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869B1 - 자기 스케일 - Google Patents

자기 스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869B1
KR101213869B1 KR1020060028781A KR20060028781A KR101213869B1 KR 101213869 B1 KR101213869 B1 KR 101213869B1 KR 1020060028781 A KR1020060028781 A KR 1020060028781A KR 20060028781 A KR20060028781 A KR 20060028781A KR 101213869 B1 KR101213869 B1 KR 101213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ipe
pressing member
pressing
magne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550A (ko
Inventor
마사유키 시바타
히데오 마에지마
오사무 오치아이
유지 나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마그네스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마그네스케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마그네스케일
Publication of KR20060105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20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means for transferring 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 G01D2205/40Position sensors comprising 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or redirecting magnetic flu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성 부재를 확실하게 보호하고 내구성을 향상하는데 유리한 자기 스케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 수단에 있어서, 자기 스케일(10)은, 파이프재(20)와, 자성 부재(30)와, 누름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파이프재(20)는, 단면이 원통형상을 나타내는 파이프재(20)로 형성되고, 자성 부재(30)의 자력에 자성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자성 부재(30)는,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재시켜 마련되어 있다. 자성 부재(30)는, 착자 가능하고, 그 연재 방향에 따라 N극과 S극이 교대로 일정한 피치로 착자됨에 의해 자기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삽입되고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을 밀착면(32) 방향으로 꽉 눌러서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킨 상태로 지지한다.
자기 스케일

Description

자기 스케일{Magnetic Scale}
도 1(A)는 제 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B)는 (A)의 B화살로 본 도면.
도 2(A)는 제 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을 이용한 검출 헤드 조립 타입의 위치 검출 장치(100)의 구성도, (B)는 제 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을 이용한 세퍼레이트 타입의 위치 검출 장치(100)의 구성도.
도 3(A)는 제 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B)는 제 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치구의 단면도.
도 4(A)는 제 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로서, 튜브를 팽창시키지 않은 상태, (B)는 제 8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도 5(A)는 제 4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B)는 제 4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누름 부재(40)의 사시도.
도 6은 제 5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도 7(A)는 제 6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B)는 제 7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C)는 제 8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도 8(A)는 제 9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B)는 제 10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C)는 제 1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도 9는 제 1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B)는 제 1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C)는 제 14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D)는 제 15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도 10(A)는 제 16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B)는 제 17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도 11(A)는 제 18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을 이용한 위치 검출 장치(100)의 구성도, (B)는 (A)의 단면도.
도 12(A)는 제 19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을 이용한 위치 검출 장치(100)의 구성도, (B)는 (A)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자기 스케일 20: 파이프재 30: 자성 부재 32: 밀착면 34: 배면 40: 누름 부재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위치 검출에 이용되는 자기(磁氣) 스케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프린터의 인자(印字) 헤드의 위치 검출을 행하기 위한 위치 검출 장치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즉, 이 위치 검출 장치는, 인자 헤드를 가이드하는 축형상(軸狀)의 가이드 샤프트의 외주면에 가이드 샤프트의 길이 방향에 따라 마련한 자기(磁氣) 눈금을 구비한 자기 스케일과, 인자 헤드와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자기 눈금의 자계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위치 검출 장치에서는, 상기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가이드 샤프트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인자 헤드의 위치를 얻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기 스케일을 이용한 위치 검출 장치는, 위치 검출이 필요한 여러가지의 공작 기계나 프린터, 자동 기계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 특개소62-226007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위치 검출 장치에서는, 자기 스케일의 자성 부재가 외방으로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공작 기계 등에 부착한 경우에, 자성 부재에 물건이 부딪치는 등으로 자성 부재가 손상되거나, 또는, 자성 부재에 절삭액이 부착하고 자성 부재가 열화되거나 하는 등이 우려되고, 자기 스케일의 내구성을 확보하는데 불이익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자성 부재를 확실하게 보호하고 내구성을 향상하는데 유리한 자기 스케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자기 스케일은, 파이프재와, 띠형상(strip-shaped)을 나타내고 두께 방향의 한쪽의 면이 상기 파이프재의 내면에 밀착 가능한 밀착면으로서 형성되고 두께 방향의 다른쪽의 면이 배면으로 되어 직선형상으로 연재되고 그 연재 방향을 상기 파이프재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시켜서 상기 파이프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그 연재 방향에 따라 N극과 S극이 교대로 착자된 자기 눈금이 형성된 자성 부재와, 상기 파이프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배면을 상기 밀착면 방향으로 꽉 눌러서 상기 밀착면을 상기 파이프재의 내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누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 눈금이 형성된 자성 부재를 파이프재의 내부에 마련함과 함께, 누름 부재에 의해 자성 부재의 밀착면을 파이프재의 내면에 밀착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기 스케일에 의하면, 자성 부재를 파이프재에 의해 보호할 수 있고, 자성 부재에 물건이 부딪쳐 손상되거나, 자성 부재에 절삭액이 부착하여 자성 부재가 열화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자기 스케일의 내구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누름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자기 스케일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제 1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1(B)는 제 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B)는 (A)의 B화살로 본 도면이다.
도 2(A)는 제 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을 이용한 위치 검출 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검출 장치(100)는, 자기 스케일(10)과, 자기 스케일(10)에 의해 그 연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검출 헤드(102)를 구비하고 있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스케일(10)은, 파이프재(20)와, 자성 부재(30)와, 누름 부재(40)와, 받이 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파이프재(20)는 단면(斷面)이 원통의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자성 부재(30)의 자력에 자성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이프재(20)의 재료는, 비자성 재료인 스테인리스 SUS304(JIS)가 사용된다. 또한, 파이프재(20)의 재료로서는 자성 부재(30)의 자력에 자성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약한 자성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제 2의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서도 파이프재(20)의 재료는 이 제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자성 부재(30)는, 단면이 원호의 띠형상(strip-shaped)을 나타내고 두께 방향의 한쪽의 면이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 가능한 밀착면(32)으로서 형성되고, 두께 방향의 다른쪽의 면이 배면(34)으로서 형성되고, 폭방향의 양단은 단면(端面)(36)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자성 부재(30)는, 직선형상으로 연재되고 그 연재 방향을 파이프재(20)의 길 이 방향으로 평행시켜서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삽입되고 그 연재 방향에 따라 N극과 S극이 교대로 착자된 자기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자성 부재(30)는, 착자 가능한 재료로서, 그 연재 방향에 따라 N극과 S극이 교대로 일정한 피치로 착자됨에 의해 자기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자성 부재(30)에는, 그 연재 방향에 따라 N극과 S극이 교대로 변화하는 주기적 신호를 포함하는 자기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환언하면, 자성 부재(30)에는, 그 연재 방향에 따라 N극과 S극이 교대로 변화하는 주기적인 자기 패턴이 기록되어 있다.
