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968B1 -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968B1
KR101208968B1 KR1020100005500A KR20100005500A KR101208968B1 KR 101208968 B1 KR101208968 B1 KR 101208968B1 KR 1020100005500 A KR1020100005500 A KR 1020100005500A KR 20100005500 A KR20100005500 A KR 20100005500A KR 101208968 B1 KR101208968 B1 KR 101208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tection
scene
control circu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8530A (ko
Inventor
야스타카 나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8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Abstract

씬 판별에 있어서, 유저의 조작에 의한 영향을 저감한다. 촬상장치는, 검출된 피사체의 움직임 및 촬상장치의 진동과, 촬상된 화상을 포함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씬 판별을 행할 때에, 유저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접수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 및 상기 촬상장치의 진동 중 한쪽이 씬 판별에 기여하는 정도를 제한한다.

Description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촬상장치 및 그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스틸 카메라등의 촬상장치 중에는, 촬영 데이터나, 장치본체의 움직임 정보등의 여러가지 정보를 사용해서 촬영 씬(scene)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씬에 따른 최적의 촬영조건으로 촬상하는 장치들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0-75351). 씬 판별은, 자동 촬영모드 선택으로서 공지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씬 판별에 사용하는 정보에 유저의 조작에 의한 영향이 포함되어서, 씬 판별의 신뢰성이 저하하는 것이 있었다. 예를 들면, 유저의 버튼 조작에 의해 손 떨림 정보가 변동하여, 비록 촬상장치가 삼각에 고정되어 있을지라도 그 촬상장치가 소지 촬영 모드라고 판별되는 경우의 예가 있었다. 또한, 줌 조작에 의한 화각변동에 의해 움직임 벡터 정보가 변동하여, 비록 상기 씬이 정지하고 있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씬일지라도 스포츠 모드라고 판별되는 경우의 예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씬 판별에 있어서, 유저의 조작에 의한 영향을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촬상장치, 및 그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 국면에 따른 촬상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와, 촬상장치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포함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씬(scene) 판별을 행하는 씬 판별부; 및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씬 판별부는, 상기 조작 부재가 유저에 의해 조작될 때까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 결과를 취득하고, 상기 촬상된 화상 및 상기 취득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씬 판별을 행하는 동작을 반복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동안, 상기 촬상된 화상 및 상기 조작 부재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기 전에 취득한 상기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씬 판별을 행한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에 따른 촬상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와, 본 촬상장치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포함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씬 판별을 행하는 씬 판별부; 및 유저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접수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조작 지시를 접수했을 경우에, 상기 씬 판별부는 상기 씬 판별을 행하지만, 상기 검출부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과 본 촬상장치의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3 국면에 따른,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부재를 갖는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단계와, 상기 촬상장치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검출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출단계; 및 상기 검출 단계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포함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씬 판별을 행하는 씬 판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씬 판별단계는, 상기 조작 부재가 유저에 의해 조작될 때까지, 상기 검출 단계에서 검출 결과를 취득하고, 상기 촬상된 화상 및 상기 취득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씬 판별을 행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부재가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동안, 상기 촬상된 화상 및 상기 조작 부재가 유저에 의해 조작되기 전에 취득한 상기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씬 판별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국면에 따른,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유저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접수하는 조작부를 갖는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단계와, 본 촬상장치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검출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출단계; 및 상기 검출 단계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포함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씬 판별을 행하는 씬 판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지시를 접수했을 경우에, 상기 씬 판별단계에서 상기 씬 판별을 행하지만, 상기 검출단계에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과 상기 촬상장치의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씬 판별에 있어서, 유저의 조작에 의한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동작의 주요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동작의 주요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4a 및 4b는 씬 판별 처리의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5는 씬 판별 처리의 다른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일뿐이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다. 촬상 렌즈(10)는, 피사체상을 촬상소자(14)에 결상시키는 광학 렌즈이다. 셔터(12)에는, 조리개 기능이 구비된다. 촬상소자(14)는, CCD나 CMOS이미지센서등이며, 촬상 렌즈(10)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한다. A/D변환기(16)는, 상기 촬상소자(14)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타이밍 발생 회로(18)는, 메모리 제어회로(22) 및 시스템 제어회로(50)의 제어하에, 촬상소자(14), A/D변환기(16), D/A변환기(26)에 클록 신호나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화상처리회로(20)는, A/D변환기(16)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또는 메모리 제어회로(2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소보간 처리나 색 변환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상처리회로(20)에 있어서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그 얻어진 연산 결과를 시스템 제어회로(50)에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화상처리회로(20)로부터 얻어진 연산 결과에 의거하여, 노광 제어부(40) 및 측거 제어부(42)에 대하여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TTL(스루 더 렌즈)(through-the-lens)방식의 AF(오토 포커스)처리, AE(자동노출)처리 및 플래쉬 프리-발광(flash pre-fire) 처리를 행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화상처리회로(20)로부터 얻어진 연산 결과에 의거하여, TTL방식의 AWB(오토 화이트 밸런스)처리도 행한다.
메모리 제어회로(22)는, A/D변환기(16), 타이밍 발생 회로(18), 화상처리회로(20), 화상표시 메모리(24), D/A변환기(26), 메모리(30), 압축/신장 회로(32)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 제어회로(22)의 제어 하에서는, A/D변환기(16)로부터 출력된 데이터가 화상처리회로(20) 및 메모리 제어회로(22)를 거쳐서 화상표시 메모리(24) 또는 메모리(30)에 기록된다. 또는, 메모리 제어회로(22)의 제어 하에서는, A/D변환기(16)로부터 출력된 데이터가 메모리 제어회로(22)를 거쳐서만 화상표시 메모리(24) 또는 메모리(30)에 기록된다.
