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337B1 - 트랜스포머의 코일 권선 방법과 이를 적용한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의 코일 권선 방법과 이를 적용한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337B1
KR101214337B1 KR1020110071944A KR20110071944A KR101214337B1 KR 101214337 B1 KR101214337 B1 KR 101214337B1 KR 1020110071944 A KR1020110071944 A KR 1020110071944A KR 20110071944 A KR20110071944 A KR 20110071944A KR 101214337 B1 KR101214337 B1 KR 101214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fixing pin
wound
sli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식
전효남
박수진
Original Assignee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1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82Devices for guiding or positioning the winding material on the form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6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specifically adapted for discharge lamp balla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 H01F38/10Ballasts, e.g. for discharge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출력을 갖는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CD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 백라이트용 전원공급장치에 적용되는 트랜스포머의 코일 권선 방법과 이를 적용한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의 코일 권선 방법과 이를 적용한 트랜스포머{METHOD OF WINDING COIL AND TRANSFORM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출력을 갖는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CD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 백라이트용 전원공급장치에 적용되는 트랜스포머의 코일 권선 방법과 이를 적용한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기술의 발전으로 LCD TV 및 LED TV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LCD 패널은 비 발광성이므로 패널의 후면에서 패널 전체를 고르게 빛을 전달하는 백라이트가 구비되어야 한다. 최근 LED 패널의 백라이트용 광원은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LED 백라이트 광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LED 백라이트 광원은 소비전력이 적고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밝기가 뛰어난 동시에 기존의 냉음극관(CCFL) 보다 적은 공간을 차지해서 LCD 패널의 두께를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LED 백라이트 광원은 다수 개의 LED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 개의 LED 어레이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LED 백라이트에는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는데, LED 백라이트용 전원공급장치는 LCD 백라이트를 구동하기 위해 각각의 LED 어레이마다 일정한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트랜스포머가 포함된다.
이때, 각각의 트랜스포머는 각각의 LED 어레이와 대응하여 접속된다. 예를 들어, 트랜스포머의 1차측은 전원 입력단(Vin)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2차측은 일단이 대응된 LED 어레이의 제 1전극에 각기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또한, LED 어레이의 제2 전극은 접지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통상, 트랜스포머는 하나의 트랜스포머에서 하나의 출력만 발생하므로 다수 개의 LED 어레이로 구성되는 LED 백라이트요 전원공급장치는 다수 개의 트랜스포머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LED 백라이트용 전원공급장치는 LED 어레이마다 하나의 트랜스포머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LED 백라이트용 전원공급장치와 같이 다수 개의 트랜스포머가 요청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트랜스포머로 다수 개의 출력이 나오는 멀티출력 트랜스포머가 요청되고 있다. 즉, 하나의 트랜스포머에서 여러 개의 출력이 나오는 멀티출력 트랜스포머를 사용함으로써 LED 백라이트용 전원공급장치에 사용되는 트랜스포머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전체 크기도 줄일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멀티출력 트랜스포머(1)의 1차측은 전원과 연결되는 하나의 1차측 권선으로 이루어지고, 부하와 연결되는 2차측은 다수 개의 부하와 연결된 다수 개의 2차측 코일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1차측에 일정한 전압(V1)을 갖는 전원이 공급되면 2차측에서는 권선비에 따라 다양한 전압(V2,V3)이 출력되게 된다. 이러한 멀티출력 트랜스포머(1)는 2차측에 여러 개의 2차측 코일이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출력 트랜스포머용 보빈(1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빈(100)은 사각형의 몸체의 외주 면에는 코일을 권선하기 위한 권선부(100a,100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권선부(100a,100b)는 1차측 코일을 권선하는 1차 권선부(100a)와, 다수 개의 2차측 코일을 권선하기 위한 2차측 권선부(100b)로 이루어진다. 이때, 권선부(100a,100b)에는 1차측 권선부(100a)와 2차측 권선부(100b)를 구분하기 위한 격벽(102a,102b)이 구비된다.
