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746B1 -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을 갖는 로도박터속 케이비-에이치에이치케이-1 균주, 이를 함유한 미생물 제제 및 그 배양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을 갖는 로도박터속 케이비-에이치에이치케이-1 균주, 이를 함유한 미생물 제제 및 그 배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746B1
KR101208746B1 KR1020100120358A KR20100120358A KR101208746B1 KR 101208746 B1 KR101208746 B1 KR 101208746B1 KR 1020100120358 A KR1020100120358 A KR 1020100120358A KR 20100120358 A KR20100120358 A KR 20100120358A KR 101208746 B1 KR101208746 B1 KR 101208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hk
strain
rhodobacter
cfu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855A (ko
Inventor
홍석일
최재필
박정현
이현수
임근환
정대이
Original Assignee
광주시농업기술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시농업기술센터 filed Critical 광주시농업기술센터
Priority to KR1020100120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74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38Chemical stimulation of growth or activity by addition of chemical compounds which are not essential growth factors; Stimulation of growth by removal of a chemical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23/00Culture proces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을 갖는 신균주 및 이를 함유한 미생물제제에 관한 것으로,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을 갖는 로도박터속(Rhodobacter sp.) KB-HHK-1 (수탁번호: KACC 91602P)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함유하는 미생물 제제 및 상기 균주의 배양방법을 제공하여, 작물 재배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균주에 대한 최적 조건 및 경제적인 배양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을 갖는 로도박터속 케이비-에이치에이치케이-1 균주, 이를 함유한 미생물 제제 및 그 배양방법{Rhodobacter sp. KB-HHK-1 with plant growth promotion efficacy, microbial agent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of cul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을 갖는 신균주 및 이를 함유한 미생물제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합성세균 로도박터속(Rhodobacter sp.) KB-HHK-1 균주, 상기 균주 및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생물 제제 및 그 배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수십여 년 간 곡류, 채소, 과수 등 농작물의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해마다 병, 해충 및 잡초를 방제하는데 많은 양의 화학농약을 사용해 왔으며, 이와 같은 계속적인 농약사용에 의하여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 인축독성, 병해충 및 잡초의 농약에 대한 저항성 유발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약 1조에 달하는 화학 농약의 사용량을 줄이고, 우리 농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1999년 친환경농업 육성법을 제정하여 2013년까지 약 40% 정도의 화학농약 사용량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현재 농약 사용량은 줄지 않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안전 식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고, 농업 생산 환경의 유지 보전 및 자연 생태계의 보존을 지향하는 유기농업이나 자연농법 등 친환경농업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어, 화학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생물농약 개발에 대한 연구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생물농약은 천적곤충이나 길항미생물 등을 대량배양하고 제제화하여 엽면 살포 또는 입제로 처리하므로써 병해충을 방제하는 것으로 잡초 방제의 경우 잡초병원균을 이용하기도 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미생물들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면서 그 종류가 다양하고 병해충, 잡초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대사산물을 분비하기 때문에 많은 종류가 생물농약 개발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생물의 이용 방법 중 식물병원균을 억제 할 수 있는 길항미생물, 식물생육을 촉진시키는 식물생육촉진근권세균(PGPR)으로 고초균, 유산균, 효모균, 광합성세균, 슈도모나스 등의 유용 균주의 이용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유용 미생물 중 광합성세균은 스스로 양분을 합성하여 생존하는 미생물로서, 엽록소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 테트라디히트로포르핀이라는 물질에 의해 탄소나 유황 등을 산화시켜 양분을 합성하며, 생식방법에 따라 색이 다양하여 홍색세균, 홍색유황세균, 홍색비유황세균, 녹색황세균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상기 광합성세균은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수질을 정화시켜 줌으로써 가스, 염류 제거 및 생장을 촉진하는 아미노산을 합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근래 농업용 유용 미생물로서 많은 현장 자료와 실증 사례가 있으나 광합성세균 배양을 위한 정확한 프로토콜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배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유용 미생물 특히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이 