화상표시 메모리(24)는, 화상표시부(28)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다. D/A변환기(26)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화상표시부(28)는, TFT 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등이다. 화상표시 메모리(24)에 기록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는, D/A변환기(26)를 거쳐서 화상표시부(28)에 의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촬상소자(14)로 연속적으로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동영상으로서 실시간으로 화상표시부(28)에서 연속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전자 뷰파인더(viewfinder)(EVF)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화상표시부(28)는, 시스템 제어회로(50)의 지시에 의해 원하는 대로 표시를 ON/OFF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화상표시부(28)는, 회전가능한 힌지부(미도시됨)에 의해 촬상장치(100)와 결합되어도 좋다. 이 경우, 촬상장치(100)에서는, 힌지부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화상표시부(28)에 대해 방향과 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한 화상표시부(28)에 있어서의 전자 뷰 파인더 기능, 재생/표시 기능, 각종 표시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모리(30)는, 촬상한 정지화상이나 동화상등의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다. 또한, 메모리(30)는, 소정매수의 정지화상이나 소정시간 길이의 동화상을 격납하는데도 충분한 기억량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촬상장치(100)에서는, 복수매의 정지화상을 연속해서 촬상하는 연속 촬상이나, 파노라마 촬상등에 의해 촬상한 화상들도, 메모리(30)가 격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메모리(30)는, 시스템 제어회로(50)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축/신장 회로(32)는, 적응 이산 코사인 변환(ADCT)등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압축 또는 신장한다. 압축/신장 회로(32)는, 메모리(30)에 격납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해서 압축 처리 또는 신장 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된 데이터를 메모리(30)에 다시 격납한다.
노광 제어부(40)는, 조리개 기능을 갖추는 셔터(12)의 개/폐를 제어하고, 플래쉬(404)와 연계 함에 의해 플래쉬 라이트를 변조하는 기능도 갖는다. 측거 제어부(42)는, 촬상 렌즈(10)의 포커싱을 제어한다. 노광 제어부(40) 및 측거 제어부(42)는, TTL방식을 사용해서 시스템 제어회로(50)에 의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처리회로(20)에 의해 연산한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시스템 제어회로(50)가 노광 제어부(40) 및 측거 제어부(42)를 제어한다.
줌 제어부(44)는, 시스템 제어회로(50)의 제어하에, 촬상 렌즈(10)의 주밍을 제어한다. 손 떨림 검출/방진제어부(46)는, 시스템 제어회로(50)의 제어하에, 손 떨림 등에 의한 촬상장치(100)의 움직임을 검출함과 아울러, 그 검출된 움직임에 따라 손 떨림 보정기구(102)의 제어도 주관한다. 즉, 촬상장치(100)에서는, 손 떨림 검출/방진제어부(46)가 그 촬상장치(100)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진동 검출부이다. 또한, 손 떨림 검출/방진제어부(46)에 있어서의 촬상장치(100)의 움직임 검출은, 그 장치내에 설치된 자이로 센서나 가속도 센서(모두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음)등의 출력값에 근거해서 행해진다.
악세사리 슈(shoe)라고도 불린 커넥터(48)는, 플래쉬 장치(400)와의 전기접점이나 기계적인 고정 유닛도 구비하고 있다.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촬상장치(100) 전체를 제어한다. 메모리(52)는, 시스템 제어회로(50)의 동작용의 정수, 변수, 프로그램 코드 등을 기억한다.
불휘발성메모리(56)는, 시스템 제어회로(50)의 제어하에, 전기적으로 소거/기록이 가능한 메모리이며, 예를 들면 그 메모리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모드 다이알(60), 셔터 스위치(62)(SWl), 셔터 스위치(64)(SW2), 줌 버튼(66) 및 조작부(70)는 유저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접수하는 조작부들이다. 이들의 조작부는, 스위치나 다이알, 터치패널 등의 단수 또는 복수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유저로부터 접수한 각종의 동작 지시를 시스템 제어회로(50)에 입력한다.
여기에서, 상기의 조작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모드 다이알(60)은, 전원 온/오프, 자동 촬상 모드, 수동 촬상 모드, 파노라마 촬상 모드, 재생 모드, PC접속 모드 등의 각 동작 모드간에 전환을 하기 위해서 상기 유저로부터 지시를 접수한다.
셔터 스위치(62)(SWl)는, 셔터 버튼(미도시됨)의 도중조작으로 ON이 됨으로써, AF처리, AE처리, AWB처리 및 플래쉬 프리 발광 처리 등의 동작(촬상준비 동작)시작의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하고, 그 지시를 접수한 것을 시스템 제어회로(50)에게 통지한다. 셔터 스위치(64)(SW2)는, 셔터 버튼의 조작완료시에 ON으로 전환됨으로써, 노광 처리, 현상 처리, 기록 처리라고 하는 일련의 촬상동작의 시작의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하고, 그 지시를 접수한 것을 시스템 제어회로(50)에게 통지한다.
노광 처리는, 시스템 제어회로(50)의 제어하에, 촬상소자(14)로부터 판독한 신호를 A/D변환기(16) 및 메모리 제어회로(22)를 거쳐서 메모리(30)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처리다. 현상 처리는, 시스템 제어회로(50)의 제어하에, 메모리(30)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에 화상처리회로(20)와 메모리 제어회로(22)에서의 연산을 실행하는 처리다. 기록 처리는, 시스템 제어회로(50)의 제어하에, 메모리(3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해서 압축/신장 회로(32)에서 압축을 행하고, 기록 매체(200)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처리다.
