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095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095B1
KR101212095B1 KR1020110122063A KR20110122063A KR101212095B1 KR 101212095 B1 KR101212095 B1 KR 101212095B1 KR 1020110122063 A KR1020110122063 A KR 1020110122063A KR 20110122063 A KR20110122063 A KR 20110122063A KR 101212095 B1 KR101212095 B1 KR 101212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width
toner sensor
width modulation
output voltage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379A (ko
Inventor
오한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2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09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1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89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agitation or stir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 G03G2215/069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being an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토너와 현상제를 포함하는 현상기가 장착되어, 제어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현상기에 포함된 토너의 잔량에 대응하는 출력전압을 발생하는 토너센서와; 펄스폭 변조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전압을 상기 토너센서에 인가하는 펄스폭 변조회로부와; 상기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상기 출력전압이 목표값에 도달하기 위한 상기 제어전압을 상기 토너센서에 인가하도록 상기 펄스폭 변조회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토너센서의 상태이상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SENSOR STATUS SEN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토너센서의 제어전압을 가변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장치는 토너 (Toner) 에 의해서만 화상을 형성하는 1성분 현상방식과, 현상제 (Carrier)와 토너 (Toner)가 구별되어 있는 2성분 현상방식에 의해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2성분 현상방식은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와, MFP (Multi Function Peripheral) 장치에 사용된다.
2성분 현상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형성함에 따라 토너의 농도가 계속 감소하여 현상제의 농도가 계속 변하게 되므로, 현상되는 화상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현상기는 토너와 현상제의 농도비율을 측정하기 위한 토너센서를 필요로 한다.
현상기에 포함된 토너센서는 소정의 제어전압에 의해 가변되는 출력전압을 화상형성장치로 전달하여 토너의 잔량정보를 제공하며, 현상기 장착 초기에는 화상형성장치의 특성에 따라 설정된 기준농도에 따라 출력전압을 전달한다.
그런데, 토너센서의 출력전압은 올바른 기준농도에 따른 값을 전달할 수 있도록 현상기의 제조시에 조정되어야 하며, 이 때 출력전압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전압을 외부에서 지그 (Jig) 등에 의해 일일이 인위적으로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제어전압은 한 번 설정이 되면 조절될 수 없으므로, 토너의 농도에 따라 출력전압의 값이 가변되지 않는 경우와 같은 토너센서의 상태이상를 제대로 감지할 수 없고, 현상기에 포함된 교반기의 회전에 따라 토너센서의 출력전압이 가변되는 경우에도 토너센서 및 교반기의 상태이상를 제대로 감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토너센서의 출력전압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전압을 자동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현상기 제조시의 불편함을 없애고 토너센서의 초기 기준농도값을 자동적으로 조정 및 설정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전압의 변화에 따른 출력전압의 크기를 검출함으로써, 토너센서 및 현상기에 포함된 교반기의 이상유무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토너와 현상제를 포함하는 현상기가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제어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현상기에 포함된 토너의 잔량에 대응하는 출력전압을 발생하는 토너센서와; 펄스폭 변조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전압을 상기 토너센서에 인가하는 펄스폭 변조회로부와; 상기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상기 출력전압이 목표값에 도달하기 위한 상기 제어전압을 상기 토너센서에 인가하도록 상기 펄스폭 변조회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목표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통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전압이 기준최소값 이하인 때 상기 듀티비의 증가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전압이 증가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너센서의 상태이상를 상기 통지부를 통해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전압이 기준최대값 이상인 때 상기 듀티비의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전압이 감소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너센서의 상태이상를 상기 통지부를 통해 통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상기의 최초 장착시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온오프시에 상기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상기는, 상기 토너와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반기의 회전에 따른 상기 출력전압의 최대값을 검출하여 상기 최대값이 주기적으로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지부를 통해 상기 토너센서 또는 상기 교반기의 상태이상를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토너와 현상제를 포함하는 현상기와; 제어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토너의 양에 대응하는 출력전압을 발생하는 토너센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압의 목표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목표값에 따라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조절된 듀티비에 대응하는 크기의 상기 제어전압을 상기 토너센서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듀티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목표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전압이 기준최소값 이하인 때 상기 듀티비의 증가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전압이 증가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출력전압이 증가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너센서의 상태이상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전압이 기준최대값 이상인 때 상기 듀티비의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전압이 감소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출력전압이 감소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너센서의 상태이상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듀티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현상기의 최초 장착시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온오프시에 상기 듀티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현상기에 포함되어 상기 토너와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기의 회전에 따른 상기 출력전압의 최대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값이 주기적으로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토너센서 또는 상기 교반기의 상태이상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에 의하면, 토너센서의 출력전압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전압을 자동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현상기 제조시의 불편함을 없애고 토너센서의 초기 기준농도값을 자동적으로 조정 및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에 의하면, 제어전압의 변화에 따른 출력전압의 크기를 검출함으로써, 토너센서 및 현상기에 포함된 교반기의 이상유무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현상기(10)가 장착되고, 토너센서(20)와, 펄스폭 변조회로부(30)와, 제어부(40)를 포함하며, 인쇄데이터에 대해 프린팅을 수행하는 프린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현상기(10)는 토너와 현상제를 포함하여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미도시)에 현상제를 도포한다.
