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897B1 -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897B1
KR101207897B1 KR1020100113189A KR20100113189A KR101207897B1 KR 101207897 B1 KR101207897 B1 KR 101207897B1 KR 1020100113189 A KR1020100113189 A KR 1020100113189A KR 20100113189 A KR20100113189 A KR 20100113189A KR 101207897 B1 KR101207897 B1 KR 101207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late glass
gate conveyor
conveying direction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1867A (ko
Inventor
김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기연
Priority to KR1020100113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8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51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89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동일 높이 상에서 서로 교차되어 배치되는 이송방향롤러부와 방향전환롤러부를 마련하되 포크 작업시 방향전환롤러부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실린더를 마련하여, 기본적인 판유리의 이송 및 방향전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포크 작업시 포크가 판유리 하방으로 진입하여 판유리를 떠 옮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유리에 대한 이송, 방향전환 및 포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복합 작업 수행에 따른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는 동일 높이 상에서 서로 교차되어 배치되는 이송방향롤러부와 방향전환롤러부를 마련하되 포크 작업시 방향전환롤러부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실린더를 마련하여, 기본적인 판유리의 이송 및 방향전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포크 작업시 포크가 판유리 하방으로 진입하여 판유리를 떠 옮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유리에 대한 이송, 방향전환 및 포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복합 작업 수행에 따른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또한, 이러한 작업을 인터벌 없이 신속하고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능률이 대폭 향상되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Multi gate conveyor}
본 발명은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 높이 상에서 서로 교차되어 배치되는 이송방향롤러부와 방향전환롤러부를 마련하되 포크 작업시 방향전환롤러부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실린더를 마련하여, 기본적인 판유리의 이송 및 방향전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포크 작업시 포크가 판유리 하방으로 진입하여 판유리를 떠 옮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유리에 대한 이송, 방향전환 및 포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복합 작업 수행에 따른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또한, 이러한 작업을 인터벌 없이 신속하고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능률이 대폭 향상되도록 하는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유리 방향전환장치로는 작업대 상으로 이송되어 온 판유리를 진행방향으로 진행시키거나 또는 직각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이송되도록 하는 디버터 방식과, 작업대 상으로 이송된 판유리를 진행방향으로 진행시키거나 또는 제자리 회전시킨 후 원하는 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는 턴 방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방향전환장치 중 상기 디버터 방식의 판유리 방향전환장치는 작업대 상으로 이송되어 온 판유리를 직각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판유리의 이송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롤러가 서로 직각 방향으로 교차 배열되는 구조의 장치가 주로 제시되었었다.
일례로 이러한 종래 기술의 판유리 방향전환장치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축 상에 복수의 롤러가 장착되는 이송방향롤러부와, 이 이송방향롤러부와 동일 구성을 가지며 이 이송방향롤러부와 교차 배치되는 방향전환롤러부로 구성되어, 판유리의 이송 및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판유리 방향전환장치는 판유리의 이송 및 방향전환은 가능하나 판유리를 다른 작업대 등으로 떠 옮기기 위한 포크 작업시 각각의 롤러부가 동일 높이 상에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 사이로 포크가 진입할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포크 작업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이송휠은 1열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이송휠들을 서로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결합 작업이 어려우며 또한 결합상태가 불량할 경우 이송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동일 높이 상에서 서로 교차되어 배치되는 이송방향롤러부와 방향전환롤러부를 마련하되 포크 작업시 방향전환롤러부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실린더를 마련하여, 기본적인 판유리의 이송 및 방향전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포크 작업시 포크가 판유리 하방으로 진입하여 판유리를 떠 옮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유리에 대한 이송, 방향전환 및 포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복합 작업 수행에 따른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단일 휠본체의 외주면에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2열 구조의 롤러연결편을 구비함으로써, 기존에 1열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이송휠들을 결합시키는 것에 비해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됨은 물론 별도의 이송휠 간의 결합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조립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여 작업을 인터벌 없이 신속하고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능률이 대폭 향상되도록 하는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는, 프레임 