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847B1 - 다공성 cnf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과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 cnf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과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847B1
KR101209847B1 KR1020100045385A KR20100045385A KR101209847B1 KR 101209847 B1 KR101209847 B1 KR 101209847B1 KR 1020100045385 A KR1020100045385 A KR 1020100045385A KR 20100045385 A KR20100045385 A KR 20100045385A KR 101209847 B1 KR101209847 B1 KR 101209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cnf
current collector
electrode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811A (ko
Inventor
권상균
김종수
최송이
성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100045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84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3Selection of materials containing carbon or carbonaceous materials as conductive part, e.g. graphite, carbon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80Porous plates, e.g. sintered carriers
    • H01M4/806Nonwoven fibrous fabric containing only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01G11/68Current col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도전성 탄소 나노 파이버(CNF) 웹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높고, 마크로포어(macro-pore)가 잘 발달되어 전해질의 침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비금속체로 이루어진 다공성 CNF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과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공성 CNF 집전체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도전성 탄소 나노 파이버(CNF) 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분자 물질을 방사하여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웹을 형성한 후 이를 안정화 및 탄화 공정을 거쳐 형성한다.
상기 다공성 CNF 집전체를 이용한 전극은 다공성 CNF 집전체의 기공 내에 전극활물질을 도전재 및 결합제와 함께 충진함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다공성 CNF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과 그의 제조방법{Fibrous Current Collector Comprising Carbon Nano Fiber, Electrod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공성 CNF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도전성 탄소 나노 파이버(CNF) 웹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높고, 마크로포어(macro-pore)가 잘 발달되어 전해질의 침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공성 CNF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품의 디지털화와 고성능화 등으로 소비자의 요구가 바뀜에 따라 시장요구도 박형, 경량화와 고에너지 밀도에 의한 고용량을 지니는 전지의 개발로 흐름이 바뀌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미래의 에너지 및 환경 문제를 대처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 및 연료전지 자동차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바, 자동차 전원용으로 전지의 대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고에너지 밀도 및 대용량의 리튬이온 이차전지, 리튬이온 고분자전지, 슈퍼 커패시터(전기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및 유사 커패시터(Pseudo capacitor))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는 한쌍의 전극과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하고 있다.
우선, 슈퍼 커패시터 중 슈도 커패시터는 전극활물질로 루테늄 산화물(ruthenium oxide)과 이리듐 산화물(Iridium oxide), 탄탈륨 산화물(tantalum oxide), 바나듐 산화물(vanadium oxide) 등의 금속산화물을 사용하고 있고,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전극활물질로서 높은 전기전도성, 열전도성, 낮은 밀도, 적합한 내부식성, 낮은 열팽창율 그리고 높은 순도를 지닌 다공성 탄소계 물질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커패시터에서 전극은 2차원 구조인 확장된 박판(expanded foil), 구멍 뚫린 박판(punched foil) 또는 기공 없는 박판을 집전체로 사용하며,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혹은 티타늄 박판(aluminium or titanium foil), 확장된 알루미늄 혹은 티타늄 박판(expanded aluminium or titanium foil) 집전체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밖에 구멍 뚫린 알루미늄 혹은 티타늄 박판(punched aluminium or titanium foil)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집전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집전체들은 2차원적 집전체로서, 전극활물질과 집전체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전극 제조 시에 결합제를 많이 사용하여야 한다거나, 집전체 표면을 개질 처리하여야 한다는 점과, 전극활물질을 두껍게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전극활물질의 이용률과 싸이클 수명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고, 고율 충방전 특성이 다소 저조하여 개선이 필요하다.
