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943B1 - 남성용 한복바지 - Google Patents

남성용 한복바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943B1
KR101221943B1 KR1020120089808A KR20120089808A KR101221943B1 KR 101221943 B1 KR101221943 B1 KR 101221943B1 KR 1020120089808 A KR1020120089808 A KR 1020120089808A KR 20120089808 A KR20120089808 A KR 20120089808A KR 101221943 B1 KR101221943 B1 KR 101221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wrinkles
waist
yarn width
hanb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주
Original Assignee
안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현주 filed Critical 안현주
Priority to KR1020120089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10Means for maintaining the crea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2Loops or hooks for hanging-u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2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체형을 고려하여 착용감이 우수하고, 옷맵시를 그대로 살리되 착용이 용이한 남성용 한복바지에 관한 것이다.
남성용 한복바지의 좌측사폭은 전방좌측사폭과 후방좌측사폭으로 구성되고, 우측사폭은 전방우측사폭과 후방우측사폭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좌측사폭의 밑위와 상기 전방우측사폭의 밑위가 잇대어 꿰매진다. 상기 밑위에는 트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트임부에는 지퍼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허리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허리의 양측 단부에는 제1여밈부와 제2여밈부가 각각 연장되며, 착용시 제1여밈부와 제2여밈부가 중첩된다. 상기 허리에는 하나 이상의 신축밴드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1여밈부와 상기 제2여밈부에는 연결용 후크고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좌측사폭과 상기 마루폭을 잇대어 꿰맨 부분 및 상기 전방우측사폭과 상기 마루폭을 잇대어 꿰맨 부분에 주름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을 따라 박음질선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리에는 착용자의 발목을 졸라맬 수 있도록 중첩부가 형성된다. 상기 중첩부는, 한 쌍의 겉주름과, 한 쌍의 겉주름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속주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남성용 한복바지{KOREAN TRADITIONAL TROUSERS FOR MAN}
본 발명은 남성용 한복바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착용자의 체형을 고려하여 착용감이 우수하고, 옷맵시를 그대로 살리되 착용이 용이한 남성용 한복바지에 관한 것이다.
한복은 우리의 고유문화를 상징하는 중요한 양식으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계승하여 발전해 오면서 그 시대의 사회, 경제, 문화적인 변화요인에 따라 다양한 변천사를 엮어 왔다. 우리의 민속의상인 한복의 아름다움은 곧은 선과 은은한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너그럽고 유연한 선의 흐름에 있다.
도 6은 일반적인 남성용 한복바지의 개략도로, 도 6을 참조하여 남성용 한복바지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남성용 한복바지(1)는, 착용자의 허리부분을 감싸는 허리(10)와, 허리(10)의 하부에 위치되고 착용시 오른쪽에 위치되는 큰사폭(20)과, 큰사폭(20)과 이어지며 착용시 왼쪽에 위치되는 작은사폭(30)과, 큰사폭(20) 및 작은사폭(30)의 외측에 이어지는 마루폭(40)을 포함한다. 이때, 한복바지(1)의 가랑이 부분을 밑(50)이라하고, 밑(50)에서 허리(10)까지를 밑위(60)라 한다. 또한, 큰사폭(20)과 작은사폭(3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을 배래(70)라고 하며, 발목 부분을 부리(80)라고 한다.
상술한 구조의 한복바지는, 착용시 허리(10)의 오른쪽을 기준점으로 잡고 왼쪽으로 잡아당긴다. 이때 생긴 여유분을 앞으로 넘겨 왼쪽 마루선까지 오게 한다. 그 후, 허리띠(미도시)로 허리(10)를 잡아매고, 대님(미도시)으로 부리(80)을 잡아맨다.
