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876B1 - 신균주인 바실러스 푸밀러스 bd129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균주인 바실러스 푸밀러스 bd129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876B1
KR101597876B1 KR1020130102286A KR20130102286A KR101597876B1 KR 101597876 B1 KR101597876 B1 KR 101597876B1 KR 1020130102286 A KR1020130102286 A KR 1020130102286A KR 20130102286 A KR20130102286 A KR 20130102286A KR 101597876 B1 KR101597876 B1 KR 101597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pepper
bacillus
present
b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2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5101A (ko
Inventor
이선우
이명환
최수연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02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87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추 역병의 균사를 점유하여 고추 역병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바실러스 푸밀러스 BD129 신균주 및 상기 신균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역병의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균주는 고추 역병균의 균사에 특이적으로 달라붙어 고추 역병균에 대한 방제 효과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기합성 농약의 사용으로 인하여 인,축에 유독성 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균주를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어 고추의 수확 증가에 큰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신균주인 바실러스 푸밀러스 BD129 균주 및 이의 용도{Novel Bacillus pumilus BD129 strain and use the same}
본 발명은 고추 역병의 균사를 점유하여 고추 역병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바실러스 푸밀러스 BD129 신균주 및 상기 신균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역병의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농약은 작물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재배할 때 발생하는 병이나 해충을 방제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화학농약은 정확하고 신속한 약효로 농민들의 신뢰를 얻게 되었고 병충해 문제는 모두 농약으로 해결 가능하다는 인식이 생겨났다. 이로 인해 필요 이상의 농약을 사용하거나 적정농도를 초과하는 일이 빈번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 이면에 화학농약의 사용은 많은 문제점이 발생했다. 첫째, 화학농약을 사용하는 농민의 피해가 상당하였다. 많은 농민들이 농사일 중 가장 꺼려하는 것이 농약살포 작업이다. 보호 장비를 갖춘다고 해도 살포할 때 피해를 입을 위험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둘째, 화학 농약은 살충의 대상인 병균, 해충, 잡초만 죽이는 것이 아니라 천적이나 누에나 꿀벌 같은 익충에 피해를 주고 뿐만 아니라 강이나 하천으로 유입되어 수서 곤충이나 어류에도 큰 피해를 준다. 실제로 과수원, 시설재배단지 그리고 골프장 주변의 생태계는 지속적인 농약사용으로 크게 변화되고 있으며 더욱이 농산물에 잔류된 농약이 식품을 통해 인체에 피해를 주고 토양이나 다른 생물에 축적된 농약이 만성적인 생태계에 부작용을 유발한다. 셋째, 화학농약 살포 후에 살아남은 병원균이나 해충은 농약에 저항성을 갖게 되어 오히려 병, 해충이 증가하는 경우가 생긴다. 또한, 흔히 나타나는 현상으로 종전까지는 문제가 되지 않던 새로운 병, 해충이나 잡초가 등장하여 이전보다 더 어려운 상황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에 미생물 농약이나 비료 등 친환경자재를 이용하여 화학농약을 대체하려는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는데(Park et al., 2001; Ahn et al., 2002; Jeun et al., 2004) 항균활성 보유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제는 농작물 재배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병 방제를 위하여 살포되는 농약의 사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안전농산물 생산에 기여하고 있으며, 질소고정이나 인산가용화, 단백질 및 유기물 분해, 식물호르몬인 Auxin 생산 능력 등을 가진 미생물은 작물의 생육을 촉진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화학비료를 대체하는 미생물비료로 사용되고 있다.
