(12)에 인접하는 부분을 소정 높이로 상향 절곡하여 심지통(20)을 하강시키면 수용되게 하는 수용부(18)를 형성하며, 상단만 상방으로 노출되게 외통체(10')의 상부에 결합한다.
심지통(20)은, 내관체(21)와 상기 내관체와 소정간격으로 격리되며 내관체보다 상하 길이가 짧은 외관체(22)와 상기 내·외관체의 하단을 일정간격으로 연결하는 수개의 연결편(23)과 양단이 상기 내관체의 양측 상단에 연결되며 하부는 내관벽의 내부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노출되는 "
Figure 112011502723117-pat00001
"형태의 승강대(24)로 형성된다.
이러한 심지통(20)을 연료통(10)에 결합하면 내관체(21)가 내관벽(12)의 외면에 결합되는 상태로 내부에 설치되며, 승강대(24)는 양 상단부가 상기 내관벽의 상단을 넘어서 내관벽의 내면을 따라 하향하여 공기통로(11)를 통해 하방으로 노출된다.
이와 같은 심지통(20)의 내·외관체(21)(22)들 사이에 개재되게 심지(30)를 결합하면, 상기 심지의 하면이 내·외관체를 연결하는 수개의 연결편(23)들의 상면에 받쳐지는 상태로 장착된다.
이렇게 장착되는 심지(30)에는, 내·외관체(21)(22)의 상하 길이차이와 연결편(23)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연료가 공급되므로 심지통(20)에는 연료의 공급공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심지(30)는, 세라믹직물로 되는 관 형태의 점화심(31)과 흡수성이 양호하며 불연처리된 면직물로 상하 길이는 상기 점화심들 보다 짧고 두께는 두껍게 되며 점화심의 내·외면에 밀착하게 결합하는 내·외 급유심(32)(32')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점화심(31)의 상단부는 상하 길이의 차이에 비례하는 만큼 내·외 급유심(32)(32')의 상단들 사이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며, 돌출되는 점화심(31)의 상단부는 빙 둘러서 수직으로 세절하여 세분되게 함과 동시에 상단부 내·외면의 하측부분에 내·외 급유심(32)의 각 상단부 외·내면이 밀착되게 결합설치한다.
이렇게 하면, 점화심(31)의 수직으로 세절하여 세분된 상단부에는 무수한 모세관이 형성되므로 내·외 급유심들의 상단을 통해 연료가 모세관작용에 의해 세분되어 순조롭게 공급되기 때문에 상단부에 점화를 하면 인화성이 낮아도 신속하게 점화됨은 물론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승강기(40)는, 랙기어(41)·피니언(42)·조정축(43) 및 조정핸들(44)을 구비하여 된다.
랙기어(41)는 승강대(24)의 양측 중간부를 가로지르게 고정하는 가로대(25)와 상기 승강대의 하단면 사이를 수직으로 가로지르게 고정설치하며, 피니언(42)은 상기 승강대가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랙기어의 상단부에 맞물려 있도록 조정축(43)의 내단에 축 고정한다.
조정축(43)은 연료통(10)의 하면을 받쳐주게 하단을 외통체(10')의 바닥면에 고정하여 직립하는 받침대(19)들 중 하나와 상기 외통체의 일측을 관통하게 수평으로 설치하며, 외단에는 조정핸들(44)을 축 고정한다.
이와 같은 승강기(40)는 일반적으로 심지를 사용하는 연소기에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랙기어(41)와 피니언(42)을 연료통(10)의 외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조정축(43)이 상기 연료통의 외관벽(12')을 관통하지 않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승강기(40)로 심지통(20)을 상승시켜 줄 때에는, 조정핸들(44)를 잡고 조정축(43)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니언(42)이 그 위치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피니언과 맞물려있는 랙기어(41)가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랙기어(41)가 고정된 승강대(24)에 의해 심지통(20)이 함께 상승하게 되며, 이후 상기 심지통을 완전히 상승시켜 주면 점화심(31)의 상단부가 연료의 상부를 지나서 출몰구(15)를 통해 노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연소통(60)의 일측을 들어올리고 점화심(31)의 상단부에 점화를 한 다음 상기 외부연소통을 내려놓으면 공기통로(11)의 상주연과 내부연소통(50)의 하주연 사이 간격 및 상기 외부 연소통의 하주면부(61)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62)을 통해 상기 점화심의 상단부 내·외로 외부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연소가 원활하게 진행된다.