줌 버튼(66)은, 광각측과 망원측 사이에서 주밍을 지시하기 위한 각각의 버튼을 갖고, 이것들의 버튼이 ON이 됨으로써, 시스템 제어회로(50)를 거쳐서 줌 제어부(44)에 주밍의 지시를 낸다. 또한, 줌 버튼(66) 대신에, 줌 링을 렌즈 경통의 주위에 배치하고, 이 줌 링의 회전 방향에 따라 광각측 또는 망원측에 주밍을 지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조작부(70)는,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각종 버튼이나 터치패널 등이다. 예를 들면, 조작부(70)에는, 메뉴 버튼, 세트 버튼, 십자 버튼 등의 각 기능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들 등이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세트 버튼을 조작하면, 화상표시부(28)는 화이트 밸런스의 모드, 노출 보정값, 화상 데이터의 압축율, 및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 등을 변경하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한다. 한층 더, 유저는 십자 버튼으로 설정을 변경하고 싶은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하고, 설정 값을 변경함으로써, 그 아이콘으로 표시된 기능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I/F부(90)는 기록 매체(20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커넥터(92)는 전술한 기록 매체와의 접속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매체를 부착하는 인터페이스 및 커넥터로 이루어진 1계통이 있지만, 기록 매체를 부착하는 인터페이스 및 커넥터는, 단수 또는 복수의 어느쪽의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다른 규격의 인터페이스들 및 커넥터들을 조합해서 구성하여도 된다.
손 떨림 보정기구(102)는, 손 떨림 검출/방진제어부(46)의 제어에 따라 손 떨림 보정용 렌즈를 구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손 떨림 보정기구(102)는, 손 떨림 검출/방진제어부(46)의 제어에 따라, 촬상장치(100)의 진동에 의한 피사체상의 떨림을 캔슬하도록 손 떨림 보정용 렌즈를 구동한다.
통신제어부(111)는, 시스템 제어회로(50)의 제어하에서, RS232C나 USB, IEEE1394, P1284, SCSI, 모뎀, LAN 또는 무선통신 등의 각종 통신기능의 제어를 행한다. 커넥터(112)는, 통신제어부(111)의 제어하에서, USB나 IEEE1394등의 유선에 의해 다른 기기와 접속한다. 안테나(114)는, 통신제어부(113)의 제어하에, IEEE802.11b, IEEE802.11g등의 무선LAN통신, 블루투쓰(Bluetooth)등의 확산 스펙트럼 통신등에 의한 무선통신, IrDA등의 적외선통신 등에 의해 다른 기기와 접속한다.
기록 매체(200)는, 메모리 카드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기록 매체(200)는, 반도체 메모리나 자기디스크 등으로 구성된 기록부(202), 촬상장치(100)와 접속하기 위한 I/F부(204) 및 커넥터(206)를 구비하고 있다.
플래쉬 장치(400)는, 커넥터(402)와 플래쉬(404)를 구비한다. 커넥터 402는, 촬상장치(100)의 악세사리 슈인 커넥터48과 접속한다. 플래쉬(404)는, 커넥터(402, 48)를 거쳐서 접속하는 시스템 제어회로(50)의 제어하에서, 피사체에 보조광을 투사한다. 시스템 제어회로(50)의 제어하에서, 플래쉬(404)는, AF보조광의 투광기능, 플래쉬 광 변조 기능을 가져도 좋다.
움직임 검출부로서의 얼굴 검출/움직임 벡터 검출 처리부(500)는, 화상처리결과로부터 인물의 얼굴이나 화상간의 피사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움직임 벡터를 검출한다. 얼굴 검출/움직임 벡터 검출 처리부(500)에 있어서의 인물의 얼굴의 검출 방법은, 공지의 기술을 적용가능해서, 본 발명과는 직접 관계되지 않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공지의 얼굴 검출 기술로서는, 뉴럴 네트워크등을 이용한 학습에 근거하는 수법과, 템플릿 매칭을 사용해서 눈, 코, 입등의 형상에 특징이 있는 부위를 화상으로부터 찾아내고, 유사도가 높은 부위를 얼굴로 간주하는 수법이 있다. 추가로, 피부의 색이나 눈의 형태 등의 화상 특징량을 검출하고, 통계적 해석을 사용한 다수의 수법이 제안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이것들의 복수의 수법을 조합함으로써 얼굴 검출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구체적인 일례로서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251380호에 기재된, 웨이브렛(wavelet) 변환과 화상 특징량을 이용해서 얼굴 검출하는 수법들을 들 수 있다. 또한, 얼굴 검출/움직임 벡터 검출 처리부(500)에 있어서의 움직임 벡터의 검출 방법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다음에,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시스템 제어회로(50)의 제어하에서 촬상장치(100)가 행하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촬상장치(100)의 동작의 주요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우선, 도 2 및 도 3을 참조해서 촬상장치(100)의 동작의 주요 루틴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전원투입에 의해, 시스템 제어회로(50)는, 플래그나 제어 변수를 초기화하는 디폴트(default) 설정값을 설정하고(단계 SlOl), 화상표시부(28)의 표시를 ON상태의 디폴트 설정값으로 설정한다(단계 SlO2).
이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모드 다이알(60)의 설정 위치를 판정한다(단계 SlO3). 모드 다이알(60)이 전원 OFF로 설정되어 있으면, 시스템 제어회로(50)는, 화상표시부(28)의 표시를 종료 상태로 변경하고, 화상표시부(28)를 포함하는 촬상장치(100)의 각 부의 불필요한 전원을 차단하는 등의 소정의 종료 처리를 행한다(단계 SlO5). 또한, 종료 처리 후는 단계 SlO3으로 처리가 되돌아간다.