자성 부재(30)는,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재료로서의 고무 자석으로 형성되어 있다.
받이 부재(50)는,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의 전역(全域)을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받이 부재(50)는, 자성 부재(30)의 배면(34)에 부딪침이 가능한 원호부(5002)와, 자성 부재(30)의 양단면(36)에 부딪침이 가능한 단면부(5004)를 갖고 있다.
받이 부재(50)는, 자성 부재(30)의 자력이 유효하게 발휘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받이 부재(50)를 구성하는 재료는, 자성 부재(30)의 자계 강도를 높임에 의해 파이프재(20)의 외면에서의 표면 자속밀도를 높이는 재료이고, 이와 같은 재료로서, 강판 등과 같은 자성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의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서도 받이 부재(50)의 재료는 이 제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받이 부재(50)는, 파이프재(20)에의 삽입 전에, 자성 부재(30)에 미리 조립하여도 좋고, 또는, 파이프재(20)에의 삽입 후에, 자성 부재(30)에 조립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자성 부재(30)를 파이프재(20)나 받이 부재(50)(또는 제 4의 실시예 이후에 사용된 누름 부재(40))에 조립함에 있어서, 접착제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는지의 여부는 임의이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삽입되고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을 밀착면(32) 방향으로 꽉 눌러서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다.
누름 부재(40)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 부재(30)의 연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고,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의 지름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폭이 좁은 스프링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의 내면(22)의 개략 반부(半部)에 부딪침이 가능한 원호부(4002)와, 원호부(4002)의 양단에 마련되고 받이 부재(50)의 양단의 단면부(5004) 및 단면부(5004) 근처의 원호부(5002)의 부분에 계합(係合)하는 계합부(4004)를 구비하고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자성 부재(30) 및 받이 부재(50)가 배설된 후, 파이프재(20)의 내부에 배설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원호부(4002)의 그 연재 방향의 중앙부가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탄접(彈接)하고, 양단의 계합부(4004)가 받이 부재(50)의 단면부(5004) 및 단면부(5004) 근처의 원호부(5002)의 부분에 계합하고, 자성 부재(3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자성 부재(30)의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꽉 눌러서 밀착시키고 있다.
자성 부재(30)에 대한 착자, 즉 자기 눈금의 형성은, 전용의 착자 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착자 장치는, 자기 헤드와, 자기 헤드에 구동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자기 헤드로부터 자계를 발생시키는 구동 회로를 갖고 있다.
상기 착자 장치는, 상기 자기 헤드를 자성 부재(30)에 면하게 한 상태에서, 자기 헤드를 자기 부재(3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자기 헤드로부터 자성 부재(30)에 자계를 줌으로써 자성 부재(30)에 일정 피치의 N극과 S극를 착자하고 자기 눈금을 형성한다.
또한, 자성 부재(30)에 대한 자기 눈금의 형성은, 자성 부재(30)를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취착(取着)한 후, 파이프재(20)의 파이프재(20)의 외면에 자기 헤드를 면하게 하고, 파이프재(20)를 통과하여 상기 자계를 줌에 의해 행하여도 좋고, 자성 부재(30)를 파이프재(20)에 취착하기 전에 자성 부재(30) 단체(單體)에 자기 헤드를 직접 면하게 하여 행하여도 좋다.
다만, 자성 부재(30)를 파이프재(20)의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취착하고 나서 자기 눈금을 형성한 경우에는, 자성 부재(30)의 내면(22)에 대한 부착 오차나, 파이프재(20)의 변형이 자성 부재(30)의 N극과 S극의 피치에 주는 영향을 제외할 수 있기 때문에, 자성 부재(30)를 단체로 착자하여 자기 눈금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자기 눈금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고 검출 헤드(102)(도 2 참조)에 의해 검출 신호를 정밀도 좋게 검출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자성 부재(30)의 자력이 유효하게 발휘되는 재료로 형성된 내측 파이프재(30)를 이용한 경우에는, 자성 부재(30)를 착자할 때, 이와 같은 내측 파이프재(3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교하여 자성 부재(30)을 강하게 착자할 수 있기 때문에, 자성 부재(30)의 자계 강도를 높임에 의해 파이프재(20)의 외면에 있어서의 표면 자속밀도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 헤드(102)는, 슬라이드 베이스(104)와, 자기 센서(106)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드 베이스(104)는, 파이프재(20)가 삽통되는 축받이를 가지며, 그 축받이를 통하여 파이프재(20)의 연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자기 센서(106)는, 슬라이드 베이스(104)에 조립되고, 자기 스케일(10)의 자성 부재(3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자기 센서(106)는, 자계를 검출하여 자계의 강도에 응한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 저항 소자(MR 센서)가 이용되고 있다. 자기 저항 소자는, 그 자기 저항 소자에 주어지는 자계의 변화에 응하여 전기 저항이 변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검출 헤드(102)가 파이프재(20)의 연재 방향에 따라 이동하면서 자기 눈금을 검출하면, 자기 센서(106)로부터 주기적으로 증감하는(예를 들면 정현파 형상으로 변화하는) 검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출 신호를 자기 센서(106)로부터 리드선(108)을 통하여 종래 공 지의 검출 회로에 공급함으로써 이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 헤드(102)의 자기 스케일(10)에 대한 상대적 변위량이 검출된다.
본 실시예의 자기 스케일(10)에 의하면, 자기 눈금이 형성된 자성 부재(30)를 파이프재(20)의 내부에 마련함과 함께, 누름 부재(40)에 의해 자성 부재(30)의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자기 스케일(10)에 의하면, 자기 눈금이 형성된 자성 부재(30)가 파이프재(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자성 부재(30)를 파이프재(20)에 의해 보호할 수 있고, 자성 부재(30)에 물건이 부딪쳐 손상되거나, 자성 부재(30)에 절삭액이 부착하여 자성 부재(30)가 열화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자기 스케일(10)의 내구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누름 부재(40)를 이용함으로써 자기 스케일(10)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음과 함께, 자성 부재(30)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을 효율적으로 파이프재(20)의 외면을 향하여 방사시키고 상기 외면에서의 표면 자속밀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자기 스케일(10)을 위치 검출 장치(100)에 이용한 경우에, 검출 헤드(102)의 자기 센서(106)에서 검출하는 검출 신호의 전압 레벨을 확보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자기 스케일(10)에 의하면,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받이 부재(50)에 의해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의 전역을 덮음에 의해, 자성 부재(30)의 자계 강도를 높이고 파이프재(20)의 외면에서의 표면 자속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자기 스케일(10)을 위치 검출 장치(100)에 이용한 경우에, 검출 헤드(102)의 자기 센서(106)에서 검출한 검출 신호의 전압 레벨을 확보하는데 보다 유리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위치 검출 장치(100)로서 자기 스케일(10)을 이용한 경우에는, 자성 부재(30)가 파이프재(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재(20)를, 검출 헤드(102)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안내 부재로서 겸용할 수 있고, 안내 부재를 별도로 마련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비용을 삭감할 수 있고 소형화를 도모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자기 스케일(10)은, 도 2(A)와 같이, 검출 헤드(102)가 파이프재(20)에 조립된 조립 타입의 위치 검출 장치(100)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 헤드(102)가 파이프재(20)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지 않고 파이프재(20)로부터 분리하여 마련되는, 이른바 세퍼레이트 타입의 위치 검출 장치(100)에도 적용 가능하다.