그리고, 소화를 위해 심지통(20)을 하강시켜 줄 때에는 조정핸들(44)를 잡고 조정축(43)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니언(42)이 그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피니언과 맞물려있는 랙기어(41)가 수직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랙기어(41)가 고정된 승강대(24)에 의해 심지통(20)이 수직으로 하강하게 되며, 이후 점화심(31)의 상단이 출몰구(15)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공기공급이 차단되거나 상기 심지통이 완전히 하강되어 점화심의 상단이 연료에 잠기게 되면 즉시 소화가 된다.
내부 연소통(50)은 관 형태로 되며, 그 하주연은 내관벽(12)의 상단에 소정높이로 부설된 복수의 받침편(12a) 상면에 용접이나 나사체결 등의 방법으로 고정설치하여 공기통로(11)의 상주연과 상기 내부 연소통의 하주연 사이에 공기가 공급되는 간격이 형성되게 한다.
또한, 내부 연소통(50)의 상단에는 소정높이로 복수의 고정편(52)을 부설하여 그 상면에 용접이나 나사체결 등의 방법으로 접시형태의 분산판(51)의 하면이 상기 내부 연소통의 상단과 격리되게 고정설치한다.
이렇게 하면, 연소로 발생하는 화염이 분산판(51)에 의해 그대로 상승하여 배출되지 않고 주위로 퍼지게 됨과 동시에 복수의 고정편(5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연소통(50)의 상단과 상기 분산판의 하면 사이의 간격을 통해 퍼지게 되는 화염에 외부공기가 공급되므로 연소가 더욱 촉진된다.
외부 연소통(60)은 상·하단이 개방되며, 다수의 통공(62)이 형성된 하주면부(61)와 상기 하주면부의 상단으로부터 항아리형태를 이루게 외측으로 만곡되게 상향 연장되는 상주면부(63)로 형성된다.
이러한 외부 연소통(60)을 덮개판(14)의 출몰구(15)에 결합하면 내부연소통(50) 및 분산판(51)의 외면과 상주면부(63)의 내면 사이에는 화염이 통과하는 통로가 곡선을 이루게 형성된다.
따라서, 화염이 상기 통로를 통과할 때 퍼졌다가 모이게 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연소가 이루어지게 됨과 동시에 퍼지게 되는 과정에서도 외부공기가 화염에 공급되기 때문에 화염이 퍼지는 과정에서는 미쳐 연소되지 않은 입자들이 있으면 미세하게 분산되면서 신속하게 연소가 이루어지면서 다시 모이게 되므로 연소가 더욱 촉진되어 불완전연소가 해소되는 특징은 물론 열효율이 크게 향상됨과 동시에 매연이 발생하거나 연료의 낭비가 초래되지 않아 고온과 양질의 화염을 얻게 되는 장점도 있다.
10 : 연료통 10' : 외통체
11 : 공기통로 12, 12' : 내·외관벽
12a :받침편 14 : 덮개판
15 : 출몰구 18: 수용부
19 : 받침대 20 : 심지통
21 : 내관체 22 : 외관체
23 : 연결편 24 : 승강대
25 : 가로대 30 : 심지
31 : 점화심 32,32' : 내·외 급유심
40 : 승강기 50 : 내부연소통
51 : 분산판 52 : 고정편
60 : 외부연소통 62 : 통공
63 : 상주면부

Claims (2)

  1. 상부가 개방되며, 중앙에 공기통로(11)가 형성되게 하는 내관벽(12)과, 상기 내관벽(12)과 외관벽(12')을 내·외단에 직립연장하는 하면(13) 및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며 중앙에 출몰구(15)가 형성된 덮개판(14)을 구비하여 되는 연료통(10)과;
    상기 연료통(10)의 내부에 승강하게 설치되며, 내관체(21)와 외관체(22)의 하단을 일정간격으로 연결하는 수개의 연결편(23)과, 양단이 상기 내관체(21)의 양측 상단에 연결되며 하부는 내관벽의 내부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노출되는 "
    Figure 112011502723117-pat00002
    "형태의 승강대(24)를 구비하여 되는 심지통(20)과;
    하면이 상기 연결편(23)에 받쳐지게 내관체(21)와 외관체(22)의 사이에 장착하는 심지(30)와;
    상기 승강대(24)의 양측부를 가로지르게 고정된 가로대(25)와 승강대(24)의 하면 사이를 수직으로 가로지르게 고정하는 랙기어(41)와, 상기 랙기어(41)와 맞물리게 설치되는 피니언(42)과, 내단에는 상기 피니언(42)을 축 고정하며 외단은 상부에 연료통(10)을 결합하는 외통체(10')의 일측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하는 조정축(43)을 구비하여 되는 승강기(40)와;
    관 형태로 되며, 상기 내관벽(12)의 상단에 부설된 복수의 받침편(12a)에 하주연을 고정하여 공기통로(11)의 상주연과 상기 하주연의 사이에 공기가 공급되는 간격이 형성되게 설치하며, 상단에 부설된 복수의 고정편(52)에 하면을 고정하여 상기 상단과 하면의 사이에 공기가 공급되는 간격이 형성되게 하는 접시형태의 분산판(51)의 구비하여 되는 내부연소통(50); 및