테두리에 그 양단부가 축 결합되어 축 회전되며 서로 평행하게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관통 결합되는 축결합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 어긋나게 2열로 등 간격 배치되되 방사상으로 연장된 상단부가 양측으로 벌어져 각각의 롤러연결편을 형성하며, 상기 롤러연결편에 서로 대향되는 축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롤러연결편이 마련된 휠본체와 상기 각 롤러연결편의 마주보는 축지지돌기 사이에 장착되도록 양단부에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아이들롤러를 포함하는 이중롤러;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결합되어 판유리를 이송하는 이중롤러를 포함하는 이송방향롤러부; 상기 이송방향롤러부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이송방향롤러부의 이송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배열된 회전축이 연속되는 방향전환롤러부; 및 상기 방향전환롤러부가 상하로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수단;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방향전환롤러부의 양단 프레임 저면에 배치되어 이 프레임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로드를 구비한 승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프레임 테두리에 그 양단부가 축 결합되어 축 회전되며 서로 평행하게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관통 결합되는 축결합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 어긋나게 2열로 등 간격 배치되되 방사상으로 연장된 상단부가 양측으로 벌어져 각각의 롤러연결편을 형성하며, 상기 롤러연결편에 서로 대향되는 축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롤러연결편이 마련된 휠본체와 상기 각 롤러연결편의 마주보는 축지지돌기 사이에 장착되도록 양단부에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아이들롤러를 포함하는 이송방향롤러부; 상기 이송방향롤러부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이송방향롤러부의 이송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배열된 회전축이 연속되는 방향전환롤러부; 및 상기 방향전환롤러부가 전후 혹은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수단;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방향전환롤러부의 양단 프레임 측면에 배치되어 이 프레임을 전후 혹은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로드를 구비한 이동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의 장착홈에는 축지지돌기가 장착되도록 보조장착홀을 갖는 보조장착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착구는 아이들롤러의 장착홈에 삽입되어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원관부와, 이 원관부의 일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장착홈 테두리에 걸리도록 하는 링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가 장착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축지지돌기 중 어느 하나의 축지지돌기의 단면은 보조장착구의 링형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단이 짧고 하단이 긴 경사면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는 중앙이 볼록한 원통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이송방향롤러부와 방향전환롤러부의 휠본체의 직경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 그 회전축의 높이 차이에 의해 이들 교차되는 회전축 간에 서로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는 동일 높이 상에서 서로 교차되어 배치되는 이송방향롤러부와 방향전환롤러부를 마련하되 포크 작업시 방향전환롤러부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실린더를 마련하여, 기본적인 판유리의 이송 및 방향전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포크 작업시 포크가 판유리 하방으로 진입하여 판유리를 떠 옮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유리에 대한 이송, 방향전환 및 포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복합 작업 수행에 따른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또한, 이러한 작업을 인터벌 없이 신속하고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능률이 대폭 향상되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중 이중롤러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중 이중롤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중 이중롤러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중 이중롤러의 축지지돌기에 아이들롤러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상으로 판유리가 진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중 포크 작업을 위해 방향전환롤러부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중 포크 작업을 위해 판유리 저면으로 포크가 진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중 포크가 판유리를 떠올려 옮기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중 포크 작업을 위해 방향전환롤러부가 좌측으로 밀려난 상태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는 프레임(5) 상부에 이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다수의 이중롤러(20)가 배열된 이송방향롤러부(30)와, 이 이송방향롤러부(30)의 이중롤러(20) 상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송방향롤러부(30)에 대응하여 서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다수의 이중롤러(20)가 배열된 방향전환롤러부(40) 및 상기 방향전환롤러부(4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어 판유리(G)의 이송 및 방향전환을 하는 이송방향롤러부(30)와 방향전환롤러부(40)를 구성하는 이중롤러(20)는 중앙에 회전축(10)이 관통 결합되는 축결합홀(21)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되 이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그 상단부가 다시 양측으로 벌어져서 인접하는 롤러연결편(22a)의 축지지돌기(22a-1)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축지지돌기(22a-1',22a-1")가 형성된 복수의 롤러연결편(22a)이 마련된 휠본체(22) 및 상기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각 롤러연결편(22a)의 축지지돌기(22a-1)에 장착되도록 양단부에 장착홈(23a)이 형성되어 있는 아이들롤러(23)를 포함하여 하나의 단위인 이중롤러(20)를 형성한다.