등록특허 10-0567393에는 상기한 문제를 고려하여 발포 금속(foamed metal), 금속 파이버(metal fiber), 다공성 금속(porous metal), 에칭된 금속(etched metal), 앞뒤로 요철화된 금속(metal) 등의 다공성 3차원 집전체를 이용한 전극 및 캐패시터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다공성 3차원 집전체의 재질은 니켈(Ni), 구리(Cu), 스텐레스 스틸(SUS), 티타늄(Ti), 바나듐(V), 크롬(Cr), 망간(Mn), 철(Fe), 코발트(Co), 아연(Zn), 몰리브덴(Mo), 텅스텐(W), 은(Ag), 금(Au), 루테늄(Ru), 플레티늄(Pt), 이리듐(Ir), 알루미늄(Al), 주석(Sn), 비스무스(Bi), 안티모니(Sb)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커패시터의 전극은 다공성 3차원 집전체의 기공 내에 전극활물질 입자를 도전재, 결합제, 유기용매와 함께 페이스트화하여 페이스트 도포방식으로 집전체 기공 내에 충진, 건조시킨 후 80℃ - 150℃의 고온에서 롤 프레스나 평판 프레스를 사용하여 10 kg/㎠ - 100 ton/㎠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전극을 제조하고 있다.
한편, 리튬전지는 리튬일차전지와 리튬이차전지로 대별할 수 있다. 리튬일차전지는 음극으로 리튬을 사용하고, 양극의 종류에 따라 Li-MnO2, Li-(CF)n, Li-SOCl2 등의 전지로 나누어진다. 리튬일차전지의 양극은 2차원 구조인 확장된 박판(expanded foil), 구멍 뚫린 박판(punched foil) 또는 기공 없는 박판을 집전체로 사용하므로, 고율 방전특성 및 이용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공이 없는 단일 방향의 박판을 사용하는 경우 Li 이온 및 전해질의 침투방향성이 일측 방향으로 제한되므로 전극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리튬이차전지의 경우는 음극으로 탄소계 물질을 사용하고, 양극으로 LiCoO2 또는 LiMn2O4를 사용하는 전지가 상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전지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전극 활물질의 이용률과 사이클 수명을 증대시키고, 고율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전극 활물질의 제조, 전극 활물질의 표면개질, 분리막과 고분자 전해질의 성능 향상, 유기용매 전해질의 성능향상 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용화된 리튬이온전지의 경우 음극에는 구리박판 집전체, 양극에는 알루미늄 박판 집전체가 사용되고 있으며, 리튬이온 폴리머전지의 경우 음극에는 확장된 구리 박판(expanded copper foil) 또는 구멍 뚫린 구리 박판(punched copper foil) 형태의 집전체가, 양극에는 확장된 알루미늄 박판(expanded aluminum foil) 또는 구멍 뚫린 알루미늄 박판(punched aluminum foil) 형태의 집전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집전체들은 2차원적 집전체로서, 전극 활물질과 집전체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전극 제조 시에 결합제를 많이 사용하거나, 집전체 표면을 개질 처리하여야 하거나, 전극 활물질을 두껍게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전극 활물질의 이용률과 사이클 수명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고, 고율 충방전 특성이 다소 저조하여 이의 개선이 필요하다
등록특허 10-0559364호에는 상기한 문제를 고려하여 등록특허 10-0567393호와 동일하게 발포 금속(foamed metal), 금속 파이버(metal fiber), 다공성 금속(porous metal), 에칭된 금속(etched metal), 앞뒤로 요철화된 금속(metal) 등의 다공성 3차원 집전체로 구성된 전극과 이를 이용한 리튬 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한 다공성 3차원 집전체 또한, Ni, Cu, SUS, Ti, V, Cr, Mn, Fe, Co, Zn, Mo, W, Ag, Au, Ru, Pt, Ir, Al, Sn, Bi 및 Sb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3차원 집전체는 기공 크기가 1 ㎛ ~ 10 ㎜인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공 크기를 균일하게 갖는 발포 금속(foamed metal), 금속 파이버(metal fiber), 다공성 금속(porous metal), 에칭된 금속(etched metal), 앞뒤로 요철화된 금속(metal)은 재료가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지 않다. 특히, 발포 금속 또는 다공성 금속의 경우 개포형(open cell type)의 다공성 3차원 구조체는 양산성이 낮고 제조비용이 높으며, 박판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고, 전기저항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어 체적대비 비표면적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다공성 3차원 집전체는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 포어(micro-pore)가 잘 발달되어 있지 못하여 전해질의 침투가 용이하지 못하고 표면의 거칠기도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전성 탄소 나노 파이버(CNF) 웹을 사용하여 전기전도도가 높고, 마크로포어(macro-pore)가 잘 발달되어 전해질의 침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금속체로 이루어진 다공성 CNF 집전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분자 물질을 방사하여 얻어진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웹이 탄화 열처리 공정을 거침에 따라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전극 활물질이 결합될 때 최소한의 결합제(binder)를 사용하여 전극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접착성이 우수한 다공성 