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495B1 -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방법 - Google Patents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495B1
KR101217495B1 KR1020120058561A KR20120058561A KR101217495B1 KR 101217495 B1 KR101217495 B1 KR 101217495B1 KR 1020120058561 A KR1020120058561 A KR 1020120058561A KR 20120058561 A KR20120058561 A KR 20120058561A KR 101217495 B1 KR101217495 B1 KR 101217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roleum
cleaning
cheonggukjang
oil
clean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김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수 filed Critical 김민수
Priority to KR1020120058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495B1/ko
Priority to CN201310077643.1A priority patent/CN103451048B/zh
Priority to JP2013086788A priority patent/JP2013249464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40Monoamines or polyamine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 C11D2111/20Industrial or commercial equipment, e.g. reactors, tubes or eng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40Specific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44Multi-step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유탱크, 석유 정제시설에서 발생하는 석유 오염물질인 오일과 슬러지를 분리하여 세정하는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제수, 청국장분말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숙성시키는 세정용조성물혼합및숙성단계, 상기 세정용조성물혼합및숙성단계에서 혼합 및 숙성된 세정용조성물을 35 내지 45℃의 온도로 가열된 세정순환수에 혼합하고, 석유오염물질이 잔존하는 장치에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오염물질분리단계 및 상기 오염물질분리단계를 거친 후에 상기 세정순환수의 온도를 100 내지 110℃의 온도로 승온하면서 순환시켜, 장치 내의 가연가스를 분리하고 유해가스와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 탈기및산화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방법 {DETERGENT COMPOSITION FOR OIL SLUDGE AND DETERGENT METHOD USING THA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석유 보관탱크나, 석유 정제시설에서 발생하는 석유 오염물질을 세정하는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국장 내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석유 정제시설에서 발생하는 석유 오염물질인 오일과 슬러지를 분리하여 세정하는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석유 보관탱크나, 석유 정제시설에서 발생하는 석유 오염물질을 세정하는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국장 내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석유 정제시설에서 발생하는 석유 오염물질인 오일과 슬러지를 분리하여 세정하는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정유 및 석유화학공장의 석유 보관탱크나 석유 정제시설을 정기보수하기 전에 석유 보관탱크나 석유 정제시설 내에 잔존하는 유해가스를 스팀퍼지(STEAM PURGE)를 이용하여 대기중으로 배출시키고, 인부가 직접 석유 보관탱크나 석유 정제시설 내로 들어가 석유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을 실시하였으나, 이러한 청소방법은 작업인부가 석유 보관탱크나 석유 정제시설 내부로 진입하기 전에 보관탱크나 석유 정제시설 내부에 존재하는 유해가스 및 가연성 물질을 우선적으로 제거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제거작업을 하기 위해 장시간의 과도한 STEAM PURGE에 의해 공기오염, 에너지과소비 및 많은 양의 슬러지와 폐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석유 보관탱크나 석유 정제시설 내에 유해가스 배기 및 가연성 물질의 제거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자의 생명을 위협하거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계면활성제와 효소가 혼합된 세정제를 순환시켜 석유 보관탱크나 석유 정제시설 내부를 청소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에 방법은 