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062B1 -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 Google Patents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062B1
KR101705062B1 KR1020150120139A KR20150120139A KR101705062B1 KR 101705062 B1 KR101705062 B1 KR 101705062B1 KR 1020150120139 A KR1020150120139 A KR 1020150120139A KR 20150120139 A KR20150120139 A KR 20150120139A KR 101705062 B1 KR101705062 B1 KR 101705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primary winding
ratio
transformer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복
홍정훈
이남영
김진강
최경민
박석화
박지애
주호동
Original Assignee
박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복 filed Critical 박종복
Priority to KR1020150120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H05B33/0806
    • H05B33/081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외부 전원과 연결된 입력 필터부와, 외부 전원의 전파 정류를 실시하는 1차 정류부와, 제어 신호에 따라 정류된 전압에 대한 스위칭을 실사하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된 전압을 권선비에 따라 변압하여 출력하는 트랜스와, 상기 트랜스 출력을 검출하여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피드백부와, 상기 트랜스 출력을 정류하는 2차 정류부 및 2차 정류된 전압을 필터링하여 LED 모듈에 전달하는 출력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CONVERTER FOR LED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옥내외용 조명 기구에 내장된 LED 모듈을 점등하기 위한 전기 변환 장치의 누설 손실을 줄이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LED 조명 기기의 활용성이 높아지면서, 옥내외용 조명에 LED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LED 조명 장치는 케이스 내부에 컨버터가 장착되어 있어 입력된 교류 전원을 직류 형태로 변환하여 LED 모듈에 인가한다.
이와 같은 컨버터는 크기와 무게 및 사용 목적에 따라 내장형과 외장형으로 나뉘어 장착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컨버터는 LED 조명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트랜스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을 일정 크기의 전압으로 제어한다.
LED 모듈의 밝기는 LED에 흐르는 전류량에 따라 변화된다. 컨버터는 LED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효율이 우수한 트랜스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트랜스는 1차 권선과 2차 권선이 적층 구조로 제조되기 때문에 트랜스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 문헌 1) 공개 특허 공보 제10-2014-0097850호 (특허 문헌 2) 등록 특허 공보 제10-0812289호 (특허 문헌 3) 등록 특허 공보 제10-121433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트랜스 구조를 소형화하고, 트랜스에 의한 누설을 줄일 수 있고, 누설 에너지로 인하여 발생된 전압이 주변 부품에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소자 선택이 가능하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상용 전원을 LED 모듈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컨버터에 있어서, 외부 전원과 연결된 입력 필터부와, 외부 전원의 전파 정류를 실시하는 1차 정류부와, 제어 신호에 따라 정류된 전압에 대한 스위칭을 실사하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된 전압을 권선비에 따라 변압하여 출력하는 트랜스와, 상기 트랜스 출력을 검출하여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피드백부와, 상기 트랜스 출력을 정류하는 2차 정류부 및 2차 정류된 전압을 필터링하여 LED 모듈에 전달하는 출력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를 제공한다.
상기 트랜스는 코어와, 코어를 감싸는 보빈과, 보빈으로 감싸인 코어 둘레에 1차 및 2차 코일을 동시에 권선하되, 권선 비율에 따라 권선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권선 비율이 n:1이고, 1차 및 2차 코일의 권선 비율이 K:1인 경우, n-K번 먼저 초기 1차 권선을 진행하고, 나머지 K:1의 비율로 1차 및 2차 권선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기 1차 권선과 K:1 비율의 1차 및 2차 권선 사이에 절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랜스는 코어와, 코어를 감싸는 보빈과, 보빈으로 감싸인 코어 둘레에 권선된 초기 1차 권선과, 초기 설정된 1차 권선과의 비율에 따라 1차 권선과 함께 코어 둘레를 권선하는 2차 권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측 권선을 초기 설정 비율의 1/4 만큼 권선하고, 상기 1차측 및 2차측을 초기 설정 비율의 1/2 만큼 권선한 다음, 1차측 권선을 초기 설정 비율의 1/4 만큼 다시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랜스는 코어와, 코어를 감싸는 보빈과, 보빈으로 감싸인 코어 둘레에 권선된 초기 1차 권선과, 초기 1차 권선을 감싸는 제 1 절연층과, 제 1 절연층 둘레에 동일 비율로 동시에 밀착 권선된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선 비율차에 해당하는 만큼 초기 1차 권선을 실시하고, 나머지 비율 만큼의 1차 및 2차 권선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칭부는 피드백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FET 소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선은 폴리아미드 계통의 피복으로 절연된 삼중 강화 절연 전선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을 동시에 권선하여 트랜스 구조를 소형화하고, 트랜스에 의한 누설을 줄일 수 있고, 누설 에너지로 인하여 발생된 전압이 주변 부품에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소자 선택이 가능하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의 블록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의 단면 개념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의 사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 출력을 입력 받는 스위칭부의 전압 파형도.