모드 다이알(60)이 촬상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단계 SlO6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또한, 모드 다이알(60)이 촬상 모드이외의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선택된 모드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lO4), 그 처리 후에 단계 SlO3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lO6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지잔량이나 동작 정황이 촬상장치(100)의 동작에 문제가 있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단계 SlO6에 있어서 문제가 있는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화상표시부(28)를 사용해서 화상으로 소정의 경고 표시를 행하고 나서(단계 SlO8), 단계 SlO3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lO6에 있어서 문제가 없는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기록 매체(200)의 동작 상태가 촬상장치(100)의 동작, 특히 기록 매체에/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기록/재생 동작에 문제가 있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lO7). 단계 SlO7에 있어서 문제가 있는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화상표시부(28)를 사용해서 화상으로 소정의 경고 표시를 행하고 나서(단계 SlO8), 단계 SlO3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lO7에 있어서 문제가 없는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단계 SlO9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 SlO9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화상표시부(28)를 사용해서 화상에 의해 촬상장치(100)의 각종 설정값의 표시를 행한다.
다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촬상소자(14)로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동화상으로서 화상표시부(28)에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스루 표시(through-display) 상태를 설정한다(단계 SllO). 스루 표시 상태에 있어서는, 셔터(12), A/D변환기(16), 화상처리회로(20) 및 메모리 제어회로(22)를 거쳐서 화상표시 메모리(24)에 연속적으로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회로(22) 및 D/A변환기(26)를 거쳐서 화상표시부(28)에 연속적으로 표시한다. 즉, 스루 표시 상태에서는, 전자 뷰 파인더 표시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단계 Slll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스루 표시 상태에서 화상표시부(28)에 표시되는 스루 화상을 적정하게 하기 위해서, 계속적으로 측광, 측거 및 칼라 캡쳐(capture)를 행하고, 그 결과에 대응한 AE처리, AF처리 및 AWB처리를 상기 스루 화상들에 대하여 행한다.
다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스루 화상표시용으로 촬상한 화상 데이터와, 손 떨림 검출/방진제어부(46)에서 검출된 촬상장치(100)의 손 떨림 정보(촬상장치(100)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진동 검출 결과)로부터 촬상 씬을 판별하는 씬 판별 처리를 행한다(단계 Sl12). 이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씬 판별 처리의 결과를 화상표시부(28)에 표시한다(단계 Sl13). 또한, 씬 판별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셔터 스위치(62)(SWl)의 ON/OFF를 판정한다(단계 S131). 단계 S131에 있어서 SWl이 OFF일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단계 SlO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131에 있어서 SWl이 ON일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측거처리를 행해서 촬상 렌즈(10)의 초점을 피사체에 맞추고, 측광처리를 행해서 조리개 값이나 셔터 시간 등을 결정한다(단계 S132). 측광처리에서는 필요하면, 플래쉬의 설정도 행한다.
이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스루 화상표시용으로 촬상한 화상 데이터와, 손 떨림 검출/방진제어부(46)에서 검출된 촬상장치(100)의 손 떨림 정보로부터 촬상 씬을 판별하는 씬 판별 처리를 행한다(단계 S133). 이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정지 화상 촬상용으로 고정된 노출 조건, 측거결과 및 씬 판별 결과를 화상표시부(28)에 표시한다(단계 S134). 여기에서, 정지 화상 촬상용으로 설정된 노출 조건은, 측광, 측거 및 씬 판별의 결과들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다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셔터 스위치(64)(SW2)의 ON/OFF를 판정한다(단계 S135). 단계 S135에 있어서 SW2이 OFF일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SWl의 ON/OFF를 판정한다(단계 S136).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단계 S136에 있어서 SWl의 ON이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32의 처리로 되돌아가고, 단계 S136에 있어서 SWl이 OFF인 경우에는, 단계 SlO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135에 있어서 SW2가 ON일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노광 처리 및 현상 처리로 이루어진 일련의 촬상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37). 구체적으로는, 노광 처리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촬상소자(14), A/D변환기(16), 화상처리회로(20) 및 메모리 제어회로(22)를 거쳐서, 또는 A/D변환기(16)로부터 메모리 제어회로(22)를 거쳐서,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30)에 기록한다. 현상 처리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메모리(30)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메모리 제어회로(22) 및 필요에 따라 화상처리회로(20)를 사용해서 각종 연산 처리를 행한다.
이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단계 S137에 있어서 메모리(30)의 소정영역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의 일부를 메모리 제어회로(22)를 거쳐서 판독하고, 현상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WB(화이트 밸런스)적분연산 처리 및 OB(옵티컬 블랙)적분연산 처리를 행한다. 이 연산 결과는, 시스템 제어회로(50)의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52)에 기억된다.
다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메모리(30)의 소정영역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전술한 연산 결과를 사용하여, AWB처리, 감마 변환 처리 및 색 변환처리를 포함하는 각종 현상 처리를 행한다(단계 S138). 여기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는, 다시 메모리(30)의 소정영역에 기록된다.
다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단계 S138에 의한 현상 처리 후의 화상을 화상표시부(28)에 의해 표시시키는 퀵 리뷰 표시를 행한다(단계 S139). 구체적으로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메모리(3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화상표시부(28)의 표시형식에 맞추는 처리를 행하고, 메모리 제어회로(22)를 거쳐서 화상표시 메모리(24)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어서, 화상표시 메모리(24)로부터 판독하여 표시용 화상 데이터를 화상표시부(28)에 표시시킨다.
이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메모리(30)의 소정영역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설정된 모드에 따른 화상압축처리를 압축/신장 회로(32)에 의해 행한다(단계 S140). 이 단계 S140 후, 메모리(30)의 화상기억 버퍼 영역의 빈 부분에는, 촬상해서 일련의 처리를 마친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다.