이어,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보빈(100)의 2차측 권선부(100b)에 2개의 2차측 코일(S1,S2)을 권선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2차측 권선부(100b)에 권선되는 2개의 2차측 코일(S1,S2)은 2차측 권선부(100b)에 상하로 적층되게 권선된다. 즉, 제1의 2차측 코일(S1)은 2차측 권선부(100b)에 한층 또는 여러 층으로 권선되고, 제1의 2차측 코일(S1) 위를 절연테이프(T1)를 감은 다음 제2의 2차측 코일(S2)를 한층 또는 여러 층으로 권선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 권선 방법은, 2차측 권선부(100b)에 여러 개의 2차측 코일(S1,S2,S3...Sn)을 차례로 권선하되, 상하로 적층되는 2차측 코일 사이에 절연테이프(T1,T2...Tn)를 감아서 절연하는 방법이 적용된다. 따라서 종래의 2차측 코일 권선 방법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일을 2차측 권선부에 권선하는 단계와, 권선된 코일 위에 절연테이프(T)를 테이핑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2차측 코일 권선 방법은, 코일을 권선하기 위한 코일 권선기 외에 테이프를 권선하기 위한 절연테이프 권선기 및 절단기가 구비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권선 작업과 테이핑 작업을 교대로 반복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복잡하다.
또한, 종래의 2차측 코일의 권선 방법은 코일을 종래의 코일 권선기를 이용한 자동화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2차측 코일 자동화를 위한 초기 투자비용이 증가하고 복잡한 작업공정으로 인해서 고장 및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2차측 권선부에 여러 개의 2차측 코일을 권선하는 트랜스포머의 코일 권선 방법을 개선하여 통상의 코일 권선기로도 자동화가 가능한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2차측 권선부에 격판을 설치하여 코일 사이에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절연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통상의 코일 권선기를 사용하여 권선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킨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2차측 코일 권선 방법은,
2차측 권선부의 외 측에 다수 개의 고정핀이 형성되고, 2차측 권선부를 다수 개의 슬릿으로 구획하는 격판이 구비된 보빈의 2차측 권선부에 다수 개의 2차측 코일을 권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2차측 코일을 2차측 권선부에 형성된 각각의 슬릿 내에 차례로 권선하되,
먼저 제1의 2차측 코일은, 그 일단을 상기 2차측 권선부의 외측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핀(F4)에 감아서 고정한 후, 상기 다수 개의 슬릿 중 제1의 슬릿(15b)에 권선한 다음, 상기 고정핀(F4)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핀(F5)에 감은 후, 상기 제1의 2차측 코일이 감긴 제1의 슬릿(15b)에 다시 권선한 다음, 상기 다른 고정핀(F5)에 이웃하는 또 다른 고정핀(F6)에 감아서 고정하고,
이어, 제2의 2차측 코일은, 그 일단을 상기 2차측 권선부의 외측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핀(F3)에 감아서 고정한 후, 상기 다수 개의 슬릿 중 제2의 슬릿(15a)에 권선한 다음, 상기 고정핀(F3)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핀(F2)에 감은 후, 상기 제2의 2차측 코일이 감긴 제2의 슬릿(15a)에 다시 권선한 후, 상기 다른 고정핀(F2)에 이웃하는 또 다른 고정핀(F1)에 감아서 고정하되,
상기 제2의 슬릿(15a)에 권선된 제2의 2차측 코일은 상기 격판의 상단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홈에 의해 상기 제1의 슬릿(15b)에 권선된 제1의 2차측 코일과 일정 거리 떨어지도록 안내되어 절연테이프 없이도 상기 제1의 2차측 코일과 제2의 2차측 코일 간에 절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는, 1차측 코일이 권선되는 1차측 권선부와 다수 개의 2차측 코일이 권선되는 2차측 권선부가 격벽에 의해서 구분되고 상기 2차측 권선부의 외 측에는 다수 개의 고정핀이 구비된 지지대가 구비된 보빈과;
상기 보빈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되고 상기 보빈의 양 측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코어부와;
상기 보빈의 상부에 씌워져 보빈을 감싸는 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2차측 코일이 권선되는 2차측 권선부에 격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2차측 권선부를 다수 개의 슬릿으로 구획하되, 상기 격판의 가장자리에는 2차측 코일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 개의 관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상단에는 알루미늄판을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진 절연판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격판을 의해서 구획된 여러 개의 슬릿에 다수 개의 2차측 코일을 차례로 권선함으로써 상하로 적층된 2차측 코일 사이에 절연테이프를 테이핑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통상의 코일 권선기로 코일 권선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트랜스포머에서 여러 개의 출력이 나오는 멀티출력 트랜스포머을 제공함으로써 LED 백라이트용 전원공급장치에 사용되는 트랜스포머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전체 크기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보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2차측 권선부에 2개의 2차측 코일(S1,S2)을 권선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따라 2차 코일이 권선된 보빈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멀티출력 트랜스포머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빈의 측면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라 2차측 권선부에 2개의 2차측 코일을 권선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2차측 코일의 권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 권선방법과 이를 적용한 트랜스포머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1)는 크게 보빈(10), 코어부(20), 캡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빈(10)은 코일을 권선하기 위한 것으로, 외주 면에 코일을 권선하기 위한 권선부(10a,10b)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권선부(10a,10b)가 구비된 몸체를 관통하는 중공부(11)가 구비된다. 보빈(10)은 코일과 코어부(20)를 서로 절연시키기 위해서 절연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권선부(10a,10b)는 1차측 코일을 권선하는 1차측 권선부(10a)와, 상기 1차측 코일과 다른 전압을 갖는 다수 개의 2차측 코일을 권선하기 위한 제2측 권선부(10b)로 이루어진다.