CNF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과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분자 물질을 방사하여 얻어진 초극세 섬유상으로 이루어진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다공성 웹을 안정화 및 탄화 처리하여 연속공정으로 얻어지므로 양산성이 우수한 다공성 CNF 집전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극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될 경우 다공성 구조를 통하여 전지 C-rate 특성이 우수한 2차 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른 다공성 CNF 집전체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도전성 탄소 나노 파이버(CNF) 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NF 웹은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을 방사하여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웹을 안정화 및 탄화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얻어지며, 상기 고분자 물질은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탄화처리시에 열분해가 발생하지 않는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은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도전성 탄소 나노 파이버(CNF) 웹으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CNF 집전체와, 상기 다공성 집전체의 기공 내에 충진되어 있는 전극활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극은 리튬이온 이차전지, 리튬이온 고분자전지, 슈퍼 커패시터(전기이중층 커패시터(EDLC) 및 유사 커패시터(Pseudo capacitor))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전극에 사용되는 전극활물질로는 커패시터 활물질로서 종래에 알려진 어떠한 활물질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경우 활성 탄소, 탄소 에어로젤, 탄소 나노 튜브, 탄소 나노 섬유 등의 다공성 탄소 소재가 주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슈도 커패시터의 경우에는 루테늄 산화물, 이리듐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바나듐 산화물, 니켈 산화물, 코발트 산화물, 텅스텐 산화물 및 망간 산화물 등의 금속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고, 전도성고분자 커패시터인 경우에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아센 등의 전도성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이 리튬 전지에 적용되는 경우 전극에 사용되는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는 종래에 알려진 어떠한 활물질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일차전지의 경우에는 MnO2 또는 (CF)n이, 리튬이차전지의 경우에는 LiCoO2, LiNiO2, LiNiCoO2, LiMn2O4, LiMnO2, LiFePO4, V2O5 또는 V6O13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 주석 산화물, Si, Al, Sn, Bi, Sb, 이들의 혼합물 또는 화합물, 이들 음극 활물질을 리튬화(lithiation)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공성 3차원의 집전체 내에 충진되는 전극 활물질 조성은 전극 활물질, 결합제 및 도전재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와 같이, 다공성의 3차원 집전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은 양의 결합제를 사용하여 전극을 제조할 수 있고 전기 전도가 3차원적으로 일어나 도전재도 적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전극두께를 기존보다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나노크기 소재 활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극용량 및 고율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CNF 집전체의 제조방법은 탄화처리시에 열분해가 발생하지 않는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을 방사하여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공성 웹을 산화성 분위기에서 불융화하여 안정화하는 단계와, 상기 안정화된 다공성 웹을 불활성 분위기 및 진공하에서 열처리하여 탄화시킴에 의해 탄소 나노 파이버(CNF)로 이루어진 다공성 집전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화처리시에 열분해가 발생하지 않는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은 PAN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커패시터용 전극은 상기한 다공성 CNF 집전체를 이용하여 상기한 전극 활물질을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다공성 CNF 웹을 집전체로 사용하는 경우 이에 형성되는 전극 활물질, 특히 나노 크기의 양극 활물질은 전기분사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페이스트 코팅법보다 전기전도성 및 이온전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취급하기 쉽지 않은 CNF 웹 위에 물리적인 힘을 들이지 않고 코팅이 가능하며, 결합을 위한 바인더를 최소한으로 사용하여도 양극 활물질과 집전체의 결합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기분사공정은 양극 및 음극 활물질을 구형의 응집체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전해액의 이동이 원활할 뿐만 아니라, 이온전도도도 증가될 수 있는 구조로 제조할 수 있다.