도 5는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랜스의 단면 개념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스의 단면 개념도.
도 7은 비교예에 따른 트랜스의 단면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의 사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 출력을 입력 받는 스위칭부의 전압 파형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랜스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스의 단면 개념도이고, 도 7은 비교예에 따른 트랜스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는 외부 전원과 연결된 입력 필터부(100)와, 외부 전원의 전파 정류를 실시하는 1차 정류부(200)와, 제어 신호에 따라 정류된 전압에 대한 스위칭을 실사하는 스위칭부(300)와, 스위칭된 전압을 권선비에 따라 변압하여 출력하는 트랜스(400)와, 트랜스(400) 출력을 검출하여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피드백부(500)와, 트랜스(400) 출력을 정류하는 2차 정류부(600)와, 2차 정류된 전압을 필터링하여 LED 모듈에 전달하는 출력 필터부(7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220V, 60Hz의 상용전원을 정류하여 LED 모듈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이를 LED 모듈에 공급할 수 있다.
입력 필터부(100)는 상용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1차 정류부(200)에 제공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 필터부(100)는 입력단의 써지가 발생할 경우 이를 우회시켜 내부 회로를 보호할 수도 있다.
1차 정류부(200)는 전파정류를 실시하는 다양한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1차 정류부는 상용 전원을 전파정류하고, 이 전파 전류된 전원을 스위칭부(300)에 제공한다.
스위칭부(300)는 피드백부(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전파 정류된 전원을 트랜스(400)에 제공한다. 이에, 스위칭부(300)로 스위치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바람직하게는 피드백부(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FET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트랜스(400)는 1차측 권선(430)을 통해 전파 정류 전원을 제공받고, 권선비에 따른 2차 권선(450)을 통해 전압값이 변압된 전원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4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410)와, 코어(410)를 감싸는 보빈(420)과, 보빈(420)으로 감싸인 코어 둘레에 권선된 초기 1차 권선(430)과, 초기 설정된 1차 권선(430)과의 비율에 따라 1차 권선과 함께 코어 둘레를 권선하는 2차 권선(450)을 포함한다.
이때, 코어(410)를 감싸고 감기는 1차 권선(430)과 2차 권선(450)의 권선 비율은 초기 1차 권선(430)이 감기는 비율에 따라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스위치부(300)를 통해 제공된 전원에 의해 1차 권선(430)에 에너지를 축적한 다음 스위치가 오프될 경우 2차측 권선(450)으로 에너지를 전달한다. 이를 통해 소자의 도통과 개방 시간 즉, 듀티비를 적절하게 제어하여 입력 전압 변동, 부하 변동 등에 관계 없이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트랜스(400)는 1차 측에 축적된 에너지를 2차 측에 모두 전달할 수 있고, 완전한 절연을 진행하여 전자기적으로 완전한 결합이 가능하고, 기존의 장치보다 제조상 경제적 이점이 있다.
즉, 종래의 트랜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40)에 1차 권선(42)을 감은 이후, 이에 대응되는 권선비를 갖도록 1차 권선(42) 상측에 2차 권선(44)을 감아 제조하였다.