많은 미생물 농약비료가 경작지 토양에서 분리된 미생물을 이용해 개발되고 있으며, 산림비경작지 토양에서 분리된 미생물의 농업용 자재로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도 많이 시도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58855호 한국공개특허 제2010-0114806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무른 김치에서 분리한 신균주인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 균주가 고추 역병의 균사를 점유하여 고추 역병의 생육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추 역병 억제 활성을 갖는 신균주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 KCTC 18248P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추 역병 억제 활성을 갖는 신균주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 KCTC 18248P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을 고추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추 역병의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추 역병 억제 활성을 갖는 신균주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 KCTC 18248P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고추 역병의 원인균인 파이토프소라 캡시사이(Phytophthora capsici)의 균사를 점유하여 생육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추 역병 억제 활성을 갖는 신균주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 KCTC 18248P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을 고추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추 역병의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규한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한 고추 역병의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균주는 고추 역병균의 균사에 특이적으로 달라붙어 고추 역병균에 대한 방제 효과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기합성 농약의 사용으로 인하여 인,축에 유독성 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균주를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어 고추의 수확 증가에 큰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무른 김치에서 분리한 바실러스 푸밀러스 BD129 균주의 섬유소 분해 결과 사진이다. (1: 본 발명의 신균주에 의한 섬유소 분해 효과, 2: 대조군 Escherichia coli (대장균))
도 2는 무른 김치에서 분리한 바실러스 푸밀러스 BD129 균주의 식물병원균 파이토프소라 캡시사이(Phytophthora capsici) 균주에 대한 공중 균사 생육저해 사진이다. (A: 대조구 식물병원균 파이토프소라 캡시사이(Phytophthora capsici); B: 본 발명의 신균주를 이용한 식물병원균 파이토프소라 캡시사이(Phytophthora capsici)의 생육 억제 정도 확인; C: 대조구 식물병원균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ina solani); D: 본 발명의 신균주를 이용한 식물병원균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ina solani)의 생육 억제 정도 확인)
도 3은 본 발명의 신균주의 recA 유전자 분석 결과를 나타낸 계통도이다.
본 발명은 신규한 바실러스 푸밀러스 BD129 신균주 및 상기 신균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역병의 방제방법을 제공한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고추가 중요한 환금작물인 우리나라에서 고추 역병은 고추의 생산에 가장 치명적인 작물병으로 경제적 손실이 크나 화학방제 약제나 방제법이 없어 농가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파이토프소라 캡시사이(Phytophthora capsici)에 의한 고추 역병은 일단 발생되면 치료가 거의 불가능하며 병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추 역병은 토양 전염성 작물병으로 병원균의 난포자(oospore), 균사, 포자낭(sporangium) 등이 토양에 존재하여 전염원이 되고 있다.
따라서 토양에서 해당 병원균의 밀도를 낮추기 위해 이들 전염원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한 방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현재 고추 역병의 방제를 위해서는 등록 약제를 적절히 살포하여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을 활용하거나 저항성 품종의 재배 및 윤작을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학방제의 경우 그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최근 약제 저항성 균의 출현으로 포장에서의 방제 효과가 크게 저하되었을 뿐 아니라, 화학농약의 다량 살포에 의한 인축에 대한 잔류 독성 및 잔류 농약에 의한 심각한 환경오염이 발생하여 이를 대체하기 위한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화학농약을 대체하기 위한 일환으로 미생물학적 방제에 관한 연구가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즉, 환경친화적 농업을 위한 미생물 농약에 관한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