그런데 한복바지는 상술한 것처럼 허리(10)의 오른쪽을 기준점으로 잡고 왼쪽으로 당겨 여유분이 왼쪽 마루선까지 오게 한 후, 허리띠(미도시)로 잡아매야 한다. 부리(80) 또한 허리(10)와 마찬가지로 한쪽으로 당긴 후 대님(미도시)으로 잡아매야 한다. 따라서 착용이 불편하고 착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한복바지의 제도시 밑위(60)의 거리를 바지 길이의 1/3 또는 2/5로 설정하는데, 만약 착용자의 신장이 커 바지의 길이가 늘어날 경우 밑위(60)의 거리도 제한 없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밑위(60)의 거리가 증가할 경우 한복바지의 착용시 밑(50) 부분이 처져 맵시 있게 착용되지 않으며, 활동이 매우 불편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체형을 고려하여 착용감이 우수하고, 옷맵시를 그대로 살리되 착용이 용이한 남성용 한복바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남성용 한복바지는 허리, 좌측사폭, 우측사폭, 마루폭, 부리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사폭은 전방좌측사폭과 후방좌측사폭으로 구성되고, 상기 우측사폭은 전방우측사폭과 후방우측사폭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방좌측사폭과 상기 전방우측사폭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좌측사폭의 밑위와 상기 전방우측사폭의 밑위가 잇대어 꿰매진다. 또한, 상기 밑위에는 트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트임부에는 지퍼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밑위의 길이는, 착용자의 밑위길이 + 13~15㎝이다.
상기 허리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허리의 양측 단부에는 제1여밈부와 제2여밈부가 각각 연장되며, 착용시 제1여밈부와 제2여밈부가 중첩된다. 이때, 상기 허리에는 하나 이상의 신축밴드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여밈부에는 연결용 후크가 설치되고, 상기 제2여밈부에는 상기 후크와 대응되는 고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허리에는 허리띠가 끼워지는 고정용 고리가 설치된다.
상기 전방좌측사폭과 상기 마루폭을 잇대어 꿰맨 부분 및 상기 전방우측사폭과 상기 마루폭을 잇대어 꿰맨 부분에 주름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을 따라 박음질선이 형성된다. 상기 주름은 상부 깊이가 하부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고, 상기 주름의 깊이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얕아지는 형태이다.
상기 부리에는 착용자의 발목을 졸라맬 수 있도록 중첩부가 형성된다. 상기 중첩부는, 한 쌍의 겉주름과, 한 쌍의 겉주름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속주름을 포함한다. 상기 겉주름과 상기 속주름의 일측에는 박음질선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겉주름 중 어느 하나에는 매듭단추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매듭단추가 끼워지는 매듭고리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좌측사폭과 우측사폭을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하고, 좌측사폭과 우측사폭을 잇댄 부분에 지퍼를 설치하여 착용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한복바지의 제도시 착용자의 밑위길이에 일정 길이를 추가하여 제도함으로써 착용자의 신장에 큰 경우에도 밑위거리의 최대치가 제한된다. 따라서 한복바지 착용시 밑 부분의 처지지 않아 활동에 아무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한복바지의 정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한복바지의 배면도.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한복바지의 부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일반적인 남성용 한복바지의 개략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한복바지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한복바지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한복바지(100)에 대해 살펴보면, 착용자의 허리부분을 감싸는 허리(110)와, 허리(110)의 하부에 위치되고 착용시 왼쪽에 위치되는 좌측사폭(120)과, 허리(110)의 하부에 위치되며 착용시 오른쪽에 위치되는 우측사폭(130)과, 좌측사폭(120) 및 우측사폭(130)의 외측에 이어지는 마루폭(140)을 포함한다.
허리(1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허리(110)의 길이는 착용자의 허리부분을 감쌀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허리(110)의 좌측 단부에는 제1여밈부(112a)가 연장되고, 허리(110)의 좌측 단부에는 제2여밈부(112b)가 연장된다. 제1여밈부(112a)와 제2여밈부(112b)는 후술할 트임부(124,134)를 여미기 위한 부분이며, 한복바지(100)의 착용시 제2여밈부(112b)가 제1여밈부(112a)의 안쪽에 위치된다. 즉, 한복바지(100)의 착용시 제1여밈부(112a)와 제2여밈부(112b)가 중첩된다.