(제 2의 실시예)
다음에 제 2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3(A)는 제 2의 실시예에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B)는 누름 부재(40)와 치구(60)의 설명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 1의 실시예와 동일한 개소, 부재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제 2의 실시예에서는, 누름 부재(40)의 형상만이 제 1의 실시예와 다르고, 다른 구성은 제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즉, 누름 부재(40)는, 받이 부재(50)의 원호부(5002)에 부딪침이 가능한 원 호부(4010)와, 원호부(4010)의 양단에서 연재되고 그들의 선부(先部)가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부딪침이 가능한 2개의 암(arm)부(4012)를 구비하고 있다.
누름 부재(40)는, 자성 부재(30)의 연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파이프재(20)의 지름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폭이 좁은 스프링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자성 부재(30) 및 받이 부재(50)가 배설된 후, 파이프재(20)의 내부에 배설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암부(4012)의 선부(4012A)가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탄접하고, 그 반력에 의해 원호부(4010)가 받이 부재(50)의 원호부(5002)에 탄접하고, 자성 부재(3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자성 부재(30)의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제 2의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1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암부(4012)의 선부(4012A)에 조편(爪片)(4014)을 마련하고, 그들 2개의 암부(4012)의 조편(4014)이 수용되는 수용 홈(6002)을 갖는 치구(60)를 마련하고, 누름 부재(40)의 2개의 암부(4012)가 서로 근접하도록 원호부(4010)를 만곡시키고, 2개의 암부(4012)의 조편(4014)을 수용 홈(6002)에 수용시키면, 누름 부재(40)는 축경(縮徑)하여 그 단면(斷面)을 구성하는 윤곽이 작아진다.
따라서 누름 부재(40)의 파이프재(20)의 내부에의 조립시에, 치구(60)에 의 해 누름 부재(40)를 축경하여 두고, 파이프재(20)의 내부에의 조립 후, 조편(4014)으로부터 치구(60)를 떼어내면, 누름 부재(40)는 그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려고 하여, 원호부(4010)에 의해 자성 부재(30)의 외면이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한다. 즉, 치구(60)를 이용함으로써 누름 부재(40)의 파이프재(20) 내부에의 조립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제 3의 실시예)
다음에 제 3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4(A), (B)는 제 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이다.
제 3의 실시예에서는, 누름 부재(40) 및 받이 부재(50)의 구성이 제 1의 실시예와 다르다.
받이 부재(50)는, 파이프재(20)의 내부에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재하는 균일한 단면을 갖는 기둥형상(柱狀)을 나타내고, 그 길이 방향을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시켜서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삽입된다.
받이 부재(50)는, 제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의 전역을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받이 부재(50)는, 파이프재(20)의 내면(22)보다 약간 작은 반경으로 형성된 양측의 원통면부(5010)와, 양측의 원통면부(5010)의 한쪽의 단부 사이에 마련된 제 1 오목부(5012)와, 양측의 원통면부(5010)의 다른쪽의 단부 사이에 마련된 제 2 오목부(5014)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 1 오목부(5012)는, 자성 부재(30)의 배면(34)에 부딪침이 가능한 원호부(5002)와, 자성 부재(30)의 양단면(36)에 부딪침이 가능한 단면부(5004)를 갖고 있다.
받이 부재(50)는, 제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성 부재(30)의 자력이 유효하게 발휘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제 1의 실시예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성 부재(30)의 자계 강도를 높이는데 유리하게 되어 있고, 이와 같은 재료로서, 철 등과 같은 자성체를 이용할 수 있다.
받이 부재(50)는, 제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파이프재(20)에의 삽입 전에, 제 1 오목부(5012)에 자성 부재(30)를 미리 조립하여도 좋고, 또는, 자성 부재(30)의 파이프재(20) 에의 삽입 후에, 받이 부재(50)를 자성 부재(30)에 조립하도록 하여도 좋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재하는 확축(擴縮) 가능한 튜브(4020)와, 튜브(4020)에 충전된 합성 수지(4022)로 구성되어 있다.
자성 부재(30)의 파이프재(20)의 내부에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자성 부재(30) 및 받이 부재(50)를 삽입한다.
다음에, 파이프재(20)의 내면(22)과 제 2 오목부(5014)로 형성된 공간에 튜브(4020)를 삽입한다.
그 후, 튜브(4020)에 합성 수지(4022)를 충전하고, 튜브(4020)를 팽창시켜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이 부재(50)를 제 1 오목부(5012) 방향으로 꽉 밀고, 이로써 원호부(5002)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을 꽉 밀어서, 자성 부 재(3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자성 부재(30)의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튜브(4020)에의 합성 수지(4022)의 주입을 멈추고, 합성 수지(4022)를 경화시키고, 자성 부재(30)의 파이프재(20)의 내부에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제 3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제 4의 실시예)
다음에 제 4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5(A)는 제 4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 (B)는 제 4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누름 부재(40)의 사시도이다.
제 4의 실시예에서는, 누름 부재(40)의 구성이 제 1의 실시예와 다르고, 또한, 받이 부재(50)가 생략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자성 부재(30)의 자력에 자성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경량의 비자성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의 내부에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균일한 단면을 갖는 기둥형상을 나타내고, 그 길이 방향을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시켜서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삽입된다.