세정수의 온도가 100℃ 이상일 때, 석유 정제시설 내부에 세정제를 투입하여 세정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온도조건에서는 세정제에 함유된 효소의 활성화가 저하되어 우수한 세정효과를 나타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제수, 청국장분말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져, 오일 및 슬러지 등과 같은 석유 오염물질의 분해 및 세정효과가 우수한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효소활성화단계를 통해 청국장분말에 함유된 효소가 활성화되어 오일 및 슬러지 등과 같은 석유 오염물질의 분해 및 세정효과가 우수하며, 유해가스분리제거, 유수분리, 유화철 산화 및 폐수의 질 향상 등과 같은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석유 오염물질의 세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제수, 청국장분말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은 상기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은 정제수 77 내지 89 중량%, 청국장분말 1 내지 3 중량% 및 계면활성제 10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은 pH가 8 이하이며, 효소 활성화 온도가 35 내지 45℃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알킬아민옥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제수, 청국장분말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숙성시키는 세정용조성물혼합및숙성단계, 상기 세정용조성물혼합및숙성단계에서 혼합 및 숙성된 세정용조성물을 35 내지 45℃의 온도로 가열된 세정순환수에 혼합하고, 석유오염물질이 잔존하는 장치에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오염물질분리단계 및 상기 오염물질분리단계를 거친 후에 상기 세정순환수의 온도를 100 내지 110℃의 온도로 승온하면서 순환시켜, 장치 내의 가연가스를 분리하고 유해가스와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 탈기및산화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질의 세정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세정용조성물혼합및숙성단계는 5 내지 10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염물질분리단계는 4 내지 12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은 정제수, 청국장분말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져, 오일 및 슬러지 등과 같은 석유 오염물질의 분해 및 세정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석유 오염물질의 세정방법은 청국장분말에 함유된 효소를 활성화하여 오일 및 슬러지 등과 같은 석유 오염물질의 분해 및 세정효과가 우수하며, 유해가스분리제거, 유수분리, 유화철 산화 및 폐수의 질 향상 등과 같은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세정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유 오염물질의 세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청국장을 이용하여 정유 및 석유화학 공정장치에서 항상 발생하는, OIL SLUDGE의 분리세척 실험을 실시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가정에서 만든 청국장과 일본 낫또의 NATTOKINASE의 OIL 분해분리성능을 실험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청국장 효소와 AMINE OXIDE(A-O, Dimethyl Lauryl Amine Oxide)를 같이 활용하여 OIL의 분해분리 성능향상 가능성 실험을 실시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5은 제조사가 다른 청국장과, 농도 변화에 따른 OIL의 분해분리 성능을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은 상기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은 정제수 77 내지 89 중량%, 청국장분말 1 내지 3 중량% 및 계면활성제 10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국장분말은 정제수 77 내지 89 중량% 대비 1 내지 3 중량%가 혼합되며, 청국장분말에 함유되어 있는 다수의 효소로 인해 석유 오염물질의 분해 및 세정효과가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청국장은 발효과정을 거치면, 청국장 1g당 10억 마리정도의 세균이 존재하게 되며, 이와 같은 세균의 증식과정에서 유익균의 체내로부터 각종 단백질 분해효소, 당 분해효소, 섬유질 분해효소 및 지방 분해효소 등과 같은 성분이 만들어진다.
또한, 콩 성분이 분해되면서 각종 항암물질, 항산화물질 및 면역증강물질과 같은 생리활성물질도 생성되는데, 이러한 청국장분말은 오일과 슬러지가 혼합된 석유 오염물질로부터 석유성분(중유, 왁스 및 폴리머를 포함)을 분리해 내는 역할을 하는데, 분리된 석유성분 세정수의 상층부로 모아져 회수후에 재사용할 수 있고, 탈지와 산화의 과정을 거쳐 그 양이 90 내지 95% 줄어든 슬러지 침전물은 회수하여 폐기처분한다.
