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377B1 - 의복의 지퍼부착 방법 및 그에 의한 의복 - Google Patents

의복의 지퍼부착 방법 및 그에 의한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377B1
KR101211377B1 KR1020110038342A KR20110038342A KR101211377B1 KR 101211377 B1 KR101211377 B1 KR 101211377B1 KR 1020110038342 A KR1020110038342 A KR 1020110038342A KR 20110038342 A KR20110038342 A KR 20110038342A KR 101211377 B1 KR101211377 B1 KR 101211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pper
garment
dissociation
attaching
l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0636A (ko
Inventor
김광배
Original Assignee
(주)프리앤메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리앤메지스 filed Critical (주)프리앤메지스
Priority to KR1020110038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37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0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001Methods
    • A41H37/003Methods for attaching slide or glide fasteners to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06Setting slide or glide fasten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은, 의복에 지퍼(10)를 부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겉감(20)의 외측으로 해리(40)를 봉제하여 부착한 다음 봉제선(41)을 기준하여 중심으로 절첩하는 제1단계; 겉감(20)의 내측으로 지퍼(10)를 절개선(25)을 중심으로 봉제하여 부착하는 제2단계; 해리(40)의 외측으로 안감(30)을 봉제하여 부착한 다음 봉제선(42)을 기준하여 중심으로 절첩하는 제3단계; 및 해리(40)를 중심으로 겉감(20)과 안감(30)을 절첩한 다음 지퍼(10)와 함께 겉감(20)과 안감(30)을 봉제하여 부착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제1항의 방법에 의하여 의복에 지퍼(10)의 단부(11)가 해리(40)의 절첩부(45)까지 최대한 상승된 위치로 부착되어 잠금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해리(40) 부분에 위치하여 임의로 벌어져 흘러내리지 않게 되는 지퍼(10)가 부착된 의복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추가적인 임가공이 불필요하여 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착용시 불쾌감이나 피부 트러블을 초래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복의 지퍼부착 방법 및 그에 의한 의복{Zipper attaching method for garment and Garment thereby}
본 발명은 의복의 지퍼부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추가적인 임가공이 불필요하여 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착용시 불쾌감이나 피부 트러블을 초래하지 않는 의복의 지퍼부착 방법 및 그에 의한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피스, 상의(블라우스 등) 등의 의복에는 착의와 탈의가 용이하도록 지퍼(1)가 구비되는데, 특히 지퍼(1)는 도 1의 사진처럼 의복의 해리(5)까지 밖에 형성되지 않아, 지퍼(1)의 임의 개방이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최상단, 해리(5) 상에 별도의 걸고리(6)를 부착하여 병행해서 사용된다. 하지만 이런 경우 여러 가지 문제점, 즉 걸고리(6) 부착에 따른 별도의 임가공이 필요하고 착용시 걸고리로 인해 알레르기와 머리카락 걸리는 등 착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20011호의 "지퍼 고정장치"에 의하면 손잡이가 형성된 통상의 지퍼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끝단에는 보조손잡이가 형성되며, 이 보조손잡이의 전,후방에는 각각 통상의 고정수단이 형성된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가 부착 형성되며; 상기 지퍼가 고정되는 의복의 내측면에는 상기 전방연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 전방연결부를 수용하는 전방결착부가 형성되며, 의복의 외측면에는 상기 후방연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후방연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 후방연결부를 수용하는 후방결착부가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항상 의복에 부착된 지퍼를 잠그도록 하여 의복의 개방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불미스러운 경우를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하지만, 전후방의 연결부와 전후방의 결착부를 부착하는 공수가 증가하고 착용시 피부에 닿아 불쾌감과 트러블을 유발할 우려가 크다.