우수한 광합성세균, 나아가, 라이코펜 함량 증대능이 우수한 광합성세균을 분리하여 이를 제형화하고 대량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작물 재배시 생산성 증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 농작물의 생장촉진 효능 및 라이코펜 함량 증대능을 갖는 로도박터속(Rhodobacter sp.) KB-HHK-1 (수탁번호: KACC 91602P) 균주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 또 다른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3) 상기 (2)의 로도박터속(Rhodobacter sp.) KB-HHK-1 (수탁번호: KACC 91602P)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농작물 생장촉진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4) 상기 (2)의 로도박터속(Rhodobacter sp.) KB-HHK-1 (수탁번호: KACC 91602P)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농작물 생장촉진용 미생물 농약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삭제
(6) 질소원으로 yeast extract, 탄소원으로 lactose 및 미량요소로 MnSO4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백열등, 호기, 교반, pH 6.0~8.0 및 배양온도 25~35℃의 배양 조건으로 제2항의 로도박터속(Rhodobacter sp.) KB-HHK-1 (수탁번호: KACC 91602P) 균주를 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 및 라이코펜 함량 증대능이 우수한 신규한 광합성세균, 이러한 신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함유한 미생물 제제을 제공하여, 작물 재배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균주에 대한 최적 조건 및 경제적인 배양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형태학적으로 우수한 광합성세균으로 선택배지에서 순수분리된 것을 설명하는 사진,
도 2는 도 1에 따라 분리된 광합성세균의 고분자화합물 분해능 검사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광합성세균 KB-HHK-1 균주에 대한 OL-3 배지에서의 콜로니 형태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광합성세균 KB-HHK-1 균주에 대한 광학현미경(1000배) 하에서의 세포형태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광합성세균 KB-HHK-1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
도 6은 본 발명의 광합성세균 KB-HHK-1 균주의 계통학적 위치를 나타낸 서식도,
도 7은 Lycopene in Beadlets Using HPLC INA Method를 이용하여 라이코펜 함량변화 분석 과정을 나타낸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광합성세균 KB-HHK-1 균주의 성장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신규 미생물 KB-HHK-1 균주의 선발 및 동정
(1) 신규 미생물 KB-HHK-1 균주의 선발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 및 라이코펜 함량 증대능을 갖는 광합성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경기도 광주시 일대 토양에서 300개의 시료를 채취하고 실험실로 운반한 후 4℃에서 보존하면서 6시간 이내에 각 시료를 1㎖씩 정량하여 9㎖ 멸균수가 든 시험관에 넣어 순차적으로 희석하였다.
이후 상기 순차 희석된 희석수로부터 각 100㎕의 토양시료를 광합성세균 분리용 배지로 사용되고 있는 Na-gulamate를 기초로 한 OL-3배지(이하, '선택배지'라고도 함)에 분주한 후 평판도말법으로 고르게 도말하였다. 그리고, 각 시료를 5% 질소가스로 혐기화하여 밀폐하여 5000~8000lux의 광 조건 및 30℃에서 5일간 배양한 후 순수분리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안 관찰시 형태학적으로 우수하고, 육안 관찰 및 현미경 관찰시 활력이 뛰어난 광합성 균주 17종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각 균주를 이용하여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선택배지에서 48시간 배양하여 냄새, 밀도 등을 점검하는 배양성 점검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1 2 3 4 5 6 7 8 9
배양성 ++ + + ++++ + + ++ + ++
구분 10 11 12 13 14 15 16 17 -
배양성 +++ + +++ +++ + +++ + +++ -
*주
+: 1×104cfu/㎖ 미만
++: 1×104~1×105cfu/㎖
+++: 1×105~1×106cfu/㎖
++++: 1×106~1×107cfu/㎖
+++++: 1×107cfu/㎖ 초과
또한, 상기 분리된 각 균주의 효소학적 점검을 위해, 상기 미생물 배양액의 cell-free extract의 항균력을 측정함에 있어, 0.2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ellulose, amylase, lipase, protease 등의 분해능을 검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1 2 3 4 5 6 7 8 9
분해능 + ++ +++ ++ + ++ +++ + ++
구분 10 11 12 13 14 15 16 17 -
분해능 + +++ + +++ + +++ + + -
*주
+: 1㎜ 미만
++: 1~2㎜
+++: 2~3㎜
++++: 3~5㎜
※ cellulose, amylase, lipase, protease의 분해능을 평균한 값임.
또한, 상기 분리된 각 균주의 항균활성 점검을 위해, 상기 미생물 배양액의 cell-free extract의 항균력을 측정함에 있어, 0.2 micro filter를 이용하여 농업생명공학원(KACC)에서 분양받은 식물병원성균인 E. Coli, Erwinia sp., Ralstonia sp., Rhizoctonia sp. 및 Pythium sp.를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점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1 2 3 4 5 6 7 8 9
항균활성 + + + ++ + + + + ++
구분 10 11 12 13 14 15 16 17 -
항균활성 + + + + + ++ + ++ -
*주
+: 1㎜ 미만
++: 1~2㎜
+++: 2~3㎜
++++: 3~5㎜
E. Coli, Erwinia sp., Ralstonia sp., Rhizoctonia sp. 및 Pythium sp.의 항균활성능을 평균한 값임.
이와 같은 배양성 점검, 효소학적 점검 및 항균활성 점검을 토대로 하기 표 4와 같이 종합 평가하여 유용 광합성세균 5종(구분 4, 9, 13, 15 및 17)을 KB-HHK-1 내지 KB-HHK-5로 명명하였고, 이 중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 및 라이코펜 함량 증대능이 가장 우수한 균주 KB-HHK-1을 최종 선발하였다.