이처럼, 청국장분말이 함유된 세정용 조성물은 순환시켜 석유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과정에 재사용되며, 석유 오염물질의 처리과정이 완료된 후에는 폐수처리공정을 통해 처리할 정도로 낮은 오염도를 나타낸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청국장은 식용을 목적으로 선택된 종균만을 이용한 것이 아니라, 볏짚에 기생하고 있는 모든 잡균과 바실러스 세균(Bacillus bacteria)으로 발효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데, 가정에서 직접 제조하는 청국장은 모든 잡균과 바실러스 세균을 발효하여 제조되며, 이처럼 가정에서 제조된 청국장은 식용을 목적으로 상품화된 청국장에 비해 오일분해 성능이 월등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정제수 77 내지 89 중량% 대비 10 내지 20 중량%가 혼합되며, 상기 청국장분말과 함께 정제수에 투입되어 석유 오염물질의 분리 및 세정효과가 더욱 향상된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석유 오염물질의 주성분인 오일 및 슬러지에 침투하여 오일 및 슬러지를 Water Wetting시켜 슬러지로부터 오일성분이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계면활성제에 함유되어 있는 산소는 FeS, H2S 등과 같은 유해위험물질을 산화시켜 안정한 물질로 변화시키고, 석유 오염물질이 석유성분, 물 및 슬러지로 분리되는 것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계면활성제는 Semi Polar Type인 알칼아민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진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은 pH가 8 이하이며, 35 내지 45℃의 효소활성온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석유 오염물질의 세정방법은 정제수, 청국장분말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숙성시키는 세정용조성물혼합및숙성단계(S101), 상기 세정용조성물혼합및숙성단계에서(S101) 혼합 및 숙성된 세정용조성물을 35 내지 45℃의 온도로 가열된 세정순환수에 혼합하고, 석유오염물질이 잔존하는 장치에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오염물질분리단계(S103) 및 상기 오염물질분리단계(S103)를 거친 후에 상기 세정순환수의 온도를 100 내지 110℃의 온도로 승온하면서 순환시켜, 장치 내의 가연가스를 분리하고 유해가스와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 탈기및산화단계(S105)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정용조성물혼합및숙성단계(S101)는 정제수, 청국장분말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로, 정제수 77 내지 87 중량%, 청국장분말 1 내지 3 중량% 및 계면활성제 10 내지 20 중량%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한 후에 상온에서 5 내지 10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다.
상기 오염물질분리단계(S103)는 상기 세정용조성물혼합및숙성단계(S101)에서 혼합 및 숙성된 세정용 조성물을 35 내지 45℃의 온도로 가열된 세정순환수에 혼합하고, 석유오염물질이 잔존하는 장치에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단계로, 상기 세정용조성물혼합및숙성단계(S101)를 통해 혼합 및 숙성된 세정용 조성물을 35 내지 45℃의 온도로 가열된 세정순환수에 혼합하면, 청국장분말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및 효소가 활성화되어 오일 및 슬러지 등과 같은 석유 오염물질을 분해 및 세정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이때, 세정순환수에 투입되는 세정용 조성물의 함량은 세정순환수 98 내지 99 중량% 대비 1 내지 2 중량%가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정용 조성물이 투입된 세정순환수는 세정용 조성물에 함유된 청국장분말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및 효소가 활성화된 후에 석유오염물질에 적용되기 때문에, 유해가스분리제거, 유수분리, 유화철 산화 및 폐수의 질 향상 등과 같은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오염물질분리단계(S103)는 상기 세정용조성물혼합및숙성단계(S101)에서 혼합 및 숙성된 세정용 조성물을 35 내지 45℃의 온도로 가열된 세정순환수에 투입하고, 석유오염물질이 잔존하는 장치에 투입하여 4 내지 12시간 동안 순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석유 오염물질이 잔존하는 장치로는 원유탱크, 석유 정제시설이 대표적인데, 그 외에도 VDU, FCC, RFCC, HOC, MEROX, RDS, COKER, NCC, AMINE SYSTEM, FLARE DRUM 등과 같은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탈기및산화단계는 상기 오염물질분리단계를 거친 후에 상기 세정순환수의 온도를 100 내지 110℃의 온도로 승온하면서 순환시켜, 장치 내의 가연가스를 분리하고 유해가스와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 단계로, 상기 오염물질분리단계(S103)를 거친 세정순환수의 온도를 100 내지 110℃의 온도로 승온하면서 재순환시켜 석유 오염물질이 존재하는 장치 내에 가연가스를 분리하고 및 오염물질을 산화시켜, 안전한 물질로 변화시키는 단계다.
이러한 탈기및산화단계(S105)를 거친 후에는 석유 오염물질이 존재하는 장치 내에 유해가스인 황화수소 및 가연가스의 농도를 측정하여 목표치에 도달하게 되면, 세정수의 순환을 중지한 후에 세정수를 장치 밖으로 배출하고, 장치 내부를 개방하여 대기중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의 세정력을 실험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험예 1. 청국장을 이용하여 정유 및 석유화학 공정장치에서 항상 발생하는, OIL SLUDGE 에 대한 분리세척 실험을 실시하여 아래 도 2에 나타내었다.
