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419B1 -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 - Google Patents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0419B1 KR101220419B1 KR1020120044763A KR20120044763A KR101220419B1 KR 101220419 B1 KR101220419 B1 KR 101220419B1 KR 1020120044763 A KR1020120044763 A KR 1020120044763A KR 20120044763 A KR20120044763 A KR 20120044763A KR 101220419 B1 KR101220419 B1 KR 1012204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light emitting
- emitting diode
- type semiconductor
- type electrod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0
- JMASRVWKEDWRBT-UHFFFAOYSA-N Gallium nitride Chemical compound [Ga]#N JMASRVWKEDWRB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2677 Pd–S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4205 SiNX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41 ir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623 plasma-assisted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03 rh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15 tantal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15363 Au—S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10002601 Ga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31700 light absor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94 sapphi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80 sapphi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12 charact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29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616 inductively coupled plasma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10 reflec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carrier transport control structure, e.g. highly-doped semiconductor layer or current-blocking structure
- H01L33/145—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carrier transport control structure, e.g. highly-doped semiconductor layer or current-blocking structure with a current-blocking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01L33/2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e.g. non-planar j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서, n형 전극에 의한 광자의 흡수 및 전류 폭주 효과를 최소화하여 고성능의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의 최하부로부터 도전성 전극, 금속 지지층, p형 반도체층, 상기 p형 반도체층의 일부에 삽입된 전류 차단부, 활성층, n형 반도체층 및 n형 전극의 순서로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n형 전극이 Cr층을 포함한 둘 이상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n형 반도체층에 Cr층, Al층, Pt층, Au층의 순서로 가깝게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금속층의 두께가 일정할 경우, Cr층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광 반사율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의 최하부로부터 도전성 전극, 금속 지지층, p형 반도체층, 상기 p형 반도체층의 일부에 삽입된 전류 차단부, 활성층, n형 반도체층 및 n형 전극의 순서로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n형 전극이 Cr층을 포함한 둘 이상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n형 반도체층에 Cr층, Al층, Pt층, Au층의 순서로 가깝게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금속층의 두께가 일정할 경우, Cr층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광 반사율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류 폭주 효과를 방지하기 위한 전류 차단부와 빛의 흡수를 방지할 수 있는 반사 전극을 구비하고 있는 고성능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다른 반도체에 비해 가시광의 좁은 파장 영역에서 고성능인 까닭에, 최근 질화갈륨(GaN)을 이용한 LED에 대한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질화갈륨계 LED의 내부 양자 효율뿐만 아니라, 광 방출 효율에 대한 개선도 여전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플립칩 LED(Filp-Chip LED, FCLED), 공진 공동 LED(Resonant Cavity LED, RCLED), 그리고 수직 구조 LED(Vertical LED, VLED)와 같은 많은 LED 구조가 광 방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계되어 오고 있다. 이 중에서, 수직 구조 LED는 현 제조 기술을 기반으로 광 방출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궁극적인 구조로서 인정되고 있다.
한편, 수직 구조 발광다이오드와 관련해서는, 한국공개특허 10-2011-0134715호(이하, '선행문헌') 외에 다수 출원 및 공개되어 있다.
선행문헌에 따른 수직 구조 발광다이오드는, 제 2전극; n형반도체층; p형반도체층; 제 1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n형반도체층의 하부는 불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행문헌과 같은 종래 기술은, 수직 구조 LED에서, p형과 n형 전극들은 LED 칩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p형 전극은 칩의 일면에 형성되며, n형 전극은 빛의 전파 경로의 중간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전류가 주입되는 n형 전극 아래의 활성층에서는 전류의 직접 주입에 따른 전류 폭주(current crowding) 현상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n형 전극 자체의 광 흡수로 인하여 수직 구조 LED의 광 출력을 저하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수직 구조 LED의 광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n형 전극에 의한 빛의 흡수와 전류 폭주 문제는 해결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n형 전극에 의한 광자의 흡수 및 전류 폭주 효과를 최소화하여 고성능의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서, 발광 다이오드의 최하부로부터 도전성 전극, 금속 지지층, p형 반도체층, 상기 p형 반도체층의 일부에 삽입된 전류 차단부, 활성층, n형 반도체층 및 n형 전극의 순서로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n형 전극이 Cr층을 포함한 둘 이상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n형 반도체층에 Cr층, Al층, Pt층, Au층의 순서로 가깝게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금속층의 두께가 일정할 경우, Cr층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광 반사율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n형 전극에 의한 광자의 흡수 및 전류 폭주 효과를 최소화하여 고성능의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류 및 광의 흐름도.