상기 롤러연결편(22a)은 휠본체(22)의 외주면을 따라 2열로 배열되되, 서로 인접되는 롤러연결편(22a) 간에 원호를 따라 일정각도 어긋나게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롤러(23)의 장착홈(23a)에는 축지지돌기(22a-1)에 장착되도록 보조장착홀(24a)을 갖는 보조장착구(24)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장착구(24)는 아이들롤러(23)의 장착홈(23a)에 삽입되어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원관부(24b)와, 상기 원관부(24b)의 일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장착홈(23a) 테두리에 걸리도록 하는 링형부(24c)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롤러(23)가 장착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축지지돌기(22a-1) 중 어느 하나의 축지지돌기(22a-1')는 그 단면이 보조장착구(24)의 링형부(24c)가 슬라이딩되면서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단이 짧고 하단이 긴 경사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이 짧고 하단이 긴 경사면 구조로 된 축지지돌기(22a-1')의 서로 마주보는 다른 축지지돌기(22a-1")는 상단이 길고 하단이 짧은 경사면을 갖는 상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역으로 상기 아이들롤러(23)를 롤러연결편(22a)에서 분리시킬 경우 보조장착구(24)의 링형부(24c)가 상기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딩되면서 미끄러져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롤러(23)는 중앙이 볼록한 원통구조로 되어 판유리(G)와 아이들롤러(23) 간의 접촉면적을 극대화시킴으로써, 판유리(G)의 접촉 압력을 최소화하여 그 결과 판유리(G)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방향롤러부(30)와 방향전환롤러부(40)의 이중롤러(20)의 직경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 그 회전축(10)의 높이 차이에 의해 이들 교차되는 회전축(10) 간에 서로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송방향롤러부(30)의 이중롤러(20)보다 방향전환롤러부(40)의 이중롤러(20)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 그 회전축(10)이 하방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50)은 방향전환롤러부(40)의 양단 프레임(5) 저면에 배치되어 이 프레임(5)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로드(51a)를 구비한 승강실린더(51)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는 저면이 평평한 판유리(G)가 얹혀 있을 경우 이송방향롤러부(30)와 방향전환롤러부(40)의 이중롤러(20)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이송방향롤러부(30) 또는 방향전환롤러부(40)의 구동방향에 따라 상기 이중롤러(20)의 휠본체(22)와 아이들롤러(23)가 회전되는 방향이 정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아이들롤러(23)의 장착홈(23a)에 별도의 보조장착구(24)를 삽입 장착시킨 후 이 아이들롤러(23)를 서로 동일선상에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롤러연결편(22a) 사이로 집어넣어 이들 롤러연결편(22a)의 축지지돌기(22a-1)가 보조장착구(24)의 보조장착홀(24a) 내로 삽입되면서 서로 간의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조립 과정에서는 먼저 일단부의 보조장착홀(24a)로 일측의 롤러연결편(22a)의 축지지돌기(22a-1")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반대쪽의 보조장착구(24)의 링형부(24c)가 축지지돌기(22a-1')의 경사면을 타고 하방으로 미끄러져 슬라이딩되는 동안 아이들롤러(23)의 하방 가압력에 의해 해당 롤러연결편(22a)이 탄성적으로 살짝 밀려났다가 슬라이딩이 완료되면 원상 복귀되면서 보조장착홀(24a)로 축지지돌기(22a-1')가 삽입되면서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아이들롤러(23)를 롤러연결편(22a)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 역시 축지지돌기(22a-1)의 경사면을 이용하여 상기와 반대로 분리시킬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판유리(G)가 이송방향롤러부(30)를 통해 이송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방향전환롤러부(40)의 구동모터(미도시)가 정지된 상태로, 상기 방향전환롤러부(40)의 아이들롤러(23)는 상기 판유리(G)가 상기 이송방향롤러부(30)의 이중롤러(20)에 의해 진행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판유리(G)의 이송을 돕게 되는 것이다.