하지만, 이 경우, 1차측과 2차측 권선(42, 44)의 절연 유지는 가능하지만, 상호간의 이격 층으로 인한 결합이 낮아 지게 되고, 1차 측과 2차측 권선(42, 44)의 거리가 멀어져 효율이 저하되어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이와 같은 누설 자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비교 예에서와 같이 코어에 1차 권선(47)과 2차 권선(49)을 다수번 교대로 적층하여 트랜스를 제조하였다. 즉, 1차 권선(47)과 2차 권선(49)을 샌드 위치 형태로 교대로 적층하여 1차 측의 상하에 2차측 권선이 위치하도록 하여 권선 사이의 누설 자속을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의 트랜스는 한층의 권선 제작 이후, 다음 차수의 배선을 권선하기 때문에 공간적 한계로 인하여 1차 권선(47)과 2차 권선(49)간이 완전하게 밀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각 측의 배선을 권선한 다음 절연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 절연층으로 인한 효율 저하기 발생하고, 이로인한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권선 수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권선 비율에 차이가 있게 되기 때문에 엄격한 제조 공정이 요구된다.
물론, 다수의 적층을 위해 배선의 사이즈를 줄여, 누설 자속을 줄일 수 있게 되지만, 이 경우에도 권선 도중 배선이 끊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1차측 권선(430)과 2차측 권선(450)을 층간 구분없이 동시에 밀착하여 권선함으로 인해 1차 및 2차측 코일간의 밀착도가 획기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이때, 1차측 코일 사이에 2차측 코일을 위치 시킴으로 인해 이들 간의 밀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1차측 권선(430)과 2차측 권선(450)간의 비율에 따라 초기 설정 비율 증 1차측 권선(430)의 비율의 1/4를 먼저 권선한 다음, 1차측과 2차측 권선(430, 450)을 동일 비율(즉, 1/2)로 권선한 다음, 다시, 1차측 권선(430)을 권선하여 목표하는 권선 비율로 권선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1차와 2차의 권선 비율이 4: 1인 경우, 1차 측을 1(4*1/4) 만큼 먼저 권선하고, 1차와 2차를 2(4*1/2) 만큼 동일하게 권선한다. 이어서, 1차측을 다시 1(4*1/4)만큼 권선하여 목표하는 권선을 실시한다. 즉, 권선 비율이 3:1인 경우에는 1차 측을 3/4만큼 먼저 하고, 1차와 2차를 3/2 만큼 진행하고, 마지막으로 다시 1차를 3/4 만큼 진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트랜스(400)는 상술한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트랜스(400)는 코어(410)와, 코어(410)를 감싸는 보빈(420)과, 보빈(420)으로 감싸인 코어 둘레에 권선된 초기 1차 권선(430)과, 초기 1차 권선(430)을 감싸는 제 1 절연층(440)과, 제 1 절연층(440) 둘레에 동일 비율로 동시에 밀착 권선된 1차 권선(430)과 2차 권선(450)을 포함한다. 권선된 1차 권선(430)과 2차 권선(450)을 밀봉하는 제 2 절연층(460)을 포함한다.
또한, 1차측 및 2차측 두 권선간의 비율 차이에 따라 두 권선 수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그 차이를 둘로 나누어 나눈 수 만큼 먼저 권선한 다음, 나머지, 두 권선을 동시에 감게 되면 목표로 하는 권선 비율로 밀착 감이를 할 수 있다. 또한, 먼저 실시한 권선 수 만큼 마지막으로 균등 권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선 비율이 2:1인 경우, 먼저 1 만큼의 초기 1차 권선(430)을 하고, 초기 1차 권선(430) 비율 만큼 나머지 1차 및 2차 권선(430, 450)을 동시에 실시한다. 비율이 3:1인 경우 2 만큼 초기 1차 권선(430)을 진행하고, 초기 1차 권선의 절반 비율 만큼 1차 및 2차 권선(430, 450)을 동시에 권선한다.