도 4 는 종래의 비합금 Cr/Au 및 본 발명에 따른 Cr/Al/Pt/Au에 의한 n형 전극의 반사율을 측정한 결과를 보이는 그래프.
도 5 는 종래의 Cr/Au에 의한 n형 전극과 본 발명에 따른 Cr/Al/Pt/Au에 의한 n형 전극의 n형 반도체상에서의 전류-전압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6 은 4가지 종류의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의 전류에 따른 광출력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7 은 전류 차단부 적용 여부에 따른 전류 밀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보이는 그래프.
도 8 은 4가지 종류의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의 광출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보이는 그래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류 및 광의 흐름도.
도 4 는 종래의 비합금 Cr/Au 및 본 발명에 따른 Cr/Al/Pt/Au에 의한 n형 전극의 반사율을 측정한 결과를 보이는 그래프.
도 5 는 종래의 Cr/Au에 의한 n형 전극과 본 발명에 따른 Cr/Al/Pt/Au에 의한 n형 전극의 n형 반도체상에서의 전류-전압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6 은 4가지 종류의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의 전류에 따른 광출력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7 은 전류 차단부 적용 여부에 따른 전류 밀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보이는 그래프.
도 8 은 4가지 종류의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의 광출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보이는 그래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 는 상면도이다.
도 1 과 도 2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는 최하부로부터 p형 전극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Ti와 Au로 이루어진 도전성 전극(10), 금속 지지층(Metal Receptor, 20), 확산 방지 및 접합용 금속층(Barrier/Bonding Metal, 30), 오믹/리플렉터층(Ohmic/Reflector층, 40), p형 반도체층(50), 활성층(60), n형 반도체층(70) 및 n형 전극(80)의 순서로 포함되어 있다.
상기 오믹/리플렉터층(40)은 오믹층과 리플렉터층의 2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질 수도 있으며, 오믹층과 리플렉터층이 하나의 층에 의해 구성되어 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p형 반도체층(50)과 n형 반도체층(70)은 질화갈륨(GaN)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n형 전극(80)은 하나 이상의 금속층에 의해 이루어지며, 하나 이상의 금속층은 Cr층, Al층, Pt층, Ni층, Ti층, Mo층 및 Au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n형 전극(80)이 둘 이상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경우 n형 반도체층(70)에 Cr층, Al층, Pt층, Au층의 순서로 가깝게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p형 반도체층(50)의 내부에는 상기 n형 전극(80)으로부터 하부로 흐르는 전류 밀도가 높아지는 것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류 폭주 효과(Current Crowding Effect)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류 차단부(9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에 본 발명에 따른 전류 및 광의 흐름도를 나타내었다
도 3 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반사막 특성을 갖는 상기 n형 전극(80)과 상기 전류 차단부(90)에 의한 광자의 흡수 및 전류 폭주 효과의 방지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선 상기 n형 전극(80)이 반사율이 높은 경우에 상기 n형 전극(80)으로 입사한 광(도 3 의 ①)의 많은 부분은 상기 오믹/리플렉터층(40)에 의해 다시 반사되게 되고(도 3 의 ②), 반사된 광은 상기 n형 전극(80)이 위치하지 않은 곳을 통해 방출되게 되어(도 3 의 ③) 결과적으로 높은 광 출력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차단부(90)는 상기 p형 반도체층의 일부를 제거한 후, 제거된 부분에 절연성 SiO2 또는 SiNx 를 PECVD 또는 스퍼터링 기법에 의해 증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류 차단부(90)의 절연 특성에 의해, 상기 전류 차단부(90)로는 상기 n형 전극(80)으로부터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전류 밀도가 상기 n형 전극(80)의 바로 아랫 부분에서 폭주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성 측정을 위한 시제품의 제작