누름 부재(40)는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의 전역을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3개의 원통면부(4020)를 구비하고 있다. 각 원통면부(4020)는, 파이프재(20)의 내부에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며 또한 덜컹거리지 않게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수용되는 반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3개의 원통면부(4020)로 끼워지는 3개의 오목부중, 하나의 오목부가 제 1 오목부(4022)로서 형성되고, 나머지 2개의 오목부가 제 2 오목부(4024)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누름 부재(40)의 중심축에 따라 중심 구멍(4026)이 형성되고, 또한, 중심 구멍(4026)의 연재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개소에 중심 구멍(4026)과 제 2 오목부(4024)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4028)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오목부(4022)는, 자성 부재(30)의 배면(34)에 부딪침이 가능한 원호부(4030)와, 자성 부재(30)의 양단면(36)에 부딪침이 가능한 단면부(4032)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누름 부재(40)가 파이프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원호부(4030)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을 꽉 누르고, 자성 부재(3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자성 부재(30)의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키는 치수로 제 1 오목부(4022)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에의 삽입 전에, 제 1 오목부(4022)에 자성 부재(30)를 미리 조립하여도 좋고, 또는, 자성 부재(30)의 파이프재(20)에의 삽입 후에, 누름 부재(40)를 자성 부재(30)에 조립하도록 하여도 좋다.
자성 부재(30)의 파이프재(20)의 내부에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자성 부재(30) 및 누름 부재(40)를 삽입한다.
이로써, 원호부(4030)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을 꽉 누르고, 자성 부재(30)의 전 길이에 걸쳐서 자성 부재(30)의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누름 부재(40)의 중심 구멍(4026)에 접착제를 주입하면, 접착제는 중심 구멍(4026)으로부터 각 연통 구멍(4028)을 통과하여 제 2 오목부(4024)와 파이프재(20)의 내면(22)의 사이의 공간에 충전된다.
상기 충전된 접착제가 경화됨에 의해,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에 접착되어 회전 불능하게 고정되고, 자성 부재(30)의 파이프재(20)의 내부에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제 4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제 5의 실시예)
다음에 제 5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제 5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이다.
제 5의 실시예에서는, 누름 부재(40) 및 받이 부재(50)의 구성이 제 1의 실시예와 다르다.
받이 부재(50)는, 파이프재(20)의 내부에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재하는 균일한 단면을 갖는 기둥형상을 나타내고, 그 길이 방향을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시켜서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삽입된다.
받이 부재(50)는, 제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의 전역을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받이 부재(50)는, 파이프재(20)의 내면(22)보다 약간 작은 반경으로 형성된 양측의 원통면부(5040)와, 양측의 원통면부(5040)의 한쪽의 단부 사이에 마련된 오목부(5042)와, 양측의 원통면부(5040)의 다른쪽의 단부 사이에 마련된 평탄면(5044)을 갖고 있다.
그리고, 오목부(5042)는, 자성 부재(30)의 배면(34)에 부딪침이 가능한 원호부(5002)와, 자성 부재(30)의 양단면(36)에 부딪침이 가능한 단면부(5004)를 갖고 있다.
받이 부재(50)는, 제 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의 실시예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성 부재(30)의 자계 강도를 높이는데 유리하게 되어 있고, 이와 같은 재료로 하여, 철 등과 같은 자성체를 이용할 수 있다.
받이 부재(50)는, 제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파이프재(20)에의 삽입 전에, 오목부(5042)에 자성 부재(30)를 미리 조립하여도 좋고, 또는, 자성 부재(30)의 파이프재(20)에의 삽입 후에, 받이 부재(50)를 자성 부재(30)에 조립하도록 하여도 좋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삽입된 받이 부재(50)가 평탄면(5044)과 이 평탄면(5044)에 면하는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서 형성되는 공간 에 충전되는 발포성 재료(4040)로 구성되어 있다.
자성 부재(30)의 파이프재(20)의 내부에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자성 부재(30) 및 받이 부재(50)를 삽입한다.
다음에, 받이 부재(50)의 평탄면(5044)과 파이프재(20)의 내면(22)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발포성 재료(4040)를 충전하고, 이 발포성 재료(4040)를 발포시켜 팽창시키고, 평탄면(5044)과 파이프재(20)의 내면(22)으로 형성된 공간의 압력을 높여서 받이 부재(50)를 평탄면(5044)으로부터 오목부(5042) 방향으로 꽉 누르고, 이로써 원호부(5002)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을 꽉 누르고, 자성 부재(3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자성 부재(30)의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켜, 자성 부재(30)의 파이프재(20)의 내부에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제 5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제 6의 실시예)
다음에 제 6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7(A)는 제 6의 실시예에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이다.
제 6의 실시예에서는, 누름 부재(40)의 구성이 제 1의 실시예와 다르고, 또한, 받이 부재(50)가 생략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경량의 재료로 균일한 속이 찬(中實) 원형 단면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부재로서, 자성 부재(30)의 자력에 자성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재료 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경량의 비자성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그 길이 방향을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시켜서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삽입된다.
누름 부재(40)는, 자성 부재(30)와 함께 파이프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외면부(4040)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의 전역을 덮음과 함께, 외면부(4040)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을 꽉 누르고, 자성 부재(3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자성 부재(30)의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키는 반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에의 삽입 전에, 외면부(4040)에 자성 부재(30)를 미리 조립하여도 좋고, 또는, 자성 부재(30)의 파이프재(20)에의 삽입 후에, 누름 부재(40)를 자성 부재(30)에 조립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제 6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제 7의 실시예)
다음에 제 7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7(B)는 제 7의 실시예에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이다.
제 7의 실시예는 제 6의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누름 부재(40)의 형상이 제 6의 실시예와 다르다.
누름 부재(40)는, 경량의 재료로 균일한 속이 찬 단면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부재이고, 자성 부재(30)의 자력에 자성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경량의 비자성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누름 부재(40)는, 외면부(4040)과 오목부(4042)를 구비하고, 그들 외면부(4040)와 오목부(4042)는 누름 부재(4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재되어 있다.
외면부(4040)는, 그 반경이 파이프재(20)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042)는, 자성 부재(30)의 배면(34)에 부딪침이 가능한 원호부(4044)와, 자성 부재(30)의 양단면(36)에 부딪침이 가능한 단면부(4046)를 가지며, 원호부(4044)가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의 전역을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 부재(40)가 자성 부재(30)와 함께 파이프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원호부(4044)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을 꽉 누르고, 자성 부재(3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자성 부재(30)의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키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에의 삽입 전에, 오목부(4042)에 자성 부재(30)를 미리 조립하여도 좋고, 또는, 자성 부재(30)의 파이프재(20)에의 삽입 후에, 누름 부재(40)를 자성 부재(30)에 조립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제 7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제 8의 실시예)
다음에 제 8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7(C)는 제 8의 실시예에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이다.
제 8의 실시예는 제 6의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받이 부재(50)를 마련한 점이 제 6의 실시예와 다르다.
받이 부재(50)는,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의 전역을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받이 부재(50)는, 자성 부재(30)의 배면(34)에 부딪침이 가능한 원호부(5002)와, 자성 부재(30)의 양단면(36)에 부딪침이 가능한 단면부(5004)를 갖고 있다.