상기 권선부(10a,10b)의 가운데에는 제1 권선부(10a)와 제2 권선부(10b)를 구분하기 위한 격벽(13)이 설치된다. 격벽(13)은 제1 권선부(10a)와 제2 권선부(10b)를 서로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두 개의 격벽(13a,13b)으로 이루어져, 제1 권선부(10a)와 제2 권선부(10b)에 권선되는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간의 전압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측 권선부(10b)에는 2차측 권선부(10b)를 일정한 간격의 슬릿으로 구분하기 위한 격판(12)이 하나 이상 설치된다. 상기 격판(12)은 2차측 권선부(10b)에 권선되는 2차측 코일의 수에 따라 두 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2차측 권선부(10b)는 격판(12)에 의해 다수 개의 슬릿(15a,15b)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2차측 코일은 각각의 제1 및 제2 슬릿(15a,15b)에 권선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격판(12)의 가장자리에는 2차측 코일을 안내하기 위한 관통홈(16a,16b)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홈(16a,16b)은 2차측 코일의 수에 비례하여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홈((16a,16b)은 슬릿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 이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10)의 양끝단 하부에는 각각 지지판(17a,17b)이 배치된다. 지지판(17a,17b)은 보빈(10)을 평탄하게 지지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안정적으로 실장할 수 있게 한다. 지지판(17a,17b)은 보빈(10)을 이루는 몸체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판(17a,17b)의 저 면에는 각각 다수 개의 단자핀(C)이 수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판(17a,17b)의 양단에는 외 측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고정핀(F)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핀(F)은 외 측으로 돌출된 일자 형이거나 외 측으로 돌출된 후 아래로 절곡된 'ㄱ'자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단자핀(C)과 고정핀(F)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17a,17b)의 저면에는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 코어부(20)는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빈(10)의 양측을 통해 각각 중공부(11)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보빈(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코어부(20a,20b)는 서로 마주보며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코어부(20)는 중공부(11)에 삽입되는 동시에 보빈(10)의 양 측면을 감싸는 제1 코어부(20a)와 상기 제1 코어부(20a)와 마주하는 제2 코어부(10b)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코어부(10a,10b)는 'E'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캡부(30)는 보빈(10)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캡 본체(31)를 포함한다. 상기 캡 본체(31)는 보빈(10)의 상부로부터 보빈(10)을 감쌀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다. 또한 상기 캡 본체(31)의 상면에는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진 절연판(32)이 접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캡 본체(31)는 절연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고 상기 절연판(32)은 캡 본체(31)를 사출성형할 때 소정 크기의 알루미늄판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도 2의 사시도에는 절연판(32)이 캡 본체(31)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1)는 다수 개의 2차측 코일을 2차측 권선부(10b)에 권선할 수 있도록 2차측 권선부(10b)에 하나 이상의 격판(12)을 설치하되 상기 격판(12)의 가장자리에는 2개 이상의 관통홈(16)을 형성하여 2차측 코일의 권선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1)는 격판(12)에 의해 구획된 다수 개의 슬릿(15)에 각각의 2차측 코일을 권선함으로써 좌?