{- 실험개요
1) BEAKER에 샘플 효소를 깔고, 중유를 바른 돌을 놓고 물을 잠기게 붓는다.
2) 40℃ 발효기에 넣어 일정시간 발효시킨 후 분리상태를 확인한다.
- 시료
1) HEAVY OIL: 현대정유 AR, API = 16, CRUDE: CHA 54, DUR 42, SLE 4.
2) ENZYME: A: Blank, B: 볏짚 (Bacilus), C: 청국장, D: 된장.}
아래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청국장의 경우, 정치된 상태임에도 10시간 경과 후, 자갈 상부에 묻은 중유가 자갈로부터 깨끗하게 분리되어 물 상부에 FLOATING 되었음.
C >> D > B >> A 순으로 된장과 볏짚도 효과가 있었으나 청국장의 효과가 월등한 것을 알 수 있다.
Agitation이 가능하다면 24시간 이내 완전분리가 가능할 것이라 판단되며, 청국장에 들어있는 다양한 생리활성물질 중의 여러 효소가, OIL의 분해 분리효소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가정에서 만든 청국장과 일본 낫또의 NATTOKINASE , OIL 분해분리성능을 실험하여 아래 도 3에 나타내었다.
{- 실험개요
1) SET-UP: 청국장 1g, 중유 묻은 돌 1개, 물 50g.
2) 40℃ 발효기에 넣어 일정시간 발효시킨 후 분리상태를 확인한다.
- 시료
1) HEAVY OIL: 현대정유 AR, API = 16, CRUDE: CHA 54, DUR 42, SLE 4
2) ENZYME: A: 생 청국장, B: 건조 청국장, C: 생 낫또, D: 건조 낫또}
아래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B >> A > D = C 순으로 건조 청국장의 OIL 분해분리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8시간 경과 후: B >> D > A > C, 24시간 경과 후: B >> A > D > C, 32시간 경과후: B > A > D = C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국장과 낫또, 모두 OIL의 분해 분리 능력이 있으나 건조 청국장이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청국장 효소와 AMINE OXIDE(A-O, Dimethyl Lauryl Amine Oxide)를 같이 활용하여 OIL 의 분해분리 성능향상 가능성 실험을 실시하여 아래 도 4에 나타내었다.
{- 실험개요
1) SET-UP: 청국장 2g, A-O (12%) 1.5ml, 중유 묻은 돌 1개, 물 100ml
2) 40℃ 발효기에 넣어 일정시간 발효시킨 후 분리상태를 확인한다.
- 시료
a: 건조 청국장 only, b: A-O only, c: A-O + 생 낫또, d: A-O + 건조 낫또, e: 건조 낫또를 8일간 숙성한 A-O, f: A-O + 건조 청국장
아래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건조 낫또를 담가 8일 숙성한 A-O sample이 가장 우수한 OIL의 분해분리 성능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으며, A-O 혼합의 경우, 건조 낫또와 생 낫또의 성능 차이는 거의 없고, 단순 건조 청국장보다, 건조 청국장 + A-O 경우가 더 빨리 분리되고, 분리 FLOAT된 OIL이 분해되어 더 확산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실험이 종료된 후 물로 세척 후, 돌의 CLEANLINESS: f > a > e > d = c > b의 순으로 나타나 청국장의 경우가 낫또와 단순 A-O의 경우보다 훨씬 더 OIL이 많이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Oil 분리 FLOATING 효과 비교
3 시간 경과 후: e > f, d, c > b > a, 8 시간 경과 후: e >> f, d, c, b > a, 21시간 경과 후: e > c > a > b > d, f
따라서, 청국장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보다 청국장 + A-O의 경우가 분리속도가 더 빠르며, A-O에 낫또를 미리 넣어 숙성시켜 효소 SATURATED된 A-O의 OIL 분리효과가 가장 빠르고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제조사가 다른 청국장과, 농도 변화에 따른 OIL 의 분해분리 성능을 비교하여 아래 도 5에 나타내었다.