하기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의 특성 측정을 위한 시제품의 제조 방법에 대해 주요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c-plane 사파이어 기판 위에 LED 에피 구조(epitaxial structure)가 MOCVD(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기법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1mm*1mm 크기)의 제조를 위해, p형 GaN층(50)의 표면이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기법에 의해 일부가 에칭된다. 에칭되는 두께는 p형 GaN층(50)의 두께에 의해 결정되며 p형 GaN층(50)의 두께는 50 ~ 200n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두께의 범위에서 에칭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절연성의 100nm 두께의 SiO2 전류 차단부(90)가 스퍼터링 기법에 의해 에칭된 층에 증착된다. 그 다음 50nm 두께의 ITO(indium tin oxide)가 p형 GaN층(50) 위에 증착되고, 오믹 접촉(Ohmic Contact)을 형성하기 위해 650℃ 정도에서 약 1분간 열처리된다. 이후 리플렉터층을 형성한다. 상기 오믹접촉층과 리플렉터층을 한번에 증착한후 오믹형성을 위하여 열처리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이후 오믹/리플렉터층(40)상에 확산방지 및 접합용 금속층(30)을 형성한다. 상기 확산방지 및 접합용 금속층(30)은 금속 지지층(20)과 상기 발광 구조물을 접합하는 매개 역할을 한다.
상기 확산방지 및 접합용 금속층(30)은 Ag, Ni, Al, Ti, Pd, Pt, Ru, Au, Rh, Ir, Ta, Cu, Ta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시드 금속층과, Au-Sn, Sn, In, Au-Au, Pd-Sn 및 Pd-In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진 도전성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성장 기판층으로 사용한 사파이어 기판을 제거한다. 상기 기판을 제거하고 난 후 n형 GaN층(70) 상에 n형 전극(80)을 결합할 수 있도록 n형 GaN층(70)이 노출되도록 일면을 세정하고 식각한다.
다음으로, 상기 n형 전극(80)을 n형 GaN층(70)에 증착한다. 이때 n형 GaN층(70)에 가까운 순서로 배열할 경우, Cr층, Al층, Pt층, Au층의 순서로 된다. 여기서 Cr층은 n형 전극(80)의 가장 아래 부분에 빛의 흡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약 5 ~ 20Å 정도로 얇게 증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에 따른 n형 전극(80)의 표면 커버리지(surface coverage)는 약 15%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에서 n형 Cr/Au(50nm/1000nm) 전극은 전류 차단부(90)의 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같은 제조 기법에 의해 형성되었다.
특성 측정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의 특성에 대해 측정한 결과를 하기에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 에 종래의 Cr/Au 및 본 발명에 따른 Cr/Al/Pt/Au에 의한 n형 전극의 반사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4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파장 영역에서 종래 Cr/Au에 의한 n형 전극보다, 본 발명에 따른 Cr/Al/Pt/Au에 의한 n형 전극의 반사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Cr/Al/Pt/Au(1/250/10/1000nm), Cr/Al/Pt/Au(1.5/250/10/1000nm), Cr/Al/Pt/Au(2.5/250/10/1000nm)에 의한 n형 전극의 측정된 반사율은 각각 460nm에서 76%, 72%, 62%이다. 반면 종래의 Cr/Au(50/1000nm)에 의한 n형 전극은 460nm에서 겨우 38%의 반사율을 나타내었다. 오믹 접촉을 위해 Cr층이 필요하지만, 그 두께는 n형 전극에 의한 빛의 흡수를 방지하기 위해 얇을수록 바람직하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도 5 에 종래 Cr/Au에 의한 n형 전극과 본 발명에 따른 Cr/Al/Pt/Au n형 전극의 n형 GaN 상에서의 전류-전압 특성을 나타내었다.
