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431B1 - 스트렙토마이세스 sp. MG12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식물병 방제제 - Google Patents

스트렙토마이세스 sp. MG12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식물병 방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431B1
KR100876431B1 KR1020070041508A KR20070041508A KR100876431B1 KR 100876431 B1 KR100876431 B1 KR 100876431B1 KR 1020070041508 A KR1020070041508 A KR 1020070041508A KR 20070041508 A KR20070041508 A KR 20070041508A KR 100876431 B1 KR100876431 B1 KR 100876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streptomyces
antimicrobial activity
plant disease
diseas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267A (ko
Inventor
임태헌
김진호
조성현
Original Assignee
임태헌
김진호
조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헌, 김진호, 조성현 filed Critical 임태헌
Priority to KR1020070041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431B1/ko
Publication of KR20080096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465Streptomy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토프소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및 콜레토트리컴 아큐타텀(Colletotrichum acutatum)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sp. MG121 균주(수탁번호 제KACC 91306P호), 및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균주 또는 그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주는 P. 캡사이시 및 C. 아큐타텀은 물론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식물 생육촉진 효과를 나타내므로, 고추 역병 및 탄저병, 및 잔디 라이족토니아마름병을 비롯한 각종 식물병을 환경친화적으로 방제할 수 있으며 각종 경제작물의 수량 및 생산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스트렙토마이세스, 고추 역병, 고추 탄저병, 식물병 방제제, 토양처리제, 생물농약

Description

스트렙토마이세스 sp. MG12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제{Streptomyces sp. MG121 strain, and agents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containing the same}
도 1은 MG121 균주의 형태학적 특성을 보여주는 광학 및 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2a 내지 2d는 MG121 균주와 스트렙토마이세스 sp. 3469의 염기서열 상동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MG121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4는 MG121 균주의 P. 캡사이시 및 C. 아큐타텀에 대한 기내 항균활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5는 MG121 균주에 의한 P. 캡사이시의 균사 팽윤현상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6은 MG121 균주의 R. 솔라니에 대한 기내 항균활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7은 MG121 균주의 온도에 따른 생육 및 항균활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8은 MG121 균주의 pH에 따른 생육 및 항균활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9는 MG121 균주의 조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0은 MG121 균주의 실내 간이 생체(열매) 실험에서의 P. 캡사이시 및 C. 아큐타텀에 대한 항균활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11은 MG121 균주로부터의 휘발성 물질의 P. 캡사이시 및 C. 아큐타텀에 대한 항균활성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12는 MG121 균주의 온실 내 식물(고추) 생육촉진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신규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sp. 균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토프소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및 콜레토트리컴 아큐타텀(Colletotrichum acutatum)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스트렙토마이세스 sp. MG121 균주(수탁번호 제KACC 91306P호), 및 상기 균주 또는 그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역병균인 파이토프소라(Phytophthora) spp.에 의한 식물병의 종류와 그에 따른 피해는 모든 식물병 연구자의 관심을 끌 정도로 막대하다. 지금까지 식물에 병해를 발생시키는 역병균은 세계적으로 60여 종이 보고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16종의 역병균이 경제작물에 병해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파이토프소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는 다른 역병균과 비교하여 기주범위가 넓은데, 고추, 수박, 오이, 참외 및 토마토 등이 막대한 피해를 받는 경제작물이다. 역병균은 저온 다습한 조건에서 만연하게 되며 일단 발병하면 급속하게 진전되어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다. 