다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메모리(30)의 화상기억 버퍼 영역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I/F부 및 커넥터를 거쳐서 기록 매체(200)에 기록하는 기록 처리를 행한다(단계 S141). 또한, 기록 매체(200)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는 동안은, 기록 동작중인 것을 명시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LED를 점멸시키는 등의 표시를 행해도 된다.
이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셔터 스위치(64)(SW2)의 ON/OFF를 판정한다(단계 S142). 단계 S142에 있어서, SW2가 ON인 경우에는 처리를 대기하고, SW2가 OFF인 경우에는 단계 S143의 처리를 진행시킨다. 이와는 달리, 비록 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단계 S142에 있어서, 연사 모드인 경우에는 단계 S137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에 따라, SW2가 ON인 동안은, 단계 S137~S140의 처리를 연속적으로 행해서, 연속 촬상이 실현된다.
단계 S14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화상표시부(28)의 표시 상태를 스루 표시 상태로 설정하고, 일련의 촬상동작 후 단계 SlO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해서 촬상장치(100)의 씬 판별 처리(단계 Sl12 및 S133)의 알고리즘을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씬 판별 처리의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씬 판별 처리가 개시되면,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촬상소자(14)에 의해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피사체휘도(피사체의 휘도값)를 취득한다(단계 S181). 즉, 촬상장치(100)에서는, 단계 S181에 있어서 피사체의 휘도값을 검출하는 휘도 검출이 시스템 제어회로(50)에 의해 행해진다. 이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취득한 피사체휘도가 미리 메모리등에 설정된 소정값 이하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l82). 여기에서, 피사체 휘도로서는, 측광처리에 있어서 과거에 취득한 휘도정보를 사용해도 된다.
단계 S182에 있어서 피사체 휘도가 소정값보다 클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줌 버튼(66)이 조작중인가 아닌가, 즉, 화각 조정의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85). 이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줌 버튼(66)이 조작중이 아니면(단계 S185:NO), 얼굴 검출/움직임 벡터 검출 처리부(500)에 의한 검출 결과로부터 피사체 흔들림 정보(피사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움직임 검출 결과)를 취득한다(단계 S186). 반대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줌 버튼(66)이 조작중이면(단계 S185:YES), 피사체 흔들림 정보를 취득하지 않고, 다음 처리 단계(단계 S187)로 진행한다.
움직임 벡터는, 시계열적으로 나란히 선 2장의 프레임 화상을 비교하고, 이들 2장의 프레임 화상간의 차분 정보로부터 검출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블록에 대해서, 다음 프레임의 화상중의 주변 블록과 매칭되고, 그 매칭된 블록들과의 위치 관계가 움직임 벡터로서 출력된다. 특정 시간동안 1화상중의 움직임 벡터 중, 비교적 움직임이 적고, 방향이 한결 같은 벡터를 배경화상으로서 판별하고, 움직임이 크고, 방향이 한결 같지 않은 벡터를 이동 피사체로서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피사체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손 떨림 검출/방진제어부(46)로부터 얻어진 손 떨림량을 감산함으로써, 피사체의 움직임을 산출하고, 이 움직임을 피사체 흔들림 정보로서 사용한다.
또한, 단계 S185에서는, 줌 버튼(66)이 조작중인가 아닌가를 판정했지만, 현재의 시간이 줌 버튼(66)의 조작 후의 특정한 고정시간 이내인가 아닌가를 판정해도 된다. 이렇게, 줌 버튼(66)의 조작을 접수하고 있는 동안이나, 줌 버튼(66)의 조작의 접수가 종료한 후에 소정의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피사체 흔들림 정보를 취득하지 않는 알고리즘을 계속해서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촬상장치(100)에서는, 줌 버튼(66)의 조작에 의한 화각변동으로 인한 피사체 흔들림 정보에의 영향을 억제하여, 씬 검출 오류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피사체 흔들림 정보를 취득하지 않는 알고리즘을 사용한 경우에는, 그 후의 씬 판별에서는 과거에 취득한 피사체 흔들림 정보를 사용해서 판별을 행하거나, 또는, 피사체 흔들림이 없는 것으로서 판별을 행한다.
다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취득한 피사체 흔들림 정보로부터 피사체 흔들림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여(단계 S187), 피사체 흔들림이 있는 경우에는 씬 검출 결과를 스포츠라고 판정하고(단계 S188), 씬 판별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87에 있어서 피사체 흔들림이 없는 경우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얼굴 검출/움직임 벡터 검출 처리부(500)에 의해 얼굴 검출 처리를 행한다(단계 S189).
다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단계 S189에서 검출된 얼굴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90). 얼굴이 검출되고, 그 검출된 얼굴의 크기가 소정값이상이었을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씬 검출 결과를 포트레잇(portrait)이라고 판정하고(S191), 씬 판별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90에 있어서 소정값 이상의 크기의 얼굴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주 피사체와 촬상장치(100)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피사체 거리정보를 취득하는 측거 처리를 행한다(단계 S192). 구체적으로는, 측거 처리에서는, 촬상소자(14)로 촬상된 화상을 사용하는 등산 방식 알고리즘이나 위상차 센서(미도시됨)에 의한 피사체 거리정보의 취득이 행해진다. 이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취득한 피사체 거리정보로부터 주 피사체와의 거리를 판정한다(단계 S193). 여기에서는, 과거의 측거 처리에 의해 취득한 피사체 거리정보를 사용해도 된다.
