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479B1 - 불순물을 이용하여 발광 특성이 우수한 질화물계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불순물을 이용하여 발광 특성이 우수한 질화물계 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479B1
KR101222479B1 KR1020110030893A KR20110030893A KR101222479B1 KR 101222479 B1 KR101222479 B1 KR 101222479B1 KR 1020110030893 A KR1020110030893 A KR 1020110030893A KR 20110030893 A KR20110030893 A KR 20110030893A KR 101222479 B1 KR101222479 B1 KR 101222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layer
nitride
electrod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140A (ko
Inventor
최원진
박정원
임석규
김주원
이성학
권태완
Original Assignee
일진엘이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엘이디(주) filed Critical 일진엘이디(주)
Priority to KR1020110030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47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6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carrier transport control structure, e.g. highly-doped semiconductor layer or current-block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p-타입 질화물층 상에 n-타입 불순물 및 p-타입 불순물이 함께 도핑된 p-전극 컨택층을 형성함으로써 발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질화물계 발광소자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n-타입 질화물층; 상기 n-타입 질화물층 상에 형성되는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되는 p-타입 질화물층; 및
상기 p-타입 질화물층 상에 형성되는 p-전극 컨택층;을 포함하고, 상기 p-전극 컨택층은 n-타입 불순물 및 p-타입 불순물이 함께 도핑(co-doping)되어 있는 질화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순물을 이용하여 발광 특성이 우수한 질화물계 발광소자 {NITRIDE BASED LIGHT EMITTING DEVICE WITH EXCELLENT LIGHT PROPERTIES}
본 발명은 질화물계 발광소자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타입 질화물층 상에 n-타입 불순물 및 p-타입 불순물이 함께 도핑된 p-전극 컨택층을 형성함으로써 발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질화물계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발광소자(Light Emitting Device)는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의 재결합(re-combination)시 발생하는 발광 현상을 이용한 소자이다.
대표적인 발광소자로서, GaN으로 대표되는 질화물계 발광소자가 있다.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밴드 갭(band gap)이 커서 다양한 색광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열적 안성성이 우수하여 많은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n-전극 및 p-전극의 배치 형태에 따라서 수평형(lateral type) 구조와 수직형(Vertical type) 구조로 구분된다. 수평형 구조는 n-전극 및 p-전극이 주로 top-top 형태로 배치되고, 수직형 구조는 n-전극 및 p-전극이 주로 top-bottom 형태로 배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질화물계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평형 질화물계 발광소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평형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하부로부터, 성장 기판(101), u-GaN(110), n-GaN(120), 발광 활성층(130), p-GaN(140)을 포함하고, 식각 등에 의하여 형성되는 n-GaN(120) 노출면에 n-전극(125)이 형성되고, p-GaN(140)에 p-전극(145)이 형성된다.
통상 p-GaN(140)과 p-전극(145)의 경우, n-GaN(120)과 n-전극(125)에 비하여 컨택 특성이 낮고, p-GaN이 n-GaN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항이 높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p-GaN(140) 상에 p-전극 컨택층(미도시)을 더 형성하고, 또한 p-전극 컨택층 상에 ITO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p-전극 컨택층과 p-전극 간의 컨택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발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질화물계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n-타입 질화물층; 상기 n-타입 질화물층 상에 형성되는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되는 p-타입 질화물층; 및 상기 p-타입 질화물층 상에 형성되는 p-전극 컨택층;을 포함하고, 상기 p-전극 컨택층은 n-타입 불순물 및 p-타입 불순물이 함께 도핑(co-doping)되어 있는 질화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n-타입 질화물층; 상기 n-타입 질화물층 상에 형성되는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되는 p-타입 질화물층; 상기 p-타입 질화물층 상에 형성되는 p-전극 컨택층; 상기 n-타입 질화물층에 접촉되는 n-전극; 및 상기 p-전극 컨택층에 접촉되는 p-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p-전극 컨택층은 n-타입 불순물 및 p-타입 불순물이 함께 도핑되어 있는 질화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n-타입 질화물층; 상기 n-타입 질화물층 상에 형성되는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되는 p-타입 질화물층; 상기 p-타입 질화물층 상에 형성되는 p-전극 컨택층; 상기 n-타입 질화물층에 접촉되는 n-전극; 및 상기 p-전극 컨택층에 접촉되는 p-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p-전극 컨택층은 n-타입 불순물 및 p-타입 불순물이 함께 도핑되어 있는 질화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p-타입 질화물층 상에 n-타입 불순물 및 p-타입 불순물이 함께 도핑된 p-전극 컨택층을 포함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경우, 20mA에서의 순방향 전압 강하(Vf@20mA)가 종래 p-타입의 p-전극 컨택층을 포함하는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경우, 20mA에서의 발광 출력(Po@20mA)이 종래 Mg만이 도핑된 p-전극 컨택층을 포함하는 질화물계 발광소자에 비하여, 대략 10% 이상 증가하여 발광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1은 종래의 질화물계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질화물계 발광소자를 수평형 구조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질화물계 발광소자를 수직형 구조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특성이 우수한 질화물계 발광소자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는 질화물로 GaN을 이용한 예를 나타내었으며, n-타입 불순물로 실리콘(Si)를, p-타입 불순물로 마그네슘(Mg)을 이용한 예를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n-타입 질화물층(210), 활성층(220), p-타입 질화물층(230) 및 p-전극 컨택층(240)을 포함한다.