우측으로 권선되는 2차측 코일 간의 절연이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1)는 권선 시 종래와 같이 상하로 적층한 2차측 코일 사이에 절연테이프를 테이핑 하여 절연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1)에 따르면 격판(1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관통홈(16)을 이용하여 격판(12)을 가로질러가는 2차측 코일을 안내하고, 또 관통홈(16)을 통과하는 2차측 코일과 제1 슬릿(15a)에 권선된 코일 간에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여, 2차측 권선부(10b)에 권선되는 2차측 코일 사이에 절연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절연테이프를 테이핑할 필요가 없게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1)는 종래의 코일 권선기를 이용해서 2차측 코일 권선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다수 개의 2차측 코일을 보빈의 2차측 권선부(10b)에 권선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빈(10)의 2차측 권선부(10b)에는 하나의 격판(12)이 일체로 형성되어 2차측 권선부(10b)를 두 개의 슬릿(15a,15b)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두 개의 슬릿(15a,15b) 사이에 설치된 격판(12)의 가장자리 끝에는 반원형상으로 관통홈(16a,16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차측 지지대(17b)에는 6개의 고정핀(F:F1,F2,F3,F4,F5,F6)과 6개의 접속핀(C:C1,C2,C3,C4,C5,C6)이 구비된다. 6개의 고정핀(F)은 2차측 지지대(17b)의 외 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6개의 접속핀(C)은 수직으로 돌출되거나 지지대(17b)의 바닥면에 일치하게 설치된다. 또한, 2차측 지지대(17b)의 저 면에는 2차측 권선부(10b)와 고정핀(F) 사이에 연결되는 2차측 코일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1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W는 가이드 홈(18)을 통과하는 두 개의 코일 사이의 거리를 벌려서 납땜시 쇼트 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1)의 2차 측에는 두 개의 2차측 코일(S1)(S2)을 권선 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슬릿(15a,15b)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의 2차측 코일(S1)은 제1의 슬릿(15a)에 권선되고, 제2의 2차측 코일(S2)은 제2의 슬릿(15b)에 권선된다. 여기서 2차측 코일(S1)(S2)이 권선되는 슬릿의 위치나 순서는 반드시 이러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의 2차측 코일(S1)은, 그 일단을 상기 2차측 권선부(10b)의 외 측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핀(F4)에 감아서 고정한 후, 상기 다수 개의 슬릿 중 제1의 슬릿(15a)에 소정 횟수로 권선한 다음, 상기 고정핀(F4)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핀(F5)에 감아서 고정한 후, 상기 제1의 2차측 코일(S1)이 감긴 제1의 슬릿(15a)에 다시 소정 횟수 권선한 다음, 상기 다른 고정핀(F5)에 이웃하는 또 다른 고정핀(F6)에 감아서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핀(F4) 및 고정핀(F6)에서는 제1의 2차측 코일(S1)을 수평부에 감아서 고정하고, 고정핀(F5)에서는 수직부에 감아서 고정하여 고정부 사이에 절연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납땜시 이웃하는 핀이나 코일 사이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 제2의 2차측 코일(S2)은, 그 일단을 상기 2차측 권선(10b)부의 외 측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핀(F3)에 감아서 고정한 후, 상기 다수 개의 슬릿 중 제2의 슬릿(15b)에 소정 횟수 권선한 다음, 상기 고정핀(F3)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핀(F2)에 감아서 고정한 후, 상기 제2의 2차측 코일(S2)이 감긴 제2의 슬릿(15b)에 다시 소정 횟수 권선한 후, 상기 다른 고정핀(F2)에 이웃하는 또 다른 고정핀(F1)에 감아서 고정한다. 이때도, 이웃하는 코일 사이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정핀(F3) 및 고정핀(F1)에서는 제2의 2차측 코일(S2)을 수평부에 감아서 고정하고, 고정핀(F2)에서는 수직부에 감아서 고정함으로써 절연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의 슬릿(15b)에 권선된 제2의 2차측 코일(S2)은 상기 격판(12)의 상단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홈(16a,16b)에 의해 상기 제1의 슬릿(15a)에 권선된 제1의 2차측 코일(S1)과 일정 거리 떨어지도록 안내되어 상기 제1의 2차측 코일(S1)과 제2의 2차측 코일(S2) 간에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슬릿(15a)에 권선된 제1의 2차측 코일(S1)과 제2 슬릿(15b)에 권선되는 제2의 2차측 코일(S2)이 격판(12)을 중심으로 좌우로 이격되어 절연 거리를 유지하는 동시에 제1의 슬릿(15a)을 가로지르는 제2의 2차측 코일(S2)이 격판(12)에 형성된 관통홀(16a)(16b)에 의해 안내되어 제1 슬릿(15a)에 권선된 제1의 2차측 코일(S1)과 충분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절연을 유지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절연테이프를 테이핑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코일을 3개의 고정핀(P)에 연속적으로 감으로면서 슬릿(15)에 권선하므로 두 개의 코일을 동시에 감는 방법에 비해서 권선 시간이 다소 늘어나지만 중간에 코일을 절단하지 않기 때문에 권선 작업의 자동화가 유리하고, 코일이 꼬여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코일을 3개의 고정핀에 연속적으로 고정하되 두 개의 2차 코일(S1)(S2)을 격판(12)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슬릿(15a)(15b)에 각각 권선하고, 상기 격판(12)에 형성된 관통홀(16a)(16b)을 이용하여 두 개의 코일(S1)(S2)이 충분한 절연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여 절연테이프를 생략하여 종래의 코일 권선기를 사용한 2차 코일 권선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비숙련자에 의한 불량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첨부도면에는 하나의 격판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격판은 출력 수에 따라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1: 트랜스포머 10: 보빈