또한, 판유리(G)가 이송방향롤러부(30)를 통해 이송방향으로 이송되다가 직각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송방향롤러부(30)의 구동모터(미도시)가 정지되면서 회전축(10)에 회전이 정지되고, 별도의 방향전환롤러부(40)의 구동모터(미도시)가 작동되어 상기 방향전환롤러부(40)의 이중롤러(20)가 판유리(G)를 이송하는 동안 상기 이송방향롤러부(30)의 아이들롤러(23)는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판유리(G)의 이송을 돕게 되는 것이다.
즉, 방향전환롤러부(40)의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방향전환롤러부(40)의 이중롤러(2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판유리(G)의 이송방향을 90도 변경시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판유리(G)가 이송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되거나 혹은 방향을 전환하여 자유롭게 이송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이렇게 판유리(G)의 이송 및 방향전환 작업을 하다가 포크(F)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8 내지 도 9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이송방향롤러부(30)를 통해 작업대 상으로 판유리(G)가 진입되고 나면 포크(F)의 진입을 위해 승강실린더(51)가 작동되어 방향전환롤러부(40)를 하방으로 하강시킨다.
그런 다음, 포크(F)를 판유리(G)의 저면으로 진입시킨 후 판유리(G)를 상방으로 일정높이 떠올린 다음 원하는 장소로 이송시킴으로써 판유리(G)에 대한 포크(F)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포크(F) 작업이 완료되면 승강실린더(51)를 통해 하강되어 있던 방향전환롤러부(40)를 상방으로 원위치시켜 다시 판유리(G)의 방향 전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는 상기 제1실시예의 승강수단(50) 대신, 상기 방향전환롤러부(40)를 전후 혹은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수단(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도면은 생략한다.
상기 이동수단(50')은 방향전환롤러부(40)의 양단 프레임(5) 측면에 배치되어 이 프레임(5)을 전후 혹은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로드(51a')를 구비한 이동실린더(51')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수단(50) 대신 상기 이동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는 저면이 평평한 판유리(G)가 얹혀 있을 경우 이송방향롤러부(30)와 방향전환롤러부(40)의 이중롤러(20)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이송방향롤러부(30) 또는 방향전환롤러부(40)의 구동방향에 따라 상기 이중롤러(20)의 휠본체(22)와 아이들롤러(23)가 회전되는 방향이 정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아이들롤러(23)의 장착홈(23a)에 별도의 보조장착구(24)를 삽입 장착시킨 후 상기 아이들롤러(23)를 서로 동일선상에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롤러연결편(22a) 사이로 집어넣어 상기 롤러연결편(22a)의 축지지돌기(22a-1)가 보조장착구(24)의 보조장착홀(24a) 내로 삽입되면서 서로 간의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조립 과정에서는 먼저 일단부의 보조장착홀(24a)로 일측의 롤러연결편(22a)의 축지지돌기(22a-1")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반대쪽의 보조장착구(24)의 링형부(24c)가 축지지돌기(22a-1')의 경사면을 타고 하방으로 미끄러져 슬라이딩되는 동안 아이들롤러(23)의 하방 가압력에 의해 해당 롤러연결편(22a)이 탄성적으로 살짝 밀려났다가 슬라이딩이 완료되면 원상 복귀되면서 보조장착홀(24a)로 축지지돌기(22a-1')가 삽입되면서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아이들롤러(23)를 롤러연결편(22a)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 역시 축지지돌기(22a-1)의 경사면을 이용하여 상기와 반대로 분리시킬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판유리(G)가 이송방향롤러부(30)를 통해 이송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방향전환롤러부(40)의 구동모터(미도시)가 정지된 상태로, 상기 방향전환롤러부(40)의 아이들롤러(23)는 상기 판유리(G)가 상기 이송방향롤러부(30)의 이중롤러(20)에 의해 진행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판유리(G)의 이송을 돕게 되는 것이다.
