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174B1 - 식물유연소기 - Google Patents
식물유연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3174B1 KR101393174B1 KR1020120129169A KR20120129169A KR101393174B1 KR 101393174 B1 KR101393174 B1 KR 101393174B1 KR 1020120129169 A KR1020120129169 A KR 1020120129169A KR 20120129169 A KR20120129169 A KR 20120129169A KR 101393174 B1 KR101393174 B1 KR 1013931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ck
- vegetable oil
- fabric
- paper
- oil bur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23D3/08—Wick burners characterised by shape, construction, or material, of wic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23D3/18—Details of wick burners
- F23D3/28—Wick-adjust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31005—Wick burners using oil as a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31012—Wick adjusting devices directly engaging the w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ck-Type Burners And Burners With Porous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지를 사용하면서도 점성과 인화점이 높은 식물유를 연료로 하여 고열과 양질의 화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식물유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식물유연소기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료통(20)과 상기 연료통에 수직으로 승강하게 장착되는 심지(30)와 상기 심지를 승강시켜 주는 승강기(40) 및 상기 연료통의 상면 중앙부에 서로 격리되게 설치되는 다공성의 내·외부 연소통(50)(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물유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닥나무나 삼지닥나무 껍질을 원료로 하여 고유의 기법으로 조직이 불규칙하고 매우 치밀하게 만들어지는 한지(31)와 상기 한지의 양면에 밀착시켜 결속하며 무명실로 조직이 치밀하게 직조하는 직물(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식물유연소기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료통(20)과 상기 연료통에 수직으로 승강하게 장착되는 심지(30)와 상기 심지를 승강시켜 주는 승강기(40) 및 상기 연료통의 상면 중앙부에 서로 격리되게 설치되는 다공성의 내·외부 연소통(50)(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물유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닥나무나 삼지닥나무 껍질을 원료로 하여 고유의 기법으로 조직이 불규칙하고 매우 치밀하게 만들어지는 한지(31)와 상기 한지의 양면에 밀착시켜 결속하며 무명실로 조직이 치밀하게 직조하는 직물(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유연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심지를 사용하면서도 점성과 인화점이 높은 식물유를 연료로 하여 고열과 양질의 화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식물유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연료통에 수용된 식물유가 심지에 의해 모세관현상으로 흡수공급되어 상단에서 연소가 되도록 한 연소기들이 있었는데, 이들 연소기는 열에 강하며 내구성이 양호한 세라믹 실로 직조한 고가의 파이프형태의 심지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식물유는 점성과 인화점이 높아 연소가 잘 않 되어 연소과정에서 타르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심지에 흡수되는 식물유의 입자가 미세하게 분리되어 상단으로 공급되게 하여 연소가 잘되게 하여야 하는데, 세라믹 실로 직조한 심지는 조직이 성기고 굵기 때문에 입자가 충분할 정도로 미세하게 분리되지 않고 공급되기 때문에 완전연소가 않 되어 타르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미량이라도 타르가 발생하면 심지의 상단에 엉겨붙어서 더욱 연소가 않 되면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인 그을음이나 냄새 등이 배출되었음은 물론 타르가 엉겨붙은 부분으로는 식물유의 공급이 차단되어 고른 연소유지가 이루어지지 않아 고열과 양질의 화염을 얻을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소화시키면 엉겨붙은 타르가 심지와 한 덩어리로 굳어서 제거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에 신속한 점화와 고른 연소유지가 않 되므로 고가인 심지를 자주 교체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음은 물론 심지의 수명단축으로 자원과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는 등의 문제점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연소기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항상 신속하고도 원활한 착화는 물론 고열과 양질의 화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식물유연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사용 및 유지관리가 매우 간편·용이함과 동시에 자원과 비용의 낭비 등이 초래되지 않도록 하는 식물유연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료통과, 상기 연료통에 수직으로 승강하게 장착되며 조직이 매우 치밀하게 만들어지는 한지와 무명실로 조직이 매우 치밀하게 직조되며 상기 한지의 양면에 밀착되게 결속하는 직물로 형성되는 심지와, 상기 심지를 수직으로 승강시켜주는 승강기 및 다공성의 내·외부 연소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식물유가 한지와 직물로 형성된 심지에 의해 최적의 상태로 미세하게 분리되어 상단으로 원활히 공급되어 항상 신속한 착화와 고른 연소유지가 이루어져 고열과 양질의 화염을 얻게하는 한 식물유연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연소기는, 조직이 매우 치밀한 한지와 무명실로 직조한 직물로 형성되는 심지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흡수되는 식물유의 입자가 최적의 상태로 미세하게 분리되어 상단으로 공급되게 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항상 신속한 점화는 물론 고른 연소유지에 따른 완전연소로 고열과 양질이 화염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장점도 있다.