받이 부재(50)는, 자성 부재(30)의 자력이 유효하게 발휘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받이 부재(50)를 구성하는 재료는, 자성 부재(30)의 자계 강도를 높임에 의해 파이프재(20)의 외면에서의 표면 자속밀도를 높이는 재료이고, 이와 같은 재료로서, 강판 등과 같은 자성체를 이용할 수 있다.
받이 부재(50)는, 파이프재(20)에의 삽입 전에, 자성 부재(30)에 미리 조립하여도 좋고, 또는, 파이프재(20)에의 삽입 후에, 자성 부재(30)에 조립하도록 하여도 좋다.
누름 부재(40)는, 제 6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경량의 재료로 균일한 속이 찬 원형 단면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부재이고, 누름 부재(40)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량의 비자성 재료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을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으로 평 행시켜서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누름 부재(40)가 자성 부재(30) 및 받이 부재(50)와 함께 파이프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누름 부재(40)의 외면부(4040)가 받이 부재(50)의 원호부(5002)의 배면을 꽉 누르고, 이로써 자성 부재(3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자성 부재(30)의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8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제 9의 실시예)
다음에 제 9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8(A)는 제 9의 실시예에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이다.
제 9의 실시예에서는, 파이프재(20)의 형상, 누름 부재(40)의 형상이 제 6의 실시예 태와 다르고, 또한, 받이 부재(50)가 생략되어 있다.
파이프재(20)는, 단면이 직사각형 테두리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누름 부재(40)는, 경량의 재료로 균일한 속이 찬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부재이고, 자성 부재(30)의 자력에 자성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경량의 비자성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폭보다 약간 작은 치수의 폭과, 파이프재(2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높이보다 작은 치수의 높이를 가지며, 그 길이 방향을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으로 평 행시켜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가 파이프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파이프재(20)의 내부 공간에서 누름 부재(40)의 윗면(4050)과 파이프재(20)의 한 변의 내면(22) 사이에 단면이 옆으로 긴 공간이 형성되고, 자성 부재(30)는 이 옆으로 긴 공간에 배치된다.
자성 부재(30)는, 단면이 직사각형의 띠형상을 나타내고, 높이와, 이 높이보다 큰 치수로 파이프재(2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폭보다 약간 작은 치수의 폭을 갖고 있다.
누름 부재(40)는, 자성 부재(30)와 함께 파이프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윗면(4050)으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의 전역을 덮음과 함께, 윗면(4050)으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을 꽉 누르고, 자성 부재(3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자성 부재(30)의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에의 삽입 전에, 윗면(4050)에 자성 부재(30)를 미리 조립하여도 좋고, 또는, 자성 부재(30)의 파이프재(20)에의 삽입 후에, 누름 부재(40)를 자성 부재(30)에 조립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제 9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제 10의 실시예)
다음에 제 10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8(B)는 제 10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이다.
제 10의 실시예는 제 7의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누름 부재(40)의 형상이 제 7의 실시예와 다르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의 내부에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균일한 단면을 갖는 기둥형상을 나타내고, 그 길이 방향을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시켜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삽입된다.
누름 부재(40)는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의 전역을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경량의 재료로 균일한 단면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부재이고, 자성 부재(30)의 자력에 자성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경량의 비자성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3개의 원통면부(4020)를 구비하고 있다.
3개의 원통면부(4020)로 끼워지는 3개의 오목부중, 하나의 오목부가 제 1 오목부(4022)로서 형성되고, 나머지 2개의 오목부가 제 2 오목부(4024)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오목부(4022)는, 자성 부재(30)의 배면(34)에 부딪침이 가능한 원호부(4030)와, 자성 부재(30)의 양단면(36)에 부딪침이 가능한 단면부(4032)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누름 부재(40)가 자성 부재(30)와 함께 파이프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오목부(4022)에 대향하는 원통면부(4020)가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맞닿으며, 원호부(4030)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을 꽉 누르고, 자성 부재(3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자성 부재(30)의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키는 치수로 누름 부재(40)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에의 삽입 전에, 제 1 오목부(4022)에 자성 부재(30)를 미리 조립하여도 좋고, 또는, 자성 부재(30)의 파이프재(20)에의 삽입 후에, 누름 부재(40)를 자성 부재(30)에 조립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제 10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제 11의 실시예)
다음에 제 11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8(C)는 제 1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이다.
제 11의 실시예는, 제 9의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누름 부재(40)의 형상만이 제 9의 실시예와 다르다.
누름 부재(40)는, 경량의 재료로 균일한 단면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부재이고, 자성 부재(30)의 자력에 자성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경량의 비자성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누름 부재(40)는, 하나의 웨브(4060)와 웨브(4060)의 양단에 각각 마련된 2개의 플랜지(4062)로 이루어지는 H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누름 부재(40)의 각 플랜지(4062)는, 파이프재(2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폭보다 약간 작은 치수의 폭으로 형성되고, 각 플랜지(4062)의 외면(4064) 사이의 치수는, 파이프재(2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높이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되고, 누름 부재(40)는, 그 길이 방향을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시켜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가 파이프재(20)에 삽입되고, 파이프재(20)의 내부 공간에서 누름 부재(40)의 2개의 플랜지(4062)의 한쪽의 플랜지(4062)의 외면(4064)이 파이프재(20)의 1변의 내면(22)에 재치되고, 2개의 플랜지(4062)의 다른쪽의 플랜지(4062)의 외면(4064)과 파이프재(20)의 다른 한 변의 내면(22) 사이에 단면이 옆으로 긴 공간이 형성되고, 자성 부재(30)는 이 옆으로 긴 공간에 배치된다.
자성 부재(30)는, 단면이 직사각형의 띠형상을 나타내고, 높이와, 이 높이보다 큰 치수로 파이프재(2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폭보다 약간 작은 치수의 폭을 갖고 있다.
누름 부재(40)는, 자성 부재(30)와 함께 파이프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다른쪽의 플랜지(4062)의 외면(4064)으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의 전역을 덮음과 함께, 그의 외면(4064)으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을 꽉 누르고, 자성 부재(3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자성 부재(30)의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에의 삽입 전에, 상부 플랜지(4062)의 외면(4064)에 자성 부재(30)를 미리 조립하여도 좋고, 또는, 자성 부재(30)의 파이프 재(20)에의 삽입 후에, 누름 부재(40)를 자성 부재(30)에 조립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제 11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제 12의 실시예)
다음에 제 12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9(A)는 제 1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이다.
제 12의 실시예는, 제 9의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파이프재(20)의 형상, 누름 부재(40)의 형상이 제 9의 실시예와 다르다.