    개방된 하단을 상기 출몰구(15)의 외주에 결합하며, 다수의 통공(62)이 형성된 하주면부(61)와, 상기 하주면부(61)의 상단으로부터 항아리형태를 이루게 외측으로 만곡되게 상향연장되며 상단이 개방된 상주면부(63)로 형성되는 외부연소통(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통(10)은, 하면(13)의 내관벽(12)에 인접하는 부분을 소정 높이로 상향 절곡하여 심지통(20)을 하강시키면 수용되게 형성하는 수용부(18)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심지통(20)은, 내관체(21) 보다 외관체(22)의 상하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구.
KR1020110092714A 2011-09-15 2011-09-15 연소기구 KR101225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714A KR101225813B1 (ko) 2011-09-15 2011-09-15 연소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714A KR101225813B1 (ko) 2011-09-15 2011-09-15 연소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813B1 true KR101225813B1 (ko) 2013-01-23

Family

ID=4784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714A KR101225813B1 (ko) 2011-09-15 2011-09-15 연소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8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738B1 (ko) * 2014-05-20 2015-06-03 안금숙 연소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1431A (ko) * 1986-05-28 1987-12-23 히로유기 오오노 석유연소기의 난방용 온수 가열장치
KR200356383Y1 (ko) 2004-04-21 2004-07-15 김대원 파라핀의 연소장치
KR200374557Y1 (ko) 2004-11-09 2005-01-29 김대원 난방 및 취사용 연소장치
JP2010091261A (ja) 2008-09-12 2010-04-22 Toyotomi Co Ltd 芯上下式石油燃焼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1431A (ko) * 1986-05-28 1987-12-23 히로유기 오오노 석유연소기의 난방용 온수 가열장치
KR200356383Y1 (ko) 2004-04-21 2004-07-15 김대원 파라핀의 연소장치
KR200374557Y1 (ko) 2004-11-09 2005-01-29 김대원 난방 및 취사용 연소장치
JP2010091261A (ja) 2008-09-12 2010-04-22 Toyotomi Co Ltd 芯上下式石油燃焼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738B1 (ko) * 2014-05-20 2015-06-03 안금숙 연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402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CN104913303B (zh) 燃烧器及具有其的燃气灶
KR101225813B1 (ko) 연소기구
KR100908899B1 (ko) 연소장치
KR101270320B1 (ko) 연소기
CN217090409U (zh) 烧烤炉
KR101705554B1 (ko) 휴대용 구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이장치 가열방법
KR200481740Y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KR101550594B1 (ko) 파라핀 연소기구
KR101289550B1 (ko) 연탄 전용 착화 장치
KR102197391B1 (ko) 파라핀 연소기
KR101283765B1 (ko) 연소기
KR101393174B1 (ko) 식물유연소기
CN110260367A (zh) 一种醇基气化壁挂炉
KR101525738B1 (ko) 연소기
CN205322149U (zh) 带点火功能的炭烤炉
KR102447699B1 (ko) 캠핑용 스토브
KR101649858B1 (ko) 숯 착화용 화덕을 이용한 온수보일러
GB2512417A (en) Stove and burner
CN204063163U (zh) 一种节能煤油炉
CN219109222U (zh) 一种耐高温烤炉底座
KR102640966B1 (ko) 석유난로용 소화장치
KR101746943B1 (ko) 온수 공급기능을 갖는 화목난로
CN210354401U (zh) 一种环保烧烤炉
CN205979887U (zh) 一种烹饪用燃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