즉, 이를 다시 설명하면 n:1의 비율인 경우, n-1 만큼 먼저 초기 1차 권선(430)을 실시하고, 나머지 1 만큼 1차 및 2차 권선(430, 450)을 동시에 실시한다. 이 경우, 1차 권선(430)과 2차 권선(450)은 1:1 비율로 권선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1차 권선(430)과 2차 권선(450)이 N:1 또는 1:M 비율로 권선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초기 1차 권선(430)의 권선 비율이 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권선 비율이 2:1인 경우에는 초기 1차 권선(430)을 진행하지 않고, 2:1 비율로 1차 권선(430)과 2차 권선(450)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권선 비율이 3:1인 경우에는 초기 1차 권선(430)을 1 만큼 진행한 다음 2:1 비율로 1차 및 2차 권선(430, 450)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권선 비율이 n:1이고, 1차 및 2차 코일(430, 450)의 권선 비율이 K:1인 경우, n-K번 먼저 초기 1차 권선(430)을 진행하고, 나머지 K:1의 비율로 1차 및 2차 권선(430, 450)을 동시에 실시한다. 여기서, 권선 비율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성능이 우수한 코일 배선을 사용함으로 인해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Polyamid) 계통의 삼중 강화 절연 전선을 사용하여 4kV이상의 절연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앞서 실시예의 설명에서와 같이 1차측 권선(430)과 2차측 권선(450) 간에 절연층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1차측 권선(430)과 2차측 권선(450) 간을 밀착시킴으로 인해 누설을 줄여 트랜스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누설 에너지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이 주변 부품 손상을 주는 것을 줄일 수 있어 소자 선택의 여유가 발생한다.
즉, 도 4는 도 6에 따른 종래 트랜스와 본원발명에 따른 트랜스에 따라 스위칭부에 전달되는 전압 패턴을 검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의 종래의 트랜스의 경우에는 누설 자속으로 인하여 (a) 도면과 같이 높은 돌출 전압이 발생하고(W1), 이로인해 스위칭부에 손상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본원발명의 경우 (b) 도면과 같이 그 돌출 전압이 현격하게 감소한 것(W2)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누설 에너지 저감으로 인해 EMI가 저감되고, 이에 따른 효율 증대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비교예와 같이 다수 적층시 추가되는 증간 절연층을 생략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트랜스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측과 2차측 권선(430, 450)의 밀착이 높아진 트랜스는 그 출력 전압이 안정화된다. 안정화된 트랜스의 출력 전원(전압)은 패드백부를 통해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피드백부(500)는 트랜스(400)의 출력을 검출하는 검출 모듈과, 검출 모듈의 검출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에 제공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한다.
트랜스 출력은 2차 정류부(600)에 제공되고, 2차 정류부(600)에 의해 정류되어 출력 필터부(700)에 제공된다.
출력 필터부(700)는 최종 정류된 전압을 LED 모듈에 제공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원발명의 컨버터는 안정적인 전압을 LED 모듈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예들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입력 필터부 200 : 1차 정류부
300 : 스위칭부 400 : 트랜스
410 : 코어 420 : 보빈
430 : 1차 권선 440 : 제 1 절연층
450 : 2차 권선 460 : 제 2 절연층
500 : 피드백부 600 : 2차 정류부
700 : 출력 필터부

Claims (10)

  1. 외부 상용 전원을 LED 모듈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컨버터에 있어서,
    외부 전원과 연결된 입력 필터부;
    외부 전원의 전파 정류를 실시하는 1차 정류부;
    제어 신호에 따라 정류된 전압에 대한 스위칭을 실사하는 스위칭부;
    스위칭된 전압을 권선비에 따라 변압하여 출력하는 트랜스;
    상기 트랜스 출력을 검출하여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피드백부;
    상기 트랜스 출력을 정류하는 2차 정류부; 및
    2차 정류된 전압을 필터링하여 LED 모듈에 전달하는 출력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는 코어와, 코어를 감싸는 보빈과, 보빈으로 감싸인 코어 둘레에 1차 및 2차 코일을 동시에 권선하되, 권선 비율에 따라 권선을 실시하되,
    권선 비율이 n:1이고, 1차 및 2차 코일의 권선 비율이 K:1인 경우, n-K번 먼저 초기 1차 권선을 진행하고, 나머지 K:1의 비율로 1차 및 2차 권선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초기 1차 권선과 K:1 비율의 1차 및 2차 권선 사이에 절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는 코어와, 코어를 감싸는 보빈과, 보빈으로 감싸인 코어 둘레에 권선된 초기 1차 권선과, 초기 설정된 1차 권선과의 비율에 따라 1차 권선과 함께 코어 둘레를 권선하는 2차 권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1차 권선을 초기 설정 비율의 1/4 만큼 권선하고, 초기 설정된 1차 권선과의 비율에 따라 1차 권선과 함께 코어 둘레를 권선하는 2차 권선을 초기 설정 비율의 1/2 만큼 권선한 다음, 1차 권선을 초기 설정 비율의 1/4 만큼 다시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는 코어와, 코어를 감싸는 보빈과, 보빈으로 감싸인 코어 둘레에 권선된 초기 1차 권선과, 초기 1차 권선을 감싸는 제 1 절연층과, 제 1 절연층 둘레에 동일 비율로 동시에 밀착 권선된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비율차에 해당하는 만큼 초기 1차 권선을 실시하고, 나머지 비율 만큼의 1차 및 2차 권선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9. 