n-타입 질화물층(210)은 n-타입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는 질화물로 형성된다. n-타입 불순물은 실리콘(Si), 게르마늄(Ge), 주석(Sn) 등이 될 수 있다. 이들 n-타입 불순물은 1종 혹은 2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활성층(220)은 n-타입 질화물층(210) 상에 형성된다.
활성층(220)은 MQW(Multiple Quantum Well)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활성층(220)에서는 n-타입 질화물층(210)을 통하여 흐르는 전자와, p-타입 질화물층(230)을 통하여 흐르는 정공이 재결합(re-combination)되면서, 광이 발생된다.
p-타입 질화물층(230)은 활성층(220) 상에 형성되며, p-타입 불순물이 도핑된 질화물로 형성된다.
p-타입 불순물은 마그네슘(Mg), 아연(Zn), 카드뮴(Cd) 등이 될 수 있다. 이들 p-타입 불순물은 1종 혹은 2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p-전극 컨택층(240)은 p-전극(미도시)의 컨택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성된다. p-전극 컨택층(240)은 질화물로 형성된다.
p-전극 컨택층(240) 상에 통상 ITO층과 같은 TCL(Transparent Conductive Layer)이 존재하고 이 경우, TCL층은 주로 n-타입 질화물층 상에서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p-전극 컨택층(240)은 n-타입의 전기적 특성 혹은 약한 p-타입의 전기적 특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때, p-전극 컨택층에 Si와 같은 n-타입의 불순물만 도핑된 경우에는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확보할 수 없다. 그러나, 마그네슘(Mg)과 같은 p-타입 불순물을 1 x 1019 /cm3 이상 고농도로 도핑시킬 경우, p-전극 컨택층(240)이 매우 낮은 정공 농도(1 x 1018 /cm3 이하)의 약한 p 타입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p-전극 컨택층의 n 타입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p-전극 컨택층(240)에 n-타입 불순물 및 p-타입 불순물을 함께 도핑(co-dop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험 결과, p-전극 컨택층(240)에 n-타입 불순물 및 p-타입 불순물이 함께 도핑되어 있는 경우, 20mA에서의 순방향 전압 강하(Vf@20mA)가 종래 p-타입의 p-전극 컨택층을 포함하는 경우와 거의 동일하였다. 또한, p-전극 컨택층(240)에 n-타입 불순물 및 p-타입 불순물이 함께 도핑되어 있는 경우, 20mA에서의 발광 출력(Po@20mA)이 종래 p-타입의 p-전극 컨택층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대략 10% 이상 증가하였다. 그 결과, 발광 특성 향상이 가능하였다.
즉, n-타입 불순물 및 p-타입 불순물이 함께 도핑된 p-전극 컨택층(240)을 통하여 p-전극과 p-타입 질화물층의 컨택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아울러 발광 특성 향상까지 가능하였다.
