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793B1 -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이용한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이용한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793B1
KR101219793B1 KR1020120111743A KR20120111743A KR101219793B1 KR 101219793 B1 KR101219793 B1 KR 101219793B1 KR 1020120111743 A KR1020120111743 A KR 1020120111743A KR 20120111743 A KR20120111743 A KR 20120111743A KR 101219793 B1 KR101219793 B1 KR 101219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
resin
parts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태윤
Original Assignee
(주)새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론테크 filed Critical (주)새론테크
Priority to KR1020120111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6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2Water redu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5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mechanical strength
    • C04B2201/52High compression strength concretes, i.e. with a compression strength higher than about 55 N/mm2, e.g. reactive powder concrete [RPC]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57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41/4869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8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4B41/4884Polyurethanes; Polyisocya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25~35중량%,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 5~15중량% 및 물 50~6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수지 10 내지 15 중량부; 시멘트 20 내지 25 중량부; 골재 150 내지 170 중량부; 안료 2 내지 5 중량부; 및 혼화제 0.02 내지 0.02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이용한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은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와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물성을 보강함으로써 압축강도, 휨 강도 등의 물성을 보강하여 파괴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미세균열을 미연에 방지하여 내구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이용한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WATER PERMEABLE CONCRETE COMPOSITION USING WATER-SOLUBLE POLYUREA RESIN AND VINYL ACETATE EMULSION RESI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CRETE COMPOSITION}
본 발명은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이용하여 우수한 내구성으로 하자 발생을 줄이고 폐기물을 절감하며 도시 미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골재, 물 등의 혼합재료로 이루어지는 건설재료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건설재료 중에 하나로, 현재 컬러 투수 콘크리트 제품의 경우는 물과 시멘트에 골재, 혼화제, 안료를 투입하여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는 압출력에는 강하나, 압축강도, 인장강도 및 휨 강도가 낮아 취성 파괴를 일으키기 때문에 구조재료로서 매우 불리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는 물과 시멘트의 수화반응에 의해 강도가 형성되고 그 강도가 발현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바, 환경요인으로서 특히 습도와 온도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콘크리트는 건조 또는 온도하강에 의하여 체적의 감소가 일어나게 되어 구조체가 구속되어 있는 경우 체적 감소의 영향으로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되어, 이로 인해 미세균열이 유발됨에 따라,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콘크리트가 너무 빨리 건조되면 불균질한 인장응력을 받게 되어 불완전하게 굳은 부분에서 파괴가 일어나게 되므로, 콘크리트가 굳을 때 생기는 수축을 줄이기 위해 가끔씩 물을 뿌려주어 어느 정도의 습도를 유지하는 양생(養生)을 행하고 있고,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염화칼슘 같은 첨가제를 시멘트와 섞어줌으로써 낮은 온도를 상쇄할 정도의 열을 발생시켜 응결작용을 가속화하도록 시공하고 있다. 또한, 겨울철에는 영하의 온도로 기온이 급강하 하므로 물과 시멘트 사용시 겨울철 양생이 되지 않아 강도 발현에 긴 시간이 따르고, 미세 균열에 의한 크랙발생이 다수 발생하고 있어, 줄눈을 일정 구간마다 넣어 주어 크랙발생을 방지하려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만으로는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근본적으로 보완하는 해결방법이 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와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보강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 양태로서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25~35중량%,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 5~15중량% 및 물 50~6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수지 10 내지 15 중량부; 시멘트 20 내지 25 중량부; 골재 150 내지 170 중량부; 안료 2 내지 5 중량부; 및 혼화제 0.02 내지 0.02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이용한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이물질 및 레이턴스 층을 제거한 후, 상기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은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와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물성을 보강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연성을 증대시켜, 에너지 흡수 능력이 뛰어나므로 파괴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미세균열을 미연에 방지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내구성으로 하자 발생을 줄여 폐기물을 절감시킴으로써 환경을 보호하고 도시 미관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25~35중량%,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 5~15중량% 및 물 50~6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수지 10 내지 15 중량부; 시멘트 20 내지 25 중량부; 골재 150 내지 170 중량부; 안료 2 내지 5 중량부; 및 혼화제 0.02 내지 0.02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이용한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바인더 수지에 포함되는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의 혼합량은 25~3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의 혼합량이 25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상기에서 열거한 바와 같은 물리적 특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의 혼합량이 3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여러 작업성 및 도막 강도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는, 폴리에테르디아민 25~40중량%,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5~10중량%, DMPA(dimethylol propanionic acid) 1.5~2.5 중량%, TEA(triethylamine) 1.0~2.0 중량%, 물 50~67.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에 포함되는 폴리에테르디아민(polyether diamine)은 기본적인 수지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료로서,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5,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디아민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미만이 될 경우에는 충격강도, 인열강도, 내환경응력균열성, 신율 등 물리적 특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폴리에테르디아민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을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물리적 특성은 향상되지만, 인장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폴리에테르디아민의 함량이 2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물리적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폴리에테르디아민의 함량이 4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폴리에테르아민의 과량 혼합에 의해 미반응성 폴리에테르디아민이 잔류하여 폴리우레아 합성 수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에 포함되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aliphatic isocyanate)는 함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수지의 점도가 높아지고 기계적인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지의 점도가 낮아지며 접착력과 인장강도가 증가되지만 전체적인 물성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5~10중량% 범위내에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aliphatic isocyanate)는 1,6-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H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및 메틸렌 비스 (p-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H12MDI)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에 포함되는 DMPA(dimethylol propaionic acid)는 이온성 작용기(ionic center) 부여제로서, DMPA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수지의 이온화성이 저하되며, DMPA의 함량이 2.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이온화성의 최적 비율이 떨어져 저장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분자구조내 이온화성의 최적 비율이 되기 위해서는 1.5~2.5중량% 범위 내에서 투입하여 반응시킨다.
