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679B1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679B1
KR101215679B1 KR1020100035177A KR20100035177A KR101215679B1 KR 101215679 B1 KR101215679 B1 KR 101215679B1 KR 1020100035177 A KR1020100035177 A KR 1020100035177A KR 20100035177 A KR20100035177 A KR 20100035177A KR 101215679 B1 KR101215679 B1 KR 101215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spring
press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6130A (ko
Inventor
데츠야 이시카와
히로아키 오비카네
야스후미 야히로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6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끼리의 끼워 맞춤·이탈을 반복해도 클릭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리셉타클 커넥터의 리셉타클 컨택트에, 리셉타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 맞추어졌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부를 수용하는 스프링부를 형성하였다.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부에 돌기를 형성하였다. 스프링부에, 양 커넥터가 끼워 맞추어졌을 때에 돌기에 가압되는 보조 접촉부와, 양 커넥터가 끼워 맞추어졌을 때에 돌기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UNIT}
본 발명은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넥터끼리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커넥터끼리 (소켓과 헤더) 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커넥터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03139호 참조).
이 커넥터 장치는 일방의 커넥터인 소켓과 이 소켓에 끼워 맞출 수 있는 타방의 커넥터인 헤더를 구비하고 있다.
소켓에 유지된 컨택트에는 걸어 맞춤 단부 (段部) 가 형성되고, 헤더에 유지된 컨택트에는 상기 걸어 맞춤 단부에 대응하는 걸어 맞춤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소켓과 헤더를 끼워 맞추었을 때, 걸어 맞춤 단부와 걸어 맞춤 돌기부가 걸어 맞추어지므로 클릭감이 발생한다.
걸어 맞춤 단부를 갖는 소켓측의 컨택트와 걸어 맞춤 돌기부를 갖는 헤더측의 컨택트는 모두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소켓과 헤더의 끼워 맞춤·이탈을 반복하면, 걸어 맞춤 단부와 걸어 맞춤 돌기부가 마모되어 클릭감이 악화 (약화)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과제는 커넥터끼리의 끼워 맞춤·이탈을 반복해도 클릭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접속 대상물에 실장되는 제 1 커넥터, 상기 제 1 커넥터는, 적어도 1 개의 제 1 컨택트와, 이 제 1 컨택트를 유지하는 제 1 하우징을 구비하고, 및 상기 제 1 커넥터에 끼워 맞춤 가능하며, 제 2 접속 대상물에 실장되는 제 2 커넥터, 상기 제 2 커넥터는, 적어도 1 개의 제 2 컨택트와, 이 제 2 컨택트를 유지하는 제 2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제 2 하우징에 유지되는 제 2 유지부와, 이 제 2 유지부에 연속되는 제 2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컨택트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유지되는 제 1 유지부와, 이 제 1 유지부에 연속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끼리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상기 제 2 접촉부를 수용하는 제 1 스프링부와, 이 제 1 스프링부에 연속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끼리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상기 제 2 접촉부에 접촉되는 제 1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끼리의 끼워 맞춤 개시시에 상기 제 1 스프링부를 그 복귀력에 저항하여 가압하여, 상기 제 1 스프링부를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측으로 밀어넣는 가압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스프링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끼리의 끼워 맞춤 개시시에 상기 가압부에 가압되는 피가압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끼리의 끼워 맞춤 완료까지 상기 가압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 1 스프링부에 대한 상기 가압부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는 가압부 수용부와, 이 가압부 수용부와 상기 제 1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피가압부가 가압되었을 때,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맞닿고, 상기 가압부의 상기 가압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 상기 제 1 스프링부가 이동하여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과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의 상기 맞닿음이 해제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한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제 1 커넥터의 제 1 스프링부의 가압부 수용부가 제 2 커넥터의 가압부를 수용하며 제 1 스프링부의 피가압부에 대한 가압부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였을 때, 연결부와 제 1 접속 대상물의 맞닿음이 해제되어 제 1 스프링부를 제 1 접속 대상물로부터 멀어지게 하므로, 제 1 스프링부가 복귀 동작할 때에 클릭감이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 수용부의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가장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까지의 거리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가장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까지의 거리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스프링부가 대략 원호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컨택트가,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끼리의 끼워 맞춤 완료시에 상기 피가압부에 접촉되는 연장 접촉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하우징이, 상기 제 1 스프링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 1 스프링부에 대한 상기 가압부의 상기 가압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 상기 제 1 스프링부의 복귀 동작을 허용하여 상기 제 1 스프링부를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가, 상기 제 1 하우징을,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끼리의 끼워 맞춤 또는 이탈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 2 접촉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 2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 2 하우징에 형성된 금속 부재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가 돌기이며, 상기 가압부 수용부가 활 형상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끼리의 끼워 맞춤·이탈을 반복해도 클릭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서술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그리고 이점은,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의 리셉타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중의 리셉타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내는 리셉타클 커넥터의 리셉타클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리셉타클 컨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중의 플러그 커넥터를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리셉타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리셉타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 맞추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A 부의 확대도이다.