다른 예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25905호의 "잠금 구조를 갖는 지퍼"에 의하면 피륙에 봉착 고정되는 지퍼레일과 이 지퍼레일을 여닫기 위한 손잡이를 갖는 공지 형상의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에 구성되어 손잡이를 연결 하는 손잡이 홀더의 전면에 일체로 구성되며 일측으로 개방되는 걸림 요구를 갖는 잠금편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지퍼의 로킹 시 양 슬라이더가 빈틈없이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유동을 최소화에 따른 무단 풀림을 억제하여 잠금 동작에 신뢰성을 부여하고, 잠금편의 슬라이더 외부로의 돌출정도를 최소화시켜 지퍼의 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이는, 반드시 암구조의 슬라이더와 숫구조의 슬라이더를 동시에 사용해야 하므로 가방류에 부착하기 무난하며, 활동성을 전제로 하는 의복에 적용하기에 한계성을 보인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20011호 "지퍼 고정장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25905호 "잠금 구조를 갖는 지퍼"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추가적인 임가공이 불필요하여 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착용시 불쾌감이나 피부 트러블을 초래하지 않는 의복의 지퍼부착 방법 및 그에 의한 의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은, 의복에 지퍼를 부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겉감의 외측으로 해리를 봉제하여 부착한 다음 봉제선을 기준하여 중심으로 절첩하는 제1단계; 겉감의 내측으로 지퍼를 절개선을 중심으로 봉제하여 부착하는 제2단계; 해리의 외측으로 안감을 봉제하여 부착한 다음 봉제선을 기준하여 중심으로 절첩하는 제3단계; 및 해리를 중심으로 겉감과 안감을 절첩한 다음 지퍼와 함께 겉감과 안감을 봉제하여 부착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단계 및 제3단계는 지퍼의 단부와 겉감의 단부 및 안감의 단부에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단계는 해리의 절첩부에 지퍼의 자락부를 내재한 상태에서 봉제하여 터지거나 헤짐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제1항의 방법에 의하여 의복 중 원피스 또는 블라우스에 지퍼의 단부가 해리의 절첩부까지 최대한 상승된 위치로 부착되어 잠금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해리 부분에 위치하여 임의로 벌어져 흘러내리지 않게 되는 지퍼가 부착된 의복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의복의 지퍼 부착방법 및 그에 의한 의복에 의하면, 별도의 추가적인 임가공이 불필요하여 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착용시 불쾌감이나 피부 트러블을 초래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의복에 지퍼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방법의 제1단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방법의 제2단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방법의 제3단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방법의 제4단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부착방법에 따른 지퍼의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의복에 지퍼(10)를 부착하는 방법에 관련되는 바, 의복은 원피스, 상의(블라우스 등)에 가장 적절하지만 기타 의류 제품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제1단계에서 제4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 나타낸 사진 및 도면은 의복 중 원피스(또는 블라우스)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단계로서, 겉감(20)의 외측으로 해리(40)를 봉제하여 부착한 다음 봉제선(41)을 기준하여 중심으로 절첩하는 과정을 거친다. 재단된 겉감(20)은 중앙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절개선(25)을 형성하고, 상단 부분에서 절개선(25)을 기준으로 겉감(20)의 양측에 각각 해리(40)를 부착하여 봉제선(41)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해리(40)의 봉제선(41)을 기준하여 도 2의 확대도처럼 중심으로 절첩한다. 여기서 "상단"이란 착의 상태를 기준으로 목 뒷부분에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2단계로서, 겉감(20)의 내측으로 지퍼(10)를 절개선(25)을 중심으로 봉제하여 부착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제1단계에서 형성된 겉감(20)의 절개선(25)에 착의와 탈의를 위한 지퍼(10)를 부착한다. 이때, 지퍼(10)는 도 3처럼 겉감(20)의 내측으로 뒤집은 상태, 즉 지퍼(10)의 슬라이더가 겉감(2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부착한다. 여기서 "내측"이란 겉감(20)의 안쪽 부분을 의미하고, "외측"이란 겉감(20)의 바깥쪽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3단계로서, 해리(40)의 외측으로 안감(30)을 봉제하여 부착한 다음 봉제선(42)을 기준하여 중심으로 절첩하는 과정을 거친다. 