특히, 역병균은 수생균으로 강우 시 그 전염속도가 매우 빠르다. 이 병원균은 균사 형태로 토양 속의 이병 잔재물에서 월동한다. 지금까지는 난균류(Oomycetes)로 분류되어 왔으나, 최근 새롭게 원생생물(protist)로 분류되었다. 현재 이의 방제에는 일반 식물 병원성 진균에 대한 살균제보다 원생생물에 대한 선택성이 강한 메타락실(methalaxyl), 디메토모프(dimethomorph) 및 포세틸-Al(fosetyl-Al)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화학적 살균제의 사용 증가에 따라 약제 저항성 균주의 출현에 따른 약효 저하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콜레토트리컴 아큐타텀(Colletotrichum acutatum)에 의한 탄저병은 고추, 포도, 사과 및 복숭아 등 채소류와 과수에 발생하여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다. 특히, 고추의 경우 기존에는 C.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 gloeosporioides)에 의한 탄저병이 연구되었으나, 최근 들어 주 병원균이 C. 아큐타텀으로 바뀌는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병원균의 개체군 변이는 적절한 방제전략의 수립을 요구한다. 현재 탄저병 방제는 주로 베노밀(benomyl)을 포함한 벤즈이미다졸(benzimidazole)계 살균제와 실바코(tebuconazole)를 비롯한 EBIs계(ergosterol biosynthesis inhibitors) 살균제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살균제들에 대한 저항성 균주가 전 세계적으로 출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벤즈이미다졸계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 균주 출현에 따른 문제점이 여러 식물 병원성 진균에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의 시급한 해결 뿐만 아니라, 경제수준 향상에 따른 먹 거리의 안전성에 대한 최종 소비자의 관심증가와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높은 신뢰도 확보 측면에서, 식물 병해 방제전략에 큰 변화가 요청되고 있는 바, 특히 부작용이 없는, 미생물을 비롯한 생물자원을 활용한 식물병 방제전략의 수립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이에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411,185호는 식물 역병균인 파이토프소라 속 및 입고병균인 피시움 속(Pythium sp.) 균 등 식물 병원성 난균류에 대하여 선택적인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스트렙토마이세스 sp. AG-P(KCTC 8965P)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597,317호는 고추 탄저병을 일으키는 콜레토트리컴 코코데스(Colletrotrichum coccode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스트렙토마이세스 KACC 91028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 농약제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따른 균주들은 그 항균활성에 있어서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으며, P. 캡사이시와 C. 아큐타텀 모두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지는 못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자들은 미생물을 이용한 P. 캡사이시 및 C. 아큐타텀의 동시 방제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해온 결과,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오푸스커스(Stpretomyces griseofuscus) 200401 균주(수탁번호 제KFCC 11347P호)를 분리·동정하고 이 균주가 P. 캡사이시와 C. 아큐타텀에 대해 항균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여, 2005년 3월 18일자 출원번호 제10-2005-0022714호로 출원하여 특허받은 바 있다(등록번호 제622,694호).
본 발명자들은 상기 등록특허 제622,694호에 이어서, 추가로 산림지역 토양으로부터 스트렙토마이세스 sp. MG121 균주를 분리·동정하고 상기 균주가 P. 캡사이시 및 C. 아큐타텀은 물론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식물 생육촉진 효과를 가짐으로써 고추 역병 및 탄저병을 비롯한 각종 식물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경제작물의 수량 및 생산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 캡사이시 및 C. 아큐타텀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스트렙토마이세스 sp. MG121 균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균주 또는 그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식물병 방제제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면은 P. 캡사이시 및 C. 아큐타텀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sp. MG121 균주(수탁번호 제KACC 91306P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면은 상기 균주 또는 그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병 방제제는 바람직하게는 고추 역병, 고추 탄저병 또는 잔디 라이족토니아마름병의 방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면은 상기 식물병 방제제를 토양 또는 식물의 엽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식량 작물, 특히 고추 재배 시 문제를 일으키는 고추 역병 및 탄저병 방제를 위한 미생물을 확보하고자, 경북 산림 토양과 비경작지 토양으로부터 많은 시료를 수집하고 물한천배지(진균 분리용), 영양배지(세균 분리용) 및 방선균 분리용 선택배지에서 배양하여 많은 미생물을 분리한 후, P. 캡사이시와 C. 아큐타텀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미생물을 분리·확보하였다. 분리된 미생물은 실내 실험을 통하여 그 활성을 검정·선발하였다.