파이프재(20)는, 단면이 직사각형의 테두리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누름 부재(40)는, 경량의 재료로 균일한 속이 찬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부재이고, 자성 부재(30)의 자력에 자성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경량의 비자성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폭보다 약간 작은 치수의 폭과, 파이프재(2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높이보다 작은 치수의 높이를 가지며, 그 길이 방향을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시켜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가 파이프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파이프재(20)의 내부 공간에서 누름 부재(40)의 윗면(4050)과 파이프재(20)의 한 변의 내면(22) 사이에 단면이 옆으로 긴 공간이 형성되고, 자성 부재(30)는 이 옆으로 긴 공간에 배치된다.
자성 부재(30)는, 단면이 직사각형의 띠형상을 나타내고, 높이와, 이 높이보다 큰 치수로 파이프재(2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 직사각형의 폭보다 약간 작은 치수의 폭을 갖고 있다.
누름 부재(40)는, 자성 부재(30)와 함께 파이프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직사각형의 단변을 구성하는 윗면(4050)으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의 전역을 덮음과 함께, 윗면(4050)으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을 꽉 누르고, 자성 부재(3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자성 부재(30)의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에의 삽입 전에, 윗면(4050)에 자성 부재(30)를 미리 조립하여도 좋고, 또는, 자성 부재(30)의 파이프재(20)에의 삽입 후에, 누름 부재(40)를 자성 부재(30)에 조립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제 12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파이프재(20)가 직사각형 테두리형상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자기 스케일(10)은 파이프재(20)의 긴변 방향에서의 높은 강성을 가지며, 따라서 자기 스케일(10)의 용도에 따라서는 이 높은 강성을 이용함으로써 유리해진다.
(제 13의 실시예)
다음에 제 13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9(B)는 제 1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이다.
제 13의 실시예는, 제 12의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파이프재(20)의 형상, 누 름 부재(40)의 형상이 제 12의 실시예와 다르다.
파이프재(20)는, 단면이 세로 길이의 장원(長圓) 테두리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누름 부재(40)는, 경량의 재료로 균일하게 속이 찬 장원형 단면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부재이고, 자성 부재(30)의 자력에 자성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경량의 비자성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장원의 폭보다 약간 작은 치수의 폭과, 파이프재(2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장원의 높이보다 작은 치수의 높이를 가지며, 그 길이 방향을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시켜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가 파이프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파이프재(20)의 내부 공간에서 누름 부재(40)의 윗면(4050)과 파이프재(20)의 원호부(2050)의 내면(22) 사이에 단면이 옆으로 긴 초생달형(三日月形) 공간이 형성되고, 자성 부재(30)는 이 옆으로 긴 공간에 배치된다.
자성 부재(30)는, 단면이 초생달형의 띠형상을 나타내고, 높이와, 이 높이보다 큰 치수로 파이프재(2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장원의 폭보다 약간 작은 치수의 폭을 가지고 활모양(弓形)으로 형성되고, 폭방향의 중앙부의 두께가 가장 크고, 양단에 이름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자성 부재(30)와 함께 파이프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상부를 구성하는 원통면형상의 윗면(4050)으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의 전역을 덮음과 함께, 윗면(4050)으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을 꽉 누르고, 자성 부재(3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자성 부재(30)의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에의 삽입 전에, 윗면(4050)에 자성 부재(30)를 미리 조립하여도 좋고, 또는, 자성 부재(30)의 파이프재(20)에의 삽입 후에, 누름 부재(40)를 자성 부재(30)에 조립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제 13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파이프재(20)가 장원형 테두리형상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자기 스케일(10)은 파이프재(20)의 장원 방향에서의 높은 강성을 가지며, 따라서 자기 스케일(10)의 용도에 따라서는 이 높은 강성을 이용함으로써 유리해진다.
(제 14의 실시예)
다음에 제 14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9(C)는 제 14의 실시예에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이다.
제 14의 실시예는, 제 13의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파이프재(20)의 형상, 누름 부재(40)의 형상이 제 13의 실시예와 다르다.
파이프재(20)는, 단면이 상하의 원통부(2060)와, 그들 원통부(2060)를 오목형상의 만곡면으로 접속하는 세폭부(細幅部)(2062)를 가지며, 상하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경량의 재료로 균일한 속이 찬 단면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부재이고, 자성 부재(30)의 자력에 자성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경량의 비자성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한쪽의 원통부(2060)에 삽입되는 한쪽의 원주부(4070)와, 이 원주부(4070)에 접속하는 만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세폭부(4072)와, 세폭부(4072)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원통부(2060)에 삽입되는 다른쪽의 원주부(4074)를 가지며, 다른 편의 원주부(4074)에는 오목부(4076)가 형성되고,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076)는, 자성 부재(30)의 배면(34)에 부딪침이 가능한 원호부(4078)와, 자성 부재(30)의 양단면(36)에 부딪침이 가능한 단면부(4080)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누름 부재(40)가 자성 부재(30)와 함께 파이프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한쪽의 원주부(4070)가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맞닿고, 오목부(4076)의 원호부(4078)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을 꽉 누르고, 자성 부재(3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자성 부재(30)의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키는 치수로 누름 부재(40)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에의 삽입 전에, 오목부(4076)에 자성 부재(30)를 미리 조립하여도 좋고, 또는, 자성 부재(30)의 파이프재(20)에의 삽입 후에, 누름 부재(40)를 자성 부재(30)에 조립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제 14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 룰 수 있다.
또한, 파이프재(20)가 상하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 스케일(10)은 파이프재(20)의 긴 형상 방향에 있어서의 높은 강성을 가지며, 따라서 자기 스케일(10)의 용도에 따라 상자가 높은 강성을 이용함으로써 유리해진다.
또한, 파이프재(20)의 양측면에서 상하 중간부에 서로 근접한 방향으로 패여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 스케일(10)의 용도에 따라서는 이 오목부을 이용함으로써(예를 들면, 슬라이더 등의 다른 구성 요소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등) 유리해진다.
(제 15의 실시예)
다음에 제 15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9(D)는 제 15의 실시예에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이다.
제 15의 실시예는, 제 12의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파이프재(20)의 형상, 누름 부재(40)의 형상이 제 12의 실시예와 다르다.