도 9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리셉타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 맞추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의 리셉타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리셉타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 맞추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10 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리셉타클 커넥터의 리셉타클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13 은 도 12 에 나타내는 리셉타클 컨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의 리셉타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리셉타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 맞추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의 리셉타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6 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리셉타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 맞추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 (1) 는 리셉타클 커넥터 (3) 와 플러그 커넥터 (7) 를 구비한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타클 커넥터 (3) 는 리셉타클 하우징 (4) 과 리셉타클 컨택트 (5) 를 갖는다. 리셉타클 커넥터 (3) 는 프린트 기판 (제 1 접속 대상물 : 21 : 도 7 참조) 에 실장된다.
리셉타클 하우징 (4) 은 대략 트레이 형상으로서, 저판부 (41) 와 벽부 (42a, 42b, 42c, 42d) 와 끼워 맞춤 볼록부 (44) 를 갖는다. 리셉타클 하우징 (4) 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저판부 (41) 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다. 저판부 (41) 에는 복수의 구멍 (411) 이 2 열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멍 (411) 은 직사각형 형상이다.
벽부 (42a, 42b, 42c, 42d) 는 저판부 (41) 의 4 변을 따라 일련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로 평행한 벽부 (42a, 42c) 에는 복수의 홈 (421) 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 (7) 의 리셉타클 커넥터 (3) 에 대한 끼워 맞춤 또는 이탈 방향 (D) 을 따라 홈 (421) 은 연장되어 구멍 (411) 에 통해 있다.
끼워 맞춤 볼록부 (44) 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저판부 (41) 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 볼록부 (44) 의 벽부 (42a, 42c) 와 대향하는 2 개의 면에는 각각 복수의 홈 (441) 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 (441) 은 구멍 (411) 에 통해 있다.
끼워 맞춤 볼록부 (44) 는 벽부 (42a, 42b, 42c, 42d) 로 둘러싸여 있으며, 끼워 맞춤 볼록부 (44) 와 벽부 (42a, 42b, 42c, 42d) 사이에는 플러그 하우징 (8) 이 삽입되는 공간 (47) 이 존재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공간 (47 : 특히 끼워 맞춤 볼록부 (44) 와 벽부 (42a, 42c) 사이의 공간) 과 홈 (441) 과 구멍 (411) 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 정의된 수용부에 대응한다. 이 수용부는 리셉타클 하우징 (4) 에 형성되는 공간부로서, 스프링부 (52 : 제 1 스프링부) 를 수용하며, 스프링부 (52) 에 대한 후술하는 플러그 컨택트 (9) 의 돌기 (가압부 : 921) 의 가압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 스프링부 (52) 의 복귀 동작을 허용하여 스프링부 (52) 를 프린트 기판 (21 : 도 7 참조) 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공간부이다. 따라서, 수용부의 구성 요소는 공간 (47) 과 홈 (441) 과 구멍 (411) 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타클 컨택트 (5) 는 유지부 (제 1 유지부 : 51) 와 스프링부 (52) 와 접촉부 (제 1 접촉부 : 53) 와 연결부 (54) 와 단자부 (55) 를 갖는다. 리셉타클 컨택트 (5) 는 도전성 및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타발 가공 및 휨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 (51) 는 압입 돌기부 (511) 를 갖는다. 압입 돌기부 (511) 는 리셉타클 하우징 (4) 의 홈 (421) 에 압입된다. 이로써, 유지부 (51) 는 리셉타클 하우징 (4) 에 유지된다.