또한 상기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에 포함되는 TEA(triethylamine)는 수용화에 필요한 중화(neutralization)를 위하여 DMPA의 양에 비례하여 적절하게 사용하며, TEA의 첨가량이 1.0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수용화에 따른 분산성능이 저하되어 분자구조내 입자 분산성능의 저하를 가져오고, TEA의 첨가량이 2.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용화 후 미반응분이 수지 내에 분산, 잔존해 남아있어 아민의 격한 냄새가 발생하고, 저장 안정성에도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에 포함되는 물은 수용화 과정에서 용매로 작용하며,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의 혼합량이 50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 입자 분산에 문제 발생 소지가 있고, 물의 혼합량이 67.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용화에는 큰 영향이 없지만 최총 제품의 고형분이 낮아져 경화도막의 물성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는 상기와 같은 화합물들의 조성성분비에 의해 아래의 방법에 의해 합성되어진다.
즉,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aliphatic isocyanate)를 투입한 후 서서히 폴리에테르디아민(polyether diamine)을 드롭핑(dropping)하면서 1~2시간 적가하고 30분간 교반하여 프레폴리머(prepolymer) 수지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프레폴리머(prepolymer) 수지를 60~65℃까지 승온시킨 후 DMPA(dimethylol propaionic acid)를 첨가하고, tin계 촉매하에서 3시간 정도 충분히 교반시켜 이온화시킨다. 이 합성 과정에서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MEK(methyl ethyl ketone)를 첨가한다.
다음으로 TEA(triethylamine)를 MEK 용액에 용해하여 상기 반응기내에 적가하고 30분간 교반하여 중화시킨다. 반응용기 내 반응물을 3,000~5,000rpm의 빠른 속도로 교반하면서 물 50~67.5중량%를 천천히 적가하여 수분화시킨 다음 감압증류로 MEK를 제거하면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가 합성된다.
이 때, 상기 수성 폴리우레아 제조시 사용되는 용제인 MEK는 폴리 우레아 수지 수용화 이후 진공펌프를 이용한 진공상태에서 흡입·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수성 폴리우레아 수지는 내수성, 내화학성, 내염수성과 같은 화학적 특성 및 내마모성, 내충격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수지로서 수용성이어서 인체에 무해한 환경친화적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와 함께 바인더 수지로 사용되어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우수한 화학적, 기계적 특성과 환경친화적 특성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바인더 수지에 포함되는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는 내한성을 개선하고, 내균열성 및 바인더 수지의 접착 증진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데, 혼합량은 5~15 중량%가 바람직하며, 혼합량이 5중량%미만일 경우에는 내한성 및 접착증진효과가 저하되고, 1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점성의 상승을 가져와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wacker社 vinnapas EP 706K 제품을 사용하였는 바, 내한성이 우수하고 접착 성능이 우수하여 겨울철 양생기간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바인더 수지에 포함되는 물의 함량은 작업성 및 칼라 투수 콘크리트 강도 발현에 주요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혼합량은 50~65중량%가 바람직하며, 혼합량이 5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혼합량이 6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도 발현에 있어서 물성의 개선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크랙 개선, 인장 강도 개선 효과가 미흡하고,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공극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는 바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는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압축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2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공극률이 떨어져 투수 계수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게 되므로 20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멘트로는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재는 입도가 2.5-10mm, 10-20mm, 5-25mm, 