현재 고추 역병을 방제하기 위한 미생물 농약으로 특허 등록된 미생물로는 세균류에 바실러스 속의 많은 균주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바실러스 속의 균주들은 내생포자를 생산하여 건조, 열, 저온, 빈영양 상태 등 미생물 균주의 생존을 저해하는 환경에서 잘 생존하여 미생물 농약 및 제제로 개발에 유리한 점을 보유하고 있어서 다른 그람 음성의 균주에 비해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서팩틴(surfactin), 아이튜린(iturin) 등 리포펩타이드(lipopeptide) 계열의 수 많은 항생물질을 생산하여 광범위한 식물 병원균에 대한 저지 효과가 우수하여 다양한 균주들이 미생물 제제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환경 친화적이며 약제 저항성을 유발할 염려가 없는 미생물 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계속하던 도중 무른 김치에서 분리한 균주에서 고추 역병인 파이토프소라 캡시사이(Phytophthora capsici)의 균사를 점유하여 고추 역병균의 생육을 억제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러한 활성이 있는 길항 미생물을 분리 및 동정하고, 16S r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계통학적 분류를 조사한 결과, 동일한 염기서열을 갖는 균주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계통학적으로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에 속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분리 및 동정한 신규한 균주를 2013년 6월 3일 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KCTC)에 기탁하여 기탁번호 KCTC18248P를 부여받았고 이를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로 명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분리 및 동정한 상기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 균주는 섬유소 분해 활성이 높다고 알려진 무른 김치에서 분리하여 섬유소 분해 활성이 우수하며 고추 역병인 파이토프소라 캡시사이(Phytophthora capsici)의 균사를 점유하여 고추 역병균의 생육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뛰어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신균주에 고추 역병균 억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식물병원균과 본 발명의 신균주를 대치배양한 결과, 본 발명의 신균주는 고추 역병균인 파이토프소라 캡시사이의 균사에 달라붙어 균사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다른 식물병원 진균인 라이족토니아 솔라니, 벼 도열병균 (Magnaporthe grisea), 밀 붉은곰팡이 병균(Fusarium graminearum) 등의 병원균 균사와의 대치배양에서는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는 균사에 달라붙지도 않고 생육억제 효과도 현저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도 2 참조).
이에 본 발명의 신균주인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 균주는 특이적으로 고추 역병균의 균사에 달라붙어 생육을 억제할 수 있어 고추 역병에 대한 항진균 효과 및 고추의 생장 촉진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미생물 제제는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 제제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고추역병 방지 및 식물생장 촉진용으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건조분말 형태 또는 액상비료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 제제는 액상 비료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중량제를 첨가하여 가루분말의 형태로 이용하거나 이를 제형화하여 과립화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제형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화학비료를 대체하기 위한 식물생장 촉진 생물비료로 제형화 할 수 있고, 즉 화학비료 공급이 제한된 친환경 유기농업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생물비료로 제형화가 가능하다.
상기 식물생장 촉진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적용방법은 통상 일반적으로 행하고 있는 방법, 즉 살포(예를 들면 분무, 미스팅, 아토마이징, 분말 살포, 과립 살포, 수면시용, 상시용 등), 토양시용(예를 들면 혼입, 관주 등), 표면사용(예를 들면 도포, 도말법, 피복 등), 침지, 독이, 훈연 시용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그 사용량은 그 체형, 피해상황, 적용방법, 적용장소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신균주인 바실러스 푸밀러스 ( Bacillus pumilus ) BD129 의 분리
<1-1> 본 발명의 신균주 분리 및 선발
본 발명자들은 세포벽의 주성분이 섬유소인 고추 역병균의 생육을 저해하는 길항세균의 분리를 위하여, 섬유소 분해 미생물이 다수 존재할 수 있는 무른 김치를 표면세척·분쇄하여 1g을 멸균수 10㎖로 현탁하여 10- 2 에서 10-5배 희석한 후에 영양배지(nutrient agar, Difco)에 0.1㎖씩 도말하여 30℃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평판배지에 나타난 균총 중에서 서로 다른 형태의 임의의 균총들을 선발하여 총 3회 이상 계대배양하여 순수분리하였다. 순수 분리된 동정되지 않은 5개의 균주를 CMC (carboxymethyl cellulose)가 포함된 영양배지(nutrient agar, Difco)에 섬유소 분해 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30℃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평판배지에 나타난 균총을 긁어내고 0.1% Congo red 3ml을 평판배지 위에 떨어뜨린 다음 30분 동안 교반기를 이용하여 약하게 교반하여 주었다.