양극 활물질을 전기분사방법으로 형성하는 경우, 다공성 3차원의 집전체 내에 충진되는 양극 활물질 조성은 양극 활물질, 결합제 및 도전재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커패시터의 전극은 다공성 CNF 집전체의 기공 내에 전극활물질을 도전재, 결합제, 유기용매와 함께 페이스트화하여 페이스트 도포방식으로 집전체의 기공 내에 충진한 후, 열건조시키는 방식으로 전극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전극활물질을 코팅할 때 전도성을 높이기 위해 함께 사용되는 도전제는 카본 블랙(carbon black)인 것이 바람직하고 카본 블랙 이외의 다른 도전제도 사용 가능하며, 결합제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CMC, SBR 등의 주지된 결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극세 섬유상 다공성 CNF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공성 CNF 집전체 구조]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공성 CNF 집전체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도전성 탄소 나노 파이버(CNF) 웹(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은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도전성 탄소 나노 파이버(CNF) 웹(20)으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CNF 집전체와; 상기 다공성 CNF 집전체의 기공 내에 충진되어 있는 전극활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공성 CNF 웹은 고분자 물질을 방사하여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웹을 안정화 및 탄화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얻어지며, 상기 고분자 물질은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탄화처리시에 열분해가 발생하지 않는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공성 CNF 집전체는 고분자 물질의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웹을 안정화 및 탄화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얻어지는 탄소 나노 파이버(CNF) 웹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전기전도도가 높아 전지 또는 커패시터의 전극용 집전체로서 요구되는 특성을 만족하고 있고, 또한, CNF 웹은 초극세 섬유가 3차원 네트워크(3D network) 구조를 가지고 있어 마크로포어(macro-pore)가 잘 발달되어 전해질의 침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공성 CNF 집전체는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웹이 탄화 열처리 공정을 거침에 따라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전극 활물질이 결합될 때 최소한의 결합제(binder)를 사용하여 전극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접착성이 우수하여 활물질이 탈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공성의 3차원 CNF 집전체를 사용하므로 적은 양의 결합제를 사용하여 전극을 제조할 수 있고 전기전도가 3차원적으로 일어나 도전재도 적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극용량 및 고율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전극 활물질 입자를 도전재, 결합제 및 용매와 함께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준비한 후, 이를 CNF 집전체에 전기분사하여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전극 활물질 입자를 도전재, 결합제 및 용매와 함께 페이스트화하고, 이를 3차원 다공성 구조를 갖는 CNF 집전체의 기공 내에 페이스트 도포 방식으로 균일하게 충진시킨다. 그 다음, 이를 열 건조시켜서 전극을 얻는다.
본 발명은 음극 활물질 또는 양극 활물질을 다공성 3차원 집전체의 기공 내에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고, 결합제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전극 내의 전극 활물질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전재의 사용량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은 전기 전도성이 향상되어 전극에서의 전류 및 전위 분포도가 일정하게 되어 국부적인 과충전 반응이 억제되고, 전극 활물질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전극의 이용률 및 사이클 수명이 증대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은 다공성 고분자 등의 분리막을 사용하는 리튬전지,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고분자 전지 및 고체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박막전지에 음극 및/또는 양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공성 CNF 제조]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CNF 집전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집전체의 제조방법은 탄화처리시에 열분해가 발생하지 않는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을 방사하여 초극세 섬유(5)로 이루어진 다공성 웹(7)을 형성하는 단계(S10)와, 상기 다공성 웹을 산화성 분위기에서 불융화하여 안정화하는 단계(S20)와, 상기 안정화된 다공성 웹을 불활성 분위기 및 진공하에서 열처리하여 탄화시킴에 의해 탄소 나노 파이버(CNF) 웹(20)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CNF 집전체를 형성하는 단계(S30)를 포함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다공성 CNF 집전체를 얻는다.
본 발명에서는 다공성 웹을 제조할 때 도 1에 나타낸 전기방사장치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전기방사(electrospinning) 방법은 고분자 용액이 방사되는 방사노즐(4)과 콜렉터(6) 사이에 30cm의 거리를 두고 90~120Kv의 고전압 정전기력을 인가함에 의해 콜렉터(6)에 초극세 섬유(5)가 방사되어 초극세 섬유(5)가 3D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다공성 웹(7)을 형성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전기방사장치는 고분자 물질이 용매와 혼합된 방사용액이 저장되는 방사용액탱크(1)와, 고전압 발생기가 연결된 방사노즐(4)을 포함한다.