본 발명에서 최종적으로 검정·선발된 미생물은 P. 캡사이시 및 C. 아큐타텀에 의해 유발되는 고추 역병 및 탄저병에 높은 방제활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잔디 라이족토니아마름병을 일으키는 R. 솔라니에 대해서도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며, 식물체에 대해 생육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균주를 '스트렙토마이세스 sp. MG121'이라 명명하고, 이를 2007년 4월 12일자로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224에 소재한 농촌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 부설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에 기탁 완료하고, 수탁번호 제KACC 91306P호를 부여받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 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어떤 식으로든지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MG121 균주의 형태학적 특성분석
선발된 균주 MG121을 ISP(International Streptomyces Project) 규정에 따라 28 ℃에서 배양하고, 그 형태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 하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좌측: 광학현미경 사진, 우측: 전자현미경 사진).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MG121 균주의 포자는 연쇄상으로 표면은 매끄럽고 간상형이었다. 또한, YMA(Yeast-Malt extract agar)에서 배양 후기에는 균총의 표면이 회갈색으로 변하며 배지 내 갈색의 색소를 분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MG121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선발된 균주 MG121의 최종 동정을 아래와 같은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MG121 균주의 염색체 DNA를 분리한 후, 세균의 16S rRNA 서열분석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프라이머인 518F(5'-CCAGCAGCCGCGGTAATACG-3'; 서열번호 1)와 800R(5'-TACCAGGGTATCTAATCC-3'; 서열번호 2)을 사용하여 94 ℃에서 1 분간 변성, 60 ℃에서 1 분간 어닐링, 72 ℃에서 1 분 30 초 동안 연장시키는 조건에서 PCR을 수행하였다. PCR 산물에 대해 0.8% 아가로스 젤 전기영동을 수행한 후 약 1400 bp의 16S 리보솜 DNA를 분리 정제하여 ABI PRISM 3700 DNA 애널라이저(Applied Biosystems, USA)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서열번호 3: MG121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 분석된 염기서열을 BLAST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젠뱅크(GENBANK)와 RDP(RNA database project)의 리보솜 RNA 서열과 비교하여 MG121 균주를 동정하였다. 그 결과, MG121 균주는 스트렙토마이세스 sp. 3469와 99%의 상동성을 보였으며,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와 98%의 상동성을 보였다.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균주와 스트렙토마이세스 sp. 3469의 16S rDNA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선발된 균주 MG121을 스트렙토마이세스 sp. MG121로 명명하고, 이를 2007년 4월 12일자로 농촌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 부설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에 기탁 완료하고, 수탁번호 제KACC 91306P호를 부여받았다.
실시예 3: MG121 균주의 생리학적 특성분석
MG121 균주의 생리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MG121 균주를 YMA를 사용하여 28 ℃에서 14 일간 배양한 후 전분 가수분해능, 젤라틴 액화능, 밀크 펩톤화 및 응집화능, 멜라닌 색소 형성능, 카제인 가수분해능, 내염성 정도 및 생육 온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상기 균주는 전분의 가수분해, 밀크 펩톤화 및 멜라닌 색소 형성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MG121 균주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을 앰피실린을 포함한 총 20종의 항생제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YMB(yeast extract-malt extract broth) 배지에서 7 일간 전배양한 배양액을 새로운 YMB 배지에 200 ㎕씩 도말하여 무균 상태에서 1 시간 정도 건조한 후 각각의 항생제 페이퍼 디스크를 플레이트의 네 지점에 치상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28 ℃에서 7 일간 배양한 후 저지원을 측정하여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사용된 항생제의 종류와 농도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07032141192-pat00001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M121 균주는 린코마이신을 포함한 4종의 항생제에 대하여 저항성을 보였으며, 농용 항생제로 작물의 청고병(풋마름병)을 비롯한 세균병 방제에 활용되고 있는 스트렙토마이신에 대해서는 중간 정도의 감수성을 보였다. 감수성 정도는 에리스로마이신(10), 노보비오신(11), 나프실린(20) > 카나마이신(6), 테트라사이클린(8), 반코마이신(16) > 바시트라신(3), 리팜핀(5), 페니실린(9), 아미카신(13) > 스트렙토마이신(4), 니트로푸란토인(15) > 앰피실린(1), 네오마이신(7), 토브라마이신(14), 겐타마이신(18) > 린코마이신(2), 폴리믹산(12), 클린다마이신(17), 카르베니실린(19)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MG121 균주의 기내 항균활성 검정
종배지 및 생산배지로 효모추출물 0.3%, 맥아추출물 0.3%, 펩톤 0.5% 및 포도당 1%를 함유하며, pH 6.8이 되도록 조정한 배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배지를 200 ㎖ 플라스크에 100 ㎖씩 분주하여 121 ℃에서 20 분간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이 배지에 전배양된 배양액 0.01%를 접종하여 28 ℃, 150 rpm으로 7 일간 종배양하였다.