삭제
보다 구체적으로, p-전극 컨택층(24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p-타입 불순물이 1 x 1019 / cm3 이상, 대략 1 x 1019 / cm3 ~ 1 x 1022 / cm3 첨가된다고 할 때, n-타입 불순물은 5 x 1016 / cm3 ~ 1 x 1020 / cm3 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n-타입 불순물이 1 x 1019 / cm3 ~ 1 x 1020 / cm3 농도로 도핑되어 있으면서 상기 n-타입 불순물의 농도가 상기 p-타입 불순물의 농도보다 더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n-타입 불순물의 도핑 농도가 5 x 1016 / cm3 미만일 경우, 발광 특성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반면, n-타입 불순물의 도핑 농도가 1 x 1020 / cm3를 초과하는 경우, 원활한 정공 이동을 저해시킬 우려가 있다.
한편, n-타입 불순물과 p-타입 불순물이 함께 도핑되어 있는 p-전극 컨택층(240)은 인시츄(in-situ) 공정에서 도핑이 이루어지는 인시츄 도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p-전극 컨택층(240)은 엑시츄(ex-situ) 공정에서 도핑이 이루어지는 엑시츄 도핑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도 3에 도시된 수평형(lateral type) 발광소자나, 도 4에 도시된 수직형(vertical type) 발광소자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질화물계 발광소자를 수평형 구조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수평형 발광소자는 n-타입 질화물층(210), 활성층(220), p-타입 질화물층(230), p-전극 컨택층(240), n-전극(250) 및 p-전극(260)을 포함한다.
n-타입 질화물층(210)은 기판(200) 상에 형성된다.
기판(200)은 사파이어 기판, 실리콘 기판, 실리콘 카바이드 기판, GaN 기판, AlN 기판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된 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기판은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은 PSS(Patterned Sapphire Substrate)와 같이 패턴이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n-타입 질화물층(210) 형성 전에 기판(200) 상에 버퍼층(미도시)이 먼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버퍼층은 갈륨질화물(GaN), 알루미늄질화물(AlN), AlGaN, SiC, SiCN, SiC/InGaN, SiCN/InGaN, SiCN/AlInGaN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의 결정품질 향상, 저전류 특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n-타입 질화물층(210) 형성 전에 기판(200) 상에 혹은 버퍼층 상에 비도핑(un-doped) 질화물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활성층(220)은 n-타입 질화물층(210) 상에 형성된다.
p-타입 질화물층(230)은 활성층(220) 상에 형성된다.
p-전극 컨택층(240)은 p-타입 질화물층(230) 상에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p-전극 컨택층(2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n-타입 불순물 및 p-타입 불순물이 함께 도핑되어 있는 질화물로 형성된다. 그리고, p-전극 컨택층(240)에는 실리콘과 같은 n-타입 불순물이 5 x 1016 / cm3 ~ 1 x 1020 / cm3 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n-타입 불순물이 1 x 1019 / cm3 ~ 1 x 1020 / cm3 농도로 도핑되어 있으면서 상기 n-타입 불순물의 농도가 상기 p-타입 불순물의 농도보다 더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n-전극(250)은 n-타입 질화물층(210)에 접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n-전극(250)은 p-전극 컨택층(240) 혹은 그 위에 TCL까지 형성한 후 식각을 통하여 n-타입 질화물층(210)을 노출시킨 후, 형성될 수 있다.
p-전극(260)은 p-전극 컨택층(240)에 컨택되도록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p-전극 컨택층(240) 상에 TCL이 존재하는 경우, p-전극(260)은 TCL을 관통하여 p-전극 컨택층(240)에 접촉될 수 있다.
n-전극(250)과 p-전극(260)은 금(Au), 은(Ag), 구리(Cu), 크롬(Cr), 티타늄(Ti), 텅스텐(W), 니켈(Ni), 실리콘(Si), 알루미늄(Al), 몰리브뎀(Mo) 등의 금속 혹은 이들의 합금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질화물계 발광소자를 수직형 구조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수직형 발광소자는 기판이 제거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실리콘 기판과 같은 전도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이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수직형 발광소자는 n-타입 질화물층(210), 활성층(220), p-타입 질화물층(230), p-전극 컨택층(240), n-전극(250) 및 p-전극(260)을 포함한다.
도 4에서는 n-타입 질화물층(210)이 여러 질화물층들 중 최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편의상 기판 상에 n-타입 질화물층(210)을 먼저 형성하는 것을 전제하기로 한다.
n-타입 질화물층(210)은 기판 상에 형성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n-타입 질화물층(210) 형성 전에 버퍼층이나 비도핑 질화물층 등이 먼저 형성될 수 있다.