0.1% Congo red 염색시약을 제거하고 난 후에 1M 소디움클로라이드(NaCl) 용액으로 3회 세척하여주면서 탈색하였으며, 탈색 후에 균총이 자랐던 주변 부위가 투명하게 변한 균주를 선발하여 본 발명의 BD129 균주를 분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분리된 균주의 장기 보존을 위해 40% 글리세롤(glycerol) 용액에 현탁시켜 -80℃에 보관하였다.
<1-2> 본 발명의 신균주 동정
실시예 <1-1>에서 분리한 균주를 동정하기 위하여 16S rRNA 유전자와 recA 유전자의 DNA 서열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양배지(nutrient broth)에서 1일간 배양한 BD129 균주의 전체 DNA를 Dokdo-Prep Bacterial Genomic DNA Purification Kit (ELPIS BIOTECH., Korea)로 분리하여 게놈 DNA(genomic DNA)를 준비하였다.
상기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여 16S rRNA 유전자와 recA 유전자를 증폭하였으며, 16S rRNA 유전자는 다음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증폭하였다.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에 사용한 프라이머
프라이머 이름 프라이머 서열
Forward primer 8F 5’-AGA GTT TGA TCC TGG CTC AG-3’
reverse primer 1492r 5’-GGT TAC CTT GTT ACG ACT T-3’
PCR 반응 조건은 초기변성을 95℃에서 5분간 수행한 후, 변성(denaturation, 95℃에서 30초), 결합(annealing, 52℃에서 30초), 연장(elongation, 72℃에서 1분 30초)단계를 총 30회 반복하였다. 최종적으로 72℃에서 7분간 유지시키면 PCR 반응을 종결시켰다.
또한, recA 유전자의 28번째부터 48번째까지의 서열로부터 작성된 프라이머와 583번째부터 602번째까지의 서열로부터 작성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함으로써 recA 유전자를 증폭하였다.
recA 염기서열 분석에 사용한 프라이머
프라이머 이름 프라이머 서열
Forward 프라이머(28_48) 5’-GAT CGT CAR GCA GSC YTW GAT-3’
Reverse 프라이머(602_583) 5’-TTW CCR ACC ATA ACS CCR AC-3’
PCR 반응 조건은 초기변성을 95℃에서 5분간 수행한 후, 변성(denaturation, 94℃에서 30초), 결합(annealing, 45℃에서 30초), 연장(elongation, 72℃에서 1분 30초)단계를 총 30회 반복하였다. 최종적으로 72℃에서 5분간 유지시키면 PCR반응을 종결시켰다.
증폭된 PCR 산물들은 FavorPrep GEL/PCR Purificatiob Mini Kit(FAVORGEN., Korea)를 이용하여 정제한 후, pGEM-T Easy 벡터(Promega, U.S.A.)에 클로닝하고, DNA 서열은 마크로젠(Seoul, Korea)에 의뢰하여 분석결과를 획득하였으며, 획득된 염기 서열을 BLAST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BD129 균주의 16S rRNA 유전자의 DNA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에 그리고 recA 유전자의 DNA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2로 나타내었다. 16S rRNA 유전자 분석결과는 BD129 균주가 다수의 바실러스 푸밀러스를 포함한 바실러스 종들과 99% 유사도를 보여서 recA 유전자를 서열로 정확한 종 동정을 수행하였다. rec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수 분석방법은 하기와 같다.
우선 NCBI의 유전자은행(GenBank) 데이터베이스에서 BD129 균주의 recA 유전자와 유사도가 높은 15개의 다양한 바실러스 종들의 recA 유전자 서열을 확보하였다. 확보된 15개의 유전자 염기서열과 BD129의 recA 유전자 염기서열을 Clustal X (Ver.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정렬(multiple alignment)하였다. 다중정렬한 결과 생성된 결과파일을 이용하여 MEGA5 프로그램에서 DNA 서열 유사도에 따른 distance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당 결과는 Neighbor-joining 방법을 이용하여 recA 유전자 계통수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BD129 균주는 recA 유전자의 DNA서열 분석에서 바실러스 푸밀러스 SAFR-032 균주의 recA 유전자와 가장 높은 유사도인 94% 유사도를 보였으며, 다른 바실러스 종들의 recA 유전자와는 83% 미만의 유사도를 보였다. recA 유전자를 이용한 계통수 분석의 결과도 본 발명의 BD129가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임을 최종적으로 확인하였다(도 3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동정한 균주가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신규한 균주임을 확인함으로써, 2013년 6월 3일 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KCTC)에 기탁하여 기탁번호 KCTC18248P를 부여받았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동정한 신균주를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로 명명하였다.