상술한 제1여밈부(112a)와 제2여밈부(112b)에는 연결수단(114a,114b)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여밈부(112a)에는 연결용 후크(114a)가 설치되고, 제2여밈부(112b)에는 후크(114a)와 대응되는 고리(114b)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허리(110)에는 하나 이상의 신축밴드(116)가 마련되어, 한복바지(100)의 허리둘레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한복바지(100)의 착용시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허리(110)에는 복수의 고정용 고리(118)가 형성되어, 한복바지(100)와 함께 허리띠(미도시)를 착용하여 한복바지(100)의 흘러내림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좌측사폭(120)과 우측사폭(130)은, 한복바지(100)의 착용시 앞에 위치된 전방사폭(120a,130a)과, 뒤에 위치된 후방사폭(120b,130b)으로 이루어진다. 즉, 좌측사폭(120)은 전방좌측사폭(120a)과 후방좌측사폭(120b)으로 구성되고, 우측사폭(130)은 전방우측사폭(130a)과 후방우측사폭(130b)으로 구성된다. 이때, 후방좌측사폭(120b)과 후방우측사폭(130b)은 종래의 큰사폭과 작은사폭의 형태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이 용이하도록 전방좌측사폭(120a)을 좌측사폭(120a)이라 하고, 전방우측사폭(130a)을 우측사폭(130a)이라 하겠다.
좌측사폭(120a)과 우측사폭(130a)은 동일한 형상으로 마름질되고, 좌측사폭(120a)의 밑위(122)와 우측사폭(130a)의 밑위(132)를 잇대어 꿰매 연결한다. 좌측사폭(120a)과 우측사폭(130b)의 밑위(122,132)에는 트임부(124,134)가 형성되고, 트임부(124,134)에는 지퍼(150)가 설치된다. 이때, 밑위(122,132)에 트임부(124,134)를 형성한 이유는 한복바지(100)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트임부(124,134)에 지퍼(150)를 설치한 이유는 한복바지(100)를 착용한 후 트임부(124,134)를 여미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밑위(122,132)의 길이는 착용자의 밑위길이 + 13~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복바지(100)의 밑위(122,132)의 길이를 착용자의 밑위길이 + 일정 길이(13~15㎝)로 할 경우 착용자의 신장에 큰 경우에도 밑위거리의 최대치가 제한된다. 따라서 한복바지(100) 착용시 밑(170) 부분의 처지지 않아 활동에 아무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좌측사폭(120a)의 밑위(122)의 상단(126)은 일정 너비만큼 안쪽으로 중첩되어 꿰매어진다. 이와 같이, 밑위(122)의 상단을 중첩하여 꿰맬 경우 좌측사폭(120a)의 상부가 트임부(124,134)와 트임부(124,134)에 설치된 지퍼(150)를 덮게 된다. 즉, 한복바지(100)를 착용했을 때 트임부(124,134)와 트임부(124,134)에 설치된 지퍼(1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트임부와 지퍼가 없는 일반적인 한복바지가 주는 심미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사폭(120a)의 밑위(122)의 상단(126), 즉 중첩된 상단(126)의 너비(W1)는 제1여밈부(112a)의 너비(W2) 및 제2여밈부(112b)의 너비(W3)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처럼 중첩된 상단(126)의 너비(W1), 제1여밈부(112a)의 너비(W2), 제2여밈부(112b)의 너비(W3)가 동일해야만 지퍼(150)가 잘 맞물려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다.
마루폭(140)은 전방사폭(120a,130a)과 후방사폭(120b,130b)을 연결하는 폭이다. 마루폭(140)은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고, 동일한 형상으로 마름질된다. 마루폭(140)의 상부 중 제2주름(146)의 외측에는 주머니(142)가 형성된다.
마루폭(140)은 좌측사폭(120) 및 우측사폭(130)과 잇대어 꿰매진다. 이때, 좌측사폭(120a)과 마루폭(140)을 잇대어 꿰맨 부분 및 우측사폭(130a)과 마루폭(140)을 잇대어 꿰맨 부분에는 제1주름(144)이 형성된다. 제1주름(144)은 한복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한 것임과 동시에 잇대어 꿰맨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주름(144)은 한복바지(100)의 허리(110)에서 부리(160)까지 연장되며, 제1주름(144)을 따라 박음질선(144s)이 형성되어 제1주름(144)이 쉽게 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주름(144)은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좌측사폭(120a, 또는 우측사폭(130a))이 마루폭(140)의 일부를 덮는 중첩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제1주름(144)은 상부 깊이(144a)가 하부 깊이(144b)보다 깊게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얕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제1주름(144)의 상부 외측에는 제2주름(146)이 형성된다. 제2주름(146)은 마루폭(140)의 상단을 중첩되도록 접음으로써 형성된 주름이다. 제2주름(146)은 한복바지(100)의 허리(110)에서 중단까지 연장된다.