토너센서(20)는 제어전압을 입력받아 현상기(10)에 포함된 토너의 잔량에 대응하는 출력전압을 발생함으로써, 현상기(10)에 포함된 토너의 잔량을 감지한다.
펄스폭 변조 회로부(30)는 펄스폭 변조 (Pulse Width Modulation, PWM) 신호에 의해 제어전압을 토너센서(20)에 인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펄스폭 변조 회로부(30)는 펄스폭 변조신호 입력부(30a)와, 적분회로(30b)와, 증폭기(30c)와, 트랜지스터(30d)를 포함한다.
펄스폭 변조신호 생성부(30a)는 후술할 제어부(40)로부터 인가되는 듀티비에 따라 제어전압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펄스폭 변조신호를 생성한다.
적분회로(30b)는 펄스폭 변조신호 생성부(30a)로부터 생성된 펄스폭 변조신호를 적분하여, 적분된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증폭기(30c)는 적분회로(30b)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한다.
증폭기(30c)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트랜지스터(30d)를 거쳐 직류전압으로 정류되어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미도시)로 인가되며, ADC로 인가된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토너센서(20)로 인가됨으로써, 토너센서(20)는 제어전압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제어부(40)는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토너센서(20)의 출력전압이 목표값에 도달하기 위한 제어전압을 토너센서(20)에 인가하도록 펄스폭 변조회로부(30)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는 MCU (Micro Controller Unit)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펄스폭 변조신호 생성을 제어하는 PWM 컨트롤러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40)는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기준듀티비, 예를 들면 50%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펄스폭 변조신호를 생성하도록 펄스폭 변조회로부(30)를 제어한다. 그리고, 펄스폭 변조회로부(3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른 제어전압을 토너센서(20)에 인가한다.
그 결과, 토너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크기가 목표값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40)는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다시 펄스폭 변조신호를 생성하도록 펄스폭 변조신호부(30)를 제어한다. 여기서, 출력전압의 목표값이란 현상기(10)에 포함된 토너와 현상제의 비율에 따라 토너센서(20)의 출력전압이 가장 분해능이 좋은 경우를 말하며, 2.5V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40)는 토너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크기가 목표값보다 큰 경우에는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일정량, 예를 들어 0.1% 감소시킨 후, 감소된 듀티비에 따라 펄스폭 변조신호를 생성하도록 펄스폭 변조회로부(3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감소된 펄스폭 변조신호에 따른 제어전압을 토너센서(20)에 인가한 후, 다시 토너센서(20)의 출력전압의 크기를 검출한다.
또한, 제어부(40)는 토너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크기가 목표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0.1% 증가시킨 후, 증가된 듀티비에 따라 펄스폭 변조신호를 생성하도록 펄스폭 변조회로부(3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증가된 펄스폭 변조신호에 따른 제어전압을 토너센서(20)에 인가한 후, 다시 토너센서(20)의 출력전압의 크기를 검출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제어부(40)는 토너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크기가 목표값이 되도록 조절한다.
이러한 제어부(40)의 동작은 현상기(10)의 최초 장착시 또는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 온오프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토너센서(20)의 초기 기준농도값을 자동적으로 조정 및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는 저장부(50)와, 통지부(6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저장부(50)는 토너센서(20)로부터의 출력전압이 목표값에 도달한 경우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50)는 플래쉬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2)에 포함되지 않고 현상기(10)의 내부에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통지부(60)는 토너센서(20)의 상태이상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지부(60)는 LED (Light Emitting Diode), 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부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통지가 가능한 구성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제어부(40)는 저장부(50)에 저장된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에 따라 펄스폭 변조신호를 생성하도록 펄스폭 변조회로부(30)를 제어하고, 생성된 펄스폭 변조신호에 따라 토너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크기를 검출한다.