구분 1 2 3 4 5 6 7 8 9
종합 + + + ++ + + + + ++
구분 10 11 12 13 14 15 16 17 -
종합 + + + ++ + ++ + ++ -
(2) 신규 미생물 KB-HHK-1 균주의 동정
1) 형태학 및 균학적 특성
최종 선발된 광합성세균 KB-HHK-1 균주에 대한 콜로니 형태와 세포형태 특성을 조사하였다. OL-3 agar 배지에서 28℃, 혐기적 및 광 조건 4000lux에서 3일간 배양한 평판배지에서 형성된 콜리니 특징을 확인한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형은 원형이고 볼록의 융기를 보이며 매끄러운 형의 가장자리를 보이는 붉은색의 원형 콜로니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또한, 광학현미경 하에서 세포형태를 확인한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간균의 세포학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2) 분자생물학적 특성
광합성세균 KB-HHK-1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을 결정하기 위하여, 순수 배양된 단일 콜로니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E. coli 16S rDNA 부분의 conserved sequence를 프라이머(primer)로 하여 직접 PCR 증폭을 수행하였다. 상기 PCR 증폭된 산물은 전기영동하여 추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후, 정제된 16S rDNA를 주형으로 ABI PRISM BigDye Terminator Cycle Sequencing Ready Reaction Kit(AppliedBiosystems)를 사용하여 16S rDNA 염기서열(1362bp, 도 5 참조)을 결정하고, NCBI/RDP/Genebank의 데이터베이스와 상동성 검색을 수행하여 계통학적 위치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도박터속(Rhodobacter sp.)의 로도박터 블라스티쿠스( Rhodobacter blasticus)(DQ342322)와 98.61% 유사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어, 분리된 KB-HHK-1 균주를 로도박터속(Rhodobacter sp.)의 새로운 종으로 동정하였다.
상기 로도박터속(Rhodobacter sp.)의 새로운 종으로 동정된 KB-HHK-1에 대하여 2010년 11월 15일자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KACC: 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로부터 수탁번호 KACC 91602P를 부여받았다.
3) 생화학적 특성
광합성세균 KB-HHK-1 균주의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에 대한 균체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상기 균체지방산 분석을 위하여 TSB(Trypticase Soy Broth)를 1/10로 희석하고 agar 1.5%를 첨가한 평판배지에 균체를 접종하여 28℃에서 3일간 배양한 후 대수기의 균체를 회수하였다. 상기 회수된 균체 약 50㎎(wet weight)을 teflon-lined screw cap tube(13×100㎜, pyrex)에 옮긴 후 Ikemoto & Miyagawa의 방법에 따라 균체지방산을 메틸 에스테르(methyl ester)화 시켜 추출하였다. 상기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의 분석에는 Microbial Identification System(MIDI; Microbial ID, Inc., Newark,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요 지방산으로 불포화지방산 C18:1 W7C가 81.48%, 수산화기 C10:0 3OH 6.69% 및 C18:0 3OH 3.97% 등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0078668459-pat00001
4) 생리학적 특성
광합성세균 KB-HHK-1 균주의 당 분해능을 분석하기 위해 VITEK2 기기 및 GN 카드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ADO, PyrA, GGT, RroA, TyrA, URE, dTAG, ILATk, AGLU, SUCT, GlyA 및 ELLM 생성능은 양성으로 판명되었고, APPA, IARL, dCEL, BGAL, H2S, BNAG, AGLTp, OFF, BGLU, dMAL, dMAN, dMNE, BXYL, BAlap, LIP, PLE, dSOR, SAC, dTRE, CIT, MNT, 5KG, NAGA, AGAL, PHOS, ODC, LDC, IHISa, CMT, BGUR, O129R, GGAA, IMALTa, ILATa 생성능은 음성으로 판명되었다.