또한, 사용 및 유지관리가 매우 간편·용이함과 동시에 연소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심지의 수명단축은 물론 자원과 비용의 낭비 등이 초래되는 것이 방지되는 등의 효과도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식물유연소기를 일부 생략하여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식물유연소기에서 일부는 생략하지 않고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심지를 상승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식물연소기에서 심지의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식물연소기에 적용되는 심지의 다른 예를 일부 발췌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식물유연소기에서 일부는 생략하지 않고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심지를 상승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식물연소기에서 심지의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식물연소기에 적용되는 심지의 다른 예를 일부 발췌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식물유연소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식물유연소기를 일부 생략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물유연소기에서 일부는 생략하지 않고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심지를 상승시킨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식물연소기에서 심지의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연소기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료통(20)과, 상기 연료통에 수직으로 승강하게 장착되는 심지(30) 및 상기 심지를 승강시켜 주는 승강기(40)와, 다공성의 내·외부 연소통(50)(50')을 포함하여 된다.
본체(10)는, 개방된 상면을 덮어주는 덮개(11)와, 하면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게 직립연장되는 유통관부(12)와, 내부 일측에 부설되는 상승제어부재(13)와, 상기 덮개의 중앙에 형성된 유통구의 상면 외주에 안착하는 삼발이(14) 및 상기 본체의 하면 중앙부에 외주면 상단을 고정하여 유통관부의 개방된 하단을 외부와 격리시켜 주는 격판(15)을 구비하여 된다.
상승제어부재(13)는 상단에 헤드가 형성된 나사 봉으로 되며, 본체(10)의 내주면 일측 상부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대(16)에 형성된 나사공을 관통하게 체결되어 그 회전방향에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승제어부재(13)의 직 상부에 해당하는 덮개(11)에는 조절공(111)을 형성하여 상기 상승제어부재의 승강을 상방에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승제어부재(13)는, 심지(30)의 상단이 식물유의 유면 위로 과도하게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심지의 상승을 제어하게 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점화를 위해 심지(30)를 상승시켰을 때 식물유의 유면 위로 노출되는 상단과 유면과의 사이 간격이 커지면 상단으로 식물유가 원활하게 공급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격판(15)은,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151)과, 상기 관통공의 외주 측에 형성되는 수개의 통공(152)을 구비하여 된다,
관통공(15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 연료통(20)을 설치하는 장볼트(17)가 관통결합되는 것이며, 수개의 통공(152)은 심지(30)에 점화하여 식물유가 연소할 때 외부공기가 내부 연소통(50) 측으로 공급되게 하는 것이다.
연료통(20)은, 하단이 개방되게 상향 요입되면 상면 중앙에는 결속공(211)이 외주에는 수개의 유통공(212)이 형성된 결합부(21)와, 상기 결합부의 외주에 상단이 개방되게 하향 요입되는 심지장착부(22)와, 상기 심지장착부의 외주 상부에 일체로 연통하게 빙 둘러 부설되는 연료수용부(23)와, 상기 심지장착부의 상부와 연료수용부의 사이를 수직으로 관통하게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승강구(24)(24') 및 상기 연료수용부의 일측 상면에 마개로 개폐하는 연료의 주입구(25)를 구비하여 된다.
결합부(21)는 내면지름이 유통관부(12)의 외면지름에 비례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유통관부가 결합부에 삽입되게 연료통(20)을 본체(10)의 내부에 결합하면 서로 안정되게 결합이 됨과 동시에 결속공(211)과 관통공(151)이 동일선상의 상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결속공(211)과 관통공(151)을 수직으로 관통하게 장볼트(17)를 결합한 다음 상단에 너트를 체결하면 연료통(20)은 본체(10)의 내부에 한 몸체와 같은 상태로 고정설치된다.
심지장착부(22)는 내부의 간격이 심지(30)의 두께에 비례하게 형성되며, 그 외주 상부에 일체로 연통하게 빙 둘러 부설된 연료수용부(23)에 주입구(25)를 통해 식물유를 주입하면 상기 심지장착부에도 유입되어 심지에 흡수된다.