재단된 안감(30)은 겉감(20)과 마찬가지로 중앙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절개선(35)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1단계에서 형성된 해리(40)의 외측으로 안감(30)을 부착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는 해리(40)를 기준으로 일측에 겉감(20)이 부착된다면 안감(30)은 그 반대측에 대칭형태로 부착, 즉 도 4처럼 겉감(20)의 단부(21)와 안감(30)의 단부(31)를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봉제선(42)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안감(30)을 해리(40)의 봉제선(42)을 기준하여 도 4의 확대도처럼 중심으로 절첩하여 겉감(20)에 서로 맞닿게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제3단계는 해리(40)의 절첩부(45)에 지퍼(10)의 자락부(15)를 내재한 상태에서 봉제하여 터지거나 헤짐을 방지한다. 이는 도 4의 확대도처럼 지퍼(10)의 자락부(15)가 해리(40)의 절첩부(45)에 내재된 상태에서 안감(30)과 겉감(20)이 서로 맞닿게 형성하여 봉제선을 형성한다. 따라서 지퍼(20)의 자락부(15)는 해리(40)의 절첩부(45)에 내재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터지거나 헤짐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지퍼(10)의 단부(11)가 해리(40)의 절첩부(45)까지 위치되게 부착되어 잠금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임의로 벌어져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단계 및 제3단계는 지퍼(10)의 단부(11)와 겉감(20)의 단부(21) 및 안감(30)의 단부(31)에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경우, 도 1처럼 해리(40)를 부착하는 공정이 지퍼(10)를 부착하는 공정 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퍼(10)가 겉감(20)의 단부(21)보다 하향된 위치에 부착된다. 지퍼(10)의 위치가 하향되면 활동중에 풀리기 쉬워 그 상측으로 별도의 걸고리를 부착하는 공정을 추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지퍼(10)의 단부(11)가 겉감(20)과 안감(30)과 그 단부(21)(31)를 일치한 상태로 부착되기 때문에 별도의 걸고리를 생략하여도 긴밀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단계로서, 해리(40)를 중심으로 겉감(20)과 안감(30)을 절첩한 다음 지퍼(10)와 함께 겉감(20)과 안감(30)을 봉제하여 부착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제3단계에서 형성된 겉감(20)과 안감(30)을 접어서 외형이 일치하도록 겹치면 지퍼(10)의 단부(11)가 겉감(20)과 안감(30)의 단부(21)(31)와 일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겉감(20)과 안감(30)을 재봉하면 의복, 특히 원피스(또는 블라우스)가 완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으로서, 위의 방법에 의하여 의복 중 원피스 또는 블라우스에 지퍼(10)의 단부(11)가 해리(40)의 절첩부(45)까지 최대한 상승된 위치로 부착되어 잠금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해리(40) 부분에 위치하여 임의로 벌어져 흘러내리지 않게 되는 지퍼(10)가 부착된 의복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의복, 특히 원피스 또는 블라우스는 지퍼(10)의 단부(11)가 최대한 상승된 위치로 부착, 즉 겉감(20)의 단부(21)와 안감(30)의 단부(31)에 일치되어 지퍼(10)의 잠금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해리(40) 부분에 위치하므로 임의로 벌어져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더구나, 지퍼(10)가 해리(40)의 절첩부(45)까지 최대한 상승된 위치로 부착되어 종래와는 달리 별도의 걸고리를 생략하여도 긴밀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지퍼 11: 단부
15: 자락부 20: 겉감
21: 단부 25: 절개선
30: 안감 31: 단부
35: 절개선 40: 해리
41,42: 봉제선 45: 절첩부

Claims (4)

  1. 의복에 지퍼(10)를 부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겉감(20)의 외측으로 해리(40)를 봉제하여 부착한 다음 봉제선(41)을 기준하여 중심으로 절첩하는 제1단계;
    겉감(20)의 내측으로 지퍼(10)를 절개선(25)을 중심으로 봉제하여 부착하는 제2단계;
    해리(40)의 외측으로 안감(30)을 봉제하여 부착한 다음 봉제선(42)을 기준하여 중심으로 절첩하는 제3단계; 및
    해리(40)를 중심으로 겉감(20)과 안감(30)을 절첩한 다음 지퍼(10)와 함께 겉감(20)과 안감(30)을 봉제하여 부착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의 지퍼 부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및 제3단계는 지퍼(10)의 단부(11)와 겉감(20)의 단부(21) 및 안감(30)의 단부(31)에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의 지퍼 부착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해리(40)의 절첩부(45)에 지퍼(10)의 자락부(15)를 내재한 상태에서 봉제하여 터지거나 헤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의 지퍼 부착방법.