5-13mm , 5-40mm 입도의 골재 중에서 1종 내지 2종 이상을 적절히 섞어 사용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골재는, 150 중량부 내지 1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재의 함량이 15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투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7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수성은 향상되나 휨 강도 및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는 색상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색상의 선명도가 떨어져서 컬러 콘크리트 조성물로서의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수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경제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 때, 안료는 무기질 및 유기질 안료 중 1종 내지 2종 이상을 색상에 따라 적절한 배합 구조로 섞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화제는 0.02 내지 0.025 중량부 범위 내에서 포함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AE(air entraining) 감수제를 사용하여, 시멘트 함량의 1/1000을 기준으로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감수효과가 뛰어나 단위 시멘트량을 줄이게 되므로 수화열 발생이 적어져서 균열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은, 수용성 폴리우레아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와 시멘트, 골재, 혼화제 및 안료를 혼합하여 다짐 시공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혼합은 시멘트, 골재, 안료를 혼합하고, 바인더 수지와 혼화제를 더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이물질 및 레이턴스 층을 제거한 후, 상기의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코팅에 의하여 형성된 코팅도막층의 두께(건조 기준)가 20~100㎛가 되도록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팅도막층의 두께가 20㎛ 미만일 경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호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코팅도막층의 두께가 100㎛를 초과할 경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호효과는 특별히 현저히 향상되지는 않고 코팅작업시 코팅도막의 건조가 늦어짐에 따라 시공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코팅도막층의 두께는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에만 반드시 국한되지 아니하고, 설계조건 등에 의하여 적절히 조절되어 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젼 수지를 포함하는 바인더수지 120kg에 포틀랜드 시멘트 215kg, 골재 1750kg, 안료 25kg, 혼화제 0.215kg을 혼합하여 교반, 다짐하였다.
<실시예 2>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젼 수지를 포함하는 바인더수지 130kg에 포틀랜드 시멘트 230kg, 골재 1800kg, 안료 30kg, 혼화제 0.23kg을 혼합하여 교반, 다짐하였다.
<실시예 3>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젼 수지를 포함하는 바인더수지 140kg에 포틀랜드 시멘트 250kg, 골재 1880kg, 안료 45kg, 혼화제 0.25kg을 혼합하여 교반, 다짐하였다.
<비교예 1>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젼 수지를 포함하는 바인더수지 170kg에 포틀랜드 시멘트 220kg, 골재 1950kg, 안료 50kg, 혼화제 0.22kg을 혼합하여 교반, 다짐하였다.
<비교예 2>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젼 수지를 포함하는 바인더수지80kg에 포틀랜드 시멘트 220kg, 골재 1800kg, 안료 27kg, 혼화제 0.22kg을 혼합하여 교반, 다짐하였다.
<비교예 3>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젼 수지를 포함하는 바인더수지 140kg에 포틀랜드 시멘트 250kg, 골재 1300kg, 안료 40kg, 혼화제 0.25kg을 혼합하여 교반, 다짐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구체적인 성분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단위: kg).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바인더
수지
120 130 140 170 80 140
시멘트 215 230 250 220 220 250
골재 1750 1800 1880 1950 1800 1300
안료 25 30 45 50 27 40
혼화제 0.215 0.23 0.25 0.22 0.22 0.25
<시험방법>
압축강도: 지름 150mm, 높이 300mm 시편을 제작하여 ks f 2405 방법으로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휨 강도: 15mm * 15mm * 60mm의 시편을 제작하여 ks f 2408 방법으로 휨강도를 측정하였다.