활성층(220)은 n-타입 질화물층(210) 상에 형성된다. p-타입 질화물층(230)은 활성층(220) 상에 형성된다. p-전극 컨택층(240)은 p-타입 질화물층(230) 상에 형성된다. n-전극(250)은 n-타입 질화물층(210)에 접촉된다.
물론, n-타입 질화물층(210) 하부에 비도핑 질화물층이 존재할 경우, n-전극(250)은 비도핑 질화물층에 컨택되거나 혹은 비도핑 질화물층을 관통하여 n-타입 질화물층(201)에 접촉될 수 있다. p-전극(260)은 p-전극 컨택층(240)에 접촉된다.
도 4에 도시된 수직형 발광 소자의 경우에도, 도 3에 도시된 수평형 발광 소자와 마찬가지로, p-전극 컨택층(240)은 n-타입 불순물 및 p-타입 불순물이 함께 도핑되어 있는 질화물로 형성된다. 그리고, p-전극 컨택층(240)에는 실리콘과 같은 n-타입 불순물이 5 x 1016 / cm3 ~ 1 x 1020 / cm3 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n-타입 불순물이 1 x 1019 / cm3 ~ 1 x 1020 / cm3 농도로 도핑되어 있으면서 상기 n-타입 불순물의 농도가 상기 p-타입 불순물의 농도보다 더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순방향 전압강하 및 발광 출력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의 경우, p-전극 컨택층에 불순물로 실리콘을 1 X 1017 /cm3 의 농도로 도핑하고, 마그네슘을 1 x 1020 / cm3 의 농도로 함께 도핑하였다.
반면, 비교예의 경우, p-전극 컨택층에 불순물로 마그네슘을 1 X 1020 /cm3 의 농도로 도핑하였다.
[표 1]
Figure 112011024467717-pat00001
표 1에서, Vf의 경우 20mA 전류에서의 순방향 전압 강하를 의미하고, Po의 경우 20mA 전류에서 상부 방향으로 출력된 광에 대한 발광 출력을 나타낸 것이다.
표 1을 참조하면, p-전극 컨택층에 실리콘과 마그네슘이 함께 도핑된 실시예의 경우, 웨이퍼 레벨, 칩 레벨, 패키지 모두에서 순방향 전압 강하가 비교예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어, p-전극과의 컨택에 문제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경우 발광 출력이 비교예에 비하여 10% 이상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경우, p-전극과의 컨택 특성 및 발광 출력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200 : 기판 210 : n-타입 질화물층
220 : 활성층 230 : p-타입 질화물층
240 : p-전극 컨택층 250 : n-전극
260 : p-전극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n-타입 질화물층;
    상기 n-타입 질화물층 상에 형성되는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되는 p-타입 질화물층;
    상기 p-타입 질화물층 상에, 실리콘(Si), 게르마늄(Ge) 및 주석(Sn)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n-타입 불순물 및 마그네슘(Mg), 아연(Zn) 및 카드뮴(Cd)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p-타입 불순물이 함께 도핑(co-doping)되어 있되, 상기 p-타입 불순물이 1 x 1019 / cm3 이상의 농도로 도핑되어 있고, 상기 n-타입 불순물이 1 x 1019 / cm3 ~ 1 x 1020 / cm3 농도로 도핑되어 있으면서 상기 n-타입 불순물의 농도가 상기 p-타입 불순물의 농도보다 더 높은 질화물로 형성되는 p-전극 컨택층; 및
    상기 p-전극 컨택층 상에 형성되는 TCL(Transparent Conductive Laye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발광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전극 컨택층은
    인시츄(in-situ) 도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발광소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전극 컨택층은
    엑시츄(ex-situ) 도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발광소자.