파이프재(20)는, 단면이 일부를 노치한 원통부(2070)와, 그 노치된 부분를 폐색하는 평탄부(2072)로 구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경량의 재료로 균일한 속이 찬 단면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부재이고, 자성 부재(30)의 자력에 자성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경량의 비자성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한쪽이 노치되고 원통부(2070)에 삽입된 원주부(4090)와, 상기 노치된 부분에 형성된 평탄부(4092)를 가지며, 그 길이 방향을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시켜서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평탄부(4092)에는 오목부(4094)가 형성되고, 오목부(4094)는, 자성 부재(30)의 배면(34)에 부딪침이 가능한 평탄부(4096)와, 자성 부재(30)의 양단면(36)에 부딪침이 가능한 단면부(4098)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누름 부재(40)가 자성 부재(30)와 함께 파이프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원주부(4090)가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맞닿고, 오목부(4094)의 평탄부(4096)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을 꽉 누르고, 자성 부재(3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자성 부재(30)의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키는 치수로 누름 부재(40)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에의 삽입 전에, 오목부(4094)에 자성 부재(30)를 미리 조립하여도 좋고, 또는, 자성 부재(30)의 파이프재(20)에의 삽입 후에, 누름 부재(40)를 자성 부재(30)에 조립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제 15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제 16의 실시예)
다음에 제 16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A)는 제 16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이다.
제 16의 실시예는, 제 1의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파이프재(20)의 형상, 누름 부재(40)의 형상, 받이 부재(50)의 형상이 제 1의 실시예와 다르다.
파이프재(20)는, 단면이 직사각형의 테두리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자성 부재(30)는 단면이 직사각형의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재치하여 배설되어 있다.
받이 부재(50)는 단면이 직사각형의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파이프재(20)의 내부에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의 전역을 덮도록 마련되고, 배면(34)의 위에 재치하여 배설되어 있다.
받이 부재(50)는, 파이프재(20)에의 삽입 전에, 자성 부재(30)에 미리 조립하여도 좋고, 또는, 파이프재(20)에의 삽입 후에, 자성 부재(30)에 조립하도록 하여도 좋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의 내부에서 받이 부재(50)의 배면에 부딪침이 가능한 저판부(4102)와, 저판부(4102)의 양측에서 굴곡되고, 파이프재(20)의 직사각형의 단변에 맞닿는 2개의 암부(4104)를 갖는 스프링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삽입되고, 그 탄성력에 의해 받이 부재(50)의 배면을 자성 부재(30)의 배면(34)에 꽉 누르고,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킨 상태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16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제 17의 실시예)
다음에 제 17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B)는 제 17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의 단면도이다.
제 17의 실시예는, 제 16의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파이프재(20)의 형상, 누름 부재(40)의 형상, 받이 부재(50)의 형상이 제 16의 실시예와 다르다.
파이프재(20)는, 단면이 장원형의 테두리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자성 부재(30)는 단면이 원호의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파이프재(20)의 내부에서 파이프재(20)의 2개의 원호부중의 한쪽의 원호부에 밀착면(32)을 재치하여 배설되어 있다.
받이 부재(50)는 단면이 원호의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파이프재(20)의 내부에서 자성 부재(30)의 배면(34)의 전역을 덮도록 마련되고, 배면(34) 위에 얹어 놓고 배설되어 있다.
받이 부재(50)는, 파이프재(20)에의 삽입 전에, 자성 부재(30)에 미리 조립하여도 좋고, 또는, 파이프재(20)에의 삽입 후에, 자성 부재(30)에 조립하도록 하여도 좋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의 내부에서 받이 부재(50)의 배면의 양단에 부딪침이 가능한 계합부(4110)와, 양 계합부(4110)를 접속하는 장원부(4112)를 갖는 스프링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파이프재(20)의 내부에 삽입되고, 그 탄성력에 의해 받이 부재(50)를 자성 부재(30)의 배면(34)에 꽉 누르고, 밀착면(32)을 파이프재(20)의 내면(22)에 밀착시킨 상태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17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 룰 수 있다.
(제 18의 실시예)
다음에 제 18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A)는 제 18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을 이용한 위치 검출 장치(100)의 구성도, (B)는 (A)의 단면도이다.
검출 헤드(102)는, 슬라이드 베이스(104)와, 자기 센서(106)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드 베이스(104)는, 파이프재(20)가 삽통되는 메탈 축받이(110)를 가지며, 메탈 축받이(110)를 통하여 파이프재(20)의 연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자기 센서(106)는, 슬라이드 베이스(104)에 조립되고, 자기 스케일(10)의 자성 부재(3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자기 센서(106)는, 제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검출 헤드(102)가 파이프재(20)의 연재 방향에 따라 이동하면서 자기 눈금을 검출하면, 자기 센서(106)로부터 주기적으로 증감하는(예를 들면 정현파 형상으로 변화하는) 검출 신호를 얻을 수 있고, 검출 신호를 자기 센서(106)로부터 종래 공지의 검출 회로에 공급함으로써 검출 헤드(102)의 자기 스케일(10)에 대한 상대적 변위량이 검출된다.
자기 스케일(10)은, 도 7(B)에 도시한 제 7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고, 파이프재(20)와, 자성 부재(30)와, 누름 부재(4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8의 실시예에서는 제 7의 실시예에 더하여, 파이프재(20)의 외면에, 파이프재(20)의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볼록부(2080)가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직선형상으로 연재 형성되고, 이 볼록부(2080)는 파이프재(20)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볼록부(2080)는, 파이프재(20)의 둘레 방향에서 자성 부재(30)로부터 떨어진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베이스(104)의 메탈 축받이(110)에는, 그들 볼록부(2080)에 활주 가능하게 계합(係合)하는 오목부(110A)가 마련되어 있다.
제 18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예의 작용 효과에 더하여, 파이프재(20)에 볼록부(2080)를 형성한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검출 헤드(102)의 회전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검출 헤드(102)의 자기 센서(106)로 검출하는 검출 신호의 전압 레벨을 안정시키는데 유리해진다.
(제 19의 실시예)
다음에 제 19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A)는 제 19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스케일을 이용한 위치 검출 장치(100)의 구성도, (B)는 (A)의 단면도이다.
제 19의 실시예는, 제 18의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파이프재(20)의 외면에, 볼록부(2080)를 대신하여 오목부(2082)를 마련한 점이 제 18의 실시예와 다르다.
즉, 제 19의 실시예에서는, 파이프재(20)의 반경 방향 내방으로 패여진 오목부(2082)가 파이프재(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직선형상으로 연재 형성되고, 이 오 목부(2082)는 파이프재(20)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베이스(104)의 메탈 축받이(110)에는, 그들 오목부(2082)에 활주 가능하게 계합하는 볼록부(110B)가 마련되어 있다.
제 19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8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가 이루어진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자성 부재(30)로서 고무 자석을 이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자성 부재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자석, 자성체 도포재, 희토류계 자성체, 페라이트계 자성체 등 착자 가능한 것이라면 좋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파이프재(20)의 단면이 원통이나 직사각형 테두리의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파이프재(20)의 단면으로서 다각형 테두리 등 다양한 중공(中空) 단면 형상을 채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 눈금이 형성된 자성 부재를 파이프재의 내부에 마련함과 함께, 누름 부재에 의해 자성 부재의 밀착면을 파이프재의 내면에 밀착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기 스케일에 의하면, 자성 부재를 파이프재에 의해 보호할 수 있고, 자성 부재에 물건이 부딪쳐 손상되거나, 자성 부재에 절삭액이 부착하여 자성 부재가 열화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자기 스케일의 내구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누름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자기 스케일을 간단하게 조 립할 수 있다.