< 실시예 2>
본 발명에서 분리 동정한 바실러스 푸밀러스 ( Bacillus pumilus ) BD129 균주의 고추 역병균 억제 활성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섬유소 분해 활성 효과가 확인된 본 발명의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 균주가 고추 역병균에 대해 생장 억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식물병원균들과 본 발명의 신균주인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를 대치배양시켰으며 그 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본 발명자들은 고추 역병균 생육억제 활성 검정을 위해서 V8 평판배지를 제작하여 고추 역병균 파이토프소라 캡시사이를 계대배양하였다. 활발하게 생육중인 균총을 다시 선별하여 V8 배지의 왼쪽 중앙에 다시 계대배양하여 25℃에서 24시간동안 먼저 키우고 V8 평판배지의 오른쪽에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 균주를 세로로 일직선 모양으로 배양하였다.
계대배양 후 25℃에서 일주일간 배양하면서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의 균총이 고추 역병균의 균사 생육을 억제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대조구로는 무처리를 이용하였으며 또 다른 대조구로 라이족토니아 솔라니 균주에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를 동일한 방법으로 대치배양한 것과 라이족토니아 솔라니에 무처리 한 것을 포함 하였다. 또한 다른 식물병원 진균인 벼 도열병균 (Magnaporthe grisea), 밀 붉은곰팡이 병균(Fusarium graminearum) 등의 병원균 균사와도 대치배양 하였다.
다양한 종류의 식물병원균들과 본 발명의 신균주인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를 대치배양시킨 결과,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 균총이 고추 역병균인 파이토프소라 캡시사이의 균사에 달라붙어 균사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다른 식물병원 진균인 라이족토니아 솔라니, 벼 도열병균 (Magnaporthe grisea), 밀 붉은곰팡이 병균(Fusarium graminearum) 등의 병원균 균사와의 대치배양에서는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는 균사에 달라붙지도 않고 생육억제 효과도 현저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도 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균주인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 균주는 특이적으로 고추 역병균의 균사에 달라붙어 병원균의 생육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8248P 20130530
<110> Dong-A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For Industry-Academy Cooperation <120> Novel Bacillus pumilus BD129 strain and use the same <130> PN1307-253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5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ic acid sequence of 16S rRNA gene of Bacillus pumilus BD129 <400> 1 agagtttgat cctggctcag gacgcccttt cttggcgtgc ctaatacatg caagtcgagc 60 ggacagaagg gagcttgctc ccggatgtta gcggcggacg ggtgagtaac acgtgggtaa 120 cctgcctgta agactgggat aactccggga aaccggagct aataccggat agttccttga 180 accgcatggt tcaaggatga aagacggttt cggctgtcac ttacagatgg acccgcggcg 240 cattagctag ttggtgaggt aacggctcac caaggcgacg atgcgtagcc gacctgagag 300 ggtgatcggc cacactggga ctgagacacg gcccagactc ctacgggagg cagcagtagg 360 gaatcttccg caatggacga aagtctgacg gagcaacgcc gcgtgagtga tgaaggtttt 420 