단계 S193에 있어서 주 피사체와의 거리가 소정값이하인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씬 검출 결과를 매크로 씬이라고 판정하고(단계 S198), 씬 판별 처리를 종료한다. 단게 S193에 있어서 주 피사체와의 거리가 무한일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색정보를 취득해(단계 S195), 취득한 색정보에 의거하여 피사체에 하늘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196). 단계 S196에 있어서 하늘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씬 검출 결과를 풍경 씬이라고 판정하고(단계 S197), 씬 판별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단계 S193에 있어서 주 피사체와의 거리가 무한도 소정값 이하도 아니고, 그 밖의 값일 경우, 또는, 단계 S196에 있어서 하늘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씬 검출 결과를 통상의 씬이라고 판정하고(단계 S194), 씬 판별 처리를 종료한다.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씬 검출 결과가 스포츠 씬이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일반적인 씬이라고 판별되었을 경우보다도 촬상시의 노광 시간을 짧게 설정함으로써 피사체의 상을 흔들림을 어렵게 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씬 검출 결과가 포트레잇 씬이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일반적인 씬이라고 판별되었을 경우보다도 촬상시의 조리개의 개구경을 더 크게 설정함으로써, 화상 현상시에는 인물의 피부의 색이 이상적인 피부색에 가깝도록 화상처리회로(20)에 색처리를 행하게 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씬 검출 결과가 매크로 씬이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조리개의 개구경을, 일반적인 씬이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에 설정가능한 범위보다도 작게 설정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씬 검출 결과가 풍경 씬이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일반적인 씬이라고 판별되었을 경우보다도 촬상시의 조리개의 개구경을 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화상 현상시에는 화상 데이터의 색채도를 강화하도록 화상처리회로(20)에 색처리를 행하게 한다. 이렇게,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씬 검출 결과에 따라, 노광 처리와 현상 처리에 있어서의 제어 파라미터를 변경한다.
단계 S182로 되돌아가서, 피사체 휘도가 소정값이하인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SWl 또는 조작부(70)의 조작이 행해지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즉, 시스템 제어회로(50)는, SWl 또는 조작부(70)가 조작중이며, SWl 또는 조작부(70)의 조작을 현재 접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99). 또한, 단계 S199에서는, SWl 또는 조작부(70)의 조작의 접수가 종료한 후에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판정은 SWl과 조작부(70)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줌 버튼(66)의 조작이 행해지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도 판정하여도 된다.
단계 S199에 있어서 SWl 또는 조작부(70)가 조작중이 아니면,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손 떨림 검출/방진제어부(46)로부터 손 떨림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200). 반대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SWl 또는 조작부(70)가 조작중이면 손 떨림 정보를 취득하지 않고, 다음 처리의 단계(단계 S201)로 진행된다.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촬상장치(100)에서는, SWl 또는 조작부(70)의 조작에 의한 손 떨림 정보에의 영향을 억제하여, 씬의 검출 오류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손 떨림 정보를 취득하지 않는 알고리즘을 사용한 경우에는, 그 후의 씬 판별에서는 과거에 취득한 손 떨림 정보를 사용해서 판별을 행하거나, 또는, 손 떨림이 없는 것으로서 판별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어서, 취득한 손 떨림 정보로부터 손 떨림의 유무를 판정한다(단계 S201). 단계 S201에 있어서 손 떨림이 없는 경우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씬 검출 결과를 야경 삼각 촬상으로 판정하고(단계 S203), 씬 판별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201에 있어서 손 떨림이 있는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씬 검출 결과를 야경 소지 촬상으로 판정하고(단계 S202), 씬 판별 처리를 종료한다.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씬 검출 결과가 야경 삼각 촬상이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촬상소자(14)의 감도를 최소치로 설정하고, 장시간 노광을 행한다. 시스템 제어회로(50)가 씬 검출 결과가 야경 소지 촬상이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노광 시간에 상한을 설치한 후에, 부족되는 분만큼 촬상소자(14)의 감도를 올려서 노광을 행한다.
이렇게, SWl 또는 조작부(70)의 조작을 접수하고 있는 동안이나, 접수가 종료한 후에 소정의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SWl 또는 조작부(70)의 조작에 의해 손 떨림 정보의 신뢰성이 저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손 떨림 정보를 사용하지 않는 알고리즘을 계속해서 사용한다. 이 때문에, 촬상장치(100)에서는 씬의 검출 오류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SWl 또는 조작부(70)의 조작의 경우뿐만 아니라, 줌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도, 마찬가지로 손 떨림 정보를 사용하지 않는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씬 판별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이상,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씬 판별 처리를 설명하였다. 여기에서는, SWl 및 줌 조작을 예로 들어서 설명을 행했지만, 그 씬 판별 처리에서 그 밖의 조작부재의 조작을 사용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촬상장치(100)에 설치된 부재의 조작에 한정되지 않고, 촬상장치(100) 본체에 움직임을 부여하는 것으로 기능을 발동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구성에서는, 본체에 움직임을 부여하는 유저의 조작을 이용하여도 된다. 즉, 유저가 촬상장치(100)에 움직임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발동시킨 경우에는, 그 움직임을 검출한 시점에서 손 떨림 정보나 피사체 흔들림 정보를 씬 판별에 사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고 있는 동안이나 그 접수 후에 소정의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손 떨림 정보 및 피사체 흔들림 정보의 한쪽을 취득시키지 않음으로써, 그것들의 정보의 한쪽을 씬 판별에 전혀 기여시키지 않도록 제한하는 구성으로 했다. 그렇지만, 손 떨림 정보 및 피사체 흔들림 정보는 항상 취득하고,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고 있는 동안이나 그 조작의 접수 후에 소정의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취득한 정보의 한쪽이 씬 판별에 기여하는 정도를 제한하는 방향으로 변화시켜도 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고 있는 동안이나 그 조작의 접수 후에 소정의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손 떨림 정보 및 피사체 흔들림 정보의 한쪽이 씬 판별에 기여하지 않도록 가중치를 설정해도 된다.