제어부(40)는 검출된 출력전압의 크기가 기준최소값 이하, 예를 들어 0V인 경우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10% 증가시킨 후 토너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크기를 검출한다. 여기서, 토너센서(20)에 입력되는 제어전압의 크기와 토너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크기는 비례하기 때문에,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의 증가에 따라 검출된 출력전압의 크기가 증가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40)는 토너센서(20)의 동작이 정상적이지 않음을 통지부(60)를 통해 통지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40)는 검출된 출력전압의 크기가 기준최대값 이상, 예를 들어 3.3V인 경우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10% 감소시킨 후 토너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크기를 검출한다. 그리하여,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의 감소에 따라 검출된 출력전압의 크기가 감소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40)는 토너센서(20)의 동작이 정상적이지 않음을 통지부(60)를 통해 통지한다.
한편, 현상기(10)는 토너와 현상제를 교반시키는 교반기(1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40)는 교반기(12)의 회전에 따른 토너센서(20)로부터의 출력전압의 최대값을 검출하여 최대값이 주기적으로 검출되지 않는 경우, 통지부(60)를 통해 교반기(12)의 상태이상를 통지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현상기(10)에 포함된 교반기(12)의 회전에 따라 토너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최대값이 교반기(12)의 회전주기, 예를 들어 216ms 단위로 검출되는 경우, 토너센서(20)와 교반기(12)의 동작을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토너센서(20)로부터 출력전압의 최대값이 교반기(12)의 회전주기보다 빠른 주기로 검출되거나 출력전압의 최대값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토너센서(20)의 상태이상로 판단하여 통지부(60)를 통해 통지한다. 또한, 제어부(40)는 토너센서(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태에서, 토너센서(20)로부터의 출력전압의 최대값이 교반기(12)의 회전주기보다 느린 주기로 검출되거나, 출력전압의 최대값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교반기(12)의 회전동작에 이상이 있음을 통지부(60)를 통해 통지한다.
이하,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40)는 토너센서(20)의 출력전압의 목표값을 산출한다(S10). 여기서, 출력전압의 목표값이란 현상기(10)에 포함된 토너와 현상제의 비율에 따라 토너센서(20)의 출력전압이 가장 분해능이 좋은 경우를 말하며, 2.5V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부(40)는 단계 S10에서 산출된 목표값에 따라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도록 펄스폭 변조회로부(30)를 제어한다(S20). 여기서, 제어부(40)는 토너센서(20)의 출력전압이 목표값에 도달한 경우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저장부(50)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계 S20은 현상기(10)의 최초 장착시 또는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 온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부(40)는 단계 S20에서 조절된 듀티비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어전압을 토너센서(20)에 인가한다(S30). 이로써, 토너센서(20)의 초기 기준농도값을 자동적으로 조정 및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의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40)는 저장부(50)에 저장된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에 따라 펄스폭 변조신호를 생성하도록 펄스폭 변조회로부(30)를 제어한다(S110). 그리고, 제어부(40)는 토너센서(20)로부터 검출된 출력전압의 크기가 기준최소값 이하인지 판단한다(S120).
단계 S120에서 출력전압의 크기가 기준최소값 이하, 예를 들어 0V인 경우, 제어부(40)는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10% 증가시킨 후 토너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이 증가하는지 판단한다(S130). 그리하여, 단계 S130에서의 판단결과 토너센서(20)로부터의 출력전압이 증가하지 않는 경우, 토너센서(20)의 상태이상를 통지부(60)를 통해 통지한다(S140).
마찬가지로, 제어부(40)는 출력전압의 크기가 기준최대값 이상, 예를 들어 3.3V인 경우인지 판단한다(S150). 단계 S150에서 출력전압의 크기가 기준최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40)는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10% 감소시킨 후 토너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이 감소하는지 판단한다(S160). 그리하여, 단계 S150에서의 판단결과 토너센서(20)로부터의 출력전압이 감소하지 않는 경우, 토너센서(20)의 상태이상를 통지부(60)를 통해 통지한다(S140).