상기 방사노즐(4)은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형태의 접지된 콜렉터(6)의 상측에 배치되며, 콜렉터(6)의 진행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열로 배치되어 있고, 각 열마다 다수의 방사노즐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방사용액탱크(1)는 믹싱 모터(2a)를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교반기(2)를 내장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정량 펌프와 이송관(3)을 통하여 각 열의 방사노즐(4)에 연결되어 있다.
다수 열의 방사노즐(4)로부터 순차적으로 토출되는 고분자 방사용액은 고전압 발생기에 의하여 하전된 방사노즐(4)을 통과하면서 각각 초극세 섬유(5)로 방출되어,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형태의 접지된 콜렉터(6) 위에 초극세 섬유가 순차적으로 축적되어 미리 설정된 두께의 다공성 웹(7)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멀티-홀(multi-hole) 방사팩을 사용하여 각 열의 방사노즐(4)마다 전기방사 방법으로 다공성 웹(7)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멀티-홀 방사팩 노즐(Spin pack nozzle)은 에어압을 예를 들어, 245mm/61홀일 때 0.5MPa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공성 웹(7)을 형성하기 위하여 먼저 고분자 물질, 예를 들어, 탄화처리시에 열분해가 발생하지 않는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로서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을 용매, 예를 들어, 디메틸 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 또는 디메틸 아세트마아미드(di-methylacetamide, DMAc)에 첨가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한다.
이 경우, 고분자 물질을 용매에 10~17중량% 범위로 용해시켜서 방사용액을 준비하며, 필요에 따라 용매는 비등점(BP: boiling point)이 높은 것과 낮은 것을 혼합한 2성분계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방사용액을 준비한 후 멀티-홀 노즐팩을 사용하여 전기방사(electrospinning) 방법으로 방사를 진행할 때 방사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는 방사되는 섬유로부터 용매의 휘발에 지대한 영향을 주게 되어 적정한 조건이 설정되지 못하는 경우 섬유 형성 유/무를 결정하게 되며, 또한 섬유의 직경과 비드의 형성 유/무가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방사용액을 준비한 후 예를 들어, 4열의 방사노즐(4)이 배치된 멀티-홀 노즐팩을 사용하여 전기방사(electrospinning) 방법으로 방사를 진행하면 4열의 방사노즐(4)로부터 방사가 이루어지면서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형태의 접지된 콜렉터(6)의 상측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공성 웹(7)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집전체의 제조에 사용 가능한 방사방법으로는 전기방사 이외에 다른 방사방법도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전기분사방사(electroblown spinning), 원심전기방사(centrifugal electrospinning), 에어 전기방사(AES: Air-electrospinning) 및 플래쉬 전기방사(flash-electrospinning)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웹(7)은 다수 열의 방사노즐(4)로부터 1~2um 직경의 초극세 섬유(5)의 방사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다수 열의 방사노즐(4)로부터 섬유의 생성과 동시에 3차원의 네트워크 구조로 융착되어 초극세 섬유(5)로 이루어진 것으로, 각 웹은 초박막, 초경량으로서, 부피 대비 표면적 비가 높고, 높은 기공도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다공성 웹(7)은 바람직하게는 그 후 프리히터에 의한 선 건조구간(Pre-air Dry Zone)(8)을 통과하면서 다공성 웹(7)의 표면에 잔존해 있는 용매와 수분의 양을 조절하는 공정을 거친 후 안정화 공정(S20) 및 탄화 공정(S30)이 이루어진다.
프리히터에 의한 선 건조구간(Pre-Air Dry Zone)은 20~40℃의 에어를 팬(fan)을 이용하여 웹에 인가하여 다공성 웹(7)의 표면에 잔존해 있는 용매와 수분의 양을 조절함에 의해 다공성 웹(7)이 벌키(bulky)해지는 것을 조절하여 집전체의 강도를 증가시켜주는 역할과 동시에 다공성(Porosity)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다공성 웹의 안정화 공정(S20)은 초극세 섬유(5)로 이루어진 다공성 웹(7)을 1~5℃/min의 승온 속도로 350℃까지 승온하여 1시간 유지시키며 압축공기를 분당 0.5~20ml로 공급하는 산화성 가스분위기하에서 불융화하여 안정화한다.