Figure 112010078668459-pat00002
실시예 2: 광합성세균 KB-HHK-1 균주의 라이코펜 함량 증대 효과 검정
광합성세균 KB-HHK-1 균주의 라이코펜 함량 증대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포트(Pot) 수준에서 KB-HHK-1 내지 KB-HHK-5 균주 및 균주 처리되지 않은 대조구에 대하여 라이코펜 함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먼저, 시설 토마토를 대상작물로 하여, 선택배지에서 배양된 각 배양액을 엽면시비 또는 관주처리하였다. 이후 도 7에 나타낸 Lycopene in Beadlets Using HPLC INA 법을 이용하여 과실에 대한 라이코펜 함량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KB-HHK-1 KB-HHK-2 KB-HHK-3 KB-HHK-4 대조구
라이코펜(ppm) 277.923 93.176 195.055 63.264 28.643
표 7을 참조하면, 처리구별 토마토에 대한 라이코펜 함량을 분석한 결과, KB-HHK-5를 제외한 처리구에서 라이코펜이 검출되었다. 특히, KB-HHK-1 균주를 처리한 경우 대조구에 비해 약 10배 정도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대상작물로 하여, 선택배지에서 배양된 각 배양액을 실증포장에 2주 간격으로 3회 엽면시비 또는 관주처리하고 상기 HPLC법과 같은 방법으로 과실에 대한 라이코펜 함량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 KB-HHK-1 KB-HHK-2 KB-HHK-3 KB-HHK-4 대조구
라이코펜(ppm) 297.267 80.176 185.945 98.468 28.943
표 8을 참조하면, 처리구별 토마토에 대한 라이코펜 함량을 분석한 결과, 상기 포트 수준에서의 결과와 같은 양상으로 KB-HHK-1 균주를 처리한 경우에 라이코펜 함량 증대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광합성세균 KB-HHK-1 균주의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 검정
광합성세균 KB-HHK-1 균주의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 검정을 위해, 포트(Pot) 수준에서 KB-HHK-1 내지 KB-HHK-4 균주 및 균주 처리되지 않은 대조구에 대하여 식물의 경태, 당도, 과실수, 과실무게 등을 측정하였다. 먼저, 시설 토마토(품종: 꼬꼬)를 대상작물로 하여, 선택배지에서 배양된 각 배양액을 2주 간격으로 3회 엽면시비 또는 관주처리하였다. 이후 3화방을 남기고 순지르기를 실시하고 정식 50일 후 식물의 경태 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구분 투입밀도
(cfu/㎖)
과실수
(개)
총 무게
(g)
평균무게
(g)
경태
(㎝)
당도
(brix)
KB-HHK-1
1×105 42 680.4 16.2 1.05 8.8
5×105 43 700.9 16.3 1.08 8.8
KB-HHK-2
1×105 32 464.0 14.5 1.01 6.8
5×105 32 467.2 14.6 0.99 6.8
KB-HHK-3
1×105 33 488.4 14.8 1.01 6.2
5×105 33 478.5 14.5 1.03 6.4
KB-HHK-4 1×105 31 406.1 13.1 0.98 6.5
5×105 32 432.0 13.5 0.99 6.6
대조구 - 31 396.8 12.8 0.92 6.5
표 9를 참조하면, KB-HHK-1 균주 배양액 500배 및 1000배 처리구에서 경태, 당도, 과실수 및 과실중량 등 전체적인 식물 생장촉진 효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KB-HHK-1 균주를 500배 및 1000배 적용시 큰 차이가 없으므로 경제성 면에서 1000배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증포장 수준에서의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 검정을 위해, 시설 토마토(품종: 꼬꼬)를 대상작물로 하여, 선택배지에서 배양된 각 배양액을 실증포장에 2주 간격으로 3회 엽면시비 또는 관주처리하였다. 이후 3화방을 남기고 순지르기를 실시하고 정식 50일 후 식물의 경태 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구분 투입밀도
(cfu/㎖)
과실수
(개)
총 무게
(g)
평균무게
(g)
경태
(㎝)
당도
(brix)
KB-HHK-1
1×105 154 3218.6 20.9 1.04 8.7
5×105 156 3291.6 21.1 1.03 8.6
KB-HHK-2
1×105 150 3120.0 20.8 1.02 6.5
5×105 151 3080.4 20.4 1.01 6.7
KB-HHK-3
1×105 149 2845.9 19.1 1.02 6.3
5×105 149 2875.7 19.3 1.01 6.3
KB-HHK-4
1×105 148 2752.8 18.6 1.00 6.4
5×105 152 2872.8 18.9 0.98 6.3
대조구 - 148 2782.4 18.8 0.99 6.4
표 10을 참조하면, 상기 포트 수준에서와 마찬가지로 KB-HHK-1 균주 배양액 500배 및 1000배 처리구에서 경태, 당도, 과실수 및 과실중량 등 전체적인 식물 생장촉진 효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KB-HHK-1 균주를 500배 및 1000배 적용시 큰 차이가 없으므로 경제성 면에서 1000배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 광합성세균 KB-HHK-1 균주의 배양조건 최적화
(1) 광합성세균 KB-HHK-1의 성장곡선 작성
광합성세균 KB-HHK-1에 대한 시간대별 생균수를 측정한 성장곡선을 작성하여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을 참조하면, KB-HHK-1 균주는 30℃, 160rpm 호기 조건에서 배양한 결과, 12시간에 4.6×105cfu/㎖ 및 48시간 후 1.5×108cfu/㎖의 밀도를 나타냈으며, 최종밀도는 7일차에 1.0×109cfu/㎖의 균주밀도를 나타내었다.