한복바지(100)의 부리(160)에는 제3주름(148)이 형성된다. 제3주름(148)은 한복바지(110)의 가랑이가 부리(160)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 제3주름(148)에 의해 한복바지(100)의 배래가 완성된다. 이러한 제3주름(148)은 제1주름(144)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제3주름(148)의 일측에는 박음질선(148s)이 형성되어 제3주름(148)이 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한복바지의 부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부리(160)에는 착용자의 발목을 졸라맬 수 있도록 중첩부(162)가 형성된다. 중첩부(162)는,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겉주름(164)과, 한 쌍의 겉주름(164)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속주름(166)을 포함한다. 겉주름(164)은 외부로 돌출되도록 접히고, 속주름(166)은 내부로 돌출되도록 접히는데, 이는 겉주름(164)과 속주름(166)을 중심으로 중첩부(162)를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겉주름(164)과 속주름(166)의 일측에는 박음질선(164s,166s)이 형성되는데, 이는 겉주름(164)과 속주름(166)이 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중첩부(162)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한 쌍의 겉주름(164) 중 어느 하나에는 매듭단추(168a)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매듭단추(168a)가 끼워지는 매듭고리(168b)가 설치되어, 매듭단추(168a)를 매듭고리(168b)에 끼울 경우 중첩부(162)가 접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중첩부(162)의 길이(L1)는 부리(160)의 전체 둘레에 1/3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속주름(166) 사이의 거리(L2)는 중첩부(162) 길이(L1)의 1/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겉주름(164)과 속주름(166) 사이의 거리(L3)는 한 쌍의 속주름(166) 사이의 거리(L2)의 1/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L1 = 부리(160)의 전체 둘레 × 1/3,
L2 = L1 × 1/3,
L3 = L2 × 1/3
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한복바지 110: 허리
112a: 제1여밈부 112b: 제2여밈부
114a: 연결용 후크 114b: 연결용 고리
116: 신축밴드 118: 고정용 고리
120: 좌측사폭 122: 밑위
124: 트임부 130: 우측사폭
132: 밑위 134: 트임부
140: 마루폭 142: 주머니
144: 제1주름 144s: 박음질선
144a: 상부 깊이 144b: 하부 깊이
146: 제2주름 148: 제3주름
150: 지퍼 160: 부리
162: 중첩부 164: 겉주름
164s: 박음질선 166: 속주름
166s: 박음질선

Claims (5)

  1. 허리(110), 좌측사폭(120), 우측사폭(130), 마루폭(140), 부리(160)로 이루어진 남성용 한복바지(100)에 있어서,
    상기 좌측사폭(120)은, 전방좌측사폭(120a)과 후방좌측사폭(12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우측사폭(130)은, 전방우측사폭(130a)과 후방우측사폭(130b)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좌측사폭(120a)과 상기 전방우측사폭(130a)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좌측사폭(120a)의 밑위(122)와 상기 전방우측사폭(130a)의 밑위(132)가 잇대어 꿰매지고,
    상기 밑위(122,132)에는 트임부(124,134)가 형성되고, 상기 트임부(124,134)에는 지퍼(150)가 설치되며,
    상기 밑위(122,132)의 길이는, 착용자의 밑위길이 + 13~15㎝이고,
    상기 부리(160)에는 착용자의 발목을 졸라맬 수 있도록 중첩부(162)가 형성되고,
    상기 중첩부(162)는, 한 쌍의 겉주름(164)과, 한 쌍의 겉주름(164)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속주름(166)을 포함하며,
    상기 중첩부(162)의 길이(L1)는, 상기 부리(160)의 전체 둘레에 1/3이고,
    상기 한 쌍의 속주름(166) 사이의 거리(L2)는, 상기 중첩부(162) 길이(L1)의 1/2이며,
    상기 겉주름(164)과 상기 속주름(166) 사이의 거리(L3)는, 상기 한 쌍의 속주름(166) 사이의 거리(L2)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남성용 한복바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리(110)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허리(110)의 일측 단부에는 제1여밈부(112a)가 연장되며, 허리(110)의 타측 단부에는 제2여밈부(112b)가 연장되고,
    상기 허리(110)에는 하나 이상의 신축밴드(116)가 마련되며,
    상기 제1여밈부(112a)에는 연결용 후크(114a)가 설치되고, 상기 제2여밈부(112b)에는 상기 후크(114a)와 대응되는 고리(114b)가 설치되며,