  8. 기판 상에 형성되는 n-타입 질화물층;
    상기 n-타입 질화물층 상에 형성되는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되는 p-타입 질화물층;
    상기 p-타입 질화물층 상에, n-타입 불순물 및 p-타입 불순물이 함께 도핑되어 있되, 상기 p-타입 불순물이 1 x 1019 / cm3 이상의 농도로 도핑되어 있고, 상기 n-타입 불순물이 1 x 1019 / cm3 ~ 1 x 1020 / cm3 농도로 도핑되어 있으면서 상기 n-타입 불순물의 농도가 상기 p-타입 불순물의 농도보다 더 높은 질화물로 형성되는 p-전극 컨택층;
    상기 p-전극 컨택층 상에 형성되는 TCL;
    상기 n-타입 질화물층에 접촉되는 n-전극; 및
    상기 TCL에 접촉되는 p-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발광 소자.
  9. 삭제
  10. n-타입 질화물층;
    상기 n-타입 질화물층 상에 형성되는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되는 p-타입 질화물층;
    상기 p-타입 질화물층 상에, n-타입 불순물 및 p-타입 불순물이 함께 도핑되어 있되, 상기 p-타입 불순물이 1 x 1019 / cm3 이상의 농도로 도핑되어 있고, 상기 n-타입 불순물이 1 x 1019 / cm3 ~ 1 x 1020 / cm3 농도로 도핑되어 있으면서 상기 n-타입 불순물의 농도가 상기 p-타입 불순물의 농도보다 더 높은 질화물로 형성되는 p-전극 컨택층;
    상기 p-전극 컨택층 상에 형성되는 TCL;
    상기 n-타입 질화물층에 접촉되는 n-전극; 및
    상기 TCL에 접촉되는 p-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발광 소자.
  11. 삭제
KR1020110030893A 2011-04-04 2011-04-04 불순물을 이용하여 발광 특성이 우수한 질화물계 발광소자 KR101222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893A KR101222479B1 (ko) 2011-04-04 2011-04-04 불순물을 이용하여 발광 특성이 우수한 질화물계 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893A KR101222479B1 (ko) 2011-04-04 2011-04-04 불순물을 이용하여 발광 특성이 우수한 질화물계 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140A KR20120113140A (ko) 2012-10-12
KR101222479B1 true KR101222479B1 (ko) 2013-01-15

Family

ID=4728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893A KR101222479B1 (ko) 2011-04-04 2011-04-04 불순물을 이용하여 발광 특성이 우수한 질화물계 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4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03852A1 (de) * 2016-03-03 2017-09-07 Otto-Von-Guericke-Universität Magdeburg Bauelement im System AlGaInN mit einem Tunnelüberga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4960A (ja) 1996-11-08 1998-05-29 Nichia Chem Ind Ltd p型窒化物半導体の製造方法及び窒化物半導体素子
JP2002314204A (ja) 2001-04-16 2002-10-25 Ricoh Co Ltd p型超格子構造とその作製方法、III族窒化物半導体素子及びIII族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KR20080038628A (ko) * 2006-10-30 2008-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4960A (ja) 1996-11-08 1998-05-29 Nichia Chem Ind Ltd p型窒化物半導体の製造方法及び窒化物半導体素子
JP2002314204A (ja) 2001-04-16 2002-10-25 Ricoh Co Ltd p型超格子構造とその作製方法、III族窒化物半導体素子及びIII族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KR20080038628A (ko) * 2006-10-30 2008-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100853851B1 (ko) 2006-10-30 2008-08-22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140A (ko) 201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2897B1 (en) Light emitting device
TWI517431B (zh) 形成發光二極體裝置的方法
KR101125395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07087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110140077A1 (en) Light emitting device
KR101081129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5197631A (ja) 窒化ガリウム系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101064091B1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TWI565098B (zh) 發光元件
KR20070028095A (ko) 저저항 발광 다이오드
KR101007078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21097148A (ja) 半導体発光素子
KR100663016B1 (ko) 수직형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548420B1 (ko) 금속입자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광소자
KR101222479B1 (ko) 불순물을 이용하여 발광 특성이 우수한 질화물계 발광소자
US8298918B2 (en) 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
KR20130007682A (ko)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6814902B1 (ja)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CN109148661B (zh) 半导体结构
KR20090108675A (ko)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hoi et al. Optimization of p-bonding electrodes on zno: ga in gan-based light-emitting diodes
KR20060101603A (ko) 니켈을 포함하는 금속층으로 n-형 오믹 전극을 형성한질화물 발광 다이오드
KR101605262B1 (ko)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23521A (ko)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102330022B1 (ko)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