(2) 광합성세균 KB-HHK-1의 배지 및 배양조건 최적화
광합성세균 KB-HHK-1을 선택배지에 배양하여 시간, 온도 및 광 조건 등을 고려하여 배양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종균의 밀도는 1.0×108cfu/㎖이며, 접종량은 배양량의 2.5중량%로 하였으며, 30℃에서 4일간 각 광 조건에서 배양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구분 백열등
(cfu/㎖)
형광등
(cfu/㎖)
삼파장
(cfu/㎖)
무광
(cfu/㎖)
호기, 교반 배양 5.6×108 5.2×106 3.3×106 8.6×106
호기, 정치 배양 5.2×108 3.8×106 3.2×106 3.3×106
혐기, 교반 배양 5.4×108 4.2×106 2.6×106 2.6×105
혐기, 정치 배양 5.1×108 4.8×106 2.2×106 1.3×105
표 11을 참조하면, 30℃, 백열등, 호기 및 교반 조건에서 타 조건의 경우보다 우수하게 배양됨을 알 수 있다.
(3) 광합성세균 KB-HHK-1의 액체배양조건 최적화
질소원, 탄소원, 미량원소의 조절 등을 통한 최적 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OL-3 medium(NaCl 0.05%, KH2PO4 0.1%)를 기본으로, 배양시 조건은 상기 표 9에서 도출된 백열등, 호기, 교반 조건으로 하여 탄소원, 질소원 및 미량원소 농도에 따른 성장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0.1% Yeast extract 질소원을 기준 삼아 탄소원에 따른 성장정도를 측정하였고, 결정된 탄소원을 기준 삼아 질소원에 따른 성장정도를 측정하였고, 결정된 질소원을 기준으로 미량원소에 따른 성장정도를 측정하여 미량원소를 결정하였다. 탄소원의 종류로 glucose, lactose, maltose, sucrose 등을 탄소원 0.1% 첨가 조건에서 실험하였고, 배양온도는 30℃, 배양시간은 48시간, 조도는 백열등 및 호기 교반 조건으로 수행하였으며, 24시간 및 48시간에 세균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결정된 탄소원, 질소원 및 미량원소를 바탕으로, 각 농도 변화에 따른 세균밀도를 측정하였고, 배지의 pH 및 온도에 따른 세균밀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1) 탄소원 선정
탄소원에 대한 실험 결과, 하기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lactose 처리구의 밀도가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고, 경제성 측면도 고려할 때, lactose를 탄소원으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분 lactose
(cfu/㎖)
glucose
(cfu/㎖)
maltose
(cfu/㎖)
sucrose
(cfu/㎖)
24시간 1.2×107 3.8×106 0.3×107 1.5×106
48시간 3.9×107 4.1×106 2.1×107 2.4×106
2) 질소원 선정
질소원으로 yeast extract, peptone, trptone, soybean flour 등을 0.1% 첨가 조건으로 실험하였고, 탄소원은 lactose 0.1%를 기준으로 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yeast extract, soybean flour 처리구에서 밀도가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고, 경제성 측면을 고려하여 yeast extract를 질소원으로 선정하였다.
구분 yeast extract
(cfu/㎖)
peptone
(cfu/㎖)
tryptone
(cfu/㎖)
soybean flour
(cfu/㎖)
24시간 8.2×107 5.4×107 2.6×107 6.2×107
48시간 1.5×108 7.2×107 4.6×107 9.8×107
3) 미량원소 선정
상기 선정된 탄소원 및 질소원을 기준으로 미량원소 CaCl2, MgSO4?7H2O, CuSO4?5H2O, MnSO4, FeSO4?7H2O, ZnSO4?7H2O에 대하여 생육밀도를 측정하였으며, 0.001% 첨가 조건으로 실험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MnSO4 처리구에서 밀도가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구분 CaCl2
(cfu/㎖)
MgSO4?7H2O
(cfu/㎖)
CuSO4?5H2O
(cfu/㎖)
MnSO4
(cfu/㎖)
FeSO4?7H2O
(cfu/㎖)
ZnSO4?7H2O
(cfu/㎖)
24시간 8.3×107 8.1×107 8.3×107 8.8×107 8.4×107 8.3×107
48시간 1.5×108 1.7×108 1.2×108 2.1×108 1.8×108 1.6×108
4) 질소원 농도에 따른 세균밀도 확인
상기 질소원으로 선정된 yeast extract 농도에 따른 세균밀도를 확인하기 위해, lactose 농도를 0.1%로 고정하고 yeast 농도를 0.05%, 0.1%, 0.5%, 1% 및 3%로 변화시켜 24시간 및 48시간 후의 세균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yeast extract가 많이 첨가될수록 세균밀도가 높게 측정된 것을 알 수 있으며, 0.1% 이상부터는 밀도 차이가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구분 0.05%