cggatcgtaa agctctgttg ttagggaaga acaagtgcaa gagtaactgc ttgcaccttg 480 acggtaccta accagaaagc cacggctaac tacgtgccag cagccgcggt aatacgtagg 540 tggcaagcgt tgtccggaat tattgggcgt aaagggctcg caggcggttt cttaagtctg 600 atgtgaaagc ccccggctca accggggagg gtcattggaa actgggaaac ttgagtgcag 660 aagaggagag tggaattcca cgtgtagcgg tgaaatgcgt agagatgtgg aggaacacca 720 gtggcgaagg cgactctctg gtctgtaact gacgctgagg agcgaaagcg tggggagcga 780 acaggattag ataccctggt agtccacgcc gtaaacgatg agtgctaagt gttagggggt 840 ttccgcccct tagtgctgca gctaacgcat taagcactcc gcctggggag tacggtcgca 900 agactgaaac tcaaaggaat tgacgggggc ccgcacaagc ggtggagcat gtggtttaat 960 tcgaagcaac gcgaagaacc ttaccaggtc ttgacatcct ctgacaaccc tagagatagg 1020 gctttccctt cggggacaga gtgacaggtg gtgcatggtt gtcgtcagct cgtgtcgtga 1080 gatgttgggt taagtcccgc aacgagcgca acccttgatc ttagttgcca gcatttagtt 1140 gggcactcta aggtgactgc cggtgacaaa ccggaggaag gtggggatga cgtcaaatca 1200 tcatgcccct tatgacctgg gctacacacg tgctacaatg gacagaacaa agggctgcga 1260 gaccgcaagg tttagccaat cccacaaatc tgttctcagt tcagatcgca gtctgcaact 1320 cgactgcgtg aagctggaat cgctagtaat cgcggatcag catgccgcgg tgaatacgtt 1380 cccgggcctt gtacacaccg cccgtcacac cacgagagtt tgcaacaccc gaagtcggtg 1440 aggtaacctt tatggagcca gccgccgaag gtggggcaga tgattggggt gaagtcgtca 1500 taaagggaac c 1511 <210> 2 <211> 60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ic acid sequence of 16S rRNA gene of Bacillus pumilus BD129 <400> 2 gatcgtcagg caggccttga tatggctctt aaacaaatag aaaaacagtt tggtaaaggc 60 tctattatga aactaggaga gcaaacagat acacgtattt caacagtacc tagtggttcg 120 ttagcacttg atactgcgct tggaataggt ggataccctc gcggccgtat tattgaagta 180 tatggtccag agagttctgg taaaacgaca gtagcacttc atgcgattgc tgaggttcag 240 cagcagggag gacaagctgc atttatcgat gcggagcatg cgctagatcc agtttacgct 300 caaaaattag gtgtcaacat tgatgagttg ttactttctc agccggatac aggagaacaa 360 gcacttgaaa ttgcagaagc acttgttcgt agtggtgcag ttgatattgt tgtcattgac 420 tcagtagctg ctcttgtacc aaaagcagag atcgaaggag acatgggaga ttcacacgtt 480 ggtcttcaag cacgtttgat gtctcaagca cttcgtaaac tatctggtgc tatcaacaaa 540 tcaaaaacaa ttgcgatctt tattaaccaa attcgtgaaa aagttggcgt tatggtcggt 600 aa 602

Claims (3)

  1. 고추역병균인 파이토프소라 캡시사이(Phytophthora capsici)의 균사를 점유하여 고추 역병 억제 활성을 갖는 신균주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 KCTC 18248P 균주.
  2. 삭제
  3. 고추역병균인 파이토프소라 캡시사이(Phytophthora capsici)의 균사를 점유하여 고추 역병 억제 활성을 갖는 신균주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BD129 KCTC 18248P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을 고추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추 역병의 방제방법.
