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902B1 - 충격식 해머 장치 - Google Patents

충격식 해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902B1
KR101224902B1 KR1020100130328A KR20100130328A KR101224902B1 KR 101224902 B1 KR101224902 B1 KR 101224902B1 KR 1020100130328 A KR1020100130328 A KR 1020100130328A KR 20100130328 A KR20100130328 A KR 20100130328A KR 101224902 B1 KR101224902 B1 KR 101224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ammer
elastic member
impact hammer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8629A (ko
Inventor
안재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0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902B1/ko
Publication of KR20120068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90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충격식 해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식 해머 장치는 충격식 해머 장치로서, 하우징과, 하우징에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탄성부재에 의해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해머와, 하우징의 내측에서 회전하여 해머를 타격함으로써 해머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며, 제 2 탄성부재에 의해 해머로부터 이격되는 타격체와, 타격체에 와이어로 연결되어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타격체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충격식 해머 장치{PERCUSSION HAMM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해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머에 의하여 충격을 가할 수 있는 충격식 해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격 공구에는 망치와 해머 등이 있는데, 이들 중에서 해머는 망치에 비하여 큰 공구에 속한 것으로서 기계 가공에서 단조나 그 밖의 타격 작업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해머는 중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헤드에 핸들바가 고정되고, 핸들바를 파지하여 헤드를 들어서 피타격체를 타격함으로써 타격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피타격체의 종류와 작업의 방식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중량의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해머는 타격을 위해서 헤드가 운동하기 위한 작업반경을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헤드의 운동반경 내에 존재하는 장애물이나 작업공간의 협소함 등으로 인하여 이러한 작업공간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헤드의 운동거리가 짧아짐으로써 피타격체에 정확한 타격과 충분한 힘을 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해머의 타격 작업은 해머를 휘둘러서 작업하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안전 사고를 빈번하게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격 작업에 소요되는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비교적 좁은 공간 내에서의 타격 작업이 가능하고자 한다.
또한, 타격에 필요한 동작을 간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자 한다.
또한,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격의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작업의 안전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충격식 해머 장치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해머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회전하여 상기 해머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해머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며, 제 2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해머로부터 이격되는 타격체와, 상기 타격체에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타격체를 회전시키는 핸들과, 상기 제 1 탄성부재의 외측에 서로 겹쳐지며 상기 제 1 탄성부재를 가이드하는 제 1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외측에 손잡이, 흡착판, 자석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롤러가 내측에 다수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머는, 상기 하우징에 걸리는 이탈방지돌기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탄성부재가 상기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해머의 삽입을 제한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걸리기 위한 스토퍼가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타격체는, 상기 해머에 충격을 가하는 중량부와, 상기 중량부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2 탄성부재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끝단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탄성부재는, 외측에 가이드를 위해 서로 폴딩되는 제 2 케이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은, 상기 해머의 운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격 작업에 소요되는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비교적 좁은 공간 내에서의 타격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타격에 필요한 동작을 간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격의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작업의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식 해머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식 해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식 해머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식 해머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식 해머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해머(120)와, 해머(120)에 충격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타격체(140)와, 타격체(140)에 연결되는 핸들(16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외측에 고정을 위하여 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는데, 고정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11)이거나, 주위의 구조물에 부착되기 위한 흡착판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아가서, 여러 방식으로 고정되기 위하여 손잡이, 흡착판, 자석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10)은 본 실시예에서처럼 직육면체로 이루어지거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해머(120)가 돌출되도록 개구(112)가 형성되며, 개구(112)의 주위에 해머(12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112a)가 형성될 수 있다.