(cfu/㎖)
0.1%
(cfu/㎖)
0.5%
(cfu/㎖)
1%
(cfu/㎖)
3%
(cfu/㎖)
24시간 5.8×107 7.1×107 8.2×107 8.4×107 8.8×107
48시간 7.1×107 1.6×108 2.6×108 2.8×108 2.9×108
5) 탄소원 농도에 따른 세균밀도 확인
상기 탄소원으로 선정된 lactose 농도에 따른 세균밀도를 확인하기 위해, yeast extract 농도를 0.1%로 고정하고 lactose 농도를 0.05%, 0.1%, 0.5%, 1% 및 3%로 변화시켜 24시간 및 48시간 후의 세균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0.5% 첨가시 밀도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구분 0.05%
(cfu/㎖)
0.1%
(cfu/㎖)
0.5%
(cfu/㎖)
1%
(cfu/㎖)
3%
(cfu/㎖)
24시간 5.4×107 5.9×107 7.6×107 6.6×107 6.1×107
48시간 6.3×107 2.1×108 2.4×108 7.2×107 5.8×107
6) 미량원소 농도에 따른 세균밀도 확인
상기 미량원소로 선정된 MnSO4 농도에 따른 세균밀도를 확인하기 위해, yeast extract 농도를 0.1%로, lactose 농도를 0.5%로 고정하고, CaCl2, MgSO4?7H2O, CuSO4?5H2O, FeSO4?7H2O, ZnSO4?7H2O를 0.001%로 고정한 후, MnSO4 농도를 0.001%, 0.01%, 0.05%, 0.1%, 0.5%로 변화시켜 24시간 및 48시간 후의 세균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5% 첨가시 밀도가 가장 우수하고, 0.5% 이상에서는 배양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분 0.001%
(cfu/㎖)
0.01%
(cfu/㎖)
0.05%
(cfu/㎖)
0.1%
(cfu/㎖)
0.5%
(cfu/㎖)
24시간 6.6×107 7.2×107 8.5×107 7.9×107 1.2×107
48시간 1.2×108 1.9×108 3.4×108 2.6×108 1.1×107
7) pH에 따른 세균밀도 확인
KB-HHK-1의 최적 pH를 확인하기 위해, 선택배지의 pH를 4.0, 5.0, 6.0, 7.0 및 8.0의 범위에서 세균밀도를 비교하였다. 생육온도는 30℃로 유지하고 조명은 백열등으로 하였으며, 24시간 및 48시간에서 밀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지의 pH가 7.0에서 세균밀도가 가장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구분 pH 4.0
(cfu/㎖)
pH 5.0
(cfu/㎖)
pH 6.0
(cfu/㎖)
pH 7.0
(cfu/㎖)
pH 8.0
(cfu/㎖)
24시간 2.1×106 5.9×106 3.8×107 7.4×107 1.2×107
48시간 3.6×106 1.4×107 8.1×107 1.7×108 2.6×107
8) 온도에 따른 세균밀도 확인
KB-HHK-1의 최적 온도를 확인하기 위해, 선택배지의 배양온도를 20℃, 25℃, 30℃, 35℃ 및 40℃의 범위에서 세균밀도를 비교하였다. 생육 pH는 7.0으로 유지하고 조명은 백열등으로 하였으며, 24시간 및 48시간에서 밀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양온도 30℃에서 세균밀도가 가장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구분 20℃
(cfu/㎖)
25℃
(cfu/㎖)
30℃
(cfu/㎖)
35℃
(cfu/㎖)
40℃
(cfu/㎖)
24시간 2.2×106 4.2×106 7.4×107 5.8×107 2.0×107
48시간 6.7×106 3.6×107 1.7×108 1.2×108 3.3×107
(4) 배양액의 물리화학적 물성안정화 검토
배양온도 30℃, pH 6.5~7.0, 백열등 조명 및 효기 교반 조건에서 배양한 후 배양액의 냄새, 색, pH, 전기전도도(EC) 등 물리화학적 요소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하기 표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48시간 배양 후의 최종 pH는 8.2로 측정되었으며, 냄새는 거의 없고, 색은 연주황색으로 변화된 것을 알 수 있다.
구분 초기 12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pH 6.5 6.8 7.0 7.5 8.2
EC(㎳/㎝) 6.0 6.2 7.3 7.9 9.3
연노랑 연주황 연주황 연주황 연주황
냄새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5: 광합성세균 KB-HHK-1을 함유하는 최적 미생물 제제 선정
광합성세균 KB-HHK-1을 함유하는 미생물 제제로서 최적 제형을 선정함에 있어, 안정성 제고를 위한 첨가제 선발 및 저온, 상온, 고온에서의 경시적 안정성을 고려하였다.