Claims (19)

  1. 파이프재와,
    띠형상(strip-shaped)을 나타내고 두께 방향의 한쪽의 면이 상기 파이프재의 내면에 밀착 가능한 밀착면으로서 형성되고 두께 방향의 다른쪽의 면이 배면으로 되어 직선형상으로 연재되고 그 연재 방향을 상기 파이프재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시켜서 상기 파이프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그 연재 방향에 따라 N극과 S극이 교대로 착자된 자기 눈금이 형성된 자성 부재와,
    상기 파이프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배면을 상기 밀착면 방향으로 꽉 눌러서 상기 밀착면을 상기 파이프재의 내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누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부재의 배면의 전역을 덮는 받이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받이 부재를 통하여 상기 배면을 상기 밀착면 방향으로 꽉 누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 부재는, 상기 자성 부재의 자력이 유효하게 발휘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 부재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균일한 단면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자성 부재의 연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배면을 상기 밀착면 방향으로 꽉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폭이 좁은 스프링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파이프재의 내부에서 상기 파이프재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재하는 확축(擴縮) 가능한 튜브와, 상기 튜브에 충전된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발포성 재료가 상기 파이프재의 내부에 충전되고 상기 발포성 재료가 발포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자성 부재의 자력에 자성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경량의 비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의 비자성 재료는, 알루미늄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파이프재의 내부에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재는, 상기 자성 부재의 자력에 자성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재는, 비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부재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재는 단면이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재는 단면이 직사각형 테두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재의 외면에, 상기 파이프재의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볼 록부가 상기 파이프재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재의 외면에, 상기 파이프재의 반경 방향 내방으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가 상기 파이프재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케일.
KR1020060028781A 2005-03-31 2006-03-30 자기 스케일 KR101213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01726A JP4586612B2 (ja) 2005-03-31 2005-03-31 磁気スケール
JPJP-P-2005-00101726 2005-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550A KR20060105550A (ko) 2006-10-11
KR101213869B1 true KR101213869B1 (ko) 2012-12-18

Family

ID=3668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781A KR101213869B1 (ko) 2005-03-31 2006-03-30 자기 스케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26381B2 (ko)
EP (1) EP1710543B1 (ko)
JP (1) JP4586612B2 (ko)
KR (1) KR101213869B1 (ko)
CN (1) CN100381777C (ko)
DE (1) DE60200600820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5776B2 (en) * 2005-04-07 2008-08-26 Sony Corporation Magnetic scale
DE102008019541A1 (de) * 2008-04-18 2009-10-22 Wabco Gmbh Positionsmess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8757A (en) * 1992-10-28 1996-12-31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magnetic sensor
EP1077139A2 (en) * 1999-08-11 2001-02-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in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6007A (ja) * 1986-03-28 1987-10-05 Hitachi Metals Ltd プリンタ−用位置検出装置
CN87216550U (zh) * 1987-12-16 1988-10-26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高载频差动电感位移传感器
JPH03123815A (ja) * 1989-10-06 1991-05-27 Makome Kenkyusho:Kk 円筒形磁気スケール
CN2075772U (zh) * 1990-07-20 1991-04-24 北京化学纤维研究所 一种耐温位移传感器
JP3251355B2 (ja) * 1992-10-28 2002-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H07120209A (ja) * 1993-10-25 1995-05-12 Olympus Optical Co Ltd 位置検出機構
JP3434441B2 (ja) * 1997-10-31 2003-08-11 飛島建設株式会社 摩耗検出装置
DE19818799C2 (de) 1997-12-20 1999-12-23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essen von Winkeln
GB2356049B (en) * 1999-11-04 2004-04-28 Elliott In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osition detectors
JP2003524778A (ja) * 2000-01-13 2003-08-19 コンティネンタル・テーベ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ウント・コンパニー・オッフェネ・ハンデルスゲゼルシヤフト 線形変位センサおよび自動車用操作装置としてその使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8757A (en) * 1992-10-28 1996-12-31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magnetic sensor
EP1077139A2 (en) * 1999-08-11 2001-02-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in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86612B2 (ja) 2010-11-24
US20060220637A1 (en) 2006-10-05
DE602006008202D1 (de) 2009-09-17
EP1710543A1 (en) 2006-10-11
EP1710543B1 (en) 2009-08-05
JP2006284239A (ja) 2006-10-19
CN100381777C (zh) 2008-04-16
US7626381B2 (en) 2009-12-01
CN1841006A (zh) 2006-10-04
KR20060105550A (ko)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4164B1 (ko) 유압 실린더
JP5046850B2 (ja) 位置検出装置、及び、バイアス磁界発生装置
KR100777897B1 (ko) 플래튼 갭 조정 장치 및 인쇄 장치
KR101213869B1 (ko) 자기 스케일
DE59812241D1 (de) Sensoreinrichtung zur Richtungserfassung eines äu eren Magnetfeldes mittels eines magnetoresistiven Sensorelementes
JP2001194101A (ja) 測定スケール用軌道を具えた測定装置並びにこのスケールに張力を与える装置
JP5596056B2 (ja) エンコーダスケール部材および取付方法
JP4525430B2 (ja) 位置検出装置
US7353618B2 (en) Magnetic scale
US7415776B2 (en) Magnetic scale
JP2006349542A (ja) 磁気スケール
JP4718880B2 (ja) 磁気スケール
JP4718881B2 (ja) 位置検出装置
JP4572724B2 (ja) プリンタ用ヘッドキャリッジの送り制御装置
JPH07128566A (ja) 移動量検出装置
US8013597B2 (en) Slide operation device
JP2003156364A (ja) スライド位置検出装置を備えた直動装置
CN111721327A (zh) 磁场发生组件、位置检测装置及磁场发生组件的制造方法
JP6396794B2 (ja) 磁気ラインセンサにおける磁石の位置決め方法及び位置決め装置
JP2004239787A (ja) 巻尺
JP4453056B2 (ja) 磁気媒体とその製造方法
JP2003133134A (ja) エンコーダの着磁装置
JP2004340787A (ja) リニアセンサの磁性材コア固定方法及び構造
JP2002039792A (ja) 磁気式エンコーダおよびこの磁気式エンコーダを用いた印刷装置
JPH10332311A (ja) スケ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