스프링부 (52) 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서, 연결부 (54) 를 개재하여 유지부 (51) 에 연속되어 있다. 스프링부 (52) 는 보조 접촉부 (피가압부 : 521) 와, 보조 접촉부 (521) 에 끼워 맞춤 또는 이탈 방향 (D) 에서 인접 배치된 오목부 (가압부 수용부 : 522) 와, 연결부 (523) 를 갖는다. 보조 접촉부 (521) 는 끼워 맞춤 개시시에 후술하는 플러그 커넥터 (7) 의 플러그 컨택트 (9) 의 돌기 (921) 에 가압된다. 오목부 (522) 는 활 형상으로서, 리셉타클 커넥터 (3) 와 플러그 커넥터 (7) 가 끼워 맞추어졌을 때에 돌기 (921) 를 수용한다. 연결부 (523) 는 오목부 (522) 와 접촉부 (53) 를 연결한다. 스프링부 (52) 의 일부는, 리셉타클 커넥터 (3) 와 플러그 커넥터 (7) 가 끼워 맞추어졌을 때, 리셉타클 하우징 (4) 의 저판부 (41) 의 구멍 (411 : 도 7 참조) 을 통과하여 리셉타클 하우징 (4) 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접촉부 (53) 는 스프링부 (52) 에 연속되어 있다. 접촉부 (53) 는 리셉타클 하우징 (4) 의 끼워 맞춤 볼록부 (44) 의 홈 (441) 에 끼워 맞춤 또는 이탈 방향 (D) 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연결부 (54) 는 유지부 (51) 와 스프링부 (52) 를 연결하고 있다. 단자부 (55) 는 유지부 (51) 에 연속되어 있다. 단자부 (55) 는 프린트 기판 (21 : 도 7 참조) 에 납땜된다.
도 1,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7) 는 플러그 하우징 (8) 과 플러그 컨택트 (9) 를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 (7) 는 프린트 기판 (제 2 접속 대상물 : 22 : 도 7 참조) 에 실장된다.
플러그 하우징 (8) 은 대략 트레이 형상으로서, 저판부 (81) 와 벽부 (82a, 82b, 82c, 82d) 를 갖는다. 플러그 하우징 (8) 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저판부 (81) 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다. 벽부 (82a, 82b, 82c, 82d) 는 저판부 (81) 의 4 변을 따라 일련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6,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컨택트 (9) 는 유지부 (제 2 유지부 : 91) 와 접촉부 (제 2 접촉부 : 92) 와 단자부 (93) 를 갖는다. 플러그 컨택트 (9) 는 도전성 및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타발 가공 및 휨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컨택트 (9) 의 일부가 이른바 몰드 인 성형법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 (8) 에 매립되어 있다.
유지부 (91) 는 플러그 하우징 (8) 에 유지되어 있다.
접촉부 (92) 는 유지부 (91) 에 연속된다. 접촉부 (92) 는 대략 J 자 형상으로서, 벽부 (82a, 82c) 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으로 감겨 있다. 접촉부 (92) 는 돌기 (921) 와 돌기 (921) 에 인접하는 연장 접촉부 (922) 를 갖는다. 돌기 (921) 는 벽부 (82a, 82c) 의 외면으로부터 돌기되어 있다. 연장 접촉부 (922) 는 끼워 맞춤 또는 이탈 방향 (D) 으로 연장되어, 플러그 하우징 (8) 의 벽부 (82a, 82c) 의 외면에 위치한다. 연장 접촉부 (922) 는 리셉타클 커넥터 (3) 와 플러그 커넥터 (7) 의 끼워 맞춤 완료시, 보조 접촉부 (521) 에 접촉한다.
단자부 (93) 는 유지부 (91) 에 연속되어 있다. 단자부 (93) 는 프린트 기판 (22 : 도 7 참조) 에 납땜된다.
리셉타클 커넥터 (3) 와 플러그 커넥터 (7) 의 끼워 맞춤 개시시, 플러그 컨택트 (9) 의 가압부 (921) 가 리셉타클 컨택트 (5) 의 보조 접촉부 (521) 에 접촉하여 보조 접촉부 (521) 를 가압한다.
보조 접촉부 (521) 가 돌기 (921) 에 가압되면, 스프링부 (52) 가 탄성 변형되어 하방으로 이동하고, 연결부 (523) 의 적어도 일부가 프린트 기판 (21) 에 닿는다. 연결부 (523) 의 적어도 일부가 프린트 기판 (21) 에 맞닿으면 스프링부 (52) 가 단단해진다.