심지(30)는, 각각 친환경재료이며 가격이 저렴한 닥나무나 삼지닥나무 껍질을 원료로 고유의 기법으로 조직이 불규칙하고 매우 치밀하게 만들어지는 한지(31)와 상기 한지의 양면에 밀착되게 결속하며 무명실로 조직이 치밀하게 직조하는 직물(32)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한지(31)와 직물(32)은 일반적인 것으로서, 상기 한지의 양면에 직물을 밀착되게 겹쳐서 바람직하게는 무명실로 재봉결속하여 3개 층으로 형성되는 원단을 필요한 크기의 사각형으로 재단한 다음 파이프형태로 말아서 겹쳐지는 양측 단을 무명실로 재봉하면 심지(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심지(30)는 비록 한지(31)와 직물(32)로 형성된 것이지만, 심지장착부(22)에 장착되어 식물유가 계속 흡수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심지의 상단이 식물유의 유면 위로 노출되게 하여 상단에 점화를 하면 식물유는 연소가 되는 반면에 상단은 연소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심지(30)는, 조직이 불규칙하면서도 매우 치밀하게 만들어진 한지(31)와 조직이 매우 치밀하게 직조된 직물(32)의 특성인 매우 양호한 흡수성과 치밀한 조직의 작용에 의해 흡수되는 식물유의 입자가 연소하기 적합한 최적의 상태로 미세하게 분리되어 상단으로 원활히 공급되게 한다.
이에 따라, 심지(30)의 상단을 식물유의 유면 위로 적절하게 노출시켜 점화를 하면 식물유가 즉시 연소하기 때문에 상단 전체로의 신속한 점화와 고른 연소유지가 이루어져 완전연소는 물론 고열과 양질이 화염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은 연소과정에서 미량이라도 타르가 발생하여 심지(30)의 상단 일부분에 엉겨붙게 되어 그 부분에 식물유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심지는 식물유를 흡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에 타는 한지(31)와 직물(32)로 형성된 것이어서 식물유의 공급이 차단된 부분은 즉시 타르와 함께 연소하여 제거된다.
물론, 한지(31)와 직물(32)로 형성된 심지(30)를 사용하면 식물유의 완전연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상적인 연소과정에서는 타르가 발생하지 않아 상기 심지의 상단이 연소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음식물조리과정에서 국물이 넘쳐흘러서 상단 일부에 닿아 연소가 방해되거나 식물유의 잔량이 없어 심지(30)에 충분히 흡수되지 않는 상태에서 연소가 되는 경우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타르에 의해 유면 위로 노출된 심지(30)의 상단이 부분적으로 조금씩 연소제거되어 낮아지는 경우에는 승강기(40)를 조작하여 상기 심지를 상단이 낮아진 만큼 상승시켜 연소제거되고 남은 부분이 유면 위로 노출되게 하면, 노출된 상단 전체에서는 계속하여 고른 연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한지(31)와 직물(32)은 각각 한 겹으로 하여 심지(30)를 형성하여도 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한지와 직물의 두께를 두껍게 만드는 것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심지의 두께가 얇으면 식물유의 흡수와 입자의 분리작용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두께를 감안하여 한지는 3겹으로 하고 직물은 2겹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한지(31)보다는 직물(32)이 질기기 때문에 상기 한지를 중간에 개재되게 심지(3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들은, 본원 출원인이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한지(31)와 직물(32)로 심지(30)를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반복실험하여 얻은 결과이다.
도 6은 도 1의 식물연소기에 적용되는 심지의 다른 예를 일부 발췌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이 다른 예의 심지(30)는, 2장의 한지(31)를 각각 3장의 직물(32)들 사이에 개재되게 1장씩 교대로 겹쳐서 심지(30)를 5개 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두께가 얇은 한지(31)와 직물(32)을 사용하여 심지(30)를 형성하여도 되는 것임은 물론 화력을 높일 수도 있다.
그러나, 한지(31)와 직물(32)의 5개 층 이상으로 늘리게 되면 심지(30)의 두께가 매우 두꺼워 지므로 상기 심지를 승강 식으로 설치하는 연소기에 적용하는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승강기(40)는, 받침대(41)·연결로드(42)(42')·승강대(43) 및 랙(44)과 피니언(45)·회전축(46)·노브(47)를 구비하여 된다.
받침대(41)는 상면에 심지(30)의 하면이 안착하게 링 판형태로 되며, 심지장착부(22)에 삽입되어 승강하게 설치된다.