YMA와 PDA(potato dextrose agar)가 1:1로 혼합된 검정용 배지가 분주된 플레이트의 한쪽에 분리된 균주 MG121을 회선 접종하고 28 ℃에서 7 일간 전배양한 후, PDA 배지에서 7 일간 전배양된 P. 캡사이시 및 C. 아큐타텀의 균총 절편(지름 5 ㎜)을 MG121 균주의 균총 가장자리로부터 2 ㎝ 떨어진 지점에 접종하여, P. 캡사이시의 경우 25 ℃ 및 C. 아큐타텀의 경우 28 ℃에서 각각 7 일간 배양한 후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MG121 균주는 P. 캡사이시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검정균의 균총과 인접한 접종원 부위의 균사의 밀도가 낮고 그 생육이 관찰되지 않았다. C. 아큐타텀의 경우 전체적으로 균사 생육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나 P. 캡사이시 보다 C. 아큐타텀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병원균의 생육 형태로부터 MG121 균주의 2차 대사산물 중 휘발성 물질에 의한 항균활성을 고려할 수 있었다. MG121 균주의 병원균에 대한 정량적인 균사생육 억제력은 P. 캡사이시에 대하여 90% 이상, C. 아큐타텀에 대하여 57%로 나타났다.
MG121 균주와 근접한 쪽의 병원균 균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균사의 팽윤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균사 팽윤현상은 C. 아큐타텀 보다는 P. 캡사이시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의 선행특허 제622,694호에 따른 S. 그리세오푸스커스 200401호와 달리, MG121 균주는 잔디의 마름병을 일으키는 R. 솔라니 AG-2-2에 대해서도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6은 MG121 균주의 R. 솔라니(5)에 대한 높은 항균활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시예 5: MG121 균주의 배양온도 및 pH에 따른 항균활성 측정
MG121 균주의 생육 온도범위를 조사하기 위하여, 7 일간 YMB 배지에서 전배양된 배양액 200 ㎕를 새로운 YMB 배지가 담긴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10, 15, 20, 25, 30, 35 및 40 ℃로 조절된 진탕배양기에서 7 일간 배양한 후 10배 희석 평판법으로 균수를 측정하였다. 배양온도에 따른 항균활성을 설정온도에서 7 일간 1차 항균활성 검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훈증하고 병원균을 접종하여 각각 25 ℃와 28 ℃에서 7 일간 배양한 후 1차 항균활성 검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MG121 균주의 최적 생육온도는 20~25 ℃로 조사되었으며, 최적 항균물질 생산온도는 25~30 ℃로 나타났다.