또한, 유저의 조작에 의해 신뢰성이 저하한다고 하는 점에 있어서는, 손 떨림 정보와 피사체 흔들림 정보는 같다. 그 때문에,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고 있는 동안이나 그 조작의 접수후에 소정의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씬 판별 처리의 손 떨림 정보 및 피사체 흔들림 정보의 한쪽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고, 항상 양쪽을 취득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고 있는 동안이나 그 조작의 접수 후에 소정의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손 떨림 정보를 취득시키지 않는 구성과, 피사체 흔들림 정보를 취득시키지 않는 구성의 양쪽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설명을 행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는 기능은 구비하고 있지만, 자이로 센서나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 있는 촬상장치이면,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고 있는 동안이나 그 조작의 접수 후에 소정의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피사체 흔들림 정보만을 취득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는, 자이로 센서나 가속도 센서는 구비하고 있지만,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추지 않고 있는 촬상장치이면,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고 있는 동안이나 그 조작의 접수 후에 소정의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손 떨림 정보만을 취득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기록 매체(200)는, 마이크로 DAT, 광자기디스크, CD-R이나 CD-WR등의 광디스크, DVD등의 상변화형 광디스크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물론 문제 없다. 또한, 기록 매체(200)가 메모리 카드, 하드디스크 등이 일체가 된 복합 매체이여도 된다. 더욱이, 그 복합 매체의 일부는, 착탈가능하여도 물론 문제 없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기록 매체(200)는 촬상장치(100)와 분리하고 있고, 원하는 대로 접속 가능한 것으로 하고 있지만, 임의의 또는 모든 기록 매체가 촬상장치(100)에 고정되어도 물론 문제 없다. 또한, 촬상장치(100)는, 기록 매체(200)가 복수의 원하는 수로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촬상장치(100)에 기록 매체(200)가 장착하는 구성으로서 설명했지만, 기록 매체는 단수 또는 복수의 어느 한쪽의 조합의 구성이여도 물론 문제 없다.
또한, 플래쉬 장치(400)는, 촬상장치(100)와 분리하고 있고, 원하는 대로 접속 가능한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플래쉬 장치(400)가 촬상장치(100)에 고정되어도 물론 문제 없다. 또한, 복수의 플래쉬 장치(400)가, 개별적으로 촬상장치(100)와 접속가능하며, 그 플래쉬 장치들이 촬상장치(100)에 고정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해서 촬상장치(100)의 씬 판별 처리(단계 Sl12 및 S133)의 다른 알고리즘을 설명한다. 도 5는, 씬 판별 처리의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흐름도에서, 도 4a의 흐름도와 같은 처리에 대해서는 같은 번호로 나타내고, 도 4a의 흐름도와 다른 처리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4a의 흐름도에서는, 줌 버튼(66), 셔터 스위치(62)(SWl) 및 조작부(70)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면, 피사체 흔들림 정보의 취득을 제한하거나, 또는, 손 떨림 정보의 취득을 제한하였다. 한편, 도 5의 흐름도에서는, 줌 버튼(66)이 조작되면, 얼굴 검출/움직임 벡터 검출 처리부(500)는 움직임 벡터의 검출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또한, SWl 또는 조작부(70)가 조작되면, 손 떨림 검출/방진제어부(46)가 촬상장치의 움직임(진동)의 검출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계 S185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줌 버튼(66)이 조작중인가 아닌가, 즉, 화각조정의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줌 버튼(66)이 조작중이 아니면, 동작중의 얼굴 검출/움직임 벡터 검출 처리부(500)에 의한 검출 결과로부터 피사체 흔들림 정보(피사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움직임 검출결과)를 취득한다(단계 S186).
반대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줌 버튼(66)이 조작중이면, 얼굴 검출/움직임 벡터 검출 처리부(500)에 의한 움직임 벡터의 검출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단계 S301).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촬상장치(100)에서는, 줌 버튼(66)의 조작에 의한 피사체 흔들림 정보에의 영향을 억제하여, 씬의 검출 오류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얼굴 검출/움직임 벡터 검출 처리부(500)에 의한 움직임 벡터의 검출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 경우에는, 단계 S186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얼굴 검출/움직임 벡터 검출 처리부(500)로부터 피사체 흔들림이 없다고 하는 판별 결과를 취득하게 된다.
또한, 단계 S199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SWl 또는 조작부(70)가 조작중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회로(50)는, SWl 또는 조작부(70)가 조작중이 아니면, 동작중의 손 떨림 검출/방진제어부(46)에 의한 검출 결과로부터 손 떨림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200).
반대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SWl 또는 조작부(70)가 조작중이면, 손 떨림 검출/방진제어부(46)에 의한 촬상장치의 움직임(진동)의 검출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단계 S302).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촬상장치(100)에서는, 손 떨림 검출/방진제어부(46)의 조작에 의한 손 떨림 정보에의 영향을 억제하여, 씬의 검출 오류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손 떨림 검출/방진제어부(46)에 의한 촬상장치의 움직임의 검출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 경우에는, 단계 S20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손 떨림 검출/방진제어부(46)로부터 손 떨림이 없는 것으로 판별 결과를 취득하게 된다.