그 후, 상기 안정화된 다공성 웹(7)은 탄화 공정(S30)을 위해 질소, 아르곤 가스와 같은 불활성 분위기 또는 진공분위기에서 5℃/min으로 700-1000℃까지 승온한 후 1시간 유지하면서 탄소화시켜 고분자 물질인 PAN에서 탄소를 제외한 나머지 잔기를 제거하여 다공성 CNF 웹(20)을 얻는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초극세 섬유(5)로 이루어진 다공성 CNF 웹(20)을 구성하는 섬유 직경은 1-2㎛범위이고, 다공성 CNF 웹(20)의 두께는 30~50㎛이며, 다공성 CNF 웹(20)의 기공도는 60~90%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웹의 기공도가 60% 미만에서는 전극 활물질 슬러리가 코팅되기 어렵고 집전체의 반대 방향까지 슬러리가 침투되는 문제가 있고, 기공도가 90%를 초과하게 되면 전극 활물질 슬러리가 집전체의 표면에만 코팅이 되기 때문에 3D network의 이점을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전극 구조]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은 상기와 같이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도전성 탄소 나노 파이버(CNF) 웹을 연속공정으로 제조한 후, 얻어진 CNF 웹을 전지 크기로 절단하여 전지 또는 커패시터의 집전체로 사용하여 상기 다공성 CNF 집전체의 기공 내에 전극활물질을 충진시키면 전극이 얻어진다.
상기 전극은 리튬이온 이차전지, 리튬이온 고분자전지, 슈퍼 커패시터(전기이중층 커패시터(EDLC) 및 유사 커패시터(Pseudo capacitor))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전극에 사용되는 전극활물질로는 커패시터 활물질로서 종래에 알려진 어떠한 활물질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경우 상기 전극활물질로 사용되는 카본블랙(CB), 수퍼-P(Super-P), 아세틸렌 블랙, 미세 흑연 분말, 탄소나노튜브(CNT), 또는 섬유상의 탄소인 휘스커(whisker)나 섬유(fiber), 증기성장탄소섬유(VGCF, vapor grown carbon fiber), 탄소 나노섬유(carbon nanofiber), 탄소 에어로겔 등의 전도성 나노 탄소 입자 또는 다공성 탄소 소재가 주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슈도 커패시터의 경우에는 루테늄 산화물, 이리듐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바나듐 산화물 등의 금속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고, 전도성고분자 커패시터인 경우에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아센 등의 전도성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공성 3차원의 집전체 내에 충진되는 전극 활물질 조성은 전극 활물질, 결합제 및 도전재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극이 리튬 전지에 적용되는 경우 예를 들면,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일차전지의 경우에는 MnO2 또는 (CF)n이, 리튬이차전지의 경우에는 LiCoO2, LiNiO2, LiNiCoO2, LiMn2O4, LiMnO2, LiFePO4, V2O5 또는 V6O13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 주석 산화물, Si, Al, Sn, Bi, Sb, 이들의 혼합물 또는 화합물, 이들 음극 활물질을 리튬화(lithiation)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커패시터용 전극은 상기한 다공성 CNF 집전체를 이용하여 상기한 전극 활물질을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CNF 집전체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도전성 탄소 나노 파이버(CNF) 웹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높고, 마크로포어(macro-pore)가 잘 발달되어 전해질의 침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음극 활물질 또는 양극 활물질을 다공성 3차원 CNF 집전체의 기공 내에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고, 결합제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전극 내의 전극 활물질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도전재의 사용량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은 전기 전도성이 향상되어 전극에서의 전류 및 전위 분포도가 일정하게 되어 국부적인 과충전 반응이 억제되고, 전극 활물질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전극의 이용률 및 사이클 수명이 증대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초극세 섬유상 다공성 웹을 연속 방사한 후 안정화와 탄화 공정을 거침에 따라 다공성 CNF 집전체가 얻어지므로 양산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CNF 집전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다공성 집전체용 CNF 웹을 나타낸 평면도 및 도 2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양극의 단면 확대 사진이고,
도 5는 CNF 웹 집전체 위에 양극 활물질로 LiMn2O4를 전기분사한 경우의 확대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CNF 집전체를 이용한 전극을 시험하기 위하여 LIC 샘플 제조하여 특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고분자 물질로 PAN 15g을 디메틸아세트 아미드(DMAc) 용매 85g에 첨가하고 방사용액을 준비한 후, 이 방사용액은 방사용액탱크에 투입하고, 고분자 용액을 토출하였다. 고전압 발생기를 사용하여 방사 노즐 팩(Spin Nozzle Pack)에 100kV 전압을 부여함과 동시에 방사 노즐에 0.5MPa의 압력을 부여하면서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웹을 제조하였다. 이때 방사노즐과 콜렉터 사이의 거리는 30cm로 설정하였다.