또한 MG121 균주의 생육 pH 범위를 조사하기 위하여, 7 일간 YMB 배지에서 전배양된 배양액 200 ㎕를 pH가 4부터 8까지 0.5 간격으로 조절된 새로운 YMB 배지가 담긴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28 ℃의 진탕배양기에서 7 일간 배양한 후 10배 희석 평판법으로 균수를 측정하였다. 배양 pH에 따른 항균활성 측정은 배양온도에 따른 항균활성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MG121 균주는 pH 6~6.5에서 가장 왕성한 생육을 보였고, 항균물질의 생산 또한 이와 유사한 pH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H 7 이상에서 균사 생육 및 항균물질의 생산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6: MG121 균주의 조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정
MG121 균주를 효모추출물 0.3%, 맥아추출물 0.3%, 펩톤 0.5% 및 포도당 1%를 함유하며, pH 6.8로 조절된 배지를 사용하여 28 ℃에서 7 일간 진탕배양한 후 동결건조하여 조추출물을 제조하여 항균활성을 검정하였다. 이때 조추출물의 배양배지 내 최종 함량은 0.001, 0.01, 0.1 및 1%로 조절하였다.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MG121 균주의 조추출물은 P. 캡사이시에 대해서 1%의 농도에서 80% 정도, 0.1%의 농도에서 60% 이상의 균사생육 억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효과는 본 발명자들의 선행특허 제622,694호의 S. 그리세오푸스커스 200401의 효과(1%의 농도에서 76.2%, 0.5%의 농도에서 61%) 보다 우수한 것이다. 그러나 조추출물은 0.1% 이하의 농도에서는 급격히 감소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조추출물은 C. 아큐타텀에 대해서는 P. 캡사이시에 비해 낮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MG121 균주의 실내 간이 생체(열매) 실험에 의한 항균활성 검정
MG121 균주를 효모추출물 0.3%, 맥아추출물 0.3%, 펩톤 0.5% 및 포도당 1%를 함유하며, pH 6.8로 조절된 배지를 사용하여 28 ℃에서 7 일간 진탕배양한 후, 대상 병원균의 포자를 수확하여 배양 균주와 1:1로 혼합하여 고추 열매에 접종하여 병원균에 의한 감염을 검정하였다. 이때 고추 열매는 구입 후 에탄올를 이용하여 표면소독하여 사용하였다. 접종 고추를 25 ℃에서 7 일간 배양한 후 이병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대조구(병원균 단독 처리구)의 경우, 고추열매에 전체적으로 감염 증상이 나타났으나, 혼용 처리구의 경우 병반을 관찰할 수 없었으나 상처 부위의 갈변증상은 관찰되었다.
실시예 8: MG121 균주의 휘발성 물질의 항균활성 검정
MG121 균주의 휘발성 물질의 항균활성을 MG121 균주와 병원균을 양분된 플레이트에 7 일간 동시 배양한 후, 병원균의 균총(지름 5 ㎜)을 새로운 배지에 치상하여 각각 25 ℃와 28 ℃에서 7 일간 배양한 후 균총의 직경을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한편, 병원균을 단독으로 계대배양하여 대조구로 하였다.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MG121 균주의 휘발성 물질은 30.2% 정도의 항균활성을 보여 토양에 처리할 경우 휘발성 항균물질과 비휘발성 항균물질에 의한 방제효과가 기대되었다. 이러한 MG121 균주의 휘발성 물질에 의한 역병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본 발명자들의 선행특허 제622,694호의 S. 그리세오푸스커스 200401 균주와 차별화되는 활성이라 할 것이다.
실시예 9: MG121 균주의 온실 내 식물 생육촉진 효과 검정
MG121 균주를 효모추출물 0.3%, 맥아추출물 0.3%, 펩톤 0.5% 및 포도당 1%를 함유하며, pH 6.8로 조절된 배지를 사용하여 28 ℃에서 7 일간 진탕배양한 후, 10배 희석하여 온실 내 고추에 관주처리한 후, 고추의 성장 및 미생물 처리에 의한 피해 양상을 관찰하였다. 처리된 미생물의 밀도는 106 cfu/㎖로 조절하였다.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MG121 균주의 관주처리는 고추의 생육을 약 13%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MG121 균주의 관주처리에 의한 식물 생육촉진 효과 또한 본 발명자들의 선행특허 제622,694호의 S. 그리세오푸스커스 200401 균주와 차별화되는 활성이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렙토마이세스 sp. MG121 균주는 P. 캡사이시 및 C. 아큐타텀은 물론 R. 