KR1020130102286A 2013-08-28 2013-08-28 신균주인 바실러스 푸밀러스 bd129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597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286A KR101597876B1 (ko) 2013-08-28 2013-08-28 신균주인 바실러스 푸밀러스 bd129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286A KR101597876B1 (ko) 2013-08-28 2013-08-28 신균주인 바실러스 푸밀러스 bd129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101A KR20150025101A (ko) 2015-03-10
KR101597876B1 true KR101597876B1 (ko) 2016-02-25

Family

ID=5302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286A KR101597876B1 (ko) 2013-08-28 2013-08-28 신균주인 바실러스 푸밀러스 bd129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87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283B1 (ko) 2009-04-16 2011-09-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크로박트럼 sp.KUDC1013과 상기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및 식물생장 촉진제
KR101208746B1 (ko) 2010-11-30 2012-12-05 광주시농업기술센터 식물의 생장촉진 효능을 갖는 로도박터속 케이비-에이치에이치케이-1 균주, 이를 함유한 미생물 제제 및 그 배양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hah Md. Asraful Islam 등. Curr Microbiol. Vol. 61, No. 4, 페이지 346-356 (2010.)*
Vavrina. C.S.등. ISHS Acta Horticulturae 504: VI Symposium on Stand Establishment and ISHS Seed Symposium. THE EFFECT OF LS 213 (BACILLUS PUMILUS) ON PLANT GROWTH PROMOTION AND SYSTEMIC ACQUIRED RES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101A (ko) 201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4476B2 (en) Pure culture of strain AH2 of the Bacillus velezensis species and a product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phytopathogenic fungi
KR101569737B1 (ko) 벼 근권에서 분리된 신규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오리지콜라 및 이를 이용한 천연식물 보호 및 식물 강화제 개발
Karimi et al. Bacillus amyloliquefaciens SB14 from rhizosphere alleviates Rhizoctonia damping-off disease on sugar beet
KR101346698B1 (ko) 식물병원성 세균 및 진균을 방제하는 기능과 약제 다제내성 세균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KR20130032100A (ko) 작물의 생육촉진 및 내한성 증강효과를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발리스모티스 bs07m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제제
US20220132862A1 (en) Pseudomonas sp. stra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KR20140071145A (ko) 신균주인 페니바실러스 폴리믹사 ab-15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67541B1 (ko)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gh1-13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미생물농약
KR20140127670A (ko)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메칠로트로피쿠스 yc700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생물농약 및 미생물비료 개발
KR101972079B1 (ko) 식물 생육 증진 및 식물병 억제 효과를 갖는 신규 슈도모나스 사포니필라 ghr1-1 균주와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
KR101922410B1 (ko) 바실러스 오리지콜라 yc7011이 생산하는 식물 병해충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기주 저항성 유도 신규 물질
CN113699065B (zh) 一种死谷芽孢杆菌及其应用
KR101524651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시우스 s4-7&#39;&#39;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20190136009A (ko) 미츠아리아속에 속하는 균주 및 그 균주를 사용한 미생물 농약
KR20080045346A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엠27 균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한 식물 균핵병 방제 방법
KR101660229B1 (ko) 트라이코데르마 하지아눔 mpa167 및 이의 용도
KR102670981B1 (ko) 고추 탄저병과 세균병 방제 및 생육촉진 효과를 가진 다기능 천연식물보호제 개발
KR101757350B1 (ko) 식물 병원균에 대해 방제활성을 가지는 내생세균인 바실러스 튜린지엔시스 kb1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10120748A (ko) 신규한 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큐파션스 씨피 1 및 이를 이용한 딸기 탄저병균의 방제방법
RU2625977C1 (ru) Штамм бактерий Bacillus amyloliquefaciens OPS-32 для получения биопрепарата комплекс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защиты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растений от фитопатогенных грибов, стимуляции их роста и повышения урожайности
KR20190086947A (ko) 식물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얼위니아 게런덴시스(Erwinia gerundensis) KUDC9201 균주 및 이의 이용
KR101597876B1 (ko) 신균주인 바실러스 푸밀러스 bd129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43334B1 (ko) 식물 주요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슈도모나스 프레데릭스버겐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986653B1 (ko) 슈도모나스 에스피 피에프-1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KR100961786B1 (ko) 버크홀데리아 파이로시니아 씨에이비08106-4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