도 5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Cr/Au에 의한 n형 전극과 본 발명에 따른 Cr/Al/Pt/Au에 의한 n형 전극 모두 좋은 오믹 특성을 나타내었다. 다만, Cr/Au에 의한 n형 전극이 Cr/Al/Pt/Au에 의한 n형 전극에 비해 약간 더 나은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6 에 4가지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에 대한 전류에 따른 광출력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6 의 측정을 위해 4가지 종류의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하였고, 각각 패키지 후의 20개의 칩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도 6 으로부터 Cr/Al/Pt/Au에 따른 n형 전극 및 전류 차단부의 구비에 따라 수직 구조 다이오드의 광출력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 은 전류 차단부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을 위해 SPECLED 시뮬레이터가 이용되었다. 도 7 의 (a)는 전류 차단부가 없는 경우의 활성층에서의 전류 밀도의 분포를, 도 7 의 (b)는 전류 차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의 활성층에서의 전류 밀도 분포를 각각 보여주고 있다. 도 7 의 (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류 차단부가 없는 경우 전류는 주로 n형 전극의 바로 아랫 부분에만 집중되어 있으나, 도 7 의 (b)로부터 p형 GaN 내부에 전류 차단부가 구비된 경우 전류밀도의 분포가 실제로 발광하는 영역에서의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8 은 RATRO라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4가지 종류의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의 광출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전류 차단부와 Cr/Al/Pt/Au에 의한 반사율이 높은 n형 전극은 광출력면에서도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류 차단부 또는 반사율이 높은 n형 전극 중 어느 한 요소만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전류 차단부와 반사율이 높은 n형 전극의 시너지(Synergy) 효과를 도 8 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차단부와 Cr/Al/Pt/Au에 의한 반사율이 높은 n형 전극의 특성에 따라,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의 성능 향상에 높은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도전성 전극 20 : 금속 지지층(Metal Receptor)
30 : 확산방지 및 접합용 금속층(Barrier/Bonding Metal)
40 : 오믹/리플렉터층(Ohmic/Reflector층)
50 : p형 반도체층 60 : 활성층
70 : n형 반도체층 80 : n형 전극
90 : 전류 차단부
30 : 확산방지 및 접합용 금속층(Barrier/Bonding Metal)
40 : 오믹/리플렉터층(Ohmic/Reflector층)
50 : p형 반도체층 60 : 활성층
70 : n형 반도체층 80 : n형 전극
90 : 전류 차단부
Claims (4)
-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의 최하부로부터 도전성 전극(10), 금속 지지층(Metal Receptor)(20), 확산방지 및 접합용 금속층(Barrier/Bonding Metal)(30), 오믹/리플렉터층(Ohmic/Reflector)(40), p형 반도체층(50), 상기 p형 반도체층의 일부에 삽입된 전류 차단부(90), 활성층(60), n형 전극(80)과 결합할 수 있도록 그 일면이 세정 식각된 n형 반도체층(70) 및 n형 전극(80)의 순서로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n형 전극(80)이 Cr층을 포함한 둘 이상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n형 반도체층(70)에 Cr층, Al층, Pt층, Au층의 순서로 가깝게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금속층의 두께가 일정할 경우, Cr층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광 반사율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확산방지 및 접합용 금속층(30)은,
Ag, Ni, Al, Ti, Pd, Pt, Ru, Au, Rh, Ir, Ta, Cu, Ta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시드 금속층과, Au-Sn, Sn, In, Au-Au, Pd-Sn 및 Pd-In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진 도전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형 반도체층(50)과 n형 반도체층(70)은,
질화갈륨(GaN)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부(90)는,
상기 n형 전극(80)으로부터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하부로 흐르는 전류의 폭주 현상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p형 반도체층(50)의 일부를 제거하고 그 내부에 절연체 물질로 채워 넣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부(90)는,
상기 p형 반도체층(50)의 일부를 제거한 후, 제거된 부분에 절연성 SiO2 또는 SiNx 를 PECVD 또는 스퍼터링 기법에 의해 증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4763A KR101220419B1 (ko) | 2012-04-27 | 2012-04-27 |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4763A KR101220419B1 (ko) | 2012-04-27 | 2012-04-27 |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3272A Division KR20120031718A (ko) | 2010-09-27 | 2010-09-27 |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2660A KR20120062660A (ko) | 2012-06-14 |
KR101220419B1 true KR101220419B1 (ko) | 2013-01-21 |
Family