{- 실험개요
1) 김제산 청국장과 수지산 청국장의 OIL 분리성능 비교.
2) 각각 물에 포화시켜 포화 상등액 100%와 40% 수용액의 OIL 분리성능 비교. 40℃ 발효기에 넣어 일정시간 발효시킨 후 분리상태를 확인함.
-시료
A: 김제산 분말 건조 청국장(CJ-KJ), B: 수지산(HOME MADE) 건조분말 청국장(CJ-SJ)
- SET-UP; A: CJ-KJ 40% 포화액, B: CJ-KJ 100% 포화액, C: CJ-SJ 40% 포화액, D: CJ-SJ 100% 포화액}
아래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HOME-MADE 청국장의 성능이 월등히 좋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수지산(HOME MADE)의 경우, 40%의 분리/분해 속도가 100%보다 늦었으나 24시간 후에는 거의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 Oil 분리 FLOATING 효과 비교
1 시간 경과후: D > A > B = C, 5 시간 경과후: D > A > B > C, 8시간 경과후: D >> A > C > B, 12시간 경과후: D > C > A > B, 24 시간 경과후: D >= C >> A >= B, 27 시간 경과후: D >= C >> A > B
따라서, HOME MADE 청국장의 OIL분리 성능이 월등히 좋은 것을 알 수 있으며, 공산품인 김제산 청국장은, 식용에 해가 되는 잡균을 제거한 선택된 종균만으로 발효하여, 석유기름 분해에 도움이 되는 잡균 및 잡균이 만드는 효소가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청국장의 농도와 OIL 분리 속도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4를 통해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은 정제수, 청국장분말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져, 오일 및 슬러지 등과 같은 석유 오염물질의 분해 및 세정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석유 오염물질의 세정방법은 청국장분말에 함유된 효소를 활성화하여 오일 및 슬러지 등과 같은 석유 오염물질의 분해 및 세정효과가 우수하며, 유해가스분리제거, 유수분리, 유화철 산화 및 폐수의 질 향상 등과 같은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세정방법을 제공한다.
S101 ; 세정용조성물혼합및숙성단계
S103 ; 오염물질분리단계
S105 ; 탈기및산화단계

Claims (7)

  1. 정제수, 청국장분말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며,
    pH가 8 이하이고, 효소의 활성화 온도가 35 내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은 정제수 77 내지 89 중량%, 청국장분말 1 내지 3 중량% 및 계면활성제 10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알킬아민옥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
  5. 정제수, 청국장분말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숙성시키는 세정용조성물혼합및숙성단계;
    상기 세정용조성물혼합및숙성단계에서 혼합 및 숙성된 세정용조성물을 35 내지 45℃의 온도로 가열된 세정순환수에 혼합하고, 석유오염물질이 잔존하는 장치에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오염물질분리단계; 및
    상기 오염물질분리단계를 거친 후에 상기 세정순환수의 온도를 100 내지 110℃의 온도로 승온하면서 순환시켜, 장치 내의 가연가스를 분리하고 유해가스와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 탈기및산화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질의 세정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세정용조성물혼합및숙성단계는 5 내지 10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질의 세정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분리단계는 4 내지 12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질의 세정방법.