제1항, 제5항 및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은 폴리아미드 계통의 피복으로 절연된 삼중 강화 절연 전선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피드백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FET 소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KR1020150120139A 2015-08-26 2015-08-26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KR101705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139A KR101705062B1 (ko) 2015-08-26 2015-08-26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139A KR101705062B1 (ko) 2015-08-26 2015-08-26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062B1 true KR101705062B1 (ko) 2017-02-10

Family

ID=5812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139A KR101705062B1 (ko) 2015-08-26 2015-08-26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06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2589A (ja) * 2004-07-15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ランス
KR100812289B1 (ko) 2006-08-30 2008-03-13 주식회사 운영 통전 표시 램프가 장착된 단자대를 구비한 안전 트랜스포머
KR20120006601U (ko) * 2011-03-17 2012-09-26 비피솔루션(주) Led 가로등시스템의 방열구조
KR101214337B1 (ko) 2011-07-20 2012-12-20 부전전자 주식회사 트랜스포머의 코일 권선 방법과 이를 적용한 트랜스포머
JP2013520768A (ja) * 2010-02-23 2013-06-06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熱管理システムを有する照明システム
KR20130120136A (ko) * 2012-04-25 2013-11-04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항해등용 전원공급장치
KR20140097850A (ko) 2013-01-30 2014-08-07 주식회사 씨피엔텍 Led 램프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2589A (ja) * 2004-07-15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ランス
KR100812289B1 (ko) 2006-08-30 2008-03-13 주식회사 운영 통전 표시 램프가 장착된 단자대를 구비한 안전 트랜스포머
JP2013520768A (ja) * 2010-02-23 2013-06-06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熱管理システムを有する照明システム
KR20120006601U (ko) * 2011-03-17 2012-09-26 비피솔루션(주) Led 가로등시스템의 방열구조
KR101214337B1 (ko) 2011-07-20 2012-12-20 부전전자 주식회사 트랜스포머의 코일 권선 방법과 이를 적용한 트랜스포머
KR20130120136A (ko) * 2012-04-25 2013-11-04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항해등용 전원공급장치
KR20140097850A (ko) 2013-01-30 2014-08-07 주식회사 씨피엔텍 Led 램프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6795B2 (en)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N101707121B (zh) 具有分裂初级绕组的变压器
TWI536709B (zh) 電源系統及供電方法
CN110268613B (zh) 绝缘电源以及电力变换装置
US9343970B2 (en) Converter and method for reducing a voltage of node thereof
EP2639952A2 (en) Power converter and integrated DC choke therefor
US20160164343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US20120119676A1 (en) Flyback power converter with divided energy transfer element
US10958102B2 (en) Electromagnetic-inductive power supply apparatus
US11587718B2 (en) Integrated transformer and power converter
WO2015016146A1 (ja) ゲート電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遮断器
KR20170084981A (ko) 선형 자기 코어 구성을 포함하는 멀티펄스 전자기 장치
JP5300337B2 (ja) 電源装置及び照明器具
KR101604325B1 (ko) 변압기와 이를 포함하는 고전압 전원장치
KR101216752B1 (ko)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하는 플라이백 컨버터
KR101705062B1 (ko)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US8395469B2 (en) Multi-phase transformer
US20140376279A1 (en) Power estimation device using coaxial winding transformer
KR100980406B1 (ko) 멀티 피드백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교류-직류 컨버터
CN111668000B (zh) 强化绝缘变压器以及其设计方法
CN208690086U (zh) 绕组结构与磁性元件
CN106452121A (zh) 一种电动振动台可调励磁电源
US20220410738A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CN214674872U (zh) 一种应用于poe电源的dc输出端传导滤波电路
KR101454486B1 (ko) 다중 출력 전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