먼저, yeast extract 0.1%, lactose 0.5%, NaCl 0.05%, KH2PO4 0.1%, CaCl2 0.001%, MgSO4?7H2O 0.001%, CuSO4?5H2O 0.001%, FeSO4?7H2O 0.001%, ZnSO4?7H2O 0.001% 및 MnSO4 0.05%를 포함하는 액상배지 500ℓ용을 10ℓ로 농축하여 저온, 상온 및 고온의 온도인 4℃, 30℃ 및 60℃ 조건인 밀폐된 공간에 100일간 보관하며 경시적 안정성을 점검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4~30℃의 온도에서 보관할 경우 약 3개월 이상 보관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고, 신뢰성 향상을 위해서는 4℃에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분 25일 50일 75일 100일
4℃ 양호 양호 양호 양호
30℃ 양호 양호 양호 양호
60℃ 불량 불량 불량 불량
한편, 현장 작업성을 고려한 최적 제형을 선정하기 위해, 액상 및 수화제 형태의 제형에 관하여 실험하였으며, 상기 질소원, 탄소원 및 미량요소의 농도별 조건대로 yeast extract 0.1%, lactose 0.5%, NaCl 0.05%, KH2PO4 0.1%, CaCl2 0.001%, MgSO4?7H2O 0.001%, CuSO4?5H2O 0.001%, FeSO4?7H2O 0.001%, ZnSO4?7H2O 0.001% 및 MnSO4 0.05%의 배지원을 포함하는 배지로 실험하였다. 그 결과 액상 및 수화제로 제조하였을 경우, 수화제는 각 배지원의 특성에 따라 고르게 배합되도록 하는 공정이 다수 공정이 필요하였으며, 배지원의 무게가 달라 무거운 배지원의 경우 아래로 가라앉는 경향이 강하였다. 이에 반해, 액상의 경우 500ℓ 배양용을 10ℓ 용액에 농축할 수 있으며, 각 배지원이 고르게 용해될 수 있어 최적 제형으로 선정하였다.
실시예 6: 광합성세균 KB-HHK-1을 함유하는 최적 미생물 제제 제조 및 성능 평가
(1) 미생물 제제 제조
작업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상기 최적 제형 선정 과정에서 사용된 배지, 즉, 상기 질소원, 탄소원 및 미량요소의 농도별 조건대로 yeast extract 0.1%, lactose 0.5%, NaCl 0.05%, KH2PO4 0.1%, CaCl2 0.001%, MgSO4?7H2O 0.001%, CuSO4?5H2O 0.001%, FeSO4?7H2O 0.001%, ZnSO4?7H2O 0.001% 및 MnSO4 0.05%의 배지원을 포함하는 배지로 하여, 500ℓ 배양용 배지를 기준으로 상기 배지원을 물과 함께 넣고 용해시키되, 총 부피를 10ℓ에 맞추어 밀폐용기에 담아 제조하였다.
(2) 이화학적 안정성 검토
상기 미생물 제제에 대한 시기별, 온도별(각 3회 반복) 이화학적 안정성을 검토하되, 액상배지의 이화학적 안정성 검토는 상기 표 21을 참조하고, 액상종균의 이화학적 안정성 검토는 액상배지와 동일한 조건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2 및 표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균은 4℃로 보관할 경우, 약 3개월까지 경시적 안정성이 양호하였으며, 밀도 역시 매우 안정하므로, 배지와 종균 모두 4℃에서 약 3개월간 보관이 가능하고 그 성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다만, 30~60℃로 보관할 경우에는 1개월 이상 보관시 보관성이 양호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구분 25일 50일 75일 100일
4℃ 양호 양호 양호 양호
30℃ 양호 불량 불량 불량
60℃ 불량 불량 불량 불량
구분 초기
(cfu/㎖)
25일
(cfu/㎖)
50일
(cfu/㎖)
75일
(cfu/㎖)
100일
(cfu/㎖)
4℃ 2.4×108 2.4×108 2.3×108 2.3×108 2.2×108
30℃ 2.4×108 8.8×107 2.4×107 3.9×106 1.3×105
60℃ 2.4×108 7.3×104 없음 없음 없음
(3) 미생물 제제의 배양수율 평가
상기 질소원, 탄소원 및 미량요소의 농도별 조건대로 yeast extract 0.1%, lactose 0.5%, NaCl 0.05%, KH2PO4 0.1%, CaCl2 0.001%, MgSO4?7H2O 0.001%, CuSO4?5H2O 0.001%, FeSO4?7H2O 0.001%, ZnSO4?7H2O 0.001% 및 MnSO4 0.05%의 배지원을 포함하는 배지로 실험하였으며, 500ℓ 배양용액을 10ℓ로 농축한 배지를 물 500ℓ에 멸균하여 2일간 형광삼파장에서 호기 교반 배양한 미생물 제제의 배양물을 1㎖씩 정량하여 9㎖ 멸균수가 든 시험관에 넣어 순차적으로 희석하고, 광합성세균 분리용 선택배지(OL-3 medium)에 도말하여 미생물 제제의 배양수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배양수율은 5.2×109cfu/㎖로 측정되었다.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1602P 20101115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6)

  1. 삭제
  2. 농작물의 생장촉진 효능 및 라이코펜 함량 증대능을 갖는 로도박터속(Rhodobacter sp.) KB-HHK-1 (수탁번호: KACC 91602P) 균주.