얻어진 다공성 웹은 산소 분위기에서 5℃/min의 승온속도로 350℃까지 승온하여 1시간 유지시켜 안정화한 후, 질소 분위기하에서 5℃/min으로 800℃까지 승온한 후 1시간 유지하면서 탄소화시킴에 의해 CNF 웹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CNF 웹에 대한 확대 이미지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이어서, 양극 활물질로 LiMn2O4 나노분말과 도전재(CB) 및 바인더(PVdF)를 96:3:1 조성비로 혼합한 것을 용매에 분산시켜 얻어진 방사용액을 전기분사(electro spraying)방법으로 집전체로서 제조된 CNF 웹을 사용하여 CNF 웹 위에 방사하여 이차전지용 양극을 제조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양극의 단면 확대 사진이고, 도 5는 CNF 웹 집전체 위에 양극 활물질로 LiMn2O4를 전기분사한 경우의 확대 사진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 리튬이온 고분자 전지, 슈퍼 커패시터 등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에서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CNF 집전체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전극 및 전지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8)

  1.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도전성 탄소 나노 파이버(CNF) 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CNF 집전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탄소 나노 파이버(CNF) 웹은 탄화처리시에 열분해가 발생하지 않는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을 방사하여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웹을 안정화 및 탄화 열처리하여 얻어지며,
    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집전체.
  3.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도전성 탄소 나노 파이버(CNF) 웹으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CNF 집전체와;
    상기 다공성 CNF 집전체의 기공 내에 충진되어 있는 전극활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리튬이온 이차전지, 리튬이온 고분자전지,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DLC) 및 유사 커패시터(Pseudo capacitor)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5. 탄화처리시에 열분해가 발생하지 않는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을 방사하여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공성 웹을 산화성 분위기에서 불융화하여 안정화하는 단계와,
    상기 안정화된 다공성 웹을 불활성 분위기 및 진공하에서 열처리하여 탄화시킴에 의해 탄소 나노 파이버(CNF)로 이루어진 다공성 CNF 집전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CNF 집전체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CNF 집전체의 제조방법.
  7. 탄화처리시에 열분해가 발생하지 않는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을 방사하여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웹을 형성한 후, 안정화 및 탄화 처리하여 탄소 나노 파이버(CNF)로 이루어진 다공성 CNF 집전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전극활물질, 도전재 및 결합제의 혼합물을 용매에 용해하여 준비된 방사용액을 상기 다공성 CNF 집전체에 전기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의 제조방법.
  8. 탄화처리시에 열분해가 발생하지 않는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을 방사하여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웹을 형성한 후, 안정화 및 탄화 처리하여 탄소 나노 파이버(CNF)로 이루어진 다공성 CNF 집전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전극활물질, 도전재 및 결합제의 혼합물을 용매에 용해하여 준비된 페이스트를 상기 다공성 CNF 집전체의 기공에 충진한 후 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의 제조방법.