또한, 판유리(G)가 이송방향롤러부(30)를 통해 이송방향으로 이송되다가 직각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송방향롤러부(30)의 구동모터(미도시)가 정지되면서 회전축(10)에 회전이 정지되고, 별도의 방향전환롤러부(40)의 구동모터(미도시)가 작동되어 상기 방향전환롤러부(40)의 이중롤러(20)가 판유리(G)를 이송하는 동안 상기 이송방향롤러부(30)의 아이들롤러(23)는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판유리(G)의 이송을 돕게 되는 것이다.
즉, 방향전환롤러부(40)의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방향전환롤러부(40)의 이중롤러(2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판유리(G)의 이송방향을 90도 변경시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판유리(G)가 이송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되거나 혹은 방향을 전환하여 자유롭게 이송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이렇게 판유리(G)의 이송 및 방향전환 작업을 하다가 포크(F)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0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이송방향롤러부(30)를 통해 작업대 상으로 판유리(G)가 진입되고 나면 포크(F) 진입을 위해 이동실린더(51')가 작동되어 방향전환롤러부(40)를 전후 혹은 좌우측으로 이동시킨다. 도 10에서는 방향전환롤러부(4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이송방향롤러부(30)에 근접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런 다음, 포크(F)를 판유리(G)의 저면으로 진입시킨 후 판유리(G)를 상방으로 일정높이 떠올린 다음 원하는 장소로 이송시킴으로써 판유리(G)에 대한 포크(F)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포크(F) 작업이 완료되면 이동실린더(51')를 통해 이송방향롤러부(30) 측으로 이동되어 있던 방향전환롤러부(40)를 도 10의 우측으로 원 위치시켜 다시 판유리(G)의 방향 전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5 : 프레임 10 : 회전축
20 : 이중롤러 21 : 축결합홀
22 : 휠본체 22a : 롤러연결편
22a-1,22a-1',22a-1" : 축지지돌기 23 : 아이들롤러
23a : 장착홈 24 : 보조장착구
24a : 보조장착홀 24b : 원관부
24c : 링형부 30 : 이송방향롤러부
40 : 방향전환롤러부 50 : 승강수단
51 : 승강실린더 51a : 승강로드
50' : 이동수단 51' : 이동실린더
51a' : 이동로드 G : 판유리
A : 로봇암

Claims (10)

  1. 프레임(5) 테두리에 그 양단부가 축 결합되어 축 회전되며 서로 평행하게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회전축(10);과
    상기 회전축(10)이 관통 결합되는 축결합홀(2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 어긋나게 2열로 등 간격 배치되되 방사상으로 연장된 상단부가 양측으로 벌어져 각각의 롤러연결편(22a)을 형성하며, 상기 롤러연결편(22a)에 서로 대향되는 축지지돌기(22a-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롤러연결편(22a)이 마련된 휠본체(22)와 상기 각 롤러연결편(22a)의 마주보는 축지지돌기(22a-1) 사이에 장착되도록 양단부에 장착홈(23a)이 형성되어 있는 아이들롤러(23)를 포함하는 이중롤러(20);
    상기 회전축(10)의 외주면에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결합되어 판유리(G)를 이송하는 이중롤러(20)를 포함하는 이송방향롤러부(30);
    상기 이송방향롤러부(3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이송방향롤러부(30)의 이송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배열된 회전축(10)이 연속되는 방향전환롤러부(40); 및
    상기 방향전환롤러부(40)가 상하로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수단(5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롤러를 구비한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50)은 방향전환롤러부(40)의 양단 프레임(5)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5)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로드(51a)를 구비한 승강실린더(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3. 프레임(5) 테두리에 그 양단부가 축 결합되어 축 회전되며 서로 평행하게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회전축(10);과
    상기 회전축(10)이 관통 결합되는 축결합홀(2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 어긋나게 2열로 등 간격 배치되되 방사상으로 연장된 상단부가 양측으로 벌어져 각각의 롤러연결편(22a)을 형성하며, 상기 롤러연결편(22a)에 서로 대향되는 축지지돌기(22a-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롤러연결편(22a)이 마련된 휠본체(22)와 상기 각 롤러연결편(22a)의 마주보는 축지지돌기(22a-1) 사이에 장착되도록 양단부에 장착홈(23a)이 형성되어 있는 아이들롤러(23)를 포함하는 이중롤러(20);
    상기 회전축(10)의 외주면에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결합되어 판유리(G)를 이송하는 이중롤러(20)를 포함하는 이송방향롤러부(30);
    상기 이송방향롤러부(3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이송방향롤러부(30)의 이송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배열된 회전축(10)이 연속되는 방향전환롤러부(40); 및