한편, 제어부(40)는 단계 S110의 수행 후 토너와 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기(12)의 회전에 따른 토너센서(20)로부터의 출력전압의 최대값을 검출한다(S112). 그리고, 제어부(40) 출력전압의 최대값이 주기적으로 검출되는지 판단하여(S114), 최대값이 주기적으로 검출되지 않는 경우, 토너센서(20) 또는 교반기(12)의 상태이상를 통지부(60)를 통해 통지한다(S116).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현상기 12 : 교반기
20 : 토너센서 30 : 펄스폭 변조회로부
30a : 펄스폭 변조신호 생성부 30b : 적분회로
30c : 증폭기 30d : 트랜지스터
40 : 제어부 50 : 저장부
60 : 통지부

Claims (2)

  1. 토너와 현상제를 포함하는 현상기가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제어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현상기에 포함된 토너의 잔량에 대응하는 출력전압을 발생하는 토너센서와;
    펄스폭 변조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전압을 상기 토너센서에 인가하는 펄스폭 변조회로부와;
    저장부와;
    상기 현상기의 최초 장착시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온오프시, 상기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현상기의 초기 목표값에 도달하기 위한 상기 제어전압을 상기 토너센서에 인가하도록 상기 펄스폭 변조회로부를 제어하고,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현상기의 초기 목표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와;
    통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에 따라 상기 펄스폭 변조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펄스폭 변조회로부를 제어하고, 상기 토너센서의 상태이상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소정 증가 또는 감소시킨 경우, 상기 듀티비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전압이 증가 또는 감소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너센서의 상태이상을 상기 통지부를 통해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토너와 현상제를 포함하는 현상기가 장착되며, 제어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현상기에 포함된 토너의 잔량에 대응하는 출력전압을 발생하는 토너센서와, 펄스폭 변조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전압을 상기 토너센서에 인가하는 펄스폭 변조회로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저장부와;
    상기 현상기의 최초 장착시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온오프시, 상기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현상기의 초기 목표값에 도달하기 위한 상기 제어전압을 상기 토너센서에 인가하도록 상기 펄스폭 변조회로부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현상기의 초기 목표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에 따라 상기 펄스폭 변조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펄스폭 변조회로부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토너센서의 상태이상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펄스폭 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소정 증가 또는 감소시킨 경우, 상기 듀티비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전압이 증가 또는 감소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너센서의 상태이상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통지부를 통해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10122063A 2011-11-22 2011-11-22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 KR101212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063A KR101212095B1 (ko) 2011-11-22 2011-11-22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063A KR101212095B1 (ko) 2011-11-22 2011-11-22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398A Division KR20080073599A (ko) 2007-02-06 2007-02-06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379A KR20110130379A (ko) 2011-12-05
KR101212095B1 true KR101212095B1 (ko) 2012-12-13

Family

ID=4549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063A KR101212095B1 (ko) 2011-11-22 2011-11-22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3449B2 (ja) * 2015-11-06 2020-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7215A (ja) * 2003-11-28 2005-06-16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装置
US20060239701A1 (en) * 2005-04-22 2006-10-26 Mikio Ishibashi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variation of image density and toner concent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7215A (ja) * 2003-11-28 2005-06-16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装置
US20060239701A1 (en) * 2005-04-22 2006-10-26 Mikio Ishibashi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variation of image density and toner concent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379A (ko) 201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0465B1 (en) Image forming device and image forming method
US85772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sensor status sensing method thereof
JP5804764B2 (ja) 画像処理装置
US2012030115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9106170A (ja) トナー付着コントラストの制御および長期間のトナー濃度調整による現像剤寿命の長期化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928011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stabilizing image density on a short-term and long-term basis
EP272841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212095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
KR20080082787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06456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table image density
KR20190033154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US20090016745A1 (en) Rest recovery system, method and algorithm
JP201404839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1374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91211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補給制御方法
JP4666477B2 (ja) トナー濃度検知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128197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19397A (ja) 半導体レーザ駆動装置及び基準電圧生成方法
JP2001312109A (ja) 電子写真方式による画像形成装置、該画像形成装置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作像条件の調整方法及び該方法の実行に用いる記録媒体
JP2017198765A (ja) 画像形成装置
JPH10268605A (ja) 画像形成装置
JPH11133724A (ja) トナー濃度検出装置及び制御装置
KR20080030160A (ko) 화상형성기기의 토너공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12145816A (ja) 画像形成装置
KR20050063209A (ko)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제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