해머(120)는 피타격체(1, 도 3 참조)에 충격을 가하기에 충분한 중량을 가지고, 하우징(110)의 내측에 위치하여 개구(112)를 통해서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해머(120)는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되되, 하우징(1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우징(110)에 걸리는 이탈방지돌기(121)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 1 탄성부재(130)가 이탈방지돌기(121)와 하우징(110)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하우징(110)에는 해머(120)가 하우징(11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121)가 걸리기 위한 스토퍼(115)가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탄성부재(130)는 일례로 코일 형태의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해머(12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원력에 의하여 해머(120)가 안정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탄성부재(130)는 해머(12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만, 타격체(140)의 타격 방향(하우징 외측 방향)과 제 1 탄성부재(130)의 복원력 작용 방향(하우징 내측 방향)이 반대이므로, 제 1 탄성부재(130)는 해머(120)의 복귀에는 충분하나 최소의 복원력을 해머(120)에 가하도록 마련되어 타격체(140)의 충격력 감소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탄성부재(130)는 외측에 압축 또는 인장시 서로 겹치면서 해머(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제 1 케이싱(131)이 설치될 수 있다.
타격체(140)는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회전하여 해머(120)를 타격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해머(120)를 타격함으로써 해머(120)가 개구(112)를 통해서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며, 제 2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해머(120)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타격체(140)는 일례로 해머(120)에 충격을 가하는 중량부(141)와 중량부(141)에 고정되는 레버(142)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부(141)는 해머(120)를 통해서 피타격체를 타격하기에 충분한 중량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처럼 구로 이루어지거나, 원기둥, 그 밖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버(142)는 중량부(141)에 일측이 고정되고, 하우징(1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하여 중심부에 힌지결합부(142a)가 형성되며, 제 2 탄성부재(150)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다른 일측의 끝단이 제 2 탄성부재(150)에 연결됨과 아울러 와이어(16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탄성부재(150)는 일례로 코일 형태의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레버(142)가 힌지결합부(142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중량부(141)가 해머(120)로부터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데, 이와 달리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방식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탄성부재(150)는 인장스프링일 경우 끝단에 고리부(151)를 형성하여 레버(142)에 끼워질 수 있으며, 서로 겹쳐지며 제 2 탄성부재(150)의 인장과 압축을 가이드 하는 다수의 제 2 케이싱(152) 이 설치될 수 있다.
핸들(160)은 타격체(140)의 레버(142)에 와이어(161)로 연결되어 하우징(110)의 외측에 설치되며, 하우징(110)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와이어(161)를 당겨서 타격체(14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160)을 파지하여 하우징(110)으로부터 당기면, 핸들(160)에 연결된 와이어(161)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됨으로써 타격체(140)가 회전하여 해머(120)를 타격하도록 한다. 여기서, 와이어(161)는 일단이 핸들(160)과 결합되고, 타단이 레버(142)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타격체(140)는 힌지결합부(142a)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힌지결합부(142a)를 기준으로 일측의 레버(142) 단부에는 와이어(161)가 결합되고 타측의 레버(142) 단부에는 중량부(141)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핸들(160)은 하우징(110)으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처럼 해머(120)의 운동방향에 교차, 일례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우징(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타격체의 타격에 필요한 공간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은 핸들(160)이 위치하는 측에 와이어(161)가 통과하기 위한 와이어홀(113)이 형성되고, 와이어(161)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함으로써 와이어(161)가 타격체(14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타격체(140)의 회전 궤적을 회피하도록 하는 롤러(114)가 내측에 다수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식 해머 장치의 작동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손잡이(111)를 파지하여 해머(120)가 피타격체를 향하도록 하우징을 위치시킨 다음, 핸들(160)을 당김으로써 와이어(161)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되면서 레버(142)를 회전시키고, 레버(142)의 회전에 의해 중량부(141)가 해머(120)를 타격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12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되어 피타격체(1)를 타격하게 된다.
해머(120)가 타격을 마치고 핸들(160)을 놓게 되면, 제 2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타격체(140)가 원위치로 복귀하고, 이와 동시에 제 1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 해머(12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머(120)에 의한 피타격체(1)의 타격 작업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110)이 차지하는 공간만 확보하면 되므로 타격 작업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조물(2)과 피타격체(1)사이의 공간이 비교적 협소하더라도 타격 작업이 가능하며,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질량의 중량부(141)이더라도 큰 충격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피타격체(1)의 경우 진동 테스트용 물체 또는 구조물일 수 있으며, 외부 가진력에 있어서 고유 진동수와 공진 문제가 있는 곳, 예컨대 모터나 엔진이 있는 부분 모두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충격식 해머 장치(100)를 진동 테스트하여 고유진동수를 파악함으로써 피타격체(1)의 가진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타격 작업을 위해서 핸들(160)을 당기기만 하면 되므로 타격에 필요한 동작을 간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해머(120)를 조준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정확한 위치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격의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작업의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기실시 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 피타격체 2 : 구조물
110 : 하우징 111 : 손잡이
112 : 개구 112a : 가이드부
113 : 와이어홀 114 : 롤러
115 : 스토퍼 120 : 해머
121 : 이탈방지돌기 130 : 제 1 탄성부재
131 : 제 1 케이싱 140 : 타격체
141 : 중량부 142 : 레버
142a : 힌지결합부 150 : 제 2 탄성부재
151 : 고리부 152 : 제 2 케이싱
160 : 핸들 161 : 와이어