ID=46683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4763A KR101220419B1 (ko) | 2012-04-27 | 2012-04-27 |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041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0151A (ko) | 2021-08-25 | 2023-03-06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
KR20230030150A (ko) | 2021-08-25 | 2023-03-06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2171B1 (ko) * | 2012-10-15 | 2019-11-0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49724A (ko) * | 2005-09-30 | 2008-06-04 | 라티스 파워(지앙시) 코포레이션 | 반도체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090051667A (ko) * | 2007-11-19 | 2009-05-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수직구조 질화갈륨계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KR20090053407A (ko) * | 2007-11-23 | 2009-05-27 | 삼성전기주식회사 |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 |
KR20090116840A (ko) * | 2008-05-08 | 2009-11-1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2012
- 2012-04-27 KR KR1020120044763A patent/KR1012204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49724A (ko) * | 2005-09-30 | 2008-06-04 | 라티스 파워(지앙시) 코포레이션 | 반도체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090051667A (ko) * | 2007-11-19 | 2009-05-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수직구조 질화갈륨계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KR20090053407A (ko) * | 2007-11-23 | 2009-05-27 | 삼성전기주식회사 |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 |
KR20090116840A (ko) * | 2008-05-08 | 2009-11-1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0151A (ko) | 2021-08-25 | 2023-03-06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
KR20230030150A (ko) | 2021-08-25 | 2023-03-06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2660A (ko) | 2012-06-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4053B1 (ko) |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 |
US8716732B2 (en) | Light emitting element | |
JP5876792B2 (ja) | 半導体チップ及び半導体チップ製造方法 | |
KR101007139B1 (ko) |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KR100986374B1 (ko) |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 |
KR20130120615A (ko) |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 |
KR101300781B1 (ko) | 개구부가 형성된 전류 분산층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 |
KR101312403B1 (ko) | 복수의 전류차단 홀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 |
KR20120129449A (ko) | 자외선 발광 소자 | |
KR101220419B1 (ko) |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 | |
KR20120078382A (ko) | 반사벽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 |
KR101206523B1 (ko) | 상부 핑거 및 하부 핑거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 |
KR101204430B1 (ko) | 리세스 영역에 형성되는 본딩 패드들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 및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 |
TWI575783B (zh) | 光電半導體晶片及製造光電半導體晶片之方法 | |
KR100770681B1 (ko) | 수직구조 질화갈륨계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KR20120031718A (ko) |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 | |
KR101081166B1 (ko) |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및 발광소자 패키지 | |
KR101223225B1 (ko) | 테두리 영역에 형성된 광 추출층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 |
KR102237137B1 (ko) | 발광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소자 패키지 | |
KR101148190B1 (ko) | 리세스들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 및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 |
KR101312404B1 (ko) | 전류 저지 패턴들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 |
KR20120078902A (ko) | 발광소자 | |
KR20120078376A (ko) | 반사층이 형성된 전극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와,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이의 제작 방법 | |
KR102153123B1 (ko) | 발광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소자 패키지 | |
KR20120078386A (ko) | 전류 저지층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