    상기 방향전환롤러부(40)가 전후 혹은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수단(5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롤러를 구비한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50')은 방향전환롤러부(40)의 양단 프레임(5)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5)을 전후 혹은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로드(51a')를 구비한 이동실린더(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23)의 장착홈(23a)에는 축지지돌기(22a-1)가 장착되도록 보조장착홀(24a)을 갖는 보조장착구(2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착구(24)는 아이들롤러(23)의 장착홈(23a)에 삽입되어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원관부(24b)와, 이 원관부(24b)의 일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장착홈(23a) 테두리에 걸리도록 하는 링형부(24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23)가 장착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축지지돌기(22a-1) 중 어느 하나의 축지지돌기(22a-1')의 단면은 보조장착구(24)의 링형부(24c)가 슬라이딩되면서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단이 짧고 하단이 긴 경사면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이 짧고 하단이 긴 경사면 구조로 된 축지지돌기(22a-1')의 서로 마주보는 다른 축지지돌기(22a-1")의 단면은 보조장착구(24)의 링형부(24c)가 슬라이딩되면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상단이 길고 하단이 짧은 경사면을 갖는 상반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9.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23)는 중앙이 볼록한 원통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10.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방향롤러부(30)와 방향전환롤러부(40)의 휠본체(22)의 직경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 그 회전축(10)의 높이 차이에 의해 이들 교차되는 회전축(10) 간에 서로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KR1020100113189A 2010-11-15 2010-11-15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KR101207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189A KR101207897B1 (ko) 2010-11-15 2010-11-15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189A KR101207897B1 (ko) 2010-11-15 2010-11-15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867A KR20120051867A (ko) 2012-05-23
KR101207897B1 true KR101207897B1 (ko) 2012-12-04

Family

ID=46268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189A KR101207897B1 (ko) 2010-11-15 2010-11-15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8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4971A (zh) * 2016-05-16 2016-09-21 浙江瀚镪自动化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双向电动分拣机
CN110713007B (zh) * 2019-10-11 2021-06-25 中建材智能自动化研究院有限公司 一种玻璃输送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867A (ko)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225376A (ja) マルチゲートコンベヤー
CN1861499B (zh) 链式传送带系统
KR101960679B1 (ko) 가이드휠을 장착한 롤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팰릿 이송 시스템
KR102282554B1 (ko) 유리 프레스 커팅 장치, 유리 프레스 커팅 방법 및 유리 커팅 시스템
CN102161438B (zh) 搬送装置
CN102951437A (zh) 包含具有输送辊的升降-横向单元的输送装置
JP2010275059A (ja) 板ガラス用搬送方向転換装置
KR101207897B1 (ko)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KR20090006984A (ko) 이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CN102619884A (zh) 凸轮式短圆柱滚子轴承自动装配机
KR101187679B1 (ko) 판유리 이송장치
TW201538290A (zh) 八臂搬運機器人
CN201980760U (zh) 搬送装置
KR102239970B1 (ko) 기판이송설비
KR101259832B1 (ko) 리프트형 판유리 방향 전환장치
JP5280690B2 (ja) 方向転換装置および搬送装置
CN114590587A (zh) 一种轮胎用自动上料运输机
CN211520861U (zh) 一种流水线转角的转运装置和一种料盘循环转运的流水线
CN104576472A (zh) 直立式基板传送装置
KR101448474B1 (ko) 이송 경로 전환 장치
KR101609775B1 (ko) 피치 가변형 로봇
KR200452157Y1 (ko) 디버터 컨베이어용 이송휠
KR101993823B1 (ko) 리니어모터의 방열구조를 갖는 팰릿 이송 제어시스템
CN105643348A (zh) 一种极板对接装置
CN110980298A (zh) 可移动玻璃双面给料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8