투수 계수: 일정한 수위차 하에서 일정 높이를 지닌 시험체를 통과하는 물의 평균속도를 측정하는 현장 투수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표 2에 상기 시험방법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조성물에 대한 측정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압축강도
(kgf/cm2)
185 198 210 122 179 186
휨 강도
(kgf/cm2)
42 45 41 69 29 63
투수계수 (10-2cm/s) 55 57 52 62 56 15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따른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은, 180 kgf/cm2이상의 압축강도를 나타내어 우수한 내구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고, 비교예 1~3의 경우에도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와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포함하는 바인더수지를 이용함으로써, 통상의 콘크리트 조성물의 압축강도인 60~90 kgf/cm2 보다 현저하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는 바,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와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물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 ~3에 따른 조성물의 경우에는 40 kgf/cm2이상의 휨강도와, 50*10-2cm/s이상의 투수 계수를 나타내었는 바, 비교예 1~3에 비하여 그 물성이 고르게 현저하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압축강도 및 휨 강도가 각각 180 kgf/cm2, 40 kgf/cm2이상이고, 투수계수도 50*10-2cm/s이상을 나타내었는 바, 투수 콘크리트로서 우수한 물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25~35중량%,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 5~15중량% 및 물 50~6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수지 10 내지 15 중량부;
    시멘트 20 내지 25 중량부;
    골재 150 내지 170 중량부;
    안료 2 내지 5 중량부; 및
    혼화제 0.02 내지 0.02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이용한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는
    폴리에테르디아민 25~40중량%,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5~10중량%, DMPA(dimethylol propanionic acid) 1.5~2.5 중량%, TEA(triethylamine) 1.0~2.0 중량%, 물 50~67.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는 1,6-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H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및 메틸렌 비스 (p-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H12MDI) 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화제는 AE(air entraining) 감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
  5.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이물질 및 레이턴스 층을 제거한 후,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코팅에 의하여 형성된 코팅도막층의 두께가 20~100㎛가 되도록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120111743A 2012-10-09 2012-10-09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이용한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19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743A KR101219793B1 (ko) 2012-10-09 2012-10-09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이용한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743A KR101219793B1 (ko) 2012-10-09 2012-10-09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이용한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793B1 true KR101219793B1 (ko) 2013-01-09

Family

ID=4784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743A KR101219793B1 (ko) 2012-10-09 2012-10-09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이용한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7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833B1 (ko) * 2015-09-22 2016-06-13 주식회사 에코글로벌테크 호안블럭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2493A (ja) * 1996-03-13 1997-09-16 Takeda Chem Ind Ltd 防水工法
KR100932890B1 (ko) 2009-07-20 2009-12-2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공원내에 설치되는 무기계 수성 폴리머 몰탈을 이용한 미끄럼방지 바닥면 시공방법
KR100976831B1 (ko) 2010-03-10 2010-08-18 (주)새론테크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코팅제 조성물 및 이 코팅제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41504B1 (ko) 2011-11-07 2012-05-04 (주)새론테크 바탕조정의 도막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2493A (ja) * 1996-03-13 1997-09-16 Takeda Chem Ind Ltd 防水工法
KR100932890B1 (ko) 2009-07-20 2009-12-2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공원내에 설치되는 무기계 수성 폴리머 몰탈을 이용한 미끄럼방지 바닥면 시공방법
KR100976831B1 (ko) 2010-03-10 2010-08-18 (주)새론테크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코팅제 조성물 및 이 코팅제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41504B1 (ko) 2011-11-07 2012-05-04 (주)새론테크 바탕조정의 도막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833B1 (ko) * 2015-09-22 2016-06-13 주식회사 에코글로벌테크 호안블럭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2984B2 (en) Three component composition for the manufacture of polyurethane cementitious hybrid flooring or coating with improved surface gloss
BRPI0708744A2 (pt) aditivos modificados com flúor para produtos de cementação, processo para sua preparação e uso do mesmo
KR10097683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코팅제 조성물 및 이 코팅제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72903B1 (ko) 고내구성을 지니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재 조성물
EP3339344A1 (en) Flexible polyurethane cementitious hybrid composition
ES2835710T3 (es) Sistema híbrido de poliuretano que combina alta resistencia a la compresión y resistencia temprana al agua
JP2016526058A (ja) セメント不含又は低セメントの低発塵ハイブリッド床材組成物
JP2019199545A (ja) 樹脂組成物、硬化物、土木建築構造物、及びコーティング方法
KR101421264B1 (ko) 세라믹계 중도재와 유무기 하이브리드 상도제의 바닥 도포 재료
KR100730787B1 (ko) 고침투성의 폴리머 몰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19793B1 (ko)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및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전 수지를 이용한 컬러 투수 콘크리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9199544A (ja) 樹脂組成物、硬化物、土木建築構造物、及びコーティング方法
KR102537216B1 (ko) 수용성 에폭시 크리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KR20220025559A (ko) 수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와 무기질계 분체가 복합된 하이브리드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법
JP4280094B2 (ja) 樹脂セメント組成物と樹脂セメント硬化層の施工法
JP2017137207A (ja) 水硬性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及びこれによる床構造
KR102408784B1 (ko) 콘크리트 벽체 기둥을 포함한 구조물 크랙 보수재
JPH1180304A (ja) 舗装用湿気硬化型結合剤
ES2932177T3 (es) Composición de tres componentes para la fabricación de pavimentos o revestimientos híbridos cementosos de poliuretano con brillo superficial mejorado
JP2019199541A (ja) 樹脂組成物、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硬化物、土木建築構造物、及びコーティング方法
KR20150098110A (ko) 친환경 바닥재용 폴리머-세라믹 유무기 하이브리드 바인더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바닥재 조성물
JP2001139654A (ja) 常温硬化性舗装材
JP7020449B2 (ja) コーティング用樹脂組成物、硬化膜、コンクリートコーティング構造体、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表面コーティング方法
JP2006240919A (ja) 水性ウレタン系セメント組成物
CN112851260A (zh) 一种渗透结晶型防水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