Claims (9)

  1. 충격식 해머 장치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해머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회전하여 상기 해머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해머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며, 제 2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해머로부터 이격되는 타격체와,
    상기 타격체에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타격체를 회전시키는 핸들과,
    상기 제 1 탄성부재의 외측에 서로 겹쳐지며 상기 제 1 탄성부재를 가이드하는 제 1 케이싱을 포함하는
    충격식 해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측에 손잡이, 흡착판, 자석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가 마련되는
    충격식 해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롤러가 내측에 다수로 설치되는
    충격식 해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는,
    상기 하우징에 걸리는 이탈방지돌기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탄성부재가 상기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충격식 해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의 상기 하우징 내부로의 삽입을 제한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걸리기 위한 스토퍼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는
    충격식 해머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체는,
    상기 해머에 충격을 가하는 중량부와,
    상기 중량부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2 탄성부재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끝단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충격식 해머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부재의 외측에 서로 겹쳐지며 상기 제 2 탄성부재를 가이드하는 제 2 케이싱이 설치되는
    충격식 해머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7 항,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해머의 운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충격식 해머 장치.
KR1020100130328A 2010-12-17 2010-12-17 충격식 해머 장치 KR101224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328A KR101224902B1 (ko) 2010-12-17 2010-12-17 충격식 해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328A KR101224902B1 (ko) 2010-12-17 2010-12-17 충격식 해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629A KR20120068629A (ko) 2012-06-27
KR101224902B1 true KR101224902B1 (ko) 2013-01-22

Family

ID=46687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328A KR101224902B1 (ko) 2010-12-17 2010-12-17 충격식 해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9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546B1 (ko) * 2016-12-21 2019-04-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버스용 비상 탈출 장치
KR102009653B1 (ko) * 2018-02-27 2019-08-1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420Y1 (ko) * 1991-09-06 1995-08-10 주식회사 기아정기 자동차용 쇽 업저버의 충격시험기
KR100442976B1 (ko) * 2002-07-16 2004-08-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수동식 밴딩 프레스
KR200401141Y1 (ko) * 2005-08-22 2005-11-15 정대근 펀칭 프레스용 금형구조
KR20100060473A (ko) * 2008-11-27 2010-06-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420Y1 (ko) * 1991-09-06 1995-08-10 주식회사 기아정기 자동차용 쇽 업저버의 충격시험기
KR100442976B1 (ko) * 2002-07-16 2004-08-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수동식 밴딩 프레스
KR200401141Y1 (ko) * 2005-08-22 2005-11-15 정대근 펀칭 프레스용 금형구조
KR20100060473A (ko) * 2008-11-27 2010-06-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629A (ko)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329054A (ja) 衝撃吸収式ハンマー
JP6620434B2 (ja) 打撃工具
JP4016772B2 (ja) ハンマドリル
JP5126574B2 (ja) 往復動工具
JP4509890B2 (ja) 衝撃式作業工具
NZ551876A (en) Breaking machine shock absorbing system
KR101224902B1 (ko) 충격식 해머 장치
JP6250241B1 (ja) 回転電機のウェッジ打撃装置および回転電機のウェッジ検査システム
JP4815362B2 (ja) 衝撃式作業工具
JP2013035100A (ja) 無反動ハンマー
JP5298360B2 (ja) 削孔装置
US20080164042A1 (en) Hand-held power tool with pneumatic percussion mechanism
JP2008194762A (ja) 衝撃式作業工具
JP2009066710A (ja) 打撃工具
JP5180354B2 (ja) 工作機械のスライドドアの衝撃吸収機構
WO2020235220A1 (ja) スラグ除去装置、スラグ除去方法、溶接ロボット及び防振装置
EP4029653B1 (en) Retaining device for use with a nail gun
KR200469700Y1 (ko) 항타기
JP6160771B2 (ja) 打撃作業機
JP3993400B2 (ja) 打撃工具
TW201446438A (zh) 釘槍的撞針裝置
JP4939965B2 (ja) 衝撃式作業工具
JP3156635U (ja) 振動を抑制するおもり付き打撃・素振り練習用バット
JP2515107Y2 (ja) マンホール鉄蓋打撃装置
JP2004174611A (ja) ハンマードリルの振動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