그 후, 플러그 컨택트 (9) 의 돌기 (921) 가 리셉타클 컨택트 (5) 의 보조 접촉부 (521) 를 타고 넘어서 오목부 (522) 에 수용되며, 보조 접촉부 (521) 에 대한 돌기 (921) 의 가압 상태가 해제되면, 스프링부 (52) 는 그 복귀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프린트 기판 (21) 에 맞닿아 있던 스프링부 (52) 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연결부 (523) 와 프린트 기판 (21) 의 맞닿음이 해제된다. 작업자는 돌기 (921) 가 보조 접촉부 (521) 를 타고 넘어갔을 때에 스프링부 (52) 가 단단해져 있기 때문에 클릭감을 느낌과 함께, 보조 접촉부 (521) 에 대한 돌기 (921) 의 가압 상태가 해제되어 스프링부 (52) 가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도 클릭감을 느낀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클릭감이 보조 접촉부 (521) 에 대한 돌기 (921) 의 가압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에 발생할뿐만 아니라, 양 커넥터 (3, 7) 의 끼워 맞춤 완료시에 스프링부 (52) 가 그 복귀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프린트 기판 (21) 에 맞닿아 있던 스프링부 (52) 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연결부 (523) 와 프린트 기판 (21) 의 맞닿음이 해제되었을 때) 에도 발생하므로, 비록 돌기 (921) 와 보조 접촉부 (521) 가 마모되었다고 해도 돌기 (921) 가 보조 접촉부 (521) 를 가압할 수 있는 한 클릭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양 커넥터 (3, 7) 의 끼워 맞춤·이탈의 반복에 의한 클릭감의 저하는 억제된다.
다음으로 도 10, 도 11, 도 12, 도 13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 (201) 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와의 주된 상이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 (52) 의 오목부 (522) 의 프린트 기판 (21) 에 가장 가까운 부분 (522a) 으로부터 프린트 기판 (21) 까지의 거리와, 연결부 (523) 의 프린트 기판 (21) 에 가장 가까운 부분 (523a) 으로부터 프린트 기판 (21) 까지의 거리는 거의 동등하다.
이에 반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10,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 (제 1 스프링부 : 252) 의 오목부 (522) 의 프린트 기판 (21) 에 가장 가까운 부분 (522a') 으로부터 프린트 기판 (21) 까지의 거리는, 연결부 (523) 의 프린트 기판 (21) 에 가장 가까운 부분 (523a') 으로부터 프린트 기판 (21) 까지의 거리보다 크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타클 커넥터 (3) 의 리셉타클 컨택트 (5) 의 부분 (522a) 으로부터 부분 (523a) 까지의 직선 부분이 프린트 기판 (21) 의 실장면과 대략 평행임에 반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타클 커넥터 (제 1 커넥터 : 203) 의 리셉타클 컨택트 (제 1 컨택트 : 205) 의 부분 (522') 으로부터 부분 (523a') 까지의 직선 부분이 프린트 기판 (21) 의 실장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리셉타클 컨택트 (205) 의 부분 (523a') 만이 프린트 기판 (21) 에 맞닿아, 리셉타클 컨택트 (205) 와 프린트 기판 (21) 의 맞닿음 지점이 한정되므로, 보조 접촉부 (521) 에 대한 돌기 (921) 의 가압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의 클릭감이 보다 명확해진다.
다음으로 도 14, 도 15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 (301) 를 설명한다.
제 1, 제 2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 1, 제 2 실시형태와의 주된 상이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 (301) 의 리셉타클 커넥터 (203) 는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 (201) 의 리셉타클 커넥터 (203) 와 동일하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컨택트 (9) 의 접촉부 (92) 는 벽부 (82a, 82c) 의 내면으로부터 외면까지 연장되고, 접촉부 (92) 는 돌기 (921) 를 갖는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제 2 커넥터 : 307) 의 플러그 컨택트 (제 2 컨택트 : 309) 의 접촉부 (392) 는 플러그 하우징 (제 2 하우징 : 308) 의 벽부 (382a, 382c) 의 외면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다. 접촉부 (392) 는 돌기 (가압부) 및 연장 접촉부를 갖고 있지 않다. 그 대신, 플러그 하우징 (308) 의 벽부 (382a, 382c) 의 외면에 가압부로서 돌기 (11a) 를 갖는 금속 부재 (11) 가 고정되어 있다. 금속 부재 (11) 의 돌기 (11a) 의 기능은 제 1, 제 2 실시형태의 플러그 컨택트 (9) 의 돌기 (921) 의 기능과 동일하다.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다음으로 도 16, 도 17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 (401) 를 설명한다.