KR1020100045385A 2010-05-14 2010-05-14 다공성 cnf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과 그의 제조방법 KR101209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385A KR101209847B1 (ko) 2010-05-14 2010-05-14 다공성 cnf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과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385A KR101209847B1 (ko) 2010-05-14 2010-05-14 다공성 cnf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과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811A KR20110125811A (ko) 2011-11-22
KR101209847B1 true KR101209847B1 (ko) 2012-12-07

Family

ID=4539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385A KR101209847B1 (ko) 2010-05-14 2010-05-14 다공성 cnf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과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8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448B1 (ko) 2013-07-04 2013-11-0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활성탄소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 다공성 활성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캐패시터용 cnf 전극
US9887048B2 (en) 2015-02-24 2018-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retchable super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336B1 (ko) * 2010-05-24 2013-06-18 주식회사 아모텍 다공성 cnf 집전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커패시터용 전극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커패시터
KR101600185B1 (ko) * 2014-07-31 2016-03-0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용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4852B1 (ko) * 2017-12-29 2019-05-31 한국과학기술원 나노 섬유 그물구조를 활용한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019559B (zh) * 2018-09-27 2020-08-25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元素掺杂三维多孔碳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6860751B1 (ja) * 2019-06-28 2021-04-21 帝人株式会社 繊維状炭素を含む全固体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活物質層、及び全固体リチウム二次電池
KR102219283B1 (ko) * 2019-08-07 2021-02-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탄소섬유-활물질 복합체와 그 제조 방법 및 탄소섬유-활물질 복합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
CN114420940A (zh) * 2022-02-07 2022-04-29 大连中比动力电池有限公司 一种锂离子二次电池用的集流体及其制备方法与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021B1 (ko) 2002-01-03 2005-09-26 양갑승 정전 방사에 의한 카본나노파이버의 제조와 이의전기이중층 캐퍼시터용 전극 제조
US20070048521A1 (en) 2005-08-25 2007-03-01 Rudyard Istvan Activated carbon fibers, methods of their preparation, and devices comprising activated carbon fib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021B1 (ko) 2002-01-03 2005-09-26 양갑승 정전 방사에 의한 카본나노파이버의 제조와 이의전기이중층 캐퍼시터용 전극 제조
US20070048521A1 (en) 2005-08-25 2007-03-01 Rudyard Istvan Activated carbon fibers, methods of their preparation, and devices comprising activated carbon fib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448B1 (ko) 2013-07-04 2013-11-0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활성탄소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 다공성 활성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캐패시터용 cnf 전극
US9887048B2 (en) 2015-02-24 2018-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retchable super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811A (ko)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847B1 (ko) 다공성 cnf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과 그의 제조방법
Kang et al. Binder-free electrodes and their application for Li-ion batteries
Agubra et al. Composite nanofibers as advanced materials for Li-ion, Li-O2 and Li-S batteries
KR101293276B1 (ko) 다공성 폴리머 웹 집전체 및 그의 제조방법
TW201946323A (zh) 鋰離子電池及電池材料
US20180248175A1 (en) Mixed allotrope particulate carbon films and carbon fiber mats
KR101580039B1 (ko) 다공성 탄소-실리콘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탄소-실리콘 복합체
US20190173125A1 (en) Lithium ion battery and battery materials
KR101477782B1 (ko) 고분자 나노섬유, 알루미늄 박막, 탄소나노튜브 및 유황의 복합체를 이용한 리튬-황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US20180331352A1 (en) Carbon composites
KR102248225B1 (ko) 전고체 전지용 전극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276336B1 (ko) 다공성 cnf 집전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커패시터용 전극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커패시터
WO2010103927A1 (ja) 導電性シートおよび電極
Zhang et al. Mass production of three-dimensional hierarchical microfibers constructed from silicon–carbon core–shell architectures with high-performance lithium storage
KR101893268B1 (ko) 기공 네트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JP7048842B2 (ja) 全固体電池用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108979A (ko) 세리아-탄소-황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황 전지
KR100992394B1 (ko) 카본-금속산화물 복합체의 음극 활물질을 구비한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와, 이차전지용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JP2022538822A (ja) パターンが形成された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用正極、こ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
CN106848379B (zh) 含吸湿性物质的锂二次电池用电极及包含其的锂二次电池
KR20130116420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497217B (zh) 电极及其制备方法、电池
CN114631203A (zh) 锂硫电池用正极及其制造方法
Li et al. Carbon nanofiber interlayer: a highly effective strategy to stabilize silicon anodes for use in lithium-ion batteries
KR20220067478A (ko) 전고체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