솔라니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식물 생육촉진 효과를 나타내므로, 고추 역병 및 탄저병, 및 잔디 라이족토니아마름병을 비롯한 각종 식물병을 환경친화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경제작물의 수량 및 생산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110> LIM, Tae Heon KIM, Jin Ho CHO, Sung Hyun <120> Streptomyces sp. MG121 strain, and agents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containing the same <160> 3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ccagcagccg cggtaatacg 20 <210> 2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taccagggta tctaatcc 18 <210> 3 <211> 1346 <212> DNA <213> Streptomyces sp. MG121 16S rDNA <400> 3 tggctcagga cgaacgctgg cggcgtgctt aacacatgca agtcgaacga tgaagccctt 60 cggggtggat tagtggcgaa cgggtgagta acacgtgggc aatctgccct tcactctggg 120 acaagccctg gaaacggggt ctaataccgg ataacactcc tgcctgcatg ggcgggggtt 180 aaaagctccg gcggtgaagg atgagcccgc ggcctatcag cttgttggtg gggtaatggc 240 ctaccaaggc gacgacgggt agccggcctg agagggcgac cggccacact gggactgaga 300 cacggcccag actcctacgg gaggcagcag tggggaatat tgcacaatgg gcgaaagcct 360 gatgcagcga cgccgcgtga gggatgacgg ccttcgggtt gtaaacctct ttcagcaggg 420 aagaagcgaa agtgacggta cctgcagaag aagcgccggc taactacgtg ccagcagccg 480 cggtaatacg tagggcgcaa gcgttgtccg gaattattgg gcgtaaagag ctcgtaggcg 540 gcttgtcgcg tcggatgtga aagcccgggg cttaaccccg ggtctgcatt cgatacgggc 600 aggctagagt gtggtagggg agatcggaat tcctggtgta gcggtgaaat gcgcagatat 660 caggaggaac accggtggcg aaggcggatc tctgggccat tactgacgct gaggagcgaa 720 agcgtgggga gcgaacagga ttagataccc tggtagtcca cgccgtaaac gttgggaact 780 aggtgttggc gacattccac gtcgtcggtg ccgcagctaa cgcattaagt tccccgcctg 840 gggagtacgg ccgcaaggct aaaactcaaa ggaattgacg ggggcccgca caagcagcgg 900 agcatgtggc ttaattcgac gcaacgcgaa gaaccttacc aaggcttgac atataccgga 960 aacggccaga gatggtcgcc cccttgtggt cggtatacag gtggtgcatg gctgtcgtca 1020 gctcgtgtcg tgagatgttg ggttaagtcc cgcaacgagc gcaacccttg ttctgtgttg 1080 ccagcatgcc cttcggggtg atggggactc acaggagact gccggggtca actcggagga 1140 aggtggggac gacgtcaagt catcatgccc cttatgtctt gggctgcaca cgtgctacaa 1200 tggccggtac aatgagctgc gatgccgcga ggcggagcga atctcaaaaa gccggtctca 1260 gttcggattg gggtctgcaa ctcgacccca tgaaatcgga gttgctagta atcgcagatc 1320 agcattgctg cggtgaatac gttccc 1346

Claims (4)

  1. 파이토프소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콜레토트리컴 아큐타텀(Colletotrichum acutatum) 및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sp. MG121 균주(수탁번호 제KACC 91306P호).
  2. 제1항에 따른 균주 또는 그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제.
  3. 제2항에 있어서, 식물병이 고추 역병, 고추 탄저병 또는 잔디 라이족토니아마름병인 식물병 방제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따른 식물병 방제제를 토양 또는 식물의 엽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방법.