  4. 제1항의 방법에 의하여 의복 중 원피스 또는 블라우스에 지퍼(10)의 단부(11)가 해리(40)의 절첩부(45)까지 최대한 상승된 위치로 부착되어 잠금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해리(40) 부분에 위치하여 임의로 벌어져 흘러내리지 않게 되는 지퍼(10)가 부착된 의복.
KR1020110038342A 2011-04-25 2011-04-25 의복의 지퍼부착 방법 및 그에 의한 의복 KR101211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342A KR101211377B1 (ko) 2011-04-25 2011-04-25 의복의 지퍼부착 방법 및 그에 의한 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342A KR101211377B1 (ko) 2011-04-25 2011-04-25 의복의 지퍼부착 방법 및 그에 의한 의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636A KR20120120636A (ko) 2012-11-02
KR101211377B1 true KR101211377B1 (ko) 2012-12-13

Family

ID=4750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342A KR101211377B1 (ko) 2011-04-25 2011-04-25 의복의 지퍼부착 방법 및 그에 의한 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5083B (zh) * 2020-11-09 2022-06-14 常熟理工学院 一种领口装拉链的制作方法
CN112315090B (zh) * 2020-11-09 2022-06-14 常熟理工学院 领口装拉链的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047Y1 (ko) 2001-06-13 2001-10-17 김우종 의류의 슬라이드 파스너 설치구조
JP2004353145A (ja) 2003-05-30 2004-12-16 Yoshida Henshoku Kk 衣服の部分固定構造
KR200399967Y1 (ko) 2005-08-20 2005-10-31 (주)주경 의류의 슬라이드파스너 봉제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047Y1 (ko) 2001-06-13 2001-10-17 김우종 의류의 슬라이드 파스너 설치구조
JP2004353145A (ja) 2003-05-30 2004-12-16 Yoshida Henshoku Kk 衣服の部分固定構造
KR200399967Y1 (ko) 2005-08-20 2005-10-31 (주)주경 의류의 슬라이드파스너 봉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636A (ko) 201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8965B1 (en) Kimono
US10433600B2 (en) Garment for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US10874199B2 (en) Upper body garment with integrated backpack
JP2003530256A (ja) 首部から入るウエットスーツ
US20180110268A1 (en) Extender for an outerwear
KR101211377B1 (ko) 의복의 지퍼부착 방법 및 그에 의한 의복
JP5560066B2 (ja) 防護服
US20150143606A1 (en) Adaptive shirt
JP2009275307A (ja) リュックサック兼用ジャンパーおよびジャンパーを転用したリュックサック
JP3134529U (ja) 携帯前掛け
JP6918061B2 (ja) 衣服
US20200297053A1 (en) Jacket, tie and shirt combination
KR20150097919A (ko)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상의
CA2977144C (en) Detachable t-shirt collar
JP3087648U (ja) マタニティ・ドレス兼用授乳用ドレス
JP3148409U (ja) 仏衣
JPS6211921Y2 (ko)
US20180055110A1 (en) Garment
JP3034656U (ja) 上 着
JP3087786U (ja) ベスト兼リュックサック
JP3064440U (ja) スラックスカバ―
JP3110399U (ja) 上下一体型衣服
JP3030593U (ja) フード付マント
JPH09296309A (ja) 和洋服変換着
JP2007100281A (ja) ブラジャーの肩紐ずり落ち防止フ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