    상기 허리(110)에는 허리띠가 끼워지는 고정용 고리(118)가 설치되고,
    착용시 제1여밈부(112a)와 제2여밈부(112b)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한복바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좌측사폭(120a)과 상기 마루폭(140)을 잇대어 꿰맨 부분 및 상기 전방우측사폭(130a)과 상기 마루폭(140)을 잇대어 꿰맨 부분에 주름(144)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144)을 따라 박음질선(144s)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한복바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름(144)은 상부 깊이(144a)가 하부 깊이(144b)보다 깊게 형성되고,
    상기 주름(144)의 깊이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얕아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한복바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겉주름(164)과 상기 속주름(166)의 일측에는 박음질선(164s,166s)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겉주름(164) 중 어느 하나에는 매듭단추(168a)가 설치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매듭단추(168a)가 끼워지는 매듭고리(168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한복바지.
KR1020120089808A 2012-08-17 2012-08-17 남성용 한복바지 KR101221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08A KR101221943B1 (ko) 2012-08-17 2012-08-17 남성용 한복바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08A KR101221943B1 (ko) 2012-08-17 2012-08-17 남성용 한복바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943B1 true KR101221943B1 (ko) 2013-01-15

Family

ID=4784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808A KR101221943B1 (ko) 2012-08-17 2012-08-17 남성용 한복바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9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882A (ko) * 2020-02-28 2021-09-07 박순자 엇갈림 재단에 의하여 제조된 살창고쟁이
KR102647882B1 (ko) * 2022-09-21 2024-03-13 고영 한복 바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359Y1 (ko) 2001-05-25 2001-10-15 김광순 대님이 부착된 전통한복바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359Y1 (ko) 2001-05-25 2001-10-15 김광순 대님이 부착된 전통한복바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882A (ko) * 2020-02-28 2021-09-07 박순자 엇갈림 재단에 의하여 제조된 살창고쟁이
KR102360639B1 (ko) 2020-02-28 2022-02-08 박순자 엇갈림 재단에 의하여 제조된 살창고쟁이
KR102647882B1 (ko) * 2022-09-21 2024-03-13 고영 한복 바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81601A1 (en) Convertible garments
US5535450A (en) Wrap-around pants
US20180027896A1 (en) Bodysuit
KR101221943B1 (ko) 남성용 한복바지
TW201801636A (zh) 鏈帶安裝構造
EP3718426A1 (en) Clothes comprising elastic waist bel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3185385U (ja) セパレート式着物の上衣、及びセパレート式着物
US20190104771A1 (en) Convertible wearing apparel
JP3964595B2 (ja) 被服のウエストサイズ伸縮自在構造
JP6918061B2 (ja) 衣服
JP2007056404A (ja) 乳児用衣服
JP3984265B2 (ja) 衣服
JP5858941B2 (ja) 下衣
JP2007270395A (ja) 乳幼児用パンツスーツ
JP3235470U (ja) 衣服
KR101249088B1 (ko) 바지의 허리선 높이 조절 방법 및 허리선 높이조절이 가능한 바지
CN210407144U (zh) 一种翻领长裙
CN213096157U (zh) 一种多种穿法的连衣裙
JP3174928U (ja) スカート付きパンツ
CN214710464U (zh) 搭片式连衣裙
JP3211164U (ja) マチ付の和服
JP7328672B2 (ja) リフォーム着物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5938355B2 (ja) 下衣
JP3163664U (ja) 着物
JP3199545U (ja) レインパン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