연결로드(42)(42')는 ""형태로 되며, 내측 수직부는 심지장착부(22)의 상부에서 하향하여 각 하단이 받침대(41)의 서로 대응하는 부위에 고정되고, 외측 수직부는 연료수용부(23)에 형성된 승강구(24)(24')를 하향관통하게 설치된다.
승강대(43)는 심지장착부(22)의 외면 지름에 비례하게 형성되는 판 링형태로 되며, 연결로드(42)(42')의 각 외측 수직부의 하단이 고정된다.
따라서, 승강대(43)가 심지장착부(22)의 외면을 따라 승강하게 되면 연결로드(42)(42')에 의해 받침대(41)가 상기 심지장착부의 내부에서 승강하므로 받침대의 상면에 하면이 안착하는 심지(30)가 승강하게 된다.
랙(44)은 승강대(43)의 외면 일측에 내단을 고정한 수평로드(44')의 외단에 하단을 고정하여 상기 승강대와 격리되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피니언(45)은 랙(44)과 맞물리게 본체(10)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회전축(46)의 내단에 축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의 외단에는 노브(47)가 축 고정된다.
이러한, 승강기(40)의 노브(47)를 회전시키면 회전축(46)과 피니언(45)이 회전하게 되므로 그 회전방향에 따라 랙(44)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어 수평로드(44')로 고정된 승강대(43)가 심지장착부(22)의 외면을 따라 함께 승강하게 되며, 이렇게 되면 상기 승강대와 연결로드(42)(42')로 연결된 받침대(41)가 심지장착부(22)의 내부에서 승강하므로 심지(30)가 승강하게 된다.
내·외부 연소통(50)(50')은 결합부(21)의 상면 외주측과 연료수용부(23)의 상면 내주측에 안착하여 서로 격리되게 설치되며, 이에 따라 노브(47)의 정 회전으로 심지(30)가 상승하면 그 상단이 식물유의 유면 위로 노출되면서 심지장착부(22)의 개방된 상단을 통과하여 상기 내·외부 연소통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 연소통(50)을 들어올리고 심지(30)의 상단에 점화를 한 다음 상기 내부 연소통을 다시 안착시키면, 본체(10)의 하방에서 통공(152)과 유통관부(12) 및 유통공(212)을 거쳐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상기 내부 연소통을 통해 심지의 상단으로 공급되고 상방에서 공급되는 외부공기는 외부연소통(50')을 통해 상기 심지의 상단으로 공급되어 연소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연소를 중단할 때에는 노브(47)를 역회전시켜 심지(30)가 하강하여 그 상단이 심지장착부(22)의 상단 내부로 내려가서 외부공기의 공급이 차단되게 하거나 식물유에 잠기게 하면 즉시 소화된다.
한편, 심지(30)를 상승시켜서 유면 위로 노출된 상단에 점화하였을 때 원활한 연소와 식물유의 공급이 최적의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승제어부재(13)에 의해 상승하는 정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지지대(16)에 체결하는 상승제어부재(13)를 완전히 하강시켰을 때 그 하면과 완전히 하강하여 있는 랙(44)의 상면과의 간격을 심지(30)의 상단이 최적의 위치로 상승하게 되는 높이에 비례하게 설치한다.
이에 따라, 초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승제어부재(13)의 하면과 랙(44)의 상면이 격리되어 있게 되며, 이때 심지(30)의 상단은 심지장착부(22)의 상측 내부에서 연료수용부(23)에 수용되어 있는 유면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노브(47)를 정 회전시키면, 피니언(45)에 의해 랙(44)이 상승하게 되므로 승강대(43)와 연결로드(42) 및 받침대(41)가 동시에 상승하여 심지(30)를 상승시켜 준다.
그리고, 상승하던 랙(44)의 상면이 상승제어부재(13)의 하면에 닿으면 노브(47)는 더 이상 정 회전하지 않게 되며, 심지(30)는 상기 랙이 상승한 간격에 비례하여 상승하여 그 상단이 도 4에서와 같이 유면 위로 노출되어 내·외부 연소통(50)(50')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식물유연소기는, 심지(30)를 가격이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재료인 한지(31)와 직물(32)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사용중 비정상적인 연소에 의해 상기 심지의 상단이 부분적으로 연소하는 현상이 발생하여도 그을음이나 냄새가 배출되지 않게 됨은 물론 가위로도 쉽게 자를 수 있으므로 부분적인 연소로 상단전체의 높이가 균일하지 않게 되었을 때는 심지를 상방으로 꺼내서 높이가 일정하게 되도록 자르고 장착한 다음에 상단의 높이가 낮아진 만큼 상승제어부재(13)를 상승시켜 랙(44)이 더 상승하게 하여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심지(30)는 상단을 잘라서 높이가 줄어도 수명이 다되기 전에 전체를 폐기하지 않아도 되므로 자원과 비용의 낭비 등이 초래되지 않는다.