KR1020070041508A 2007-04-27 2007-04-27 스트렙토마이세스 sp. MG12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식물병 방제제 KR100876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508A KR100876431B1 (ko) 2007-04-27 2007-04-27 스트렙토마이세스 sp. MG12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식물병 방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508A KR100876431B1 (ko) 2007-04-27 2007-04-27 스트렙토마이세스 sp. MG12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식물병 방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267A KR20080096267A (ko) 2008-10-30
KR100876431B1 true KR100876431B1 (ko) 2008-12-29

Family

ID=40155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508A KR100876431B1 (ko) 2007-04-27 2007-04-27 스트렙토마이세스 sp. MG12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식물병 방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22018006081B1 (pt) * 2009-08-18 2019-03-19 Mitsui Chemicals Agro, Inc. Método de produção de compostos A-87774 ou sal dos mesmos, agroquímico, herbicida e regulador de crescimento de plantas
KR101524651B1 (ko) * 2013-07-31 2015-06-0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시우스 s4-7''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4577B1 (en) 2000-09-27 2003-02-25 Agraquest, Inc. Strain of Streptomyces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KR100622694B1 (ko) * 2005-03-18 2006-09-19 임태헌 Streptomyces griseofuscus 200401 균주 및 이를 포함한 식물 병 방제제
KR100760526B1 (ko) 2006-04-06 2007-10-04 한국화학연구원 비카베린을 생산하는 후자리움 옥시스포룸 ef119 균주,비카베린 또는 ef119 균주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4577B1 (en) 2000-09-27 2003-02-25 Agraquest, Inc. Strain of Streptomyces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US6852317B2 (en) 2000-09-27 2005-02-08 Agraquest, Inc. Metabolite from streptomyces strain NRRL accession No. B-30145 and mutants thereof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KR100622694B1 (ko) * 2005-03-18 2006-09-19 임태헌 Streptomyces griseofuscus 200401 균주 및 이를 포함한 식물 병 방제제
KR100760526B1 (ko) 2006-04-06 2007-10-04 한국화학연구원 비카베린을 생산하는 후자리움 옥시스포룸 ef119 균주,비카베린 또는 ef119 균주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토양분리 방선균 Streptomtces griseofuscus 200401의 고추생육 촉진과 역병 발생 억제 효과', 식물병 연구 제12권 제1호, 2006.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267A (ko)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ou et al. Multiple criteria-based screening of Trichoderma isolates for biological control of Botrytis cinerea on tomato
KR101073932B1 (ko)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pb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KR101199931B1 (ko)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krict934 균주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질소무기화 촉진 및 식물병 방제방법
Hiltunen et al. Interactions and biocontrol of pathogenic Streptomyces strains co‐occurring in potato scab lesions
KR100587447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방법
KR101569737B1 (ko) 벼 근권에서 분리된 신규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오리지콜라 및 이를 이용한 천연식물 보호 및 식물 강화제 개발
KR101291915B1 (ko) 식물병원성 진균에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gyl4 및 이를 이용한 항생물질의 제조방법
KR20140127670A (ko)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메칠로트로피쿠스 yc700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생물농약 및 미생물비료 개발
CN111040976B (zh) 一株解淀粉芽孢杆菌及其应用
KR102375337B1 (ko) 브레비바실러스 브레비스 hk544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20140071145A (ko) 신균주인 페니바실러스 폴리믹사 ab-15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977530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sp. YD414 균주, 이를 포함하는식물병 방제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KR20150015309A (ko)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시우스 s4-7&#39;&#39;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20080089324A (ko) 토양 방선균 배양액을 이용한 참다래 재배방법
KR20100132861A (ko)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bs062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KR100876431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sp. MG12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식물병 방제제
KR101905058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ak―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뿌리썩음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0533874B1 (ko) 신규한 바실러스속 (Bacillus sp.) CMB26균, 이를 이용한 리포펩티드의 제조방법, 상기 바실러스속 CMB26균 및/또는리포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곰팡이균의 살균제.
KR101953835B1 (ko) 식물의 병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아스페르질루스 테레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Heng et al.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potential actinobacteria with antifungal activities towards chilli anthracnose
KR101182103B1 (ko) 토양근권세균 플라보박테리움 균주 gse09를 포함하는 식물 탄저병 방제용 및 수량증진과 성숙촉진용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탄저병 방제방법
KR101107373B1 (ko) 토양근권세균 슈도모나스 코루가타 균주 ccr80을 포함하는 식물 탄저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저병 방제방법
KR100797455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파다누스 cbu01 균주, 및 이를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제
KR20150079323A (ko) 토양근권세균 슈도모나스 오티티디스 균주 yjr27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및 식물 생장촉진용 조성물
KR20200046768A (ko) 신규 미생물 엔테로박터 아스뷰리에 ObRS-5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 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