제 1, 제 2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 1, 제 2 실시형태와의 주된 상이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 (401) 의 리셉타클 커넥터 (203) 는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 (201) 의 리셉타클 커넥터 (203) 와 동일하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컨택트 (9) 의 접촉부 (92) 는 벽부 (82a, 82c) 의 내면으로부터 외면까지 연장되고, 접촉부 (92) 는 돌기 (921) 를 갖는데,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 (제 2 커넥터 : 407) 의 플러그 컨택트 (409) 의 접촉부 (492) 는 플러그 하우징 (408) 의 벽부 (482a, 482c) 의 외면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고, 접촉부 (492) 는 돌기 (가압부) 및 연장 접촉부를 갖고 있지 않다. 그 대신, 플러그 하우징 (408) 의 벽부 (482a, 482c) 의 외면에 가압부로서 돌기 (482d, 482e) 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 (482d, 482e) 의 기능은 제 1, 제 3 실시형태의 플러그 컨택트 (9) 의 돌기 (921, 11a) 의 기능과 동일하다.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제 2,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부 (52, 252) 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스프링부 (52, 252) 는 반드시 원호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가압부가 돌기 (921, 11a, 482d, 482e) 인데, 가압부의 형상은, 예를 들어 반구 형상, 쐐기 형상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 (522) 는 활 형상인데, 오목부 (522) 의 형상은 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L 자 형상, U 자 형상 등이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타클 커넥터 (3, 203) 의 리셉타클 하우징 (4) 에는 구멍 (411) 이 형성되며, 결과적으로 스프링부 (52, 252) 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실현할 수 있도록, 공간 (47) 과 홈 (441) 과 구멍 (411) 으로 구성되는 관통공으로 되어 있는데, 수용부가 관통공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리셉타클 하우징의 저판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스프링부 (52, 252) 가 가압되었을 때에 리셉타클 하우징의 저판부에 연결부 (523) 의 적어도 일부가 맞닿으면 되고, 스프링부 (52, 252) 에 대한 돌기 (921, 482d, 482e) 의 가압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 스프링부 (52, 252) 의 복귀력에 의한 복귀 동작을 허용하여 스프링부 (52, 252) 를 프린트 기판 (21) 으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는 공간부가 리셉타클 하우징에 수용부로서 존재하고 있으면 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설명으로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할 것이다.

Claims (9)

  1. 제 1 접속 대상물에 실장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에 끼워 맞춤 가능하며, 제 2 접속 대상물에 실장되는 제 2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커넥터는, 적어도 1 개의 제 1 컨택트와, 이 제 1 컨택트를 유지하는 제 1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적어도 1 개의 제 2 컨택트와, 이 제 2 컨택트를 유지하는 제 2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제 2 하우징에 유지되는 제 2 유지부와, 이 제 2 유지부에 연속되는 제 2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컨택트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유지되는 제 1 유지부와, 이 제 1 유지부에 연속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끼리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상기 제 2 접촉부를 수용하는 제 1 스프링부와, 이 제 1 스프링부에 연속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끼리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상기 제 2 접촉부에 접촉되는 제 1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끼리의 끼워 맞춤 개시시에 상기 제 1 스프링부를 그 복귀력에 저항하여 가압하여, 상기 제 1 스프링부를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측으로 밀어넣는 가압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스프링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끼리의 끼워 맞춤 개시시에 상기 가압부에 가압되는 피가압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끼리의 끼워 맞춤 완료까지 상기 가압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 1 스프링부에 대한 상기 가압부의 가압상태를 해제하는 가압부 수용부와, 이 가압부 수용부와 상기 제 1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피가압부가 가압되었을 때,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맞닿고, 상기 가압부의 상기 가압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 상기 제 1 스프링부가 이동하여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과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의 상기 맞닿음이 해제되는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 수용부의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가장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까지의 거리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가장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까지의 거리보다 큰 커넥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부가 원호 형상인 커넥터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택트가,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끼리의 끼워 맞춤 완료시에 상기 피가압부에 접촉되는 연장 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이, 상기 제 1 스프링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 1 스프링부에 대한 상기 가압부의 상기 가압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 상기 제 1 스프링부의 복귀 동작을 허용하여 상기 제 1 스프링부를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로부터 멀리하는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가, 상기 제 1 하우징을,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끼리의 끼워 맞춤 또는 이탈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커넥터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 2 접촉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 2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 2 하우징에 형성된 금속 부재인 커넥터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돌기이며, 상기 가압부 수용부가 활 형상인 커넥터 장치.