10 : 본체 20 : 연료통
30 : 심지 31 : 한지
32 : 직물 40 : 승강기
50,50' : 내·외부연소통
30 : 심지 31 : 한지
32 : 직물 40 : 승강기
50,50' : 내·외부연소통
Claims (3)
-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료통(20)과, 상기 연료통(20)에 수직으로 승강하게 장착되는 심지(30)와, 상기 심지(30)를 승강시켜 주는 승강기(40) 및 상기 연료통(20)의 상면 중앙부에 서로 격리되게 설치되는 다공성의 내·외부 연소통(50)(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물유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심지(30)는, 한지(31)와, 상기 한지(31)의 양면에 밀착시켜 결속하며 무명실로 직조되는 직물(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유연소기. -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료통(20)과, 상기 연료통(20)에 수직으로 승강하게 장착되는 심지(30)와, 상기 심지(30)를 승강시켜 주는 승강기(40) 및 상기 연료통(20)의 상면 중앙부에 서로 격리되게 설치되는 다공성의 내·외부 연소통(50)(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물유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심지(30)는, 2장의 한지(31)와, 무명실로 직조되며 상기 2장의 한지(31)를 1장씩 교대로 개재시켜 결속하는 3장의 직물(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유연소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31)는, 2겹 또는 3겹 중 어느 하나로 되며;
상기 직물(32)은, 1겹 또는 2겹 중 어느 하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유연소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9169A KR101393174B1 (ko) | 2012-11-15 | 2012-11-15 | 식물유연소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9169A KR101393174B1 (ko) | 2012-11-15 | 2012-11-15 | 식물유연소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93174B1 true KR101393174B1 (ko) | 2014-05-08 |
Family
ID=5089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9169A KR101393174B1 (ko) | 2012-11-15 | 2012-11-15 | 식물유연소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317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8163B1 (ko) | 2016-10-17 | 2018-05-28 | 홍성만 | 연소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2110B1 (ko) | 2010-06-23 | 2011-03-17 | 윤성완 | 심지식 연소장치 |
-
2012
- 2012-11-15 KR KR1020120129169A patent/KR10139317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2110B1 (ko) | 2010-06-23 | 2011-03-17 | 윤성완 | 심지식 연소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8163B1 (ko) | 2016-10-17 | 2018-05-28 | 홍성만 | 연소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278154B (zh) | 具有包括半渗透元件的气体燃烧器的炉灶面 | |
CN202993310U (zh) | 聚能防滑圈以及使用该聚能防滑圈的燃气灶 | |
RU2428626C2 (ru) | Варочная панель | |
KR101393174B1 (ko) | 식물유연소기 | |
KR101022110B1 (ko) | 심지식 연소장치 | |
CN201697191U (zh) | 燃气炉通用节能锅架 | |
CN207865471U (zh) | 一种灶用隔热罩及应用有该灶用隔热罩的灶具 | |
KR100908899B1 (ko) | 연소장치 | |
KR101270320B1 (ko) | 연소기 | |
CN207539939U (zh) | 一种组合式多氧调节柴火灶炉芯组合 | |
KR100785884B1 (ko) | 금속섬유 연소매트를 구비하는 주방용 버너 | |
CN109869768A (zh) | 一种灶用隔热罩及应用有该灶用隔热罩的灶具 | |
KR101225813B1 (ko) | 연소기구 | |
CN201652515U (zh) | 一种多功能节能炉灶 | |
KR20110039805A (ko) |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 |
KR200414273Y1 (ko) | 연소기 | |
CN201531925U (zh) | 环保节能家用炉 | |
CN201167838Y (zh) | 双层节能锅 | |
CN101666509B (zh) | 生物质半气化炉座锅装置 | |
KR102197391B1 (ko) | 파라핀 연소기 | |
CN102966981B (zh) | 一种设有网罩、丝网罩的节能炉灶 | |
CN210638083U (zh) | 一种燃气炉炉架 | |
CN212178948U (zh) | 一种混合燃料灶 | |
CN218820519U (zh) | 一种多功能炉具 | |
CN214341683U (zh) | 一种燃气火锅锅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