10a: 1차측 권선부 10b: 2차측 권선부
12: 격판 13: 격벽
15: 슬릿 16: 관통홈
17: 지지판 18: 가이드 홈
20: 코어부 30: 캡부
31: 캡 본체 32: 절연판
C: 단자핀 F: 고정핀
S: 2차측 코일

Claims (6)

  1. 2차측 권선부의 외 측에 다수 개의 고정핀이 형성되고, 2차측 권선부를 다수 개의 슬릿으로 구획하는 격판이 구비된 보빈의 2차측 권선부에 다수 개의 2차측 코일을 권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2차측 코일을 2차측 권선부에 형성된 각각의 슬릿 내에 차례로 권선하되,
    먼저 제1의 2차측 코일은, 그 일단을 상기 2차측 권선부의 외측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핀(F4)에 감아서 고정한 후, 상기 다수 개의 슬릿 중 제1의 슬릿(15b)에 권선한 다음, 상기 고정핀(F4)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핀(F5)에 감은 후, 상기 제1의 2차측 코일이 감긴 제1의 슬릿(15b)에 다시 권선한 다음, 상기 다른 고정핀(F5)에 이웃하는 또 다른 고정핀(F6)에 감아서 고정하고,
    이어, 제2의 2차측 코일은, 그 일단을 상기 2차측 권선부의 외측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핀(F3)에 감아서 고정한 후, 상기 다수 개의 슬릿 중 제2의 슬릿(15a)에 권선한 다음, 상기 고정핀(F3)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핀(F2)에 감은 후, 상기 제2의 2차측 코일이 감긴 제2의 슬릿(15a)에 다시 권선한 후, 상기 다른 고정핀(F2)에 이웃하는 또 다른 고정핀(F1)에 감아서 고정하되,
    상기 제2의 슬릿(15a)에 권선된 제2의 2차측 코일은 상기 격판의 상단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홈에 의해 상기 제1의 슬릿(15b)에 권선된 제1의 2차측 코일과 일정 거리 떨어지도록 안내되어 절연테이프 없이도 상기 제1의 2차측 코일과 제2의 2차측 코일 간에 절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의 코일 권선 방법.
  2. 1차측 코일이 권선되는 1차측 권선부와 다수 개의 2차측 코일이 권선되는 2차측 권선부가 격벽에 의해서 구분되고 상기 2차측 권선부의 외 측에는 다수 개의 고정핀이 구비된 지지대가 구비된 보빈과;
    상기 보빈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되고 상기 보빈의 양 측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코어부와;
    상기 보빈의 상부에 씌워져 상기 보빈을 감싸는 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2차측 코일이 권선되는 2차측 권선부에 격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2차측 권선부를 다수 개의 슬릿으로 구획하되, 상기 격판의 가장자리에는 2차측 코일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 개의 관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상단에는 알루미늄판을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진 절연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와 아래로 연장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2차측 코일을 2차측 권선부에 형성된 각각의 슬릿 내에 차례로 권선하되,
    먼저 제1의 2차측 코일은, 그 일단을 상기 2차측 권선부의 외측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핀(F4)에 감아서 고정한 후, 상기 다수 개의 슬릿 중 제1의 슬릿(15b)에 권선한 다음, 상기 고정핀(F4)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핀(F5)에 감은 후, 상기 제1의 2차측 코일이 감긴 제1의 슬릿(15b)에 다시 권선한 다음, 상기 다른 고정핀(F5)에 이웃하는 또 다른 고정핀(F6)에 감아서 고정하고,
    이어, 제2의 2차측 코일은, 그 일단을 상기 2차측 권선부의 외측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핀(F3)에 감아서 고정한 후, 상기 다수 개의 슬릿 중 제2의 슬릿(15a)에 권선한 다음, 상기 고정핀(F3)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핀(F2)에 감은 후, 상기 제2의 2차측 코일이 감긴 제2의 슬릿(15a)에 다시 권선한 후, 상기 다른 고정핀(F2)에 이웃하는 또 다른 고정핀(F1)에 감아서 고정하되,