  3. 제2항의 로도박터속(Rhodobacter sp.) KB-HHK-1 (수탁번호: KACC 91602P)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농작물 생장촉진용 미생물 제제.
  4. 제2항의 로도박터속(Rhodobacter sp.) KB-HHK-1 (수탁번호: KACC 91602P)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농작물 생장촉진용 미생물 농약.
  5. 삭제
  6. 질소원으로 yeast extract, 탄소원으로 lactose 및 미량요소로 MnSO4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백열등, 호기, 교반, pH 6.0~8.0 및 배양온도 25~35℃의 배양 조건으로 제2항의 로도박터속(Rhodobacter sp.) KB-HHK-1 (수탁번호: KACC 91602P) 균주를 배양하는 방법.
KR1020100120358A 2010-11-30 2010-11-30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을 갖는 로도박터속 케이비-에이치에이치케이-1 균주, 이를 함유한 미생물 제제 및 그 배양방법 KR101208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358A KR101208746B1 (ko) 2010-11-30 2010-11-30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을 갖는 로도박터속 케이비-에이치에이치케이-1 균주, 이를 함유한 미생물 제제 및 그 배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358A KR101208746B1 (ko) 2010-11-30 2010-11-30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을 갖는 로도박터속 케이비-에이치에이치케이-1 균주, 이를 함유한 미생물 제제 및 그 배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855A KR20120058855A (ko) 2012-06-08
KR101208746B1 true KR101208746B1 (ko) 2012-12-05

Family

ID=46610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358A KR101208746B1 (ko) 2010-11-30 2010-11-30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을 갖는 로도박터속 케이비-에이치에이치케이-1 균주, 이를 함유한 미생물 제제 및 그 배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7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770B1 (ko) 2022-07-11 2023-02-10 주식회사대지개발 신규 페니바실러스 속 Daeji-L2 균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876B1 (ko) 2013-08-28 2016-02-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균주인 바실러스 푸밀러스 bd129 균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7, pp.163-170 (200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770B1 (ko) 2022-07-11 2023-02-10 주식회사대지개발 신규 페니바실러스 속 Daeji-L2 균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855A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58913B2 (en) Designed complex endophyt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ed plant traits
CN104818216B (zh) 一株用于防治番茄与葡萄根结线虫病害的淡紫拟青霉
CN111040976B (zh) 一株解淀粉芽孢杆菌及其应用
KR101224485B1 (ko)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젤다나마이시니너스 bs3283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CN111778195A (zh) 一种阿氏芽孢杆菌、菌剂和制备方法与应用
CN107043713A (zh) 一株蜡状芽孢杆菌y10及其在耐镉和/或降低有效镉含量中的应用
KR100781300B1 (ko) 신규한 바실러스속 미생물균주를 이용한 딸기 시들음병방제용 미생물제제 및 그 제조방법
CN1319458C (zh) 一种新型真菌杀虫剂的生产和用途
KR101208746B1 (ko)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을 갖는 로도박터속 케이비-에이치에이치케이-1 균주, 이를 함유한 미생물 제제 및 그 배양방법
KR101832065B1 (ko) 참치 가공 잔재물의 효소 처리 및 발효시킨 아미노산 액상 비료와 이의 제조방법
KR101756683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균주,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생물 농약
CN106244480B (zh) 一株假格里尼翁苍白杆菌及其防治植物寄生线虫的应用
Türkölmez et al. Clonostachys rosea Strain ST1140: An endophytic plant-growth-promoting fungus, and its potential use in seedbeds with wheat-grain substrate
KR102525319B1 (ko) 부산물의 발효와 식물의 생육을 촉진하고, 옥신을 생성하는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 jws22003 균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부산물 발효방법과 식물 생육 촉진방법
KR20100028351A (ko) 신규 미생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비료 첨가제
KR100977530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sp. YD414 균주, 이를 포함하는식물병 방제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KR102612464B1 (ko) 담수에서 분리한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 nnibrfg2982 균주 및 이의 용도
AU2018267591A1 (en) An Herbicidal Composition for Controlling Parthenium Weed and Strain Thereof
JP5807950B2 (ja) ナス科植物に対する増収及び疫病発病抑制効果、並びにマメ科植物に対する連作による収量低下防止効果を示す微生物菌株並びに栽培方法
KR20180035433A (ko) 뿌리혹선충에 대해 살선충활성을 가지는 자일라리아 그람미카 el 00061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876431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sp. MG12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식물병 방제제
CN105274021A (zh) 一株桑树拮抗性内生菌特基拉芽孢杆菌
Pastor et al. Inoculation of tomato roots with single and mixed suspensions of Trichoderma harzianum ITEM 3636 conidia and Pseudomonas putida PCI2 cells
CN117887580B (zh) 一株促进香蕉生长和防控枯萎病的原生动物尾滴虫及应用
CN115627247B (zh) 一种复合微生物肥料制备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