KR1020120058561A 2012-05-31 2012-05-31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방법 KR101217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561A KR101217495B1 (ko) 2012-05-31 2012-05-31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방법
CN201310077643.1A CN103451048B (zh) 2012-05-31 2013-03-12 石油污染物质清洗用组合物及利用该组合物的清洗方法
JP2013086788A JP2013249464A (ja) 2012-05-31 2013-04-17 石油汚染物質洗浄用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洗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561A KR101217495B1 (ko) 2012-05-31 2012-05-31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495B1 true KR101217495B1 (ko) 2013-01-02

Family

ID=4784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561A KR101217495B1 (ko) 2012-05-31 2012-05-31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3249464A (ko)
KR (1) KR101217495B1 (ko)
CN (1) CN1034510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68604A (zh) * 2015-12-11 2016-03-02 天津璞誉环保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环保型原油清洗剂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1691A (ja) 1997-03-07 1998-09-22 Shiga Yoko 洗浄料
KR20080051874A (ko) * 2006-12-05 2008-06-11 안성수 청국장균(Bacillus subtilis)으로 글루텐(Gluten)을생분해한 세제
KR100860761B1 (ko) * 2007-04-19 2008-09-29 농업회사법인(주)맛가마식품 청국장 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0660A (ko) * 2007-04-05 2008-10-09 농업회사법인(주)맛가마식품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1095B2 (ja) * 1991-08-30 2003-01-07 ユナイテッド ラボラ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洗浄水中の親油性疎水性物質の分離方法
US5540784A (en) * 1994-09-23 1996-07-30 United Laboratories, Inc. Pressurized closed flow cleaning system
US6106700A (en) * 1995-11-14 2000-08-22 United Laboratories International, Llc Method of treating crude oil with an amine oxide compound
JPH1046196A (ja) * 1996-08-06 1998-02-17 Shiga Yoko 血液汚れ除去洗浄剤
KR100889390B1 (ko) * 2008-03-10 2009-03-19 우희경 검은콩 분말이 함유된 흑비누의 제조방법
KR101063669B1 (ko) * 2009-06-11 2011-09-07 김길녀 친환경 세제 제조방법
CN102864046A (zh) * 2011-07-08 2013-01-09 杨蕾 纳豆竹炭美白保湿香皂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1691A (ja) 1997-03-07 1998-09-22 Shiga Yoko 洗浄料
KR20080051874A (ko) * 2006-12-05 2008-06-11 안성수 청국장균(Bacillus subtilis)으로 글루텐(Gluten)을생분해한 세제
KR20080090660A (ko) * 2007-04-05 2008-10-09 농업회사법인(주)맛가마식품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0860761B1 (ko) * 2007-04-19 2008-09-29 농업회사법인(주)맛가마식품 청국장 샴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51048B (zh) 2015-04-22
JP2013249464A (ja) 2013-12-12
CN103451048A (zh)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6251B2 (ja) 廃水を迅速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組成物
EP2542103B1 (en) Method for processing peroxygen solutions
WO1997043033A1 (e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gases containing hydrogen sulphide
KR101217495B1 (ko)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방법
JP3852896B2 (ja) 油脂含有排水の嫌気性処理方法及び装置
CN105198159B (zh) 一种用于处理焦化废水的混凝剂及用其处理焦化废水的方法
Cappelletti et al. Wastewater from table olive industries
JPS6242678B2 (ko)
CN211644870U (zh) 一种处理低浓度cod废水的装置
JPH119908A (ja) 砂ろ過・オゾン処理装置の運転方法
CN115106075A (zh) 一种活性炭及其制备方法和在油脂中的应用
CN106007048A (zh) 一种三氯硫磷生产废水减排及净化处理的方法
JP2003200141A (ja) ニンニク残渣廃棄物の処理方法
JP6944459B2 (ja) 酸化による廃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Hafiz et al. Decolourization of Drimarene Orange KGL by Orange (Citrus reticulata) Peroxidase.
CN107736266B (zh) 宠物咀嚼物及其制备方法
RU2306261C1 (ru) Способ локальной экстракционной очистки отработанных растворов от фенолов
JP2018130649A (ja) 廃水処理剤及び廃水処理方法
JP2000344933A (ja) ポリエステルウール混用繊維製品の分離回収方法
CN103223291B (zh) 一种应用催化氧化和生物过滤处理化工废气的系统及工艺
JPS5874185A (ja) し尿処理方式
Boucherit et al. Degradation of disperse dye from textile effluent by free and immobilized Cucurbita pepo peroxidase
KR200273551Y1 (ko) 오폐수처리용 삼나무 칩 가공장치
US20240101459A1 (en) Harmless and Recycling Treatment Method for Kitchen Waste
CN205635267U (zh) 一种焦化废水工业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