    상기 제2의 슬릿(15a)에 권선된 제2의 2차측 코일은 상기 격판의 상단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홈에 의해 상기 제1의 슬릿(15b)에 권선된 제1의 2차측 코일과 일정 거리 떨어지도록 안내되어 절연테이프 없이도 상기 제1의 2차측 코일과 제2의 2차측 코일 간에 절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2차측 코일은 3개의 고정핀에 감아서 고정하되, 이웃하는 고정핀에 고정되는 코일 사이에 절연 거리가 확보되도록 하나의 고정핀은 수평부에 코일을 감아서 고정하고 이웃하는 고정핀은 수직부에 코일을 감아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KR1020110071944A 2011-07-20 2011-07-20 트랜스포머의 코일 권선 방법과 이를 적용한 트랜스포머 KR101214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944A KR101214337B1 (ko) 2011-07-20 2011-07-20 트랜스포머의 코일 권선 방법과 이를 적용한 트랜스포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944A KR101214337B1 (ko) 2011-07-20 2011-07-20 트랜스포머의 코일 권선 방법과 이를 적용한 트랜스포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337B1 true KR101214337B1 (ko) 2012-12-20

Family

ID=47908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944A KR101214337B1 (ko) 2011-07-20 2011-07-20 트랜스포머의 코일 권선 방법과 이를 적용한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3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062B1 (ko) 2015-08-26 2017-02-10 박종복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KR102066735B1 (ko) * 2018-12-28 2020-01-15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Pfc 코일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453A (ja) 1996-06-21 1998-01-16 Nagano Japan Radio Co 高圧トランス
JPH11162760A (ja) 1997-12-01 1999-06-18 Toshiba Tec Corp 放電灯安定器
JP2011044672A (ja) 2009-08-24 2011-03-03 Tdk Corp トランス
US20110187485A1 (en) 2010-02-04 2011-08-04 Tdk Corporation Transformer having sectioned bobb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453A (ja) 1996-06-21 1998-01-16 Nagano Japan Radio Co 高圧トランス
JPH11162760A (ja) 1997-12-01 1999-06-18 Toshiba Tec Corp 放電灯安定器
JP2011044672A (ja) 2009-08-24 2011-03-03 Tdk Corp トランス
US20110187485A1 (en) 2010-02-04 2011-08-04 Tdk Corporation Transformer having sectioned bobbi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062B1 (ko) 2015-08-26 2017-02-10 박종복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KR102066735B1 (ko) * 2018-12-28 2020-01-15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Pfc 코일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20138991A1 (ko) * 2018-12-28 2020-07-02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Pfc 코일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2823402A (zh) * 2018-12-28 2021-05-18 株式会社Mst科技 功率因数校正线圈装置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147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EP2402966B1 (en) Transformer and fla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080211616A1 (en) Inverter transformer having bobbin with protected terminal pins
KR20090002902A (ko) 인버터 트랜스포머
KR101388819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097319A (ko) 트랜스포머
KR101124003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CN102856052A (zh) 变压器和使用该变压器的显示装置
CN101908411B (zh) 变压器结构
KR101214337B1 (ko) 트랜스포머의 코일 권선 방법과 이를 적용한 트랜스포머
EP4057306B1 (en) Transformer having reverse structure
KR101133294B1 (ko) 트랜스포머
KR101153521B1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및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11944B1 (ko) 인버터용 박형 대용량 트랜스포머
KR200416467Y1 (ko) 보조코일 권선부가 구비된 2-인-1 트랜스포머
KR101133315B1 (ko) 트랜스포머
KR20120030992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20060B1 (ko) 트랜스포머
KR20110120188A (ko) 액정표시장치용 인버터 트랜스포머
KR200461435Y1 (ko) 슬립형태의 트랜스포머용 보빈
KR100563185B1 (ko) 인버터 회로용 트랜스
KR20140113249A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0456880Y1 (ko) 트랜스포머용 보빈
KR100749837B1 (ko) 밸런스용 트랜스포머
KR101133338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