이렇게, 도 5에 나타낸 흐름도에 의하면, 줌 버튼(66), SWl 및 조작부(70)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면, 얼굴 검출/움직임 벡터 검출 처리부(500) 혹은 손 떨림 검출/방진제어부(46)의 검출 동작이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이 때문에, 이 부들의 조작에 의한 피사체 흔들림 정보나 손 떨림 정보에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술은, 일례로만 든 것이고,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해서는, 적당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국면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의 컴퓨터에 의해서,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형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1)

  1.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와, 촬상장치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포함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씬(scene) 판별을 행하는 씬 판별부; 및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씬 판별부는, 상기 조작 부재가 유저에 의해 조작될 때까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 결과를 취득하고, 상기 촬상된 화상 및 상기 취득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씬 판별을 행하는 동작을 반복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동안, 상기 촬상된 화상 및 상기 조작 부재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기 전에 취득한 상기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씬 판별을 행하는, 촬상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씬 판별부는, 상기 조작 부재의 유저 조작이 종료된 후, 소정의 기간이 경과 할 때까지, 상기 촬상된 화상 및 상기 조작 부재가 유저에 의해 조작되기 전에 취득한 상기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씬 판별을 행하는, 촬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촬상부의 화각이 조정되도록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촬상장치.
  5. 삭제
  6. 삭제
  7.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부재를 갖는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단계와, 상기 촬상장치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검출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출단계; 및
    상기 검출 단계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포함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씬 판별을 행하는 씬 판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씬 판별단계는,
    상기 조작 부재가 유저에 의해 조작될 때까지, 상기 검출 단계에서 검출 결과를 취득하고, 상기 촬상된 화상 및 상기 취득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씬 판별을 행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부재가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동안, 상기 촬상된 화상 및 상기 조작 부재가 유저에 의해 조작되기 전에 취득한 상기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씬 판별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
  8. 삭제
  9. 컴퓨터에게 청구항 7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내부에 구현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셔터 버튼인 촬상장치.
KR1020100005500A 2009-01-30 2010-01-21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08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20741 2009-01-30
JPJP-P-2009-020741 2009-01-30
JP2009291407A JP5520037B2 (ja) 2009-01-30 2009-12-22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9-291407 2009-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530A KR20100088530A (ko) 2010-08-09
KR101208968B1 true KR101208968B1 (ko) 2012-12-06

Family

ID=4210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500A KR101208968B1 (ko) 2009-01-30 2010-01-21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55053B2 (ko)
EP (1) EP2214404B1 (ko)
JP (1) JP5520037B2 (ko)
KR (1) KR101208968B1 (ko)
CN (1) CN101795358B (ko)
AT (1) ATE525854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7281A (zh) * 2015-11-13 2016-03-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场景的拍照装置、方法
JP6667268B2 (ja) * 2015-11-26 2020-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
JP6873816B2 (ja) * 2017-05-16 2021-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147739A (zh) 2018-03-27 2020-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拍照方法、拍照装置和移动终端
CN109040609B (zh) * 2018-08-22 2021-04-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曝光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113539A (zh) * 2019-06-13 2019-08-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曝光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WO2021117155A1 (ja) * 2019-12-11 2021-06-17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処理装置、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11526285B (zh) * 2020-04-15 2021-07-13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防抖方法及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395454B (zh) * 2021-07-06 2023-04-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拍摄的防抖方法与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7076A1 (en) 2001-07-02 2003-01-09 Minolta Co., Ltd. Image-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quality control method
US20050052537A1 (en) 2003-09-09 2005-03-10 Olympus Corporation Mounted imaging apparatus
US20070172217A1 (en) 2006-01-23 2007-07-26 Fujifilm Corporatio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7674B2 (ja) * 1997-12-12 2010-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振れ補正装置、撮像装置、カメラユニットおよびレンズユニット
US6167200A (en) 1998-08-03 2000-12-26 Minolta Co., Ltd. Exposure operation mechanism of camera
JP2000075351A (ja) * 1998-09-01 2000-03-14 Minolta Co Ltd カメラ
JP2002251380A (ja) 2001-02-22 2002-09-06 Omron Corp 利用者照合システム
JP4792985B2 (ja) * 2006-01-18 2011-10-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メラ装置、撮影条件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137012B (zh) * 2006-07-25 2010-09-08 富士胶片株式会社 拍摄装置和方法
JP2009177272A (ja) * 2008-01-22 2009-08-06 Sony Corp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148499B1 (en) * 2008-07-25 2018-01-17 FUJIFILM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0035048A (ja) * 2008-07-30 2010-02-12 Fujifilm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101495079B1 (ko) * 2008-11-18 2015-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장면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7076A1 (en) 2001-07-02 2003-01-09 Minolta Co., Ltd. Image-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quality control method
US20050052537A1 (en) 2003-09-09 2005-03-10 Olympus Corporation Mounted imaging apparatus
US20070172217A1 (en) 2006-01-23 2007-07-26 Fujifilm Corporatio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94924A1 (en) 2010-08-05
CN101795358B (zh) 2012-11-07
ATE525854T1 (de) 2011-10-15
KR20100088530A (ko) 2010-08-09
US8355053B2 (en) 2013-01-15
EP2214404A1 (en) 2010-08-04
EP2214404B1 (en) 2011-09-21
CN101795358A (zh) 2010-08-04
JP2010200307A (ja) 2010-09-09
JP5520037B2 (ja)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968B1 (ko)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3956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lurring image background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JP504678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374520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441542B2 (en) Self-timer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involving checking the number of persons
JP200621141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2011182252A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撮影方法
JP2003307669A (ja) カメラ
JP5709629B2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4032524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647518B2 (ja) 撮影装置
JP4887840B2 (ja) 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07528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173036A (ja) デジタルカメラ
JP5777309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086036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JP2009088679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JP2004117195A (ja) 速度計測機能付デジタルカメラ
JP596838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9110366A (ja) オーバーレイ表示制御可能な撮影装置
JP652627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079201A (ja) 焦点検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16167088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315665A (ja) カメラ
JP2005197885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