KR1020100035177A 2009-04-21 2010-04-16 커넥터 장치 KR101215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03193 2009-04-21
JP2009103193A JP4688944B2 (ja) 2009-04-21 2009-04-21 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130A KR20100116130A (ko) 2010-10-29
KR101215679B1 true KR101215679B1 (ko) 2013-01-09

Family

ID=4213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177A KR101215679B1 (ko) 2009-04-21 2010-04-16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67698B2 (ko)
JP (1) JP4688944B2 (ko)
KR (1) KR101215679B1 (ko)
CN (1) CN101872922B (ko)
FI (1) FI122934B (ko)
TW (1) TWI4334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0703B2 (ja) * 2011-02-17 2013-08-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8469722B2 (en) * 2011-11-24 2013-06-25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990751B2 (ja) * 2012-04-18 2016-09-14 北川工業株式会社 表面実装クリップ
JP5955097B2 (ja) * 2012-05-23 2016-07-2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接続方法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JP2014170726A (ja) * 2013-02-05 2014-09-18 Tyco Electronics Japan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用いる電気コネクタ
JP5970400B2 (ja) * 2013-03-19 2016-08-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導電パターン式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CN105684223B (zh) * 2013-10-31 2018-10-23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插座、具备该插座的连接器、以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D877704S1 (en) * 2018-02-20 2020-03-1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KR102659117B1 (ko) * 2018-12-27 2024-04-18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JP1638606S (ko) * 2018-12-28 2019-08-05
JP1638607S (ko) * 2018-12-28 2019-08-05
JP1638446S (ko) * 2018-12-28 2019-08-05
JP7282464B2 (ja) * 2019-05-31 2023-05-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7366717B2 (ja) * 2019-12-03 2023-10-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KR102511696B1 (ko) * 2021-04-21 2023-03-21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 접촉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1867A1 (en) 2005-12-15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0400B2 (ja) * 2004-01-13 2009-02-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
JP3887634B2 (ja) * 2004-08-30 2007-02-28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JP4207952B2 (ja) * 2005-12-15 2009-01-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4858050B2 (ja) * 2006-09-2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802959B2 (ja) * 2006-09-29 2011-10-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7387540B1 (en) * 2006-12-05 2008-06-1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
JP4412347B2 (ja) * 2007-04-24 2010-02-1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接続体
JP2008270085A (ja) * 2007-04-24 2008-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4978313B2 (ja) * 2007-05-31 2012-07-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809816B2 (ja) * 2007-08-31 2011-11-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160164Y (zh) * 2008-01-05 2008-1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I394327B (zh) * 2008-09-16 2013-04-21 Hon Hai Prec Ind Co Ltd 電連接器
JP4619431B2 (ja) * 2008-10-24 2011-01-26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1867A1 (en) 2005-12-15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67698B2 (en) 2012-09-18
KR20100116130A (ko) 2010-10-29
FI20105379A (fi) 2010-10-22
TW201101615A (en) 2011-01-01
TWI433408B (zh) 2014-04-01
JP4688944B2 (ja) 2011-05-25
US20100267287A1 (en) 2010-10-21
FI122934B (fi) 2012-09-14
CN101872922B (zh) 2013-03-27
FI20105379A0 (fi) 2010-04-13
CN101872922A (zh) 2010-10-27
JP2010257602A (ja) 201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679B1 (ko) 커넥터 장치
US8197272B2 (en) Connector
JP5553502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US7390208B1 (en) Card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
JP5085694B2 (ja) 光コネクタ
KR101289715B1 (ko) 탄성 레버 커넥터
US7442065B2 (en) Connector
JP5298227B1 (ja) コネクタ
JP6023255B1 (ja) コネクタ
KR20120027020A (ko) 전기 접속용 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KR20030020384A (ko) 전선 접속기구
US7338303B1 (en) Card connector assembly having carriage component
JP2010262294A (ja) コネクタ装置
JP4044939B2 (ja) コネクタ
JP2011023236A (ja) コネクタ
JP3682649B2 (ja) コネクタ装置
JP4798277B2 (ja) コネクタ
KR20050072075A (ko) 커넥터
JP4968793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518641B2 (ja) コネクタおよびリテーナ
JP4628304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150908U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1199243B1 (ko) 커넥터
JP4326871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15185350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